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772A -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 Google Patents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772A
KR20200038772A KR1020180118404A KR20180118404A KR20200038772A KR 20200038772 A KR20200038772 A KR 20200038772A KR 1020180118404 A KR1020180118404 A KR 1020180118404A KR 20180118404 A KR20180118404 A KR 20180118404A KR 20200038772 A KR20200038772 A KR 2020003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g form
form structure
heat
insulation
insulat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8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613B1 (ko
Inventor
김성진
최석
정병래
남경용
김성덕
정병동
김학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김성진
(주)세명씨메트리
주식회사 유탑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김성진, (주)세명씨메트리, 주식회사 유탑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18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100), 상기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를 포함하는 갱폼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배면과 상기 수직재(200) 및 상기 수평재(300)에 도포되는 단열도료(C);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the improved gang form structure with heat-insulating paint}
본 발명은 갱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열성 증대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단열재 부착 또는 우레탄 뿜칠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모든 부재에 단열도료를 도포하므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빈틈이 없어 콘크리트 타설 후 수화열 손실을 최소화한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벽체 형성을 위해서는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소정시간 양생을 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수화열에 의해 경화되며, 외기 온도가 상기 경화과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중(寒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수화반응이 지연되어 콘크리트 경화를 저해하고 내부 수분이 동결됨으로 인해 동해가 발생하여 소기의 강도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서중(暑中)에는 수분이 급격하게 증발하여 적정 습윤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수화열과 외기 온도로 인해 콘크리트 온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균열현상 등의 내부 결함을 유발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처리가 안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갱폼 구조는 거푸집패널(100), 상기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갱폼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거푸집이다. 콘크리트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적정 온도의 유지가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갱폼 구조는 단지 철재로 이루어진 부재가 모두 외기에 노출되어 계절 및 온도변화에 따라 열교(heat bridge) 현상이 많이 발생하여 적정한 콘크리트 양생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웠다.
도 2는 종래의 단열재를 부착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고,
도 3은 종래의 우레탄 뿜칠을 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갱폼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와 같이 경질우레탄보드 등의 단열재(A)를 건식공법으로 부착하거나 도 3과 같이 우레탄 뿜칠을 습식공법으로 포설하는 공법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도 2와 같은 단열재 부착공법은 거푸집패널(100)의 배면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에는 효과가 없어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며 무엇보다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단열재(A)를 부착하고 박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갱폼의 전용성을 떨어뜨리는 단점 등이 있다.
또한 아래 그림과 같이 코너 부위는 볼트체결 간섭으로 인해 단열재 일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므로 단열재의 두께를 유지하지 못하여 단열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도 3과 같은 우레탄 뿜칠 공법 역시 상술한 기존의 단열재 부착공법과 마찬가지로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에는 도포되지 않아 단열효과가 떨어지며, 갱폼의 전용을 위하여 다시 뿜칠된 우레탄을 박리시키는 공종을 추가하므로 시공성과 갱폼의 전용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으며, 도포 두께가 일정하지 않아 단열효과를 장담할 수 없고 화재에 취약한 단점 역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갱폼 구조 자체의 형상과 중량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현장에서의 단열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단열성 증대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단열재 부착 또는 우레탄 뿜칠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모든 부재에 단열도료를 도포하므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빈틈이 없어 열교(heat bridge) 현상을 최소화한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4293호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2013년01월14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2061호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2012년11월09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갱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열성 증대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단열재 부착 또는 우레탄 뿜칠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모든 부재에 단열도료를 도포하므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빈틈이 없어 열교(heat bridge) 현상을 최소화한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패널(100), 상기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를 포함하는 갱폼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배면과 상기 수직재(200) 및 상기 수평재(300)에 도포되는 단열도료(C);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갱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열성 증대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하는 단열재 부착 또는 우레탄 뿜칠 등의 공정을 생략하고 모든 부재에 단열도료를 도포하므로써 제작이 간편하고 빈틈이 없어 열교(heat bridge) 현상을 최소화한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단열처리가 안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단열재를 부착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우레탄 뿜칠을 한 갱폼 구조를 촬영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도료에 기포가 첨가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는,
거푸집패널(100), 상기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를 포함하는 갱폼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배면과 상기 수직재(200) 및 상기 수평재(300)에 도포되는 단열도료(C);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도료(C)를 포설하기 전에,
프라이머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도료에 기포가 첨가된 개념도이다.
