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293A -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293A
KR20200038293A KR1020207007216A KR20207007216A KR20200038293A KR 20200038293 A KR20200038293 A KR 20200038293A KR 1020207007216 A KR1020207007216 A KR 1020207007216A KR 20207007216 A KR20207007216 A KR 20207007216A KR 20200038293 A KR20200038293 A KR 202000382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window
sub
broadcast signal
wind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409B1 (ko
Inventor
싸이난 리
야린 류
황 황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단계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됨-; UE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UE의 전력 소비 낭비가 회피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본 출원은 2017년 8월 1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인 중국 특허 출원 제201710689638.4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출원은 데이터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대용량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6GHz보다 큰 고주파수 대역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고주파수 통신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높은 대역폭 및 높은 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정확히 5G 통신 시스템의 핫스폿 연구 기술들 중 하나이다.
전파 거리 및 높은 빔 이득을 보장하기 위해, 고주파수 통신의 높은 경로 손실로 인해 데이터 송신에 좁은 빔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좁은 빔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의 커버리지는 제한된다. 셀에서의 UE의 통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UE 사이에서 좁은 빔 정렬이 수행되어, 셀 내의 각각의 UE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셀 내의 공통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형태로 전송된다. 좁은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체 셀을 커버하기 위해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여, 셀 내의 각각의 UE가 마지막으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에서 공통 정보가 반복적으로 송신될 때, UE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송신 윈도우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알지 못하므로, UE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시간에 공통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전체 셀을 커버하기 위한 전방향성 빔 스캐닝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도 비교적 긴 시간을 차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UE는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하지만, 실제로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시간에서만 공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틀림없이 UE의 전력 소비 낭비를 야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UE의 전력 소비 낭비를 회피하기 위한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 방법, 및 관련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수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사용자 장비 UE에 의해,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됨-; 및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들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는: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 및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여 시간 부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1 양태의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수신 장치를 제공하고, 본 데이터 수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며,
송수신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고;
송수신기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는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가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서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획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여 시간 부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2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됨-;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여 시간 부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3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서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고; 송수신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전송하고;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예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스에서, 송수신기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전송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가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수신기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한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잔여 시간 부분은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제4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한 후에, UE가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만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UE의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제5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UE의 셀을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의 수량을 결정한 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윈도우를 수량이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의 수량인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균일하게 분할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 내의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하고, 획득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UE의 셀을 커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예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UE의 셀을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으로 분할되기에 불충분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여 송신 서브윈도우 분할을 완료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5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서브윈도우들에 인접한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분할한다. 송신 시간을 완전히 사용하기 위해, 분할을 통해 획득된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제1 송신 윈도우의 잔여 시간 부분과 제2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가 상이하거나 그 일부가 동일한 또는 모두 동일한 다운링크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5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하고, 본 방법은: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하나 이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사용자 장비 UE에 의해,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및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UE가 그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UE는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간을 산출하고,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만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UE는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UE의 전력 소비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고,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은 인덱스를 갖고, UE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UE의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UE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최종적으로 송신 서브윈도우를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구현을 참조하면, 제6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UE에 의해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는 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정의될 수 있다. UE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 예를 들어, 송신 윈도우에서의 송신 서브윈도우의 랭킹을 획득할 수 있고,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6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예에서, UE에 의해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 본 장치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7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7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7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7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의 잔여 시간 부분과 제2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한다.
제7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7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7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장치를 제공하고, 본 장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됨-; 및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됨-을 포함한다.
제8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고, 제1 결정 모듈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획득 모듈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 포함하고,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은 인덱스를 가짐-; 및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를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8 양태의 구현을 참조하면, 제8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본 장치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 모듈; 및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8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8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UE를 포함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UE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본 출원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고,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한 후에, UE가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만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UE의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프로세서가 명령어를 실행할 때,
송신기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10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10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10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0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제10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0 양태의 제4 가능한 구현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의 잔여 시간 부분과 제2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한다.
