KR20200039396A - 신발 정리기구 - Google Patents

신발 정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396A
KR20200039396A KR1020180119281A KR20180119281A KR20200039396A KR 20200039396 A KR20200039396 A KR 20200039396A KR 1020180119281 A KR1020180119281 A KR 1020180119281A KR 20180119281 A KR20180119281 A KR 20180119281A KR 20200039396 A KR20200039396 A KR 2020003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elf
base
guid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273B1 (ko
Inventor
이의진
Original Assignee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진 filed Critical 이의진
Priority to KR102018011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273B1/ko
Priority to CN201910387119.1A priority patent/CN110558740B/zh
Publication of KR2020003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05Shoe hang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안내부재의 안내부를 따라 층상 신발 보관대가 앞뒤로 슬라이딩 되어 마치 서랍을 열고 닫는 방식과 같아 한 손으로도 뒤쪽에 있는 신발을 손쉽게 꺼내고 넣을 수가 있고, 저렴한 단가로 만들 수 있고, 설치하기도 편한 신발 정리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신발 정리기구는 선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상에 전후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기 위한 피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선반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면에 제1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1탑재부를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각도 조정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면에 제2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2탑재부를 제공하는 경사판부 및 상기 경사판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또는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층상 신발 보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Description

신발 정리기구{Device for storing shoes}
본 발명은 신발 정리를 위한 용구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 보관공간을 대각선 방향으로 양분하고 그 신발 보관공간의 앞쪽과 뒤쪽에 신발을 넣을 수 있게 만들어진 신발 정리를 위한 용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앞쪽의 높이가 낮고 뒤쪽의 높이가 높아서 한 켤레의 신발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신발장의 공간효율이 떨어진다. 신발장의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경사판을 사용하여 신발을 2층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한 것이 등록번호 20-0474290호(고안의 명칭: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정리대, 고안자: 조영행)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조영행 고안의 신발 정리대는 통상 신발장 내부의 선반에 올려두고 사용하여야 하는데, 뒤쪽에 넣은 신발은 앞에서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뒤쪽 신발을 꺼내기 위해서는 앞에 얹혀있는 신발을 먼저 꺼낸 다음 신발 정리대를 신발장에서 끄집어내고 나서 뒤쪽에 있는 신발을 꺼내야 하는데, 그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이에 따라 뒤쪽에 있는 신발은 신지 않고 보관만 하는 경향이 있고 나중에는 뒤쪽에 무슨 신발이 있는지 모르게 되기도 한다. 또한 한 손에 핸드백이나 핸드폰등 물건을 들고 있을 때는 더욱이 꺼내기가 힘들고 신발 정리대를 다시 신발장에 넣기도 상당히 힘이 든다. 이런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손에 들고 있던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고 신발을 꺼낸 다음 다시 손으로 물건을 들어 올려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크다.
신발장의 구조에 따라, 신발 정리대를 신발장에서 완전히 빼내지 않고 앞쪽으로 충분 당긴 상태에서 뒤쪽 신발을 꺼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신발 정리대가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신발 정리대를 한 손으로 계속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안쪽 신발을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신발 정리대를 앞쪽으로 당겨서 빼낼 때, 신발 정리대는 그 바닥이 선반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선반의 표면이 긁히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손만으로도 안쪽 공간에 보관된 신발을 쉽게 꺼낼 수 있는 신발 정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반과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선반이 긁히지 않는 신발 정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레일과 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가지면서도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적은 개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 있는 신발 정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 레일을 가지면서도 설치하기가 매우 쉬운 신발 정리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는 선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상에 전후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기 위한 피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선반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면에 제1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1탑재부를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각도 조정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면에 제2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2탑재부를 제공하는 경사판부 및 상기 경사판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또는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층상 신발 보관대를 포함하는 구성을 한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선반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을 가지는 클립체와 상기 클립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립체는 상기 선반의 저면 쪽으로 결합되는 하측 탄성팔, 상기 선반의 상면 쪽으로 결합되는 상측 탄성팔 및 상기 하측 탄성팔과 상기 상측 탄성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ㄷ" 형상의 단면 모양을 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선반에 못을 박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거나 인서트 사출로 못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T형의 홈 또는 돌기이고, 상기 피안내부는 T형의 돌기 또는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의 