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689A -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689A
KR20200032689A KR1020207001322A KR20207001322A KR20200032689A KR 20200032689 A KR20200032689 A KR 20200032689A KR 1020207001322 A KR1020207001322 A KR 1020207001322A KR 20207001322 A KR20207001322 A KR 20207001322A KR 20200032689 A KR20200032689 A KR 2020003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ructure
plate
glass
window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기쿠치
준이치로 가세
히카루 이시다
히로시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지씨 플랫 글래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퍼레이티드
에이지씨 비드로스 도 브라질 엘티디에이
에이쥐씨 글래스 유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에이지씨 플랫 글래스 노스 아메리카, 인코퍼레이티드, 에이지씨 비드로스 도 브라질 엘티디에이, 에이쥐씨 글래스 유럽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6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기존의 창보다도 실내측에, 해당 기존의 창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판상체와, 해당 판상체의 소정 개소에 접속되어서 마련된 배선과, 해당 배선을 수납하여 덮는 프레임체를 갖는다.

Description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본 발명은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통전부로서 액정층을 샌드위치상으로 내장한 조광 유리를 포함하는 창용 판체 세워 넣기용 샤시 홈을 샤시 본체에 형성해 둔 샤시이며, 창용 판체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배선을 위한 배선 수용 공간을 샤시 본체 내에 형성한 샤시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샤시에 있어서는, 샤시 홈 내의 창용 판체로부터의 전기 배선을 상술한 배선 수용 공간 내로 끌어들이기 위한 배선 인입 구멍을 형성하고, 배선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전기 배선의 배선 작업용 개구부를 샤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배선 수용 공간을 샤시 홈과 별도로 형성한 구성에 의해, 샤시 홈 내에 전기 배선을 수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창용 판체의 주위부와 전기 배선을 별도의 공간 내에 수용할 수 있어, 창용 판체의 세워 넣기 작업과 배선 작업을 따로따로 행할 수 있고, 배선 작업을 샤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개소의 스페이스를 크게 하여 작업을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조광 유리는, 유리 자체가 투과율, 차광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블라인드, 커튼 등을 요하지 않게 하는 기술로서 근년 주목받고 있다. 조광 유리는, 그 구조 특성상, 특수한 중간 부품을 개재한 접합 유리 구조인 것이 일반적이며, 동시에 그 조광 기능을 위하여 전기 배선이 필요해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 배선을 수납하는 구성이 필요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조광 유리용의 샤시의 구성은, 신축 빌딩에 대한 응용이라면, 초기 단계로부터 계획·설계하고, 제조,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실제로, 많은 조광 유리는, 신축 빌딩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이 행하여지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3-119194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신축에 적합한 샤시를, 이미 존재하는 다수의 건축물에 전개하는 것을 고려한 경우, 샤시 프레임 자체를 바꿔 만들고, 유리도 조광 유리로 치환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면, 전면적인 교환 공사가 필요해지고, 비계나 양생도 필요해진다는 점에서, 대규모 예산 및 기간이 필요해질 것을 용이하게 상상할 수 있다. 실제로는, 이러한 교환 공사를 행할 수는 없고, 또한, 지금까지 실제로 실시된 적도 없었다.
또한, 조광 유리뿐만 아니라, 그 밖에도 태양 전지, LED 내장 유리, 발열 유리, 블라인드 내장 유리 등의 배선 구비 판상체가 존재하고, 이러한 배선 구비 판상체를 기존 건축물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을 감안하여, 기존의 유리가 설치된 기존의 빌딩 등을 대상으로 하여, 대규모 개수 공사를 행하지 않고, 비교적 간이한 방법으로 최첨단의 기술인 조광 유리 및 다른 배선 구비 판상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다중 창 구조는, 기존의 창보다도 실내측에, 해당 기존의 창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판상체와,
해당 판상체의 소정 개소에 접속되어서 마련된 배선과,
해당 배선을 수납하여 덮는 프레임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소한 구성으로 미관을 유지하면서 조광 유리 및 다른 배선 구비 판상체를 기존의 창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연속 설치의 경우의 일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의 베이스 부재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의 조광 유리 적재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의 고정 부재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의 배선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의 프레임체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 유리(11) 및 기존 샤시(12)를 포함하는 기존의 창(10)보다도 실내측에, 기존의 창(10)과는 독립적으로 별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창(10)이 마련된 실내에 있어서, 고정면(20, 21)이 형성된 개소에 마련된다. 고정면(20, 21)은, 상방에 존재하는 고정면(20)과 하방에 존재하는 고정면(21)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창틀의 상면 및 하면이어도 되고, 방의 천장면과 바닥면이어도 된다. 또한, 고정면(20, 21)은, 수평으로 설치된 상면과 하면이 아니라, 창틀의 실내측의 벽면(수직면)의 상방의 영역과 하방의 영역이어도 된다. 또한, 샤시를 칸막이하는 멀리언과 같이, 실내에 고정 설치된 측면(수직면)의 상부와 하부여도 된다. 이와 같이, 고정면(20, 21)은, 다중 창 구조(200)를 상하에서 고정 가능하면, 수직면을 포함하여 각종의 면이어도 되지만,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창틀이 고정면(20, 21)인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 따라서, 고정면(20)보다도 더 실내측에는, 방의 천장면(23)이 마련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조광 유리(30)와, 상변 프레임체(40)와, 하변 프레임체(50)를 갖는다.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창(10)과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조광 유리(30), 상변 프레임체(40) 및 하변 프레임체(50) 중 어느 것이든 기존의 창(10)과는 접촉하지 않고, 이격하여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창(10)의 구조에 관계 없이 설치 가능하고, 상하의 고정면(20, 21)이 마련되어 있는 한, 기존의 어떠한 건축물에도 설치 가능하다. 이 점, 신축의 건축물만을 대상으로 하여 설치하는 조광 유리를 사용한 샤시와는 크게 상이하다.
