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3346A -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3346A
KR20200033346A KR1020207007093A KR20207007093A KR20200033346A KR 20200033346 A KR20200033346 A KR 20200033346A KR 1020207007093 A KR1020207007093 A KR 1020207007093A KR 20207007093 A KR20207007093 A KR 20207007093A KR 20200033346 A KR20200033346 A KR 2020003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vent
processor
processed imag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452B1 (ko
Inventor
김선엽
정정균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322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짐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 수단을 의미한다. 차량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 및 오토바이를 들 수 있다.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를 위해, 차량에는 각종 센서와 장치가 구비되고 있으며, 차량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차량의 기능은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편의 기능, 그리고 운전자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안전 기능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편의 기능은 차량에 인포테인먼트(information + entertainment) 기능을 부여하고, 부분적인 자율 주행 기능을 지원하거나, 야간 시야나 사각 지대와 같은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돕는 등의 운전자 편의와 관련된 개발 동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적응 순향 제어(active cruise control, ACC), 스마트주자시스템(smart parking assist system, SPAS), 나이트비전(night vision, NV),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 HUD), 어라운드 뷰 모니터(around view monitor, AVM), 적응형 상향등 제어(adaptive headlight system, AHS) 기능 등이 있다.
안전 기능은 운전자의 안전 및/또는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기술로,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lane keeping assist system, LKAS), 자동 긴급 제동(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기능 등이 있다.
편의 기능 및 안전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에는 여러 가지 목적의 다양한 카메라들이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각 카메라는 기 설정되어 있는 한가지 기능을 수행할 뿐이어서, 다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카메라기 차량에 추가로 탑재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주차 보조 시스템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주차 보조 카메라가 탑재된 상태에서 어라운드 뷰 모니터(Arround View Monitor)의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어라운드 뷰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탑재되어야 한다.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이 개발됨에 따라, 차량에는 새로운 카메라가 계속해서 추가되고 있다. 하나의 카메라가 하나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용과 리소스의 낭비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에 탑재된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들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수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생성 중인 가공 영상들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가공 영상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의 저장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을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그룹의 카메라는 온 되고 상기 제2그룹의 카메라는 오프 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지를 기준 조건에 따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조건은 전송률, 해상도, 전송되어야 하는 주소, 프레임 레이트 및 이미지 스케일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의 이름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의 이름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영상의 크기,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그리고 상기 원본 영상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을 잘라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가공 영상을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영상 가공부; 및 가공 영상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영상 가공부를 포함하며, 이벤트에 따라 가공 영상의 생성을 상기 제1 영상 가공부 또는 상기 제2 영상 가공부에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수 n개의 가공 영상들이 동시에 생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n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가공 영상들이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이며,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을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그룹의 카메라는 온 되고 상기 제2그룹의 카메라는 오프 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지를 기준 조건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술한 카메라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카메라는 하나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지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가공 영상을 동시에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가공 영상과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가공 영상이 상기 원본 영상으로부터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5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가공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어 CAN 통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 및/또는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을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서버나 통신 장치처럼 상기 차량 밖에 위치하며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차량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 및/또는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구비되는 것으로, 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독립된 장치로 이루어지거나, 차량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일부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통신부(110), 그리고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구성요소들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일 예로, 통신부(110)는 CAN(controller are network)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통신부(110)는, 차량, 이동 단말기와 서버, 다른 차량과 같이 통신 가능한 모든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V2X(Vehicle to everything) 통신으로 명명될 수 있다. V2X 통신은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기술로 정의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에 구비된 대부분의 전장품들로부터 차량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차량 주행 정보’로 호칭한다.
