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49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498A
KR20210005498A KR1020190081750A KR20190081750A KR20210005498A KR 20210005498 A KR20210005498 A KR 20210005498A KR 1020190081750 A KR1020190081750 A KR 1020190081750A KR 20190081750 A KR20190081750 A KR 20190081750A KR 20210005498 A KR20210005498 A KR 20210005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heater
water supply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승섭
이동훈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5498A/ko
Priority to US17/282,672 priority patent/US20210341201A1/en
Priority to EP19869919.1A priority patent/EP3862684A4/en
Priority to PCT/KR2019/012878 priority patent/WO2020071765A1/ko
Publication of KR20210005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12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 물이 상기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2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히터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통상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개시된다.
선행문헌1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1의 경우, 반구 형태의 상부 셀 및 반구 형태의 하부 셀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으나, 얼음이 상부 셀 및 하부 셀에서 동시에 생성되므로, 물에 포함된 기포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고, 기포 들이 물 내부에서 분산되어 생성된 얼음이 불투명한 단점이 있다.
선행문헌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69172호(이하 "선행문헌2"라 함)에는 제빙장치가 개시된다.
선행문헌2의 제빙장치는, 제빙접시와, 제빙접시에 공급된 물의 저부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선행문헌2의 제빙장치의 경우, 제빙 과정에서 히터에 의해서 제빙 블록의 한 쪽면 및 밑면의 물이 가열된다. 따라서, 수면 측에서 응고가 진행되고, 물 내에서는 대류가 일어나게 되어, 투명 빙이 생성될 수 있다.
투명 빙의 성장이 진행되어, 제빙 블록 내에 물의 부피가 작아지면 서서히 응고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응고 속도에 적당한 충분한 대류가 일으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2의 경우, 물의 대략 2/3 정도 응고되었을 때, 히터의 가열량을 증가시켜, 응고 속도의 상승을 억제한다.
그런데, 선행문헌2에 의하면, 단순히 물의 부피가 줄어들었을 때, 히터의 가열량을 증가시키므로, 얼음의 형태에 따라 균일한 투명도를 가지는 얼음을 생성하기 어렵다.
본 실시 예는, 형태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구형 얼음의 생성이 가능하면서, 구형 얼음의 단위 높이 별로 투명도가 균일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제빙셀 내의 물과 저장실 내의 냉기 사이의 열전달량 가변에 대응하여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 및/또는 냉기공급수단의 냉력을 가변하여,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테스트 모드 시작 명령 입력 시 신속하게 구동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 물이 상기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2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히터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트레이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제빙셀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급수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급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급수 완료 후,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인 만빙 감지 위치와 상기 급수 위치 사이의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할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빙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인 만빙 감지 위치와 상기 급수 위치 사이의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제빙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작동하는 이빙용 히터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를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냉기공급수단이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히터를 온시키므로, 히터의 열에 의해서 제빙 속도가 지연되어,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수단의 냉력 및 상기 히터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빙셀의 형태와 무관하게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빙셀 내의 물과 저장실 내의 냉기 사이의 열전달량 가변에 대응하여 투명빙 히터의 가열량 및/또는 냉기공급수단의 냉력을 가변하여, 전체적으로 투명도가 균일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히터의 작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바로 오프시킨 후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므로, 지연 시간 없이 상기 구동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의 제빙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 설치되는 제 2 온도 센서를 보여주기 위한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빙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제빙셀에 대한 투명빙 히터의 상대 위치에 따른 높이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이빙 과정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이빙 과정에서 만빙이 감지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만빙 감지 이후 재차 만빙을 감지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냉장고가 온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가 초기 위치인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은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테스트 모드에서의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캐비닛(14)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4)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32)은 하측에 배치되어서, 각각의 도어에 의해서 각각의 저장실이 개별적으로 개폐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하측에 냉장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좌우 양측 중 일측에 냉동실이 배치되고, 타측에 냉장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동실(32)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이 서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공간에는,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입이 가능한 드로워(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냉장실(18)과 냉동실(32)을 개폐하는 복수 개의 도어(10, 20, 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어(10, 20, 30)는 회전되는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0, 20)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32)은 하나의 도어(30)에 의해서 개폐가 가능하더라도,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동실(32)을 제1저장실이라 할 수 있고, 상기 냉장실(18)을 제2저장실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32)에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제빙기(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일례로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의 하부에는 상기 제빙기(200)에서 생산된 얼음이 낙하되어 보관되는 아이스 빈(60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스 빈(600)을 상기냉동실(32)에서 꺼내서,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600)은 상기 냉동실(32)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구획하는 수평 벽의 상측에 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캐비닛(14)에는 상기 제빙기(20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덕트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는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제빙기(200) 측으로 안내한다.
일례로, 상기 덕트는 상기 캐비닛(14)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4)의 전방을 향해서 냉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덕트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덕트의 토출구는 상기 냉동실(32)의 후측벽 및 상측벽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냉동실(32)에 상기 제빙기(2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빙기(200)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은 상기 냉동실(32)에 제한되지 않으며,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한 다양한 공간에 제빙기(200)가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브라켓이 제거된 상태의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 설치되는 제 2 온도 센서를 보여주기 위한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에 위치할 때의 제빙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상기 브라켓(2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서, 상기 제빙기(200)는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20)은 일례로 상기 냉동실(32)의 상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20)의 내측면 상측에는 급수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개구부가 마련되어서, 상기 급수부(240)의 상측으로 공급되는 물을 상기 급수부(240)의 하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의 상측 개구부는 하측 개구부보다 커서, 상기 급수부(240)를 통해서 하부로 안내되는 물의 토출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의 상측으로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로 공급된 물은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급수 배관에서 토출되는 물이 높은 위치에서 낙하되지 않도록 해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급수 배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상기 급수부(240)까지 튀지 않고 하방으로 안내되고, 낮아진 높이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물이 튀는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물이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제빙셀(320a)을 제공하기 위한 벽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빙셀(320a)을 제공하기 위한 벽의 적어도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3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빙셀(320a)은, 제 1 셀(320b)과 제2셀(320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 1 셀(320b)을 정의하고,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셀(320c)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직선 운동하거나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회전 운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례로,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이동하여,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접촉하면 완전한 상기 제빙셀(320a)이 정의될 수 있다.
