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535A - 폴더블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535A
KR20200038535A KR1020207008083A KR20207008083A KR20200038535A KR 20200038535 A KR20200038535 A KR 20200038535A KR 1020207008083 A KR1020207008083 A KR 1020207008083A KR 20207008083 A KR20207008083 A KR 20207008083A KR 20200038535 A KR20200038535 A KR 2020003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bile device
foldable mobile
conductive
contac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914B1 (ko
Inventor
휘시앙 리우
웨후이 오우양
위옌 공
펑 슝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가 개시되어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는 장치(100)의 접힌 상태를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폴딩 축 주위에서 접을 수 있는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을 가지는 하우징; 하우징에 작동적으로 조립된 안테나(190); 및 제1 부분(120)의 전면(121) 및 제2 부분(130)의 전면(131)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제1 부분(120)은 제1 부분(120)의 전면(121)과 반대인 제1 부분(120)의 후면에 구성된 제1 플레이트(123), 제1 플레이트(123)에 한정된 접촉 구조체를 가진다. 제2 부분(130)은 제2 부분(130)의 전면에 반대인 제2 부분(130)의 후면에 구성된 제2 플레이트(133)를 가진다. 모바일 장치(100)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는 접촉 구조체를 통해 서로 전도성 결합된다.

Description

폴더블 모바일 장치
본 출원은 2017년 8월 22일에 후이샹 리우 등에 의해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인 미국 가특허출원 번호 62/548,780 및 2017년 10월 26일에 후이샹 리우 등에 의해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인 미국 비가특허 출원 번호 15/794,87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두 문헌은 본 명세서에 그 전문이 참고로 포함된다.
접을 수 있는 이동 전화는 접히거나/펼칠 수 있는 섀시 또는 장치 하우징을 통합할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이동 전화는 프로세서, 센서 및 기타 일반적인 스마트 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을 수 있는 이동 전화는 안테나, 카메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스피커 모듈 및 조명 센서, 마이크, CPU 및 GPU, 진동기 및 기타 필요한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이동 전화는 이동 전화가 접히는지 또는 펼쳐지는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전화를 펼치면 디스플레이 영역이 증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힌 이동 전화는 작은 폼 팩터로 휴대하기에 편리하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되며,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접힘 상태를 허용하기 위해 폴딩 축 주위에서 접을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작동적으로 조립된 안테나; 및 상기 제1 부분의 전면 및 상기 제2 부분의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1 부분의 전면과 반대되는 제1 부분의 후면에 구성된 제1 플레이트 및 제1 접촉 구조체를 가진다. 제2 부분은 제2 부분의 전면과 반대인 제2 부분의 후면에 구성된 제2 플레이트를 가진다.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제1 접촉 구조체를 통해 서로 전도성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접촉 구조체가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으로부터 안테나를 실질적으로 분리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접촉 구조체가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본 관점의 다른 구현은 디스플레이가 제1 부분의 전면 상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고 제2 부분의 전면 상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상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디스플레이가 물리적으로 분리된 2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본 관점의 다른 구현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물리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접촉 구조체가 패턴에 따라 제1 플레이트 위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핀을 포함하고, 2개의 인접한 전도성 핀 사이의 거리가 한계점 분리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한계점 분리가 15mm 미만인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접촉 구조체가 하나 이상의 전도성 바를 포함한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이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층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이고, 제2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이 실질적으로 제2 층의 비전도성 재료에 의해 덮인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를 제2 플레이트와 전도성 결합시키기 위해 제2 플레이트의 측면이 제1 접촉 구조체와 접촉하는 전도성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2 플레이트의 제2 접촉 구조체 및 전도성 영역이 제2 접촉 구조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제1 부분의 후면을 덮고 제2 플레이트가 실질적으로 제2 부분의 후면을 덮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각각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커플링을 위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자기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본 관점의 다른 구현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작동할 때 제1 접촉 구조체가 실질적으로 제1 부분 내부에 있음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우징, 안테나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제공된다. 하우징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접힌 상태를 허용하기 위해 하우징의 폴딩 축 주위에서 접을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가지며, 여기서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제1 부분의 후면에 구성되고,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층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이며,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제2 부분의 후면에 구성되고,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제2 비전도성 재료의 제2 층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여 있다. 안테나는 하우징에 작동적으로 조립된다.