제10 양태의 제5 가능한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제10 양태의 가능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면, 제10 양태의 제6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고, 본 사용자 장비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송수신기는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제11 양태의 제1 가능한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은 인덱스를 가짐-;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를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제11 양태의 구현을 참조하면, 제1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고,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11 양태의 제2 가능한 구현을 참조하면, 제11 양태의 제3 가능한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3 양태 및/또는 제5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제공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제1 양태 및/또는 제6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전술한 기술적 해결책들로부터, 본 출원은 다음의 이점들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미리 분할하고,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UE의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한 후에, UE는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그 시간에만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UE가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UE의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도 1은 데이터 송신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개략도이고;
도 3은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4는 2개의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개략도이고;
도 5는 2개의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6은 2개의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다른 개략도이고;
도 7은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8은 다른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10은 사용자 장비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송신 거리 및 높은 빔 이득을 보장하기 위해, 고주파수 통신의 높은 경로 손실로 인해 고주파수 통신에서 데이터 송신에 좁은 빔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좁은 빔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의 커버리지는 제한된다. 따라서, 셀 내의 각각의 UE의 통신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체 셀을 커버하기 위해,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한다.
브로드캐스트 신호가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반복적으로 전송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UE 사이에서 좁은 빔 정렬이 수행되어, 셀 내의 각각의 UE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다운링크 송신 빔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빔 스캐닝 방식으로 송신 윈도우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반복적으로 전송하고, UE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송신 윈도우 내에 위치하는 시간을 알지 못한다. 따라서, UE는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함으로써만,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체 송신 윈도우가 비교적 긴 시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UE에 의해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틀림없이 전력 소비를 낭비한다. 송신 윈도우는 다운링크 신호,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검출 또는 수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되는 기간일 수 있다. 송신 윈도우의 길이는 예를 들어, 5 밀리초, 10 밀리초, 20 밀리초, 또는 40 밀리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송신 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슬롯 또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 2개의 슬롯, 4개의 슬롯, 5개의 슬롯, 8개의 슬롯, 16개의 슬롯, 하프 프레임, 1개의 프레임, 2개의 프레임, 또는 4개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은 데이터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윈도우를 미리 설정된 수량의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미리 분할하고,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타겟 셀 내의 UE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여 전체 타겟 셀을 커버한다. UE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미리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그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본 출원에서, 각각의 UE는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결정된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송신 서브윈도우는 하나 이상의 심볼 또는 하나 이상의 슬롯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서브윈도우는 하나의 심볼, 2개의 심볼, 3개의 심볼, 4개의 심볼, 7개의 심볼, 하나의 슬롯, 2개의 슬롯, 4개의 슬롯, 5개의 슬롯, 또는 8개의 슬롯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송수신 기능을 갖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NodeB, 진화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eNodeB, 5세대(the fif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gNB),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미래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액세스 노드, 무선 중계 노드, 또는 Wi-Fi 시스템에서의 무선 백홀 노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5G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미래의 진화된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착용가능한 디바이스, 차량내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작은 셀, 송신/수신 포인트(송신 기준점, TRP) 등일 수 있다. 물론, 본 출원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방법의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기지국(100)이다. 타겟 셀 내의 UE들(110)에 임의의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기지국(100)은 미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미리 설정된 수량의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고,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하여 타겟 셀 내의 UE들(110)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여, 타겟 셀을 커버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타겟 셀 내의 모든 UE들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송신된 심볼의 채널은 동일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송신된 다른 심볼의 채널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안테나 포트에는 동일한 빔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기지국(100)이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을 사용함으로써 타겟 셀 내의 UE들(110)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도 상이한 빔들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100)이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타겟 셀 내의 UE들(110)에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100)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타겟 셀 내의 UE(110)는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미리 결정하고,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UE(110)가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UE(110)는 전체 송신 윈도우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을 수 있지만, 결정된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영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줄여서 SS 블록 또는 SSB)의 빔과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SS 블록의 빔은 일반적으로 좁은 빔들에서 비교적 넓은 빔이고, 비교적 신뢰성 있는 송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체 셀은 비교적 작은 수량의 빔들을 사용함으로써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SS 블록의 빔을 브로드캐스트 신호(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신뢰성 및 비교적 낮은 오버헤드를 달성할 수 있다.
