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525A - 화면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525A
KR20200037525A KR1020180116844A KR20180116844A KR20200037525A KR 20200037525 A KR20200037525 A KR 20200037525A KR 1020180116844 A KR1020180116844 A KR 1020180116844A KR 20180116844 A KR20180116844 A KR 20180116844A KR 20200037525 A KR20200037525 A KR 20200037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image data
vehic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63B1 (ko
Inventor
박정용
최원석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1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60Q1/50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electronic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traffic conditions, e.g. fog, heavy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차량의 주행 정보 영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현하는 숫자, 문자, 기호,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운전자들 간의 정보 교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면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화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기능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 운전자와 교통상황 및 운행정보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소통할 수 있는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기 자동차에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개념이 없었으나, 이후 차량의 증가와 도로망의 발달로 차량간의 의사소통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방향지시장치가 등장하였다.
초기의 방향지시장치는 빛을 내거나 불을 켜는 등화장치의 개념이 아니라, 작은 날개형태를 펼치는 것으로 1923년에 프랑스의 탈보(talbot)의 승용차에 고안되었으나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이후, 전기식 램프가 1938년 미국 GM의 뷰익에 최초 도입되었으며, 이러한 전기식 램프는 1946년 포드의 승용차에서 점멸식 기능을 가지게 되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되는 방향지시등(turn signal lamp), 정지등(stop lamp), 미등(tail lamp), 후진등(back up lamp)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결합된 형태의 램프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차량의 뒤에 달려 있다는 의미로 테일 램프(tail lamp)라고도 한다.
램프의 구조는 전기전자 기구의 기술개발과 함께 변화되어 왔으며, 종래에는 12V의 전원을 사용하는 백열전구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일반적으로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백열전구는 점등 시 필라멘트가 가열되었으며, 필라멘트가 가열된 상태에서는 외부 충격에 쉽게 필라멘트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차량의 트렁크 리드(trunk lid)나 테일 게이트(tail gate) 인근에 설치되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전구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열 발생이 적고, 필라멘트가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자동차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광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단지 점멸 기능만을 가질 뿐이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는, 운전자간의 소통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999-0010512호(2000.08.0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화면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는, 이동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영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0); 및 이동수단의 주행 정보를 표현하는 숫자, 문자, 기호,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10)와,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220)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기어, 브레이크, 윙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223-1)와, 상기 모션 인식부(223-1)에서 인식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모션 판독부(223-2)로 구성되는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된 조건에 대응하여 선별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하는 선별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입력부(200)의 데이터는 상기 선별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개별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1) 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2)와 통신하여 이동수단의 예상 이동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310)를 더 포함하고, 이동수단의 윙커 조작에 대응되는 리어램프 영상 선별 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리어램프 영상과 함께 예상 거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수단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통신부(310)와 통신하는 영상 획득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이동수단 정차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자전거, 전동 퀵보드와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의 주행정보를 영상으로 표현 가능하므로, 차량의 주행정보를 단순히 점멸로만 표현하던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비교하여 운전자간의 정보 교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표시되는 영상을 직접 선택 가능하므로 운전 중 느끼는 감정을 타 운전자에게 표현하여, 운전자 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와 갈등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터치 방식 뿐만이 아니라 모션인식방식, 음성인식 방식을 통하여 운전자가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운전 중 영상 선택을 보다 원활히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영상을 표시 가능하므로 타 운전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과 연동하여 이동수단이 지정된 경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향전환 거리를 실시간으로 타 이동수단 운전자에게 제공 가능하므로, 후미에 위치한 이동수단이 선두 이동수단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주행 경로를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후미 이동수단에게 전방 영상 정보를 제공 가능하므로, 전방의 이동수단 때문에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후미 이동수단 운전자가 확인하여 사각지대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영상 입력부가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와, 접촉식 정보 선택부와,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와,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영상이 표시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된 문자, 도형, 기호, 글자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접촉식 정보 선택부가 차량 내부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접촉식 정보 선택부가 차량의 윙커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에 선별 제어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부가 입력되는 두 가지 영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에 영상 획득부와 통신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에 전방향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에 차량 주인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 기재되는 '차량'은 자동차 이외에도 전동 퀵보드, 오토바이, 자전거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100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차량의 주행 정보 영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차량의 