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4058A -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4058A
KR20200034058A KR1020180112990A KR20180112990A KR20200034058A KR 20200034058 A KR20200034058 A KR 20200034058A KR 1020180112990 A KR1020180112990 A KR 1020180112990A KR 20180112990 A KR20180112990 A KR 20180112990A KR 20200034058 A KR20200034058 A KR 2020003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peltier element
energy storag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재
남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80112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4058A/ko
Priority to PCT/KR2019/012110 priority patent/WO2020060210A1/ko
Publication of KR2020003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3Cylindr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7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electric or electromagnetic means
    • H01M10/6572Peltier elements or thermo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8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thermal insulation or shielding
    • H01M2/107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tationary device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는 하우징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배터리 팩을 직접 냉각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하는 배터리팩 냉각장치가 구비된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전기 요금이 싼 시간에 저장한 전기를 피크타임에 사용하기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급작스런 정전이 발생될 경우 전원을 공급하는 예비 전력장치이다.
특히,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e Center)는 전자 상거래를 행하는 기업으로부터 서버를 맡아서 인터넷 사업을 운용 및 대행하는 시설로서, 24시간 가동되는 인터넷 접속환경을 가져야되므로 외부 전원 차단시 비상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기존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공개특허공보 10-2016-0023473(2016년 03월03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울트라 캐패시터가 수용되는 케이스 내부에 방열통로가 형성되고 팬이 구비되어 울트라 캐패시터의 충방전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한다.
하지만, 종래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케이스에 방열통로가 형성되므로 울트라 캐패시터의 방열이 케이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방열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6-0023473(2016년 03월03일)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이 내장된 하우징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하여 배터리 팩을 직접 냉각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하우징에 내장된 복수의 배터리에 균일하게 냉각이 이루어지는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펠티어 소자가 구비되어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펠티어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냉각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냉각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배터리 팩 내부공기만 순환시켜 냉각하므로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에 배터리 팩이 내장되고,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냉각장치가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공기를 순환시켜 배터리 팩을 직접 냉각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단열재가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를 순환하는 내부 공기와 하우징이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정 갭를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배터리와, 복수의 배터리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들 사이는 냉각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고정되고 흡열부가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발열부가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와, 상기 펠티어 소자의 흡열부에 배치되어 냉각된 내부공기를 순환하는 제1냉각팬과, 상기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하여 발열부를 냉각하는 제2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펠티어 소자의 가장자리와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단열부재가 장착되어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펠티어 소자의 흡열부에는 제1히트싱크가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는 제2히트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개구부에 냉각장치가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터리 팩이 내장된 하우징 내부공기를 강제 순환하여 배터리 팩을 직접 냉각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들 사이로 냉각된 내부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복수의 배터리들이 균일하게 냉각된다.
또한, 냉각장치에는 펠티어 소자가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공기를 냉각하므로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개구부가 냉각장치에 의해 밀봉되어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배터리 팩 내부공기만 순환시켜 냉각하므로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에너지 저장장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20)과, 하우징(10)에 설치되어 배터리 팩(20)을 냉각하는 냉각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일정 길이를 갖고 내부에 배터리 팩(20)이 내장되는 상부 하우징(12)과, 상부 하우징(12)의 하면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부 하우징(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사각 바 형태, 원통 형태, 다각형 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내장되는 배터리 팩(20)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배터리 팩(20)은 복수의 배터리(22)로 구성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내장되고 복수의 배터리(22)는 외부와 전원이 연결되어 배터리(22)의 충방전을 수행하는 전원 연결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22)는 상호 일정 갭을 두고 배열되고 배터리(22) 사이의 공간은 냉각장치(30)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 순환통로(24)가 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개구부(16)에는 냉각장치(30)가 하우징(10) 내부를 밀봉하도록 장착되어, 하우징(10)의 내부는 밀봉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개구부(16)에 냉각장치(30)가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어 배터리 팩(20)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면에는 단열재(40)가 부착되어 금속재질의 하우징(10)과 내부공기가 열교환되어 열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하우징(1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냉각된 내부공기가 하우징(10) 내부를 순환할 때 하우징(10)과 열교환되어 열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데 단열재(40)를 구비하여 하우징(10)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단열재(40)는 제1하우징(12)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1단열재(42)와, 제2하우징(14)의 내면에 부착되는 제2단열재(44)와, 하우징(10)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3단열재(46)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부가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고 발열부가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32)와, 펠티어 소자(32)의 흡열부에 배치되는 제1히트 싱크(34)와, 제1히트 싱크(34)에 배치되어 하우징(10) 내부공기가 제1히트 싱크(34) 및 복수의 배터리(22) 사이를 통과하도록 순환시키는 제1냉각팬(54)과, 펠티어 소자(32)의 발열부에 배치되는 제2히트 싱크와, 제2히트 싱크(36)에 배치되어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공기와 열교환하여 냉각하는 제2냉각팬(52)을 포함할 수 있다.
펠티어 소자(32)의 외면과 하우징(10)의 내면 사이에는 펠티어 소자(32)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우징(10)의 개구부(16)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는 단열부재(56)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장치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은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고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20~25℃ 유지시 수명이 가장 길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장치는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된다.
배터리 팩(20)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펠티어 소자(32), 제1냉각팬(54) 및 제2냉각팬(5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1냉각팬(54)이 작동되면 하우징(10) 내부공기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순환된다. 즉, 하우징(10) 내부공기는 제1히트 싱크(34)를 통과하면서 냉각되고, 복수의 배터리(22) 사이의 공기순환통로(24)를 통과하면서 복수의 배터리(22)를 직접 냉각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0) 내부공기가 순환되어 배터리(22) 사이를 통과하면서 배터리(22)를 직접 냉각하여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복수의 배터리(22)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펠티어 소자(32)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제2냉각팬(52)이 작동되어 외부공기와 제2히트 싱크(36) 사이를 열교환하여 펠티어 소자(32)의 발열부를 냉각한다. 이때, 펠티어 소자(32)의 외면에 장착되는 단열부재(56)에 의해 펠티어 소자(32)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배터리 팩
22: 배터리 24: 공기순환통로
30: 냉각장치 32: 펠티어 소자
34: 제1히트 싱크 36: 제2히트 싱크
40: 단열재 54: 제1냉각팬
52: 제2냉각팬 56: 단열부재

