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489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489A
KR20200034489A KR1020180114338A KR20180114338A KR20200034489A KR 20200034489 A KR20200034489 A KR 20200034489A KR 1020180114338 A KR1020180114338 A KR 1020180114338A KR 20180114338 A KR20180114338 A KR 20180114338A KR 20200034489 A KR20200034489 A KR 2020003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display device
disposed
support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485B1 (ko
Inventor
김희봉
김태헌
도용구
이길재
정필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485B1/ko
Priority to US16/425,171 priority patent/US10656671B2/en
Priority to PCT/KR2019/011996 priority patent/WO2020060154A1/en
Priority to EP19863113.7A priority patent/EP3834052A4/en
Priority to CN201980061300.1A priority patent/CN112740139A/zh
Publication of KR2020003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스탠드가 바텀 섀시와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도록 스탠드를 라킹하는 라킹 장치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리어 커버는 스탠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스탠드는 라킹 장치에 라킹되어 바텀 섀시와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거나, 관통홀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 유닛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로, 모니터나 텔레비전이 이에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자발광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과 같은 수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 사용된다.
근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벽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치하거나 스탠드에 의해 바닥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면에 거치하는 스탠드 부재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는 스탠드 유닛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시 외부로 스탠드 부재가 노출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면에 거치하는 스탠드 부재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는 스탠드 유닛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면에 거치될 시 용이하게 스탠드 부재를 인출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도록 상기 스탠드를 라킹하는 라킹 장치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라킹 장치에 라킹되어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거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라킹 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가 상기 라킹 장치에 의해 라킹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가 상측으로 가압되면 라킹이 해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의 라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스탠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라킹 장치 내측으로 삽입될 시 상기 스탠드를 라킹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라킹 장치에 의해 라킹이 해제될 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라킹 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푸시에 의해 상기 스탠드를 라킹하거나 라킹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라킹 장치에 라킹되는 라킹부와, 상기 바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의 라킹이 해제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측에 수납될 시 서로 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으로 인출될 시 각각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회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압축 신장되도록 마련되는 가스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 실린더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가스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힘을 상기 바디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전달부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을 통해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바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바디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돌기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재가 회전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되거나, 상기 리어커버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리어커버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리어 커버에 양단이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회전샤프트와 상기 스탠드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탠드가 제 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2회전 샤프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납홈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납홈에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와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스탠드의 제 1위치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스텐드의 제 2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는 스탠드 부재가 벽에 설치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수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치될 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여 스탠드 부재를 분리 보관할 필요가 없어 스탠드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설치될 시 스탠드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수납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면에 거치할 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수납된 스탠드 부재를 간단하게 인출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0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설명은 평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일례로 설명하나,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나, 벤더블(bendable)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광원을 사용하는 수발광 디스플레이를 일례로 설명하나, 자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전방', 전면'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0)이 화상을 표시하는 측인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를 기준으로 '상측', '하측'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위측과 아래측을 나타내며 '양측, '측방'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내부에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20) 및 백 라이트 유닛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섀시 어셈블리(Chassis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은 각각 전극이 마련되어 있는 두 유리기판(미도시) 사이에 액정(미도시)이 봉입되어 형성되는 액정 패널로 이루어지고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섀시 어셈블리는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와, 바텀 섀시(84)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섀시(82)는 디스플레이패널(20)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82a)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84)는 백 라이트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텀부(84a)와, 바텀부(84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텀 측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섀시(84)에는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 등 디스플레이장치(1)의 각종 구성 요소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바텀 섀시(84)는 광원(31)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광원(31)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쇄회로기판(32)을 거쳐 바텀 섀시(84)로 전달되고, 바텀 섀시(84)에서 방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텀 섀시(84)는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SUS 등의 각종 금속 재질, 또는 ABS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32) 역시 열전도도가 좋은 알루미늄 재질의 메탈 PCB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탑 섀시(82)와, 미들 몰드(70)와, 바텀 섀시(84)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거나 또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이와 같은 섀시 어셈블리를 보호하고 수용하도록 섀시 어셈블리를 감싸고 바텀 섀시(84)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백 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본 실시예와 같이 광원(31)이 디스플레이패널(20)의 직하방에 배치되는 직하형(Direct Type)일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광원(31) 및 광원(3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31)으로 구성되는 광원 모듈(30)과, 광원(31)에서 발산되는 광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각종 광학 시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31)은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원(31)은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엘이디는 기판에 엘이디 칩이 실장되고 수지가 충진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광원으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32)에는 복수의 광원(31)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2)에는 광원(31)에 구동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회로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2)은 바텀 섀시(84)에 안착될 수 있다.
광원(31)에서 출사되는 광은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다르게 직접 디스플레이패널(20)에 광을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리어 커버(100) 및 후술할 스탠드 부재(200)는 에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 때 광원(31)에서 출사되는 광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31)과 디스플레이패널(20) 사이에는 광학 시트(50)가 배치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확산 시트(40) 포함할 수 있다. 확산시트(40)는 광원(31)에서 조사되는 광을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다. 광원(31)에서 조사되는 광이 직접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광원(31)이 배치되는 패턴이 그대로 눈에 비치게 되므로 확산 시트는 이를 상쇄시키거나 최소화시킨다.
