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764A -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764A
KR20200034764A KR1020207005185A KR20207005185A KR20200034764A KR 20200034764 A KR20200034764 A KR 20200034764A KR 1020207005185 A KR1020207005185 A KR 1020207005185A KR 20207005185 A KR20207005185 A KR 20207005185A KR 20200034764 A KR20200034764 A KR 2020003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unit
signal
unit
measuremen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954B1 (ko
Inventor
에릭 윈켈만
Original Assignee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쉬넨파브릭 레인하우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3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차폐 케이블(GK)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에서, 커플링 커패시터(KK)는 케이블의 코어의 제 1 연결점(AL1)에 연결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1, K2, K3)이 제공된다.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입력부(E)는 커플링 커패시터(KK)에 연결된다.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입력부는 케이블(GK)의 차폐의 제 1 연결점(AS1)에 연결되고,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입력부(E)는 차폐의 제 2 연결점(AS2)에 연결된다. 코어의 제 1 연결점(AL1)에 테스트 전압이 제공된다.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이 결정된다.

Description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본 발명은, 특히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의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후속하는 설명에서 국제 표준 IEC 60270를 반복적으로 참조한다. 이러한 참조는 언제나 IEC 60270:2000 + Cor.:2001 + A1:2015를 참조하는 것으로, 따라서 2001 년의 정정판(Corrigendum) 1 및 2015 년의 수정판(Amendment) A1을 포함하는 2000의 제 3 발행본에 있는 표준을 참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독일어 표준 DIN EN 60270:2001 + A1:2016 이 이러한 표준에 대응한다. 명백하게 달리 기술되지 않으면, 후속하는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표준 IEC 60270의 의미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 PD)이라 불리는 현상은 도체들 사이의 절연을 부분적으로만 브릿징하고, 비한정적으로 도체에 인접하여 발생될 수 있는 국지적으로 제한된 전기 방전이다. 차폐 케이블 내의 부분 방전은, 예를 들어 잘못된 위치 또는 코어와 피복 사이의 전기 절연의 불균일성에 기인할 수 있다. 부분 방전이 있으면 차폐 케이블의 코어 및 피복 사이의 전기 절연이 노화될 수 있고, 따라서 그 유전 품질, 특히 유전 세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차폐 케이블의 유전 품질을 보장할 수 있기 위해서, 부분 방전 측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측정에 힘입어, 특히, 부분 방전의 겉보기 전하의 특성 값이 결정된다.
이러한 부분 방전 측정은 IEC 60270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커플링 커패시터 및 측정 임피던스로 이루어진 커플링 브랜치가 고전압원 및 접지 연결부 사이에서 테스트 대상과 병렬 연결된다. 그러면, 통상적으로 고전압원이 코어 및 접지된 피복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감도는 그러한 경우에 커플링 커패시터 및 테스트 대상의 커패시턴스들의 비율에 의해서 임계적으로(critically) 결정된다. 그러나, 가끔은 테스트될 케이블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수 킬로미터에 달함), 차폐 케이블의 테스팅 중의 커플링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보통 테스트 대상의 커패시턴스보다 훨씬 작다. 그러면 측정의 감도가 크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대응하는 부분 방전 펄스가 신호 분산에 의해 크게 감쇄되고 따라서 방전 에너지의 많은 양이 코어 및 피복 및 접지 연결부 사이의 커패시턴스를 통해 검출되지 않은 상태로 빠져나가게 되기 때문에, 측정점으로부터 먼 거리에서 발생되는 방전은 부분적으로만 검출된다. 그러면 측정이 부정확해지고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더욱이, 신호 분산 및 교란 및 잡음의 영향 때문에, 부분 방전의 국지화는 가능하지 않거나 극도로 부정확하게만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의 감도 및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차폐 케이블에서의 부분 방전 측정을 위한 진보된 개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항의 청구 내용에 의하여 달성된다. 실시예의 추가 형태들은 종속 청구항에 속한다.
진보된 개념은 고전압 테스팅 기술 및 대응하는 테스팅 디바이스의 분야에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모든 구성 요소들은 고전압 테스팅 기술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구성 요소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1,000 볼트 이상의 전압이 고전압이라고 이해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고 기술되지 않으면, "연결하기(connection)" 또는 "연결(connection)"은 언제나 적어도 "전기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부"를 역시 의미한다.
진보된 개념은, 케이블의 피복을 측정을 위하여 접지 연결부에 연결하지 않는 반면에, 그 대신에 적어도 두 개의 추가 커플링 유닛이 피복의 다른 점들과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측정 브랜치를 제공- 코어와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고 커플링 커패시터 및 커플링 유닛을 포함하는 커플링 브랜치에 추가적으로 -하는 사상에 기반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일 측면에서 방전 에너지가 피복을 통해 접지로 빠져나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데, 그 이유는 부분 방전 펄스의 고-주파수 성질에 기인하여 커플링 유닛이 이에 대해서 차단 동작을 하기 때문이다. 다른 면에서, 두 개의 측정 브랜치는 커플링 브랜치로부터의 측정 신호에 추가하여 측정 신호를 전달한다. 이렇게 이용가능해지는 측정 신호에 기반하여,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의 특성 값을 특히 높은 수준의 감도 및 정확도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진보된 개념에 따르면, 특히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의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차폐 케이블에 대한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는데, 케이블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코어 및 피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커플링 커패시터의 제 1 연결부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제 1 단부에 배치되는 코어의 제 1 연결점과 연결된다. 그러한 경우에, 커플링 커패시터는 특히, 고전압 커패시터로서 구성된다.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이 제공되는데, 커플링 유닛은 입력부 및 신호 출력부를 각각 가진다.
제 1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커플링 커패시터의 제 2 연결부와 연결된다. 제 2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피복의 제 1 연결점과 연결되고, 제 3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피복의 제 2 연결점, 특히 제 1 연결점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떨어진 연결점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커플링 유닛의 각각의 레퍼런스 연결부는, 예를 들어 접지 포텐셜일 수 있는 레퍼런스 포텐셜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커패시터 및 제 1 커플링 유닛으로 이루어진,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직렬 회로를 통해서 커플링 브랜치가 형성되고,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을 통하여 테스팅 디바이스의 각각의 측정 브랜치가 형성된다. 고전압 테스팅 기술의 용어로 표현하면, 커플링 유닛은 커플링 사극자라고도 불릴 수 있다.
테스트 전압, 특히 하나 이상의 고전압 개별 펄스로 이루어진 테스트 전압 펄스가 코어의 제 1 연결점에 제공된다. 각각의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에서, 연관된 각각의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가 획득된다.