주행 정보를 표현하는 숫자, 문자, 기호,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10)와,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220)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과정에서 표현할 수 있는 숫자, 문자, 기호, 리어램프 점멸 영상 데이터가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되고, 상기 영상 선택부(220)에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의 차량 운행 상황에 적합한 데이터가 선택 사용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영상 선택부(220)의 영상 선택은 사용자의 차량 조작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가 자동으로 선택되는 방법,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거나 패드를 터치하여 영상 데이터를 직접 선택하는 방법, 사용자가 동작하는 모션에 대응하여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어 지는 방법,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영상데이터가 선택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기어, 브레이크, 윙커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는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미등, 후미등, 안개등, 차폭등, 후진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등은 개별적으로 점멸하며 후방의 운전자에게 교통상황이나 차량의 이상 유무를 알려줌으로써, 차량의 운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 저장부(210) 상에 방향지시등, 브레이크등, 미등, 후미등, 안개등, 차폭등, 후진등이 구역을 나눠 결합된 영상이 저장되어, 상기 영상 선택부(220)에서 별도의 영상이 선택되지 않을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상에서 등이 켜지지 않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영상을 표시 하되, 차량의 운전자가 어느 하나의 등을 작동 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등이 점등 또는 점멸되는 영상으로 교체되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가 종래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대체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램프 작동은 사용자의 자동차 조작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일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윙커를 작동시켜 우회전 또는 좌회전을 표시 시 우측 또는 좌측에 위치된 방향지시등이 깜빡이는 영상이 상기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는 사용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시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에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브레이크등이 점등되는 영상이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되게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후진 기어를 넣을 때 상기 정보 선택부(221)에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백 램프가 점등하는 영상이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영상은 도 3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등이 다양한 구조로 배치된 영상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변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영상을 교체하여 차량의 디자인을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 시 각각의 차량을 운행하는 사용자는 서로의 정보 소통이 단순히 등을 점등 또는 점멸시키는 행위로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간의 정보 전달이 용이하지 않아 운전사고가 발생하거나, 사용자간에 오해가 발생하여 보복운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를 통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0)로 지정된 도형, 문자, 기호, 숫자를 표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때,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는 영상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마움을 표시하는 스마일 영상, 위험을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을 경고하는 느낌표 영상,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사합니다 라는 문구,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후 유턴 예정인 것을 나타내는 화살표 영상,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중입니다 라는 문구 등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도형, 문자, 숫자, 기호 등이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을 선택하는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센터페시아(자동차 내부 중앙의 조작부) 또는 스티어링휠(운전대, 핸들)에 터치 패드, 입력식 버튼, 회전식 조작 디스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방식 또는 회전 조작을 통해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을 선택하는 방식일 수 있고, 이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윙커에 회전 조작 방식으로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를 회전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영상을 선택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223-1)와, 상기 모션 인식부(223-1)에서 인식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모션 판독부(223-2)로 구성되는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을 운행 중에는 상기 정보 선택부(222)를 직접 조작하여 영상을 선택하기 어려우며, 사용자가 무리하게 정보 선택부(222)를 조작 시 운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를 통해 사용자가 운전하는 도중에 지정된 일정한 동작을 취하는 것 만으로도 원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모션 인식부(223-1)는 화상, 열, 적외선 카메라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촬영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션 판독부(223-2)는 상기 모션 인식부(223-1)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과 저장된 인체의 움직임의 유사성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영상을 선택하는 판독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션 인식부(223-1)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신체 모션을 상기 모션 판독부(223-2)에서 저장되어 있는 인체의 움직임과 비교하여 일치 또는 지정된 수치 이상의 유사성을 가질 경우, 사용자의 인체 움직임과 대응되는 영상을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서 선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차량 내부에 위치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된 모션을 취할 시 지정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 시키나, 사용자가 차량을 운전 중 취할 수 있는 움직임과 동작은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움직임과 동작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지정된 영상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음성 정보 선택부(224)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24-1)와, 인식된 사용자의 음성과 저장된 음성을 서로 비교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지시하는 영상을 선택하는 음성 판독부(224-2)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 정보 선택부(224)는 차량 내부에 위치된 타인의 음성과 저장된 차량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 후 차량 내부에 위치된 타인의 음성을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 내부에는 다수의 탑승객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게 되며, 이렇게 서로 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탑승객의 음성을 상기 음성 인식부(224-1)에서 인식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차량을 운전사는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성 인식 정보 선택부(224)가 상기 노이즈 제거부를 통해 지정된 사용자 외의 음성을 배제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1000)는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된 조건에 대응하여 