일반적으로 확산 시트(40)는 광학 시트(50)의 일 구성으로 광학 시트(50)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즉 확산 시트(40)는 광원 모듈(30)에서 조사되는 광을 사방으로 확산시켜 사방으로 균일한 양의 광이 영상에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백 라이트 유닛은 광을 반사시켜 광 손실을 방지하는 반사 시트(reflector sheet)(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광원(31)에서 발산되는 광을 반사시켜 확산 시트(40)측으로 입사시킬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시트, 필름, 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시트(60)는 모재(base material)에 반사율이 높은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재로는 SUS, BRASS, Aluminum, 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고반사 코팅제로 Silver, TiO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 시트(60)는 인쇄회로기판(32) 상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커버(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텀 섀시(84)의 후방을 커버하면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은 추가적인 프레임 또는 하우징과 같은 구성이 커버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리어 커버(9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테두리 측면을 커버하는 구성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하형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엣지형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벽면에 조립되는 마운트 타입(mount-type)으로 배치되거나 스탠드에 의해 지면에 거치되는 스탠드 타입(stand-type)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벽면에 조립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시키는 스탠드를 별도로 보관하게 되는데, 이 때 스탠드를 분실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운트 타입으로 배치시키거나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시킬 수 있는데 마운트 타입에서 스탠드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를 변경할 시 별도로 보관하던 스탠드를 분실할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거치하는 스탠드(110)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100)이 디스플레이 장치(1)에 결합되어 스탠드가 분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유닛(10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가 벽면에 지지될 시 스탠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 수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가 지면에 지지될 시 스탠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로부터 인출되어 지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를 거치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R, 100L)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좌우로 2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커버(90)는 2개의 스탠드 유닛(100R, 100L)이 관통될 수 있는 2개의 관통홀(91R,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R, 100L)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에 동일한 구성으로 배치되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개의 스탠드 유닛((100R, 100L) 중 하나의 스탠드 유닛(100)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탠드 유닛(100)은 2개 이상의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의 스탠드 유닛(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도록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 시키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는 스탠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될 시 스탠드(110)의 자중에 의한 이동에 연동되어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켜 스탠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는 후술할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서 스탠드(110)를 회전시키는 모든 구성(탄성부재, 가스 실린더(140), 전달부(150), 구속부재(215), 가이드 돌기(331) 등)에 대한 총괄적인 구성을 명명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회전 가이드의 각 구성의 명칭만 설명한다.
스탠드 유닛(100)은 바텀 섀시(84)와 리어 커버(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고) 스탠드 유닛(100)은 바텀 섀시(84)와 리어 커비(90) 사이 전장품(미도시)이 배치되지 않은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100)는 바텀 섀시(84)의 후면 또는 리어 커버(9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가 수납되고 외측으로 인출되는 케이스(120)와 스탠드(110)를 케이스(120)에 수납, 인출 가능하도록 케이스(110)에 고정시키는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가 케이스(120)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110)를 라킹하여 스탠드(110)를 고정시키는 라킹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라킹 장치(160)는 스탠드(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160)에 삽입되고 구속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110)는 라킹 장치(160)에 라킹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케이스(120) 내측에 수납된 상태에서 스탠드(110)는 라킹 장치(160)에 라킹될 수 있다.
라킹 장치(160)는 스탠드(110)가 상측으로 가압될 시 라킹 장치(160)의 라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라킹 장치(160)는 푸시에 의해 스탠드(110)를 라킹하거나 라킹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라킹 장치(160)는 래칫과 같은 푸시 라킹 장치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및 후술할 실시예 들의 라킹 장치는 래칫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스탠드(110)의 라킹 상태가 해제될 시 스탠드(1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10)가 라킹이 해제될 시 케이스(12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압될 시 스탠드(110)는 외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고, 다시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160)를 푸시하고 이에 따라 스탠드(110)의 적어도 일부가 다시 라킹 장치(160)에 구속되어 스탠드는 다시 케이스(12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탠드(1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라킹 장치(160)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라킹 장치(160)에 의해 스탠드(11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고 위치가 정의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톱퍼(170)에 의해 스탠드(11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저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10)는 최고 위치와 최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상하 방향으로 최고 위치와 최저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육면으로 구성되는 박스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스탠드(1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구(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21)는 스탠드(110)의 지지부(1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지지부(112)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20)의 일면은 개방 가능하게 마련되어(도 2참고) 케이스(120) 내측에 스탠드(110)를 비롯한 스탠드 유닛(100)의 각 구성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는 제 1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전후 방향이 개방되는 4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때 하우징(130)은 바텀 섀시(84)의 후면 또는 리어 커버(90)의 전면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스탠드(11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스탠드(110)와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하우징(131,132)과 케이스(120)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하우징(131,132)은 고정 하우징(133)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고정 하우징(133)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이동 하우징(131,132)에 결합되는 바 스탠드(110)는 이동 하우징(131,13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고정 하우징(133)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30)은 스탠드(110)가 이동 시 케이스(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하우징(131,132)은 스탠드(110)가 관통되는 스탠드 하우징(131)과 후술할 기어부(180)나 전달부(150)가 결합되는 결합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이 소정의 간격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동 하우징(131,132)의 일부분에는 이동 하우징(131,132)이 하측으로 소정의 거리로 이동될 시 스톱퍼(170)와 접하게 마련되는 접촉부(132a)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접촉부(132a)는 결합 하우징(132)의 일측에서 스톱퍼(17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 하우징(133)은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미도시)는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스탠드(110) 및 이동 하우징(131,132)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접촉부(132a)와 스톱퍼(170)가 접촉할때까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스톱퍼(170)와 접촉부(132a)가 접촉된 상태에서는 스톱퍼(170)에 의해 스탠드(110)는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바디부(111)와 바디부(111) 상측에 배치되고 라킹 장치(160)에 삽입되어 라킹 장치(160)에 구속되는 라킹부(114)와 스탠드(110)의 라킹이 헤제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압축 신장되도록 마련되는 가스 실린더(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140)는 압축 및 인장을 통해 형성되는 힘을 스탠드(110)에 전달하여 지지부(112)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부(1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스탠드 유닛(100)은 가스 실린더(140)에서 발생하는 힘을 스탠드(110)에 전달하는 전달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100)은 전달부(150)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스 실린더(140)에서 발생되는 힘은 전달부(150)를 거쳐 기어부(18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스탠드(110)는 바디부(111)에 배치되고 기어부(180)와 치합되는 스탠드 기어(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부(180)가 회전될 시 스탠드 기어(115)가 맞물려 회전되고 이에 따라 바디부(110)가 회전될 수 있다.
