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095A -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095A
KR20200038095A KR1020180117784A KR20180117784A KR20200038095A KR 20200038095 A KR20200038095 A KR 20200038095A KR 1020180117784 A KR1020180117784 A KR 1020180117784A KR 20180117784 A KR20180117784 A KR 20180117784A KR 20200038095 A KR20200038095 A KR 20200038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heater
lower tray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5703B1 (ko
Inventor
이동훈
배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70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778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5703B1/ko
Priority to US17/282,302 priority patent/US11674730B2/en
Priority to PCT/KR2019/012877 priority patent/WO2020071764A1/ko
Priority to EP19869812.8A priority patent/EP3862682A4/en
Publication of KR20200038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095A/ko
Priority to US18/137,580 priority patent/US2023025100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상기 하측 트레이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버킷; 및 상기 하측 트레이와 일정 각도 만큼 함께 회전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형태의 투명한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제빙기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얼음은 사방에서 얼어 들어가는 방식으로 얼려진다. 따라서 얼음의 내부에 공기가 포집이 되고, 어는 속도도 빠르기 때문에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이 된다.
투명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흘리던가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뿌리면서 한쪽 방향으로 얼음을 성장시키면서 만드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냉장고 내에서는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물을 흘리거나 뿌릴 수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냉장고에 적용되는 제빙기에는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냉장고에 사용되는 제빙기에서 투명하면서, 구형 형상을 가지는 얼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투명하면서 구형 형상의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아이스메이커 하단에 히터를 부착하여 얼음이 어는 속도와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투명얼음을 만들 수 있다. 구형의 투명얼음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하판으로 이루어진 구형아이스메이커의 하단 실리콘 트레이에 히터를 부착하여 구형이면서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으며, 상판이 없는 경우 사각이나 반구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의 투명얼음도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빙기의 하단에 구비하는 히터를 이용해서, 얼음이 어는 속도와 방향을 조절한다. 히터를 다단으로 제어해서, 제빙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투명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형얼음을 만들기 위해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포함하고, 하측 트레이에 히터를 설치해서, 상부에서 하부로 얼음이 성장하도록 제어를 한다. 특히 얼음이 성장하는 속도를 늦추어 투명얼음을 생성한다. 이때 히터는 발열량이 다단형식으로 변화되도록 제어해서, 얼음이 아래쪽으로 증가하면서, 어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빙속도도 증가 시키고 고르게 투명한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빙 시에 상측 트레이에 배치된 히터에 의해 얼음의 표면을 녹여 이빙을 한다. 이때 녹은 물이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는 아이스버킷 위에 떨어지면서 얼음이 엉겨 붙을 수 있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상측 트레이에서 얼음을 이빙한 이후 일정시간 대기를 하여 상부에서 녹은 물이 하측 트레이로 안내되어서, 아이스 버킷으로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히터에서 공급되는 열량이 부족하여 얼음이 상부에 붙어있는 경우에도 얼음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릴 수 있어서, 이빙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빙을 하기 전에 얼음이 아이스버킷에 만빙되었는지를 감지해서, 얼음의 이빙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아이스버킷에 얼음이 충분히 쌓여 있다고 판단되면 얼음을 아이스버킷에 이빙하지 않고, 아이스버킷에 얼음이 더 공급되어서 저장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얼음을 아이스버킷으로 이빙한다. 이를 위해서 만빙감지레버가 스윙되면서 아이스버킷 내에 얼음이 만빙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상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에의 셀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에 얼음이 응고되면, 상기 히터를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에 접촉된 부분을 액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얼음이 응고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히터를 구동하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가 구동되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하측 트레이에 거치된 얼음이 낙하하지 않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는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를 90도보다 작은 각도 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가 구동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는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 푸셔에 상기 하측 트레이가 눌려져, 상기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측으로 돌출된 상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상측 푸셔가 상기 상측 트레이를 관통하도록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에 급수가 완료되고, 상기 트레이에 냉기가 공급되는 동안에 상기 히터의 온도는 단계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 히터의 온도는 제1온도 범위로 유지되다가, 제2온도 범위로 유지되고, 제3온도 범위로 유지되는 세 단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온도 범위, 상기 제1온도 범위, 상기 제3온도 범위의 순서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히터의 용량은 제1용량으로 구동되다가, 제2용량으로 유지되고, 제3용량으로 유지되는 세 단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용량, 상기 제1용량, 상기 제3용량의 순서로 용량이 작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으로 구동되거나 상기 제3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트레이에 위치한 물이 먼저 얼고, 상기 하측 트레이에 위치한 물이 나중에 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맞닿은 물이 얼면서, 얼음은 아래쪽 방향으로 성장해가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상기 하측 트레이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버킷; 및 상기 하측 트레이와 일정 각도 만큼 함께 회전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동작되기 전에 구동되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면, 만빙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도 회전을 멈추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와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기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걸리지 않으면, 만빙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정해진 위치까지 회전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는 더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버킷은 경사지게 마련되어서, 얼음을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멀어지게 모으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구 형상을 가지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히터가 구동되어, 상기 하측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 상기 상측 트레이를 향해서 냉기가 공급되어, 상기 상측 트레이보다 상기 하측 트레이의 온도가 높은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이 공급되는 동안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는 상기 상측 트레이에 대해서 일정 각도 만큼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은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의 간격 사이로 복수 개의 셀에 분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측 트레이 및 상기 하측 트레이에 물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상측 트레이의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의 셀이 맞닿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측으로 돌출된 하측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하측 푸셔에 상기 하측 트레이가 눌려져, 상기 하측 트레이가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가 상기 하측 푸셔에 의해서 변형되면, 상기 히터는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접촉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트레이에 히터가 필요에 따라 접촉하기 때문에 구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모양의 투명빙을 구현할 수가 있다. 