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492A - 시정 장치 - Google Patents

시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492A
KR20200038492A KR1020207006163A KR20207006163A KR20200038492A KR 20200038492 A KR20200038492 A KR 20200038492A KR 1020207006163 A KR1020207006163 A KR 1020207006163A KR 20207006163 A KR20207006163 A KR 20207006163A KR 20200038492 A KR20200038492 A KR 2020003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ion mechanism
gear
motion
motion conversion
inp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354B1 (ko
Inventor
시게키 아즈마
Original Assignee
아사 아블로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 아블로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 아블로이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1Retrofittable electric locks, e.g. an electric modul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manual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정 장치는, 구동 모터(구동 장치)(12) 및 구동 모터(12)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슬라이더(제1 입력 부재)(18)를 갖는 전기 구동부(10)와, 슬라이더(18)의 직선 동작을 데드볼트(22)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1 동작 변환 기구(23) 및 수동 입력에 의한 허브 기어(제2 입력 부재)(24)의 회전 동작을 데드볼트(22)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2 동작 변환 기구(25)를 갖는 본체부(20)를 각각 유닛화하여, 슬라이더(18)를 제1 동작 변환 기구(23)의 링크 플레이트(2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 구조로 함으로써, 통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고, 슬라이더(18)를 링크 플레이트(29)로부터 떼어내면, 본체부(20)를 전기 구동부(10)와 분리하여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Description

시정 장치
본 발명은, 전동(電動) 입력과 수동 입력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시정(施錠)ㆍ개정(開錠)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시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적으로 「전기 자물쇠」 등으로 불리며, 전동 입력에 의해 열쇠없이 시정ㆍ개정을 행할 수 있는 시정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단, 이러한 시정 장치(전기 자물쇠)는, 전동 입력에 의한 시정ㆍ개정뿐만 아니라, 정전시 등의 긴급시에 대비하여 종래의 열쇠나 썸턴(thumb turn)을 사용한 수동 입력에 의한 시정ㆍ개정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되어 있는 전기 자물쇠는, 자물쇠 케이스 내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 데드볼트의 후단부를, 자물쇠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최종 종동 기어와 일체인 작동 아암에 결합시키고, 그 최종 종동 기어를 복수의 기어를 통해 구동 모터에 연결하고, 최종 종동 기어의 중심부에 수동 입력용 결합 구멍을 뚫은 것이며, 전동 입력시에는, 구동 모터의 회전이 각 기어를 통해 최종 종동 기어에 전달되고, 작동 아암이 회동하여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정ㆍ개정을 행하고, 수동 입력시에는, 최종 종동 기어의 결합 구멍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 관통된 실린더의 열쇠 구멍에 삽입한 열쇠를 돌리거나, 혹은 실린더에 연결된 썸턴을 돌리고, 작동 아암을 통해 데드볼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정ㆍ개정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4-368580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 자물쇠에서는, 전동 입력과 수동 입력 중 어느 것으로도 시정ㆍ개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동 입력만으로 시정ㆍ개정을 행하는 종래의 자물쇠(이하, 「기계 자물쇠」로 칭함)에 비교하면, 구조가 복잡하고 전체 사이즈도 커질 수 밖에 없다. 또한, 현관 도어용의 것 등에서는, 전동 입력용의 리모콘과 비상시의 수동 입력용의 열쇠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있고, 이것이 번거롭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자물쇠의 설치 공간이나 용도에 따라서는, 설치 직전에 전기 자물쇠로부터 기계 자물쇠로의 사양 변경이나, 설치후의 전기 자물쇠의 기계 자물쇠로의 교환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요구에 원활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기 자물쇠의 종류마다 그 전기 자물쇠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기계 자물쇠를 갖춰 놓으면 좋지만, 그와 같은 제품 체계를 준비하려 하면, 설계ㆍ제조 공정에서의 낭비가 많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고, 본체부를 전기 구동부와 분리하여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시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통전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제1 입력 부재를 갖는 전기 구동부와, 데드볼트와, 상기 제1 입력 부재의 직선 동작을 상기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1 동작 변환 기구와, 열쇠 또는 썸턴으로부터의 수동 입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입력 부재와, 상기 제2 입력 부재의 회전 동작을 상기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2 동작 변환 기구를 갖는 본체부를 구비한 시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는 각각 유닛화되어, 상기 제1 입력 부재가 제1 동작 변환 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입력 부재를 제1 동작 변환 기구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 구동부와 본체부가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가 단일체로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 가능해지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데드볼트는, 그 진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장의 판형 부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상태로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데드볼트가 가벼워져 시정 장치 전체를 경량화할 수 있고, 데드볼트를 다른 부품과의 연결이 용이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정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장치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제1 입력 부재를 갖는 전기 구동부와, 제1 입력 부재의 직선 동작을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1 동작 변환 기구 및 수동 입력에 의한 제2 입력 부재의 회전 동작을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2 동작 변환 기구를 갖는 본체부를 각각 유닛화하여, 통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고, 제1 입력 부재를 제1 동작 변환 기구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본체부를 전기 구동부와 분리하여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설치 직전의 전기 자물쇠로부터 기계 자물쇠로의 사양 변경이나, 설치후의 전기 자물쇠의 기계 자물쇠로의 교환 요구에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의 시정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정 장치의 내부 구조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시정 장치의 데드볼트의 외관 사시도.