바디부(110)가 회전되면서 바디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부(112)가 연동되어 회전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스탠드 유닛(100)에 의해 스탠드(110)가 수납되고 인출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패킹상태에 있거나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조립될 시 스탠드(110)는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수 스탠드(110)와 연동되는 이동 하우징(131,132) 및 전달부(150)는 스탠드(110)의 수납 위치(1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 실린더(140)는 전달부(150)와 연결되는데 전달부(150)가 스탠드(110)의 최고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가스 실린더(140)는 압축 상태(140A)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스 실린더(140)는 케이스(120)에 고정되고 가스 실린더(140)의 피스톤이 전달부(150)와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스 실린더(140)가 압축 및 신장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시 케이스(12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스탠드(110)가 노출되지 않는다.
리어 커버(90)의 후면(90a)에는 스탠드(11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는 관통홀(91)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91)은 스탠드(110)의 지지부(112)가 관통될 수 있도록 지지부(112)의 단면적과 대응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91)의 형상은 지지부(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시 관통홀(91)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관통홀(91)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110)를 외부에서부터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탠드(1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스탠드(11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상측으로 가압될 시 라킹 장치(160)에 삽입된 라킹부(114)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라킹 장치(160) 내부에서 라킹 장치(160)를 푸시할 수 있다.
라킹 장치(160)가 푸시되면서 라킹부(114)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110)는 라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10)와 이동 하우징(131,132)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112)가 케이스(120)의 개구(121) 및 리어 커버(90)의 관통홀(91)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10)는 수납 위치(110A)에서 하강되는 중간 위치(11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110)와 이동 하우징(131,132) 및 결합 하우징(132)에 결합된 전달부(150)와 기어부(180)도 연동되어 하강될 수 있다.
전달부(150)가 하강되면서 가스 실린더(140)의 피스톤이 전달부(150)와 연동되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 실린더(140)는 신장상태(B)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부(112)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13)는 스탠드(1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스탠드(110)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각각 회전 샤프트(1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탠드(110)의 연장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상하 "?袖*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91) 및 개구(121)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91) 또는 개구(121)는 지지부(112)의 형상과 대응되고 단면적의 크기 또한 유사하게 형성되는 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91) 또는 개구(121)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제 1지지부(112a) 또는 제 2지지부(112b)가 회전 샤프트(113)를 중심으로 회전되려고 해도 관통홀(91) 또는 개구(121)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탠드(110)가 중간 위치(110B)에 배치될 시 지지부(112)는 관통홀(91) 및 개구(121)로부터 인출되는 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의 회전에 대한 제한이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110)가 중간 위치(110B)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스 실린더(140)가 신장상태(B)로 마련되는 바 가스 실링더(140)에서는 압축과 신장을 통해 힘이 형성되고, 이 힘은 전달부(150)를 통해 기어부(180)를 구동시킬 수 있다.
기어부(180)가 구동됨에 따라 기어부(115)와 치합 결합된 스탠드 기어(115)가 회전될 수 있으며, 스탠드 기어(115)의 회전에 연동되어 바디부(111)가 회전될 수 있다.
바디부(111)와 결합된 지지부(112)는 바디부(111)의 회전에 연동되어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어부(180)를 통해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회전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기어부(180)에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되는데 각각의 기어의 크기 또는 배치 등에 따라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의 회전 속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어부(180)를 통해 지지부(112)가 안정적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지지부(112)가 회전될 시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110)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스탠드(110)가 중간 위치(110B)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각각 반대쪽으로 가압하여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시 탄성부재(미도시)가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각각 가압하여도 지지부(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91) 또는 개구(121) 내측에 수납되어 있어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회전되지 않고 각각 접해있는 상태로 케이스(120)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 후 스탠드(110)가 중간 위치(110B)에 배치될 시 탄성부재(미도시)는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회전되도록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회전 샤프트(113)를 회전축으로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에 토크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이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을 경우, 스탠드 유닛(100)은 상술한 가스 실린더(140) 및 전달부(150) 등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스탠드 유닛(100)은 단순하게 탄성부재(미도시)만으로도 지지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100)은 제 1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부재를 포함하지 안고 가스 실린더(140)의 힘만을 통해 지지부(11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2)에 회전력이 가압되어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중간 위치(110B)에서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의 회전에 의해 지지 위치(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가 회전 샤프트(113)를 중심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는 회전 샤프트(113)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지지부(112a)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제 2지지부(112b)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지지 위치(110C)에 배치됨에 따라 지지부(112)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및 후방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할 시 스탠드(11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스탠드(110)가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110C)에 배치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타입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스탠드(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지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내용과 반대 과정을 통해 스탠드(110)가 지지 위치(110C)에 배치된 상태에서 다시 스탠드(1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로 수납할 수 있다.