테스트 전압은, 특히, 예를 들어 0 내지 500 Hz의 주파수를 가진 교류 전압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그 외의 형태에서는 대안적으로 테스트 전압으로서 직류 전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테스트 전압은, 특히, 직접적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 임피던스를 사용하여 및/또는 입력 필터를 사용하여 코어의 제 1 연결점과 연결되는 고전압원에 의해 제공된다. 차단 임피던스 및/또는 입력 필터는 고전압원을 테스트 구조체의 나머지로부터 분리시키는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커플링 유닛은, 예를 들어 그 입력부에서의 입력 신호, 특히 전류 신호를 그 신호 출력부에서, 특히 전압 신호일 수 있는 연관된 측정 신호로 변환하는 목적을 위해서 배치된다. 그러한 경우에, 전류는, 특히 테스트 전압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커플링 커패시터는, 예를 들어 PD 펄스의 원인인 고장 위치의 재충전을 보장한다.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측정 신호 중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의 특성 값이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은, 예를 들어 겉보기 전하 또는 그에 비례하는 값과 같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 각각은 각각의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 및 레퍼런스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도성 소자를 포함한다. 유도성 소자는, 예를 들어 적응가능한 인덕턴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도성 소자는 전류 컨버터, 특히 고-주파수 전류 변압기, 따라서 HFCT로서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브랜치 및 두 개의 측정 브랜치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IEC 60270에 따라 교정될 수 있는 다채널 측정 방법이 제시된다. 그러한 경우에, 커플링 커패시터의 구조와, 분산된 소자, 특히 분산된 저항,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가 있는 대상을 나타내는 테스트될 차폐 케이블의 구조의 유사성이 사용된다. 케이블의 분산된 소자로부터 초래되는 분산된 인덕턴스 및 분산된 커패시턴스는 커플링 유닛을 도입함으로써 지원된다. 차폐 케이블과 유사하게, 고전압 커패시터도 분산된 커패시턴스 및 인덕턴스를 포함한다.
커플링 유닛의 유도성 소자는, 커플링 브랜치뿐만 아니라 두 개의 측정 브랜치가 PD 전류가 빠져나가지 못하거나 적은 수준으로만 접지로 빠져나가는 방식으로 PD 펄스에 관하여 차단 거동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것은, PD 펄스가 본질적으로 약 1 ns 수준의 매우 짧은 상승 시간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예를 들어 10 kHz 내지 10 MHz의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는 고-주파수 순시 펄스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유도성 소자는 이러한 펄스에 대하여 매우 높은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PD 전류가 접지로 빠져나갈 수 없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PD 전류의 많은 부분이 커플링 커패시터를 통해 흐르고, 따라서 제 1 커플링 유닛에 의해서 증가된 감도 및 정확도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은, 대응하는 측정 신호도 역시 겉보기 전하에 대한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PD 전류의 일부를 각각 유사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는 개별적으로 기반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또는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되고 및/또는 상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정의 정확도가 추가적으로 증가되는데, 그 이유는 일 면에서는 PD가 커플링 유닛 중 하나에 공간적으로 가까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되고, 다른 면에서는 교란 또는 잡음에 기인한 영향이 상이한 측정 신호들의 비교, 오프셋(offsetting) 및/또는 상관에 의해서 더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케이블에 의한 감쇠로부터 초래되는 PD 펄스의 분산의 영향이 감소되는데, 그 이유는 복수 개의 커플링 유닛을 제공함을 통하여 더 짧은 신호 전환 시간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겉보기 전하에 대한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측정 신호 중 적어도 두 개, 예를 들어 모두가 서로에 반대 되도록 설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 각각은 필터 소자 또는 필터 네트워크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각각의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 및 신호 출력부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한 경우에, 필터 소자는, 예를 들어 고역-통과 또는 대역통과 특성을 가진다.
고역 통과를 위해 가능한 한계 주파수는, 예를 들어 30 kHz 또는 100 kHz일 수 있다. 다음에는, 예를 들어 대역통과를 위해서 100 kHz가 하한 주파수로서 가능하고 및/또는 상한 주파수로서 500 kHz가 가능하다. 실제 요구 사항에 따라서 다른 한계 주파수들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의 필터 소자는 적응형 필터 소자로서 구성되고, 측정 브랜치 및 커플링 브랜치의 전달 함수들이 서로 매칭되는 방식으로 차폐 케이블에 대해 그들의 각각의 주파수 경로를 적응시키는 목적을 위해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복의 제 1 연결점은 케이블의 제 1 단부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복의 제 2 연결점은 케이블의 제 1 단부와 다른 제 2 단부에 배치된다.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하면, 특히 케이블의 코어가 케이블의 단부에서 용이하게 액세스가능하고 따라서 케이블의 하나의 단부에서 코어 및 피복 사이에 PD 교정기를 연결함으로써 교정이 가능해지고, 그러면 IEC 60270에 따른 교정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평가 유닛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PD 측정 기구, 특히 브로드-밴드 PD 측정 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제 1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도 가중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는 제 1 커플링 유닛 및/또는 제 2 커플링 유닛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함으로써 생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커플링 유닛의 가중된 측정 신호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가중된 측정 신호를 제 1 커플링 유닛의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차 신호가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 2 커플링 유닛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를 제 1 커플링 유닛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감산함으로써 차 신호가 형성된다. 그러면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1 특성 값이 차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제 차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일부가 적분된다. 예를 들어, 차 신호의 제 1 반파 및/또는 차 신호의 절대량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차 신호의 양의 영역 성분 및/또는 차 신호의 음의 영역 성분 및/또는 차 신호의 푸리에 스펙트럼의 일부가 적분될 수 있다.
적분 결과가 PD의 겉보기 전하의 제 1 특성 값을 나타낸다. 차분 측정 신호들을 서로에 대해 설정함을 통하여, PD의 전체 전하 에너지의 특히 큰 비율이 고려된다. 결과적으로, 특히 높은 정도의 측정 정확도가 얻어진다. 모든 측정 신호가 서로에 대해서 설정된다면 정확도는 특히 높아진다. 또한, 교란 또는 잡음에 기인한 영향이 서로에 대해서 설정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는 것도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차 형성(difference formation)은, 커플링 브랜치에서의 PD 전류의 흐름 방향이 설명된 구성에 기인하여 측정 브랜치에서의 방향과 반대라는 것을 고려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 2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로부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제 1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또는 제 2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는 것을 통하여 대응하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면 각각의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적분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의 제 1 반파 및/또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의 절대량의 일부 및/또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의 푸리에 스펙트럼의 일부가 적분될 수 있다.