도 4의 (a), (b)는, 각각 도 2에 대응하여 전동 입력에 의한 시정시의 전기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5의 (a), (b)는, 각각 도 2에 대응하여 전동 입력에 의한 시정시의 본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6의 (a), (b)는, 각각 도 2에 대응하여 전동 입력에 의한 개정시의 전기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2에 대응하여 전기 구동부와 본체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시정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구동부(10)의 케이스인 직방체형의 상부 케이스(11)와, 본체부(20)의 케이스인 직방체형의 하부 케이스(21)를 길이 방향의 단부면끼리 맞대어 상하에 배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구동부(10)와 본체부(20)의 사이에서 각각의 내부 부품의 일부를 연결하며, 양 케이스(11, 21)의 일측면을 덮는 연결 플레이트(1)와, 연결 플레이트(1)의 표면에 중첩되는 상부 플레이트(2) 및 하부 플레이트(3)를 양 케이스(11, 21)에 나사 고정하는 것에 의해, 각각 유닛화된 전기 구동부(10)와 본체부(20)를 일체화한 것이다. 또, 상기 각 케이스(11, 21)는 모두 덮개형의 2개의 케이스 부재끼리 나사 등으로 일체화한 것이며, 도 2는 각 케이스(11, 21)의 한쪽(도 1의 정면측)의 케이스 부재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21)의 일측의 측벽, 연결 플레이트(1) 및 하부 플레이트(3)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데드볼트(22)를 출몰시키기 위한 개구(4)가 상하 2개소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21)의 정면 및 배면의 측벽에는, 본체부(20)에 실린더를 연결하기 위한 타원형의 구멍(21a)(배면측은 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21)의 서로의 맞댐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부품의 일부를 연결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기 구동부(10)는, 상부 케이스(11) 내에, 구동 장치로서의 구동 모터(12)와, 구동 모터(12)의 구동원이 되는 복수의 전지(13)와, 구동 모터(12)의 출력축에 부착된 웜기어(14)와, 웜기어(14)와 맞물리는 웜휠(15)과, 웜휠(15)의 회전을 종동측에 전달해 가는 기어군(16)과, 기어군(16)의 종동측에 연결되는 랙(17)과, 랙(17)을 직선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랙(17)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레일형의 슬라이더(18)를 수납한 것이다.