즉, 지지 위치(110C)에서 펼쳐진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서로 모아지도록 제 1지지부(112a)와 제 2지지부(112b)를 가압한 후, 지지부(112)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스탠드(1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스탠드(110)의 라킹부(114)가 다시 라킹 장치(160)에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스탠드(110)가 라킹 장치(160)에 라킹될 시 스탠드(110)는 다시 수납 위치(110A)에 배치되고 스탠드(11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스탠드 유닛(100)은 스탠드(110)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수납시키거나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스탠드(110)가 필요 없는 마운트 타입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배치하여도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 스탠드(110)가 수납되어, 스탠드(110)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는 바 스탠드(110)를 분실할 염려가 없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순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91) 내측을 푸시하여 스탠드(1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드 타입으로 배치할 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른 구성에 거치하거나 지면에 눕히고 스탠드를 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 후 스탠드가 조립되면 다시 디스플레이 장치를 파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탠드 타입으로 지면에 기립시키도록 작업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스탠드 유닛(100)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를 파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을 푸시하여 스탠드를 인출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지면에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유닛(20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탠드(210)와 케이스(220) 및 스탠드(210)를 케이스(220)에 수납, 인출 가능하도록 케이스(210)에 고정시키는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200)은 스탠드(210)가 케이스(220)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210)를 라킹하여 스탠드(210)를 고정시키는 라킹 장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라킹 장치(260)는 스탠드(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260)에 삽입되고 구속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210)는 라킹 장치(260)에 라킹될 수 있다.
스탠드(210)의 라킹 상태가 해제될 시 스탠드(2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10)가 라킹이 해제될 시 케이스(22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압될 시 스탠드(210)는 외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고, 다시 스탠드(2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260)를 푸시하고 이에 따라 스탠드(210)의 적어도 일부가 다시 라킹 장치(260)에 구속되어 스탠드는 다시 케이스(22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탠드(21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라킹 장치(260)에 의해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라킹 장치(260)에 의해 스탠드(210)가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고 위치가 정의될 수 있으며, 스톱퍼(270)에 의해 스탠드(110)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최저 위치가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110)는 최고 위치와 최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상하 방향으로 최고 위치와 최저 위치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의 거리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230)은 스탠드(210)가 괸통되고 스탠드(210)와 연동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 하우징(231)과 케이스(220)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2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하우징(231)은 고정 하우징(23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고정 하우징(232)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200)은 스탠드(210) 및 이동 하우징(23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2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241)과 랙(241)과 치합 결합되고 이동 하우징(231)에 배치되는 피니언(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24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24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피니언(242)과 연결된 이동 하우징(231)과 이동하우징(231)과 결합된 스탠드(210)는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바디부(211)와 바디부(211) 상측에 배치되고 라킹 장치(260)에 삽입되어 라킹 장치(260)에 구속되는 라킹부(214)와 스탠드(210)의 라킹이 헤제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210)는 지지부(212)를 구속하는 구속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재(215)는 스탠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될 시 지지부(212)의 구속을 해제하여 지지부(212)가 펼쳐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속부재(215)는 스탠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서 이동될 시 지지부(212)를 구속하여 스탠드(210)가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이동될수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탠드 유닛(100)에 의해 스탠드(110)가 수납되고 인출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패킹상태에 있거나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조립될 시 스탠드(210)는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수 스탠드(210)와 연동되는 이동 하우징(231)은 스탠드(110)의 수납 위치(2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시 케이스(22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스탠드(210)가 노출되지 않는다.
스탠드(210)가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시 관통홀(91)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관통홀(91)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210)를 외부에서부터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탠드(2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스탠드(21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상측으로 가압될 시 라킹 장치(260)에 삽입된 라킹부(214)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라킹 장치(260) 내부에서 라킹 장치(260)를 푸시할 수 있다.
라킹 장치(260)가 푸시되면서 라킹부(114)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210)는 라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10)와 이동 하우징(231)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212)가 케이스(220)의 개구(221) 및 리어 커버(90)의 관통홀(91)을 관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10)는 수납 위치(210A)에서 하강되는 중간 위치(210B)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212)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부(212a)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측으로, 제 2지지부(212b)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110)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회전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1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회전 샤프트(213)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112b)는 각각 회전 샤프트(2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袖*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 1지지부(212a)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을 향해 회전될 수 있고, 제 2지지부(212b)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91) 및 개구(121)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관통홀(91) 또는 개구(121)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스탠드(210)가 중간 위치(210B)에 배치될 시 지지부(212)는 관통홀(91) 및 개구(121)로부터 인출되는 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의 회전에 대한 제한이 없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210)가 중간 위치(210B)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210)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스탠드(210)가 중간 위치(210B)에 배치될 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각각 반대쪽으로 가압하여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210)가 수납 위치(210A)에 배치될 시 탄성부재(미도시)가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각각 가압하여도 지지부(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91) 또는 개구(121) 내측에 수납되어 있어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회전되지 않고 각각 접해있는 상태로 케이스(220)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 후 스탠드(210)가 중간 위치(210B)에 배치될 시 탄성부재(미도시)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회전되도록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회전 샤프트(213)를 회전축으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에 토크를 가압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구속하는 구속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재(215)는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 b)는 수납위치(210A)나 중간위치(210B)에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즉, 구속부재(215)는 스탠드(210)가 수납위치(210A)와 중간위치(210B)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안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구속하여 안정적으로 스탠드(2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속부재(215)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바디부(211) 내측에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와 상하방향으로 후크 결합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속부재(215)는 다양한 형태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구속. 해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20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으로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를 회전하도록 지지부(212)를 가압하는 가스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의 본체는 케이스(220)에 고정되고 가스 실린더의 피스톤이 이동 하우징(231)과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210)와 이동 하우징(231)이 상하 방향으로 운동됨에 따라 가스 실린더는 압축 신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지지부(212)에 전달하여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각각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200)이 가스 실린더를 포함할 시 탄성부재(미도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240)는 랙(241)과 피니언(242)을 통해 스탠드(21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스탠드(2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랙(241)과 피니언(242)의 치의 크기 또는 배치를 조정하여 스탠드(21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속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240)는 스탠드(210)가 랙(241)과 피니언(242)의 치합을 통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 또는 하강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어 스탠드(210)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2)에 회전력이 가압되어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동 하우징(231)이 스톱퍼(270)에 의해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시 이동 하우징(231)과 연동해서 움직이는 스탠드(210)의 바디부(211)도 이동 하우징(231)과 함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바디부(211) 내측에 배치되는 구속부재(215)는 이에 구속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바디부(211)보다 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속부재(215)는 바디부(211) 내측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속부재(215)는 하측으로 이동되고,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에 대한 구속부재(215)의 구속이 해제 될 수 있다.