반면, 제빙 완료 후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이동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320a)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상부 트레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하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복수의 제빙셀(320a)이 정의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례로 3개의 제빙셀(320a)이 형성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제빙셀(320a)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면, 상기 제빙셀(320a)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례로 상기 제빙셀(320a)은 구 형태 또는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셀(320b)은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셀(320c)은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셀(320a)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결합되는 제 1 트레이 케이스(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는 상기 브라켓(220)과 별도의 물품으로 제조되어 상기 브라켓(220)에 결합되거나 상기 브라켓(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제 1 히터 케이스(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케이스(280)에는 이빙용 히터(2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케이스(280)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빙용 히터(29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빙용 히터(290)는 일례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빙용 히터(29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이빙용 히터(29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공급된 열은 상기 제빙셀(320a)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1 트레이 커버(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커버(34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제빙셀(320a) 형상에 대응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측은 경사지고, 하측은 수직하게 연장된 가이드 슬롯(3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02)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302)에는 후술할 제 1 푸셔(260)의 가이드 돌기(26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푸셔(260)는 상기 제빙셀(320a)의 갯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연장부(26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264)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264)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320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에는 상기 제 1 푸셔(26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30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260)의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262)는 상기 푸셔 링크(500)에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셔 링크(500)가 움직이면 상기 제 1 푸셔(260)도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결합되는 제 2 트레이 케이스(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 2 셀(320c)을 형성하는 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는 스프링(40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02)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제 2 트레이 커버(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일부를 둘러싸는 둘레벽(3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360)는, 상기 둘레벽(382)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제 2 히터 케이스(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에는 투명빙 히터(4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제어부(800)는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320a)에 냉기가 공급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빙셀(320a)에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음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빙기(2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즉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상기 제빙셀(320a)의 외부로 탈출하거나 상기 제빙셀(320a) 내에 일정한 위치로 포집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셀(320a)에 후술할 냉기공급수단(900)이 냉기를 공급할 때,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빠르면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지 못한 채 결빙되어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빙셀(320a)에 냉기공급수단(900)이 냉기를 공급할 때,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느리면 상기 문제점이 해소되어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는 높아 질 수 있으나, 제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빙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줄이면서,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빙셀(320a)에 대해 국부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셀(320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빙셀(320a)의 일측에 배치된 경우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의 타측으로 쉽게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일 수 있다.
한편, 이빙 과정에서 트레이(320, 380)에 부착된 얼음이 잘 분리되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을 포함한 수지 (resin) 일 수 있다.
한편, 이빙 과정에서 푸셔(260, 540)에 의해 변형된 트레이가 원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시블 혹은 연성 재질일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일례로 와이어 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2 히터 케이스(42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상기 투밍빙 히터(430)가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상기 투명빙 히터(43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열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공급된 열은 상기 제빙셀(320a)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의 일측에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81)에는 관통공(28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의 일측에 연장된 연장부(403)에는 관통공(4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관통공(282, 404) 들을 함께 관통하는 샤프트(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40)의 양단에는 회전 암(460)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440)는 상기 구동부(48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암(46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402)의 일단에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링(402)이 인장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암(460)의 위치가 초기 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스윙 타입의 레버일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600)의 내부를 가로지른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제 1 부분(521)과, 상기 제 1 부분(521)의 양단에서 상기 제 1 부분(52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2 부분(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521)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회전 중심의 연장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부분(52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부(48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브라켓(220) 또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200)는, 제 2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는, 상기 브라켓(2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는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5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푸셔(540)는 상기 제빙셀(320a)의 갯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연장부(544)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장부(544)는, 상기 제빙셀(320a)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544)는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를 관통하여 상기 제빙셀(320a)을 형성하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접촉될 수 있고, 접촉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에는 상기 제 2 푸셔(54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홀(4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는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400)와 상기 샤프트(440)에 대해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샤프트(440)를 중심으로 각도가 변화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될 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변형되면서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에 의해서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 및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얼음과 상기 제 2 트레이(380) 간의 결합력 또는 부착력이 줄어들 수 있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 및 플렉서블 또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 상기 제 2 푸셔(540)의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원래의 형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얼음의 결합력 또는 분리적이 강하므로, 본 실시 예의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제 1 푸셔(26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제 1 푸셔(260) 중 하나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제 1 푸셔(26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접촉 부위에서 실링 성능이 유지되도록,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경도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경도는 다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 형태 변형이 되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형태 변형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경도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경도 보다 낮을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온도 센서(또는 트레이 온도 센서)(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제빙셀(320a)의 내부 온도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접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온도 또는 얼음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일부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 연결된 전선(701)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300)의 상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제빙기(2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가 급수 위치와 제빙 위치가 다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빙셀(320a) 중 제 2 셀(320c)을 정의하는 제 2 셀 벽(381)과, 상기 제 2 셀 벽(38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둘레 벽(3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셀 벽(381)은 상면(381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인 것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은 상기 둘레벽(381)의 상단부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상기 제빙셀(320a) 중 제 1 셀(320b)을 정의하는 제 1 셀 벽(32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셀 벽(321a)은 직선부(321b)와 곡선부(3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21c)는 상기 샤프트(440)의 중심을 곡률 반경으로 하는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둘레벽(381)도 상기 직선부(321b)와 상기 곡선부(321c)에 대응하는 직선부 및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셀 벽(321a)은 하면(321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b)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b)인 것으로 언급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은 상기 제 2 셀 벽(381a)의 상면(381a)과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은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과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의 적어도 일부는 이격될 수 있다.