여기서, 기어군(16)은, 웜휠(15)과 동일 축심으로 일체 회전하는 제1 기어,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제2 기어와 동일 축심으로 일체 회전하는 제3 기어, 제3 기어와 맞물리는 제4 기어, 제4 기어와 동일 축심으로 일체 회전하는 제5 기어 및 제5 기어와 랙(17) 양자 모두에 맞물리는 랙기어로 이루어지며, 웜휠(15)의 회전을 감속하여 랙기어에 전달하고, 랙기어의 회전에 의해 랙(17)을 직선 운동시키는 것이다. 또, 웜휠(15) 및 기어군(16)을 구성하는 각 기어는, 각각 상부 케이스(11)에 마련된 지축(支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랙(17)은, 그 일측벽에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톱니가 마련되어 있고, 이면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홈이 마련되어 있다. 그 오목홈은, 길이 방향 중앙에 마련된 결합부(17a)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결합부(17a)의 양측 부분에 각각 슬라이더(18) 표면에 마련된 긴 볼록부(18a)가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랙기어가 회전했을 때, 결합부(17a)가 진행 방향에서 슬라이더(18)의 긴 볼록부(18a)에 접촉할 때까지는, 슬라이더(18)에 의해 안내되어 단독으로 직선 운동하고, 결합부(17a)가 슬라이더(18)의 긴 볼록부(18a)에 접촉한 후에는, 슬라이더(18)와 함께 직선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더(18)는, 상기와 같이 구동 모터(12)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제1 입력 부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단부가 상부 케이스(11)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케이스(21) 내에 들어가고, 하단의 표면에 마련된 돌기(18b)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0)의 내부 부품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는, 하부 케이스(21) 내에, 하부 케이스(21)의 일측방을 향히 진퇴 가능[선단부가 하부 케이스(21)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데드볼트(22)와, 슬라이더(18)의 직선 동작을 데드볼트(22)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1 동작 변환 기구(23)와, 열쇠 또는 썸턴으로부터의 수동 입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입력 부재로서의 허브 기어(24)와, 허브 기어(24)의 회전 동작을 데드볼트(22)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2 동작 변환 기구(25)와, 데드볼트(22)의 진퇴 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유지 기구(26)를 수납한 것이다.
여기서, 데드볼트(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진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장의 판형 부재(22a, 22b)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상태로 복수의 체결 부재로서의 리벳(22c)(일부만 도시)에 의해 체결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데드볼트(22) 자체가 가벼워져 시정 장치 전체의 경량화에 기여하고, 다른 부품과의 연결이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드볼트(22) 전체로서는 평면도에서 보아 4개의 아암부를 갖는 대략 H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2개의 선단측 아암부의 양 판형 부재(22a, 22b)의 사이에, 후크 플레이트(27)가 양 판형 부재(22a, 22b)와 평행한 면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각 후크 플레이트(27)는, 하부 케이스(21)의 일측방에 면하는 선단측의 후크부(27a)와, 회동 지점에 가까운 기단측의 후크부(27b)를 갖고 있다. 그 기단측 후크부(27b)는, 데드볼트(22) 전체가 하부 케이스(21) 내에 있는(후퇴한) 상태에서는, 평면도에서 보아 일부가 개구된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부재(28)의 한 변에 접촉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28)는 하부 케이스(21)에 도시 생략한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데드볼트(22)의 후단측 아암부의 한쪽에서는, 각 판형 부재(22a, 22b)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동작 변환 기구(23)와 결합하는 오목부(22d)가 마련되고, 후단측 아암부의 다른쪽에서는, 각 판형 부재(22a, 22b)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동작 변환 기구(2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긴 구멍(22e)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동작 변환 기구(23)는, 전기 구동부(10)의 슬라이더(18)와 연결되는 링크 플레이트(29)와, 하부 케이스(2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링크 플레이트(29)와 데드볼트(22) 양자 모두에 결합하는 링크 아암(30)으로 이루어진다. 또, 이 링크 플레이트(29)와 링크 아암(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동작 변환 기구(25)의 구성 부재이기도 하다.