스탠드(210)는 이동 하우징(231)이 스톱퍼(27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위치에서 구속부재(215)가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의 구속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회전되어최종적으로 스탠드(210) 지지 위치(2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가 회전 샤프트(213)를 중심으로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1지지부(212a)와 제 2지지부(212b)는 회전 샤프트(213)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지지부(112a)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방, 제 2지지부(112b)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일부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스탠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유닛(30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탠드(310)와 케이스(320) 및 스탠드(310)를 케이스(320)에 수납, 인출 가능하도록 케이스(310)에 고정시키는 하우징(3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 유닛(300)은 스탠드(310)가 케이스(320) 내측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310)를 라킹하여 스탠드(310)를 고정시키는 라킹 장치(360)를 포함할 수 있다.
라킹 장치(360)는 스탠드(3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3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360)에 삽입되고 구속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310)는 라킹 장치(360)에 라킹될 수 있다.
스탠드(310)의 라킹 상태가 해제될 시 스탠드(3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310)가 라킹이 해제될 시 케이스(320)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스탠드(31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가압될 시 스탠드(310)는 외력에 의해 다시 상측으로 이동되고, 다시 스탠드(310)의 적어도 일부가 라킹 장치(360)를 푸시하고 이에 따라 스탠드(310)의 적어도 일부가 다시 라킹 장치(360)에 구속되어 스탠드는 다시 케이스(32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하우징(330)은 케이스(320)와 결합되는 제 1하우징(330a)과 제 1하우징(330a)과 결합되는 제 2하우징(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330a)과 제 2하우징(330b) 사이에는 스탠드(310)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공간에 스탠드(310)가 삽입되고 제 1하우징(320a)과 제 2하우징(320b)이 결합될 수 잇다. 스탠드(310)는 소정의 공간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탠드(310)는 하우징(330)에 삽입되는 바디부(311)와 바디부(311) 상측에 배치되고 라킹 장치(360)에 삽입되어 라킹 장치(360)에 구속되는 라킹부(314)와 스탠드(310)의 라킹이 헤제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지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330b)은 바디부(31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33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이드 돌기(331)는 제 1하우징(330a)에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331)은 가이드 돌기(331)가 삽입되는 레일(31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331)가 레일(316)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디부(331)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316)이 연장되는 방향을 다라 바디부(331)가 이동될 수 있다.
레일(316)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레일(316)의 다른 일부는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곡선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331)가 레일(316)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시 바디부(33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가이드 돌기(331)가 레일(316)의 다른 일부에 배치될 시 레일(316)의 곡선을 따라 이동되어 바디부(331)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스탠드 유닛(300)에 의해 스탠드(310)가 수납되고 인출되는 과정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패킹상태에 있거나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조립될 시 스탠드(310)는 수납 위치(310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310)가 수납 위치(310A)에 배치될 시 지지부(312)는 케이스 하면에 배치되는 수납홈(322, 도19참고)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바디부(31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고 스탠드(310)가 수납 위치(310A)에 배치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312)는 스탠드(310)가 수납위치(310A)에 배치될 시 지지부(312)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납홈(322)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는 연장방향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310)가 수납 위치(310A)에 배치될 시 케이스(32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스탠드(310)가 노출되지 않는다.
스탠드(310)가 수납 위치(310A)에 배치될 시 관통홀(91)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관통홀(91)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310)를 외부에서부터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탠드(3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스탠드(310)를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스탠드(310)가 상측으로 가압될 시 라킹 장치(360)에 삽입된 라킹부(314)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라킹 장치(360) 내부에서 라킹 장치(360)를 푸시할 수 있다.