도 6에는 일례로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과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의 전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은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은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방에서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둘레벽(382)은 상기 제 1 셀 벽(321a)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벽(382)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 위치(도 12 참조)에서,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은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d)이 이루는 각도는,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2a)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d)이 이루는 각도 보다 작다.
상기 제빙 위치에서는,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이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셀 벽(381)의 상면(381a)과 상기 제 1 셀 벽(321a)의 하면(321d)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급수 위치와 상기 제빙 위치가 다른 이유는 상기 제빙기(200)가 복수의 제빙셀(320a)을 포함하는 경우, 각 제빙셀(320a) 간의 연통을 위한 물 통로를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또는 제 2 트레이(380)에 형성하지 않고, 복수의 제빙셀(320a)로 물이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복수의 제빙셀(320a)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또는 제 2 트레이(380)에 물 통로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빙기(200)로 공급된 물은 물 통로를 따라서 복수의 제빙셀(320a)로 분배된다.
그런데, 물이 복수의 제빙셀(320a)로 분배 완료된 상태에서, 물 통로에도 물이 존재하게 되고, 이 상태로 얼음이 생성되면, 제빙셀(320a)에서 생성되는 얼음이 물 통로 부분에서 생성되는 얼음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 경우, 이빙 완료 후에도 얼음이 들이 서로 붙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고, 설령 얼음이 서로 분리되더라도 복수의 얼음 중 일부 얼음은 물 통로 부분에서 생성된 얼음을 포함하게 되므로, 얼음의 형태가 제빙셀의 형태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이격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낙하된 물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복수의 제 2 셀(320c)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연통홀(32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하나의 제 1 셀(320b)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하나의 연통홀(32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복수의 제 1 셀(320b)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트레이(320)는 복수의 연통홀(321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40)는 상기 복수의 연통홀(321e) 중 일 연통홀(321e)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일 연통홀(321e)을 통해 공급된 물은 상기 제 1 트레이(320)를 지난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낙하된다.
급수 과정에서, 물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복수의 제 2 셀(320c) 중 어느 한 제 2 셀(320c)로 낙하될 수 있다. 어느 한 제 2 셀(320c)에 공급된 물이 상기 어느 한 제 2 셀(320c)에서 넘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d)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어느 한 제 2 셀(320c)에서 넘친 물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제 2 셀(320c)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복수의 제 2 셀(320c)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또한,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급수된 물의 일부는 상기 제 2 셀(320c)에 가득채워지고, 급수된 물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체적에 따라서, 급수 완료 시의 물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 사이 공간에만 위치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 사이 공간 및 상기 제 1 트레이(320) 내에도 위치될 수 있다(도 12 참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빙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 사이 공간의 물이 상기 복수의 제 1 셀(320b)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또는 제 2 트레이(380)에 물 통로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빙셀(320a)에서 생성되는 얼음이 물 통로 부분에도 생성된다.
이 경우에 투명빙을 생성하기 위해 냉장고의 제어부가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의 단위 높이당 질량에 따라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이 가변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상기 물 통로가 형성된 부분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이 몇 배이상 급격히 가변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물 통로가 형성된 부분에서 물의 단위 높이당 질량이 몇 배이상 급격히 증가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부품의 신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최대출력과 최소출력의 폭이 큰 고가의 부품을 사용할 수 있어, 소비전력 및 부품의 원가 측면에서도 불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투명빙을 생성하기 위해서도 전술한 제빙 위치와 관련된 기술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32)(또는 제빙셀)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상기 냉동실(32)로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냉매를 압축하기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출력(또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증발기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출력(또는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의 량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밸브에 의한 개도 조절에 의해서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32)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은, 상기 압축기, 팬 및 냉매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급수부(24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급수 밸브(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 상기 투명빙 히터(430), 상기 구동부(480), 냉기공급수단(900), 급수 밸브(242)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기(200)가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출력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다를 수 있다.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다른 경우,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출력 단자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단자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 두 출력 단자의 오체결이 방지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출력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빙용 히터(290)에 의해서 신속하게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빙용 히터(29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앞서 설명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동실(32)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33)(또는 고내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1 온도 센서(33)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아이스 빈(600)의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만빙감지수단(9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빙감지수단(950)은,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와, 상기 구동부(480)에 구비되는 자석 및 상기 자석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9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952)는 일례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캠과,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버에 상기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이동 레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자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80)의 복수의 기어 중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결합되는 제 1 기어는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어는 탄성 부재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있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2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1 기어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보다 큰 저항이 작용하면 상기 제 1 기어는 상기 제 2 기어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보다 큰 저항이 작용하는 경우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이빙 과정에서 얼음에 걸린 경우이다(만빙인 경우). 이 경우 상기 제 1 기어가 상기 제 2 기어와 이격될 수 있어, 기어 들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어 및 캠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은 상기 제 2 기어와 연결되거나 상기 제 2 기어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자석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출력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 중 어느 하나는 High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low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캠의 둘레면은 상기 제 2 트레이(380)(또는 만빙 감지 레버(520))가 제빙 위치에서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의 둘레면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의 둘레면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에서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0)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를 지난 이후에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출력되는 경우에는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어부(800)는, 이빙 과정에서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센서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만빙감지수단(950)은, 상기 아이스 빈(600)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면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으면 만빙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가 상기 제빙기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상기 아이스 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 별로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 및 시간이 다르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만빙 감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트레이(380)도 만빙 감지 위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조작부(8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810)를 통해 제빙기의 온 또는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가 온되면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가 오프되면 상기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조작부(810)를 통해 제빙기(200)의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테스트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빙셀에 대한 투명빙 히터의 상대 위치에 따른 높이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빙셀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빙 과정에서 만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이빙 과정에서 만빙이 감지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만빙 감지 이후 재차 만빙을 감지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2의 (b)는 제 2 트레이 및 만빙 감지 레버가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2의 (c)는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의 (d)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킨다(S1).