디스플레이는 제1 부분의 전면 및 제2 부분의 전면에 장착되고, 제1 부분의 전면은 제1 부분의 후면과 반대쪽에 있고, 제2 부분의 전면은 제2 부분의 후면과 반대쪽에 있고,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제1 층과 제2 층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안테나의 성능을 위해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이격 거리가 있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1 층의 두께 값과 제2 층의 두께 값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이격 거리가 0.3 mm 이하인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이격 거리가 0.2 mm 이하인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이격 거리가 0.1 mm 이하인 것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임의의 선행 관점에서, 관점의 다른 구현은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가 접힌 상태로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제공하며, 여기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각각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을 포함하고,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은 접힌 상태에서 전도성 연결을 위해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자기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보다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 도면 및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다음의 간단한 설명을 참조하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금속 스프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포고 핀(pogo pin)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장치를 위한 예시적인 금속 핀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접힘성을 허용하기 위해 메모리 금속의 탄성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예시적인 효과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4 illustrates a rear view of the foldable mobile device when it is unfol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무화과.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예시적인 효과를 도시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구현이 아래에 제공되지만, 개시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존재하는지에 관계없이 임의의 수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여, 아래에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그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별 또는 분리된 것으로 기술되고 예시된 기술, 시스템, 서브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간에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논의된 다른 항목들은 전기, 기계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중간 구성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 또는 통신될 수 있다. 변경, 대체 및 변경의 다른 예는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부분은 제1 부분의 후면에 구성되고, 제2 플레이트는 제2 부분의 후면에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제1 부분의 후면을 덮고 제2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제2 부분의 후면을 덮는다. 또한, 제1 접촉 구조체가 제1 플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및 제1 접촉 구조체는 모두 전도성이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제1 접촉 구조체를 통해 서로 전도성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촉 구조체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 있더라도 돌출부를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촉 구조체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제1 부분으로 들어간다. 제1 접촉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핀 또는 전도성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제1 접촉 구조체를 통해 서로 전도성 결합된다(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단락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비전도성(또는 절연) 층으로 덮여 있으며, 여기서 비전도성 층은 외부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플레이트를 방지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 각각은 플레이트의(예를 들어, 일면 상의 또는 후면 상의) 일부를 덮거나 또는 상당히 덮는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다. 비전도성 층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전도성 결합을 방지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제1 접촉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 상에 정의되고, 제1 접촉 구조체의 표면 및 제1 플레이트가 비전도성 층에 의해 덮이더라도 상관없이 제1 접촉 구조체와 제1 플레이트 사이에 전기가 흐를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의 접촉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지 않으며, 제1 접촉 구조체의 접촉점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지 않으며, 여기서 접촉점은 접촉 구조체와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접촉 구조체와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두 번째 플레이트.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접촉 구조체는 접촉점 및 접촉 영역을 통해 제2 플레이트와 전도성 접촉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를 전도성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에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electromagnetic lossy mode resonance)(예를 들어, 폴더블 장치의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정 종류의 전자기 공명 현상)은 두 플레이트가 서로 근접하지는 않지만 전도성 결합될 때 폴더블 장치의 두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는 서로 전도성 결합되기 때문에,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이 없거나 거의 없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장치의 안테나 성능에 대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에 의한 악영향이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접촉 구조체를 갖지 않지만, 2개의 플레이트 각각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두 비전도성 층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진다.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모바일 장치에서 안테나의 성능을 위해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이격 거리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예에 따르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혀 있을 때 (또는 접힌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의 정면도 및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 있을 때 (또는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는 모바일 폰, 모바일 태블릿 및 임의의 모바일 폴더블 전자 장치 일 수 있다. 