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144A -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 Google Patents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144A
KR20200037144A KR1020197038108A KR20197038108A KR20200037144A KR 20200037144 A KR20200037144 A KR 20200037144A KR 1020197038108 A KR1020197038108 A KR 1020197038108A KR 20197038108 A KR20197038108 A KR 20197038108A KR 20200037144 A KR20200037144 A KR 2020003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sil
blade member
cutting blade
ablation apparatus
aspi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이더 리다
Original Assignee
헤이더 리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790286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7902866A0/en
Application filed by 헤이더 리다 filed Critical 헤이더 리다
Publication of KR2020003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17/26Tonsillotomes, with or without means for stopping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0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 A61B2017/306Surgical pincettes without pivotal connections holding by means of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2017/321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extendable or retractable guard or bla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는 근위 핸들 및 원위 곡선형 끝단; 및 상기 끝단 내에서 끝단을 따라 끝단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를 핸들에서 유체 흡인을 위한 진공 포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인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는 슬롯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고 상응하는 슬롯 내에서 폭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손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된 위치와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 내로 철회되는 철회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형태와 방향으로 인해, 절단을 위해 연장될 때 블레이드 부재가 슬롯 내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Description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편도선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절제 및 흡인 모드와 오직 흡인 모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작동가능한 편도선 수술 기구에 관한 것이다.
편도선 수술은 구개편도(palatine tonsil)가 편도와(tonsillar fossa)와 지칭되는 인두의 측면에서 리세스(recess)로부터 제거되는 수술 방법이다.
이러한 편도선 수술 방법 중 한 타입의 수술은 편도선을 절제하기 위하여, 통상 한 손으로 편도선을 고정시키고 또 다른 손으로는 편도선을 고정하기 위한 겸자(forcep)를 사용하면서, 기다란 절단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수술 동안, 유체(혈액 및 침)을 제거하기 위하여, 진공 흡인 끝단이 사용될 수 있다. 양커 끝단(Yankauer tip)(편도선 끝단)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인 끝단 중 하나이다.
하지만, 세 가지 기구를 사용하는 것은, 필요 시에 기구 조작을 보조한다거나 대안으로 기구를 교체해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여, 복잡하고 수술 시간이 길어진다.
게다가, 양커 끝단이 많은 양의 유체를 흡인할 수 있지만, 양커 끝단은 끝단이 커다란 혈액 응고물질 또는 조직들에 가까이 위치될 때 쉽게 막히는 단점을 가진다. 수술의사는 종종 끝단에 거즈 스펀지를 배열하여 응고물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즈를 통해 유체를 흡인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몇몇 단점을 해결하고 대안예를 제공하기 위해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기술의 정보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으로 언급되지만, 이러한 참조문헌은 통상적인 일반적 기술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근위 핸들(proximal handle) 및 원위 곡선형 끝단(distal curved tip)을 포함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tonsillectomy suction dissector)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구는 유체를 흡인하기 위하여 상기 끝단 내에서 끝단을 따라 끝단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suction inlet port)를 핸들에서 진공 포트(vacuum port)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인 채널(suction channel)을 포함한다. 또한, 기구는 슬롯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며 상기 끝단을 따라 상응하는 슬롯 내에서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손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에 의해,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distal cutting end)가 끝단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와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 내로 철회되는 철회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블레이드가 연장되고 철회되면, 흡인 끝단(suction tip) 또는 흡인 절제 기구로서 이중 기능(dual functionality)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수술 속도가 증가되고 혈액 손실이 줄어든다.
그에 따라, 잠금 메커니즘은 상기 절제 기구를 수술 시에 절제 및 흡인 모드와 오직 흡인 모드 사이에서 신속하게 변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한 손으로는 절제 및 흡입 과정을 수행하면서, 다른 손으로는 다른 임무, 가령, 겸자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을 쥐기 위하여, 검지손가락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한 손으로, 가령, 오직 엄지손가락 만을 사용하여, 기구를 변환시킬 수도 있다.