본 명세서에서, 도 12의 (a)의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도 12의 (c)의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정방향 이동(또는 정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반면, 도 12의 (c)의 이빙 위치에서 도 13의 (d)의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역방향 이동(또는 역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급수가 시작된다(S2).
급수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급수 밸브(242)를 온시키고, 제 1 급수량 만큼의 물이 공급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급수 밸브(24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일례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도시되지 않은 유량 센서에서 펄스가 출력되고, 출력된 펄스가 기준 펄스에 도달하면, 급수량 만큼의 물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3).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서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e)과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e)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제 2 셀(320c)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과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e)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제 1 셀(320b)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제빙 위치 이동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S4).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도달하고, 급수 시간이 설정 시간 경과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냉기가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빙이 시작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이 상기 제빙셀(320a)로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제빙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320a)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빙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제빙기(2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이 시작되고 바로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되어야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될 수 있다(S6).
일반적으로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되는 물은 상온의 물이거나 상온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일 수 있다. 이렇게 급수된 물의 온도는 물의 어는점 보다 높다.
따라서, 급수 이후 냉기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낮아지다가 물의 어는점에 도달하면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기 전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온시키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상기 제빙셀(320a)에 공급된 물의 온도가 어는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에 의해서 물의 온도가 어는점에 도달하는 속도가 느려져 결과적으로 얼음의 생성 시작이 지연된다.
얼음의 투명도는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 이후에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의 기포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얼음이 생성되기 전부터 제빙셀(320a)로 열이 공급되면, 얼음의 투명도와 무관하게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작동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이후에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는 경우, 불필요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작동에 따라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제빙 시작 후 바로 온되더라도 투명도에는 영향이 없으므로, 제빙 시작 후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설정된 특정 시점으로 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시점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 되기 이전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시점은 제빙을 위해 냉기공급수단(900)이 냉력을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할 시점, 급수 공급이 완료된 시점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상기 제빙셀(320a)의 최 상측(연통홀 측)에서 물이 얼기 시작한 것임을 판단하기 위한 온도일 수 있다.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일부가 어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다.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얼음의 온도 보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온도가 높을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셀(320a)에는 물이 존재하기는 하나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는 영하의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하였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온 기준 온도는 영하 이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온 기준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온 기준 온도는 영하의 온도이므로, 상기 제빙셀(320a)의 얼음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로서 상기 온 기준 온도 보다 낮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얼음이 생성된 것임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열이 상기 제빙셀(320a) 내로 전달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열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320a)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이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액체 상태의 물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의 밀도는 얼음의 밀도 보다 크므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물 또는 기포가 대류할 수 있으며, 상기 투명빙 히터(430) 측으로 기포가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빙셀(320a)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빙셀(320a)이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동일하다.
반면, 상기 제빙셀(320a)이 구형이나 역삼각형, 초승달 모양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또는 부피)은 다르다.
만약,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동일하면,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다르므로,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반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이 큰 경우에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느리다.
결국,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일정하지 못하게 되어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빠른 경우, 기포가 얼음에서 물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얼음이 기포를 포함하게 되어 투명도가 낮을 수 있다.
즉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의 편차가 작을수록 생성된 얼음의 단위 높이 당 투명도의 편차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상기 압축기의 출력 가변, 팬의 출력 가변 및 상기 냉매밸브의 개도가 가변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의 가변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 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듀티를 가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듀티는,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온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거나, 1회 주기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오프 시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빙셀(320a) 내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은, 상기 제빙셀(320a)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와 같이 제빙셀(320a)의 바닥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연결하는 선은 수평선이고, 상기 수평선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이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이 된다.
도 10의 (a)의 경우에는 제빙셀(320a)의 최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얼음이 생성되고, 성장하게 된다.
반면, 도 10의 (b)와 같이 제빙셀(320a)의 바닥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높이가 다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셀(320a)의 서로 다른 높이에서 제빙셀(320a)로 열이 공급되므로, 도 10의 (a)와 다른 패턴으로 얼음이 생성된다.
일례로, 도 10의 (b)의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 최상측에서 좌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얼음이 생성되고, 투명빙 히터(430)가 위치되는 우측 하방으로 얼음이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b)의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수직한 선(기준선)이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의 단위 높이의 기준이 된다. 도 10의 (b)의 기준선은 수직선에서 소정 각도 경사진다.
도 11은 도 10의 (a)와 같이 투명빙 히터가 배치된 경우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 구분 및 단위 높이 당 투명빙 히터의 출력량을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물의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일정해지도록 투명빙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빙셀(320a)이 일례로 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최대가 되고,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일례로 직경이 50mm인 구 형태의 제빙셀(320a)내의 물(또는 제빙셀 자체)을 6mm 높이(단위 높이)로 9개의 구간(A 구간 내지 I 구간)으로 구분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때, 단위 높이의 크기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을 단위 높이로 구분하는 경우, 구분되는 각 구간 별 높이는 A 구간 내지 H 구간은 동일하고, I 구간은 나머지 구간 보다 높이가 낮다. 물론, 상기 제빙셀(320a)의 직경 및 구분되는 구간의 개수에 따라서, 구분되는 모든 구간의 단위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
다수의 구간 중에서 E 구간은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대인 구간이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대인 구간은, 상기 제빙셀(320a)이 구 형태인 경우, 상기 제빙셀(320a)의 직경, 상기 제빙셀(320a)의 수평 단면적 또는 원주 둘레가 최대인 부분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이 일정하고,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일정한 경우를 가정할 때, E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느리고, A구간 및 I 구간에서의 얼음 생성 속도가 제일 빠르다.