차량 주행 정보는 차량 정보 및 차량의 주변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의 프레임을 기준으로 차량 내부와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정보,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주변 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차량 정보는 차량 자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주행방향, 가속도, 각속도, 위치(GPS),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각 바퀴의 공기압, 차량에 가해지는 원심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는 차량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다른 물체에 관한 정보 및 차량 외부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정보는,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에 위치하는 객체 정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 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까지의 거리, 충돌 가능성,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차량에 구비된 구성요소로부터 생성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장품들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차량 주행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족되는 조건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장품들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과 관련하여, 상기 프로세서(130)는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정보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위젯(widget)이나 홈 런처 등을 포함한 개념으로서, 차량에서 구동 가능한 모든 형태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동영상 재생, 메세지 송수신,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전방 추돌 방지(Forward Collision Warning, FCW), 사각 지대 감지(Blind Spot Detection, BSD), 차선 이탈 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보행자 감지(Pedestrian Detection, PD), 커브 속도 경고(Curve Speed Warning, CSW) 및 턴 바이 턴 길안내(turn by turn navigation, TB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은, 부재중 전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 대상인 애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메세지가 도착한 경우, 시동 온(start on), 시동 오프(start off), 자율 주행 온/오프, 디스플레이 활성화 키 눌림(LCD awake key), 알람(alarm), 호 연결(Incoming call), 부재중 알림(missed notification) 등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벤트 발생은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서 설정한 경고 발생, ADAS에서 설정한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forward collision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후측방 경고(blind spot detection)가 발생하는 경우, 차선 이탈 경보(lane departure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주행 조향 보조 경보(lane keeping assist warning)가 발생하는 경우, 긴급 제동 기능(autonomous emergency braking)이 수행되는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전진 기어에서 후진 기어로 변경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가속이 발생되는 경우, 소정 값보다 큰 감속이 발생되는 경우, 동력장치가 내연기관에서 모터로 변경되는 경우, 또는 모터에서 내연기관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에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EC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 예로, 발생한 이벤트가 기 설정된 조건에 만족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30)는 만족되는 조건에 대응하는 정보가 상기 차량에 구비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에 표시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원본 영상으로부터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가공 영상은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곳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전장품으로 전송되거나, 서버나 클라우드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차량 후방 영상을 요청하고, 차량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서버에서 차량 후방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와 서버가 요구하는 영상의 특성이 상이하므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차량 후방을 촬영하는 차량 후방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용 제1 차량 후방 영상과 서버용 제2 차량 후방 영상을 동시에 생성해 디스플레이와 서버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한다(S210). 상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복수 개의 원본 영상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도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하나의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한다(S230).
여기서,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및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라운드 뷰 모니터(AVM)가 실행되는 경우, 좌측방 영상, 우측방 영상, 전방 영상 그리고 후방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주차 보조 시스템이 실행되는 경우, 후방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응급 상황 발생시 서비스 센터로부터 차량 내부를 촬영한 차량 내부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이벤트는 탑승객의 승차나 하차가 발생하는 기 설정된 케이스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에 구비된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열리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좌석을 촬영한 좌석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촬영된 좌석 영상은 탑승객이 탑승하기 전과 후가 비교되어 탑승객이 차량에 두고 간 물건을 탐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이벤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이벤트에 의하여 제1 가공 영상이 생성된다.
상기 제1 이벤트에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또는 방식이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이벤트에 설정되어 있는 방법 및/또는 방식으로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처리한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원본 영상을 가공하여 하나의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본 영상의 크기, 전송률, 배율,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그리고 상기 원본 영상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을 잘라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원본 영상들을 하나의 가공 영상으로 합성하거나, 복수의 원본 영상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가공 영상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가공 영상은 원본 영상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새로운 영상을 의미하나, 아무런 가공을 하지 않고 원본 영상을 가공 영상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프로세서(130)는 원본 영상을 요구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가공되지 않은 원본 영상 그대로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스틸 이미지를 캡쳐하거나, 이벤트가 요구하는 형식의 무빙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생성된 가공 영상을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방식에 따라 상기 차량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소정 주소를 가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차량 내의 전장품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한다(S250).
카메라는 하나의 원본 영상을 생성하지만,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가공 영상을 동시에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1 가공 영상과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2 가공 영상이 상기 원본 영상으로부터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하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동시에 생성하는 가공 영상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개수를 조절하는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S310).
새로운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 리스트에 새로운 이벤트가 추가되고, 기존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의 생성이 종료되는 경우 기존 이벤트는 이벤트 리스트에서 삭제된다. 이벤트 리스트는 이벤트가 발생된 순서대로 추가되고, 이벤트에 대응한 가공 영상의 생성이 종료되는 순서대로 삭제된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가 발생한 후 제2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 리스트에는 제1 이벤트가 먼저 추가되고 제2 이벤트가 상기 제1 이벤트의 다음 순서로 추가된다. 이후 제3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이벤트의 다음 순서로 상기 제3 이벤트가 추가된다.
다음으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자연수 n을 결정한다(S330).
상기 프로세서(130)는 동시에 생성할 가공 영상의 개수로 n을 결정한다. 상기 n은 자연수이다. 상기 n은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생성 중인 가공 영상들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가공 영상들의 데이터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결정할 수 있다. 단위시간당 데이터량이 커질수록, 상기 n은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프로세서(130)의 사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의 사용량이 커질수록 상기 n을 작아질 수 있다.