1/2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반부 저면에 상기 선반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바퀴가 설치된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의 후반부 저면에 간격을 두고 바퀴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 장착홈에는 바퀴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안내부에서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앞쪽 끝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탑재부의 안쪽 끝 부분에 제2신발의 뒤축을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안내부와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제2탑재부에 보관된 상기 제2신발을 빼내거나 상기 제2탑재부에 상기 제2신발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신발 보관대를 상기 선반 바깥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발 보관대와 상기 제1, 제2신발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상하로 마주보며 서로 걸려서 상기 신발 보관대가 중력에 의해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울어짐 방지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재의 안내부를 따라 층상 신발 보관대가 앞뒤로 슬라이딩 되어 마치 서랍을 열고 닫는 방식과 같아 뒤쪽에 있는 신발을 손쉽게 꺼내고 넣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층상 신발 보관대를 앞으로 잡아당길 때, 마지막 부분에서는 층상 신발 보관대 뒤쪽의 걸림턱이 안내부재에 걸려서 더 이상 앞으로 빠져나오지 않고 신발장의 입구에서 멈추고, 안내부가 피안내부를 잡고 있어서 사용자가 층상 신발 보관대에서 손을 놓아도 그 상태를 유지하여 한 손으로도 안쪽의 신발을 쉽게 꺼내거나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부재를 작게 형성할 수 있어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저렴한 단가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은 개수의 부품만으로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신발 정리기구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 정리기구를 선반에 설치하기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신발 정리기구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신발 정리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 신발 정리기구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안내부와 피안내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가 선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 신발 정리기구의 층상 신발 보관대를 앞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신발 정리기구의 동작 과정은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신발 정리기구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신발 정리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 신발 정리기구의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안내부와 피안내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100)는 선반에 장착된 상태에서 선반 상에 전후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112)를 가지는 안내부재(110)와 안내부(112)를 따라 전후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층상 신발 보관대(130)를 갖춘다.
이 실시 예에서, 안내부재(110)는 선반의 단부에 장착할 수 있는 끼움홈(114)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 안내부재(110)는 선반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114)을 가지는 클립체(11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안내부(112)는 클립체(113)의 상면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재(110)는 뒤에서 설명되는 층상 신발 보관대(130)의 베이스(131) 폭보다 작은 폭으로 그리고 베이스(131)의 길이의 1/2 이하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 예의 안내부재(110)는 베이스(131) 폭의 약 1/2 정도의 폭으로 그리고 베이스(131)의 길이의 약 1/4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 안내부재(110)의 제작에 소요되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무게 및 제조단가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안내부재(110)는 베이스(131) 폭의 약 1/3~2/3 정도의 폭의 범위에서 그리고 베이스(131)의 길이의 약 1/5~2/5 정도의 길이 범위에서 적절하게 정해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안내부재(110)를 베이스(130)의 크기 정도의 크기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립체(113)의 상면에 설치되는 안내부(112)는 T형의 홈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안내부(112)는 층상 신발 보관대(13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클립체(113)로는 선반의 저면 쪽으로 결합되는 하측 탄성팔(113a), 선반의 상면 쪽으로 결합되는 상측 탄성팔(113b) 및 하측 탄성팔(113a)과 상측 탄성팔(113b)을 연결하는 연결부(113c)를 구비하여 "ㄷ" 형상의 단면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좋다.
연결부(113c)에는 선반에 못(115)을 박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인서트 사출을 통해 못(115)이 연결부(113c)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안내부재(110)는 못(115) 없이 상측 탄성팔(113b) 및 하측 탄성팔(113a)의 탄성력으로 선반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때에 따라, 안내부재(110)로는 상면에 안내부가 형성된 "ㄱ"자 형상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ㄱ"자 형상 부재의 선반 단면부와 마주보게 장착되는 부분에는 선반에 못을 박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멍은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때에 따라 안내부재(110)의 선반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에 이면지가 부착된 접착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안내부재(110)를 이용하는 경우, 간편하게 신발 정리기구(100)를 선반에 설치할 수 있다.
층상 신발 보관대(130)는 베이스(131)와 경사판부(136) 및 연결지지부(139)를 가진다. 도 5를 함께 참고하면, 베이스(131)는 저면에 안내부(112)의 안내를 받기 위한 피안내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피안내부(132)는 T자형의 돌기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러한 피안내부(132)와 안내부(112)는 그 단면형상이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피안내부(132)가 T자형의 홈으로 형성되고, 안내부(112)가 T자형의 돌기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이러한 T자형의 안내부(112)와 피안내부(132)의 상하로 마주보며 서로 걸리는 부분은 층상 신발 보관대(130)가 선반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신발 보관대(130)와 신발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층상 신발 보관대(130)가 중력에 의해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기울어짐 방지부의 역할을 한다.