Claims (8)

  1.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 및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밀봉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배터리 팩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장착되어 하우징 내부를 순환하는 내부 공기와 하우징이 열교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일정 갭를 두고 배열되는 복수의 배터리와, 복수의 배터리와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들 사이의 공간은 냉각된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통로로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냉각장치에 의해 밀봉되어 하우징 내부공기가 순환되면서 배터리를 냉각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흡열부가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발열부가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
    상기 펠티어 소자의 흡열부에 배치되어 냉각된 내부공기를 순환하는 제1냉각팬; 및
    상기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하여 발열부를 냉각하는 제2냉각팬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소자의 가장자리와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가 설치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펠티어 소자의 흡열부에는 상기 제1냉각팬이 장착되는 제1히트싱크가 배치되고, 상기 발열부에는 발열부에서 상기 제2냉각팬이 장착되는 제2히트싱크가 배치되는 에너지 저장장치.
  8.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배터리 팩;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부착되는 단열재; 및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를 밀봉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배터리 팩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흡열부가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배치되고 발열부가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펠티어 소자;
    상기 펠티어 소자의 흡열부에 배치되는 제1히트싱크;
    상기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 배치되는 제2히트싱크;
    상기 제1히트싱크에 배치되어 냉각된 내부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순환시키는 제1냉각팬;
    상기 제2히트싱크에 배치되어 외부공기를 순환하여 제2히트싱크를 냉각하는 제2냉각팬;
    상기 펠티어 소자의 가장자리와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펠티어 소자의 발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흡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KR1020180112990A 2018-09-20 2018-09-20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KR20200034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90A KR20200034058A (ko) 2018-09-20 2018-09-20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PCT/KR2019/012110 WO2020060210A1 (ko) 2018-09-20 2019-09-19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2990A KR20200034058A (ko) 2018-09-20 2018-09-20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058A true KR20200034058A (ko) 2020-03-31

Family

ID=6988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2990A KR20200034058A (ko) 2018-09-20 2018-09-20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34058A (ko)
WO (1) WO20200602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10A1 (ko) * 2020-05-07 2021-11-11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냉각장치의 유지관리가 편리한 배터리팩
KR20220012146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배터리 냉각기능을 가진 솔라 항공장애등 시스템
WO2022265403A1 (ko)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089090A (ko) *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차의 배터리 하이브리드 쿨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3A (ko)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54846B2 (ja) * 2006-08-11 2013-11-27 株式会社東芝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充放電方法
JP5397680B2 (ja) * 2009-05-25 2014-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3178977A (ja) * 2012-02-29 2013-09-09 Prostaff:Kk ペルチェ素子による温度調節機能付きバッテリー装置
JP2015072741A (ja) * 2013-10-01 2015-04-16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パック
KR101606472B1 (ko) * 2014-07-23 2016-03-25 티에스 주식회사 공냉식 냉각 기반의 밀폐형 배터리팩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밀폐형 배터리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473A (ko)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210A1 (ko) * 2020-05-07 2021-11-11 에너테크인터내셔널 주식회사 냉각장치의 유지관리가 편리한 배터리팩
KR20220012146A (ko) 2020-07-22 2022-02-03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배터리 냉각기능을 가진 솔라 항공장애등 시스템
WO2022265403A1 (ko)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68206A (ko) 2021-06-15 2022-12-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089090A (ko) *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차의 배터리 하이브리드 쿨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0210A1 (ko)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4058A (ko) 배터리 팩 냉각장치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장치
US11749855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2400579B1 (en) Battery assembly with cooling
US11258126B2 (en) Battery rack
JP670459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温度制御・給電システム
JP2006278330A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WO2012124446A1 (ja) 電池モジュール
WO2018094904A1 (zh) 带吸热套的电池组和具有该电池组的动力电池
KR20130104165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냉각시스템
KR102071134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장치
US20200411923A1 (en) Charging device
WO2014010437A1 (ja) 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6289237B2 (ja) 組電池
CN116780038B (zh) 锂电池保护板及具有它的锂电池装置
JP2006269220A (ja) 冷却装置及び電源装置
KR102409706B1 (ko) 전기자동차용 수냉식 배터리팩
KR102089892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방열 케이스
KR102570012B1 (ko) 전기차의 배터리 하이브리드 쿨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8922B1 (ko) 강제 냉각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팩
JP5369127B2 (ja) 電池システム
KR102042381B1 (ko) 에너지 저장장치 방열 케이스
JP7001089B2 (ja) 蓄電装置
JP2019169390A (ja) 電池モジュール
CN220510116U (zh) 包括温度调节装置的电池组
CN217280952U (zh) 一种高效散热的锂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