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365A -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365A
KR20200034365A KR1020180114080A KR20180114080A KR20200034365A KR 20200034365 A KR20200034365 A KR 20200034365A KR 1020180114080 A KR1020180114080 A KR 1020180114080A KR 20180114080 A KR20180114080 A KR 20180114080A KR 20200034365 A KR20200034365 A KR 2020003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disposed
guide
insulating membe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0000B1 (ko
Inventor
김봉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0000B1/ko
Priority to EP18894716.2A priority patent/EP3734802B1/en
Priority to PCT/KR2018/015835 priority patent/WO2019132338A1/ko
Priority to CN201880084432.1A priority patent/CN111527667B/zh
Priority to US16/954,890 priority patent/US11496012B2/en
Priority to JP2020535595A priority patent/JP7284176B2/ja
Publication of KR2020003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32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 H02K3/3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02K3/345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conductors or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between conductor and core, e.g. slot ins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는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는 절연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STATOR AND MOTOR HAVING THE SAME}
실시예는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차량, 가정용 전자제품,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모터는 하우징(housing), 샤프트(shaft),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stator), 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로터(ro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는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여기서,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는 코일과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하우징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절연지를 배치하기 때문에, 상기 절연지를 균일한 위치에 조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코일과 코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절연지가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절연지에 의해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절연지가 이탈된 경우, 상기 절연지에 의해 로터의 회전이 간섭되는 문제가 있다. 그에 따라, 이탈된 절연지는 상기 모터의 불량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실시예는 절연지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는 스테이터 및 모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스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스테이터는 원형으로 정렬되고, 상기 단위 스테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절연부재는 시계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곡면의 곡률이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2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2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2 곡면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바디의 최 외측에 권선된 코일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돌기의 단부 사이의 갭(G)은 상기 코일의 직경 대비 0.95~1.0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돌기의 일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면, 상기 제1 돌기의 상면 및 상기 제2 돌기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1 돌기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의 내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사이드 사이의 거리(D1)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지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는 스테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제1 돌기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외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제2 돌기는 제2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과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1 가이드가 만나는 모서리를 반경 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선(L)상에는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제2 가이드가 만나는 모서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돌기의 단부 사이의 갭(G)은 상기 코일의 직경 대비 0.95~1.0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폭이 길어질수록 상기 제1 돌기의 돌출 길이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면, 상기 제1 돌기의 상면 및 상기 제2 돌기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1 돌기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의 반경 방향 폭(W)은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의 거리(D1)보다 크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는 인슐레이터의 가이드 사이의 거리와 절연부재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절연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절연부재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에 형성되는 돌기를 이용하여 절연부재의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코일의 선경 및 코일에 인가되는 장력을 고려하여 인슐레이터의 제2 가이드에 형성된 제2 돌기와 코일 간의 배치관계를 규정하여 코일의 점적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배치관계를 통해 코일의 단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단위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x 방향은 축 방향을 의미하며, y 방향은 반경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은 서로 수직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1)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200), 샤프트(500)와 결합되는 로터(300),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400), 로터(300)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500), 스테이터(4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600) 및 로터(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터(300)는 스테이터(4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이라 함은 중심(C)을 기준으로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기 모터(1)는 EPS에 사용되는 모터일 수 있다. EPS(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란, 모터의 구동력으로 조향력을 보조함으로써,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상기 모터(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300), 스테이터(400), 샤프트(500), 버스바(600), 센서부(7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500)는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상기 모터(1)는 샤프트(5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베어링(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내부에 로터(300), 스테이터(400)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하우징(100)은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를 덮도록 하우징(100)의 개구면, 즉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2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데, 커버(200)는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300)는 스테이터(4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심부에 샤프트(500)가 압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로터(300)는 로터 코어(미도시)에 마그넷(미도시)이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로터(300)는 상기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마그넷이 배치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터 코어의 내부에 상기 마그넷이 배치되는 IPM(Interior Permanent Magnet)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은 스테이터(400)에 감긴 코일(430)과 회전 자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마그넷은 샤프트(500)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코일(430)과 마그넷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300)가 회전하고, 로터(300)가 회전하면 샤프트(500)가 회전하여 상기 모터(1)의 구동력이 발생된다.