즉 제빙시에는 트레이와 히터가 접촉해 있지만, 이빙시에는 트레이와 히터가 분리되어서 히터의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히터의 단선 등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빙을 제빙하기 위해서 제빙속도가 빠른 영역은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제빙 속도를 늦추고, 상대적으로 제빙속도가 느린 영역은 히터의 발열량을 감소시켜 제빙 속도를 증가시킨다. 결론적으로 전체적으로 제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서, 투명한 얼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히터를 다단으로 제어해서, 히터의 발열량을 줄일 수 있고, 제빙량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측 트레이에 인접한 히터를 이용해서 열을 공급해, 상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고, 하측 트레이를 일정각도 회전한 이후 추가 히팅을 함으로써 이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측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추가히팅으로 인하여 과도하게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한 이후 하측 트레이를 일정각도 만큼 회전시킨 상태에서 대기함으로써 상측 트레이를 히팅할 때에 발생한 잔수가 아이스 버킷으로 떨어져, 얼음이 엉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만빙감지 레버를 스윙타입으로 회전해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얼음이 트레이의 하부에 위치한 아이스버킷으로 안내될 때에, 아이스버킷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차례대로 쌓이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높이가 낮은 아이스버킷 내에서도 만빙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16은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의 예를 설명한 도면.
도 17은 하측 트레이를 설명한 도면.
도 18은 하측 트레이와 히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19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20은 하측 트레이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설명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빙기가 설치된 냉장고를 설명한 측단면도이다.
도 1(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0, 20, 3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10, 20, 30)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 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한다.
도 1(b)는 냉장고의 후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인데, 냉장고 캐비닛(14)는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4)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32)은 하측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각각의 저장실이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와는 달리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배치된 냉장고에서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냉동실(3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공간은 공간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40)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32)는 하나의 도어(3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더라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빙기(200)에서 생산된 얼음이 낙하되어 보관되는 아이스 버킷(60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을 꺼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버킷(600)은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가르는 수평 벽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14)에는 상기 제빙기(200)에 냉기를 공급하는 턱트(50)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50)는 압축기에 의해서 압축된 냉매가 증발되는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토출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를 냉각한다.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상기 제빙기(200) 내부에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우측은 냉장고의 후방이고, 좌측은 냉장고의 전방 즉 도어가 설치된 부분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덕트(50)는 상기 캐비닛(14)의 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캐비닛(14)의 전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덕트(5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덕트(50)의 토출구는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위치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측에 냉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제빙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4a는 상기 냉동실(32)에 제빙기(200)를 고정하는 브라켓(220)이 포함된 도면이고, 도 3b와 도 4b는 상기 브라켓(220)이 제거된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빙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냉동실(32)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00)의 내측면 상측에는 필컵(240)이 설치된다. 상기 필컵(240)은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필컵(240)의 하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필컵(240)의 상측 개구부는 하측 개구부보다 커서,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하부로 안내되는 물의 토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의 상측으로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이 설치되어서, 상기 필컵(240)으로 물을 공급되고,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에서 토출되는 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해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컵(240)은 상기 급수 배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필컵(240)까지 튀지 않고 안내되고, 낮아진 높이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물이 튀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측 트레이(320)와 하측 트레이(380)을 포함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복수 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마련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마련된 셀이 겹쳐지면, 구형 형상을 이루에 되면서 그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이 이루어지면,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서 낙하되는 물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에는 상측 트레이 커버(340)가 마련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 형상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는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의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 히터 케이스(280)가 마련된다.