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215A -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215A
KR20200034215A KR1020180113708A KR20180113708A KR20200034215A KR 20200034215 A KR20200034215 A KR 20200034215A KR 1020180113708 A KR1020180113708 A KR 1020180113708A KR 20180113708 A KR20180113708 A KR 20180113708A KR 20200034215 A KR20200034215 A KR 2020003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ition
unit cooler
unit
satisfied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015B1 (ko
Inventor
김원선
Original Assignee
김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선 filed Critical 김원선
Priority to KR1020180113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1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6Defroster control with electronic contro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1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9Pressures
    • F25B2700/197Pressures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4Temperatures of an indoor room or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동공조 제어 방법은,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및 시간 주기 조건을 포함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나, 선택된 복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서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및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냉동유니트쿨러에서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동 공간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특성에 적합하게 제상 운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제상 운전을 실행하여 전체적인 냉각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Unit cooler controller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제상 조건 항목을 선택적이나 조합적으로 이용하여 유니트쿨러의 제상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DC(Direct Digital Control)를 기반으로 하는 냉동공조 제어 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제어방식에 의해, 냉동, 냉장, 난방, 제상, 통신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동공조 제어 시스템은 다양한 제어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어, 현장 상황에 맞는 다양하고 복잡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데이터 처리능력을 갖고 있어서, 시간에 의한 예약 제어, 에너지 절감 프로그램 등을 개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냉동공조 시스템에서 사용되어 냉각 기능을 제공하는 유니트쿨러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하는 과정의 냉동사이클을 거쳐 순환하면서 냉기를 발생시킨다. 이때, 유니트쿨러에 구비되어 냉기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는 증발기의 표면에 성애가 발생하여 결빙되는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결빙 면적이 커지면서 냉동효율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유니트쿨러의 냉각 효과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증발기에 발생한 성애를 제거하는 과정인 제상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인 유니트쿨러 제어 방법에서는 제상 타이머에 시간을 설정한 후, 타이머 설정 시간이 되면 제상 운전을 실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유니트쿨러의 사용 환경이나 유니트쿨러에 의해 냉각되는 공간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특성에 맞게 제상 운전을 실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환경이나 저장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상 조건 항목을 선택적이나 조합적으로 사용하여 제상 운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제상 조건 항목을 선택적이나 조합적으로 이용하여 유니트쿨러의 제상 운전을 제어할 수 있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쿨러를 조절 및 제어하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동공조 제어 방법은, 상기 유니트쿨러와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및 시간 주기 조건을 포함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나, 선택된 복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니트쿨러에서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은, 냉동유니트쿨러에 의해 냉방되는 냉방 공간의 온도와 제상 센서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시작 편차 온도보다 큰 상태가 기설정된 편차 유지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조건은, 상기 유니트쿨러의 증발기 현재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기설정된 압력 유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 운전 시간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유니트쿨러의 압축기가 운전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주기 조건은,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면,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부, 냉방유니트쿨러가 연결되며,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및 시간 주기 조건을 포함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나, 선택된 복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되면,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유니트쿨러에서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부를 통해 제공되는 메뉴 화면을 통해,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시간 주기 조건 등의 제상 조건 항목을 선택적이나 조합적으로 사용하여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하여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상 방식이나 제상 시간도 메뉴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동 공간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특성에 적합하게 제상 운전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제상 운전을 실행하여 전체적인 냉각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의 블럭 구성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유니트쿨러의 제어를 위해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에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등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 와 같은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동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냉동공조 시스템은 DDC(Direct Digital Control)를 기반으로 하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 모니터부(170), 센서부(190), 및 유니트쿨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부(170)와 센서부(190)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유니트쿨러 콘트롤러(100)는 유니트쿨러(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니트쿨러(200)를 조절 및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유니트쿨러(200)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유니트쿨러(200)을 디지털 입출력 또는 아나로그 입출력으로 연결되어 유니트쿨러(200)를 조절 및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외부 제어장치(예 PLC 등) 또는 PC 원격관리 프로그램과 같은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통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모니터부(170)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에 의해 제어되는 유니트쿨러(200)의 동작 상태나 설정 상태, 현재 온도나 습도, 제어를 위한 메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사용자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으며,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하거나, 휠 또는 조그 방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90)는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니트쿨러(200)의 각종 동작 상태를 센싱한 신호를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에 전달할 수 있다.