한편, 로터(300)의 상기 로터 코어는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제작되거나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는 단일 코어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 코어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로터(300)는 상기 마그넷이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로터 코어를 덮도록 배치되는 캔(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은 외부 충격이나 물리,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로터 코어와 마그넷을 보호하면서 로터 코어와 마그넷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은 로터 코어에서 마그넷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이터(400)는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4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400)는 로터(3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스테이터(400)의 내측에는 로터(30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단위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스테이터(400)는 스테이터 코어(410), 상기 스테이터 코어(410)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420), 상기 인슐레이터(420)에 권선되는 코일(430)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410)의 투스(412)에 권선된 코일(430)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420)는 스테이터 코어(410)의 투스(412)와 코일(430)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4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단위 스테이터(400a)를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복수 개의 단위 스테이터(400a)는 원형으로 정렬되어 스테이터(4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440)는 단위 스테이터(400a)의 코일(430) 사이에 배치되어 단위 스테이터(400a)의 코일(430)을 절연시킨다. 예컨데, 절연부재(440)는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코일(4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코일(430) 간을 절연시킨다. 그에 따라, 단위 스테이터(400a)를 기준으로 제1 돌기(424) 및 절연부재(44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1)의 스테이터(400)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이터(400a)를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하여 형성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단일품으로 제공되는 스테이터 코어(410)에 인슐레이터(420)를 배치하고, 상기 인슐레이터(420)에 코일(430)을 권선한 후 절연부재(440)를 배치하여 스테이터(40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일품으로 제공되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410)는 원통 형상의 요크와 상기 요크의 내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테이터(400)는 스테이터 코어(410), 상기 스테이터 코어(410)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420), 상기 인슐레이터(420)에 권선되는 코일(430) 및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410)의 투스(412)에 권선된 코일(430) 간을 절연시키는 절연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400)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이터(400a)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스테이터(400a) 또한 스테이터 코어(410), 인슐레이터(420), 코일(430) 및 절연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410)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430)이 권선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410)는 요크(411) 및 상기 요크(41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투스(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4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시트 또는 플레이트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요크(411)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스(412)는 요크(411)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400)의 복수 개의 투스(4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스(412)는 로터(300)의 마그넷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스(412)에는 코일(430)이 권선될 수 있다. 이때, 투스(412)와 코일(430) 사이에는 인슐레이터(420)의 바디(421)가 배치되어 투스(412)와 코일(430)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인슐레이터(420)는 스테이터 코어(410)와 코일(430)을 절연시키도록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430)은 인슐레이터(420)가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410)의 투스(412)에 권선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코일(430)은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인슐레이터(420)는 스테이터 코어(410)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인슐레이터(420)는 코일(430)이 권선되는 바디(421), 바디(421)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1 가이드(422), 바디(421)의 외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2 가이드(423), 상기 제1 가이드(4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424) 및 상기 제2 가이드(423)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 각각의 돌출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바디(421)를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방향 중 시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440)의 일측은 제1 돌기(424)와 바디(421)에 권선된 코일(430)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은 제2 돌기(425)와 바디(421)에 권선된 코일(430) 사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440)는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420)의 바디(421), 제1 가이드(422), 제2 가이드(423), 제1 돌기(424) 및 제2 돌기(42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421)에는 코일(430)이 권선될 수 있다.
바디(421)는 스테이터 코어(410)의 투스(412)에 배치되어 스테이터 코어(410)와 코일(430)을 절연되게 할 수 있다.
바디(42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421)의 외측면에는 그루브(4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421a)는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421)에 코일(430)의 권선시, 상기 그루브(421a)는 코일(430)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제1 가이드(422)는 바디(42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422)는 바디(421)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축 방향이라 함은 샤프트(5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422)는 바디(421)에 권선된 코일(430)을 지지하여 코일(430)이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가이드(422)는 바디(421)의 상면(421b)을 기준으로 제2 가이드(423)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423)는 바디(42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423)는 바디(421)의 외측에서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가이드(423)는 바디(421)의 외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423a)와 외측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부(42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423a)는 요크(411)의 상부에 걸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부(423a)는 축 방향으로 요크(411)의 일 영역에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부(423b)는 요크(411)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423)는 바디(421)에 권선된 코일(430)을 지지하여 코일(430)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2 가이드(423)에는 코일(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의 배치를 위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절연부재(440)의 배치를 안내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상하 방향(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424)는 제1 가이드(422)의 측면(422a)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424)의 돌출 길이(L1)는 코일(430)의 권선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 길이(L1)는 제1 가이드(422)의 외면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424)의 사이즈는 원주 방향으로 투스(412)와 투스(412) 사이에 형성되는 슬롯 오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기(424)는 평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돌기(424)는 제1 곡면(42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곡면(424a)에는 절연부재(440)의 내측 단부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곡면(424a)은 평면상 제1 돌기(424)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424)의 상면(424b)은 바디(421)의 상면(421b)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425)는 제2 가이드(423)의 내면(423c)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기(425)는 평면상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돌기(425)는 제2 곡면(425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면(425a)에는 절연부재(440)의 외측 단부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곡면(425a)은 평면상 제2 돌기(425)의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425)의 상면(425b)은 바디(421)의 상면(421b)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연부재(440)는 단위 스테이터(400a)에 배치되어 하나의 단위 스테이터(400a)에 권선된 코일(430)과 이웃하게 배치되는 단위 스테이터(400a)에 권선된 코일(430) 간을 절연시킨다.