링크 플레이트(29)는, 슬라이더(18)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이 L자형인 띠판부의 길이 방향 양끝에,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부를 갖고 있고, 그 일단(상단)의 결합부에는 링크 아암(30)과 결합하기 위한 긴 구멍(29a)이 마련되고, 타단(하단)의 결합부에는 제2 동작 변환 기구(25)의 일부와 결합하기 위한 긴 구멍(29b)[도 5의 (b) 참조]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그 띠판부에 마련된 연결 구멍(29c)에 슬라이더(18)의 하단의 돌기(18b)가 끼워지는 것에 의해, 슬라이더(18)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체로 직선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링크 아암(30)은, 하부 케이스(2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원환형의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30a, 30b)으로 이루어지며, 그 한쪽 아암(30a)의 선단부에 마련된 핀(30c)이 링크 플레이트(29) 일단측의 긴 구멍(29a)에 삽입되어 링크 플레이트(29)와 결합하고, 다른쪽 아암(30b)의 선단부가 데드볼트(22) 후단측의 오목부(22d)에 삽입되어 데드볼트(22)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동작 변환 기구(23)에서는, 슬라이더(18)가 직선 운동하면, 이것과 일체로 링크 플레이트(29)가 직선 운동하고, 링크 플레이트(29)와 한쪽 아암(30a)에서 결합하는 링크 아암(30)이 회동하여, 링크 아암(30)의 다른쪽 아암(30b)이 데드볼트(22)를 누르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22)를 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허브 기어(24)는, 하부 케이스(21)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31)에 외주측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심에 마련된 결합 구멍(24a)에 도시 생략한 실린더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그 실린더의 일단의 열쇠 구멍에 삽입되는 열쇠 또는 실린더의 타단에 연결되는 썸턴으로부터의 수동 입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허브 기어(24)의 외주의 일부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동작 변환 기구(25)의 일부와 결합하기 위한 부분 기어(24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동작 변환 기구(25)는, 상기 제1 동작 변환 기구(23)의 구성 부재이기도 한 링크 플레이트(29) 및 링크 아암(30)과, 링크 플레이트(29)를 허브 기어(24)에 연결하는 링크 기어(32)로 이루어진다.
링크 기어(32)는, 데드볼트(22)의 2장의 판형 부재(22a, 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21)에 고정된 지축(3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원환형의 베이스부와, 그 베이스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아암(32a, 32b)으로 이루어지며, 그 베이스부의 외주의 일부에, 허브 기어(24)의 부분 기어(24b)와 맞물리는 부분 기어(32c)가 마련되어 있다. 또, 그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지축(33)은, 데드볼트(22)의 각 판형 부재(22a, 22b)의 긴 구멍(22e)을 통과하여, 데드볼트(22)가 진퇴하더라도 데드볼트(22)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한쪽 아암(32a)의 선단부에 마련된 핀(32d)이 링크 플레이트(29)의 타단측의 긴 구멍(29b)에 삽입되어 링크 플레이트(29)와 결합하고[도 5의 (b) 참조], 다른쪽 아암(32b)의 선단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기구(26)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제2 동작 변환 기구(25)에서는, 허브 기어(24)가 회전하면, 이것과 맞물리는 링크 기어(3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링크 기어(32)의 한쪽 아암(32a)과 결합하는 링크 플레이트(29)가 직선 운동한다. 그리고, 링크 플레이트(29)가 직선 운동하면, 전술한 제1 동작 변환 기구(23)의 동작과 동일하게, 링크 아암(30)이 회동하여 데드볼트(22)를 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지 기구(26)는, 하부 케이스(21)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회동축(35)과, 회동축(35)을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회동축(35)에 고정되는 스프링 지지축(36)과, 스프링 지지축(36)의 외주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37)으로 이루어진다.
스프링 지지축(36)의 선단부는 링크 기어(32)의 다른쪽 아암(32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37)은 압축 상태로 회동축(35)과 링크 기어(32)의 다른쪽 아암(32b)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유지 기구(26)에서는, 코일 스프링(37)이 링크 기어(32)의 다른쪽 아암(32b)을 회동축(3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하여, 링크 기어(32)에 직전의 시정ㆍ개정 동작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다음 시정ㆍ개정 동작이 행해질 때까지, 링크 기어(32)의 회전 방향 위치, 나아가서는 데드볼트(22)의 진퇴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시정 장치의 전동 입력 또는 수동 입력에 의한 시정ㆍ개정 동작에 관해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도 1, 도 2, 도 4의 (a) 및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드볼트(22) 전체가 하부 케이스(21)에 수납되어 개정 상태에 있을 때에는, 데드볼트(22)가 후퇴 한계에 있고, 본체부(20)의 링크 플레이트(29) 및 전기 구동부(10)의 슬라이더(18)는 상한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정 상태에서는, 전기 구동부(10)의 랙(17)이 그 길이 방향 중앙부에서 기어군(16)의 종동측단의 랙기어와 맞물리는 중립 위치에 있고, 랙(17) 이면측의 결합부(17a)가 슬라이더(18) 표면의 하측의 긴 볼록부(18a)에 접촉하는 상태로 세팅되어 있다.