상기 프라이머는 AE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라이머는 기포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도료(C)는 갱폼의 제작과정에서 단열페인트 등의 습식공법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그 자체의 반사성능으로 인하여 태양광선 중의 열선을 반사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의 열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어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술하는 기포로 인하여 단열층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외부의 차갑거나 뜨거운 공기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료의 특성상 우수한 부착력 및 내후성, 내약품성을 지녔으며,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외부의 열(냉기)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과 내부의 열이 밖으로 나가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여 우수한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단열처리가 안된 갱폼 구조 제작공정은,
① 철판가공 → ② 조립(용접) → ③ 도장 → ④ 양생 → ⑤ 완료
의 과정을 거친다.
상기 ③ 도장은 단순히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단열도료의 포설과는 무관하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단열재를 부착한 갱폼 구조 제작공정은,
① 철판가공 → ② 조립(용접) → ③ 도장 → ④ 양생 → ⑤ 접착제도포 → ⑥ 단열재 부착 → ⑦ 양생 → ⑧ 완료
의 과정을 거친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우레탄 뿜칠을 한 갱폼 구조 제작공정은,
① 철판가공 → ② 조립(용접) → ③ 도장 → ④ 양생 → ⑤ 우레탄 도포 → ⑥ 양생 → ⑦ 완료
의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의 제작공정은,
① 철판가공 → ② 조립(용접) → ③ 도장(단열도료) → ④ 양생 → ⑤ 완료
의 과정을 거치므로,
상술한 도 1의 종래의 단열처리가 안된 갱폼 구조 제작공정과 같은 순서와 시간이 소요되는 과정만으로 단열성을 확보하는 제작의 편리성이 인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은 단열재 부착공법은 거푸집패널(100)의 배면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에는 효과가 없어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며 무엇보다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단열재(A)를 부착하고 박리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시공이 어렵고 갱폼의 전용성을 떨어뜨리는 단점 등이 있으며,
도 3과 같은 우레탄 뿜칠 공법 역시 상술한 기존의 단열재 부착공법과 마찬가지로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에는 도포되지 않아 단열효과가 떨어지며, 갱폼의 전용을 위하여 다시 뿜칠된 우레탄을 박리시키는 공종을 추가하므로 시공성과 갱폼의 전용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도료(C) 자체가 갱폼 전체의 모양과 하중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 시공성이 증대되며,
무엇보다고 거푸집 해체공정에서 단열재 또는 우레탄 뿜칠의 박리 공정이 생략되어 해체공정의 시공성이 증대된다.
또한 기존 공법은 거푸집패널(100),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 상호간의 결합부위는 단열시공이 되지 않고 빈틈이 발생하여 단열성능이 저하되었으나,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상호간의 결합부위가 빈틈없이 단열도료(C)로 도포되어 단열성능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단열 갱폼 제작 및 설치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여주고 외부 단열재 파손으로부터 안전하다.
그리고 갱폼 외측에 단열재가 부착되지 않아 갱폼 조립에 따른 폼타이, 볼트 등의 체결부재 체결 시 기능공의 불편을 덜어 시공성이 증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갱폼 시공 완료 후 단열재 제거를 위한 공정이 없으며,
기존 갱폼과 시공방법 동일하여 미숙련된 기능공도 바로 적응할 수 있다. 오히려 단열재 시공 공정이 생략되어 시공성이 증대된다.
더불어 기존의 단열재 자재비, 단열재 부착 시공비, 단열재 박리 시공비 등이 절감되어 경제적이다.
