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695A -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695A
KR20200033695A KR1020180113317A KR20180113317A KR20200033695A KR 20200033695 A KR20200033695 A KR 20200033695A KR 1020180113317 A KR1020180113317 A KR 1020180113317A KR 20180113317 A KR20180113317 A KR 20180113317A KR 20200033695 A KR20200033695 A KR 20200033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r
stand
cover
display devic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560B1 (ko
Inventor
강현중
윤형권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560B1/ko
Priority to US16/525,695 priority patent/US10911711B2/en
Publication of KR2020003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2Supporting the apparatus as a whole, e.g. st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글래스 커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fixer); 상기 픽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 삽입바디; 및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가압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STAN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등이 있다.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의 일 예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하여 백라이트가 없고 응답 속도, 시야각 등에서 장점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모듈 커버와, 백커버와,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스탠드는 상기 백커버 또는 모듈 커버에 포함되는 사출물 또는 프레스물에 조임부재로 체결됨이 일반적이었다.
다만, 이러한 조임부재 체결 방식을 사출물 또는 프레스물이 아닌 유리로 된 글래스 커버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글래스 커버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스탠드를 글래스 커버에 직접 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글래스 커버를 고정하는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디자인적으로 향상되고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는, 글래스 커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fixer); 상기 픽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 삽입바디; 및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가압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는 상기 픽서와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는, 상기 픽서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픽서의 전면에 접하는 프론트 바디; 및 상기 프론트 바디와 이격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된 리어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픽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바디의 높이는 상기 리어 바디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픽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바디를 관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둘레 중 상기 가압 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바디는, 상기 픽서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상단에서 상기 픽서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서에는, 상기 픽서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삽입바디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부를 누르는 푸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전방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픽서 삽입 바디의 후방 상부에서부터 후방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의 후방에 배치된 글래스 커버; 및 상기 글래스 커버에 체결된 스탠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는, 상기 글래스 커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fixer); 상기 픽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 삽입바디; 및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가압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서 삽입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커버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모듈 커버와 오버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탠드가 체결되는 데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상하거리는, 상기 글래스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의 사이의 상하거리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는, 상기 스탠드와 이격되어 상기 스탠드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글래스 커버에는 스피커의 음향이 방출되는 음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픽서와 상기 음향홀 사이의 상하 거리는, 상기 픽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상하거리보다 짧고, 상기 픽서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상하거리보다 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커버의 하단에 삽입된 픽서를 가압 바디가 가압함으로써, 글래스 커버가 스탠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픽서는 픽서 삽입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글래스 커버의 하단은 픽서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글래스 커버와 스탠드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커버에 스탠드를 장착하여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거나, 글래스 커버에서 스탠드를 분리하여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커버에 구멍이 뚫리지 않고 스탠드에 고정됨으로써,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심미성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투명한 글래스 패널에 고정된 스탠드는, 모듈 커버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므로, 모듈 커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가 공중에 떠 있는 느낌을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임부재가 가압 바디를 누르고 가압 바디가 픽서를 누름으로써, 힘이 분산되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고 글래스 커버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한 조임부재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에 의해 픽서가 가압 바디에 의해 가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임부재의 체결 작업이 한층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글래스 커버 중 픽서에 고정되는 부분은 음향홀과 충분히 이격되어 음향홀 주변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커버 및 글래스 커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커버 및 백커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탠드에서 리어 커버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글래스 커버에 형성된 음향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스탠드에 조임부재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글래스 커버가 스탠드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글래스 커버가 스탠드에 체결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 커버 및 글래스 커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래스 커버 및 백커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모듈 커버(20), 글래스 커버(30), 백 커버(40) 및 스탠드(5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OLED패널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대략 사각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좌우방향 길이와 상하방향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듈 커버(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을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모듈 커버(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고, EMI 차폐(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 및 측방으로 빛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듈 커버(20)는 이너 플레이트(21)와 미들 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2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후방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배면을 커버할 수 있다.