피안내부(132)와 안내부(112)는 층상 신발 보관대(13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단지 안쪽에 보관된 신발을 빼거나 안쪽으로 보관하기 위해 층상 신발 보관대(130)를 선반 바깥으로 충분히 뺀 상태에서도 층상 신발 보관대(130)과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울어짐 방지부를 가지면 될 것이다.
베이스(131)에는 무게 경감 및 통풍을 위해 여러 개의 구멍(H)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베이스(131)는 피안내부(132)를 통해 안내부(112)에 결합되어 안내부(112)의 안내를 받으며 선반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다. 이 베이스(131)의 상면에 제1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1탑재부(131a)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131)의 후단부 저면에는 피안내부(132)가 안내부(112)에서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133)가 설치되고, 앞쪽 끝단에 손잡이(134)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판부(136)는 베이스(13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면에 제2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2탑재부(136a)를 제공한다. 제2탑재부(136a)의 안쪽 끝 부분에 제2신발의 뒤축을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1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판부(136)에는 신발이 아래쪽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가로방향으로 여러 개의 돌기(J)가 형성된다. 또한, 경사판부(136)의 앞쪽 끝단 부근에 손잡이(138)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판부(136)는 연결부(139)를 통해 베이스(131)에 지지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131)의 후반부 저면에 간격을 두고 바퀴 장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퀴 장착홈(135)에는 바퀴(15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바퀴 장착홈(135)에는 양쪽 내측면으로 바퀴축(152)이 삽입될 수 있는 축홈(135a)을 상하로 형성하여 바퀴(150)를 끼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바퀴(150)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바퀴(150)를 베이스(131)의 후반부 저면에 설치하여 선반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안내부재(110)를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본 발명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가 선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신발 정리기구의 층상 신발 보관대를 앞으로 빼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신발 정리기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앞의 도 1 내지 도5를 함께 참고하면서 신발 정리기구(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재(110)는 선반(10)의 단부를 끼움홈(114)에 삽입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고, 못(115)을 선반(10)의 단부에 박아서 안내부재(110)가 선반(10)에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피안내부(132)가 안내부(112)에 결합된 상태로 층상 신발 보관대(130)가 전후 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아래층 선반(10)에 설치된 신발 보관대(130)에서와 같이 제1탑재부(131a)와 제2탑재부(136a)에 신발(20)을 보관한 상태에서 베이스(131)에 형성된 손잡이(134)를 잡고 앞쪽으로 당기면 층상 신발 보관대(130)가 도 8의 위층 선반(10)에 설치된 신발 정리기구(100)에서와 같이 앞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피안내부(132)는 안내부(11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고, 바퀴(150)는 선반(10)의 상면을 따라 구르면서 층상 신발 보관대(130)가 원활하게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층상 신발 보관대(130)를 앞쪽으로 충분히 빼낸 상태에서 층상 신발 보관대(130)에서 손을 떼더라도 안내부(112)가 피안내부(132)를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잡고 있기 때문에 층상 신발 보관대(130)는 도 8의 위층 선반(10)에 설치된 신발 정리기구(100)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2탑재부(136a)에 보관된 신발(20)을 꺼낸 후 다른 신발을 제2탑재부(136a)에 넣거나 비워둔 상태로 다시 층상 신발 보관대(130)를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100)를 이용하는 경우, 한손으로도 쉽게 층상 신발 보관대(130)의 안쪽에 보관된 신발(20)을 꺼내거나 층상 신발 보관대(130)의 안쪽에 신발(20)을 보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정리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때에 따라, 신발 보관대(130)의 경사판부(136)는 축형태의 연결지지부(139)를 통해 베이스(131)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경사판부(136)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경사판부(136)의 경사각 조정을 위해 베이스(131)의 후면부에는 탄성팔부(131a)를 설치하고 이 탄성팔부(131a)에 걸림돌기(131b) 설치하고, 경사판부(136)의 후면부 원통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턱(136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사용자의 구두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경사판부(136)의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은 누구나 간편하게 신발장의 선반에 설치하여 신발을 층상으로 쌓아서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신발 정리기구를 만드는 데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