상기 개정 상태로부터, 시정을 지시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2)를 구동시키면(전동 입력을 행하면), 그 구동력이 웜기어(14), 웜휠(15), 기어군(16)을 통해 랙(17)에 가해지고, 랙(17)이 그 결합부(17a)에서 슬라이더(18)의 하측의 긴 볼록부(18a)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도 4의 (b) 및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17)과 함께 슬라이더(18)가 하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전술한 제1 동작 변환 기구(23)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18)와 일체로 링크 플레이트(29)가 하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링크 아암(30)이 회동하고, 데드볼트(22)가 전진 한계까지 전진하여, 그 선단부를 하부 케이스(21)로부터 돌출시킨다.
이때, 데드볼트(22)에 부착된 2개의 후크 플레이트(27)는, 각각 기단측의 후크부(27b)가 프레임 부재(28)에 안내되는 것에 의해, 데드볼트(22)의 전진 공정의 전반에서는 데드볼트(22)와 함께 전진하고, 후반에서는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선단측의 후크부(27a)를 데드볼트(22)의 상하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데드볼트(22)의 선단부가 도시 생략한 수용 시트의 수용 구멍에 들어가고, 그 수용 구멍의 상하면에 마련된 오목부에 각 후크 플레이트(27)의 선단측의 후크부(27a)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시정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에는, 링크 플레이트(29)의 직선 이동에 따라, 제2 동작 변환 기구(25)의 종동측과 구동측이 반대가 되어, 링크 기어(32)가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허브 기어(24)도 회전한다. 동시에, 링크 기어(32)의 회전에 의해 유지 기구(26)의 스프링 지지축(36)과 회동축(35)이 일체로 회동하고, 코일 스프링(37)이 링크 기어(32)에 이번 시정 동작에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가하고, 링크 기어(32)의 회전 방향 위치, 나아가서는 데드볼트(22)의 진퇴 방향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이 유지 기구(26)의 작용에 의해, 다음 개정 동작이 행해질 때까지 시정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시정 동작이 완료하면, 구동 모터(12)가 일단 정지한 후에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랙(17)을 상측으로 직선 이동시키고,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17)이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면 구동 모터(12)가 정지한다. 이때, 랙(17)의 결합부(17a)는 슬라이더(18)를 누르지 않기 때문에, 시정 상태는 유지된다. 이 랙(17) 위치의 제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음 전동 입력에 의한 개정 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으로, 랙(17)이 중립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와 제어 장치(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 시정 상태[전기 구동부(10)는 도 6의 (a)의 상태]로부터, 개정을 지시하는 전기 신호에 의해 구동 모터(12)가 구동되면, 전기 구동부(10) 및 본체부(20)의 각 부품이 시정시와 역방향으로 작동하고, 데드볼트(22) 전체가 하부 케이스(21)에 수납되어 개정 상태[전기 구동부(10)는 도 6의 (b)의 상태]가 되어, 그 개정 상태를 유지 기구(26)가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 모터(12)가 구동되기 전에는, 전술한 랙(17) 위치 제어에 의해,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17)의 결합부(17a)가 슬라이더(18)의 상측의 긴 볼록부(18a)에 접촉하는 상태로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모터(12)를 구동시키면 타임래그없이 슬라이더(18)의 상측으로의 직선 이동이 시작하여, 랙(17) 위치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단시간에 개정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개정 동작 완료후에는,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17)이 상한 위치에 있지만, 랙(17) 위치 제어가 구동 모터(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랙(17)을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도 4의 (a) 및 도 5의 (a)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한편, 열쇠 또는 썸턴으로부터의 수동 입력에 의해 허브 기어(24)를 회전 구동시키면, 전술한 제2 동작 변환 기구(25)의 작용에 의해, 링크 기어(32)가 회전하여 링크 플레이트(29)가 직선 운동하기 때문에, 전동 입력의 경우와 동일하게, 링크 아암(30)이 회동하여 데드볼트(22)가 진퇴하고, 시정ㆍ개정 동작이 행해져, 그 동작후의 상태가 유지 기구(26)에 의해 유지된다.