미들 프레임(22)은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이너 플레이트(21)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미들 프레임(22)과 이너 플레이트(21)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모듈 커버(20)가 미들 프레임(22)을 포함하지 않고, 별개의 실링부재가 이너 플레이트(21) 및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외둘레를 커버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글래스 커버(30)는 모듈 커버(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글래스 커버(30)는 강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는 전체가 통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의 높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20)의 각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글래스 커버(30)는 전후 방향으로 모듈 커버(20)와 오버랩되는 커버부(31)와, 커버부(31)의 하측에 위치한 데코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커버부(3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20)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반면 데코부(32)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20)에 의해 가려지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커버부(31)의 배면에는 전장 장착부(39)가 구비될 수 있다. 전장 장착부(39)는 커버부(31)에 연결되거나, 커버부(31)를 관통하여 모듈 커버(20)에 연결될 수 있다.
전장 장착부(39)에는 시스템 보드(SB: System Board)와 전원 공급부(PS: Power Supply) 등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데코부(32)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로 구성되므로, 사용자에게 고급스런 느낌을 주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데코부(32)에는 후술할 스탠드(50)가 체결될 수 있다. 데코부(32)와 스탠드(50)의 체결에 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백커버(40)는 전장 장착부(39) 및 전장 장착부(39)에 장착된 전장 부품들을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백커버(40)의 내부에는 스피커 유닛(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백커버(40)의 크기는 글래스 커버(3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백커버(40)는 전후 방향으로 글래스 커버(30)의 데코부(32)와 논 오버랩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에 백 커버(40)는 투명한 데코부(32)의 후방에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탠드(50)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넘어지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스탠드(50)는 글래스 커버(30), 좀 더 상세히는 데코부(32)에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20)는, 스탠드(50)와 이격되어 스탠드(50)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의 데코부(32)는 투명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모듈 커버(20)가 스탠드(50) 위의 공중에 떠있는 듯한 느낌을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적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스탠드(50)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의 상하거리(H2)는, 스탠드(50)와 모듈 커버(20) 사이의 상하거리(H1)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스탠드(50)와 모듈 커버(20) 사이의 상하거리(H1)는, 글래스 커버(30)와 모듈 커버(20)의 사이의 상하거리(H3)의 절반 이하일 수 있다. 이로써, 글래스 커버(30)가 안정적으로 스탠드(50)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탠드에서 리어 커버를 제거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A-A`에 대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글래스 커버에 형성된 음향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스탠드에 조임부재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글래스 커버가 스탠드에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글래스 커버가 스탠드에 체결 완료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스탠드(50)는 픽서(61)와, 픽서 삽입바디(51)와, 가압 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픽서(61)는 글래스 커버(30)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픽서(61)는 데코부(32)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픽서(61)는 몰드(mold)에 의해 형성된 사출물로 구성될 수 있다.
픽서(61)의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만큼 회전시킨 형상일 수 있다.
픽서(61)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픽서(61)의 좌우방향 길이는 글래스 커버(3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픽서(61)에는 글래스 커버(30)의 좌우방향에 대한 중앙부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다.
글래스 패널(30)에 체결된 픽서(61)는 픽서 삽입바디(51)에 삽입될 수 있고, 가압바디(6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글래스 패널(30)을 스탠드(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픽서(61)는 가압바디(6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가압바디(62)는 스크류 등의 조임부재(S)(도 8 참조)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픽서 삽입바디(51)에는 상기 조임부재(S)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66)(도 5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재(S) 및 조임부재 체결홀(66)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재(S)가 체결되는 픽서 삽입바디(51)는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픽서 삽입바디(51)는 메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픽서 삽입바디(51)는 프레스물일 수 있다.
픽서 삽입바디(51)는 픽서(61)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픽서 삽입바디(51)에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 삽입홈(60)이 형성될 수 있고, 픽서(61)는 삽입홈(60)에 끼워질 수 있다.