유니트쿨러(200)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증발을 순차적으로 순환시키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발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유니트쿨러(200)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토출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열방출)하여 고온고압의 액체 상태로 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저압 상태의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팽창밸브, 및 저온저압의 액체상태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열흡수)하여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에서 다시 상기 압축기로 송출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모니터부(1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유니트쿨러(200)에 대한 상태 조회, 특성 요구, 냉난방 온/오프, 설정 온도 변경. 예약 기능 온/오프, 제상 운전 등과 같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냉동공조 시스템은 냉동·냉장창고에 사용할 수 있는데, 냉동·냉장창고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그 저장온도 및 습도조건이 달라지며, 이에 따라 적용되는 냉동공조 시스템과 제어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통신부(110), 입출력부(120), 메모리(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유선 통신 기술로는 RS-485 등과 같은 다자간 양방향 직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기술로는 WiFi, ZigBee, UWB, 블루투스(bluetooth), Z-Wav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이나.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20)는 I/O 모듈(121, 123, 125), 릴레이보드(127)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니트쿨러(200)의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출력되며, 센서부(190)를 통해 센싱한 신호가 입력된다.
메모리(130)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니트쿨러 컨트롤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외부의 전원이나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모니터부(1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유니트쿨러(20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와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도록 무선 통신 기능과, 다자간 양방향 직렬 통신 기능을 제공하여, 추가적인 네트워크 연결 장비 없이도 다양한 기기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니트쿨러 컨트롤러(1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원격 기기를 통한 제어에 따라, 입출력부(120)를 통해 연결된 유니트쿨러(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부(170)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 모니터부(170)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상 방식 및 제상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S300). 제상 방식은 팬을 사용하는 자연 방식,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 방식, 팬과 히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복합 방식 등이 있다. 또한, 제상 시간은 설정된 시간 동안 제상운전이 실행되는 시간으로, 1분 ~ 200분 사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부(170)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상 시작 조건과, 필요에 따라 제상 후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S310)
제상 시작 조건은, 제상 운전이 시작되는 조건으로,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시간 주기 조건, 압축기 운전 시간 등과 제상 조건 항목을 AND 나 OR 조건으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AND 조건은 사용하는 제상 조건 항목이 모두 만족할 경우 제상운전을 시작하며, OR 조건은 사용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 하나라도 만족할 경우 제상운전을 시작한다.
만일, 제상 시작 조건의 검사 전에,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강제 제상시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라면(S320), 제어부(140)는 바로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350).
제어부(14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설정된 제상 시간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사를 진행한다(S330). 각 설정 조건 항목에 대해서는 멀티로 동시에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설정된 제상 시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S340),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S350).
제상 운전의 실행 후, 제어부(140)는 제상 후 설정 동작 사항이 실행되도록 한다(S360). 제상 후 설정 동작으로, 제상 후 송풍지연, 제상 후 냉방지연, 제상 후 고온경보 지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제상 후 송풍지연이 설정된 경우, 제상 운전이 끝나고 나서, 설정한 시간동안 팬이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제상 후 냉방지연이 설정된 경우, 제상 운전이 끝나고 나서, 설정한 시간 동안 냉방운전을 하지 않는다. 제상 후 고온경보 지연을 설정한 경우, 제상 운전이 끝나고 설정한 시간동안 고온경보를 체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제어 종료가 선택된 경우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370).
도 4는 온도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냉동유니트쿨러(200)에 의해 냉방되는 냉방 공간의 온도와 제상 센서 온도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시작 편차 온도보다 크고(S331-1), 이러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편차 유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S331-2), 제어부(140)는 온도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한다(S331-3).