라킹 장치(360)가 푸시되면서 라킹부(314)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310)는 라킹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스탠드(3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3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부(312)는 케이스(320)의 수납홈(322)으로부터 인출되고 리어 커버(90)의 관통홀(91)을 관통할 수 있으며 바디부(311)는 케이스(320)의 개구(223)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310)는 수납 위치(310A)에서 하강되는 중간 위치(310B)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310)가 수납 위치(310A)에서부터 중간 위치(310B)로 이동되는 동안 가이드 돌기(331)는 레일(316)의 제 1영역(316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영역(316a)은 레일(316)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331)는 바디부(311)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스탠드(31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312)는 지지부(312)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유지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이 후 가이드 돌기(331)가 레일(316)의 제 2영역(316b)에 배치될 시 제 2영역(316b)의 곡선을 따라 바디부(31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바디부(311)와 연동되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강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 유닛(300)은 바디부(311)와 연결되는 기어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미도시)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바디부(311)와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기어는 하우징(330)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미도시)를 통해 스탠드(3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탠드(31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탠드(310)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돌기(331)가 레일(316)의 제 2영역(316b)의 단부(316c)에 접할 시 가이드 돌기(331)는 레일(316)에 고정되어 바디부(311)는 더 이상 하강되지 않고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3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310C)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312)는 레일(316)의 곡선을 따라 바디부(311)와 연동되어 회전되고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방향으로 90도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영역(316b)의 곡선은 가이드 돌기(331)가 일단(316c)과 접하게 전까지 바디부(311)가 대략 90도 회전될 수 있도록 곡선의 길이 및 곡률을 조정할 수 있다.
지지부(312)가 대략 90도 회전됨에 따라 지지부(312)의 길이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312)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이드 돌기(331)와 일단(316c)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스톱퍼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톱퍼는 일단(316c)에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돌기(331)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레일(316)의 일부 영역일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바디부(311)를 가압하여 바디부(311)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스탠드(310)는 중간 위치(310B)에서부터 지지 위치(210C)로 이동되는 동안 회전을 통해 지지부(312)의 길이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310)가 지지 위치(310C)에 배치될 시 스탠드 유닛(300)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스탠드(31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커버(90')의 후면(90b')에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90b')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탠드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400)은 스탠드 유닛(400)이 리어 커버(90')에서 인출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410)와 스탠드(410)가 제 1방향 및 제 1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인 제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420)와 스탠드(410)가 제 1방향 또는 제 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430)는 제 1방향으로 스탠드(410)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회전 샤프트(431)와 제 2방향으로 스탠드(410)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2회전 샤트프(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회전 샤프트(431)는 힌지부(4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고 제 1회전 샤프트(431)의 양단이 리어 커버(90') 내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회전 샤프트(432)는 스탠드(410)와 힌지부(4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며, 스탠드(410)가 힌지부(4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420)는 제 1회전 샤프트(431)에 의해 리어 커버(9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힌지부(42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리어 커버(90')와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420)와 스탠드(410)는 제 2회전 샤프트(432)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힌지부(420)는 회전 가능하게 리어 커버(90')에 결합되어 있는 바 스탠드(410)는 힌지부(4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패킹상태에 있거나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조립될 시 스탠드 유닛(400)는 수납 위치(410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410)가 수납 위치(410A)에 배치될 시 리어 커버(9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스탠드(410)가 노출되지 않는다.
스탠드(410)가 수납 위치(410A)에 배치될 시 스탠드(410)는 리어 커버(90')의 후면(90b')에 형성되는 수납 홀(92')에 수납될 수 있다.
스탠드(410)는 수납 홀(92')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수납 홀(92')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410)를 외부에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탠드(4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스탠드(410)를 수납 홀(92')에서부터 당겨 스탠드(410)를 인출할 수 있다.
스탠드(410)가 인출될 시 자중에 의해 제 1회전 샤프트(431)를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1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410)는 수납 위치(410A)에서 하강되는 중간 위치(410B)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410)가 중간 위치(410B)에 배치될 시 사용자는 스탠드(410)를 제 2회전 샤프트(432)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데, 스탠드(410)가 중간 위치(410B)에 배치될 시 제 2회전 샤프트(43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스탠드(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 유닛(400)은 스탠드(410)와 힌지부(420)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미도시)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기어는 스탠드(410)와 연결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의 기어는 힌지부(420)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부(미도시)를 통해 스탠드(4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탠드(410)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스탠드(410)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10)의 길이 방향이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과 대응되도록 스탠드(410)가 회전되어 스탠드(4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410C)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410)는 힌지부(420)에 대해 바람직하게 대략 90도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420)는 스탠드(410)가 힌지부(420)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되도록 스톱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톱퍼(미도시)는 스탠드(410)가 힌지부(420)에 대해 대략 90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스탠드(4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400)은 스탠드(410)가 힌지부(420)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될 시 스탠드(410)가 회전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탠드 결속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결속부재(미도시)는 스탠드(410)가 힌지부(420)에 대해 90도 회전될 시 스탠드의 회전을 결속하여 스탠드(410)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410)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제 4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수납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부재가 모두 인출된 상태의 후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어 커버(90”)의 후면(90b”)에 수납 가능하게 마련되고 후면(90b”)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탠드 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500)은 스탠드 유닛(500)이 리어 커버(90”)에서 인출될 시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510)와 스탠드(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520)와 스탠드(510)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가 패킹상태에 있거나 마운트 타입으로 벽면에 조립될 시 스탠드(510)는 수납 위치(510A)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배치될 시 리어 커버(90”) 내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 스탠드(510)가 노출되지 않는다.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배치될 시 스탠드(510)는 리어 커버(90”)의 후면(90b”)에 형성되는 제 1수납 홀(94”)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520)와 회전 샤프트(530)는 리어 커버(90”)내측에 형성되는 제 2수납 홀(95”)에 수납될 수 있다.
스탠드(510)는 수납 홀(92')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나, 수납 홀(94”)을 통해 사용자는 스탠드(510)를 외부에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탠드(510)를 디스플레이 장치(1)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스탠드(510)를 수납 홀(94”)에서부터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탠드(510)를 인출할 수 있다.