삽입홈(60)은 픽서(61) 및 픽서 삽입바디(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60)의 깊이에 대응되는 상하 길이는, 픽서(61)의 높이에 대응되는 상하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경우 삽입홈(60)에 끼워진 픽서(61)는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픽서 삽입바디(51)는 로어 바디(51A)와, 프론트 바디(51B)와, 리어 바디(51C)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51A)와, 프론트 바디(51B)와, 리어 바디(51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51A)는 픽서(6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로어 바디(51)의 저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바닥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러버(rubber)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론트 바디(51B)는 로어 바디(5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픽서(61)의 전면에 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바디(51B)는 로어 바디(51A)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전후 방향에 대해 픽서(61)의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51B)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픽서(61)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픽서(61)가 삽입홈(60)에 삽입되어 장착된 상태일 경우, 돌출부(52)는 프론트 바디(51B)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바디(51C)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바디(51B)와 이격되어 프론트 바디(51B)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바디(51C)는 로어 바디(51A)와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삽입홈(60)은 프론트 바디(51B)와 리어 바디(51C) 사이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리어 바디(51C)는 픽서(61)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리어 바디(51C)에는 앞서 설명한 조임부재 체결홀(66)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임부재 체결홀(66)은 리어 바디(51C)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51C)의 높이는 프론트 바디(51B)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프론트 바디(51B)는 픽서(61)와 밀착되므로 픽서(6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리어 바디(51C)는 픽서(61)와 이격되므로 프론트 바디(51B)보다 낮게 형성되어 스탠드(50)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픽서 삽입바디(51)는 후술할 베이스(54)와 체결되는 체결바디(5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바디(51D)는 리어바디(51C)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바디(62)는 픽서(61)를 가압하여 픽서(61) 및 글래스 커버(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가압바디(62)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S)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조임부재(S)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고르게 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 바디(62)는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압 바디(62)는 메탈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바디(62)는 픽서(61)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바디(62)는 픽서 삽입바디(62)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압바디(62)는 삽입홈(6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 바디(62)는 리어 바디(51C)와 픽서(6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압 바디(62)는 픽서(61)를 후방에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바디(62)가 픽서(61)의 배면을 가압함으로써 픽서(61)의 전면은 프론트 바디(51B)에 밀착될 수 있다. 이로써 픽서(51B)는 가압 바디(62)와 프론트 바디(51B)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압 바디(62)는 픽서(61)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가압바디(62)와 픽서(61)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가압 바디(62)는 픽서(61)를 고르게 가압할 수 있다.
가압 바디(62)는 픽서(61)에 접촉하는 접촉부(62A)와, 접촉부(62A)의 상단에서 절곡된 절곡부(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62A)는 전방으로 이동하며 픽서(61)의 배면을 누를 수 있다.
절곡부(62B)는 접촉부(62A)의 상단에서 픽서(61)의 반대 방향을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절곡부(62B)는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픽서(61)에는 픽서(61)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푸셔(61A)가 형성될 수 있다. 푸셔(61A)는 픽서(61)가 픽서 삽입바디(51)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가압 바디(62)의 절곡부(62B)를 누를 수 있다. 절곡부(62B)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픽서(61)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푸셔(61A)가 절곡부(62B)를 누르면 가압 부재(62)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푸셔(61A)는 픽서(61)가 삽입홈(60)에 완전히 삽입되면 가압 바디(62)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50)는 가압 바디(62)에 연결되고 리어 바디(51C)를 관통하는 가이드부(63A)와, 가이드부(63A)에 연결된 리미터(6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63A)는 가압 바디(62)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리어 바디(51C)를 관통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바디(51C)에는 가이드부(63A)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63A)는 가압 부재(62)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가압 부재(6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부(63A)는 2개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리미터(63B)는 가이드부(63A)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리미터(63B)는 리어 바디(51C)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미터(63B)는, 가이드부(63A)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통과하지 못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리미터(63B)는 가압 바디62)의 전후방향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부(63A)는 가압 바디(62)에서 돌출된 팸 너트(pem nut)를 포함 수 있고, 리미터(63B)는 상기 팸 너트에 체결된 볼트의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50)는 가압 바디(6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64)는 픽서(6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 바디(6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64)는 픽서 삽입 바디(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탄성 부재(64)는 가압 바디(62)와 리어 바디(51C)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탄성 부재(64)는 가이드부(63A)의 외둘레 중 가압 바디(62)와 리어 바디(51C)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 부재(64)에 의해, 삽입홈(60)에 삽입된 픽서(61)는, 조임부재(S)의 체결 전에 픽서 삽입바디(5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조임부재(S)를 조임부재 체결홀(66)에 체결하는 작업이 좀 더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스탠드(50)는 베이스(54)와, 이너 커버(55)와, 프론트 커버(53)와 리어 커버(56)와, 사이드 커버(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4)는 스탠드(5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54)는 픽서 삽입바디(51)의 체결바디(51D)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54)는 체결바디(51D)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바디(51D)와 체결될 수 있다.