그러나, 냉방 공간의 온도와 제상 센서 온도의 차이가 시작 편차 온도보다 크지 않거나(S331-1), 냉방 공간의 온도와 제상 센서 온도의 차이가 시작 편차 온도보다 크더라도, 이러한 상태가 편차 유지 시간 동안 못하는 경우에는(S331-2), 제어부(140)는 온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S331-4)
시작 편차 온도는 0.1℃ ~ 50.0℃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고, 편차 유지 시간은 1분 ~ 60 분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온도 조건의 충족에 따라, 제상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편차 재시작 지연 시간 동안은 온도 조건에 의한 제상 시작은 비활성화된다. 편차 재진입 지연 시간은 1시간 ~ 100 시간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압력 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발기의 현재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낮고(S333-1), 이러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압력 유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S333-2), 제어부(140)는 압력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한다(S333-3).
그러나, 증발기의 현재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지 않거나(S333-1), 증발기의 현재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더라도, 이러한 상태가 압력 유지 시간 동안 못하는 경우에는(S333-2), 제어부(140)는 압력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S323-4)
설정 압력은 0.1 bar ~ 50.0 bar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고, 압력 유지 시간은 1초 ~ 360초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압력 조건의 충족에 따라, 제상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재시작 지연 시간 동안은 압력 조건에 의한 제상 시작은 비활성화된다. 재시작 지연 시간은 1시간 ~ 100 시간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운전하여, 압축기 운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크면(S335-1), 제어부(140)는 압축기 운전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고(S335-2),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S335-3).
미리 설정되는 시간은 1시간 ~ 100시간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시간 주기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면(S337-1), 시간 주기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고(S337-2), 그렇지 않으면 시간 주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다(S337-3).
시간 주기는 1시간 ~ 100시간 사이에서 설정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유니트쿨러의 제어를 위해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 온 되면, 모니터부(170)에 메인 메뉴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메뉴 화면(400)의 좌측에는 파워 온/오프 선택을 위한 아이콘과. 송풍, 제상, 설정 등의 메뉴 선택을 위한 메뉴 바가 표시된다. 메인 메뉴 화면(400)의 중앙에는 온도, 습도, CO2 의 현재 설정 값이 표시되고, 특정 항목의 설정값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항목을 터치하면 키패드를 표시하고, 표시된 키패드를 통해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메인 메뉴 화면(400)의 우측에는 야간, 냉방, 난방, 제상, 가습, 제습 등과 같은 운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메인 메뉴 화면에서 제상 메뉴의 선택시 표시되는 제상 메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상 메뉴 화면(410)에는 제상 센서 온도, 제상 센서 압력, 강제 제상 여부, 제상 대기 시간, 시작 시간, 제상 시간, 제상 잔여 시간, 시작 편차, 시작 압력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재 설정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UI를 이용하여 제상 운전과 관련된 사항을 편리하게 설정하고 확인하고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 통신부 120 : 입출력부
130 : 메모리 140 : 제어부
170 : 모니터부 190 : 센서부
200 : 유니트쿨러

Claims (10)

  1. 유니트쿨러를 조절 및 제어하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를 이용한 냉동공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및 시간 주기 조건을 포함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나, 선택된 복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서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니트쿨러에서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은, 상기 유니트쿨러에 의해 냉방되는 냉방 공간의 온도와 제상 센서 온도의 차이가 기설정된 시작 편차 온도보다 큰 상태가 기설정된 편차 유지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건은, 상기 유니트쿨러의 증발기 현재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낮은 상태가 기설정된 압력 유지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운전 시간 조건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상기 유니트쿨러의 압축기가 운전되는 경우,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주기 조건은, 설정된 시간 주기가 도래하면,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운전의 실행 후, 기설정 시간 동안 송풍 지연, 냉방 지연, 및 고온 경보 지연 중 적어도 하나가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 충족에 따라 상기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온도 조건 및 압력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 항목 충족에 따라 상기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쿨러 컨트롤러에 연결된 모니터부에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의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부;