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는 히터가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상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 케이스(280)에 매립되거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은 경사지고, 하측은 수직하게 연장된 가이드 홈(30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302)은 상기 트레이 케이스(3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재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02)에는 상측 푸셔(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삽입되어서,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푸셔(260)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연장된 연장부(264)가 구비되어서, 각각의 셀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상기 상측 푸셔(260)의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상기 푸셔 링크(500)가 움직이면 상기 상측 푸셔(260)도 상기 가이드 홈(30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에는 하측 트레이 커버(36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외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각각의 개별 얼음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복수 개의 셀이 구분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는 상측으로 돌출된 셀을 감쌀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에는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가 구비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하부로 돌출된 셀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스프링(402)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하측에는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히터 케이스(420)에는 히터가 마련되어서,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부(480)가 구비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282)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 연장된 연장부에는 관통공(404)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82)과 상기 관통공(404)을 함께 관통하는 샤프트(440)이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440)의 양단에는 회전 암(46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440)은 상기 모터부(4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40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402)이 인장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암(460)의 위치가 초기 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80)내에는 모터와 복수 개의 기어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80)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연결되어서,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어서, 양 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하게 배치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부분 중에 어느 하나는 상기 모터부(48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브레켓(220)의 내부 하측면에는 하측 푸셔(540)가 구비된다. 상기 하측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는 결합편(542)과 상기 결합편(542)에 설치된 복수 개의 연장부(544)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 개의 연장부(544)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셀의 갯수와 동일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에 생성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밀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와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샤프트(44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각각 실리콘과 같이 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푸셔에 의해서 가압될 때에 순간적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생성된 얼음이 트레이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제빙기의 일부 구성요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브라켓(220), 상기 필컵(240), 상기 하부 푸셔(540)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하부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하부 푸셔(540)의 연장부가 상기 결합편(542)로부터 연장된 방향이 수직하지 않고 하측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도 7은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하측면에서 수평면이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은 상측에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개구부의 형상은 각각의 셀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측 트레이(320), 상측 트레이 커버(34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은 하나의 모듈과 같이 결합되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 케이스(300), 상기 상측 트레이(320), 상기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샤트프(440)에 하나의 부재와 같이 함께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9는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측 트레이 커버(360)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은 구형 얼음의 하부를 이룰 수 있도록 반구형상을 가진다.
도 10은 하측 트레이 커버(360), 하측 트레이(380), 하측 트레이 케이스(400), 하측 히터 케이스(42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는 상기 하측 트레이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1은 도 8과 도 10이 결합되고, 회전암(460), 샤프트(440), 푸셔 링크(5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프링(402)에 결합된다. 상기 푸셔 링크(500)의 일단은 상기 상측 푸셔(26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12 및 도 13은 제빙기에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빙기를 측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빙기를 정면에서 바라보면서 물이 급수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2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서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다가,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를 향해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 일부가 겹쳐지기는 하지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완전히 맞물려서 그 내부 공간이 구형 형상을 이루지는 않는다.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물이 트레이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완전히 맞물린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 물의 일부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바깥으로 넘어간다. 다만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을 이격되도록 감싸게 형성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물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넘치지는 않는다.
도 13은 도 12c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인데, 도 13a와 도 13b의 순서로 상태가 변화된다.
도 12c와 같이 상기 필컵(240)을 통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물이 공급될 때에, 상기 필컵(240)은 트레이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22, 324, 326)이 구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도 복수 개의 독립적인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셀(382, 384, 386)이 구비된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배치된 셀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배치되는 셀이 합쳐지면서 하나의 구형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각각의 셀에 차 있는 물이 셀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12c에서와 같이 완전히 결합되지 않고, 전방 측이 벌이진다.