적분 결과가 PD의 겉보기 전하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나타낸다. 겉보기 전하에 대한 여러 특성 값을 설명된 방식으로 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선택을 통하여 또는 평균값 형성을 통하여, 겉보기 전하에 대한 증명되고 특히 정확한 특성 값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명백하게 잘못되거나 부정확한 특성 값은 버려질 수 있다. 케이블의 상이한 위치에 복수 개의 커플링 유닛이 있기 때문에, 매우 만족스러운 측정 값이 얻어질 확률이 높아진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제 2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 및 제 2의 및 제 3 커플링 유닛의 가중된 측정 신호 또는 그 푸리에 스펙트럼들을 가산함을 통하여 합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합 신호는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 또는 그 푸리에 스펙트럼들을 가산함으로써 생성된다. 그러면 제 2 특성 값이 합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합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에 의해서 디지털화된 합 신호가 생성된다.
그러면 각각의 합 신호 또는 디지털화된 합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가 적분된다. 예를 들어, 합 신호 또는 디지털화된 합 신호의 제 1 반파 및/또는 합 신호 또는 디지털화된 합 신호의 절대량 및/또는 상기 신호의 양의 또는 음의 영역 성분 및/또는 합 신호 또는 디지털화된 합 신호의 푸리에 스펙트럼의 일부가 적분될 수 있다.
적분 결과가 PD의 겉보기 전하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나타낸다. 여러 측정 신호를 고려하면, 더 높은 수준의 측정 정확도가 이를 통하여 얻어진다.
측정 신호의 가중은, 예를 들어 각각의 가중 인자에 의해 측정 신호를 승산함으로써 얻어지는데, 여기에서 가중 인자는, 예를 들어 설명된 구성에서의 각각의 커플링 유닛의 교정으로부터의 각각의 교정 인자에 대응한다. 커플링 유닛에서 측정가능한 실제 전하 및 겉보기 전하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이러한 교정에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세부사항에 대해서는 IEC 6027 및 교정 방법의 후술되는 설명이 참조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 신호 및/또는 차 신호 및/또는 합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이전에 특히 저역-통과 필터링에 의하여 필터링되는데, 여기에서 저역-통과 필터링의 한계 주파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의 스캐닝 주파수, 특히 최대 스캐닝 주파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디지털화(digitalisation)에서의 가명 효과(alias effect)가 감소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 신호 및/또는 합 신호 및/또는 디지털화된 합 신호 및/또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는 측정 범위를 규정하도록 필터링된다. 측정 범위는, 예를 들어 0 내지 100 MHz의 범위 또는 0 내지 70 MHz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란 신호로 인한 영향이 이를 통하여 감소된다.
설명된 적분에 대한 대체예로서,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서는 차 신호 및/또는 합 신호 및/또는 디지털 합 신호 및/또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의 피크 값이 결정된다. 그러면, 피크 값은 제 1 또는 제 2 특성 값을 나타낸다.
다른 형태의 실시예에서, PD의 위상 정보도, 특히, 예를 들어 사인 파에 대응하는 공급 전압에 대한 PD의 인스턴트(instant)가 매번 전술된 펄스 평가와 병렬적으로 검출된다. 그러면, PD를 특징짓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대응하는 위상-분해 히스토그램이 각각의 위상 데이터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커플링 유닛은 5 A 이상의 전류를 50 Hz의 주파수에서 통전하도록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은 100 A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A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A 이상의 전류를 50 Hz의 주파수에서 통전하도록 각각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커플링 유닛은 2,000 V 이상에 달하는 전압량을 위하여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명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중 하나 이상은 동기되어, 특히 상이한 측정 브랜치들과, 관련성이 있다면 커플링 브랜치 사이에 15 ns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ns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ns 미만의 사이의 동기화(synchronicity)를 가지고 수행된다.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 및 신호 출력부를 가지는 제 4 커플링 유닛이, 예를 들어 제 1 커플링 유닛과 유사하게 제공되고 구성된다.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는 코어의 제 2 연결점 및 제 4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와 연결된다.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는 그 신호 출력부에서 획득되고,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3 특성 값은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의 제 2 연결점은 케이블의 제 2 단부에 배치된다.
제 3 특성 값의 결정은, 제 1 또는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제 4 커플링 유닛이 제 1 커플링 유닛을 대체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제 1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및/또는 제 2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로부터 제 1 전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전환 시간은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그러면, 케이블의 PD의 국지화(localisation)가 케이블의 제 1 및/또는 제 2 전환 시간에 기반하여 수행된다.
그러한 경우에, 전환 시간은 미리 결정된 레퍼런스 순간으로부터, 예를 들어 각각의 측정 신호의 피크 값의 발생시에 이르는 각각의 측정 신호의 검출의 순간까지 연장되는 각각의 시간 간격에 대응한다. 전환 시간은 상이한 커플링 유닛 또는 피복에 있는 연관된 연결점으로부터 케이블 내의 PD의 상이한 공간적 거리에 기인하여 명백하게 달라진다.
그러므로, 케이블 내의 PD의 원점의 국지적인 위치에 대한 직접적인 결정이 그렇게 위치되고 국지화된 전환 시간 및 PD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전환 시간들이 비교될 수 있고, 전환 시간 중 하나, 예를 들어 최단 전환 시간이 국지화를 위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측정에서의 분산 효과가 최소화되고 측정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측정 결과를 얻기 위하여, 전환 시간은 각각의 측정 신호의 다른 피쳐, 예를 들어 연관된 겉보기 전하 및/또는 연관된 피크 값에 기반해서도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제 1의 측정 신호 및 제 3 커플링 유닛 사이 또는 제 2의 측정 신호 및 제 3 커플링 유닛 사이의 교차-상관을 형성함으로써 상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환 시간이 상관 신호로부터 결정되고, 이에 기반하여 PD의 국지화가 수행된다.
전환 시간 결정 및 국지화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설명된 프로시저와 유사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상관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잡음에 기인한 교란 및 영향이 교차-상관에 의하여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그러면 측정 정확도가 추가적으로 증가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과 동일한 구성인 하나 이상의 추가 커플링 유닛이 제공된다. 추가 커플링 유닛은 그 입력부에 의하여 피복의 각각의 추가 연결점과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점은 피복의 제 1 및 제 2 연결점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커플링 유닛의 각각의 측정 신호는 그 각각의 신호 출력부에서 픽업되고,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이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는 설명된 바와 같은 제 2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와 유사하게 처리되고 사용된다. 특히,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는 설명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가중된다.