상기 프라이머는 단열도료 도포 전 부재의 바탕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접착성능과 내식성능을 증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프라이머에는 통상적인 혼화제인 AE제 또는 고성능 AE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상기 프라이머에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공극인 기포가 함유되게 하여 부재와 단열도료 상호간의 부착성이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 기포로 인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므로 단열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A: 단열재
B: 우레탄 뿜칠
C: 단열도료
100: 거푸집패널
200: 수직재
300: 수평재

Claims (5)

  1. 거푸집패널(100), 상기 거푸집패널(100) 배면에서 지지하는 수직재(200) 및 수평재(300)를 포함하는 갱폼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패널(100)의 배면과 상기 수직재(200) 및 상기 수평재(300)에 도포되는 단열도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단열도료를 포설하기 전에,
    프라이머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AE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4. 제2항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기포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5. 제3항에서,
    상기 프라이머는 기포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KR1020180118404A 2018-10-04 2018-10-04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KR10214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04A KR102145613B1 (ko) 2018-10-04 2018-10-04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8404A KR102145613B1 (ko) 2018-10-04 2018-10-04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772A true KR20200038772A (ko) 2020-04-14
KR102145613B1 KR102145613B1 (ko) 2020-08-19

Family

ID=7029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8404A KR102145613B1 (ko) 2018-10-04 2018-10-04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1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30A (ja) * 1992-08-05 1994-03-01 Chiyuugai Shoko Kk 通気性に富む表層部を選択的に配するコンクリートおよび/またはモルタル表層の処理方法
JP2005146811A (ja) * 2003-11-13 2005-06-09 Satoshi Miyauchi 建築用熱遮断性パネ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外壁構造部材または屋根部材
KR20110033408A (ko) * 2009-09-25 2011-03-31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KR20130036860A (ko) * 2011-10-05 2013-04-15 (주)알엔씨 수성 차열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7930A (ja) * 1992-08-05 1994-03-01 Chiyuugai Shoko Kk 通気性に富む表層部を選択的に配するコンクリートおよび/またはモルタル表層の処理方法
JP2005146811A (ja) * 2003-11-13 2005-06-09 Satoshi Miyauchi 建築用熱遮断性パネ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外壁構造部材または屋根部材
KR20110033408A (ko) * 2009-09-25 2011-03-31 강인선 외부 단열 갱폼,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건축물의 콘크리트 외부벽체
KR20130036860A (ko) * 2011-10-05 2013-04-15 (주)알엔씨 수성 차열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101202061B1 (ko) 2012-05-24 2012-11-15 대건기술 주식회사 콘크리트 양생용 단열갱폼
KR101224293B1 (ko) 2012-05-25 2013-01-21 대건기술 주식회사 단열갱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외부벽체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613B1 (ko)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67677A (zh) 一种gat外模板现浇混凝土复合保温系统及其施工工艺
CN103835505A (zh) 外墙复合保温板施工方法
Won et al. Basic applicability of an insulated gang form for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in cold weather
JP2009299296A (ja) 耐火被覆構造並びにalcパネル用取付金具及びalcパネルの固定方法
CN110158852A (zh) 一种装配式建筑用复合夹芯保温装饰外墙板及制备方法
KR100284894B1 (ko) 경량단열패널을 이용한 온돌바닥구조
KR20200038772A (ko) 단열도료를 사용한 개량형 갱폼 구조
KR1011115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FR3026759A1 (fr) Element prefabrique en beton ou mortier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N104831857A (zh) 一种预制加气混凝土板或块
JPH0893077A (ja) 排水脱気機構付き鉄骨耐火被覆積層構造
KR100717157B1 (ko) 마감판부착 트러스 데크
CN210049426U (zh) 一种建筑保温墙体
CN220014063U (zh) 用于托架成型的模块化保温装置及包含其的节能构造
JP2001121527A (ja) 複合パネルおよびその製法
CN110700481A (zh) 免模板免抹灰的结构保温装饰复合一体板及其加工工艺
CN220014066U (zh) 设有固定外层加强网结构的防火保温装置及其节能墙体
KR20160027360A (ko) 외단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09742240U (zh) 一种带防火隔离层现浇混凝土永久性复合保温外模板
CN220318936U (zh) 双面免模构件及包含其的节能墙体构造
CN215670191U (zh) 一种装配式复合保温系统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JPS62133231A (ja) 建物外壁の外断熱工法
CN217580640U (zh) 免拆保温模板构造及包含其的节能墙体
CN217782669U (zh) 一种保温一体板的建筑复合墙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