상기 n을 단위시간당 데이터량 또는 상기 프로세서(130)의 사용량에 따라 조절하는 이유는 상기 프로세서(130)의 부하 및/또는 상기 통신부(110)의 부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가공 영상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의 저장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의 저장 가능 공간을 모니터링 하고, 상기 저장 가능 공간에 따라 상기 n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n을 조절하면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가능 공간이 확보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이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새로운 데이터에 의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한다(S350).
예를 들어, 3개의 이벤트가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n이 3으로 결정되면, 3개의 가공 영상들이 생성된다.
이후, 상기 n이 2로 변경되면, 리스트에 등록된 첫 번째 이벤트와 두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두 개의 가공 영상들은 생성되지만, 세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의 생성은 제한된다. 즉, 세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은 생성되지 않고 대기 상태에 놓인다.
이후, 첫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의 생성이 종료되면, 대기 상태에 놓여있던 세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의 생성이 시작된다. 이로써, 두 번째 이벤트와 세 번째 이벤트에 대응하는 두 개의 가공 영상들이 생성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10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복수의 카메라들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본 영상들을 수신한다. 상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구성은 통신부(110)이며, ‘입력부’로 호칭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분배부와 구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성가 분배부는 입력부를 통해 원본 영상을 입력받으며, 상기 구현부의 요청에 따라 원본 영상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가공 또는 변환된 가공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구현부는 상기 분배부에 의하여 생성된 가공 영상을 이용하여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원본 영상을 캡쳐한 스틸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원본 영상을 녹화한 무빙 이미지를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가공 영상을 인코딩하여 안테나를 통해 소정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는 상기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n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부는 가공 영상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구현부는 가공 영상을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영상 가공부 및 가공 영상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영상 가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가공부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생성된 가공 영상을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영상 가공부는 메모리와 연결되어 생성된 가공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이벤트에 따라 가공 영상의 생성을 상기 제1 영상 가공부 또는 상기 제2 영상 가공부에 할당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카메라들에 대한 동영상 저장 기능(또는, 제1 이벤트)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3개의 원본 영상들을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방법 및/또는 방식에 따라 가공하고, 상기 구현부는 상기 분배부에서 생성된 3개의 가공 영상들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3 카메라에 대한 스냅샷 저장 기능(또는, 제2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상기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들을 생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이벤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카메라는 3대이지만, 총 5개의 가공 영상들이 생성되며, 상기 구현부에 의하여 5개의 가공 영상들은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에 대한 전송 기능(또는, 제3 이벤트)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는 3개의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총 7개의 가공 영상들을 생성하고, 상기 구현부는 7개의 가공 영상들을 각 이벤트에 맞추어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안테나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S510).
상기 메시지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며, 도 1에서 상술한 차량 주행 정보로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가 기 설정된 메시지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기 설정된 메시지인 경우 그에 대응하는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S530).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메시지가 요구하는 상기 소정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주차 보조 시스템에서 후방 영상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후방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가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어라운드 뷰 모니터(AVM)에서 차량 외부 영상을 요구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 후방, 좌측방 및 우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들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카메라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가변된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S550).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들을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룹에는 상기 메시지에 의하여 선택된 카메라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그룹에는 상기 메시지에 의하여 선택되지 않은 카메라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그룹의 카메라는 온 되고 상기 제2그룹의 카메라는 오프 되도록 상기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불필요하게 카메라가 온 되어 전원을 소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카메라 제어 장치로 수신된 메시지에 따라 오프 되는 카메라가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가공 영상을 동시에 생성할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지를 기준 조건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S610).
일 예로, 상기 기준 조건은 전송률, 해상도, 전송되어야 하는 주소, 프레임 레이트 및 이미지 스케일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제2 이벤트가 제1 이벤트와 동일한 영상을 필요로 하는 경우, 동일한 가공 영상을 중복 생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이미 생성되고 있는 제1 가공 영상을 제1 및 제2 이벤트에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의 이름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의 이름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이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제한할 수 있다(S630).
이경우,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계속해서 생성하고,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지 않는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이벤트에 대하여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650).