도 13a에서와 같이 물이 좌측에 위치한 셀(322, 382)의 상측에 공급되면, 물은 셀(322, 382)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하측에 위치한 셀(382)를 넘치면, 물은 좌측에 위치한 셀(384, 486)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셀은 각각 서로 완전히 격리되지 않기 때문에, 셀 내에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되면 물은 주변의 셀로 이동되면서 각각의 셀에 물을 모두 채울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의 외부에 마련된 급수 배관에 배치된 급수 밸브에서 정해진 물이 공급된 경우에는 유로를 닫아서, 물이 상기 제빙기(200)로 더 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제빙기에서 이빙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도 12c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셀이 구형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상측 트레이(320)가 완전히 결합되어 각각의 셀에 물이 구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4a의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냉기가 공급되면, 트레이의 셀에는 얼음이 생성된다. 냉기에 의해서 물이 얼음으로 변화되는 동안 도 14a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서로 맞물려서 물이 이동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트레이의 셀에 얼음이 생성되면, 도 14b와 같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는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얼음은 자체적으로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는 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는 상기 상측 푸셔(260)가 하강하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얼음이 붙어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얼음의 하부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거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14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수직한 각도를 넘길 정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얼음이 붙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바닥을 변형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변형되면서 얼음과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접착력이 약화되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후에 얼음은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이스 버킷(600)으로 낙하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 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온도를 측정하는 트레이 온도 센서(700)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800)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모터부(480)를 제어해서, 상기 모터부(480)에서 모터가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빙기(200)에 공급되는 물의 유로를 개폐하는 급수 밸브(740)를 제어해서, 상기 제빙기(200)로 물이 공급되거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480)가 동작되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 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는 제1히터(430)가 마련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는 제2히터(290)가 마련된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배치되어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는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히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와 상기 제2히터(290)에는 상기 제어부(800)의 명령에 따라 전력이 공급되어서,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히터의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도시된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설치된다.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의 상측에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상기 제1히터(430)가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히터(430)은 직선부(432)와 곡선부(4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에서는 모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에는 전류가 흐르면 저항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발열될 수 있다.
상기 직선부(432)는 직선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곡선부(434)는 바깥쪽으로 벌어졌다가 안쪽으로 오무라드는 형태로 대체로 반원의 호를 궤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하나의 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직선부(432)와 상기 곡선부(434)가 번갈아가도록 배치되면서,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이 배치된 위치에, 상기 곡선부(4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은 반구 형상을 이루는데 평단면은 원형을 이루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곡선부(434)는 원형의 호의 일부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단면이 대략 원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6에서는 제1히터(430)만을 위주로 설명했지만, 상술한 내용은 제2히터(29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제2히터(290)도 상기 제1히터(430)와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가 번갈아가면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제1히터(430)와는 달리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설치되어서, 트레이의 상측에 배치된다는 차이가 있다.
도 17은 하측 트레이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복수 개의 셀(322, 324, 326) 중에 하나의 셀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은 대략 반구 형상을 가져서, 물이 채워져 얼음으로 변할 때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의해서 반구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상측 반구 형상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의해서 구현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의 바깥쪽면에는 안착턱(382)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턱(382)는 도 17b에서와 같이 상기 제1히터(430)이 접촉할 수 있는 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안착턱(382)은 양 쪽에 각각 구성되어, 하나의 셀에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턱(382)는 평평한 면을 이루어서, 상기 제1히터(430)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히터(430)는 대략 원형 형상을 이루는데, 상기 안착턱(382)이 상기 제1히터(430)에 의해서 일정 부분이 겹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안착턱(382)을 압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압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대문에, 조립 및 양산 시에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상기 히터(430)와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각각의 셀에는 상기 제1히터(430)의 상기 곡선부(434)가 배치된다. 상기 셀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상기 곡선부(434)가 상기 셀의 하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8은 하측 트레이와 히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밀어 올리기 전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고, 실선으로 표현된 부분은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밀어 올린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상기 제1히터(43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접촉은 하지만 붙어있도록 고정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밀어올리거나 밀어올리지 않는 상태에 무관하게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히터 케이스(420)에 고정되는데, 도 1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하측 케이스(420)는 생략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외력이 가해지면 힘이 가해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변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셀에 얼음이 얼려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하측 푸셔(540)가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변형시키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얼음이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압착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얼려진 얼음을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하측 푸셔(540)이 상기 하측 트레이(420)를 누를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420)는 변형되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상기 제1히터(430)가 접촉되지 않고 떨어진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일체형으로 붙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에 상기 제1히터(430)가 붙어 있는 방식에 비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하기 위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420)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히터(430)의 단선 등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구형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트레이는 물론, 사각 형상의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빙기에서 상측과 하측 트레이가 함께 구비되는 형태이외에도, 하측 트레이만을 구비하는 제빙기에서도 상술한 개념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가 트레이에 열을 가할 때, 즉 얼음이 생성될 때에는 히터와 트레이가 접촉하게 된다. 반면에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분리될 때, 즉 이빙이 이루어질 때에는 히터와 트레이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의 형상에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히터가 손상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에 급수거 되고, 제빙이 된 후에 최종적으로 이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수평을 이루지 않고,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한다. 이때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대략 6도 정도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c에서와 같이 상기 트레이에 급수가 될 때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셀로 공급되는 물은 다른 셀로 퍼져나갈 수 있다.