다중 창 구조(200)는 조광 유리(30)의 상변을 상변 프레임체(40)가 지지하고, 하변을 하변 프레임체(50)가 지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변 프레임체(40)가 조광 유리(30)의 상변 부근, 즉 상단부 부근을 지지하고, 하변 프레임체(50)가 조광 유리(30)의 하변 부근, 즉 하단부 부근을 지지한다.
조광 유리(30)는 조광 기능을 갖는 유리이며, 유리 자체가 변색되어서 자신의 투과율 및 차폐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일광이 강한 경우에는 차폐 성능을 높여서 블라인드나 커튼 등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일광이 약한 경우에는, 투과율을 높여서 조망을 확보하고, 또한, 적극적으로 일광을 흡수하여 방 안을 데운다는 기능을 행할 수 있다.
조광 유리(30)는 예를 들어, 2매의 유리판(31, 32)의 사이에 조광 기능 재료(33)가 끼워지도록 마련된 구성을 갖는다. 조광 기능 재료(33)로서는, 예를 들어, 일렉트로크로믹 기능 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는, 전기적으로 야기되는 가역적인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착색되거나 지워지거나 하는 고분자 재료이며, 전압의 인가에 의해 색을 바꿀 수 있다. 조광 기능 재료(33)로서는, 광학적 성질을 가역적으로 가변할 수 있는 재료이면 되고, 2매의 유리판(31, 32) 중 적어도 한쪽에 코팅하는 것이 가능한 박막이나, 2매의 유리판(31, 32)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고체나 겔상체여도 된다. 조광 기능 재료(33)는 상술한 일렉트로크로믹 기능 재료 외에, SPD(Suspended Particle Device), 액정, 고분자 분산형 액정 등이어도 된다. 2매의 유리판(31, 32)에 의해 조광 기능 재료(33)를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1매의 조광 유리(30)가 구성된다.
조광 기능 재료(33)는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투과율 및 차폐 성능이 변화하므로, 전압의 인가가 가능하도록 조광용의 배선이 접속된다. 예를 들어, 조광 기능 재료(33)에는, 커넥터(34)를 통하여 전기 배선(35)이 접속된다. 전기 배선(35)은 도시되어 있지 않은 건축물의 전원 및 컨트롤러에 접속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소정 개소에 커넥터(34)가 마련되고, 커넥터(34)로부터 연장 돌출된 전기 배선(35)이 건축물의 천장의 이측까지 뻗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배선(35)은 천장면(23)보다도 상방의 천장 이측으로 인입되어, 천장 이측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전원 및 컨트롤러에 접속된다.
조광 유리(30)의 유리판(31, 32)은 각종 판유리로 구성되어도 된다. 유리로서는 무기 유리와 유기 유리의 양쪽을 포함한다. 무기 유리로서는, 소다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 무알칼리 유리, 석영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판유리로서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화 유리판을 사용해도 된다. 강화 유리판으로서는, 풍냉 강화법이나 화학 강화법에 의해 얻어지는 강화 유리판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즉, 유리판(31, 32)은, 유리 소재인 것과는 상관없이, 조광 기능 재료(33)를 양면으로부터 끼움 지지할 수 있고, 창 유리의 역할을 달성할 수 있는 투명 면재이기만 하면, 각종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창 유리의 역할이란, 예를 들어, 투명체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 일광을 받아들일 수 있을 것, 차열 효과를 가질 것 등이다. 이러한 창 유리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기만 하면, 유리판(31, 32)의 재질은 따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유리판(31, 32)에는, 용도에 따라서 각종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31, 32)의 표면에는 Low-E막이 코팅되어 있어, 차열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때, 유리판(31, 32) 자체에 복층 유리가 사용되고, 스퍼터링으로 Low-E막을 성막하고, 밀봉된 복층 유리의 내측면에 Low-E막이 성막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해 Low-E막이 성막된 유리판(31, 32)을 사용해도 된다. 스퍼터링에 의해 성막된 Low-E막은, 건조 공기 중에서의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유리판(31, 32)으로서 복층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CVD에 의해 성막된 Low-E막은, 대기 중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고, 그대로 1매의 유리 등을 포함하는 유리판(31, 32)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변 프레임체(40)는 전기 배선(35)을 덮음과 함께, 조광 유리(30)의 상변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변 프레임체(40)는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와, 커버 부재(43)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보다도 실내측의 걸림 결합부(45)에서 걸림 결합하고, 고정 부재(42)와 커버 부재(43)는, 역시 조광 유리(30)보다 실내측의 걸림 결합부(46, 47)에서 각각 걸림 결합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41)는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41)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면(20)에 밀착하여 마련되는 기부(41a)와, 고정면(20)으로부터 수직으로 하방으로 연장된 외측 규제부(41b)를 갖는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져도 된다. 기부(41a)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사(80)로 고정면(20)에 체결 고정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외측 규제부(41b)도 고정되어,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41)는 예를 들어, 조광 유리(30)의 상변을 따라서, 소정 길이 연장된 구성으로 해도 되고, 1피스만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2피스 이상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조광 유리(30)의 상변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관통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베이스 부재(41)를 관통 부재로서 구성하면, 안정적으로 조광 유리(30)를 지지할 수 있음과 함께,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실외측으로부터 덮어서 숨길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창(10)의 시일성이 낮은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도 갖는다. 