절연부재(4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연부재(440)로는 절연지가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절연지는 플렉서블하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상기 모터(1)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는, 절연부재(440)는 얇은 판 형상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4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재(440)의 반경 방향 폭(W)은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의 거리(D1)보다 크다. 여기서, 절연부재(440)의 반경 방향 폭(W)은 절연부재(440)의 반경 방향 길이라 불릴 수 있다.
그에 따라, 절연부재(440)의 배치시, 절연부재(440)는 절곡되어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연부재(440)의 내측 단부는 제1 돌기(424)에 의해 지지되고, 외측 단부는 제2 돌기(425)에 지지됨과 함께 절연부재(440)의 절곡된 형상에 의해 절연부재(440)에 형성된 탄성력에 의해 절연부재(440)의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제1 돌기(424)의 제1 곡면(424a)과 제2 돌기(425)의 제2 곡면(425a)은 절연부재(440)의 절곡되는 방향을 유도하여 판 형상의 절연부재(440)가 만곡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곡면(424a)과 제2 곡면(425a) 각각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절연부재(440)와의 접촉량은 향상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절연부재(440)에 대한 제1 돌기(424)의 제1 곡면(424a)과 제2 돌기(425)의 제2 곡면(425a)에 의한 지지력은 향상될 수 있다.
상술 된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 각각은 소정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절연부재(4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의 내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돌기(424)는 제1 가이드(422)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평면인 상기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425)는 제2 가이드(423)의 내면(423c)과의 접점에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평면인 상기 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에 의해 절연부재(440)가 만곡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절연부재(44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부재(440)의 곡면은 소정을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절연부재(440)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424)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440)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1 곡면(424a)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440)와 접촉하는 상기 제2 돌기(425)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440)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2 곡면(425a)을 포함하여, 절연부재(440)의 곡면이 소정을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 곡면(424a)의 곡률은 상기 제2 곡면(425a)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제1 곡면(424a)의 곡률은 상기 제2 곡면(425a)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절연부재(440)는 평면상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41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절연부재(440)는 상기 곡면의 곡률이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데,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의 거리(D1)에 의해 절연부재(440)의 곡면 형상이 결정되기 때문에,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의 거리(D1)가 작아지는 경우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절연부재(440) 중앙측이 더욱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절연부재(440)가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스테이터 코어(410)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절연부재(440)는 상기 곡면의 곡률이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 모두는 바디(421)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기(425)는 스테이터 코어(410)의 중심(C)에서 상기 제1 돌기(424)의 일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스테이터 코어(410)의 중심(C)과 제1 곡면(424a)과 제1 가이드(422)가 만나는 모서리(E1)를 반경 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선(L) 상에는 제2 곡면(425a)과 제2 가이드(423)가 만나는 모서리(E2)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곡면(424a)과 제1 가이드(422)가 만나는 영역에는 제1 모서리(E1)가 형성되고, 제2 곡면(425a)과 제2 가이드(423)가 만나는 제2 모서리(E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평면상 스테이터 코어(410)의 중심(C)과 상기 제1 모서리(E1)를 잇는 가상의 선(L)상에는 상기 제2 모서리(E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선(L) 상에는 상기 제1 모서리(E1)와 상기 제2 모서리(E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연부재(440)의 반경 방향의 폭(W)이 길어질수록 반경 방향으로 제1 돌기(424)의 돌출 길이(L1)는 감소될 수 있다. 예컨데, 절연부재(440)의 폭(W)이 길수록 절연부재(440)의 탄성력이 증가하여 제1 돌기(424)와의 접촉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1 돌기(424)의 돌출 길이(L1)는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40)는 상기 바디(421)의 최외측에 권선된 코일(430)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절연부재(440)는 상기 바디(421)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430)의 일 영역과 돌기(424, 425)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절연부재(440)는 코일(430) 간을 절연시킨다. 그에 따라,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440)는 상기 바디(421)에 권선된 코일(430)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421)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430)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돌기(425)의 단부 사이의 갭(G)은 상기 코일(430)의 직경 대비 0.95~1.0배일 수 있다. 여기서, 코일(430)은 투스(412)에 배치되는 바디(421)의 외측면을 따라 권선되는바, 상기 턴이라 함은 투스(412)를 한바퀴 감은 권선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코일(430)의 단부(C1)는 제2 돌기(425)의 제2 곡면(425a)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코일(430)의 단부(C1)는 권선의 마지막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써 엔드선이라 불릴 수 있다.