특히,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의 상측 구멍(superior aperture)들 내에 고정된 잠금 레버(locking lever)를 포함하는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잠금 레버가 상측 구멍들 내에 고정되는 연장된 위치로 전방으로 밀기 위해 핸들의 후방 구멍으로부터 연장된다. 게다가, 잠금 레버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철회하기 위해 레버를 후방으로 끌어당기고 연결을 분리하기 위해 상측 구멍들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출혈이 발생되는, 편도와를 향한 흡인 홀(suction hole)의 위치는, 정확한 출혈 지점에서, 혈액을 즉각적으로 흡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목구멍에 혈액이 축적되는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혈액/응고물질이 흡입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가 수술의사를 향하도록 위치되면, 정확하게 절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절단 부위를 완전히 볼 수 있게 하여, 의도치 않게 주변 조직(surrounding tissue)을 손상시켜 추가적으로 출혈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줄어든다.
게다가, 흡인 입구 포트의 형상(configuration)으로 인해, 양커 끝단(Yankauer tip)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폐색(occlusion) 문제를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히,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절단 단부에 대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끝단의 상이한 면(face)들에 배열될 수 있으며, 한 단부 표면에 대해 누름으로써 폐색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흡인 입구 포트는 한 쌍의 원위 방향으로 위치되고, 횡방향으로 맞은편에 위치되며,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가 제공되는데, 상기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는:
근위 핸들(proximal handle) 및 원위 곡선형 끝단(distal curved tip);
상기 끝단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suction inlet port)를 핸들에서 진공 포트(vacuum port)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인 채널(suction channel); 및
상기 끝단을 따라 슬롯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는(slidably retained)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flexible cutting blade member)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손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에 의해,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distal cutting end)가 끝단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된 위치(extended position)와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 내로 철회되는 철회된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슬롯 내에서 폭방향으로 가요성있게 배열된(flexibly orientated) 평평한 부분(flattene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약 3 mm의 두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약 10 mm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제 기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핸들과 끝단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2-부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롯과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후방을 향해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절단 단부는 수직의 일직선 절단 에지(cutting edge)를 향해 좁아질 수 있다(narrow).
절단 에지는 약 10 mm의 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에지는 톱니(serra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톱니들은 절단 에지의 폭을 따라 배열되며 에지의 상측으로부터 바닥으로 변환될 수 있다(transition).
절단 에지는 한 지점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지(sharpened) 않을 수 있다.
절단 에지는 약 1 mm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절단 단부에 대해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흡인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흡인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원위 방향으로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은 한 쌍의 횡방향의 인접한 흡인 입구 포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핸들의 기다란 축(elongate axis)을 따라 비-원형의 횡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평면의 횡방향 및 하측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튜브 연결부(vacuum tube connection)는 핸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진공 튜브 연결부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핸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 내의 상측 구멍을 통해 누를 수 있는 잠금 레버를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근위 단부는 핸들의 후방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근위 단부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해 전방으로 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버는 전방 구멍 내에 위치되고 중간 부분과 밑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화살촉 형태의 보스(arrowhead boss)를 포함할 수 있다.
화살촉 형태의 보스의 후방 에지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연장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중간 부분의 전방 에지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레버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화살촉 형태의 보스와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구멍을 통해 누를 수 있다.
레버는 레버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기 위해 전방 에지를 가진 후방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를 이용하는 편도선 수술 시술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한 손으로,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전방으로 연장시켜, 동시에 절제하고 흡인하며, 오직 흡인을 위해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철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그 밖의 다른 양태들도 기술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로서 제공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수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상측 투시도;
도 2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하측 투시도;
도 3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상측 평면도;
도 4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측면 입면도;
도 5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전면 입면도;
도 6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배면 입면도;
도 7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흡인 끝단 단부의 상측 투시도;
도 8은 흡인 끝단의 단부의 하측 평면도;
도 9는 흡인 컵 단부의 전면 입면도;
도 10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횡단면도;
도 11은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끝단 단부의 횡단면 측면도;
도 12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의 핸들의 횡단면도;
도 13은 철회된 위치에 있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후방을 향하는 위치를 예시한 도면;
도 14는 연장된 위치에 있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전방을 향하는 위치를 예시한 도면.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100)는 근위 핸들(101)과 원위 곡선형 끝단(102)을 포함한다. 기구(100)는 핸들(101)에 위치된 진공 튜브 연결부(105)와 끝단(102)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104)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흡인 채널(103)을 포함한다.