한편, 베이스 부재(41)를 피스상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베이스 부재(41)는 단면이 L자 형상을 갖고, 기부(41a) 및 외측 규제부(41b)를 구비하는 한, 용도에 따라서 각종 길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측 규제부(41b)의 선단에 완충재(60)가 마련되고, 외측 규제부(41b)가,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완충재(60)를 통하여 규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조광 유리(30)의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외측 규제부(41b)와 조광 유리(30)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완충재(60)에 가볍게 압박하도록 조광 유리(30)를 설치한 쪽이, 조광 유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완충재(60)를 마련하는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완충재(60)는 탄성을 갖는 각종 재료로부터 사용되어도 되는데, 예를 들어, 실리콘을 사용해도 되고, 고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완충재(60)로서, 가스킷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41)는 조광 유리(30)의 상변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기 때문에, 상변 외측 규제 부재로 칭해도 된다. 외측 규제부(41b)는,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의 상변 부근의 위치에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조광 유리(30)의 상변 자체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고정 부재(42)는 베이스 부재(41)와 걸림 결합부(45)에서 걸림 결합하고, 조광 유리(30)를 실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즉,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는 점에서, 상변 내측 규제 부재라 칭해도 된다.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마련되고,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로 조광 유리(30)를 끼움 지지하여 고정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조광 유리(30)에 접촉하여 마련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조광 유리(30)와 다소의 간극을 갖고서 마련되어도 된다. 조광 유리(30)와 다소의 간극을 갖고서 마련된 경우에도,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극의 크기는, 조광 유리(30)의 크기,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해도 되지만, 예를 들어, 0㎜보다 크고 25㎜ 이하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게 20㎜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보다 크고 15㎜ 이하의 범위로 해도 된다.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면을 조광 유리(30)의 대향면에 갖고, 커버 부재(43)가 걸림 결합 가능한 한, 다양한 형상을 갖고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로 조광 유리(30)를 외측과 내측으로부터 집듯이 지지하여, 조광 유리(30)의 상변을 고정 지지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42)와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 사이에는, 완충재(70)가 마련되어도 된다. 고정 부재(42)도,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의 상변 부근의 위치에 완충재(70)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조광 유리(30)의 상변 자체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도 1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로, 조광 유리(30)를 집듯이 하여 지지하고 있다. 조광 유리(30)를 확실하게 보유 지지한다는 관점에서는,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로 조광 유리(30)를 끼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를 완전히 끼움 지지하여 고정할 필요는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고, 조광 유리(30)의 실외측 및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조광 유리(30)를 낙낙하게 지지해도 된다. 여기서, 낙낙하게 지지란, 약간의 조광 유리(30)의 어긋남이나 약간의 전후의 이동을 허용하면서도, 조광 유리(30)가 쓰러지지 않을 정도로 지지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중 창 구조(200)는 신축 시에 설치하는 샤시와 달리, 기존의 창(10)에 대하여 조광 유리(30)를 추가적으로 마련하고, 조광 기능을 부가함과 함께, 다중 창의 구조를 취함으로써, 복층 유리를 마련한 것과 유사한 구조로 하여, 단열성의 향상도 의도하고 있다. 따라서, 완전히 고정한 보수 공사와는 달리, 무너질 우려가 없을 정도로 고정되어 있다면, 의도하는 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다.
커버 부재(43)는 전기 배선(35)을 덮기 위한 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광 유리(30)를 마련하는 경우, 조광 기능 재료(33)에 전압을 인가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전기 배선(35)을 마련해야만 하는데, 조광 유리(30)를 후장착으로 설치하는 경우, 전기 배선(35)이 벗겨져버려, 외관상의 미관을 손상시켜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에 있어서는, 전기 배선(35)을 덮는 커버 부재(43)를 마련하고 있다. 커버 부재(43)로 전기 배선(35)을 덮은 상태에서 건축물의 천장면(23)에 구멍을 뚫고, 전기 배선(35)을 통하여 천장면(23)의 이측의 전원 및 컨트롤러와 접속함으로써, 조광 유리(30)를 후장착하는 것에 의한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43)는 실내측에 수평으로 뻗음과 함께, 수직 상방으로 뻗어 전기 배선(35)을 덮고, 전기 배선(35)이 천장 이측으로 뻗는 부분을 덮어 숨기고 있다. 이와 같이, 간소한 구성이면서, 기존의 창(10)에 대하여 후장착함으로써 부가되는 조광 유리(30)의 전기 배선(35)을 확실하게 덮어 숨길 수 있다.
커버 부재(43)는 조광 유리(30)보다도 실내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1)는 실내의 고정면(20)에 나사(80)에 의해 고정되는데, 고정 부재(42)는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 부재(42)측에 전기 배선(35)을 연장시키는 구성쪽이 배선 공사의 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전기 배선(35)을 조광 유리(30)보다도 내측으로 연장 돌출시키고, 커버 부재(43)도 조광 유리(30)보다도 실내측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부재(43)는 전기 배선(35)이 천장면(23) 내로 인입되는 부분도 덮기 때문에, 커버 부재(43) 자체에 전기 배선(35)을 통과시키는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점에서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의장상 우수한 외관을 갖는다.