특히, 차 신호를 생성하는 데에 있어서,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도 역시 제 1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로부터 감산된다는 점에서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2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와 유사하게, 특히 합 신호를 생성할 때에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가 고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라서,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PD의 국지화가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수행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전환 시간이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속하는 전환 시간이 PD를 국지화하기 위하여 제 2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로부터의 전환 시간과 유사하게 사용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제 3 및 추가 커플링 유닛이 피복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점이 등거리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복에 있는 상이한 연결점 또는 대응하는 커플링 유닛과 연관된 적어도 세 개의 전환 시간들이 서로 비교된다. 그러면, PD의 국지화는, 피복에 있는 두 개의 최단 전환 시간이 결정된 그러한 연결점들 사이의 위치로 PD를 공간적으로 한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국지화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예를 들어 추가적인 계산 단계가 없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PD가 국지화된 케이블의 부분은 교환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으로, 추가 커플링 유닛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제거될 케이블의 부분은 작아진다.
복수 개의 커플링 유닛을 공급함으로써, 신호 분산의 영향이 감소된다. 더욱이, 이를 통하여 PD의 국지화의 결과의 실시간 표시가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법은, 테스트 전압의 제공, 측정 신호의 획득 및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의 결정이 수행되기 전에, 특히 IEC 60270에 따라서 또는 부분적으로 IEC 60270에 따라서, 특히 설명된 테스팅 시스템 내에서 커플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하는 것은 커플링 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교정 인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정 인자는, 예를 들어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의 설명된 가중에 대한 가중 인자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교정하기 위하여, 코어의 제 1 연결점 및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들 중 하나 사이 및/또는 코어의 제 2 연결점 및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들 중 하나 사이 및/또는 코어의 추가 연결점 및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들 중 하나 사이에 교정 펄스가 생성된다. 그러한 경우에, 코어의 추가 연결점은, 특히, 커플링 유닛 중 하나가 연결되는 연결점에 대응한다. 특히, 교정 펄스에 기인한 교정 신호가 커플링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 출력부에서 픽업된다. 교정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테스트 값이 교정 신호로부터 결정된다. 테스트 값은 교정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레퍼런스 값과 비교되고, 커플링 유닛에 대한 교정 인자가 이러한 비교로부터 결정되는데, 여기에서 교정 인자는, 특히 테스트 값 및 레퍼런스 값 사이의 비율 또는 이러한 비율에 비례하는 값에 대응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트 값을 결정하는 것은, 교정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에 의해 디지털화된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과 디지털화된 교정 신호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적분하는 것을 포함한다. 적분은, 예를 들어 차 신호 및/또는 측정 신호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수행된다. 차 신호 및/또는 측정 신호에 대해서 설명된 필터링에 대한 그 외의 가능성이 교정 신호에 대해서도 대응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적분 결과는 교정 인자를 나타낸다.
디지털화된 교정 신호의 적분은 차 신호 및/또는 합 신호 및/또는 디지털화된 측정 신호의 적분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값을 결정하는 것은,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 및 레퍼런스 포텐셜 사이에 교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커플링 유닛은 케이블, 고전압원, 커플링 커패시터 또는 설명된 테스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와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면 레퍼런스 신호가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에서 픽업되고, 레퍼런스 값은 교정 인자를 결정하는 설명된 것과 유사하게 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의 추가 연결점은, 피복의, 교정되는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와 연결된 연결점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 외의 형태의 실시예에서, 피복 및/또는 코어의 연결점들 중 두 개의 연결점들 사이의 투과 함수(transmission function)가 교정을 위하여 결정된다. 교정 펄스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스펙트럼, 특히 약 10 MHz까지 0의 스펙트럼을 가지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에서 얻어진 교정 신호의 푸리에 스펙트럼은 계단 응답 및 따라서 투과 함수를 나타낸다. 그러한 경우에, 이것은 교정기가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점과 상기 커플링 유닛이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점 사이의 투과 함수이다. 따라서, 케이블의 투과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이러한 교정에 의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피복의 연결점이 케이블의 단부에 배치되지 않으면, 코어는, 예를 들어 교정기가 연결된 슬리브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특히, 그러면 교정이 슬리브를 설치할 때에 수행될 수 있다.
교정 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교정기, 특히 IEC 60270에 따른 교정기가 사용된다. 교정기는, 예를 들어 계단 전압을 생성하는 발생기 및 발생기와 직렬 연결되는 커패시터여서, 교정 펄스가 미리 결정된 세기의 전류 또는 전압 펄스의 열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교정기의 다양한 가능한 구성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교정 인자가 설명된 교정을 통하여 각각의 커플링 유닛에 대해서 결정된다. 그러면, 특히 적합한 교정 인자가 이러한 복수 개의 교정 인자 중에서,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기 위하여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교정기의 구성은 피복의 연결점에 가장 가까운 커플링 유닛과 연결되는 것이 적절하다. 대안적으로, 복수 개의 교정 인자들로부터 얻어진 평균 값이 가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PD 측정의, 특히 IEC 60270에 따른 특히 정확한 교정이 얻어진다.
또한, 진보된 개념에 따르면,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기 위한 테스팅 디바이스가 제시되는데, 케이블은 코어 및 피복을 포함한다. 테스팅 디바이스는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 커플링 커패시터, 고전압원 및 평가 유닛을 포함한다. 제 2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피복의 제 1 연결점과 연결가능하거나 연결되고, 제 3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피복의 제 2 연결점과 연결가능하거나 연결된다.
고전압원은 고전압원을 코어의 제 1 연결점과 연결하기 위한 출력부를 가진다. 커플링 커패시터의 제 1 연결부는 고전압원의 출력부와 연결되고, 제 1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커플링 커패시터의 제 2 입력부와 연결된다.
평가 유닛은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의 신호 입력부들 각각과 연결된다. 평가 유닛은,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로부터 연관된 측정 신호를 획득하고,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배치된다.
평가 유닛은, 진보된 개념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고 및/또는 진보된 개념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PD의 국지화를 수행하기 위해서 배치된다.
대응하는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 유닛은 설명된 그 외의 필터링 및 다른 신호 처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서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스팅 디바이스는 입력부 및 신호 출력부를 가지는 제 4 커플링 유닛, 및 코어의 제 2 연결점과 연결가능한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제 4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는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와 연결된다. 평가 유닛은, 제 4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로부터 측정 신호를 획득하고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결정하기 위해서 배치된다.
설명된 교정이 테스팅 디바이스에 대해서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진보된 개념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및 차폐 케이블을 포함하는 테스팅 장치가 제시된다. 케이블과 연결가능한 테스팅 디바이스의 컴포넌트가 케이블과 연결된다.