한편 급수가 완료된 후에 제빙이 진행될 때에는 도 14a에서와 같이 하측 트레이(380)의 상측면이 수평면에 대해서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완전히 결합되어 각각의 셀이 구형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제빙이 될 때에는 상기 셀의 상부에서부터 얼음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히터(430)을 on한다. 즉 상기 제어부(800)에서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히터(4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430)는 상기 트레이의 하부에 배치된다. 반면에 상기 제빙기(100)의 상측에는 덕트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온도가 하강된다. 즉 상기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측은 온도가 낮은 반면에 하측은 온도가 높아서, 상측에 얼음이 생성되는 조건이 만족된다.
트레이의 상측은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얼음이 커져가는데, 물속에 함유된 공기는 얼음에 포집되지 않고, 점점 아래로 빠져나가서 얼음에는 공기가 포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생성된 얼음에는 공기가 포집되지 않고, 투명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성장해 가는데, 상측보다 하측이 온도가 높은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얼음의 생성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얼음이 투명해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트레이의 온도를 측정해서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하강되면, 도 14a에서와 같이 얼음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얼음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하고, 상기 제2히터(290)을 동작시킨다.
상기 제2히터(290)는 얼음 생성이 완료된 후에 열을 공급해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쉽게 분리되는 조건을 만든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상측 히터 케이스(280)에 설치되는데,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열을 가해서, 얼음이 상기 상특 트레이(32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을 가하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얼음이 접촉된 부분이 녹으면서 물로 변화되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트레이의 온도를 측정하고, 트레이의 온도가 일정 온도만큼 상승하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촉한 부분이 녹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4b 및 도 14c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회전시키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상측 푸셔(260)에서 얼음을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밀어낸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는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각각의 셀에 상기 상측 푸셔(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은 각각의 개구부를 통해서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데, 상기 덕트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개구부를 거쳐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냉기에 접촉하면서 물의 온도가 하강하고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회전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상기 하측 푸셔(540)가 눌러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를 변형시킨다. 얼음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되어서, 하측으로 낙하해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9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0은 하측 트레이 온도와 히터의 온도를 설명한 도면이다.
투명빙을 만들기 위해서 트레이의 하부에 히터를 설치할 수 있다. 만약 히터의 용량을 일정하게 투입을 할 경우 제빙을 하는 초기, 즉 상부에 얼음이 만들어질 때에는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가 빠른 반면에, 하단 제빙시에는 속도가 느려서 상부가 상대적으로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된다.
또한 상부를 투명하게 만들기 위해 히터의 발열량을 증가시키면 상부에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려져서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지만, 하단부 얼음 생성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제빙시간이 길어져 제빙량이 줄어들 수 있다.