UE(110)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함으로써 기지국(100)에 의해 전송된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빔들은 상이한 동기화 신호 블록들과의 대응관계를 갖는다.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은 인덱스, 즉 SS 블록 인덱스를 갖기 때문에, 상이한 빔들은 상이한 SS 블록 인덱스들과의 대응관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SS 블록 인덱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에서의 SS 블록의 랭킹을 표시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SS 블록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대응관계는 미리 설정된다.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SS 블록 인덱스를 결정한 후에, UE(110)는 SS 블록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SS 블록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즉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한다.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한 후에, UE(110)는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윈도우 길이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동일한 송신 윈도우 내의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100)과 UE(110)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거나, 기지국(100)에 의해 UE(110)에 미리 전달될 수 있다. 서브윈도우 정보에서의 시작 시간은 또한 전체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윈도우에서의 제1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은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동일하다.
첫번째로, UE(110)는 송신 윈도우와 UE(110)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한다. 위치 관계는 구체적으로 송신 윈도우에서의 송신 서브윈도우의 랭킹이다. 두번째로, UE(110)는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전체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UE(110)는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함으로써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P=O+윈도우 인덱스*스케줄링 길이 (1),
P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표시하고, O는 전체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표시하고, 송신 윈도우에서의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에 대응하는 윈도우 인덱스들은 각각 0, 1, ..., 및 n-1이고, 스케줄링 길이는 서브윈도우 길이를 표시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또한,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산출한 후에, UE(110)는 서브윈도우 길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전체 시간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UE(110)는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실제 응용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UE가 위치하는 셀을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의 수량일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SS 블록)들은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 일부가 동일한 다운링크 송신 빔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모두 동일한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실제로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이다.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 n이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M보다 작은 예가 설명을 위해 사용된다.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 n이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M보다 작을 때,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와 SS 블록 인덱스 사이의 대응관계(이것은 송신 서브윈도우 및 SS 블록이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함)는 기지국에 의해 UE에 통지될 수 있거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E 및 기지국에 의해 미리 정의된 대응관계일 수 있거나, UE에 의해 디폴트로, 송신 서브윈도우들과 M개의 SS 블록들에서, N개의 SS 블록의 인덱스들, 예를 들어, 제1 N개의 SS 블록 인덱스 또는 마지막 N개의 SS 블록 인덱스 간에 사용되는 대응관계일 수 있다.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또한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의해 UE에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 MAC 제어 요소(MAC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에서 구체적으로 운반되는 EMSI 정보와 같은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을 UE에 통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셀에서, 다양한 타입의 공통 정보,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구체적으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영문: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줄여서 RMSI), 및 다른 시스템 정보(영문: Other System information, 줄여서 OSI)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공통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영문: Paging message)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OSI의 송신은 설명을 위한 예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O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영문: System Information message, 줄여서 SI 메시지)는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갖는다.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는 이하의 시스템 정보 윈도우(영문: System information window, 줄여서 SI-윈도우)로서 지칭된다. 상이한 SI 메시지들은 동일한 SI-윈도우에 매핑될 수 있거나, 상이한 SI-윈도우들에 매핑될 수 있다. 상이한 SI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SI-윈도우들은 중첩될 수 있거나(구체적으로, 일부 시간-주파수 리소스들이 중첩될 수 있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SI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스템 정보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들(영문: System information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줄여서 SI-RNTI)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I-윈도우를 복수의 방식으로 미리 설정된 수량의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여,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S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세부사항들이 아래에 제공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개략도이다. 타겟 셀을 커버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이한 방향들로 n(여기서 n=6) 빔들을 사용함으로써 SI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SI-윈도우를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로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하고, 상이한 방향들의 빔들을 사용하여 송신 서브윈도우들에서 SI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타겟 셀의 전체 커버리지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I-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송신 서브윈도우 분할을 위한 시작 시간으로서 사용하고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길이, 즉, SI 스케줄링 길이를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로서 사용함으로써 분할을 통해 6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획득한다.