또한, 커버 부재(43)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 부재(42)와 걸림 결합부(46, 47)에 있어서 걸림 결합하여 마련되어도 된다. 조광 유리(30)의 설치는, 건축 업자 또는 창 설치 업자가 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기 배선(35)의 배선 공사는 전기 공사 업자가 많다. 즉, 서로 다른 업자가 설치 공사와 배선 공사를 행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샤시의 소정 부분에 전기 배선을 수납하는 구성에서는, 샤시의 설치와 전기 배선의 설치를 동시에 행할 필요가 있지만, 양자를 동시에 행하고자 하면, 두 업자의 시간을 맞출 필요가 있어, 제약이 커져버린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에 의하면, 조광 유리(30)의 설치를 먼저 행하고, 그 후, 전기 공사 업자가 편한 때에 배선 공사를 행할 수 있다. 즉, 조광 유리의 설치는 베이스 부재(41)와 고정 부재(42)만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그 후, 전기 공사 업자가 편한 때에, 전기 배선(35)의 배선 설치와, 커버 부재(43)의 장치만을 행하면, 다중 창 구조(200)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에 의하면, 시공 공사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41), 고정 부재(42) 및 커버 부재(43)를 걸림 결합 조립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광 유리(30)를 사용한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단, 베이스 부재(41), 고정 부재(42) 및 커버 부재(43)가 걸림 결합 조립 가능한 것은 필수는 아니며, 최종적으로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기만 하면, 접합이나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버 부재(43)의 고정 부재(42)와의 걸림 결합부(47)의 하방에는, 수평으로 조광 유리(30)를 향하여 뻗어 있는 수평부(43a)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완충재(70)를 하방으로부터 덮어서 미관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다. 수평부(43a)를 마련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조광 유리(30)의 하변에는 하변 프레임체(50)가 마련된다. 하변 프레임체(50)는 조광 유리(30)의 하변을 지지한다. 하변 프레임체(50)는 상변 프레임체(40)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상의 형상을 갖고, 실외측과 실내측으로부터 집듯이 하여 조광 유리(30)의 하변을 지지한다. 하변 프레임체(50)는 베이스 부재(51)와, 고정 부재(52)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51)는 조광 유리(30)의 하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이스 부재(51)는 고정면(21)에 밀착 고정되는 기부(51a)와, 기부(51a)로부터 수직으로 상방으로 뻗는 외측 규제부(51b)를 갖고,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베이스 부재(51)는 상변 프레임체(40)의 베이스 부재(41)와 약간 형상은 상이하지만, 베이스 부재(41)와 마찬가지로 L자형의 형상을 갖고, 조광 유리(30)의 외측으로의 이동을 외측 규제부(51b)로 규제하고 있는 점에서, 거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그 의미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51)를 하변 외측 규제 부재라 칭해도 된다. 또한, 기부(51a)가 하방으로부터 조광 유리(30)를 지지하고 있는 점에서, 상변 프레임체(40)의 기부(41a)와 약간 상이하지만, 나사(80)에 의해 고정면(21)에 체결 고정되어, 외측에서 연직 상방으로 뻗는 외측 규제부(51b)를 지지하고 있는 점에서 상변 프레임체(40)의 기부(41a)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변 프레임체(40)의 외측 규제부(41b)와 마찬가지로, 외측 규제부(51b)의 선단에는 완충재(60)가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외측 규제부(51b)도,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의 하변 부근의 위치에 완충재(60)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조광 유리(30)의 하변 자체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고정 부재(52)는 조광 유리(30)의 하변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며, 상변 프레임체(40)의 고정 부재(4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고정 부재(52)는 형상이 L자형을 갖는 점에서, 상변 프레임체(40)의 고정 부재(42)와 상이하지만, 베이스 부재(51)와 걸림 결합부(53)에서 걸림 결합하고, 조광 유리(30)의 하변을 내측으로부터 고정하고 있는 점에서, 고정 부재(4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고정 부재(52)의 선단에도 완충재(70)가 마련되고, 완충재(70)를 통하여 탄성적으로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을 고정 지지해도 된다. 또한, 고정 부재(52)도,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의 하변 부근의 위치에 완충재(70)를 개재하여 접촉하고 있으면 되고, 조광 유리(30)의 하변 자체에 접촉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조광 유리(30)의 하단과, 베이스 부재(51)의 기부(51a) 사이에는, 세팅 블록(90)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조광 유리(30)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세팅 블록(90)은 조광 유리(30)를 지지 가능한 강도를 가지면, 각종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세팅 블록(90)은 조광 유리(30)의 하단을 따라, 2피스 마련되는 구성이 조광 유리(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지만, 1피스만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3피스 이상 마련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하변 프레임체(50)도, 상변 프레임체(40)와 마찬가지로, 조광 유리(30)의 하변을 완전히 고정할 필요는 없고, 조광 유리(30)의 하변 외측 및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조광 유리(30)가 전도되거나, 대폭 어긋나거나 하지 않도록, 낙낙하게 조광 유리(30)의 하변을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베이스 부재(41, 51), 고정 부재(42, 52) 및 커버 부재(43)는 조광 유리(30)를 지지 가능한 강도를 갖기만 하면, 각종 재료로 구성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변 프레임체(40) 및 하변 프레임체(50)는 필요한 강도를 갖는 한, 용도에 따라서 각종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변 프레임체(50)에는, 상변 프레임체(40)에 마련되어 있었던 커버 부재(43)에 대응하는 부재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조광 기능 재료(33)는 외측의 1변에서 전기 배선(35)과 접속하고 있으면 되므로, 상변에 있어서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과 접속하고 있지만, 하변에 있어서, 바닥의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전기 배선(35)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고, 좌변이나 우변으로부터 천장이나 바닥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전기 배선(35)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변 프레임체(40)에만 커버 부재(43)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전기 배선(35)이 바닥의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커버 부재를 하변 프레임체(50)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조광 