장치(100)는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은 실질적으로 유사한 크기, 형상 및 두께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은 상이한 크기, 형상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물리적 특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120, 130)은 하우징의 폴딩 축(140) 주위에서 접힐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120, 130)은 폴딩 축(140)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폴딩 모드 또는 언폴딩 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장치(100)는 하우징에 조립된 안테나(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0)에 조립되거나, 제2 부분(130)(도시되지 않음)에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는 제1 부분(120)에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예를 들어, 구성 또는 위치할 수 있고), 및 제2 부분(130)(도시되지 않음)에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안테나는 제1 부분(120)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조립된다. 안테나는 제2 부분(130)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제1 부분(120)의 전면(121) 및 제2 부분(130)의 전면(131)에 장착된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50)는 2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적절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기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분리된 디스플레이 스크린 각각은 플렉서블이거나 논-블렉서블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의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2개 이상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서로 협력하여 하나의 사진 또는 하나의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및 LED를 기초로 할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부터 디스플레이를 물리적으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에 따라 언폴딩 모드 또는 상태에서 작동하는 장치(100)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제1 부분(120)은 제1 부분(120)의 배면 또는 후면(122)에 구성된 제1 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3)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부분(120)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0)의 전면(121)(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은 제1 부분(120)의 후면(122)과 대향한다. 제1 부분(120)의 전면(121)과 제1 부분(120)의 후면(122)은 장치(100)가 폴딩 모드에서 작동할 때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제2 부분(130)의 후면(132)에 구성된 제2 플레이트(133)를 포함한다. 제2 플레이트(133)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으나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전면(131) 및 후면(132)은 제2 부분(130)의 2개의 대향 측면을 형성한다. 전면(131)은 제2 부분(130)의 후면(132)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 및 제2 플레이트(133)의 전면 중 하나 또는 각각은 비전도성 층으로 실질적으로 덮여 있다. 예를 들어, 비전도성 층(124)은 제1 플레이트(123)를 덮을 수 있고, 마찬가지로 비전도성 층(134)은 제2 플레이트(133)를 덮을 수 있다.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을 덮는 비전도성 층은 물리적 손상에 의해 플레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산화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가 접혀 있거나 폴딩 모드에 있을 때, 비전도성 층(124)과 비전도성 층(134)은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고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과 제2 플레이트(133)의 외부 표면은 장치(100)가 폴딩 모드에 있을 때 서로를 실질적으로 덮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 사이에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에 따른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효과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셀룰러 주파수 대역(700 MHz 내지 3.8GHz)에는 최대 15개의 손실 모드가 존재한다.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에서 안테나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안테나 방사 효율을 좋게하려면 부작용을 완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실 모드들로부터 안테나를 분리하기 위해, 접촉 구조체가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접촉 구조체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가 접힐 때, 접촉 구조체는 제1 플레이트(123)를 제2 플레이트(133)와 전도성 결합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3)는 제2 층(134)으로 덮이지 않은 전도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3)의 전도성 영역 및 제1 플레이트(123)의 접촉 구조체는 접촉 구조체의 각각의 핀 또는 바가 하나의 전도성 영역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접촉 구조체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전도성 영역과 물리적 및 전도성 접촉할 수 있다. 접촉 구조체와 전도성 영역의 전도성 접촉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100)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가 서로 전도성 결합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의 전압 값 또는 레벨 사이의 차이는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을 완화시키기 위해 실질적으로 0과 거의 동일하도록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테나에 대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에 의한 악영향이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구조체가 제2 플레이트(133) 상에 정의된다. 제2 접촉 구조체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구조체는 제2 플레이트(133)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접촉 구조체는 제2 층(134)으로 덮이지 않은 전도성 영역에 정의된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접촉 구조체와 제2 접촉 구조체는 서로 접촉하므로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는 서로 전도성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2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60)은 제1 플레이트(123) 및 제2 플레이트(133) 상에 제1 플레이트(123) 상의 제1 접촉 구조체 및 제2 플레이트(133) 상의 제2 접촉 구조체로서 각각 정의된다. 