선별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하는 선별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입력부(200)의 데이터는 상기 선별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영상 입력부(200)가 상기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와,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와, 상기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와, 상기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를 포함할 경우, 종래에 차량 사용자 간에 일반적으로 사용 되었던 신호체계인 상기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에서 선택되는 영상이 1순위로 선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되고, 이후 신뢰성 기준에 따라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가 2순위로, 상기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에서 선택되는 영상이 3순위로, 상기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에서 선택되는 영상이 4순위로 선별되게 하여, 다양한 영상이 동시 혹은 미소한 시간차를 두고 입력될 경우, 상기 선별 제어부(300)에서 우선순위 영상을 선별하여 잘못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 한 것이다.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차동차의 후면에 결합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개별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선택부(220)를 구성하는 상기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와,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와, 상기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와, 상기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를 통해 다양한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서로 다른 영상 데이터를 개별 표시 가능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지게 하여 동시에 두 가지 이상의 영상이 선택 시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동시에 서로 다른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디스플레이부(100)가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 차량의 양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01)과 제4 디스플레이 패널(104)에서 상기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에서 선택되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영상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 패널(102)과, 제3 디스플레이 패널(103)에서 상기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에서 선택되는 영상이 출력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가 종래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용자끼리 보다 월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 또한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도 9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1000)의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1) 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2)와 통신하여 차량의 예상 이동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310)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윙커 조작에 대응되는 리어램프 영상 선별 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받는 정보를 기반으로 리어램프 영상과 함께 예상 거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송신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차량 사용자가 차량의 방향을 전환해야 할 경우 후방 사용자는 단순히 앞의 차량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서 나타나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전환 등이 점멸하는 것을 보고 이러한 앞 차량 사용자의 이동을 예측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점멸 표시는 단순히 방향에 관한 제한적 정보만 줄 수 있고, 정확히 차량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는 위치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타 차량의 사용자가 'U'턴을 하는 경우에도 단순히 '좌회전' 또는 '우회전' 으로 착각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 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2)로부터 상기 통신부(310)가 차량의 위치 및 방향전환 예측 위치 정보를 수신 받고, 사용자가 윙커와 같은 차량의 방향 전환 표시장치를 조작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표시 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선택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영상과 함께 수신받은 거리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게 하고, 사용자가 'U'턴을 할 예정일 경우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영상과 함께 'U'턴 표시를 함께 표시하게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 한 것이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1000)는 차량 전방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통신부(310)와 통신하는 영상 획득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차량 정차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개의 차선을 가지는 도로의 경우 차량 운전자의 시야는 전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차량에 의해 시야가 제한되어 사각지대를 가지게 되고, 이러한 사각 지대는 교통사고의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와 같은 영상 상기 영상 획득부(4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되게 함으로써, 전측 대각선 방향에 위치된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사각지대 상황을 후방 차량의 운전자가 확인 가능하게 하여, 사각 지대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최소화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영상 획득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항시 표시 될 경우,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대체하고 사용자가 주행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기본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후측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영상 획득부(400)에서 촬영한 차량의 전측 영상을 표시하는 시점은 차량이 정차하는 시점으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차하여 주차를 하게 되면 운전자의 전화번호와 차량의 현재상태가 문구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AOD(Always in Dispay)기능을 가지는 것을 권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istal Disp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전계발광 디스플레이(Electroluminescence Display),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light-emitting),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Light-emitting diode), 전계바울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형광표시판 디스플레이(Vacuum Fluorescent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여 이루어질 시 각각의 패널이 서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배치되어 차량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차량의 표면이 곡면을 가지는 경우 평면의 패널을 차량에 결합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패널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벤딩된 형태로 차량에 결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00)가 플랙시블한 재질의 단일 패널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선별 제어부(30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상하 또는 좌우에 배치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0)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서 복수개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주변계 