또, 전술한 수동 입력에 의한 시정ㆍ개정 동작에서는, 링크 플레이트(29)와 일체로 전기 구동부(10)의 슬라이더(18)도 직선 운동하지만, 랙(17)은 중립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랙(17) 위치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시정 장치는, 상기 구성이며, 전기 구동부(10)와 본체부(20)가 각각 유닛화되어 있고, 그 전기 구동부(10)의 슬라이더(18)가 본체부(20)의 제1 동작 변환 기구(23)의 링크 플레이트(2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 상부 플레이트(2) 및 하부 플레이트(3)를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21)로부터 제거하고, 슬라이더(18)를 링크 플레이트(29)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전기 구동부(10)와 본체부(20)를 분리하여, 본체부(20)를 단일체로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직전의 전기 자물쇠로부터 기계 자물쇠로의 사양 변경이나, 설치후의 전기 자물쇠의 기계 자물쇠로의 교환 요구에도 원활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조시에는 수주 상황 등에 따라서 1종류의 설계로부터 전기 자물쇠와 기계 자물쇠를 용이하게 구분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ㆍ제조 공정의 효율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시정 장치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구동부와 본체부가 각각 유닛화되어, 전기 구동부의 제1 입력 부재가 본체부의 제1 동작 변환 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입력 부재를 제1 동작 변환 기구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전기 구동부와 본체부가 분리되도록 한 것이면 된다.
예컨대, 실시형태에서는, 전기 구동부의 구동 장치로서 구동 모터(12)를 이용하고, 그 구동력을 웜기어(14), 웜휠(15), 기어군(16)을 통해 랙(17)에 가하여, 랙(17)과 슬라이더(18)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했지만, 구동 장치로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고, 그 구동력으로 직접 슬라이더를 직선 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웜기어로부터 랙까지의 부품이 불필요해져, 전기 구동부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1 : 연결 플레이트 2 : 상부 플레이트
3 : 하부 플레이트 4 : 개구
10 : 전기 구동부 11 : 상부 케이스
12 : 구동 모터 13 : 전지
14 : 웜기어 15 : 웜휠
16 : 기어군 17 : 랙
18 : 슬라이더(제1 입력 부재) 18b : 돌기
20 : 본체부 21 : 하부 케이스
22 : 데드볼트 22a, 22b : 판형 부재
22c : 리벳(체결 부재) 23 : 제1 동작 변환 기구
24 : 허브 기어(제2 입력 부재) 25 : 제2 동작 변환 기구
26 : 유지 기구 27 : 후크 플레이트
28 : 프레임 부재 29 : 링크 플레이트
29c : 연결 구멍 30 : 링크 아암
31 : 가이드 부재 32 : 링크 기어
33 : 지축 35 : 회동축
36 : 스프링 지지축 37 : 코일 스프링

Claims (2)

  1. 통전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직선 구동되는 제1 입력 부재를 갖는 전기 구동부와,
    데드볼트와, 상기 제1 입력 부재의 직선 동작을 상기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1 동작 변환 기구와, 열쇠 또는 썸턴(thumb turn)으로부터의 수동 입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 입력 부재와, 상기 제2 입력 부재의 회전 동작을 상기 데드볼트의 진퇴 동작으로 변환하는 제2 동작 변환 기구를 갖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시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부는 각각 유닛화되어, 상기 제1 입력 부재가 제1 동작 변환 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입력 부재를 제1 동작 변환 기구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기 구동부와 본체부가 분리되어, 상기 본체부가 단일체로 기계 자물쇠로서 사용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는, 그 진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2장의 판형 부재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대향시킨 상태로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정 장치.