얼음을 만드는 동안에 히터의 발열량을 일정하게 제어하면, 상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와 하부에 얼음이 만들어지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의 발열량을 변화시켜서,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투명빙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하단에 설치된 상기 제1히터(430)를 통해서 상부에서 하단으로 얼어가는 속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빠르게 얼어가면 에어스크레치(air scratch)가 발생하여 불투명한 얼음이 생성된다. 따라서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얼음 내에 공기가 포집되지 않도록 히터를 이용하여 천천히 얼려야 한다. 냉기는 상측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상부 얼음이 성장할 때는 빠르게 성장하고 하부는 상부에 대비해서 천천이 얼어들어가게 된다. 상부 얼음 성장 속도에 맞추어 히터를 발열하면 하부 얼음생성시 너무 천천히 얼어서 제빙시간이 길어지게 되며, 하부 어는 속도에 맞추어 히터를 발열하면 상부가 불투명한 얼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속도를 확보하면서 투명빙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히터용량을 가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의해서 생성되는 얼음은 전체적으로 3개의 영역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형 얼음은 전체적으로 제1영역(A1), 제2영역(A2), 제3영역(A3)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A1)은 히터 제어가 없어도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는 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물이 만나는 부분으로, 구형 얼음이 초기에 생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만나는 부분은 초기에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유사한 온도분포를 가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A2)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인접하지는 않지만,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형성된 셀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영역은 구형 얼음의 중심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공기가 빠져나가기 어려워서 투명도가 유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제1영역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부분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삼각뿔과 유사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A3)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구비되는 셀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공간이다. 상기 제3영역은 전체적으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히터(430)에 가깝게 배치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에서 발열되는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영역(A3)에 해당되는 부분에 얼음이 생성될 때에 히터의 발열량을 변화시킨다. 나아가 상기 제3영역(A2)에 해당되는 부분에 얼음이 생성될 때에도 상기 제1영역(A1)이나 상기 제3영역(A3)과 얼음이 생성되는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430)의 발열량을 변화시킨다. 즉 상기 제1히터(430)의 온도를 변화시켜서, 얼음이 어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0에서 점선은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표시하고, 실선은 상기 제1히터(430)의 온도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빙기(200)에 물이 급수되고, 일정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1히터(430)는 구동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히터(430)에서는 열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상기 트레이는 가열되지 않는다. 다만 물이 공급될 때에 물의 온도가 제빙기가 위치한 냉동실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트레이의 온도는 일시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히터(430)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은 제1설정 시간 동안 제1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1영역(A1)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1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설정 시간은 대략 45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1용량은 4.5W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2히터(430)을 제2설정 시간 동안 제2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2영역(A2)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2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설정 시간은 대략 195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2용량은 5.5W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3히터(430)을 제3설정 시간 동안 제3용량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얼음은 상기 제3영역(A3)에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히터(430)는 제3온도 범위에서 열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설정 시간은 대략 198분을 의미하고, 상기 제3용향은 4W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를 시작하여 일정시간은 히터를 Off된 후 대기하고 있다가 1차 히팅을 하고 일정온도가 도달하면, 2차 히팅을 하며 또 다음 온도에 도달하면, 3차 히팅을 하고 마지막으로 히터를 off하는 방식으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 범위, 상기 제2온도 범위, 상기 제3온도 범위를 비교해보면 상기 제2온도 범위가 가장 높고, 상기 제1온도 범위가 그 다음으로 높고, 상기 제3온도 범위가 가장 낮다.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생성되는 동안에는 두 번째로 높은 온도 범위로 제1히터를 구동한다.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얼려지는 동안에는 물 안에 포함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공기가 포집될 가능성이 작다. 따라서 가장 높은 온도로 상기 제1히터를 구동하지 않아도 상기 제1영역에서는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A2)에서는 상대적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가 작고, 구형 형상을 기준으로 얼려지는 얼음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를 가장 높은 온도로 구동한다.
상기 제3영역(A3)에서는 상기 히터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얼음이 생성되고, 상기 제1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쉽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히터를 가장 낮은 온도로 구동한다.