테스팅 시스템의 추가적인 형태의 실시예 및 구현형태는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의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들로부터 직접적으로 명백해진다. 특히,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는 각각 또는 수 개의 컴포넌트 및/또는 구성이 테스트 시스템 내에 대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예시적인 형태를 이용해서 후속하는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컴포넌트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컴포넌트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컴포넌트는 어떤 경우에는 그들이 처음 나타나는 도면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후속하는 도면에서는 설명이 꼭 반복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형태의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를 차폐 케이블과 함께 보여준다;
도 2a는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또는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형태의 커플링 유닛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도 2b는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또는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다른 실시형태의 커플링 유닛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3은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다른 형태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도면을 보여준다.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형태의 실시예의 블록 회로도 및, 예를 들어 예시된 테스팅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차폐 케이블(GK)의 등가 회로도가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의 테스팅 디바이스는 진보된 개념에 따른 방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GK)은 내부 도체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코어라고 불리고 등가 회로도에서 제 1 도체 인덕턴스(LL1), 제 1 도체 저항(RL1), 제 2 도체 인덕턴스(LL2) 및 제 2 도체 저항(RL2)의 직렬 연결에 의해 도시된다. 또한, 케이블(GK)은 제 1 피복 인덕턴스(LS1), 제 1 피복 저항(RS1), 제 2 피복 인덕턴스(LS2) 및 제 2 피복 저항(RS2)의 직렬 연결로 예시되는 전기적으로 도전성 피복을 가진다. 피복 및 내부 도체는 서로 전기적으로 고립되는데, 이것이 등가 회로도에서 도체/피복 커패시턴스(CLS) 및 이와 병렬로 배치되는 피복 저항(RLS)으로 고려된다. 도체/피복 커패시턴스(CLS) 및 도체/피복 저항(RLS)은, 예를 들어 코어 및 피복이 각각 나타내는 직렬 연결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등가 회로도는, 비한정적인 예로서 일 단부에서 개방된 케이블(GK)에 대응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엔드 클로저 또는 워터 엔드 클로저(water end closure) 및/또는 추가적 고전압 커패시터에 의한 케이블의 종단이 가능하다.
코어는, 일 예로서 케이블의 제 1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점(AL1)을 가진다. 피복은, 일 예로서 케이블의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에 배치되는 제 1 연결점(AS1) 및 제 2 연결점(AS2)을 가진다.
테스팅 디바이스는 고전압원(HV), 커플링 커패시터(KK), 평가 유닛(A) 및, 일 예로서, 제 1 커플링 유닛(K1), 제 2 커플링 유닛(K2) 및 제 3 커플링 유닛(K3)을 포함한다. 고전압원(HV)의 출력부는 코어의 제 1 연결부(AL1) 및 커플링 커패시터(KK)의 제 1 연결부와 연결된다. 커플링 커패시터의 제 2 연결부는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입력부(E)와 연결되고, 제 1 커플링 유닛의 레퍼런스 연결부(R)는 접지 포텐셜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커패시터(KK) 및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직렬 연결로 이루어진 커플링 브랜치가 형성된다. 제 2 커플링 유닛(K2) 및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입력부(E)는 피복의 제 1 연결점(AS1) 및 제 2 연결점(AS2) 각각과 연결된다. 제 2 커플링 유닛(K2) 및 제 3 커플링 유닛(K3)의 레퍼런스 연결부(R)는 접지 포텐셜과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 1 측정 브랜치 및 제 2 측정 브랜치가 형성된다. 커플링 유닛(K1, K2 및 K3)의 신호 출력부(S)는 평가 유닛(A)과 연결된다. 테스팅 디바이스는 피복의 추가 연결점과 연결되는 추가 커플링 유닛을 포함한다.
고전압원(HV)은 그 출력부에서, 화살표로 표시되는 것처럼 커플링 브랜치 및 케이블(GK) 사이에서 분할되는 테스트 전류의 결과를 가지는 테스트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현된다. 테스트 전류는 실질적으로 도체/피복 커패시턴스(CLS)에 의해 결정된다. 코어 및 피복 사이의 절연 유전체의 도체/피복 저항(RLS)은 매우 높아서, 테스트 전류의 무시가능한 부분만이 유전체를 통해 흐르게 된다.
커플링 커패시터(KK)는 고전압 커패시터로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커패시터 권선을 포함한다. 커패시터 권선은, 예를 들어 두 도전성 호일이 있는, 유전체 상에 권선된 층들로서 형성된다. 커플링 커패시터(KK)는 예시적인 등가 회로도에 의해 도 1에 도시된다. 커패시터 권선들 사이 및 커패시터 권선으로부터 커패시터의 연결부로의 연결은 연결 인덕턴스(LK) 및 연결 저항(RK)으로 구성된 직렬 연결로 고려된다. 그것과, 커패시터의 유전체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턴스(CK)가 직렬로 연결된다. 커패시터 권선의 자기-인덕턴스(LI)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K)와 병렬 연결된다.
부분 방전 PD가 케이블(GK) 내에서, 특히 피복 및 코어 사이의 전기 절연에서 생기면, 이것은, 특히 커플링 브랜치 내에서만이 아니라 모든 측정 브랜치 내에 고-주파수 및/또는 순시 부분 방전 전류 또는 펄스가 생기게 한다. 커플링 유닛(K1, K2 및 K3)은, 예를 들어 입력부(E) 및 레퍼런스 연결부(R) 사이에 유도성 소자를 가지고, PD 펄스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유도성으로 동작함으로써, 특히 두 자리 및 세 자리의 KHz 범위 내의 신호들에 대해 차단 효과를 가지게 한다. 커플링 유닛(K1, K2 및 K3)을 피복 및 코어 사이에 도입함으로써, 측정 브랜치 뿐만 아니라 제 1 도체 인덕턴스(LL1), 도체/피복 커패시턴스(CLS), 제 2 피복 인덕턴스(LS2) 및 제 3 커플링 인덕턴스(K3)의 내재 인덕턴스에 의해 형성되는 브랜치가 PD 펄스에 대해 높은 임피던스 및 대응하는 차단 효과를 가지게 한다. 이를 통하여, PD 전류는 커플링 커패시터(KK)를 통해 특히 높은 비율로 흐르고, 그러면 측정 감도가 개선된다.
다르게 말하면, PD 전류는 정밀한 측정을 위해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측정 브랜치들 사이에서 분할되는데, 그 이유는 모든 측정 브랜치 및 커플링 브랜치가 커플링 유닛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면, 피복은 커플링 커패시터(KK)와 같이 직접적으로 접지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내재적 인덕턴스를 가지는 커플링 유닛(K2 및 K3) 중 하나를 통해 접지된다.