실제 응용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수량이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과 동일한 SS 블록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n개의 빔 및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에 포함되는 SS 블록들의 송신 빔들은 동일하거나 준 공동 위치(영문: Quasi co-located, 줄여서 QCL)될 수 있다. QCL 파라미터는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지연 확산(delay spread), 도플러 시프트(Doppler shift), 도플러 확산(Doppler spread), 및 공간 송수신(spatial Tx/Rx)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공간 Tx/Rx 파라미터는 도착 각도(Angle Of Arrival, AoA)/출발 각도(Angle of Departure, AoD), 우세(dominant) AoA/AoD, 평균(average) AoA/AoD, AoA/AoD의 전력 각도 스펙트럼(Power Angle Spectrum, PAS), 송수신 채널 상관(transmit/receive channel correlation), 송수신 빔포밍(transmit/receive beamforming), 공간 채널 상관(spatial channel correlation)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전방향성 빔 스캐닝 시퀀스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SS 블록들의 스캐닝 시퀀스와 동일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말하자면, SS 블록 인덱스들은 0, 1, ..., 및 n-1이거나; 전방향성 빔 스캐닝 시퀀스는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SS 블록들의 스캐닝 시퀀스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정확하게 말하자면, SS 블록 인덱스들은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0, 1, ..., 및 n-1에 대응할 수 있다. UE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송신 빔으로서 사용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스캐닝 시퀀스를 검출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획득하며, 송신 서브윈도우를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UE는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여, 그 시간에 SI 메시지를 수신한다.
또한,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UE는 최소 시스템 정보(영문: Minimum System Information, 줄여서 MSI)에서의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정보(Scheduling information)에 기초하여 SI-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는 프로토콜에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각각의 UE에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는 RMSI와 같은 최소 시스템 정보(영문: Minimum System Information, 줄여서 MSI)에 운반될 수 있거나,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는 SI 요청의 응답 메시지에 운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I 요청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MSG(영문: message) 1을 사용하여 전송될 때, 응답 메시지는 MSG 2이거나; SI 요청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MSG 3을 사용하여 전송될 때, 응답 메시지는 MSG 4이다.
SI 메시지들의 스케줄링 길이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RMSI가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를 운반할 때, 스케줄링 길이는 구성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스케줄링 길이는 RMSI에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스케줄링 길이가 RMSI에 구성되어 있지 않을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길이의 현재 값에 기초하여 SI-윈도우에서 S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UE는 스케줄링 길이의 현재 값에 기초하여 SI-윈도우에서 SI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거나; 스케줄링 길이가 RMSI에 구성되어 있는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구성된 스케줄링 길이에 기초하여 SI-윈도우에서 SI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고, UE는 구성된 스케줄링 길이에 기초하여 SI-윈도우에서 SI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윈도우의 시작 시간부터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로의 매핑을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시작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I-윈도우에서 스케줄링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의 특정된 빔 방향의 UE에, SI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기 위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영문: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줄여서 PDCCH)을 전송한다. UE는 PDCCH에서의 표시에 기초하여,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영문: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줄여서 PDSCH)에 운반되는, 대응하는 리소스 위치에서 SI 메시지를 판독할 수 있다. PDCCH에 의해 표시되는 PDSCH 리소스는 반드시 송신 서브윈도우에 있지 않을 수 있다. UE는 결정된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대응하는 PDCCH를 맹목적으로 검출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UE에 의해 수행되는 검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SI-윈도우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체 셀을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빔들의 수량 n에 기초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SI-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하여,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를 획득할 수 있다. SI 