베이스(54)의 저면은, 픽서 삽입바디(51)의 로어 바디(51A)의 저면과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54)의 전후방향 길이는, 체결 바디(51D)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54)에 의해 스탠드(5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너 커버(55)는 베이스(54) 및 체결바디(51D)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이너 커버(55)는 베이스(54) 및 체결바디(51D)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커버(55)는 베이스(54) 및 체결바디(51D)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54) 및 체결바디(51D)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3)는 픽서 삽입바디(51)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53)는 프론트 바디(51B)의 상단에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3)는 픽서 삽입바디(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3)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 커버(56)는 픽서 삽입바디(51)의 후방 상부에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커버(56)는 리어 바디(51C)의 상단에서부터 베이스(54)의 후단까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리어 커버(56)는 이너 커버(55)에 체결될 수 있다.
리어 커버(56)는 베이스(54) 및 이너 커버(55)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가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어 커버(56)는 이너 커버(54)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커버(56)는 리어 바디(51C)에 체결된 조임부재(S)와, 리어 바디(51C)의 후방에 위치한 리미터(63B)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50)의 디자인적 심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57)는 좌우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57)는 스탠드(5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각 사이드 커버(57)는 프론트 커버(53), 리어 커버(56) 및 베이스(54)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각 사이드 커버(57)에는 삽입홈(60)과 연결된 홈부(57A)(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글래스 커버(30)의 좌우방향 길이가 스탠드(5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더라도 글래스 커버(30)는 스탠드(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글래스 커버(30)의 커버부(31)에는 스피커의 음향이 방출되는 음향홀(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백커버(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의 하단에는 그릴(23)이 구비될 수 있고, 음향홀(39)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그릴(23)과 오버랩될 수 있다. 즉, 픽서(61)와 음향홀(39) 사이의 상하 거리(H6)는, 픽서(61)와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의 상하거리(H5)보다 짧고, 픽서(61)와 모듈 커버(20) 사이의 상하거리(H4)보다 길 수 있다.
그릴(23)에는 음향홀(39)을 통한 소리가 외부로 방출되는 다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39)는 글래스 커버(3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39)의 주변은 상대적으로 충격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글래스 커버(30) 중 픽서(61)에 끼워지는 부분은 음향홀(39)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하, 글래스 커버(30)와 스탠드(50)의 체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글래스 커버(30)와 스탠드(50)의 체결은 스탠드(50)의 리어 커버(56)가 분리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 좀 더 상세히는 데코부(32)의 하단에 픽서(6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후, 픽서(61)는 글래스 커버(30)에 끼워진 상태로 픽서 삽입바디(51)의 삽입홈(60)에 삽입될 수 있다.
픽서(61A)가 삽입홈(6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픽서(61)의 푸셔(61A)가 가압바디(62)의 절곡부(62B)를 누르면 가압 바디가 후방으로 밀려날 수 있고, 푸셔(61A)가 가압바디(62)의 접촉부(62A)에 접한 상태로 픽서(61)가 하강할 수 있다. 이로써 픽서(61)가 삽입홈(6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픽서(61)가 삽입홈(60)에 완전히 삽입되면 탄성부재(64)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바디(62)가 픽서(61)의 배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픽서(61)가 삽입홈(60) 내에서 가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픽서 삽입바디(51)의 리어 바디(51C)에 형성된 조임부재 체결홀(66)에 조임부재(S)를 체결할 수 있다. 조임부재(S)는 가압 바디(62)의 배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고, 가압바디는 픽서의 배면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픽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리어 커버(56)를 이너 커버(55)에 체결시켜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와 스탠드(50)의 분리는 글래스 커버(30)와 스탠드(50)의 체결 방법을 역순으로 하여 수행될 수 있다.
