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996A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2996A KR20200032996A KR1020180112333A KR20180112333A KR20200032996A KR 20200032996 A KR20200032996 A KR 20200032996A KR 1020180112333 A KR1020180112333 A KR 1020180112333A KR 20180112333 A KR20180112333 A KR 20180112333A KR 20200032996 A KR20200032996 A KR 202000329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distance adjusting
- bus bar
- unit
- distan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01M2/20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 H01M2/107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는, 배터리 모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 내에 위치하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용 가압 지그로서, 제1 거리 조절부,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1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마주보는 제2 거리 조절부, 상기 제1 가압부와 마주보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와 제2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가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버스바와 전극 리드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버스바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경우, 적층된 배터리 셀들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버스바를 적용하되, 복수의 배터리 셀 각각에서 인출된 복수의 전극 리드들을 밴딩하여 버스바 상에 위치시킨 후 용접을 수행하였다.
배터리 모듈을 이와 같이 제조하는 경우, 밴딩된 전극 리드를 버스바 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하여 전극 리드를 버스바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전극 리드가 버스바에 밀착되도록 한 후 전극 리드 상에 레이저를 출사시켜 용접을 수행하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 복수개가 버스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형태를 갖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모듈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1)로부터 인출된 각각의 전극 리드(2)를 버스바(3)의 리드 슬릿(4)에 삽입시킨 후,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삽입된 전극 리드(2)를 밴딩시켜 버스바(3)에 밀착시켜 용접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모듈은, 전극 리드(2)를 버스바(3)의 리드 슬릿(4)에 삽입하는 공정 및 전극 리드(2)를 버스바(3)에 용접하는 공정 이 외에도 전극 리드(2)를 밴딩시키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제조공정을 복잡하게 만든다.
또한,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파우치 타입 셀인 경우에는 셀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전극 리드의 길이 또한 짧게 제조되는데, 이처럼 전극 리드의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전극 리드와 버스바 간의 접합 면적 역시 줄어들게 되어 결합 강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른 제품 불량 발생의 우려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극 리드의 밴딩 공정이 생략될 수 있는 배터리 모듈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이에 따라 전극 리드와 버스바의 접합 구조에 적합한 새로운 용접용 가압 지그의 개발 역시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전극 리드가 버스바와의 결합을 위해 밴딩되지 않은 상태로 버스바와 용접에 의해 결합된 형태를 갖는 배터리 모듈의 제조에 있어서 버스바와 전극 리드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는, 배터리 모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 내에 위치하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용 가압 지그로서, 제1 거리 조절부,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1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마주보는 제2 거리 조절부, 상기 제1 가압부와 마주보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와 제2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가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서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 프레임 및 제2 연결 프레임 사이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지그는, 일측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관통하고 타측이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에 체결되는 거리 조절 로드; 및 상기 거리 조절 로드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가압하는 거리 조절 너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지그는, 상기 제1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 측을 가압하는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타 측을 가압하며, 상기 제1 홀딩부와 대면하는 제2 홀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부 및 제2 홀딩부 각각은, 대향면에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버스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및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 상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 내에 위치하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지그;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극 리드의 밴딩 공정이 생략된 형태의 배터리 모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배터리 모듈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 셀의 전극 리드가 버스바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 및/또는 사용 과정에서 전극 리드와 외부 물체 간의 마찰로 인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 사이의 결합이 끊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제품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배터리 모듈의 부분 확대도로서,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을 통해 전극 리드가 노출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버스바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극 리드와 버스바를 결합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배터리 모듈의 부분 확대도로서,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을 통해 전극 리드가 노출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버스바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 및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배터리 모듈의 부분 확대도로서,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을 통해 전극 리드가 노출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100) 및 그 일 측에 설치되는 가압 지그(20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모듈 케이스(110) 내에 복수의 배터리 셀(120)이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도 5 및 도 6 참조)를 수용시킨 후, 모듈 케이스(110)의 일측 개구부를 버스바 어셈블리(130)로 마감한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배터리 셀(120)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전극 리드(121)를 구비하며, 서로 인접한 복수의 배터리 셀(120)로부터 인출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전극 리드(121)들은 2개 또는 3개 이상이 모아져 하나의 전극 리드 집합체를 이룬다. 이러한 전극 리드 집합체는, 후술할 버스바(132)에 형성된 리드 슬릿(S1, S2) 내에 삽입된다.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130)는, 셀 적층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모듈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버스바 프레임(131) 및 버스바 프레임(131)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버스바(132)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버스바(132)는, 버스바 프레임(131)에 버스바(132)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복수개 구비된 버스바 수용부(131a) 내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버스바(132)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제1 버스바(132a) 및 제1 버스바(132a)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 버스바(132b)와 제3 버스바(132c)를 포함하며, 제1 버스바(132a), 제2 버스바(132b) 및 제3 버스바(132c)는 서로 분리된 별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버스바(132a)는 버스바 프레임(131)의 버스바 수용부(131a) 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제2 버스바(132b) 및 제3 버스바(132a)는 버스바 수용부(131a) 내에서 제1 버스바(132a)의 양 측에 배치되어 제1 버스바(132a)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버스바(132b) 및 제3 버스바(132c)는, 버스바 수용부(131a) 내에 삽입된 가압 지그(200)의 홀딩부(230, 240)에 의해 파지되어 제1 버스바(132a)를 향해 움직임으로써 제1 버스바(132a)와 제2 버스바(132b) 사이에 형성된 제1 리드 슬릿(S1) 및 제1 버스바(132a)와 제3 버스바(132c) 사이에 형성된 제2 리드 슬릿(S2) 내에 각각 위치하는 전극 리드(121)를 가압하게 된다.