코일(430)의 권선시, 권선장치(미도시)에 의해 코일(430)에 인가되는 장력에 의해 코일(430)의 직경이 감소된다. 예컨데, 직경이 1.9mm인 코일(430)을 20Kg의 장력으로 권선시, 상기 장력에 의해 코일(430)의 직경은 1.8mm로 감소된다. 그에 따라, 상기 갭(G)이 코일(430)의 직경보다 작더라도 코일(430)의 단부(C1)는 상기 갭(G)을 통해 바디(421)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이 해제되면, 축소된 코일(430)의 직경이 복원된다. 그에 딸, 코일(430)의 단부(C1)는 상기 갭(G)을 통해 이탈되지 않는다.
나아가, 코일(430)의 단부(C1)와 제2 돌기(425) 사이에는 절연부재(440)가 배치되기 때문에, 코일(430)의 단부(C1)의 이탈이 더욱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갭(G)이 상기 코일(430)의 직경 대비 0.95배 미만인 경우 코일(430)의 단부(C1)의 배치를 방해할 수 있으며, 상기 갭(G)이 상기 코일(430)의 직경 대비 1.0배를 초과하는 경우 코일(430)의 점적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적률이라 함은 투스(412)에 권선되는 코일(430)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갭(G)의 사이즈를 상기 코일(430)의 직경 대비 0.95~1.0배로 조절함으로써, 코일(430)의 점적률과 코일(430) 단부(C1)의 이탈 방지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갭(G)에 의해 제2 돌기(425)의 돌출량 또한 조절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바디(421)의 상면(421b), 제1 돌기(424)의 상면(424b) 및 제2 돌기(425)의 상면(425b)은 가상의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부재(440)의 상부는 제1 돌기(424)의 상면(424b)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절연부재(440)의 상부는 제1 돌기(424)의 상면(424b)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절연부재(440)는 코일(430) 간의 절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도 7에 도시된 인슐레이터(420)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420a)를 비교해 볼 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420a)는 제1 돌기(424) 및 제2 돌기(425)의 개수에 차이가 있다. 여기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420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또는 제2 인슐레이터라 불릴 수 있으며, 상술 된 상기 인슐레이터(420)를 대신하여 상기 스테이터(4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420a)는 코일(430)이 권선되는 바디(421), 바디(421)의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1 가이드(422), 바디(421)의 외측에서 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2 가이드(423), 상기 제1 가이드(422)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1 돌기(424) 및 상기 제2 가이드(423)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제2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가이드(422)와 제2 가이드(423)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440)는 제1 돌기(424)와 제2 돌기(425)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424)는 상기 제1 가이드(422)의 상측 및 하측에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제2 돌기(425)는 상기 제2 가이드(423)의 상측 및 하측에 축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500)는 로터(3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버스바(600)는 스테이터(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600)는 스테이터(400)의 코일(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600)는 버스바 바디와 상기 버스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바디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각각은 스테이터(400)의 코일(4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로터(300)와 회전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로터(3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샤프트(5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센서부(700)는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와 인쇄회로기판(PCB,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는 로터(300)와 연동하도록 샤프트(500)에 결합되어 로터(300)의 위치를 검출되게 한다. 이때,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는 센싱 마그넷과 센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과 상기 센싱 플레이트는 동축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은 내주면을 형성하는 홀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마그넷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서브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마그넷은 모터의 로터(300)에 삽입된 드라이브 마그넷과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서브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보다 세분화되어 많은 극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 각도를 더욱 세밀하게 분할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터의 구동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상기 센싱 플레이트는 원판 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센싱 마그넷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플레이트는 샤프트(5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플레이트에는 샤프트(5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720)에는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홀 IC(Hall IC)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센싱 마그넷의 N극과 S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싱 시그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10: 베어링
100: 하우징
200: 커버
300: 로터
400: 스테이터
410: 스테이터 코어
420: 인슐레이터 421: 바디
422: 제1 가이드 423: 제2 가이드
424: 제1 돌기 425: 제2 돌기
430: 코일
440: 절연부재
500: 샤프트
600: 버스바
700: 센서부

Claims (26)

  1.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2 돌기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2.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 개의 단위 스테이터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스테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단위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인슐레이터, 상기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일측에 형성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곡면을 포함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멀어질수록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곡면의 곡률이 작아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2 돌기의 일면은 상기 절연부재의 곡률에 대응하는 제2 곡면을 포함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2 곡면의 곡률보다 큰 모터.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바디의 최 외측에 권선된 코일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돌기의 단부 사이의 갭(G)은 상기 코일의 직경 대비 0.95~1.0배인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모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바디를 기준으로 동일한 원주 방향에 위치하는 모터.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모터.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돌기의 일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되는 모터.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면, 상기 제1 돌기의 상면 및 상기 제2 돌기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상부는 상기 제1 돌기의 상면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모터.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상기 단위 스테이터는 원형으로 정렬되고,
    상기 단위 스테이터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절연부재는 시계 방향에 배치되는 모터.