기능 재료(33)의 좌변이나 우변으로부터 천장이나 바닥으로 연장 돌출되도록 전기 배선(35)이 마련되는 경우, 전기 배선(35)이 덮이도록 커버 부재를 연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일례를 실내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상변 프레임체(40)의 커버 부재(43)와, 하변 프레임체(50)의 고정 부재(5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상변 프레임체(40)의 베이스 부재(41)는 조광 유리(30)의 실외측의 면의 상변의 전체를 관통 부재로서 덮고 있지만, 고정 부재(42)는 부분적으로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의 상변을 덮고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상변측에 2개의 고정 부재(42)가 마련되고, 조광 유리(30)의 상단 부근의 2군데를 실내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34)는 조광 유리(30)의 상면의 1군데에 마련되므로, 그 부분을 고정 부재(42)로 덮지 않도록 구성하면,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은 고정 부재(42)에 덮이지 않고 노출된 상태로 되어, 액세스가 매우 용이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전기 배선(35)을 천장면(23) 내로 끌어오는 배선 공사를 행하고, 배선 공사가 종료되고 나서 커버 부재(43)로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덮도록 하면, 커넥터(34)나 전기 배선(35)이 노출되지 않고,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43)는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만을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베이스 부재(41)와 마찬가지로, 조광 유리(30)의 상변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의장상의 관점에서는, 상변 전체를 덮는 구성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광 유리(30)의 상단부로부터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는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덮지 않는 위치에 고정 부재(42)를 마련하고, 고정 부재(42)는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면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면,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에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되어, 배선 공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광 유리(30)가 설치되고 나서 독립적으로 배선 공사를 행할 수 있어, 배선 공사의 일정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광 유리(30)의 하변은, 하변 프레임체(50)에 의해 실외측의 면이 지지되어 있다. 하변 프레임체(50) 중, 베이스 부재(51)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조광 유리(30)를 고정할 때에는, 고정 부재(52)도 마련된다. 고정 부재(52)는 조광 유리(30)의 하변의 실내측의 면의 이동을 규제 가능한 한, 각종 위치에 마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변 프레임체(40)의 고정 부재(42)에 대응하도록 2군데에 마련되어도 되고, 조광 유리(30)의 폭 방향의 양단 2군데에 마련되어도 된다.
고정 부재(42, 52)는,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함과 함께, 조광 유리(30)가 전도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기만 하면, 1점만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도 되고, 2점 이상의 복수점을 지지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상변 프레임체(40)의 고정 부재(42)는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덮지 않는 영역을 연속적으로 1개로 덮는 구성이어도 되고, 하변 프레임체(50)의 고정 부재(52)는 조광 유리(30)의 하변의 폭 방향의 전체를 관통 부재로서 덮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특히, 커버 부재(43)가 조광 유리(30)의 폭 전체를 덮는 구성일 경우에는, 하변 프레임체(50)의 고정 부재(52)도 조광 유리(30)의 폭 전체를 덮는 관통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쪽이, 상하의 밸런스가 잡혀서 의장상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41, 51)도, 도 2에 있어서는 조광 유리(30)의 폭 방향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폭 방향 전체를 덮는 구성은 아니어도 되고, 몇군데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조광 유리(30)를 지지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단, 실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노출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의장상의 관점에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41)를 관통 부재로 구성하여 조광 유리(30)의 상변의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하는 쪽이 바람직하고, 베이스 부재(51)도 상측의 베이스 부재(41)에 맞춰서 관통 부재로서 조광 유리(30)의 하변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블라인드 등이 수납되어 있는 블라인드 박스 내에 설치해도 된다. 기존의 창(10)의 내측을 덮는 블라인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블라인드를 수납하는 블라인드 박스가 천장면(23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블라인드 박스는, 통상, 깊이 폭이 10㎝ 내지 20㎝ 정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베이스 부재(41)로부터 커버 부재(43)까지의 상변 프레임체(40)의 깊이 폭이 10㎝ 미만이고, 블라인드 박스에 상변 프레임체(40)를 수납할 수 있다. 블라인드 박스는, 천장면(230)에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오목부 내에 상변 프레임체(40)를 수납할 수 있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중 창 구조(200)의 설치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상변 프레임체(40) 자체를 블라인드 박스 내에 수납할 수 있어, 의장상 우수한 미관을 갖는다. 또한, 조광 유리(30)는 블라인드 등의 역할을 전기적으로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치 장소로서도 기능 및 목적에 따른 배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블라인드 박스 내에 상변 프레임체(40)를 마련하는 경우, 커버 부재(43)를, 하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수평 부분만으로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에 의하면, 기존의 창(10)과는 별개 독립적으로,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이라는 조광 기능 재료(33)에의 전압 인가에 필요한 배선을 숨기면서 조광 유리(3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우수한 미관을 유지하면서, 최첨단의 조광 유리(30)를 기존의 건축물에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조광 유리(30)의 설치와 전기 배선(35) 등의 배선 공사도 별개로 행할 수 있고, 시공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창(10)의 내측에 마련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복층 유리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창(10)의 기존 유리(11)와의 기밀성, 