도 2a는 개선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또는 방법을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플링 유닛(K)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커플링 유닛(K)은 측정 임피던스로서 구성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적응가능한 인덕턴스(IE), 및 인덕턴스(IE)의 다운스트림에 있는 필터 소자(F)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필터 소자(F)는 자신의 전달 함수를 선택적으로 적응시킬 수 있는 필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RLC 네트워크로서 형성된다. 커플링 유닛(K)은 그 사이에 인덕턴스(IE)가 연결되는 입력부(E) 및 레퍼런스 연결부(R) 및 측정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 출력부(S)를 가진다. 여기에서, 커플링 유닛(K)은, 일 예로서 신호 출력부(S)의 두 개의 연결부들에 차동 신호를 발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b는 바람직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또는 방법을 위한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커플링 유닛(K)의 블록 회로도를 보여준다.
커플링 유닛(K)은, 예를 들어 고-주파수 전류 컨버터, 즉 고-주파수 전류 변압기(HFCT)로서 구성되고 커플링 유닛(K)의 유도성 소자를 나타내는 전류 컨버터(SW)를 포함한다. 그러면, 전류 컨버터(SW)는, 예를 들어 1의 일차 권선 개수를 가지는 직결형(straight-through) 컨버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는 커플링 유닛(K)은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 또는 방법에서 커플링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진보된 개념에 따른 테스팅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형태의 실시예 및 예시된 테스팅 디바이스가 일 예로서 연결되는 차폐 케이블(GK)의 개략적인 예시를 보여준다.
차폐 케이블(GK)은, 코어의 제 1 연결점(AL1) 및 그 중에 세 개가 도시되는 피복의 N 개의 연결점(AS1, AS2 … ASN)을 가진다. 쇄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케이블(GK)은 피복의 추가 연결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고전압원(HV) 및 커플링 커패시터(KK) 및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직렬 연결은 코어의 제 1 연결점(AL1)과 연결된다. 테스팅 디바이스는, 일 예로서 세 개가 도시되고 각각의 입력부에 의해 피복의 연결점(AS1, AS2, … ASN) 중 하나와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레퍼런스 연결부에 의해, 예를 들어 접지 포텐셜인 레퍼런스 포텐셜과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추가 커플링 유닛(K2, K3, … KN)을 포함한다. 평가 유닛(A)은 커플링 유닛들 각각의 연관된 신호 출력부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특히 IEC 60270에 따라 교정될 수 있는 진보된 개념에 따른 방법에 대해서 전술된 바와 같은 다채널 측정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은 피복 및 코어의 연결점(AS1, AS2, … ASN, AL1) 사이에서 복수 개의 케이블 브랜치로 실효적으로 분할된다. 케이블 브랜치 및 커플링 브랜치에서 흐르는 테스트 전류는 테스트 전압 및 각각의 실효 커패시턴스에 의존한다. 세 자리 Hz 범위에 속하는 주파수의 경우, 테스트 구성은 실질적으로 용량성인 거동을 가진다. IEC 60270에 따른 브로드-밴드 PD 측정의 주파수 범위에서, 예를 들어 세 자리 kHz 범위 및 그보다 높은 범위에서, 케이블(GK)의 무시될 수 있는 분산 인덕턴스가 낮은 주파수에서 실효성을 가진다.
따라서, 진보된 개념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면, 특히 높은 측정 감도 및 정확도가 가능해진다.
차폐 케이블 또는 분산 소자가 있는 다른 대상에서의 특히 고감도인 PD 측정을 위한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가 진보된 개념에 의해 제시되고, 이를 통해서 증가된 감도가 얻어질 수 있다. PD 측정의 기본적인 교란 레벨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케이블의 제 1 단부로부터 크게 이격되어 발생되는 PD가 훨씬 더 만족스럽게 검출될 수 있다. 신호 분산이 덜 뚜렷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고장 위치파악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차폐 케이블에 대한 진보된 개념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분산된 소자, 예를 들어 분산된 커패시턴스, 인덕턴스 및/또는 저항을 가지는 다른 대상물에서 유사하게 사용하는 것도 전문가에게는 쉽게 가능해지고, 차폐 케이블에서 사용하는 경우와 대응하는 장점이 생긴다. 분산된 소자를 가지는 대응하는 대상물은, 예를 들어 고전압 커패시터, 연장된 가스-절연 스위칭 플랜트(GISP) 또는 고전압 리드-스루(lead-through)일 수 있다.
참조 부호
HV 고전압원
GK 차폐 케이블
KK 커플링 커패시터
A 평가 유닛
K1, K2, K3, KN, K 커플링 유닛
AS1, AS2, ASN 피복의 연결점
AL1, AL2 코어의 연결점
RK 연결 저항
LK 연결 인덕턴스
LI 커패시터 권선의 자기-인덕턴스
CK 커플링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LS1, LS2 피복 인덕턴스
RS1, RS2 피복 저항
LL1, LL2 도체 인덕턴스
RL1, RL2 도체 저항
CLS 도체/피복 커패시턴스
RLS 도체/피복 저항
IE 유도성 소자
SW 전류 컨버터
F 필터 소자
E 입력부
R 레퍼런스 연결부
S 신호 출력부

Claims (15)

  1. 코어 및 피복이 있는 차폐 케이블(GK)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 커플링 커패시터(KK)를 상기 코어의 제 1 연결점(AL1)과 연결하는 단계;
    -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1, K2, K3)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은 각각 입력부(E)와 신호 출력부(S)를 가짐 -;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입력부(E)를 상기 커플링 커패시터(KK)와 연결하고,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입력부(E)를 피복의 제 1 연결점(AS1)과 연결하며,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입력부(E)를 상기 피복의 제 2 연결점(AS2)과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코어의 제 1 연결점(AL1)에 테스트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신호 출력부(S)에서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의 각각의 측정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케이블(GK)의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측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
    -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K2, K3)의 가중된 측정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또는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 2 및/또는 제 3 커플링 유닛(K2, K3)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차 신호를 생성하는 것; 및
    - 상기 차 신호로부터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1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 신호로부터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1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차 신호 또는 상기 차 신호로부터 유도된 신호의 적어도 일부를 적분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측정 신호 및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
    - 상기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2, K3)의 가중된 측정 신호들 또는 상기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2, K3)의 가중된 측정 신호의 푸리에 스펙트럼들을 가산함으로써, 합 신호를 생성하는 것; 및
    - 상기 합 신호로부터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2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입력부(E) 및 신호 출력부(S)를 가지는 제 4 커플링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를 상기 코어의 제 2 연결점(AL2)과 연결하고,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를 상기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와 연결하는 단계;
    -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S)에서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3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3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은,
    -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 및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를 가중하는 것;
    -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가중된 측정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또는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로부터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디지털화된 가중된 측정 신호를 감산함으로써,
    추가 차 신호를 생성하는 것; 및
    - 상기 추가 차 신호로부터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제 3 특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측정 신호 및/또는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측정 신호로부터 제 1 전환 시간(transit time)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로부터 제 2 전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제 1 전환 시간 및/또는 제 2 전환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케이블(GK)의 부분 방전을 국지화(localisation)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K1)의 측정 신호와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 사이 또는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측정 신호와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측정 신호 사이의 교차-상관을 형성함으로써, 상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상관 신호로부터 전환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전환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케이블(GK)의 부분 방전을 국지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테스트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측정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 중 적어도 하나를 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측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은 각각 레퍼런스 포텐셜에 연결되는 레퍼런스 연결부(R)를 가지고, 상기 교정하는 단계는,
    - 상기 코어의 제 1 연결점(AL1)과 상기 레퍼런스 포텐셜 사이 또는 상기 코어의 제 1 연결점(AL1)과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입력부들(E) 중 하나 사이 또는 상기 코어의 추가 연결점과 상기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들 중 하나 사이에 교정 펄스를 생성하는 것;
    -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 중 하나의 신호 출력부(S)에서 교정 신호를 획득하는 것;
    -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상기 교정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테스트 값을 결정하는 것; 및
    - 상기 테스트 값을 상기 교정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레퍼런스 값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교정 신호가 획득된 신호 출력부(S)에서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에 대한 교정 인자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측정 방법.