  1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복수 개가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가이드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모터.
  1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모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의 내면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는 모터.
  2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반경 방향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사이드 사이의 거리(D1)보다 큰 모터.
  2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절연지로 제공되는 모터.
  22.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에 권선되는 코일 및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상기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권선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에서 돌출되는 제1 가이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돌출되는 제2 가이드,
    상기 제1 가이드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기 및
    상기 제2 가이드의 내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부재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만곡되는 스테이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의 내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제1 돌기는 제1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부재의 외측 단부가 접촉되게 상기 제2 돌기는 제2 곡면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중심과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제1 가이드가 만나는 모서리를 반경 방향으로 잇는 가상의 선(L)상에는 상기 제2 곡면과 상기 제2 가이드가 만나는 모서리가 배치되는 스테이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측에 마지막 턴으로 권선된 상기 코일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돌기의 단부 사이의 갭(G)은 상기 코일의 직경 대비 0.95~1.0배인 스테이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부재의 반경 방향 폭이 길어질수록 상기 제1 돌기의 돌출 길이는 축소되는 스테이터.
KR1020180114080A 2017-12-26 2018-09-21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6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80A KR102660000B1 (ko) 2018-09-21 2018-09-21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EP18894716.2A EP3734802B1 (en) 2017-12-26 2018-12-13 Stator and motor including same
PCT/KR2018/015835 WO2019132338A1 (ko) 2017-12-26 2018-12-13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201880084432.1A CN111527667B (zh) 2017-12-26 2018-12-13 定子及包括该定子的电机
US16/954,890 US11496012B2 (en) 2017-12-26 2018-12-13 Stator and motor including same
JP2020535595A JP7284176B2 (ja) 2017-12-26 2018-12-13 ステータおよびこれを含むモー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80A KR102660000B1 (ko) 2018-09-21 2018-09-21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65A true KR20200034365A (ko) 2020-03-31
KR102660000B1 KR102660000B1 (ko) 2024-04-24

Family

ID=7000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80A KR102660000B1 (ko) 2017-12-26 2018-09-21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00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7696A (ja) * 2012-05-23 2013-12-09 Jtekt Corp 回転電機
KR20170053249A (ko) * 2015-11-06 2017-05-16 엘에스메카피온 주식회사 분할 코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7696A (ja) * 2012-05-23 2013-12-09 Jtekt Corp 回転電機
KR20170053249A (ko) * 2015-11-06 2017-05-16 엘에스메카피온 주식회사 분할 코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0000B1 (ko) 202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34802B1 (en) Stator and motor including same
CN112567600B (zh) 绝缘体及包括该绝缘体的电动机
CN112689943B (zh) 马达
US11942823B2 (en) Motor
US11329524B2 (en) Rotor and motor having same
US20210281139A1 (en) Motor
KR20200036616A (ko) 모터
KR20200034365A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20230047704A1 (en) Motor
KR102582437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113964992A (zh) 用于马达的母线单元
US20230036262A1 (en) Motor
CN113169629B (zh) 电机
KR20200086087A (ko) 모터
KR20200064531A (ko) 모터
KR10250942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491351B1 (ko) 모터
KR20210090006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00103605A (ko) 모터
KR20200067016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