    유니트쿨러가 연결되며,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 조건, 압력 조건, 압축기 운전시간 조건, 및 시간 주기 조건을 포함하는 제상 조건 항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나, 선택된 복수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제상 운전이 실행되도록 제상 시작 조건을 설정되면,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유니트쿨러에서 제상 운전이 실행되는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 시작 조건의 설정을 위한 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는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KR1020180113708A 2018-09-21 2018-09-21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KR10209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08A KR102099015B1 (ko) 2018-09-21 2018-09-21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08A KR102099015B1 (ko) 2018-09-21 2018-09-21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15A true KR20200034215A (ko) 2020-03-31
KR102099015B1 KR102099015B1 (ko) 2020-05-26

Family

ID=7000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08A KR102099015B1 (ko) 2018-09-21 2018-09-21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3948A (zh) * 2020-11-18 2021-02-26 北京工业大学 一种空气源热泵除霜控制点实验室测定系统及方法
KR102284100B1 (ko) * 2020-11-24 2021-08-03 주식회사 하나티이씨 영구자석 모터를 이용한 mfr의 제어방법
KR20210152106A (ko) * 2020-06-08 2021-12-15 (주)코노텍 냉동고의 온도 컨트롤 장치
KR102481880B1 (ko) * 2022-07-12 2022-12-26 이복주 외기 온도 상승 또는 저하시 기준 온도의 변화를 보완하는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21B1 (ko) 2005-02-0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공기조화기에서 실행 가능한 제상운전 방법
KR101443822B1 (ko) * 2013-03-07 2014-09-26 (주)대성마리프 냉매의 과열도를 이용한 제상 감지 시스템
KR20180057274A (ko) * 2016-11-22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121B1 (ko) 2005-02-0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공기조화기에서 실행 가능한 제상운전 방법
KR101443822B1 (ko) * 2013-03-07 2014-09-26 (주)대성마리프 냉매의 과열도를 이용한 제상 감지 시스템
KR20180057274A (ko) * 2016-11-22 201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상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106A (ko) * 2020-06-08 2021-12-15 (주)코노텍 냉동고의 온도 컨트롤 장치
CN112413948A (zh) * 2020-11-18 2021-02-26 北京工业大学 一种空气源热泵除霜控制点实验室测定系统及方法
KR102284100B1 (ko) * 2020-11-24 2021-08-03 주식회사 하나티이씨 영구자석 모터를 이용한 mfr의 제어방법
KR102481880B1 (ko) * 2022-07-12 2022-12-26 이복주 외기 온도 상승 또는 저하시 기준 온도의 변화를 보완하는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15B1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015B1 (ko) 유니트쿨러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하는 냉동공조 제어 방법
EP3009901B1 (en) Controller for a chi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JP5405076B2 (ja) 空調冷凍システム
US9322564B2 (en) Refrigeration managing apparatus
KR10021007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독립운전장치
WO2018042611A1 (ja) 冷凍空調システム
CN102308166A (zh) 制冷装置、尤其家用制冷装置与制冷装置的控制方法
KR10126610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279617B2 (ja) 統合管理システム、統合管理方法、統合管理装置及び統合管理プログラム
KR10091666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1573025B2 (en)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a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grouping of indoor units
WO2019082599A1 (ja) 冷凍システム
KR2015009510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7024443A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JP3234171U (ja) ヒートポンプ式冷却加温装置
KR102010389B1 (ko) 제어장치
CN104896580A (zh) 空调装置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182995A (ja) 冷凍空調機の運転状況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40054718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8021754A (ja) 冷熱装置の管理装置
JP2018169090A (ja) 冷蔵庫、サーバ機器、及びこれらを備える冷蔵システム
KR20140132187A (ko) 제어장치
JP2018185079A (ja) 冷蔵庫及び冷蔵庫システム
KR20090066874A (ko) 공기조화기 및 이의 압축기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