  12. 코어 및 피복이 있는 차폐 케이블(GK)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테스팅 디바이스로서,
    - 입력부(E)와 신호 출력부(S)를 각각 가지는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1, K2, K3) - 상기 제 2 커플링 유닛(K2)의 입력부(E)는 상기 피복의 제 1 연결점(AS1)과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3 커플링 유닛(K3)의 입력부(E)는 상기 피복의 제 2 연결점(AS2)과 연결되기 위한 것임 -;
    - 출력부를 가지는 고전압원(HV) - 상기 출력부는 상기 고전압원을 상기 코어의 제 1 연결점(AL1)과 연결시키고 상기 출력부에 테스트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 -;
    - 상기 고전압원의 출력부와 연결되는 커플링 커패시터(KK) - 상기 제 1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E)는 상기 커플링 커패시터(KK)와 연결됨 -; 및
    -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신호 출력부(S)와 연결되는 평가 유닛(A)을 포함하고,
    - 상기 평가 유닛(A)은,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신호 출력부(S)로부터 연관된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케이블(GK)의 부분 방전 펄스의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테스팅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 각각은,
    레퍼런스 포텐셜과 연결되는 레퍼런스 연결부(R)를 가지고, 또한
    - 각각의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상기 입력부(E)와 상기 레퍼런스 연결부(R) 사이에 배치되는 유도성 소자(IE, SW)를 포함하며, 및/또는
    - 각각의 커플링 유닛(K1, K2, K3)의 상기 입력부(E)와 상기 출력부(S)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소자(F)를 포함하는, 테스팅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유닛(K1, K2, K3)의 필터 소자(F)는,
    적응형 필터 소자(F)로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측정 브랜치 및 커플링 브랜치의 전달 함수들이 서로 매칭되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필터 소자의 각각의 주파수 응답을 상기 차폐 케이블(GK)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배치되는, 테스팅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팅 디바이스는,
    - 입력부(E) 및 신호 출력부(S)를 가지는 제 4 커플링 유닛; 및
    - 상기 코어의 제 2 연결점(AL2)과 연결될 수 있는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 -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입력부(E)는 상기 추가 커플링 커패시터와 연결됨 - 를 더 포함하고,
    - 상기 평가 유닛(A)은,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신호 출력부(S)로부터 측정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4 커플링 유닛의 측정 신호에 의존하여 상기 겉보기 전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테스팅 디바이스.
KR1020207005185A 2017-07-24 2018-04-26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KR102620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6613.0 2017-07-24
DE102017116613.0A DE102017116613B3 (de) 2017-07-24 2017-07-24 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r Messung von Teilentladungsimpulsen eines geschirmten Kabels
PCT/EP2018/060698 WO2019020225A1 (de) 2017-07-24 2018-04-26 Verfahren und prüfvorrichtung zur messung von teilentladungsimpulsen eines geschirmten kab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764A true KR20200034764A (ko) 2020-03-31
KR102620954B1 KR102620954B1 (ko) 2024-01-03

Family

ID=6210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185A KR102620954B1 (ko) 2017-07-24 2018-04-26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125802B2 (ko)
EP (1) EP3658925B1 (ko)
JP (1) JP7132319B2 (ko)
KR (1) KR102620954B1 (ko)
CN (1) CN110945370B (ko)
BR (1) BR112020000927A2 (ko)
CA (1) CA3069188A1 (ko)
DE (1) DE102017116613B3 (ko)
RU (1) RU2762249C2 (ko)
WO (1) WO2019020225A1 (ko)
ZA (1) ZA201908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8109B1 (en) * 2018-06-29 2022-08-31 ABB Schweiz AG Fail-safe retrofitting kit for a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ystem and a preinstalled voltage indication system (vis)
DE102018126743B3 (de) 2018-10-26 2020-01-0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Zustandsanalyse eines elektrischen Betriebsmittels
JP7130542B2 (ja) * 2018-12-12 2022-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部分放電検出装置及び部分放電検出方法
JP7326038B2 (ja) * 2019-06-18 2023-08-15 株式会社東芝 部分放電診断装置、部分放電診断方法及び部分放電診断システム
US11226359B2 (en) * 2019-10-31 2022-01-18 Ravisekhar Nadimpalli Raju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multi-level voltage pulses for electrical insulation testing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D139958A3 (de) 1978-02-15 1980-01-30 Eberhard Lemke Schaltungsanordnung zum messen von teilentladungen in der isolierung von elektrischen leitern
DE69024278T2 (de) * 1989-07-31 1996-06-27 Mitsui Petrochemical Ind Anordnung zur Überwachung der Isolationsverschlechterung einer elektrischen Installation
NO302494B1 (no) * 1989-10-25 1998-03-09 Hitachi Cable Fremgangsmåte for deteksjon av en partiell utladning i en isolasjon av en elektrisk kraftkabel
US5272439A (en) * 1992-02-21 1993-12-21 University Of Connecticut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location of faults and partial discharges in shielded cables
NL9201944A (nl) * 1992-11-05 1994-06-01 Kema Nv Werkwijze voor het meten van partiële ontladingen in kabels.