복수의 핀(160)은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 사이에 존재하는 일부 손실 모드 공진으로부터 안테나(도 5에 도시되지 않음)를 상당히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하거나 격리시키도록 특정 패턴 또는 설계로 배열될 수 있으므로 손실 모드 공진이 안테나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없다. 예를 들어, 핀(160)의 배열은 복수의 라인, 원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형태 또는 패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라인은 제1 플레이트(123) 상에 균일하게 배열된다. 인접하는 두 라인 사이의 거리는 스텝 또는 한계점 분리라고 할 수 있다. 단계는 15mm, 12mm, 10mm 또는 8mm 미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플레이트(123) 상의 두 개의 인접하는 핀 사이의 한계점 분리(거리)는 15mm, 12mm, 10mm 또는 8mm 미만일 수 있다. 더 많은 핀 라인이 있는 경우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으로부터 안테나를 분리하는 효과가 더 좋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60)은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 및 제2 플레이트(133)의 외부 표면을 덮고 비전도성 층은 복수의 핀(160)이 정의된 영역을 제외한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 및 제2 플레이트(133)의 외부 표면을 덮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인 내의 일부 인접 핀(160)에 대해, 임의의 2개의 인접 핀 사이의 거리는 15mm, 12mm, 10mm 또는 8mm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라인에서 2개의 인접하는 핀(160) 사이의 평균 거리는 15mm, 12mm, 10mm 또는 8mm 미만이다. 도 5에서 핀(160)의 라인이 실질적으로 직선이지만, 핀(160)의 라인은 일부 실시예에서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스프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 핀(pogo pin)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핀을 도시한다. 핀(1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1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16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무화과.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메모리 금속의 복원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핀(160)은 메모리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이라고도 하는 메모리 금속은 그 원래 형상을 "기억하고" 변형을 제거한 후 또는 가열될 때 그 이전 변형 형상(원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는 합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인과 관련된 일부 메모리 금속에 대해, 압력이 메모리 금속에 로딩될 때, 메모리 금속의 형상이 변한다. 압력이 언로딩되면(unloaded) 메모리 금속의 모양이 그 원래 모양으로 돌아온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커플링을 위해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를 자기적으로 함께 위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자석 블록(180) 및 제2 자석 블록(180)을 각각 포함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예시적인 효과를 도시한다. 도 3(완화 없음)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라인(210)에 의해 도시되고, 도 5 및/또는 도 10(완화 있음)에 의해 도시된 모바일 장치의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라인(240)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 및/또는 10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급격히 완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폴딩 축(140)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커플링을 위해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프링 및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딩 축(140)은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가 특정 각도로 설정되어 있을 때 디텐트 기능(detent function)(예를 들어, 휠(wheel), 액슬(axle) 또는 스핀들(spindle) 등의 회전을 기계적으로 저항하거나 정지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패시브 캠(passive cam) 및 액티브 캠(active cam)을 제공하므로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결합을 위해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접을 수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2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60)은 점선 사각형(125) 내부 영역과 같은 제1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의 일부 및 점선 사각형(135) 내부 영역과 같은 제2 플레이트(133)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덮는다. 제1 플레이트(123) 상의 핀들은 접촉 구조체일 수 있고 제2 플레이트(133) 상의 핀들은 다른 접촉 구조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점선 사각형(125) 내부 영역 및 점선 사각형(135) 내부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선 사각형(125) 외부 영역 및 점선 사각형(135) 외부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제1 플레이트(123)의 핀과 제2 플레이트(133)의 핀은 서로 연결되어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도 13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2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핀(160)은 점선 사각형(125) 외부 영역 및 점선 사각형(135) 외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덮는다. 점선 사각형(125) 외부의 영역 상의 핀들은 접촉 구조체에 대응할 수 있고 점선 사각형(135) 외부의 영역 상의 핀들은 다른 접촉 구조체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점선 사각형(125) 내부의 영역 및 점선 사각형(135) 내부의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점선 사각형(125) 외부 영역 및 점선 사각형(135) 외부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혀 있을 때, 제1 플레이트(123)의 핀과 제2 플레이트(133)의 핀은 서로 연결되어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질 때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2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170)는 제1 플레이트(123) 및 제2 플레이트(133) 상에 2개의 접촉 구조체로 각각 정의된다. 바(170)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를 전도성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하나 이상의 바(170)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는 제1 플레이트(123) 및 제2 플레이트(133) 모두에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바는 제1 플레이트(123) 또는 제2 플레이트(133)에만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가 서로 전도성 결합되도록 전도성 영역이 다른 플레이트 상에 바와 전도성 접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바(170)는 직사각형으로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바(170)는 원, 타원형, 삼각형, 오각형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3) 및 제2 플레이트(133)는 비전도성 층으로 실질적으로 덮여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3)의 일부 및 제2 플레이트(133)의 일부는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는 반면, 제1 플레이트(123)의 다른 일부 및 제2 플레이트(133)의 다른 부분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이지 않는다. 