메시지의 스케줄링 길이는 정의될 필요가 없고, SI-윈도우의 지속기간을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I-윈도우를 6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로 균일하게 분할하고,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의 지속기간은 SI-윈도우의 지속기간을 6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모든 송신 서브윈도우가 송신 윈도우에서 균일하게 분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송신 서브윈도우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2개의 인접한 송신 서브윈도우마다의 시작 위치들 사이의 시간 간격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실제 응용에서, 도 3에서의 분할을 통해 획득된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UE에 의해 SI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식은 도 2에서의 분할을 통해 획득된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SI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식과 동일하고,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전체 셀이 하나의 SI-윈도우에서 수행되는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통해 커버될 수 없다면, 정확하게 말하자면, 전체 셀을 커버하기 위해 전방향성 빔 스캐닝을 수행하는데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가 요구되지만, 하나의 SI-윈도우가 요구되는 스케줄링 길이를 갖는 n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로 분할될 수 없다면, 전체 셀을 커버하는데 2개 이상의 인접한 SI-윈도우가 요구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2개의 SI-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2개의 SI-윈도우를 8개의 송신 서브윈도우로 균일하게 분할하고, 8개의 상이한 빔을 사용하여 SI 메시지를 UE들에 개별적으로 전송하여 전체 셀을 커버한다. UE는 UE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즉 특정 SI-윈도우에서의 송신 서브윈도우의 랭킹을 결정하고, 미리 획득된 스케줄링 길이 및 SI-윈도우의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고, 마지막으로 그 시간에 SI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검출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또한, SI-윈도우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스케줄링 길이의 정수배가 아닌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SI-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할 수 없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2개의 SI-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다른 개략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송신 서브윈도우들에 인접한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한다. 제1 송신 윈도우의 분할이 완료된 후에, SI-윈도우의 길이가 스케줄링 길이의 정수배가 아니기 때문에, 제1 송신 윈도우에서 잔여 시간 부분이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스케줄링 길이의 정수배가 아닌 잔여 시간 부분을 사용하지 않고 SI 메시지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할 수 있지만, 제2 송신 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계속 분할하여 2개의 SI-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송신 서브윈도우들을 최종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SI-윈도우에서 시간을 완전히 사용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2개의 SI-윈도우를 송신 서브윈도우들로 분할하는 개략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송신 윈도우의 분할을 완료한 후에, 2/3 스케줄링 길이를 갖는 시간이 남아 있다. 이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송신 윈도우에서의 스케줄링 길이의 정수배가 아닌 잔여 시간 부분(예를 들어, 2/3 스케줄링 길이) 및 다음 SI-윈도우, 즉 제2 송신 윈도우에서의 시작 시간 부분(예를 들어, 1/3 스케줄링 길이)을 하나의 송신 서브윈도우에 연결시키고, 그 다음, 제2 송신 윈도우에서의 후속 시간의 송신 서브윈도우들로의 분할을 계속 완료하여, 2개의 SI-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 송신 서브윈도우들을 최종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RMSI도 페이징 메시지도 2개의 송신 윈도우에서 송신될 수 없기 때문에, 도 4, 도 5 및 도 6에서의 송신 서브윈도우 분할 방식들은 일반적으로 RMSI 또는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에 적용가능하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RMSI 및 페이징 메시지가 도 2에 도시된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송신될 때, RMSI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스케줄링 길이는 프로토콜에 미리 정의될 수 있고,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스케줄링 길이는 프로토콜에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기지국에 의해 UE에 통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스케줄링 길이는 RMSI에 운반되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또한, UE는 프로토콜에 명시된 방식으로 RMSI의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및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MSI의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은 일부 고정된 프레임들, 서브프레임들, 또는 슬롯들에서 운반되고; 페이징 메시지의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은 시스템 정보에서의 UE ID 및/또는 페이징 파라미터 브로드캐스트에 기초하여 UE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E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획득된 위치 관계, 스케줄링 길이, 및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고, 그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검출 전력 소비의 낭비를 회피한다.