이러한 경우,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생성 속도가 달라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달라지게 되고, 특정 구간에서는 얼음의 생성 속도가 너무 빨라 기포를 포함하여 투명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물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면서,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이 생성되는 속도가 동일하거나 유사해지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 구간의 질량이 가장 크므로, E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5)이 최소로 설정될 수 있다.
E 구간의 질량 보다 D 구간의 질량이 작으므로, 질량이 작아지는 만큼 얼음의 생성 속도가 빨라지므로, 얼음 생성 속도를 지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D 구간에서의 상기 투밍빙 히터(430)의 출력(W4)은 E 구간에서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5) 보다 높다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C 구간의 질량이 D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C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3)은 D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4)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B 구간의 질량이 C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B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2)은 C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3)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A 구간의 질량이 B 구간의 질량 보다 작으므로, A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1)은 B 구간의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W2) 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에 의해서, E 구간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줄어드므로, E 구간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증가될 수 있다(W6, W7, W8, W9 참조).
따라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변화 패턴을 살펴보면,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된 후에, 최초 구간에서 중간 구간 까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소인 구간인 중간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최소가 된다.
상기 중간 구간의 다음 구간에서부터는 다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생성되는 얼음의 형태나 질량에 따라서, 인접하는 두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동일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C구간과 D구간의 출력이 동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적어도 2개 구간에서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단위 높이당 질량이 가장 작은 구간 외의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D 구간 또는 F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일 수 있다. E 구간에서의 상기 투명빙 히터(430)이 출력이 최소 출력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초기 출력이 최대일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 출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각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감소하거나, 적어도 2개 구간에서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은 상기 최소 출력에서 종료 출력까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종료 출력은 상기 초기 출력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최소 출력에서 종료 출력까지 각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적어도 2개 구간에서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구간 중 마지막 구간 이전의 어느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마지막 구간에서는 종료 출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이 된 후에는 상기 종료 출력이 마지막 구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제빙이 수행될 수록 상기 제빙셀(320a)에 존재하는 얼음의 양은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이 출력이 마지막 구간이 될때까지 계속 증가되면,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되는 열이 과하게 되어 상기 마지막 구간 종료 후에도 상기 제빙셀(320a) 내에 물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마지각 구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구간에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이 종료 출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 제어에 의해서 단위 높이 별로 얼음의 투명도가 균일해지고, 최하측 구간으로 기포가 모이게 된다. 따라서, 얼음 전체적으로 볼때, 국부적인 부분에 기포가 모이고 그 외 나머지 부분은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셀(320a)이 구 형태가 아니라도, 상기 제빙셀(320a) 내의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경우,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큰 경우의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은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작은 경우의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보다 작다.
일례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반비례 하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큰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증가시키고,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하는 경우의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가변 패턴을 살펴보면, 제빙 과정 중, 최초 구간에서 중간 구간 까지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이 최소인 구간인 중간 구간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최대가 된다.
상기 중간 구간의 다음 구간에서부터는 다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는,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킴으로써, 투명한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비례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을 가변시키고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반비례 하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물의 단위 높이 별 질량에 따라서, 냉기공급수단(900)의 냉력 및 투명빙 히터(430)의 가열량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경우, 물의 단위 높이 당 얼음의 생성 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킬 수 있다(S9).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와 각 제빙셀(320a) 간의 거리가 다르므로, 모든 제빙셀(320a)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후 또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상기 제 1 기준 온도 보다 낮은 제 2 기준 온도에 도달하면 이빙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오프되면 바로 이빙이 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킨다(S10).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이 온되면, 히터(290, 430)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상기 제 2 트레이(380)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제 2 트레이(380) 중 하나 이상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290, 430)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접촉면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하면(321d)과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상면(381a) 간에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상기 투명빙 히터(430) 중 하나 이상이 설정 시간 작동되거나,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오프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어부(800)은 온된 히터(290, 430)를 오프시킨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오프 기준 온도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킨다(S12).
도 13과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력이 상기 푸셔 링크(500)에 의해서 상기 제 1 푸셔(26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기 가이드 슬롯(302)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상기 연장부(264)가 상기 연통홀(321e)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제빙셀(320a) 내의 얼음을 가압한다.
본 실시 예에서, 이빙 과정에서, 상기 연장부(264)가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온된 히터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히터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32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 1 트레이(32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정 방향 이동 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연통홀(320e)을 통과한 상기 연장부(264)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지 않더라도 도 14와 같이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가압되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푸셔(540)의 연장부(544)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장부(544)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변형되고, 상기 연장부(544)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600)에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푸셔(540)에 의해서 가압되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에서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빈(600)의 만빙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S12).
일례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센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신호가 출력되므로,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제 1 바디(521)는 상기 아이스 빈(600)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 빈(600)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 1 바디(521)까지의 최대 거리는 상기 제빙셀(320a)에서 생성되는 얼음의 반경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바디(521)가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을 들어올려 얼음이 상기 아이스 빈(600)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 1 바디(521)는 상기 제 2 트레이(380)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이격된다.
반면,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만빙 감지 레버(520)가 얼음에 의해서 간섭되면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00)는, 이빙 과정에서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센서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거나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센서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도 12의 (c)와 같이 이빙 위치로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4).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급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S1).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킨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연장부(544)와 이격되면, 변형된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역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력이 상기 푸셔 링크(500)에 의해서 상기 제 1 푸셔(260)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푸셔(260)가 상승하고, 상기 연장부(264)는 상기 제빙셀(320a)에서 빠지게 된다.
한편, 단계 S1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아이스 빈(600)이 만빙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5).
즉, 본 실시 예에서는 만빙감지수단에 의해서 만빙이 최초로 감지되더라도 상기 제 2 트레이(380)에서 얼음이 분리시키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6).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7).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재차 만빙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S19).