적층된 복수의 배터리 셀(120)들로 이루어지는 제1 배터리 셀 군으로부터 인출된 제1 전극 리드 집합체와 제1 배터리 셀 군과 인접한 제2 배터리 셀 군으로부터 인출된 제2 전극 리드 집합체는 서로 동일한 하나의 버스바(132)와 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배터리 셀 군 사이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1 전극 리드 집합체와 제2 전극 리드 집합체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이로써 서로 인접한 제1 배터리 셀 군과 제2 배터리 셀 군은 직렬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100)은, 제1 배터리 셀 군을 이루는 복수의 배터리 셀(120)들 간에는 서로 병렬 연결 관계를 이루고, 복수의 배터리 셀 군들 상호 간에는 서로 직렬 연결 관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하나의 배터리 셀 군이 세 개의 배터리 셀(120)로 구성되고, 이로써 하나의 전극 리드 집합체가 세 개의 전극 리드가 모여 이루어지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나의 배터리 셀 군이 2개 또는 4개 이상의 배터리 셀(120)로 구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로서 하나의 전극 리드 집합체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전극 리드(121)들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2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이용하여 버스바를 가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지그(200)는,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제1 홀딩부(230), 제2 홀딩부(240), 거리 조절 로드(250) 및 거리 조절 너트(26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제1 거리 조절부(211), 제1 가압부(212) 및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1 가압부(2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213)를 포함하고, 제2 프레임(220)은 제2 거리 조절부(221), 제2 가압부(222) 및 제2 거리 조절부(221)와 제2 가압부(222)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서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중심부가 힌지(H)에 의해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프레임(210)의 제1 연결부(213)와 제2 프레임(220)의 제2 연결부(223) 각각의 중심부는 힌지(H)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1 프레임(210) 및 제2 프레임(220)은, 힌지(H)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가 서로 마주보고, 제1 가압부(212)와 제2 가압부(222)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은,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제1 가압부(212)와 제2 가압부(222)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이와는 반대로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제1 가압부(212)와 제2 가압부(222) 사이의 거리 역시 멀어지도록 서로 상대적인 회동을 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가압 지그(2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조작을 함으로써 버스바(132)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압부(212)에는 버스바(132)가 안정적으로 파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홀딩부(230)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홀딩부(230)는 제1 가압부(212)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가압부(222)에는 버스바(132)가 안정적을 파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2 홀딩부(240)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제2 홀딩부(240)는 제2 가압부(222)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 홀딩부(230) 및 제2 홀딩부(240)의 대향면은 각각 버스바(132)의 일측 및 타측을 파지한다. 이 경우 제1 홀딩부(230)는 제1 가압부(212)에 대해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고 제2 홀딩부(240)는 제2 가압부(212)에 대해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대향면과 버스바(132) 사이의 면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딩부(230) 및 제2 홀딩부(240) 각각은, 대향면 상에 돌출 형성된 제1 스토퍼(231) 및 제2 스토퍼(24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스토퍼(231) 및 제2 스토퍼(241)는, 버스바(132)를 가압할 때 버스바(13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홀딩부(230)와 제2 홀딩부(240)는 각각 버스바 수용부(131a)의 내측벽과 제2 버스바(132b) 사이 및 버스바 수용부(131a)의 내측벽과 제3 버스바(132c) 사이에 삽입되어 제2 버스바(132b)와 제3 버스바(132c)를 제1 버스바(132a)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스토퍼(231) 및 제2 스토퍼(241)는 제1 홀딩부(230)와 제2 홀딩부(24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며, 이로써 제2 버스바(132b) 및 제3 버스바(132c)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이와 같이 제2 버스바(132b)와 제3 버스바(132c)가 이동함으로써, 제1 리드 슬릿(S1) 및 제2 리드 슬릿(S2)의 폭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써 제1 리드 슬릿(S1) 내에 삽입된 전극 리드 집합체 및 제2 리드 슬릿(S2) 내에 삽입된 전극 리드 집합체가 가압되어 전극 리드(121)와 버스바(132) 사이의 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거리 조절 로드(250)는, 그 일측이 제1 거리 조절부(211)를 관통하고 타측이 제2 거리 조절부(221)에 체결된다. 상기 거리 조절 로드(250)와 제2 거리 조절부(221) 사이의 체결은 힌지(H)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로써 거리 조절 로드(250)는, 힌지 결합된 타측 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거리 조절부(211)에는 거리 조절 로드(2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 홀(211a)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홀(211a)은 거리 조절 로드(250)의 두께 대비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거리 조절 로드(250)가 힌지 결합된 타측 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타측 단부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리 조절 너트(260)는, 거리 조절 로드(250)의 일측에 체결되어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있다. 