스탠드(510)와 힌지부(5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샤프트(530)는 힌지부(5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520)와 회전 샤프트(530)는 스탠드(510)와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힌지부(520)와 회전 샤프트(530)는 제 2수납 홀(95”)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 1수납 홀(94”)은 리어 커버(90”)의 후면(90b”) 상에 배치되고 리어 커버의 하면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수납 홀(94”)의 하측 단부는 절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겠으나, 스탠드(510)는 제 1수납홀(94”)의 하단측에서 회전될 수 있다.
제 2수납 홀(95”)은 리어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제 1수납홀(94”)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배치될 시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이탈 방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서 단순 외력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1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하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 하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탠드(510)는 수납 위치(510A)에서 하강되는 중간 위치(510B)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510)가 중간 위치(510B)에 배치될 시, 힌지부(520)와 회전 샤프트(530) 또한 중간 위치(5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수납 홀(95”)은 회전 샤프트(530)가 중간 위치(510B)에 배치될 시 제 2수납 홀(95”)의 하단부(95a”)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샤프트(530)는 스탠드(510)가 중간 위치(510B)에 배치될 시 하단부(95a”)와 접하게 마련되어 더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스탠드(510)는 중간 위치(510B)에서 더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 후 스탠드(510)는 중간 위치(510B)에서 회전 샤프트(530)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5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좌우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탠드(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탠드 유닛(500)은 스탠드(510)와 제 1수납 홈(94”) 사이에 배치되는 랙피니언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랙피니언부(미도시)는 랙과 피니언을 포함하고, 이 중 적어도 하나는 스탠드(510)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기어는 제 1수납 홈(94”)에 결합될 수 있다.
랙피니언부(미도시)를 통해 스탠드(51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스탠드(51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어 스탠드(410)의 신뢰성 및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랙피이언부(미도시)가 아닌 레일 등의 구성이 스탠드(510)와 제 1수납 홈(94”) 사이에 배치되어 스팬드(5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탠드(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위치(510C)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510)는 수납 위치(510A)에 대해 바람직하게 대략 90도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탠드 유닛(500)은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되도록 스톱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톱퍼(미도시)는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대해 대략 90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스탠드(5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스탠드 유닛(500)은 스탠드(510)가 수납 위치(510A)에 대해 대략 90도 회전될 시 스탠드(510)가 회전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스탠드 결속부재(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 결속부재(미도시)는 스탠드(510)가 대략 90도 회전될 시 스탠드(510)의 회전을 결속하여 스탠드(510)가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탠드(510)가 디스플레이 장치(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30 : 광원모듈 82 : 탑 섀시
84 : 바텀 섀시 90 : 리어 커버
100 : 스탠드 유닛 110 : 스탠드
111 : 바디부 112 : 지지부
113 : 회전 샤프트 114 : 라킹부
120 : 케이스 121 : 개구
130 : 하우징 133: 고정 하우징
140 : 가스 실린더 150 : 전달부
160 : 라킹 장치
200,300,400,500 : 스탠드 유닛
210,310,410,420 : 스탠드

Claims (20)

  1.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도록 상기 스탠드를 라킹하는 라킹 장치와 상기 스탠드의 적어도 일부가 을 통해 회전되도록 상기 스탠드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 시키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스탠드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라킹 장치에 라킹되어 상기 바텀 섀시와 상기 리어 커버 사이에 수납되거나, 상기 스탠드는 상기 라킹 장치의 라킹이 해제될 시 상기 스탠드의 자중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스탠드의 자중에 의한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스탠드의 적어도 일부를 회전시켜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킹 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가 상기 라킹 장치에 의해 라킹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가 상측으로 가압되면 라킹이 해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의 라킹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스탠드가 상기 라킹 장치 내측으로 삽입될 시 상기 스탠드를 라킹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라킹 장치에 의해 라킹이 해제될 시,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킹 장치는 상기 스탠드의 푸시에 의해 상기 스탠드를 라킹하거나 라킹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라킹 장치에 라킹되는 라킹부와, 상기 바디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의 라킹이 해제될 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제 1지지부와 제 2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내측에 수납될 시 서로 접하게 마련되고,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외측으로 인출될 시 각각 펼쳐지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회전축과 대응되는 회전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는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펼쳐지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지지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바디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압축 신장되도록 마련되는 가스 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스 실린더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부에 압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가스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힘을 상기 바디부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전달부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을 통해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바디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가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를 구속하는 구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스탠드의 자중에 의한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제 1지지부와 상기 제 2지지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바디부를 커버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가이드는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돌기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1영역과 상기 제 1영역에서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재가 회전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제 2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리어 커버에 수납되거나, 상기 리어커버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리어커버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리어 커버에 양단이 안착되고 상기 스탠드가 제 1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1회전샤프트와 상기 스탠드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스탠드가 제 2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제 2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는 상기 수납홈에서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납홈에서부터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탑 섀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텀 섀시;