도 1에 방향축이 제공되는데, 기구(100)는 가까운/근위 단부와 먼/원위 단부, 측면/횡방향 측면 및 상측/상부면 및 바닥/하부면을 포함하는 기다란 형태로 구성된다(elongate).
기구(100)는 끝단(102)을 따라 슬롯(107)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는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는, 핸들(101)에서 손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메커니즘(108)에 의해, 도 7, 8 및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의 원위 절단 단부(109)가 끝단(10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된 위치와 원위 절단 단부(109)가 끝단(102)의 단부 내로 철회되는 철회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구(100)를 사용하는 방법은 흡인 기구를 진공 튜브 연결부(105)에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곡선형 끝단(102)은 곡선형 끝단 단부가 목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좌측면 또는 우측면으로부터 입 안으로 삽입된다. 잠금 메커니즘(108)은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의 원위 절단 단부(109)를 끝단(102)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원위 절단 단부(109)는, 보통 반대쪽 손으로 한 쌍의 겸자로 끌어 당기면서, 각각의 편도선을 절제할 수 있다. 원위 절단 단부(109)는, 편도선을 겸자의 반대 방향으로 끌어당기면서 편도선 기저부(base)에 대해 전방을 향해 밀릴 수 있어서 편도선을 절제할 수 있는 수직의 일직선 절단 에지(115)를 형성한다.
절제 시에, 유체가 흡인 입구 포트(104)들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어떤 시간에라도, 수술의사는 단독으로 흡인하기 위해 끝단(102)을 사용하여 원위 절단 단부(109)를 철회하도록 잠금 메커니즘(108)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 원위 절단 단부(109)를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수술은 반대쪽 편도선을 위해 입의 반대쪽 횡방향 측면으로부터 곡선형 끝단(02)을 삽입함으로써 반복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핸들(101)과 끝단(102)은 플라스틱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도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는 전기 소작 용도(electrocautery application)를 위해 전기 전도성을 지닐 수 있도록 금속으로 가요성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flexibly formed). 이에 따라, 흡인, 절제 및 전기 소작의 3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출혈 지점을 즉각적으로 봉할 수 있다(seal). 또한, 기구에 전기 응고(electric coagulation)를 사용하면, 흉터가 난 편도선을 절제하기 위한 힘을 사용할 필요가 줄어들 것인데, 그 이유는 전기가 흉터 조직을 용해시키고, 응고시키면서, 최소 절제 힘을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절제하고, 조직 외상이 작고, 그에 따라 수술 후에 회복이 신속하고 통증이 덜 하기 때문이다.
도 4를 살펴보면, 핸들(101)은 일반적으로 기다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다란 축(elongate axis)을 가지고, 끝단(102)은 핸들의 원위 단부에서 약 40°만큼 벗어나도록(deviate) 핸들(101)의 기다란 축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부터 곡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40° 곡률(curvature)로 인해, 수술의사의 손이 수술야(operating field) 외부에 위치되어, 일정한 가시성을 보장하고, 그와 동시에 40°의 매끄러운 곡률로 인해, 흡인 포트 내부에 적절한 흡인력(suction power)이 유지되며 흡인 포트 내부에 혈액 응고를 방지한다.
도 1 및 2를 보면, 진공 연결 포트(105)는 핸들(102)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진공 연결 포트(105)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핸들(101)의 기다란 축과 실질적으로 일직선인 기다란 축을 포함한다. 진공 연결 포트(105)는 O-링 밀봉부(113)와 연결 연동 고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끝단(102)의 단부를 예시한 도면으로서, 연장된 위치에 있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를 보다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시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9)는 평평한 단면을 가지며, 연장된 위치와 철회된 위치 사이에서 변환될 때 슬롯(107) 내에서 구부러질 수 있도록 길이방향 슬롯(107) 내에서 폭 방향으로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9)는 약 2mm의 두께와 약 10 밀리미터의 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이, 원위 절단 단부(109)는 수직의 일직선 절단 에지(115)으로 좁아질 수 있다(narrow).