일례에서, 직사각형 형상 내부의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고 직사각형 형상 외부의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지 않다. 다른 예에서, 직사각형 형상 외부의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고 직사각형 형상 내부의 영역은 비전도성 층으로 덮여 있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의 2개의 접촉 구조체(예를 들어, 핀(160) 또는 바(170))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모바일 장치의 2개의 부분(예를 들어, 120, 130) 내에 각각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2개의 접촉 구조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부분 밖으로 나와 서로 접촉하여, 제1 부분(120)과 제2 부분(130)은 서로 전도성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분(130)과 같은 한 부분은 접촉 구조체를 갖지 않는다. 그렇지만, 부분(130)과 같은 부분은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부분(120)과 같은 다른 부분을 전도성 결합하는 접촉 구조체와 전도성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접촉 영역을 가진다. 따라서,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두 부분은 여전히 서로 전도성 결합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1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그 정면도는 도 2에 도시된 정면도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모바일 폰, 모바일 태블릿 및 임의의 모바일 폴더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을 가지는 하우징을 가진다. 제1 및 제2 부분(120, 130)은 하우징의 폴딩 축(140) 주위에서 접힐 수 있다. 폴딩 축(140) 주위의 회전에 기초하여,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하우징에 조립된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제1 부분(120) 또는 제2 부분(130)에 조립될 수 있고, 제1 부분(120)에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2 부분(130)에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제1 부분(120)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또는 제2 부분(130)의 하나 이상의 에지를 따라 조립된다. 또한,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제1 부분(120)의 전면(121) 및 제2 부분(130)의 전면(131)에 장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150)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적절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더블 모바일 장치는 플렉서블 또는 인플렉서블의 2개의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가지며, 이 2개의 개별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각각 전면(121) 및 전면(131)에 장착된다.
제1 부분(120)은 제1 부분(120)의 후면(122) 상에 구성된 제1 플레이트(123)를 가지며, 여기서 제1 플레이트(123)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0)의 전면(121)은 제1 부분(120)의 후면(12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폴더블 모바일 장치(200)는 제2 부분(130)의 후면(132) 상에 구성된 제2 플레이트(133)를 가지며, 여기서 제2 플레이트(133)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면(131)은 제2 부분(130)의 후면(13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플레이트(123)의 전면 및 제2 플레이트(133)의 전면 중 하나 또는 각각은 비전도성 층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덮여 있으며, 여기서 제1 플레이트(123)를 덮는 층은 제1 비전도성 층(제1 층)(124)이고 제2 플레이트(133)를 덮는 층은 제2 비전도성 층(제2 층)(134)이다.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을 덮는 비전도성 층은 물리적 손상에 의해 플레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산화물 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즉 모바일 장치가 펼쳐 있을 때, 제1 층(124) 및 제2 층(134)은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 사이에 개재된다. 제1 플레이트(123)와 제2 플레이트(133) 사이의 이격 거리는 안테나의 성능을 위해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두 비전도성 층은 서로 접촉하고 이격 거리는 제1 층(124)의 두께와 제2 층(134)의 두께의 값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는 0.1 mm 이하 또는 다른 적용 가능한 치수 구성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는 0.2 mm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격 거리는 0.3 mm 이하이다. 0.1 mm, 0.2 mm 또는 0.3 mm 미만과 같이 이격 거리가 작을 때, 제1 플레이트는 제2 플레이트에 너무 가까워서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이 완화된다. 결과적으로, 폴더블 모바일 장치에서 안테나의 성능에 대한 손실 모드 공진에 의해 야기되는 악영향이 제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20) 및 제2 부분(130)은 각각 제1 자석 블록(180) 및 제2 자석 블록(180)을 포함하고, 제1 자석 블록(180) 및 제2 자석 블록(180)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결합을 위해 제1 플레이트(120) 및 제2 플레이트(130)를 자기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예시적인 효과를 도시한다. 완화 없는 모바일 장치에서 측정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230)으로 도시되어 있고, 완화를 가지는 모바일 장치에서 측정된 완화된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240)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에 도시된 모바일 장치의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는 급격히 완화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번호를 가지는 부분들 또는 요소들은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구현이 아래에 제공되지만, 개시된 시스템들 및/또는 방법들은 현재 알려져 있거나 존재하는지에 관계없이 임의의 수의 기술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처음부터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예시적인 설계 및 구현을 포함하여, 아래에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 도면 및 기술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 내에서 그 등가물의 전체 범위와 함께 수정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개별 또는 분리된 것으로 기술되고 예시된 기술, 시스템, 서브 시스템 및 방법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시스템, 모듈, 기술 또는 방법과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서로 결합되거나 직접 결합 또는 서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거나 논의된 다른 매핑들은 전기적으로, 기계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중간 구성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통신될 수 있다. 변경, 대체 및 변경의 다른 예는 당업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된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2)