환경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와, 측정되는 조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주변계의 조도가 변화되어 후방 운전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주변계 조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밝기 조절부에서 디스플레이부(100)의 밝기를 조절하여, 후방 차량이 디스플레이부(100)의 영상을 보다 명확히 확인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는 후방에 상기 영상 선택부(220)와 서로 통신하는 충돌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서로 다른 차량이 부딪히며 일정 이상의 충격이 상기 충격감지 센서에 감지되면 상기 영상 선택부(220)에서 지정된 충돌 영상 데이터를 상기 선별 제어부(300)로 송신하여 선별 제어부(300)를 통해 충돌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후방에 위치한 차량은 전방 차량의 사고 여부를 후방에서 즉시 확인 가능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즉시 제동하여 연쇄 충돌 사고를 막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인 화면 표시 장치의 상기 통신부(3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하여 차량의 도난여부, 등록 여부 정보를 수신 가능하며,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가 저장된 차량의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이 도난된 차량이거나, 미등록된 차량인 것이 확인 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도난차량 또는 미등록 차량인 것을 나타내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 : 내비게이션 장치 2 : 스마트 장치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영상 입력부 210 : 정보 저장부
221 :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 222 : 접촉식 정보 선택부
223 :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 223-1 : 모션 인식부
223-2 : 모션 판독부 224 :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
220 : 영상 선택부
300 : 선별 제어부 310 : 통신부
400 : 영상 획득부

Claims (9)

  1. 이동수단의 후방에 설치되며 입력되는 데이터가 영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00); 및
    이동수단의 주행 정보를 표현하는 숫자, 문자, 기호,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10)와,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영상 선택부(220)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기어, 브레이크, 윙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리어램프 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리어램프 정보 선택부(2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가 터치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접촉식 정보 선택부(2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모션 인식부(223-1)와, 상기 모션 인식부(223-1)에서 인식된 모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모션 판독부(223-2)로 구성되는 모션 인식 정보 선택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선택부(220)는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될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는 음성인식 정보 선택부(2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된 조건에 대응하여 선별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하는 선별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입력부(200)의 데이터는 상기 선별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개별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이동수단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1) 또는 내비게이션 앱이 설치된 사용자의 스마트 장치(2)와 통신하여 이동수단의 예상 이동 정보를 수신받는 통신부(310)를 더 포함하고,
    이동수단의 윙커 조작에 대응되는 리어램프 영상 선별 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리어램프 영상과 함께 방향전환 예상 거리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의 전방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통신부(310)와 통신하는 영상 획득부(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 제어부(300)는 이동수단 정차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로 상기 통신부(31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표시 장치.
KR1020180116844A 2018-10-01 2018-10-01 화면 표시 장치 KR10214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4A KR102147263B1 (ko) 2018-10-01 2018-10-01 화면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844A KR102147263B1 (ko) 2018-10-01 2018-10-01 화면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525A true KR20200037525A (ko) 2020-04-09
KR102147263B1 KR102147263B1 (ko) 2020-08-24

Family

ID=7027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844A KR102147263B1 (ko) 2018-10-01 2018-10-01 화면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12U (ko)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의 설치구조
KR200477751Y1 (ko) * 2015-02-06 2015-07-20 윤민석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KR20180001123A (ko) * 2016-06-27 2018-01-04 김정민 차량 유턴 지시장치
KR200485588Y1 (ko) * 2016-05-31 2018-01-29 백관호 차량 후방 메시지 표시 장치
KR20180093656A (ko) * 2017-02-14 2018-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주간 주행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12U (ko) 1997-08-29 1999-03-15 정몽규 자동차의 리어컴비네이션램프의 설치구조
KR200477751Y1 (ko) * 2015-02-06 2015-07-20 윤민석 차량의 후방 표시등 장치
KR200485588Y1 (ko) * 2016-05-31 2018-01-29 백관호 차량 후방 메시지 표시 장치
KR20180001123A (ko) * 2016-06-27 2018-01-04 김정민 차량 유턴 지시장치
KR20180093656A (ko) * 2017-02-14 2018-08-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주간 주행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63B1 (ko)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2063B2 (ja) 画像投射装置および画像投射方法
CN108688554B (zh) 车辆用灯泡
US20210146829A1 (en) System for detecting surrounding conditions of moving body
US1103436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981496B2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US10047925B2 (en) Headlamp for vehicle
US10787177B2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and autonomous vehicles using same
CN107031495A (zh) 车辆用灯及包括该车辆用灯的车辆
CN109204305B (zh) 丰富视野方法、观察员车辆和对象中使用的设备和机动车
EP3342643B1 (en) Exterior rearview device with illumination functions
CN104487288B (zh) 用于响应多级村庄检测来控制车辆设备的系统以及方法
US20170182936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JP2017087876A (ja) 車両用投射装置および車両用投射システム
CN112298024B (zh) 一种避让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98016A (zh) 一种远光灯提醒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EP3564072A1 (en) Illumination apparatus
JP2018106052A (ja) 表示装置
CN112298022A (zh) 一种迎宾系统、方法、车辆及计算机存储介质
US11712994B1 (en) Vehicle front alert system
JP2021154949A (ja) 車両における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装置
KR102147263B1 (ko) 화면 표시 장치
JP6251495B2 (ja) 表示ユニット
KR20190002173U (ko) 자동차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용 디스플레이
CN112298017A (zh) 一种互动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298015A (zh) 一种车队信息共享系统、方法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