10: 선반 20: 신발
100: 신발 정리기구 110: 안내부재
112: 안내부 113: 클립체
115: 못 130: 신발 보관대
131: 베이스 131a: 제1탑재부
132: 피안내부 133: 스토퍼
134, 138: 손잡이 135: 바퀴 장착홈
135a: 축홈 136: 경사판부
136a: 제2탑재부 150: 바퀴
152: 바퀴축

Claims (8)

  1. 선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상에 전후로 배치될 수 있는 안내부를 구비하는 안내부재; 및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기 위한 피안내부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선반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면에 제1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1탑재부를 제공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거나 각도 조정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상면에 제2신발을 올려두기 위한 제2탑재부를 제공하는 경사판부 및 상기 경사판부를 상기 베이스에 고정적으로 또는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연결지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층상 신발 보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선반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을 가지는 클립체와 상기 클립체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안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3. 제2항에서, 상기 클립체는 상기 선반의 저면 쪽으로 결합되는 하측 탄성팔, 상기 선반의 상면 쪽으로 결합되는 상측 탄성팔 및 상기 하측 탄성팔과 상기 상측 탄성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여 "ㄷ" 형상의 단면 모양을 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선반에 못을 박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거나 인서트 사출로 못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4. 제1항에서, 상기 안내부는 T형의 홈 또는 돌기이고, 상기 피안내부는 T형의 돌기 또는 홈으로 되어 상기 신발 정리기구가 상기 안내부의 안내를 받으며 앞뒤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5. 제1항에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의 1/2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반부 저면에 상기 선반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전후로 이동될 수 있게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6.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의 후반부 저면에 간격을 두고 바퀴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퀴 장착홈에는 바퀴의 일부가 삽입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7. 제1항에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피안내부가 상기 안내부에서 앞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앞쪽 끝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2탑재부의 안쪽 끝 부분에 제2신발의 뒤축을 받쳐주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8. 제1항에서, 상기 안내부와 상기 피안내부는, 상기 제2탑재부에 보관된 상기 제2신발을 빼내거나 상기 제2탑재부에 상기 제2신발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 신발 보관대를 상기 선반 바깥의 앞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신발 보관대와 상기 제1, 제2신발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이동하더라도 상하로 마주보며 서로 걸려서 상기 신발 보관대가 중력에 의해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울어짐 방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정리기구.
KR1020180119281A 2018-10-05 2018-10-05 신발 정리기구 KR10210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81A KR102109273B1 (ko) 2018-10-05 2018-10-05 신발 정리기구
CN201910387119.1A CN110558740B (zh) 2018-10-05 2019-05-10 鞋子收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281A KR102109273B1 (ko) 2018-10-05 2018-10-05 신발 정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396A true KR20200039396A (ko) 2020-04-16
KR102109273B1 KR102109273B1 (ko) 2020-05-11

Family

ID=6877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281A KR102109273B1 (ko) 2018-10-05 2018-10-05 신발 정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9273B1 (ko)
CN (1) CN11055874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86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4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241U (ja) * 1991-11-07 1993-11-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履物収納庫
JPH07213355A (ja) * 1994-01-31 1995-08-15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の棚装置
KR20010016561A (ko) * 2000-12-11 2001-03-05 이제창 선반이 출입되게 한 서류함
KR20030050041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신발 수납장치
KR20090041257A (ko) * 2007-10-23 2009-04-28 김창현 손발톱용 장신구
CN201388731Y (zh) * 2009-04-21 2010-01-27 李耀强 活动式层架超储鞋柜
KR20100008980U (ko) * 2009-03-04 2010-09-15 전원조 신발용 냄새 및 습기 제거용구