  1. 폴더블 모바일 장치로서,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접힘 상태를 허용하기 위해 폴딩 축 주위에서 접을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작동적으로 조립된 안테나; 및
    상기 제1 부분의 전면 및 상기 제2 부분의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전면과 반대인 상기 제1 부분의 후면 및 제1 접촉 구조체에 구성된 제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전면과 반대인 제2 부분의 후면에 구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를 통해 서로 전도성 결합되어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잠재적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으로부터 상기 안테나를 실질적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는 상기 모바일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부분의 전면에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부분의 전면에 제2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영역 모두를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상에 제공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개의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외부로부터 물리적으로 볼 수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는 패턴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 위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도성 핀을 포함하고, 두 개의 인접한 전도성 핀 사이의 거리는 한계점 분리(threshold separation)에 의해 제한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점 분리는 15mm보다 작은, 폴더블 모바일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전도성 바를 포함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층으로 덮여 있고,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은 실질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2 층으로 덮여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측면은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플레이트를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전도성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접촉 구조체와 접촉하는 전도성 영역으로 구성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제2 접촉 구조체가 제공되고, 상기 전도성 영역은 상기 제2 접촉 구조체에 의해 제공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부분의 후면을 실질적으로 덮고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상기 제2 부분의 후면을 실질적으로 덮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각각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블록 및 상기 제2 자석 블록은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전도성 커플링을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자기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1 접촉 구조체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부분 내부에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7. 폴더블 모바일 장치로서,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의 접힘 상태를 허용하기 위해 폴딩 축 주위에서 접을 수 있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가지는 하우징 - 상기 제1 부분의 후면에 제1 전도성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1 전도성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1 층에 의해 덮이며, 상기 제2 부분의 후면에 제2 전도성 플레이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2 전도성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비전도성 재료의 제2 층에 의해 덮임 - ;
    상기 하우징에 작동적으로 조립된 안테나; 및
    상기 제1 부분의 전면 및 상기 제2 부분의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의 전면은 상기 제1 부분의 후면과 반대이고, 상기 제2 부분의 전면은 상기 제2 부분의 후면과 반대이며, 상기 폴더블 모바일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안테나의 성능을 위해 전자기 손실 모드 공진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이격 거리(separation distance)가 있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층의 두께 값과 상기 제2 층의 두께 값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폴더블 모바일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0.3mm 이하인, 폴더블 모바일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0.2mm 이하인, 폴더블 모바일 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거리는 0.1mm 이하인, 폴더블 모바일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는 접힌 상태에서 전도성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각각 제1 자석 블록 및 제2 자석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 블록 및 상기 제2 자석 블록은 접힌 상태에서 전도성 연결을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자기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모바일 장치.
KR1020207008083A 2017-08-22 2018-08-22 폴더블 모바일 장치 KR102292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8780P 2017-08-22 2017-08-22
US62/548,780 2017-08-22
US15/794,874 2017-10-26
US15/794,874 US10230826B1 (en) 2017-08-22 2017-10-26 Foldable mobile device
PCT/CN2018/101628 WO2019037730A1 (en) 2017-08-22 2018-08-22 FOLDABLE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535A true KR20200038535A (ko) 2020-04-13
KR102292914B1 KR102292914B1 (ko) 2021-08-23

Family

ID=654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8083A KR102292914B1 (ko) 2017-08-22 2018-08-22 폴더블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230826B1 (ko)
EP (2) EP4092826A1 (ko)
JP (1) JP6966633B2 (ko)
KR (1) KR102292914B1 (ko)
CN (2) CN110998969B (ko)
WO (1) WO201903773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08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WO2023132463A1 (ko) * 2022-01-10 2023-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136671A1 (ko) * 2022-01-13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0826B1 (en) * 2017-08-22 2019-03-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Foldable mobile device