즉, 상기 거리 조절 너트(26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리 조절 너트(260)는 제1 거리 조절부(211)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처럼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가 서로 가까워지면 제1 가압부(212)와 제2 가압부(222) 사이의 거리 역시 가까워지게 되며, 이로써 버스바(132)의 양 측부가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입 지그(200)의 사용자는, 제1 홀딩부(230)와 제2 홀딩부(240)의 대향면 사이의 폭이 버스바(132)의 폭보다 더 넓게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거리 조절 너트(26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버스바(132)와 전극 리드(121)가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하여 전극 리드(121)와 버스바(132)가 서로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을 위한 용접 장치는 제1 홀딩부(230) 및 제2 홀딩부(2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버스바(132)에 접근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거리 조절 너트(26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거리 조절 너트(260)는 제1 거리 조절부(211)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져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제1 거리 조절부(211)와 제2 거리 조절부(221)가 서로 멀어지면 제1 가압부(212)와 제2 가압부(222) 사이의 거리 역시 가까워지게 되며, 이로써 버스바(132)의 양 측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배터리 모듈
110: 모듈 케이스
120: 배터리 셀
121: 전극 리드
130: 버스바 어셈블리
131: 버스바 프레임
131a: 버스바 수용부
132: 버스바
132a: 제1 버스바
132b: 제2 버스바
132c: 제3 버스바
S1, S2: 리드 슬릿
200: 가압 지그
210: 제1 프레임
211: 제1 거리 조절부
211a: 관통 홀
212: 제1 가압부
213: 제1 연결부
220: 제2 프레임
221: 제2 거리 조절부
222: 제2 고정부
223: 제2 연결부
230: 제1 홀딩부
231: 제1 스토퍼
240: 제2 홀딩부
241: 제2 스토퍼
H: 힌지
250: 거리 조절 로드
260: 거리 조절 너트
110: 모듈 케이스
120: 배터리 셀
121: 전극 리드
130: 버스바 어셈블리
131: 버스바 프레임
131a: 버스바 수용부
132: 버스바
132a: 제1 버스바
132b: 제2 버스바
132c: 제3 버스바
S1, S2: 리드 슬릿
200: 가압 지그
210: 제1 프레임
211: 제1 거리 조절부
211a: 관통 홀
212: 제1 가압부
213: 제1 연결부
220: 제2 프레임
221: 제2 거리 조절부
222: 제2 고정부
223: 제2 연결부
230: 제1 홀딩부
231: 제1 스토퍼
240: 제2 홀딩부
241: 제2 스토퍼
H: 힌지
250: 거리 조절 로드
260: 거리 조절 너트
Claims (11)
- 배터리 모듈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구비된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 내에 위치하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용접용 가압 지그로서,
제1 거리 조절부,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1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마주보는 제2 거리 조절부, 상기 제1 가압부와 마주보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와 제2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가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 가압 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서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그는,
일측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관통하고 타측이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에 체결되는 거리 조절 로드; 및
상기 거리 조절 로드의 일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가압하는 거리 조절 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그는,
상기 제1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 측을 가압하는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타 측을 가압하며, 상기 제1 홀딩부와 대면하는 제2 홀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 및 제2 홀딩부 각각은, 대향면에 형성되어 가압 시에 상기 버스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지그. -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형성된 셀 적층체, 상기 셀 적층체를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 및 상기 모듈 케이스의 일측 개구부를 커버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 상에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버스바에 형성된 리드 슬릿 내에 위치하는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가압 지그;
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그는,
제1 거리 조절부,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1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마주보는 제2 거리 조절부, 상기 제1 가압부와 마주보는 제2 가압부 및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와 제2 가압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버스바를 양 측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가까워지고, 상기 제1 거리 조절부 및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가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 사이의 거리도 멀어지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된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서로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그는,
일 측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관통하고 타 측이 상기 제2 거리 조절부에 체결되는 거리 조절 로드; 및