EP0740159A1 (en) * 1995-04-21 1996-10-30 N.V. Kema Measuring system for partial discharges
NL1005349C2 (nl) * 1997-02-24 1998-08-26 Kema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sporen en lokaliseren van onregelmatigheden in een diëlectricum.
EP0990916A4 (en) 1998-04-14 2002-01-30 Furukawa Electric Co Ltd METHOD FOR DIAGNOSTICING THE DEGRADATION OF AN ELECTRIC POWER CABLE
JP2000147037A (ja) 1998-11-04 2000-05-26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空間電荷測定方法
DE10000551C1 (de) 2000-01-08 2001-07-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Batterieleitung
JP3628244B2 (ja) * 2000-08-28 2005-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部分放電検出方法
JP3869283B2 (ja) 2002-02-14 2007-01-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力ケーブルの劣化診断における誘導ノイズの除去方法および電力ケーブルの試験装置
US6930610B2 (en) * 2002-05-03 2005-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wiring systems
US7030621B2 (en) * 2004-05-04 2006-04-18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current AC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system for wiring diagnostics
US7112968B1 (en) * 2005-11-30 2006-09-26 Hanero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partial discharge in a high-voltag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7705607B2 (en) * 2006-08-25 2010-04-27 Instrument Manufacturing Company Diagnostic methods for electrical cables utilizing axial tomography
RU2505828C2 (ru) * 2008-08-25 2014-01-27 Эском Холдингс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мониторинга частичных разрядов
EP2360486B1 (de) * 2010-02-24 2018-09-05 Omicron electronics GmbH Verfahren zur Kalibrierung einer Teilentladungsmesseinrichtung
ES2379831A1 (es) * 2010-05-26 2012-05-04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PROCEDIMIENTO DE MONITORIZACIÓN CONTINUA Y DIAGNÓSTICO DE FUENTES DE DESCARGAS PARCIALES (DPs) EN CABLES DE ALTA TENSIÓN DURANTE SU CONEXIÓN Y FUNCIONAMIENTO EN LA RED, Y SISTEMA FÍSICO PARA LA PUESTA EN PRÁCTICA DEL PROCEDIMIENTO.
JP5795470B2 (ja) * 2010-11-02 2015-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高電圧試験装置
BR112013016700B1 (pt) * 2010-12-30 2020-11-03 Prysmian S.P.A. método e aparelho de localizar falhas incipientes que geram descargas parciais em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de corrente alternada
CN202351374U (zh) * 2011-12-01 2012-07-25 厦门红相电力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力电缆局部放电点精确定位装置
US9110105B2 (en) * 2012-11-02 2015-08-18 Utilx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sensor for partial discharge signal-analyzing systems
BR112017000973A2 (pt) * 2014-07-18 2018-01-16 Prysmian Spa aparelho de ligação de cabo elétrico, e, sistema de cabo elétrico.
CN204028288U (zh) * 2014-08-08 2014-12-17 国家电网公司 电缆局部放电的检测设备和电容耦合传感器
CN104765971B (zh) * 2015-04-23 2017-11-10 东北电力大学 一种交联聚乙烯高压电缆局部放电特征提取方法
EP3106888B1 (en) * 2015-06-15 2020-08-12 Seitz Instruments AG Method and system for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on a power cable
US10962584B2 (en) * 2016-02-24 2021-03-30 Prysmian S.P.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artial discharge pulses in the presence of noise signals
CN106990340B (zh) * 2017-06-01 2020-03-24 杭州纵波科技有限公司 一种局部放电监测系统及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Guide for Partial Discharge Testing of Shielded Power Cable Systems in a Feeld Environment, IEEE Power Eng. Society, 2007.2.5. *
Y Tian 외 4인,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High Voltage Cables using VHF Capacitive Coupler and Screen Interruption Tech.', Conference of 2002 IEEE, 2002.4. *
Y. Tian 외 4인, 'Partial Discharge Dectection in Cables using VHF Capacitives Couplers', IEEE Tra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10, No.2, 2003.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69188A1 (en) 2019-01-31
US11125802B2 (en) 2021-09-21
CN110945370A (zh) 2020-03-31
EP3658925C0 (de) 2023-06-07
US20200166561A1 (en) 2020-05-28
EP3658925A1 (de) 2020-06-03
CN110945370B (zh) 2022-05-31
JP2020528141A (ja) 2020-09-17
KR102620954B1 (ko) 2024-01-03
WO2019020225A1 (de) 2019-01-31
RU2762249C2 (ru) 2021-12-16
BR112020000927A2 (pt) 2020-07-21
DE102017116613B3 (de) 2018-08-09
ZA201908020B (en) 2021-05-26
EP3658925B1 (de) 2023-06-07
RU2020107697A (ru) 2021-08-25
RU2020107697A3 (ko) 2021-10-20
JP7132319B2 (ja)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954B1 (ko) 차폐 케이블의 부분 방전 펄스를 측정하는 방법 및 테스팅 디바이스
CN102971636A (zh) 用于测量绝缘体的损耗因数的装置和方法
JP7155260B2 (ja) 非接触型電圧変換器
CN106030738B (zh) 用于监控用于三相交流电网的电容式套管的方法和装置
US20210356507A1 (en) State analysis of an electrical operating resource
US20140091782A1 (en) Galvanically isolated voltage measurement
CN113227803B (zh) 局部放电检测装置
EP1018028B1 (en) A device for monitoring partial discharges in an electric high-voltage apparatus or high-voltage equipment
US20210057131A1 (en) Cabling apparatus for high-resistance applications
US90356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issipation factor of an insulator
RU2275645C2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изоляции присоединений в разветвленных сетях постоянного 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Van Der Wielen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types of sensors and their positioning for on-line PD detection and localisation in distribution cables
JPH05142290A (ja) Cvケーブルの絶縁診断方法
JP2000009788A (ja) ケーブルの劣化診断方法
PL235587B1 (pl) Układ do diagnostyki izolatorów przepustowych typu OPI
JP2003035743A (ja) 電力ケーブルの活線診断方法
JPH03291575A (ja) 電力ケーブルの絶縁劣化診断方法
KR20140036681A (ko) 지중 송전 케이블 접속함의 인덕턴스 또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는 장치 및 그 방법
SU73784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кабельных жил и проводов
SU741162A1 (ru) Трансформаторный мост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дл дистанционных измерений
JP2007256022A (ja) 高電位側検出型・変位電流バイパス法による損失電流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H0511009A (ja) Cvケーブルの絶縁診断方法
JPH04215077A (ja) 部分放電測定方法
JPH02203285A (ja) 電力ケーブル試験装置
JPH05615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