밀폐성은 종래의 복층 유리 구조보다는 갖고 있지 않지만, 간편한 구조이며 기존의 창(10)의 내측에 장치되어, 복층 유리에 근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다중 창 구조(200)에 의해, 기존의 창(10)만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차열 효과를 높일 수 있어, 복층 유리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중 창 구조(200)는 기존의 창(10)에 접촉하지 않고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존의 창(10)의 강도, 내구성에 관계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유리(11)에의 접착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양생의 시간이나 노동력이 불필요해서, 간편하게 설치의 시공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조광 유리(30) 자체가, 투과성, 차광성 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통상의 복층 유리보다도 우수한 조정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는 종래의 복층 유리 구조보다 기밀성, 밀폐성을 따지지 않는 대신, 장착 설치의 간편성, 분리의 용이성 등이 우수하고, 강도가 약한 기존 유리(11)를 사용하고 있는 중진국의 기존의 창(10)에도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중진국의 기존의 창(10)에 최첨단의 조광 유리(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신축에서 조광 유리(30)를 도입하지 않은 경우에도, 후장착으로 그 이익을 향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일례의 횡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조광 유리(30)가 1매로 구성되고, 세로 프레임(110)을 마련한 구성의 다중 창 구조(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110)은 측방의 고정면(벽면)(22)에 나사(80)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세로 프레임(110)은 베이스 부재(41, 51)와 마찬가지로 L자 형상을 갖고 있지만, 측방에는 고정 부재(42, 52)를 마련하지 않기 때문에, 기부(111)가 1매의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걸림 결합부(45, 53)를 갖지 않는 점에서, 베이스 부재(41, 51)와 상이하다. 또한, 조광 유리(30)의 측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외측 규제부(112)가 마련되고, 규제부(112)에 완충재(60)가 마련되어 있는 점은 베이스 부재(41, 51)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조광 유리(30)의 측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연직 방법으로 뻗는 세로 프레임(110)을 마련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연속 설치의 경우의 일례의 횡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조광 유리(30)가 2매로 구성되어 있고, 2매의 조광 유리(30)가 중앙 부근에서 에지 커버재(1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도 4는, 도 2에서 도시한 양태의 횡단면도에 대응한다. 에지 커버재(120)는 2매의 연속하는 조광 유리(30)의 간격을 소정 간격, 예를 들어 10㎜ 정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양자를 연결한다. 조광 유리(30)가 연속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에 에지 커버재(120)를 사용함으로써, 연속되는 2매의 조광 유리(30)의 밀폐성을 유지하면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기타의 구성 요소는 도 3과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의 베이스 부재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베이스 부재 장착 공정에 있어서는, 고정면(20, 21)에 각각 베이스 부재(41, 51)가 장착된다. 베이스 부재(41, 51)의 장착은,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41, 51)의 기부(41a, 51a)가 나사(80)에 의해 고정면(20, 21)에 각각 체결 고정됨으로써 장착된다. 또한, 기부(41a, 51a)에는, 나사(80)가 관통하는 구멍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고정면(20, 21)에의 나사 결합 체결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41, 51)의 선단에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완충재(60)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41, 51)가 장치되는 위치는, 기존의 창(10)보다도 내측의 조광 유리(30)를 설치하려고 하는 위치이다. 베이스 부재(41, 51)는, 기존의 창(10)의 기존 샤시(12)와는 이격하여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의 조광 유리 적재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광 유리 설치 공정에 있어서는, 조광 유리(30)를 실내측으로부터 베이스 부재(41, 51)에 접촉시키도록 하여 적재한다. 그 때, 필요에 따라, 하변 프레임체(50)의 베이스 부재(51)의 기부(51a) 상에 세팅 블록(90)을 설치하고, 그 위에 조광 유리(30)를 적재한다.
이 단계에서는, 전기 배선(35)은 조광 유리(30)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자연스럽게 늘어뜨린 상태이며,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전기 배선(35)의 선단에는 커넥터(36)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의 고정 부재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 부재 장착 공정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42, 52)가 장치되고, 조광 유리(30)를 실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고정 부재(42, 52)는,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41, 51)와 걸림 결합부(45, 53)에서 걸림 결합함으로써 장착된다. 고정 부재(42, 52)의 선단에는, 완충재(70)가 마련되고, 조광 유리(30)의 유리판(32)에 맞닿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부재 장착 공정에 의해, 조광 유리(30)가 상변 프레임체(40) 및 하변 프레임체(50)에 의해 끼워지도록 하여 고정 지지된다. 단, 고정 지지는, 낙낙한 지지여도 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방의 고정 부재(42)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조광 유리(30)를 지지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고정 부재(42)끼리의 사이에는, 전기 배선(35)을 인출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방의 고정 부재(52)는 관통 부재로서 구성되고, 간극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상방의 고정 부재(42)와 마찬가지로, 간극이 마련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5 내지 도 7의 베이스 부재 장착 공정부터 고정 부재 장착 공정이, 조광 유리 장착 공정을 구성한다. 즉, 조광 유리 장착 공정에 의해, 조광 유리(30)가 기존의 창(10)의 내측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의 배선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선 장착 공정에 있어서는, 배선 공사를 행하고, 조광 유리(30)로부터 연장한 전기 배선(35)을 천장면(23)의 이측의 전원(도시하지 않음)에 통한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는 배선을 행한다. 이러한 배선 공사는, 통상은 배선 공사 업자가 행한다. 배선 공사에 있어서는, 이격하여 마련된 고정 부재(42)끼리의 사이에서, 전기 배선(35)이 인출되어, 천장면(23)의 이측에 마련된 배선의 접속부(도시하지 않음)에 커넥터(36)를 접속한다.