게다가, 절단 에지(115)는 상측으로부터 바닥으로 절단 에지(115)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배열된 복수의 톱니(134)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톱니(134)는, 절제 동안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가 측면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주변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편도선 조직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1에 가장 잘 예시된 것과 같이, 절단 에지(115)는 한 지점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지 않고, 조작 동안, 의도치 않게 주변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는 절단 작용의 효율을 제한하며, 필요 시에 편도선을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충분히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 에지(115)의 폭은 약 1mm일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크기는 잘 절제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지만 주변 조직들이 부차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항상 방지하기 위해 주변 조직들을 볼 수 있도록 가시성을 유지하기에는 충분히 작게끔 최적화된다.
도 8을 보면, 연장된 위치에서 약 5 mm만큼 끝단(102)의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원위 절단 단부(109)가 도시된다.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에 대해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104)들이 예시된다.
게다가,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흡인 입구 포트(104)들은 끝단(102)의 단부의 다수의 면들에, 가령, 원위 위치에,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측에 위치될 수 있어서, 폐색(occlusion)의 가능성이 줄어든다. 특히, 도 7은 한 쌍의 원위 입구 포트(104A), 맞은편에 위치된 한 쌍의 횡방향 흡인 입구 포트(104B)를 포함하는 흡인 입구 포트들을 도시하며, 도 8은 하부 입구 포트(104C)를 도시한다.
도 12는 잠금 메커니즘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기구(100)의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는 핸들(102)의 후방 구멍(117)으로부터 연장되는 근위 단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 단부(116)의 근위 면(proximal face)은 전방에 위치될 때 핸들(102)의 근위 표면(117)과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경사진다(angled).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는 리빙 힌지(121)에 의해 인접 부분(120)에 피벗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잠금 레버(119)를 추가로 포함한다. 게다가, 핸들(102)의 상측면(122)은 주 후방 구멍(123)과 부 전방 구멍(124)을 포함하는데, 그 사이에서 레버(119)의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가 선택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레버(119)는 레버(119)를 누르기 위하여 주 구멍(123)에 의해 접근가능한 후방 손잡이(126)를 포함한다. 게다가, 레버(119)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맞은편 벽에 대해 접하는(abut) 지지대(127)와 원위 위치에서 끝을 이룬다(terminate distally).
도 12는 철회된 형상(retracted configuration)에 있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를 도시한다. 절제를 위해 절단 블레이드 부재(109)를 연장하기 위하여, 검지손가락들로 핸들(102)의 밑부분(underneath)을 쥔 상태로, 후방 단부(116)는 보통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핸들(102)의 기다란 축을 따라 전방으로 밀려질 수 있다.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의 전방 램프(129)가 레버(119)를 눌러서,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가 전방의 부 구멍(124) 내에 위치되는 시간 까지,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가 중간 부분(130) 밑에서 주 및 부 구멍(123, 124)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오면,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의 후방 수직 에지(135)는 중간 부분(130)의 전방 에지(131)에 대해 지지되어(jamb),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가 압력 하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연장된 위치에서, 지지대(127)는 맞은편 벽(128)에 대해 접하여, 후방 단부(116)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를 철회하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이 주 구멍(123) 내에 삽입되어 레버(119)를 누르고 이와 동시에 손잡이(126)의 전방 에지(132)에 대해 후방으로 끌어당기며, 손잡이(126)는 엄지손가락의 동작 하에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중간 부분(130)의 전방 에지(131)로부터 화살촉 형태의 보스(125)의 후방면(130)과 결합이 해제된다(disengage).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슬롯(107)의 후방 부분(133)은 절단 블레이드 부재(106)가 완전히 후방으로 빠질 수 있도록(entire rearward removal) 충분히 넓다.
잠금 메커니즘(108)이 엄지손가락 동작을 위해 구성될 수 있지만, 핸들(102)은 반대쪽 검지손가락의 파지력(grip)을 향상시키도록 형태가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도 5를 보면, 패널(102)은 평면 측벽들과 수직 하부 에지(111)를 포함하며, 핸들(102)에 비-원형 횡단면을 제공하고, 수술의사의 손 안에서 핸들이 회전하여 미끄러지는(rotational slipping) 것이 줄어들거나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된 내용들 중 특정 도면부호들로 제공한 것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러한 세부내용들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기술된 내용들은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러한 내용들에만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 및 개선예들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적용용도의 개념을 가장 잘 설명하기 위해 선택되고 기술되었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기 청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한다.