서로 다른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동일한지를 먼저 판단한 후,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만 가공 영상을 생성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동일한 영상이 중복 생성되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또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 방법은 메모리 등에 저장된 코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수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n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생성 중인 가공 영상들의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공 영상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메모리의 저장 가능 공간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량에 근거하여 상기 n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고,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가공 영상들을 동시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을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그룹의 카메라는 온 되고 상기 제2그룹의 카메라는 오프 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지를 기준 조건에 따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조건은 전송률, 해상도, 전송되어야 하는 주소, 프레임 레이트 및 이미지 스케일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의 이름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의 이름이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과 상기 제1 가공 영상이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원본 영상의 크기,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그리고 상기 원본 영상의 전체 영역 중 일부분을 잘라내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공 영상을 무선으로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제1 영상 가공부; 및
    가공 영상을 상기 차량에 탑재된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 영상 가공부를 포함하며,
    이벤트에 따라 가공 영상의 생성을 상기 제1 영상 가공부 또는 상기 제2 영상 가공부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5. 차량에 탑재된 복수의 카메라들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어느 카메라로부터 원본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중에 제2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이벤트에서 요구하는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5에 있어서,
    상기 원본 영상을 이용하여 자연수 n개의 가공 영상들이 동시에 생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n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에 있어서,
    이벤트 발생에 응답하여 이벤트 리스트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 리스트에 등록된 순서에 따라 상기 n개의 가공 영상들이 동시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이벤트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된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에서 소정 영상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이며,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카메라로부터 영상이 수신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들을 제1그룹과 제2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그룹의 카메라는 온 되고 상기 제2그룹의 카메라는 오프 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지를 기준 조건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의 생성을 제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벤트가 요구하는 영상이 상기 제1 가공 영상과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가공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7007093A 2017-12-14 2018-12-14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62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98467P 2017-12-14 2017-12-14
US62/598,467 2017-12-14
PCT/KR2018/015891 WO2019117658A1 (ko) 2017-12-14 2018-12-14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346A true KR20200033346A (ko) 2020-03-27
KR102362452B1 KR102362452B1 (ko) 2022-02-14

Family

ID=6682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093A KR102362452B1 (ko) 2017-12-14 2018-12-14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2452B1 (ko)
WO (1) WO20191176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968A1 (ko) * 2020-04-17 2021-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20140773A (ko) * 2020-04-23 202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응급 상황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628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60123775A (ko) * 2015-04-17 2016-10-26 (주)이에스브이 모션 인식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데이터 처리 개선 방법
KR101765556B1 (ko) * 2016-05-11 2017-08-23 (주)캠시스 차량 속도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9044B1 (ko) * 2016-04-26 2017-12-14 주식회사 아이디스 프리-이벤트 순환 저장 방식 영상녹화장치
KR101696801B1 (ko) * 2016-10-21 2017-01-16 이형각 사물 인터넷(IoT) 카메라 기반의 통합 영상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628A (ko) * 2008-12-05 201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20160123775A (ko) * 2015-04-17 2016-10-26 (주)이에스브이 모션 인식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영상 기록 장치의 데이터 처리 개선 방법
KR101765556B1 (ko) * 2016-05-11 2017-08-23 (주)캠시스 차량 속도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968A1 (ko) * 2020-04-17 2021-10-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KR20220140773A (ko) * 2020-04-23 202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응급 상황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452B1 (ko) 2022-02-14
WO2019117658A1 (ko)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97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V2X and standard vehicles
JP6773046B2 (ja)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並びに移動体
WO2017043133A1 (ja) 情報処理装置、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84827A1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10395253B (zh) 车辆控制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106791A1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automatic driving system
US2020016808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014263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US11815887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09516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210118263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20210068571A (ko) 전자 제어 장치 및 통신 장치
TW201800291A (zh) 訊息的推送方法、裝置和設備
CN114093186B (zh) 车辆预警信息提示系统、方法及存储介质
US9769762B1 (en) Adaptive transmit power control for vehicle communication
CN113498017A (zh) 用于支持车辆对万物通信的装置和方法以及包括该装置的系统
KR102362452B1 (ko) 카메라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15179879A (zh) 车辆自唤醒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WO2018092231A1 (ja) 車載装置、携帯端末装置、認識支援システム、認識支援方法、及び認識支援プログラム
US20200180533A1 (en) Control system, server, in-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and control method
US11600176B2 (en)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a communications adapter and a coordin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s adapter, coord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communication
JP7348724B2 (ja) 車載装置および表示方法
CN112930698B (zh) 通信系统、通信终端、控制方法以及存储程序的存储介质
EP4273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mov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90070693A (ko) 자율주행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