또한, 일단 조광 유리 장착 공정에서 조광 유리(30)가 장착된 후에는 조광 유리(30)는 안정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몇일간 그 상태 그대로 두어도 전혀 문제 없다. 즉, 배선 공사 업자가 올 수 있는 타이밍까지 기다려서 배선 공사를 행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시공 방법의 프레임체 장착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프레임체 장착 공정에 있어서는, 상변 프레임체(40)의 커버 부재(43)가 장치되고, 전기 배선(35)이 커버 부재(43)로 덮인다. 커버 부재(43)의 장치는, 예를 들어, 고정 부재(42)와의 걸림 결합부(46, 47)에 있어서의 걸림 결합에 의해 행하여져도 된다.
커버 부재(43)는 적어도 전기 배선(35)을 덮고, 바람직하게는 관통 부재로서 구성되어서 조광 유리(30)의 실내측의 상변의 폭 전체를 덮는다.
프레임체 장착 공정에 의해, 전기 배선(35)이 덮여서 숨겨진다. 이에 의해, 의장상 우수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조광 유리 장착 공정과 배선 장착 공정을 동시에 행할 필요가 없고 독립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체 장착 공정을 종료한 후에는 의장상 우수한 외관을 갖고서 조광 유리(30)를 기존의 건축물에 장착할 수 있어, 용이하게 조광 유리(30)를 도입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1)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1)는 상변 프레임체(40a)의 커버 부재(44)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형상과 상이하다. 또한, 다중 창 구조(201)가 마련되어 있는 방의 천장면(23)이 도 1 및 도 5 내지 9에 도시한 방의 천장면(23)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장착 환경과 상이하다. 기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1)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44)의 수평으로 뻗은 수평 커버부(44a)로부터 연직 방향 상방으로 뻗은 연직 커버부(44b)의 길이가,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길어져, 완충 부재(130)를 개재하여 천장면(23)과 접촉하고 있다. 천장면(23) 자체도 제1 실시 형태보다도 높게 되어 있지만, 연직 커버부(44) 및 완충 부재(130)로, 천장면(23)에 접촉할 때까지 연신시키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의 커버 부재(43)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44)를 천장면(23)까지 연장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커버 부재(43)를 천장면(23)까지 연신시킴으로써, 전기 배선(35)을 완전히 덮어 숨길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44)는 반드시 천장면(23)까지 연장시키지는 않더라도, 천장면(23)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커넥터(34) 및 전기 배선(35)을 적절하게 덮을 수 있으면, 커버 부재(44)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장면(23)의 형상, 높이 등에 따라, 커버 부재(44)를 적절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미관을 가지면서 조광 유리(3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구조창의 시공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2)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는, 베이스 부재(510)의 외측 규제부(510b)의 실외측의 면의 하방에 돌출부(510c)가 마련되고, 돌출부(510c)의 하방의 깊이가 있는 오목형 공간에 시일재(140)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베이스 부재(510)의 외측 규제부(510b)의 실외측면의 하방에, 시일재(140)를 보유 지지 가능한 시일재 보유 지지 공간(510d)을 형성하고, 시일재 보유 지지 공간(510d) 내에 시일재(140)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시일재(14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시일재(140)를 가장 외측에 있는 베이스 부재(510)의 하단부에 마련함으로써, 다중 창 구조(202)의 하단부 시일성을 향상시켜, 기존의 창(10)으로부터 빗물 등이 침입해 온 경우에도, 확실하게 방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는, 기본적으로는 밀폐성, 기밀성의 향상은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고, 간편한 다중 창 구조의 설치에 의한 차열성의 향상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시일재(140)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존의 창(10)의 시일 불량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기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와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3)의 일례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3)는 베이스 부재(511)의 하단에 시일재(140)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점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2)와 마찬가지지만, 돌기(511c)가 외측 규제부(511b)의 실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기부(511a)의 외측의 면(511e)이 실내측으로 오목해져서 깊이가 있는 시일재 보유 지지 공간(511d)을 형성하고, 실내측으로 오목해진 시일재 보유 지지 공간(511d) 내에 시일재(140)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점에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2)와 상이하다.
이와 같이, 기부(511a)의 외측면을 실내측으로 오목해지게 하여, 시일재 보유 지지 공간(511d)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다중 창 구조(203)의 하단부에 시일재(14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방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창 구조(200 내지 203)는,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200, 201, 202)와 마찬가지이므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존의 창의 실내측에 조광 유리가 마련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조광 유리 이외에, 배선이 접속된 판상체이기만 하면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 LED 내장 유리, 발열 유리, 블라인드 내장 유리를, 상술한 조광 유리 대신에 사용해도 된다.
태양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2매의 중간막을 기재하여 태양 전지 셀을, 2매의 유리판에 의해 끼움 지지한 접합 유리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LED 내장 유리로서는, 한쪽 유리판의 중공층측의 주면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고, 해당 투명 도전막에 LED가 구비된 복층 유리, 중간막과 투명 도전막을 통하여 LED를 2매의 유리판에 의해 끼움 지지한 접합 유리를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에 통전함으로써 LED가 점등된다.
발열 유리로서는, 유리판의 주면에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막에 통전함으로써 유리 전체면이 발열하기 때문에, 실내를 데울 수 있다.
블라인드 내장 유리로서는, 중공층에 전동 블라인드를 구비한 복층 유리를 들 수 있다.