Claims (28)

  1.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는:
    근위 핸들 및 원위 곡선형 끝단;
    상기 끝단 내에서 끝단을 따라 끝단의 단부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를 핸들에서 진공 포트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인 채널; 및
    상기 끝단을 따라 슬롯 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보유되는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손으로 작동가능한 잠금 메커니즘에 의해,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된 위치와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원위 절단 단부가 끝단의 단부 내로 철회되는 철회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슬롯 내에서 폭방향으로 가요성있게 배열된 평평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약 3 mm의 두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약 10 mm의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제 기구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핸들과 끝단을 포함하는 제1 부분과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2-부분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슬롯과 절단 블레이드 부재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후방을 향해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원위 절단 단부는 수직의 일직선 절단 에지를 향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절단 에지는 약 10 mm의 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절단 에지는 톱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톱니들은 절단 에지의 폭을 따라 배열되며 에지의 상측으로부터 바닥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절단 에지는 한 지점으로 뾰족하게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절단 에지는 약 1 mm의 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절단 단부에 대해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흡인 입구 포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흡인 입구 포트는 원위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그리고 하측에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흡인 입구 포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원위 방향으로 위치된 흡인 입구 포트들은 한 쌍의 횡방향의 인접한 흡인 입구 포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8. 제1항에 있어서, 핸들은 핸들의 기다란 축을 따라 비-원형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핸들은 평면의 횡방향 및 하측 표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0. 제1항에 있어서, 진공 튜브 연결부는 핸들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진공 튜브 연결부는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핸들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2. 제1항에 있어서, 잠금 메커니즘은 핸들 내의 상측 구멍을 통해 누를 수 있는 잠금 레버를 포함하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3. 제22항에 있어서, 절단 블레이드 부재의 근위 단부는 핸들의 후방 구멍을 통해 연장되며 근위 단부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해 전방으로 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레버는 전방 구멍 내에 위치되고 중간 부분과 밑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화살촉 형태의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화살촉 형태의 보스의 후방 에지는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연장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해 중간 부분의 전방 에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6. 제24항에 있어서, 레버는 중간 부분으로부터 화살촉 형태의 보스와의 결합을 분리하기 위해 구멍을 통해 누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7. 제26항에 있어서, 레버는 레버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기 위해 전방 에지를 가진 후방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28. 제1항에 따른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를 이용하는 편도선 수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 손으로,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전방으로 연장시켜, 동시에 절제하고 흡인하며, 오직 흡인을 위해 절단 블레이드 부재를 철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선 수술 방법.
KR1020197038108A 2017-07-22 2018-05-22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KR20200037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7902866 2017-07-22
AU2017902866A AU2017902866A0 (en) 2017-07-22 A tonsillectomy suction tip dissector
PCT/AU2018/050487 WO2019018877A1 (en) 2017-07-22 2018-05-22 AMYGDALECTOMY ASPIRATION DISSIPE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144A true KR20200037144A (ko) 2020-04-08

Family

ID=6503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108A KR20200037144A (ko) 2017-07-22 2018-05-22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395670B2 (ko)
EP (1) EP3629950A4 (ko)
JP (1) JP7171080B2 (ko)
KR (1) KR20200037144A (ko)
CN (1) CN110891502A (ko)
AU (1) AU2018308713B2 (ko)
CA (1) CA3067252A1 (ko)
DE (1) DE112018003752T5 (ko)
GB (1) GB2578377B (ko)