전술한 방법 실시예 부분들에 대응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송신 장치(700)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710)을 포함한다.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일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의 잔여 시간 부분과 제2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한다.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데이터 송신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데이터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데이터 송신 장치(800)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810)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됨-; 및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820)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됨-을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하고, 제1 결정 모듈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함으로써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 획득 모듈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인덱스를 갖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함-; 및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를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본 장치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 모듈; 및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된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900)는 수신기(901), 송신기(902), 메모리(903), 및 프로세서(904)를 포함한다. 메모리(903)는 명령어들의 그룹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4)가 명령어들을 실행할 때, 송신기(902)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 UE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송신 서브윈도우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송신 서브윈도우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 및 제2 송신 윈도우를 포함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는 제1 송신 윈도우의 잔여 시간 부분과 제2 송신 윈도우의 시작 시간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획득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 RMSI,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904)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메모리(903)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타입의 내부 메모리일 수 있고, 수신기(901) 및 송신기(902)는 예를 들어, 공통 물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 인터페이스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또는 비동기 송신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수신기(901)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수신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고, 송신기(90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전송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904), 수신기(901), 송신기(902), 및 메모리(903)는 하나 이상의 독립 회로 또는 하드웨어,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904) 및 다른 컴포넌트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될 수 있거나, 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프로세서(904)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기(901) 및 송신기(902)는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수신기(901) 및 송신기(902)는 또한 프로세서와 함께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904) 내의 전송 유닛(또는 송신기 회로, 출력 유닛, 또는 출력 회로)은 송신기로서 간주될 수 있고, 프로세서 내의 수신 유닛(또는 수신기 회로, 입력 유닛, 또는 입력 회로)은 수신기로서 간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내의 전송 유닛 및/또는 수신 유닛은 송수신기로서 간주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사용자 장비(1000)는 메모리(1001), 프로세서(1002), 및 송수신기(1003)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002)는 사용자 장비의 송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1003)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03)는 수신 유닛 및/또는 전송 유닛을 포함하여, 수신 기능 및/또는 전송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자 장비를 지원할 수 있다. 송수신기(1002)는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송수신기(1002)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내의 수신(또는 입력) 유닛(또는 회로) 및/또는 전송(또는 출력) 유닛(또는 회로)은 송수신기로서 간주될 수 있다.
메모리(1001)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1002)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002)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된다.
송수신기(1003)는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002)는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를 검출하여,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를 획득하고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는 상이한 다운링크 송신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동기화 신호 블록은 인덱스를 가짐-;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와 송신 서브윈도우 간의 미리 설정된 대응관계에 기초하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송신 서브윈도우를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로서 사용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002)는 송신 윈도우와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고, 위치 관계,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에서,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100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메모리(1001)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타입의 내부 메모리일 수 있고, 송수신기(1003)는 공통 물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물리 인터페이스는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 또는 비동기 송신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1002), 송수신기(1003), 및 메모리(1001)는 하나 이상의 독립 회로 또는 하드웨어,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2) 및 다른 컴포넌트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될 수 있거나, 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접속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UE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추가로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전술한 UE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된다.
전술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때,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이 컴퓨터 상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절차들 또는 기능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또 다른 프로그램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들은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으로,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임의의 사용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SSD)) 등일 수 있다.
편리하고 간단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동작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세부사항들은 본 명세서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몇몇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이다. 예를 들어, 유닛 분할은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분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결합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되거나, 일부 피처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접속은 전자적, 기계적 또는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도의 요소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요소는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되거나,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하거나, 2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된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때, 통합된 유닛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은 본질적으로,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게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설명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라고 명령하는 수개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착탈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출원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일 뿐이다.

Claims (85)

  1. 데이터 수신 방법으로서,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됨-; 및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인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윈도우들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들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또는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잔여 시간 부분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수신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15.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로서,
    상기 송수신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기초하여,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인 데이터 수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 수신 장치.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수신 장치.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윈도우들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를 획득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획득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4. 제1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은: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잔여 시간 부분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수신 장치.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29.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의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됨-;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인 데이터 전송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 전송 방법.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전송 방법.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들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6.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7. 제29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9. 제29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0. 제29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1. 제29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잔여 시간 부분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 방법.
  42. 제29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3.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전송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의 인덱스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는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를 포함하고, n은 양의 정수인 데이터 전송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균일하게 분산된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데이터 전송 장치.
  47. 제43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전송 장치.
  48. 제43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들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위치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시작 시간과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0. 제43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의 길이는 미리 정의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1. 제43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공통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2. 제43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를 전송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3. 제43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잔여 최소 정보, 다른 시스템 정보, 및 페이징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4. 제43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동일한 빔을 사용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 블록 및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5. 제43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윈도우는 잔여 시간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잔여 시간 부분은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스케줄링하거나 송신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 장치.