JP2011254950A (ja) * 2010-06-08 2011-12-22 Sumitomo Forestry Co Ltd 履物収納装置
KR101393119B1 (ko) * 2014-01-29 2014-05-08 (주)한성헬스피아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KR101839775B1 (ko) * 2017-09-20 2018-04-27 주식회사 제이콥스 유동형 교량 외장재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2376A1 (de) * 1974-01-18 1975-07-24 Heinrich Walter Schubladenschrank
JPS59120935U (ja) * 1983-02-04 1984-08-15 橋谷 茂 くつ等の履物収納箱
CN1205401A (zh) * 1997-01-14 1999-01-20 凯·斯库德尔尼 供架子上附件用的安装元件
JP3645797B2 (ja) * 2000-07-11 2005-05-11 大建工業株式会社 履物収納箱
ITBO20030013U1 (it) * 2003-02-07 2004-08-08 Pietro Moschini Portapantaloni multiplo estraibile specifico per armadi e guardaroba
DE10339932A1 (de) * 2003-08-29 2005-03-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achboden für ein Kältegerät
US20080078201A1 (en) * 2006-10-03 2008-04-03 Shari Olefson Hanging Storage Container System
US20110174749A1 (en) * 2010-01-19 2011-07-21 Ming-Te Chen Adjustment Shoes Frame
WO2013177749A1 (zh) * 2012-05-29 2013-12-05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用悬挂储物盒
JP3183381U (ja) * 2013-02-26 2013-05-16 株式会社コジット スライド式トレー
JP6340235B2 (ja) * 2014-04-14 2018-06-06 株式会社吉川国工業所 靴収納用具
CN204764251U (zh) * 2015-06-01 2015-11-18 苏州美和吉新材料有限公司 可定位鞋架
CN204950054U (zh) * 2015-09-21 2016-01-13 温州碧戈之都鞋业有限公司 一种立体式鞋子收纳架
CN205728964U (zh) * 2016-05-10 2016-11-30 佛山市南海区晨浩五金有限公司 一种顶装阻尼裤架
CN106052280B (zh) * 2016-05-20 2018-07-3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通用托盘组件及冰箱
CN206714576U (zh) * 2016-12-29 2017-12-08 陈娜琼 一种家居鞋用晾晒架
US10021973B1 (en) * 2017-01-19 2018-07-17 The Stow Company-Holland, Inc. Closet parti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CN108185669A (zh) * 2017-12-25 2018-06-22 新昌县沙溪镇冠庆体育用品厂 一种适应能力好的鞋架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241U (ja) * 1991-11-07 1993-11-22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履物収納庫
JPH07213355A (ja) * 1994-01-31 1995-08-15 Sanyo Electric Co Ltd 貯蔵庫の棚装置
KR20010016561A (ko) * 2000-12-11 2001-03-05 이제창 선반이 출입되게 한 서류함
KR20030050041A (ko) * 2001-12-18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신발 수납장치
KR20090041257A (ko) * 2007-10-23 2009-04-28 김창현 손발톱용 장신구
KR20100008980U (ko) * 2009-03-04 2010-09-15 전원조 신발용 냄새 및 습기 제거용구
CN201388731Y (zh) * 2009-04-21 2010-01-27 李耀强 活动式层架超储鞋柜
JP2011254950A (ja) * 2010-06-08 2011-12-22 Sumitomo Forestry Co Ltd 履物収納装置
KR101393119B1 (ko) * 2014-01-29 2014-05-08 (주)한성헬스피아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KR101839775B1 (ko) * 2017-09-20 2018-04-27 주식회사 제이콥스 유동형 교량 외장재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86A1 (ko) * 2021-12-07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WO202311334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발 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58740A (zh) 2019-12-13
KR102109273B1 (ko) 2020-05-11
CN110558740B (zh) 202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5148A (en) Convertible footboard for a patient support
US6467860B2 (en) Drawer glide system
US5694468A (en) Cradle for radiotelephone
KR100626175B1 (ko) 화장품 및 화장용구 보관 케이스
KR102109273B1 (ko) 신발 정리기구
US5497878A (en) Work surface extensions for tool storage units
KR101027077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US10531736B1 (en) Bookshelf for easy withdrawal of books
KR101987581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040201338A1 (en) Self-opening waste bin manager
KR102183691B1 (ko) 신발 정리기구
KR101532386B1 (ko)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한 바퀴를 구비한 가방
JP3463646B2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JP2655581B2 (ja) 引出し装置
JP2011055889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321921Y1 (ko) 서랍형 수납함
CN213786700U (zh) 一种可调式晾鞋架
CN212290984U (zh) 体检试管用收纳盒
CN115468368B (zh) 抽屉组件及具有该抽屉组件的冰箱
JPH0610839Y2 (ja) スライド棚の構造
JP2000249125A (ja) 部材の取付構造
JP4009995B2 (ja) サービストレーを備えた引出し構造
JP2727493B2 (ja) 家具の天板スライド装置
JPH11225830A (ja) キーボードの引き出し装置
JPS63260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