글래스 커버(30)와 스탠드(50)의 분리 수행시, 작업자는 조임부재(S)를 푼 이후에 리미터(63B)를 잡아당거 가압 부재(62)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글래스 커버(3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리미터(63B)는 파지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디스플레이 패널 20: 모듈 커버
30: 글래스 커버 31: 커버부
32: 데코부 40: 백커버
50: 스탠드 51: 픽서 삽입바디
51A: 로어 바디 51B: 프론트 바디
51C: 리어 바디 52: 돌출부
53: 프론트 커버 54: 베이스
55: 이너 커버 56: 리어 커버
57: 사이드 커버 60: 삽입홈
61: 픽서 62: 가압 바디
63A: 가이드부 63B: 리미터
66: 조임부재 체결홀

Claims (16)

  1. 글래스 커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fixer);
    상기 픽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 삽입바디; 및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가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픽서 삽입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 바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디는 상기 픽서와 면접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 삽입바디는,
    상기 픽서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어 바디;
    상기 로어 바디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픽서의 전면에 접하는 프론트 바디; 및
    상기 프론트 바디와 이격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로어 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된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의 상단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픽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의 높이는 상기 리어 바디의 높이보다 높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디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리어 바디와 상기 픽서 사이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디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바디를 관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외둘레 중 상기 가압 바디와 상기 리어바디의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바디는,
    상기 픽서에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상단에서 상기 픽서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에는,
    상기 픽서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픽서가 상기 픽서 삽입바디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부를 누르는 푸셔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전방 상부에서부터 전방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프론트 커버; 및
    상기 픽서 삽입 바디의 후방 상부에서부터 후방으로 하방 경사지게 연장된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12.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된 모듈 커버;
    상기 모듈 커버의 후방에 배치된 글래스 커버; 및
    상기 글래스 커버에 체결된 스탠드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상기 글래스 커버의 하단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fixer);
    상기 픽서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픽서 삽입바디; 및
    상기 픽서 삽입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픽서를 가압하는 가압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픽서 삽입바디에는 상기 가압 바디를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가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커버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모듈 커버와 오버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스탠드가 체결되는 데코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상하거리는, 상기 글래스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의 사이의 상하거리의 절반 이하인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모듈 커버는, 상기 스탠드와 이격되어 상기 스탠드의 상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글래스 커버에는 스피커의 음향이 방출되는 음향홀이 형성되고,
    상기 픽서와 상기 음향홀 사이의 상하 거리는, 상기 픽서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상하거리보다 짧고, 상기 픽서와 상기 모듈 커버 사이의 상하거리보다 긴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13317A 2018-09-20 2018-09-20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5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17A KR102505560B1 (ko) 2018-09-20 2018-09-20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6/525,695 US10911711B2 (en) 2018-09-20 2019-07-30 Stan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317A KR102505560B1 (ko) 2018-09-20 2018-09-20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695A true KR20200033695A (ko) 2020-03-30
KR102505560B1 KR102505560B1 (ko) 2023-03-03

Family

ID=6988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317A KR102505560B1 (ko) 2018-09-20 2018-09-20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11711B2 (ko)
KR (1) KR102505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870A1 (en) * 2020-07-28 2022-02-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stand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95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6043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7789A (ko) * 2015-10-23 2017-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70241590A1 (en) * 2014-11-04 2017-08-24 Toggle Designs Limited A support for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KR20180092660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6714B1 (en) * 2015-08-28 2019-09-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KR102199790B1 (ko) * 2016-03-11 2021-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0004B1 (ko) * 2016-06-28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95A (ko) * 2014-07-15 2016-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241590A1 (en) * 2014-11-04 2017-08-24 Toggle Designs Limited A support for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KR20170026043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47789A (ko) * 2015-10-23 2017-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2660A (ko) * 2017-02-10 2018-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560B1 (ko) 2023-03-03
US10911711B2 (en) 2021-02-02
US20200099884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9485S1 (en) Light therapy device
KR10258581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디스플레이
JP4221605B2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装置
KR100649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160205293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KR1022410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5928111B2 (ja) 表示装置
KR200500240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P3161549B1 (en) Display apparatus
KR20200033695A (ko) 스탠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040854B2 (ja) 電子機器
US10446993B2 (en) Data connection cable for virtual reality glasses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75579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40853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50102664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7009797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100122305A (ko) 디스플레이 기기
KR1015906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05040897A3 (en) Surface light source apparatus
EP3862808B1 (en) Display device
KR102179031B1 (ko) 박막 분리장치
KR10266670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0643391B1 (ko) 디스플레이장치
CN212438070U (zh) 一种鞋展示架结构
KR10220812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