일례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만빙 감지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소정 주기로 만빙 감지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9에서 판단한 결과, 만빙이 감지되면 다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한다.
반면, 단계 S19에서 판단한 결과, 만빙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만빙 감지 위치에서 이빙 위치로 이동한 후에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만빙 위치에서 역 방향 이동되어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만빙 감지되는 경우에도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만약, 제빙 완료 후, 만빙이 감지되어 제빙셀(320a)에 얼음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대기하는 경우, 정전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상기 제빙셀(320a)의 얼음이 녹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비정상적인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에서 녹은 물이 다시 얼음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런데, 이전에 이미 만빙이 감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투명빙 히터는 작동하지 않고, 상기 급수 위치에서 대기하게 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서 생성된 얼음은 투명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투명하지 않은 얼음이 추후 만빙이 미감지되어 이빙되면, 사용자는 불투명한 얼음을 이용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야기할 수 있다.
또는, 제빙 완료 후, 만빙이 감지되어 제빙셀(320a)에 얼음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대기하는 경우, 도어의 장시간 개방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하여 상기 제빙셀(320a)의 얼음이 녹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에서 대기한 상태에서 설정 시간 경과 후 다시 만빙을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제빙셀(320a)에 녹은 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물이 상기 아이스 빈(600)으로 낙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낙하되는 물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빈(600)에 저장된 얼음 들이 서로 엉겨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와 같이 만빙 감지 후 대기 과정에서 제빙셀에 얼음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위와 같은 문제를 원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경우, 만빙 감지 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 대기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달라 붙는 것이 방지되어, 추후 만빙 감지 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냉장고가 온되는 경우의 제 2 트레이가 초기 위치인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6은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 별로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빙 위치를 제 1 위치 구간(P1)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위치 구간(P1)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위치 구간(P1)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 회전되면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제 1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가 상기 제 1 시간 동안 출력된 후에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952)의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에서 상기 제 2 신호로 변화될 때의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가 급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의 신호가 제 2 신호에서 제 1 신호로 변화될 때의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도 급수 위치이다.
결국, 상기 센서(952)에서 신호가 변화되는 시점에서의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가 급수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빙 위치와 상기 급수 위치 사이 구간을 제 2 위치 구간(P2)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와 상기 만빙 감지 위치 사이 구간을 제 3 위치 구간(P3)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에서는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에서 상기 센서(952)에서는 상기 제 2 신호가 제 2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중에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센서(952)의 신호가 제 2 신호에서 제 1 신호로 변화될 때의 상기 제 2 트레이(380)(또는 만빙 감지 레버(520))의 위치가 만빙 감지 위치이다.
상기 만빙 감지 위치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제 3 시간 동안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가 제 3 시간 동안 출력된 이후에는 상기 센서(952)에서 다시 제 2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신호가 제 3 시간 동안 출력되는 구간을 제 4 위치 구간(P4)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4 위치 구간(P4)을 지난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중에 제 1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 4 위치 구간(P4)을 지난 후,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시간은 제 4 시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신호가 제 4 시간 동안 출력된 이후 상기 센서(952)에서 다시 제 1 신호가 출력될 때의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가 이빙 위치이다.
상기 제 2 신호가 제 4 시간 동안 출력되는 구간을 제 5 위치 구간(P5)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이빙 위치를 제 6 위치 구간(P6)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급수 위치 및 만빙 감지 위치를 지나 이빙 위치로 이동한다.
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역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만빙 감지 위치, 급수 위치를 지나 제빙 위치로 이동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 위치 구간(P1 내지 P6)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패턴 및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위치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런데, 정전 등과 같이 냉장고가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 정보가 리셋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상기 냉장고가 온되면, 상기 제어부(38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을 초기 제어라 이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초기 위치는 급수 위치이다.
먼저, 냉장고가 온되면(S21), 상기 제어부(800)는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온시킬 수 있다(S22).
상기 제빙셀(320a)에 얼음이 존재한 상태에서 냉장고가 오프되면, 상기 제빙셀(320a)의 얼음이 녹을 수 있다.
냉장고가 오프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에 있지 않는 한,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물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 사이로 유동하게 된다. 얼음이 완전하게 녹지 않은 상태에서는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에 붙은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냉장고가 온되고, 바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원활히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가 온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온 시킨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
상기 설정 온도는 일례로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온도는 앞서 설명한 오프 기준 온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단계 S23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온된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S24).
물론, 본 실시 예에서 단계 S22 내지 단계 S24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냉장고가 온되면, 바로 단계 S2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5).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위치 구간(P1), 제 3 위치 구간(P3), 제 5 위치 구간(P5)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반면,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위치 구간(P1), 제 3 위치 구간(P3), 제 5 위치 구간(P5)에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6).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는, 상기 제빙셀(320a)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이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지 판단한다(S25).
총 6개의 위치 구간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회전시키면, 예상되는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 구간은 3개로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간이 줄어들고, 알고리즘이 간단해질 수 있다.
단계 S25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952)에서 제 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S27).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A초 만큼 역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B초 만큼 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B초는 A초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A초 만큼 역 방향으로 이동한 후,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D초 만큼 정지할 수 있다. D초는 A초 및 B초 보다 작을 수 있다.
B초 보다 A초가 작게 설정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간 보다 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간이 짧게 된다.
이와 같이, B초 보다 A초가 작게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 물이 존재하더라도, 물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A초는 상기 제 2 위치 구간(P2)의 길이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8).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위치 구간(P1)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반면,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3 위치 구간(P3) 또는 제 5 위치 구간(P5)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즉,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3 위치 구간(P3) 또는 제 5 위치 구간(P5)에 위치된 상태에서,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제 3 위치 구간(P3) 또는 제 5 위치 구간(P5)에 위치하게 된다.