상기 제1히터(430)가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으로 구동되거나 상기 제3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에 비해서 짧은 것이 가능하다. 제1용량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제1영역(A1)에 얼음이 생성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상기 제2영역(A2)나 상기 제3영역(A3)에 비해서 생성되는 얼음의 양이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상기 제1용량으로 구동되는 시간은 상기 제2용량이나 상기 제3용량보다 작게 해서, 전체적으로 얼음이 어는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급수를 마친 후에 제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 의해서 측정된 온도를 살펴보면, 대략 0도에서 -8도로 일정한 기울기로 점차 하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온도는 일정한 속도로 하강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에서 생성되는 얼음도 일정한 속도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는 얼음에 포집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어서, 투명한 얼음이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보다 히터를 좀 더 많은 단계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해서, 구형 얼음이 생성된 후에 상기 상측 트레이와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설치된 상기 제2히터(290)을 이용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구비된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이 공급되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형성된 얼음의 바깥면(상기 상측 트레이(320)과 만나는 면)이 가열되면서 물로 변하게 된다. 그리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푸셔(260)는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이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얼음은 하방에서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얼음이 완성된 후에 얼음을 이빙하기 위해서, 도 14a의 상태에서 우선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한다. 상기 제2히터(290)에서 열을 공급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은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는 상기 트레이 온도 센서(700)에서 측정된 트레이 온도가 상승되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한다.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는 동안에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이동시키지 않고,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즉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형성된 셀에 차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부착된 얼음을 가열한다.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한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하는 얼음의 표면이 녹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설정 각도 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되는 각도는 도 14b에 도시된 만큼이 아니라, 도 14a(하측 트레이가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도 14b(하측 트레이가 90도 이상 회전된 상태)의 중간에 위치하는 대략 10~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정 각도는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는 각도이다. 상기 설정 각도만큼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잔존할 수 있는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대략 10~45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이 구동되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위치한 얼음은 상기 제2히터(290)로부터 거리가 멀어져 있고,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 상태이기 때문에 얼음이 과도하게 녹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되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된 가능성이 높은 상태에서도 상기 제2히터(290)를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라면 추가로 얼음을 가열할 수 있다. 즉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접한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히터(290)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와 얼음이 맞닿은 면이 물로 변화되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됨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이미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제2히터(290)에서 공급되는 열은 전도 방식으로는 얼음에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 분리된 얼음이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2히터(290)의 구동을 중지한다. 즉 상기 제2히터(290)이 열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히터(290)이 꺼진 후에도 일정 시간(대략 1~10분)을 대기한 후에, 도 14c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상기 하측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는 점까지 회전시킨다. 즉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열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설정 각도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으로부터 아직 떨어지지 않은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져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남아 있는 물도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 떨어지고, 상기 아이스 버킷(600)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얼음이 아이스 버킷이나 다른 얼음과 엉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에서 만빙을 감지하는 종래기술은 만빙감지부를 상하로 작동하는 방식이 있다. 트레이에 물을 공급한 후에 트레이를 뒤틀어서 얼음을 트레이로부터 배출하는 방식인 트위스팅(twisting type) 제빙기는 레버를 상하로 동작시켜서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즉 레버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얼음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레버가 아래로 충분히 내려가는 경우에는 트레이의 하부에 얼음이 충분히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레버가 아래로 충분히 내려가지 않는 경우에는 트레이의 하부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배출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가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로 구성되어 있어서, 트위스팅 제빙기에 비해서 트레이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얼음을 저장할 수 있는 아이스버킷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하로 이동되어서 얼음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레버를 이용할 경우에는 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얼음은 감지할 수 있지만 레버의 하부를 벗어나는 측면에 위치하는 얼음은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도 21에서는 상기 아이스 버킷(600)에 얼음이 추가로 저장될 공간이 있는 경우(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1a에서와 같이, 얼음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되기 전에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에 접촉해서 붙어 있는 면을 녹이고,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히터(290)가 구동되는 경우에 도 21b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상측 푸셔(260)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의 상측을 관통해서 얼음을 눌러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290)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측 트레이(320)로부터 충분히 분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상측 푸셔(260)에 의해서 얼음 분리가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되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도 함께 회전된다. 도 21b의 위치까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이동이 얼음에 의해서 방해되지 않으면, 도 21c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추가로 회전되면서 얼음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시계 방향으로 계속 회전된다.
이때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은 도 21b의 위치에서 멈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초기에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함께 회전되지만,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충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회전되지 않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만 더 회전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회전되는 각도는 대략 아이스버킷(600)의 바닥면 즉, 수평면에 대해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각도인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수평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한 각도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회전이 멈추는 각도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일단이 회전되면서 가장 하부까지 하강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상기 모터부(480)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서, 하나의 회전 반경을 그리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회전축에 의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정지해 있을 때와는 달리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이동하는 궤적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만빙감지레버(520)도 회전에 의한 방식으로 만빙을 감지하기 때문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보다 낮은 높이까지 회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의 길이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의 일단보다 길게 연장되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해야 한다. 즉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은 상기 모터부(480)에 마련되는 회전축에 연결되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이 회전될 때에 회전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얼음이 완성된 후에 회전되기 때문에, 만빙여부는 얼음이 완성된 후에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하이동방식이 아닌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스윙타입이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회전궤적을 따라 움직이면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이동된 후에, 도 21d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반 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도 21b와 같은 위치까지 회전되기 전에는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도 21b와 같이 회전되는 각도에 도달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는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함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초기 위치인 도 21a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22a에서와 같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하부에 얼음이 저장되어 있어서, 추가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을 저장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만빙이라고 판단해서 얼음을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이동시키지 않는다.