  56. 제43항 내지 제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 윈도우가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 모두를 포함하기에 불충분할 때,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송신 윈도우에 분산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7.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0. 제57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송신 방법.
  61. 제57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2. 데이터 송신 방법으로서,
    사용자 장비 UE에 의해,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됨-;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됨-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UE에 의해, 상기 송신 윈도우와 상기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UE에 의해, 상기 위치 관계,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 송신 방법.
  65.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상기 UE의 셀을 커버하는데 요구되는 상이한 안테나 포트들의 수량인 데이터 송신 장치.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
  68. 제65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데이터 송신 장치.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0.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결정 모듈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됨-; 및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모듈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됨-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 윈도우와 상기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위치 관계,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구성되는 계산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데이터 송신 장치.
  73. 데이터 송신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UE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상기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UE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상기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데이터 송신 시스템.
  74. 네트워크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기, 송신기,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를 실행할 때,
    상기 송신기는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송신 서브윈도우에서, 상이한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사용자 장비 UE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송신 윈도우를 균일하게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6.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윈도우를 순차적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7. 제74항에 있어서,
    송신 서브윈도우들의 수량은 동기화 신호 블록 세트 내의 동기화 신호 블록들의 수량 이하인 네트워크 디바이스.
  78. 제74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는 다른 시스템 정보 OSI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79. 사용자 장비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는 메모리, 프로세서, 및 송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상기 프로세서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는 미리 설정된 브로드캐스트 신호에 대응하는 송신 윈도우를 분할함으로써 획득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에 상기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은 미리 획득된 서브윈도우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사용자 장비.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정보는 서브윈도우 길이 및 시작 시간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윈도우와 상기 다운링크 송신 빔이 위치하는 송신 서브윈도우 사이의 위치 관계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 관계,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 및 상기 시작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서브윈도우가 위치하는 시간을 산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윈도우 길이는 기지국에 의해 전달되는 사용자 장비.
  82. 데이터 전송 장치로서,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
  83. 데이터 수신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수신 장치.
  84.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되고/인에이블되거나,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5.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인에이블되고/인에이블되거나, 제2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57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제62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07007216A 2017-08-11 2018-08-13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KR102292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689638.4A CN109391906B (zh) 2017-08-11 2017-08-11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系统、网络设备及用户设备
CN201710689638.4 2017-08-11
PCT/CN2018/100307 WO2019029751A1 (zh) 2017-08-11 2018-08-13 一种数据接收、发送、传输方法、相关装置以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293A true KR20200038293A (ko) 2020-04-10
KR102292409B1 KR102292409B1 (ko) 2021-08-24

Family

ID=6527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216A KR102292409B1 (ko) 2017-08-11 2018-08-13 데이터 수신, 전송 및 송신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272452B2 (ko)
EP (1) EP3664481B1 (ko)
KR (1) KR102292409B1 (ko)
CN (3) CN109391906B (ko)
CA (1) CA3072727A1 (ko)
WO (1) WO2019029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71470A1 (zh) * 2017-10-11 2019-04-1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对应关系的指示及确定方法、装置、基站和用户设备
CN110166376B (zh) * 2019-06-06 2022-11-01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流量控制方法及装置、系统、服务器、计算机可读介质
CN116318584A (zh) * 2020-07-27 2023-06-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广播数据传输的方法和装置及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229A (ko) * 2008-04-18 2011-01-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시스템 정보 송신 윈도우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6535561A (ja) * 2013-11-01 2016-11-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Lteアドバンスト向け拡張カバレッジ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9903A1 (en) * 2008-06-23 2009-12-24 Alanara Seppo M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system information windows