단계 S28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31).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정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C초 만큼 정 방향으로 추가로 이동되도록 한다(S32)(도 16 참조).
C초는, A초 및 B초 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C초 만큼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 회전시키고(S33),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감지되면(S34),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정지시킨다(S35).
물론,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정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바로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정지한 위치가 급수 위치이다.
한편, 단계 S28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9)
그러면,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에 위치하는 제 2 트레이(380)는 제 2 위치 구간(P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5 위치 구간(P3)에 위치하는 제 2 트레이(380)는 제 4 위치 구간(P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 이동 과정에서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추가로 역 방향 이동시킨다(S30).
그러면, 상기 제 2 위치 구간(P2)에 위치하는 제 2 트레이(380)는 제 1 위치 구간(P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 위치 구간(P3)에 위치하는 제 2 트레이(380)는 제 3 위치 구간(P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제 2 트레이(380)를 추가로 역 방향 이동시켜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한다(S27).
단계 S29 및 S30을 수행하고, 단계 S28을 재차 수행한 이후에,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1 위치 구간(P1)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반면,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3 위치 구간(P1)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단계 S28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단계 S31 내지 단계 S35가 수행된다.
본 실시 예에서 단계 S31 내지 단계 S35를 통칭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초기 위치(또는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반면, 단계 28에서 판단 결과, 상기 센서(952)에서 제 1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단계 S29 및 단계 28이 수행된 이후에, 단계 S28의 판단 과정을 거쳐, 단계 단계 S31 내지 단계 S35가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1 위치 구간(P1)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1 위치 구간(P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이동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한다.
물론,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제 2 트레이(380)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정도 만큼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상기 제 1 트레이(320)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로 이동력이 전달되는 시간이 길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동력 전달을 위한 기어 들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480)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모터의 제원 및/또는 기어 들의 제원에 기초하여 A초가 결정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A초는 2초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일련의 단계를 거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추가 급수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제빙 완료 후 이빙 과정을 거친다. 그 이후에 급수 위치로 복귀한 후에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320a)에 얼음이 존재한 상태에서 냉장고가 오프된 후 온되면, 제 2 트레이(32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급수가 시작되면,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이 넘치게 되고, 넘친 물이 아이스 빈(600)으로 낙하될 우려가 있다. 물이 상기 아이스 빈(600)으로 낙하되면 상기 아이스 빈(600)의 얼음이 서로 엉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냉장고가 온되는 경우에는, 급수 없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로 이동하여 제빙 과정이 수행되고, 이빙을 완료한 후에 급수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일련의 단계를 거쳐서 상기 급수 위치하는 과정에서,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6 위치 구간(P6)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복귀한 후에 바로 급수가 시작될 수 있다.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6 위치 구간(P6)에 위치된 경우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한 경우이므로, 제빙셀(320a)에서 얼음이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 바로 급수가 시작될 수 있다.
반면, 냉장고가 온된 시점에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1 위치 구간 내지 제 5 위치 구간(P1 내지 P5) 중 어느 한 구간에 위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로 복귀된 후에 제빙 및 이빙 과정을 거친 후에 급수가 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트레이 내부에서 얼음을 생성하고 이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빙 위치, 급수 위치, 만빙 감지 위치 및 이빙 위치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정전, 고장 등으로 냉장고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비정상 모드가 발생하거나 고장 수리 등 서비스 모드를 위해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위치를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운전을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초기화 운전이라고 정의한다. 상기 초기화 운전의 시작 시점은 상기 비정상 모드가 종료된 시점이나 상기 차단된 전원이 다시 인가되는 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화 운전의 시작 시점은 상기 서비스 모드가 시작된 시점으로 고장 수리 등을 위해 냉장고의 모드를 서비스 모드로 전환시킨 시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초기화 운전은 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다. 그 이유는 상기 초기화 운전에 의해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키면, 즉각적으로 급수 과정을 수행하고 그 이후 제빙 과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초기화 운전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이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위치 구간(P1)와 상기 제 3 위치 구간(P3) 및 상기 제 5 위치 구간(P5)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제1케이스)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초기화 운전이 시작되는 시점에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1 신호이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2 위치 구간(P2)와 상기 제 4 위치 구간(P4) 및 상기 제 6 위치 구간(P6)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제2케이스)
상기 제1케이스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초기화 운전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A초 만큼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B초 만큼 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2케이스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제 2 위치 구간(P2)에서 제 1 위치 구간(P1)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4 위치 구간(P4)에서 상기 제 3위치 구간(P3)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 6위치 구간(P6)에서 상기 제 5위치 구간(P5)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제 1 위치구간(P1), 제 3 위치구간(P3), 제 5 위치 구간(P5)에 각각 위치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의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다른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A초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출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B초가 되었을 때,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위치 구간(P1)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B초만큼 경과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변경될 때까지 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952)의 출력이 상기 제 2 신호로 변경되는 시점에 상기 제2트레이(380)가 위치하는 곳을 급수 위치로 인식한다.
둘째,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A초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의 출력이 유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 B초가 되었을 때, 상기 센서(952)에서 여전히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3 위치 구간(P3) 혹은 상기 제 5 위치 구간(P5) 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의 후반부 혹은 상기 제 5 위치 구간(P5)의 후반부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1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계속하여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2 위치 구간(P2) 혹은 상기 제 4 위치 구간(P4)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케이스의 경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위치 구간(P1) 혹은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경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첫번째 방법과 두번째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한다.
셋째,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이동하는 A초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2 신호에서 상기 제 1 신호로 바뀌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3 위치 구간(P3) 혹은 상기 제 5 위치 구간(P5)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상기 제 3 위치 구간(P3)의 전반부 혹은 상기 제 5 위치 구간(P5)의 전반부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기 센서(952)에서 상기 제 2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계속하여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380)는 상기 제 1 위치 구간(P1) 혹은 상기 제 3 위치 구간(P3) 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케이스의 경우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설정된 패턴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센서(95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첫번째 방법과 두번째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제어한다.