KR1020207006163A 2017-08-02 2017-11-10 시정 장치 KR102378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9952 2017-08-02
JP2017149952A JP7025096B2 (ja) 2017-08-02 2017-08-02 施錠装置
PCT/JP2017/040564 WO2019026301A1 (ja) 2017-08-02 2017-11-10 施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492A true KR20200038492A (ko) 2020-04-13
KR102378354B1 KR102378354B1 (ko) 2022-03-23

Family

ID=6523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163A KR102378354B1 (ko) 2017-08-02 2017-11-10 시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25096B2 (ko)
KR (1) KR102378354B1 (ko)
CN (1) CN111133164A (ko)
WO (1) WO2019026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4655A (zh) * 2019-06-12 2019-10-18 中山欧朗金属制品有限公司 门锁
CN110439381A (zh) * 2019-07-16 2019-11-12 深圳市万厦福智能锁业有限公司 一种电机锁体的连杆装置及电机锁体
KR102504484B1 (ko) * 2021-06-07 2023-03-02 주식회사 이츠락 도어락 모티스의 데드볼트 구동 조립체
SE2251215A1 (en) * 2022-10-17 2024-04-18 Stendals El Ab Lock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429A (en) * 1982-12-27 1990-03-13 Kenneth Davis Remote controlled door lock apparatus
JPH04368580A (ja) 1991-06-18 1992-12-21 Miwa Lock Kogyo Kk 電気錠
KR20090033954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도어락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66509Y (zh) 1999-03-29 2000-03-01 深圳市兆凯电子有限公司 双控锁芯
CN2436610Y (zh) * 2000-10-13 2001-06-27 永康市王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锁舌及其导向装置
JP2007070934A (ja) * 2005-09-08 2007-03-22 Miwa Lock Co Ltd 電気錠に於けるデッドボルトのスライダー駆動機構
CN201891315U (zh) * 2010-12-09 2011-07-06 永康市奇豪锁业有限公司 一种带钩舌的防撬门锁
CN204081684U (zh) * 2013-11-27 2015-01-07 温州市冠泰五金制造有限公司 锁舌
EP3153647A1 (de) 2015-10-06 2017-04-12 Hodapp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s türdrückers
CN106401304B (zh) * 2016-01-16 2020-06-30 浙江安尼智能门窗有限公司 一种电机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7429A (en) * 1982-12-27 1990-03-13 Kenneth Davis Remote controlled door lock apparatus
JPH04368580A (ja) 1991-06-18 1992-12-21 Miwa Lock Kogyo Kk 電気錠
KR20090033954A (ko) * 2007-10-02 2009-04-07 주식회사 유니온커뮤니티 도어락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27221A (ja) 2019-02-21
WO2019026301A1 (ja) 2019-02-07
JP7025096B2 (ja) 2022-02-24
KR102378354B1 (ko) 2022-03-23
CN111133164A (zh)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8492A (ko) 시정 장치
US10710219B2 (en) Mechanism that is non-engaging in forward direction and prevents direction change
US10377022B2 (en) Power tool anvil lock mechanism
CN211869498U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CN211869497U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EP2759377B1 (en) Power tool with spindle lock
JP4537344B2 (ja) 自動車用変速装置に用いられる変速機アクチュエータ、変速機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自動車用変速装置ならびに自動車用変速装置を備えた自動車パワートレーン
CN102712085B (zh) 具有行星齿轮传动装置的用手操作的电动工具
EP0314794A1 (en) Motor-driven mold clamping mechanism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s
JP5332903B2 (ja) パワーシートの減速装置
CN103406413A (zh) 折边加工装置及方法
EP4063697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mechanism
JP4124442B2 (ja) 手動操作機構付き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JP2008190193A (ja) 錠装置
JPH10180572A (ja) 多軸締付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01227B2 (ja)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の組立方法
CN101376235B (zh) 一种电动活扳手
KR101906296B1 (ko) 서보모터와 연결되는 변속기 및 서보모터와 변속기를 구비하는 동력장치
CN211115224U (zh) 一种电子锁锁体
CN210218659U (zh) 变速器和车辆
CN207195495U (zh) 一种电动执行器用手电动离合装置
US20150135867A1 (en) Swing type power door lock motor
JP2001287893A (ja) ねじ式ジャッキ装置
CN208502478U (zh) 模块化的酒店箱用电机传动门栓结构
JP4744915B2 (ja) 手動操作機構付き電動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