WO (1) WO2019018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78346S1 (en) 2022-08-12 2023-02-14 Br Surgical, Llc Separated finger pad for a surgical suction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7815A (en) * 1965-08-13 1968-10-29 Abelson Louis Adenotome having a flat cutting surface
US4307720A (en) * 1979-07-26 1981-12-29 Weber Jr Jaroy Electrocautery apparatus and method and means for cleaning the same
US4674500A (en) * 1985-09-27 1987-06-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heathed knife instrument
US5318565A (en) * 1992-11-12 1994-06-07 Daniel B. Kuriloff Suction cautery dissector
US5481804A (en) * 1994-10-12 1996-01-09 Platts; David Retractable-bladed knife
US6293945B1 (en) * 2000-03-06 2001-09-25 Everest Medical Corporation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suction capability
US7131975B2 (en) 2002-09-16 2006-11-07 Medtronic Xome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straightening angled tissue cutting instruments
WO2009058682A2 (en) * 2007-10-30 2009-05-07 Wilson-Cook Medical Inc. Polyp tome
CN201256995Y (zh) * 2008-10-08 2009-06-17 石瑛 一种扁桃体手术剥离子
US8137345B2 (en) * 2009-01-05 2012-03-20 Peak Surgical, Inc. Electrosurgical devices for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US9247954B2 (en) 2010-04-21 2016-02-02 Ravi Nallakrishnan Revocable Trust Safety knife with retractable and extendable blade and guard
CN201727556U (zh) 2010-08-02 2011-02-02 朱永康 一种改进的医用剥离器
US8377086B2 (en) * 2011-01-25 2013-02-19 Gyrus Ent L.L.C. Surgical cutting instrument with distal suction passage forming member
US8728090B2 (en) * 2012-01-12 2014-05-20 Mohamad Farhadi Tonsillar suction dissector
EP3305225B1 (en) * 2012-12-05 2020-05-27 Penblade, Inc. Safety cutting device
US9375253B2 (en) * 2013-03-14 2016-06-28 Megadyne Medical Products, Inc.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20160058951A (ko) * 2013-09-27 2016-05-25 릴리스 메디칼, 인코포레이티드 조직 절개 디바이스
US20150335376A1 (en) * 2014-05-21 2015-11-26 Covidien Lp Multipurpose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telescoping aspiration cannula
JP6385742B2 (ja) 2014-07-09 2018-09-05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手持ち具
EP3766440A1 (en) * 2014-09-18 2021-01-2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Soft tissue cutting device
CA3029355A1 (en) * 2015-05-22 2016-11-22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onsillectomy, adenoidectomy,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US10939899B2 (en) * 2015-06-03 2021-03-09 Obp Medical Corporation End cap assembly for retractor and other medical devices
US20190021749A1 (en) * 2017-07-19 2019-01-24 Hoya Corporation Universal retrieval device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body lumens
US20190099209A1 (en) * 2017-09-29 2019-04-04 Ethicon Llc Bipolar electrode saline linked closed loop modulated vacuu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7252A1 (en) 2019-01-31
US11395670B2 (en) 2022-07-26
GB2578377B (en) 2022-08-03
JP7171080B2 (ja) 2022-11-15
WO2019018877A1 (en) 2019-01-31
DE112018003752T5 (de) 2020-04-16
US20210307770A1 (en) 2021-10-07
AU2018308713A1 (en) 2020-01-16
JP2020528332A (ja) 2020-09-24
EP3629950A4 (en) 2021-03-03
EP3629950A1 (en) 2020-04-08
GB2578377A (en) 2020-05-06
GB201918119D0 (en) 2020-01-22
CN110891502A (zh) 2020-03-17
AU2018308713B2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7637B2 (en) Surgical instrument
US8657840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distal suction capability
US5569298A (en) Resposable scissors
JP5149904B2 (ja) 筒状の軸機器
US20090209827A1 (en) Suction Retraction Surgical Instrument
US9649128B2 (en) Adjustable curette
JP2004510469A (ja) 内視鏡的切削器
WO2004098382A3 (en) Suction coagulator with dissecting probe
WO1994022376A1 (en) Handle for laparoscopic instrument
KR102616319B1 (ko) 연장가능 샤프트를 위한 로킹 메커니즘
KR20200037144A (ko) 편도선 수술 흡인 절제 기구
KR102664539B1 (ko) 투열성 편도선 수술 흡입 절제 장치
CN214632242U (zh) 一种内窥镜用一次性使用钳刀
CN210872002U (zh) 内镜下微创手术器械
US20240108401A1 (en) Multi-function ergonomic handheld surgical instrument and system
CN107684447B (zh) 一种手术用结扎器以及结扎钉
CN117462235A (zh) 一种乳腺手术专用的切凝吸三用腔镜手术电刀
CN118058804A (zh) 一种软组织分离用切割工具
CN115835826A (zh) 多功能手术器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