GB2466191B (en) * 2008-12-09 2010-12-29 Ipwireless Inc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acquiring a system information message
US8902830B2 (en) * 2010-12-28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Energy-saving base station and method
US9019921B2 (en) * 2012-02-22 2015-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378939B (zh) * 2012-04-28 2016-09-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下行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8982693B2 (en) * 2012-05-14 2015-03-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Radio link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374795B2 (en) * 2012-07-27 2016-06-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synchronizing downlink
US9485763B2 (en) * 2013-01-14 2016-11-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receiving downlink signal and method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
KR102127393B1 (ko) * 2013-01-14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04285483B (zh) * 2013-04-07 2018-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公共信号的方法及其装置
EP3065448B1 (en) * 2013-11-01 2018-12-05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CN104219767A (zh) * 2014-03-20 2014-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系统信息传输方法、基站及终端
CN104219757A (zh) * 2014-05-13 2014-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同步信号发送时间确定方法、终端、基站及通信系统
CN105207754B (zh) * 2014-05-30 2019-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发送方法、信息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10250420B2 (en) * 2015-04-10 2019-04-0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of control signaling
CN105072565A (zh) * 2015-08-10 2015-11-1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11382081B2 (en) * 2015-10-16 2022-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069668A1 (en) * 2015-10-21 2017-04-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network nodes and wireless device for handling access information
CN106879040B (zh) * 2015-12-10 2021-03-1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无线网络中提供和获取小区系统信息的方法、装置及设备
US10278160B2 (en) * 2016-02-26 2019-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in beam-formed system
WO2017146342A1 (ko) * 2016-02-26 2017-08-31 엘지전자(주) 협대역 iot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7435B1 (ko) * 2016-03-21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 기반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및 전력 절감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71216B2 (en) * 2016-04-08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ntrol for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US10243642B2 (en) * 2016-04-22 2019-03-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base station for receiving system information, and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tting system information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473043B1 (en) * 2016-06-21 202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paging in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793058B (zh) 2016-12-30 2019-03-0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处理同步信号块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EP3603241B1 (en) * 2017-03-22 2024-02-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Beamformed paging transmission
US20180324770A1 (en) * 2017-05-04 2018-11-0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0736077B2 (en) * 2017-05-05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remaining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window
US10687352B2 (en) * 2017-06-23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clustered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229A (ko) * 2008-04-18 2011-01-2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시스템 정보 송신 윈도우의 브로드캐스트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6535561A (ja) * 2013-11-01 2016-11-10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Lteアドバンスト向け拡張カバレッジ送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2-17065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13947A1 (en) 2020-07-02
US20220322233A1 (en) 2022-10-06
CN109391906B (zh) 2022-01-28
CN109413591B (zh) 2019-11-19
US11272452B2 (en) 2022-03-08
WO2019029751A1 (zh) 2019-02-14
KR102292409B1 (ko) 2021-08-24
CN109391906A (zh) 2019-02-26
CN114599070A (zh) 2022-06-07
EP3664481A1 (en) 2020-06-10
US11824697B2 (en) 2023-11-21
EP3664481A4 (en) 2020-08-19
EP3664481B1 (en) 2022-10-05
CN109413591A (zh) 2019-03-01
CA3072727A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85430B2 (ja) 制御情報伝送方法およびデバイス
US10856292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JP7091329B2 (ja) 基準信号の伝送方法及び通信装置
CN108811083B (zh) 一种寻呼指示的传输方法及装置
US11824697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receiving a PDCCH
WO2018210243A1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EP391725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20353710A1 (e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933067B1 (ko) 장치 대 장치 신호를 검출하는 방법, 사용자 기기, 및 기지국
WO2019214333A1 (zh) 通信方法及装置
CN109842434B (zh) 数据接收方法、数据发送方法、装置和系统
CN112956249B (zh) 基站、用户装置以及发送方法
JP7395400B2 (ja) 通信装置
WO2021161481A1 (ja) 端末
JP7275169B2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19129010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WO2020090095A1 (ja) ユーザ装置
CN114208327A (zh) 终端以及通信方法
CN111434179A (zh) 用于随机接入的方法和装置
US20230370991A1 (en) Radio base station
JP7421970B2 (ja) 通信装置
WO2022157889A1 (ja) 端末及び無線基地局
WO2022215121A1 (ja) 端末及び通信方法
WO2021084648A1 (ja) 端末及び無線基地局
CN115529113A (zh) 参考信号的传输方法和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