도 17은 테스트 모드에서의 냉장고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기(2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810)를 통해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S41). 상기 조작부(810)는 일 예로 상기 제빙게(200)에 구비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튼을 누르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빙기(200)가 초기 제어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2).
상기 제빙기(200)가 초기 제어를 수행하는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800)는 히터가 작동하는 중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
상기 초기 제어가 시작되면,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가 온되고,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킨다.
정상적인 초기 제어에서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가 온된 경우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지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온도 센서(70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하여야 한다.
그러나, 초기 제어 수행 중에 테스트 모드가 시작되면,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키고(S44), 상기 초기 제어를 수행한다(S45).
상기 초기 제어의 수행 과정에서는 상기 구동부(480)가 작동하므로,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2에서 판단 결과, 초기 제어 수행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급수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6).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급수 중(급수 밸브(242)가 온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급수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7). 상기 제어부(800)는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트레이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킬 수 있다(S54).
상기 구동부(48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후에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S55)(S56). 상기 제 2 트레이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가 급수 위치로 이동되면(S57), 상기 테스트 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에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8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빙셀(320a)의 물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서 테스트 모드가 시작되므로, 상기 제빙기(200)에서 낙하된 물은 상기 아이스 빈(600)에 모이고, 상기 아이스 빈(600)의 물을 사용자가 상기 아이스 빈(600)에서 버릴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빙셀(320a)로 공급된 물이 테스트 모드 수행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와 상기 만빙 감지 사이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동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6에서 판단 결과, 급수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제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8).
제빙 중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빙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S49)를 오프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800)는 단계 S54 내지 S57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킨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와 상기 만빙 감지 위치의 일 지점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빙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빙셀(320a)에 물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320a)에서 물이 낙하되는 것이 저감되도록 상기 투명빙 히터(430)를 오프시킨 후 상기 제 2 트레이를 상기 일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동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로 다시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부(800)가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부(480)를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 S48에서 판단 결과, 제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빙용 히터(290)가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 상기 이빙용 히터(290)는 제빙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를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시키기 전에 작동할 수 있다.
단계 S50에서 판단 결과,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작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빙용 히터(290)를 오프시킬 수 있다(S53). 상기 이빙용 히터(290)가 오프되는 시점 또는 그 이후 단계 S54 내지 S57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빙용 히터(290)의 작동 시작 시 또는 작동 중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함께 작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명빙 히터(430)가 상기 이빙용 히터(290)와 함께 오프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50에서 판단 결과, 상기 이빙용 히터(290)의 작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만빙 감지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서 대기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
단계 S51에서 판단 결과, 만빙 감지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서 대기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만빙 감지 후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만빙 감지 후 알고리즘은, 앞서 설명한 도 9의 단계 S16 내지 S1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에서 대히는 중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 회전될 수 있다. 만빙 감지 후 알고리즘 수행 과정에서도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51에서 판단 결과, 만빙 감지 후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급수 위치에서 대기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480)가 작동 중인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부(480)의 작동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480)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이빙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480)가 작동하는 중에는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급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역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의 작동 중에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바로 오프시킨 후 상기 구동부(480)를 작동시키므로, 지연 시간 없이 상기 구동부(48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 1 트레이(320) 및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제 2 트레이(380)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트레이(320)와 상기 제 2 트레이(380)의 부착력 또는 결합력이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빙용 히터(290) 및/또는 투명빙 히터(43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부(48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제 2 트레이(380)가 상기 제 1 트레이(32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부(480)의 작동 과정에서는 상기 구동부(480)의 동력이 상기 제 1 푸셔(260)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빙셀(320a)에 얼음이 존재한 상태에서는 상기 얼음이 상기 제 2 푸셔(260)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와 분리될 수 있다.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와 분리된 상태에서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38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Claims (13)

  1. 음식물이 보관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
    물이 상기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제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접촉될 수 있고, 이빙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이격될 수 있도록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 2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2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히터와 상기 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히터가 작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 2 트레이를 제빙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상기 제빙셀로 냉기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빙셀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이후에, 상기 제빙셀의 얼음을 꺼내기 위하여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이빙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가 역 방향으로 급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급수를 시작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급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 완료 후,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인 만빙 감지 위치와 상기 급수 위치 사이의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하여 투명한 얼음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이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온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빙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만빙을 감지하기 위한 위치인 만빙 감지 위치와 상기 급수 위치 사이의 일 지점으로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제빙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가 이빙 위치로 정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작동하는 이빙용 히터인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빙용 히터를 오프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를 상기 이빙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이빙 위치에서 상기 급수 위치로 역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테스트 모드의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2 트레이가 상기 급수 위치로 이동한 후 정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냉장고.
KR1020190081750A 2018-10-02 2019-07-06 냉장고 KR20210005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50A KR20210005498A (ko) 2019-07-06 2019-07-06 냉장고
US17/282,672 US20210341201A1 (en) 2018-10-02 2019-10-01 Refrigerator
EP19869919.1A EP3862684A4 (en) 2018-10-02 2019-10-01 FRIDGE
PCT/KR2019/012878 WO2020071765A1 (ko) 2018-10-02 2019-10-0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750A KR20210005498A (ko) 2019-07-06 2019-07-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498A true KR20210005498A (ko) 2021-01-14

Family

ID=7414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750A KR20210005498A (ko) 2018-10-02 2019-07-0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54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52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52A1 (ko) * 2022-02-10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579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103488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05498A (ko) 냉장고
EP3862684A1 (en) Refrigerator
CN112789471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KR20210005798A (ko) 냉장고
AU2019354482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1000578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97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US1183528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65703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80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92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8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69631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U2019353487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40183598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62710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79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30212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579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9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10005781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40073831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