상기 거리 조절 로드이 일 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 거리 조절부와 제2 거리 조절부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상기 제1 거리 조절부를 가압하는 거리 조절 너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그는,
상기 제1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일 측을 가압하는 제1 홀딩부; 및
상기 제2 가압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의 타 측을 가압하며, 상기 제1 홀딩부와 대면하는 제2 홀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딩부 및 제2 홀딩부 각각은,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스바가 상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33A KR102701469B1 (ko) | 2018-09-19 | 2018-09-19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2333A KR102701469B1 (ko) | 2018-09-19 | 2018-09-19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2996A true KR20200032996A (ko) | 2020-03-27 |
KR102701469B1 KR102701469B1 (ko) | 2024-08-30 |
Family
ID=6995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2333A KR102701469B1 (ko) | 2018-09-19 | 2018-09-19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0146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5221A (ko) | 2020-07-06 | 2022-01-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접착부재에 의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연결된 전지 모듈 |
WO2022153730A1 (ja) * | 2021-01-15 | 2022-07-21 |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50510A (ko) * | 2015-10-30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70052920A (ko) * | 2015-11-05 | 2017-05-15 | 한국광기술원 | 전지용 셀의 접합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대용량 전지 셀의 제조 방법 |
KR20180049166A (ko) * | 2015-10-22 | 2018-05-10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KR20180067672A (ko) * | 2015-10-22 | 2018-06-20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조전지 |
-
2018
- 2018-09-19 KR KR1020180112333A patent/KR1027014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9166A (ko) * | 2015-10-22 | 2018-05-10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KR20180067672A (ko) * | 2015-10-22 | 2018-06-20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조전지 |
KR20170050510A (ko) * | 2015-10-30 | 2017-05-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KR20170052920A (ko) * | 2015-11-05 | 2017-05-15 | 한국광기술원 | 전지용 셀의 접합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대용량 전지 셀의 제조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5221A (ko) | 2020-07-06 | 2022-01-1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접착부재에 의해 전극 리드와 버스바가 연결된 전지 모듈 |
WO2022153730A1 (ja) * | 2021-01-15 | 2022-07-21 |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01469B1 (ko) | 2024-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5665B1 (ko)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
EP3836248A1 (en) | Battery module including foldable sid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102514123B1 (ko) |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버스바 프레임 구조를 구비하는 단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US10862095B2 (en) |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between electrode lead and bus ba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3671896B1 (en) |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battery cell | |
US9190641B2 (en) | Rechargeable battery pack | |
US20120189899A1 (en) |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device, and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 |
KR102324264B1 (ko) | 전극 리드를 버스바에 밀착시키는 가압 지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
EP2958168B1 (en) | Battery module | |
KR20200032996A (ko) | 버스바를 가압하는 가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제조 시스템 | |
EP3675224B1 (en) | Battery cell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 |
CN110832670B (zh) | 电池组及其制造方法 | |
JP7391447B2 (ja) | 電極タブに陥凹部が形成された電極組立体、これを積層するためのガイド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ック型電池の製造方法 | |
KR102580236B1 (ko) | 이차전지 | |
JP7142765B2 (ja) | 長さが延びた絶縁パッド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 |
JP7372466B2 (ja) | 改善された電極リード接続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自動車 | |
JP7240609B2 (ja) | 組電池 | |
EP4087041A1 (en)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KR20240059357A (ko) | 배터리 셀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유닛 | |
KR20210111104A (ko) | 폭 조절이 가능한 브라켓을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
KR20240082973A (ko) | 배터리 어셈블리 | |
JP2003249261A (ja) | 蓄電池の製造装置及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蓄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