KR102499112B1 (ko) * 2018-04-09 2023-02-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102530386B1 (ko) * 2018-09-05 2023-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폴더블 장치
CN109656439A (zh) * 2018-12-17 2019-04-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快捷操作面板的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00121518A (ko) * 2019-04-16 202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2504999B (zh) * 2020-12-16 2023-04-28 深圳大学 一种基于钙钛矿纳米材料的光学传感器
TWM622767U (zh) 2021-05-20 2022-02-01 赫力股份有限公司 具有另一個電子紙顯示器的摺疊式智慧型手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778Y1 (ko) * 2000-04-04 2000-09-01 김팔만 휴대폰의 개폐장치
KR20060006629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US9504170B2 (en) * 2011-07-06 2016-11-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KR20170052964A (ko) * 2015-11-05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66944A (ko) * 2015-12-07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1291B2 (ja) 2002-11-19 2006-11-01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
JP2005192055A (ja) 2003-12-26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式無線通信装置
JP4444021B2 (ja) * 2004-06-29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無線機
JP4371944B2 (ja) 2004-08-10 2009-1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み式通信端末装置
US7947652B2 (en) 2004-09-03 2011-05-24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odulating PGC-1α to treat huntington's disease
JP4896493B2 (ja) * 2005-10-28 2012-03-1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US8060162B2 (en) 2007-06-27 2011-11-15 Motorola Mobility, Inc. Slider grounding to mitigate unwanted coupling and lossy antenna resonance
JP5135098B2 (ja) * 2008-07-18 2013-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2011205207A (ja) 2010-03-24 2011-10-13 Panasonic Corp 通信端末装置
EP3734405A1 (en) * 2011-02-10 2020-1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touch-scree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971903B1 (ko) 2012-03-19 2019-04-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2966556B1 (en) 2013-03-05 2019-10-09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apparatus, image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6152662A1 (ja) * 2015-03-24 2016-09-2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193213B2 (en) * 2015-10-14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f-adaptive antenna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form factors
KR102164704B1 (ko)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205217B2 (en) * 2015-12-23 2019-02-12 Intel IP Corporatio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ssis having reduced cutback
KR102245948B1 (ko) * 2017-06-12 2021-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30826B1 (en) * 2017-08-22 2019-03-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Foldable mobil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778Y1 (ko) * 2000-04-04 2000-09-01 김팔만 휴대폰의 개폐장치
KR20060006629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US9504170B2 (en) * 2011-07-06 2016-11-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KR20170052964A (ko) * 2015-11-05 2017-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70066944A (ko) * 2015-12-07 2017-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9508A1 (ko) * 2020-07-23 2022-01-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11736598B2 (en) 2020-07-23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antenna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32463A1 (ko) * 2022-01-10 2023-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3136671A1 (ko) * 2022-01-13 2023-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8969B (zh) 2021-10-01
US10848603B2 (en) 2020-11-24
JP6966633B2 (ja) 2021-11-17
EP4092826A1 (en) 2022-11-23
KR102292914B1 (ko) 2021-08-23
US10230826B1 (en) 2019-03-12
US20190245954A1 (en) 2019-08-08
EP3659209A1 (en) 2020-06-03
US11509752B2 (en) 2022-11-22
EP3659209A4 (en) 2020-07-08
CN110998969A (zh) 2020-04-10
US20210105351A1 (en) 2021-04-08
JP2020532218A (ja) 2020-11-05
US20190068764A1 (en) 2019-02-28
WO2019037730A1 (en) 2019-02-28
CN113873060B (zh) 2023-03-10
EP3659209B1 (en) 2022-07-06
CN113873060A (zh)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914B1 (ko) 폴더블 모바일 장치
JP6197951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780450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20180337440A1 (en) 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14620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WI539656B (zh) 行動通訊裝置
CN104885296A (zh) 环形天线及移动终端
TWI531122B (zh) 通訊裝置
JP2013074619A (ja) 電子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構造
TWI523332B (zh) 通訊裝置
ES2774490T3 (es) Conjunto de dispositivo aplicado a terminal móvil y terminal móvil
TWI597891B (zh) 通訊裝置
JP2012138717A (ja) 携帯無線通信端末
JP2012227743A (ja) 携帯無線機
JP4696887B2 (ja) 携帯端末
TW201526386A (zh) 通訊裝置
TWI523313B (zh) 電子裝置
JP6754561B2 (ja) アンテナ構造、アンテナ回路パターン、および通信端末
US20150145732A1 (en) Display apparatus provided with antennas
TWI613865B (zh) 電子裝置
CN116231272A (zh) 电子设备
US20150061958A1 (en) Antenna structure configured to rf shie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