우선 얼음이 완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2히터(290)을 구동해서, 상기 상측 트레이(320)으로부터 얼음을 분리한다. 이 과정은 도 21a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반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도 22a에서와 같이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도 21b까지 회전되기 전에 도 22b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20)가 얼음에 닿아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얼음이 차있다(만빙) 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을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고, 트레이에 급수가 되는 급수 위치(도 22c)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를 함께 회전시켜서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도 22d와 같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추가로 만빙여부를 다시 감지한다. 즉 다시 상기 하측 트레이(380)와 상기 만빙감지레버(5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만빙여부를 감지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만빙이 감지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21 및 도 22와는 달리 만빙감지레버의 두께가 더 넓은 형태이다. 와이어보다는 두꺼운 바의 형태로 구비되어서, 아이스버킷(600)에 담겨지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서는 일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바닥에 경사판(610)이 배치된다. 상기 경사판(610)은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바닥에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저장되는 얼음이 일정 방향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경사판(610)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가까운 부분은 높이가 높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에 먼 부분은 높이가 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낙하된 얼음은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멀어지도록 안내된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해서 설명하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아이스버킷(600)이 만빙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 23b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하측 트레이(380)는 추가로 회전되면서 얼음을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낙하해서 이동시킨다.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모여진 얼음은 상기 경사판(610)의 높이차로 인해서, 상기 하측 트레이(380)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모인다.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얼음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 감지되지 않면 상기 아이스버킷(600)이 만빙되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도 24a에서와 같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가 얼음에 닿으면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와 상기 하측 트레이(380)은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되지 않고, 다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서 원래 위치에 복귀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만빙감지레버(530)를 다시 회전시켜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내부에 얼음을 감지한다.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을 다시 회전시키는 이유는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부터 얼음을 인출하였거나 상기 만빙감지레버(530)에서 만빙여부를 감지하는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용된 상기 경사판(610)은 일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형 얼음을 제빙하는 경우에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깊이가 길면 상기 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으로 낙하할 때에 얼음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아이스버킷(600)의 두께는 구형 얼음이 저장될 수 있되, 가능하면 깊이가 얕은 것이 좋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 상기 아이스버킷(600)의 깊이가 얕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얼음의 저장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저장되는 얼음은 순차적으로 일정한 장소로 이동시켜서, 얼음이 상기 아이스버킷(600)에 고르게 펴질 수 있도록 해서 얼음 저장공간을 넓게 활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셀을 구비하는 상측 트레이;
    상기 상측 트레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측 트레이의 복수 개의 셀에 결합해서 얼음이 얼려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셀을 구비하는 하측 트레이;
    상기 하측 트레이에서 분리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버킷; 및
    상기 하측 트레이와 일정 각도 만큼 함께 회전하는 만빙감지레버;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트레이에 마련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동작되기 전에 구동되기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면, 만빙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도 회전을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얼음에 의해서 회전을 멈추면, 상기 하측 트레이와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기존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는 상기 하측 트레이와 함께 회전되다가 얼음에 의해서 걸리지 않으면, 만빙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정해진 위치까지 회전되면, 상기 만빙감지레버가 회전되지 않더라도 상기 하측 트레이는 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버킷은 경사지게 마련되어서, 얼음을 상기 하측 트레이로부터 멀어지게 모으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180117784A 2018-10-02 2018-10-02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65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784A KR102665703B1 (ko) 2018-10-02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7/282,302 US11674730B2 (en) 2018-10-02 2019-10-01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PCT/KR2019/012877 WO2020071764A1 (ko) 2018-10-02 2019-10-01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9869812.8A EP3862682A4 (en) 2018-10-02 2019-10-01 ICE MAKING MACHINE AND REFRIGERATOR WITH IT
US18/137,580 US20230251007A1 (en) 2018-10-02 2023-04-21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784A KR102665703B1 (ko) 2018-10-02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095A true KR20200038095A (ko) 2020-04-10
KR102665703B1 KR102665703B1 (ko) 2024-05-14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35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KR20200038118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79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103488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51119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3809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38096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38093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65703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662710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210341201A1 (en) Refrigerator
KR20210005498A (ko) 냉장고
KR20200038107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798A (ko) 냉장고
US202303240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20230251007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85988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74044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210005797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8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30031261A (ko) 냉장고
KR20210005792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038116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79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00144915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