    상기 바텀 섀시의 후방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는 스탠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 유닛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내측에 안착되는 상기 스탠드의 제 1위치와 상기 스탠드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테두리 외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스텐드의 제 2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14338A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1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338A KR102521485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장치
US16/425,171 US10656671B2 (en) 2018-09-21 2019-05-29 Display device
PCT/KR2019/011996 WO2020060154A1 (en) 2018-09-21 2019-09-17 Display device
EP19863113.7A EP3834052A4 (en) 2018-09-21 2019-09-17 DISPLAY DEVICE
CN201980061300.1A CN112740139A (zh) 2018-09-21 2019-09-17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338A KR102521485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489A true KR20200034489A (ko) 2020-03-31
KR102521485B1 KR102521485B1 (ko) 2023-04-14

Family

ID=69884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338A KR102521485B1 (ko) 2018-09-21 2018-09-2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6671B2 (ko)
EP (1) EP3834052A4 (ko)
KR (1) KR102521485B1 (ko)
CN (1) CN112740139A (ko)
WO (1) WO20200601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4227B (zh) * 2017-07-17 2023-08-01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US10820435B2 (en) * 2018-11-21 2020-10-27 Ohc Ip Holdings, Llc Display screen stand and mount system
KR20220035089A (ko) * 2019-07-19 202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4370562A (zh) * 2020-10-15 2022-04-19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升降组件及电子装置
US11849552B2 (en) * 2021-05-06 2023-12-19 Manufacturing Design Solutions Adjustable free-standing support for a data display moni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5664A1 (en) * 2001-10-01 2003-04-24 Helot Jacques H. Stabilizing system for computer hardware
KR20060071052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박막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빔 수납구조
CN201409187Y (zh) * 2009-05-15 2010-02-1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带支架的液晶电视的壳体
KR101076241B1 (ko) * 2010-07-23 2011-10-26 주식회사 인페쏘 평판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962A (en) * 1997-07-17 1999-03-30 Tsai; Kun-Ming Foot adapted for stabilizing the bottom of a computer case
EP1304610A1 (en) * 2001-10-17 2003-04-23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Stabilizing system for computer hardware
ES2393270T3 (es) * 2003-01-09 2012-12-19 Sharp Kabushiki Kaisha Dispositivo de visualización delgado y método para separar la parte de visualización
KR100515358B1 (ko) * 2003-09-04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337567B2 (en) * 2004-12-01 2008-03-04 Skyline Displays, Inc. Retractable banner stand with curvature means
KR100731479B1 (ko) * 2005-06-01 2007-06-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플라스틱 샤시 및 이를 가지는플라즈마 표시 장치
KR100653072B1 (ko) * 2005-08-23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747826B1 (ko) * 2005-10-06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기기용 스탠드
JP4092589B2 (ja) * 2005-12-27 2008-05-28 船井電機株式会社 パネル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プラズマテレビジョン
CN200956634Y (zh) * 2006-10-11 2007-10-03 赵晰顺 平板电视机左右一对可旋转伸缩的支撑底座
US7646593B2 (en) * 2007-02-25 2010-01-12 Vladislava Smejkalova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KR100874064B1 (ko) * 2007-03-27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259110B2 (ja) * 2007-03-27 2013-08-07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498025B1 (ko) * 2008-01-29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8006420B2 (en) * 2008-08-27 2011-08-30 The Portables Exhibit Systems Limited Retractable banner display stand
TWI415460B (zh) * 2010-06-11 2013-11-11 Unihan Corp 平面顯示裝置
CN201956006U (zh) 2011-03-21 2011-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
TWI462586B (zh) * 2011-11-02 2014-11-21 Hannstar Display Corp 具有可收納底座的平面顯示器
USD721713S1 (en) * 2013-12-31 2015-01-27 Amtran Technology Co., Ltd Display base
KR20160123616A (ko)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222555A1 (en) 2016-06-24 2017-12-28 Maggiore Loren Improved bug killing gun
USD838720S1 (en) * 2017-04-10 2019-01-22 Evoko Unlimited AB Display
CN106969738A (zh) * 2017-05-31 2017-07-21 萨驰华辰机械(苏州)有限公司 一种胎面测长装置
CN108318991A (zh) * 2018-04-12 2018-07-24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机器视觉镜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75664A1 (en) * 2001-10-01 2003-04-24 Helot Jacques H. Stabilizing system for computer hardware
US7328880B2 (en) * 2001-10-01 2008-02-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abilizing system for computer hardware
KR20060071052A (ko) * 2004-12-21 2006-06-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박막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빔 수납구조
CN201409187Y (zh) * 2009-05-15 2010-02-17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带支架的液晶电视的壳体
KR101076241B1 (ko) * 2010-07-23 2011-10-26 주식회사 인페쏘 평판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4052A1 (en) 2021-06-16
EP3834052A4 (en) 2021-10-13
WO2020060154A1 (en) 2020-03-26
US10656671B2 (en) 2020-05-19
CN112740139A (zh) 2021-04-30
US20200097043A1 (en) 2020-03-26
KR102521485B1 (ko) 202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148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7891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10180768A1 (en) Light Emitting Unit, Display, And Lighting Apparatus
JP5890123B2 (ja) 表示装置
CN102483535B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器
KR202000580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59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6051411B (zh) 用于显示装置的壁安装装置
CN100386671C (zh) 液晶显示器
CN1831615B (zh) 背光组件和具有其的显示装置
CN100405151C (zh) 平板显示装置及制造该平板显示装置的方法
EP3828664B1 (en) Display apparatus
US20080232120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module having the backligh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light assembly
US20080137005A1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WO2006036317A3 (en) Electronic device with dual display arrangement
EP3534207A1 (en) Display device
US11553610B2 (en) Display device
KR1022527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6143044A (ja) 太陽電池付き表示体
KR102629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3333621B1 (en) Display apparatus
KR101700163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101700164B1 (ko)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바텀
KR200452311Y1 (ko) 액정표시장치
KR20220096941A (ko) 슬라이딩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