조광 유리 이외의 판상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고, 또한, Low-E막의 코팅도 조광 유리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청에 2017년 7월 19일에 출원된 기초 출원2017-140043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10: 기존의 창
11: 기존 유리
12: 기존 샤시
13: 멀리언
20, 21, 22: 고정면
30: 조광 유리
31, 32: 유리판
33: 조광 기능 재료
34, 36: 커넥터
35: 전기 배선
40: 상변 프레임체
41, 51, 410, 510 내지 513: 베이스 부재
41a, 51a, 511a, 513a: 기부
41b, 51b, 112, 510b 내지 513b: 외측 규제부
42, 52: 고정 부재
43, 44: 커버 부재
44a: 수평 커버부
44b: 연직 커버부
50: 하변 프레임체
60, 70: 완충재
80: 나사
90, 91: 세팅 블록
110, 110a, 110c: 세로 프레임
120: 에지 커버재
130: 완충 부재
140: 시일재
150: 마그네트 가스킷
200 내지 205: 다중 창 구조

Claims (14)

  1. 기존의 창보다도 실내측에, 해당 기존의 창에 대략 평행하게 마련된 판상체와,
    해당 판상체의 소정 개소에 접속되어서 마련된 배선과,
    해당 배선을 수납하여 덮는 프레임체를 갖는 다중 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는 조광 유리인 다중 창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는 상기 기존의 창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기존의 창과는 독립적으로 마련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판상체를 적어도 1점에서 고정하는 다중 창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개소는 상기 판상체의 상변에 있는 다중 창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외측 규제 부재와,
    상기 판상체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내측 규제 부재를 더 갖고,
    상기 판상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측 규제 부재와 상기 내측 규제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포함되고, 상기 판상체의 상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변 외측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규제 부재는 상기 프레임체에 포함되고, 상기 판상체의 상기 상변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변 내측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체는 상기 배선을 덮는 커버 부재를 갖고,
    상기 판상체의 상기 상변의 적어도 1점은, 상기 상변 외측 규제 부재 및 상기 상변 내측 규제 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는 상기 판상체의 하변의 실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하변 외측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규제 부재는 상기 판상체의 하변의 실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하변 내측 규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규제 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 및 상기 내측 규제 부재는 상기 기존의 창이 마련된 실내에서 고정면을 형성하는 개소에 장착 고정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는 L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부재인 다중 창 구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의 실내측에는, 완충재가 마련된 다중 창 구조.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규제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뻗는 관통 부재로서 구성되고,
    하측에 마련된 상기 외측 규제 부재의 실외측의 하단에는, 돌기 또는 오목 형상에 의해 깊이가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공간에 시일재가 마련된 다중 창 구조.
  13.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의 한쪽 표면 상에는 Low-E막이 코팅되어 있는 다중 창 구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판상체를 상기 기존의 창보다도 내측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판상체 장착 공정과,
    상기 배선을 접속 설치하기 위한 배선 공사를 행하는 공정과,
    상기 배선 공사된 상기 배선을 덮는 상기 프레임체를 장착하는 프레임체 장착 공정을 갖고,
    상기 판상체 장착 공정, 상기 배선 공사를 행하는 공정, 상기 프레임체 장착 공정의 순으로 행하는 다중 창 구조의 시공 방법.
KR1020207001322A 2017-07-19 2018-07-18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2000326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40043 2017-07-19
JP2017140043 2017-07-19
PCT/JP2018/026942 WO2019017393A1 (ja) 2017-07-19 2018-07-18 多重窓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689A true KR20200032689A (ko) 2020-03-26

Family

ID=6501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322A KR20200032689A (ko) 2017-07-19 2018-07-18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WO2019017393A1 (ko)
KR (1) KR20200032689A (ko)
BR (1) BR112020000973A2 (ko)
SG (1) SG11201913725RA (ko)
TW (1) TW201908590A (ko)
WO (1) WO2019017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07521A (ja) * 2019-12-20 2023-01-19 Agc株式会社 配線付板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443077B (zh) * 2021-07-21 2022-04-05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隔音内窗及船舶
IL300356A (en) 2022-12-22 2024-07-01 Clearvue Tech Ltd A window unit for a building or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194U (ko) 1990-03-19 1991-12-09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692Y2 (ja) * 1991-03-27 1997-06-0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透過光調整パネル
JPH0616695U (ja) * 1992-07-31 1994-03-04 タキロン株式会社 可逆式透遮光装置
JPH06186540A (ja) * 1992-12-16 1994-07-08 Ajinomoto Co Inc 調光液晶シートの貼り付け方法
JPH07286481A (ja) * 1994-04-15 1995-10-31 Nibetsukusu Kk ガラス戸用断熱パネル
JPH0811256A (ja) * 1994-07-01 1996-01-16 Affinity Kk 自律応答積層体、その製法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窓
JP3915339B2 (ja) * 1999-09-10 2007-05-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調光ガラス
JP4520580B2 (ja) * 2000-04-21 2010-08-04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閉鎖装置
JP3460987B2 (ja) * 2000-12-26 2003-10-27 株式会社関東技研 ドア開閉装置およびドアシステム
JP2015004167A (ja) * 2013-06-19 2015-01-08 旭硝子株式会社 複層ガラス窓及び複層ガラス窓の組立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9194U (ko) 1990-03-19 1991-1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00973A2 (pt) 2020-07-21
TW201908590A (zh) 2019-03-01
WO2019017393A1 (ja) 2019-01-24
JPWO2019017393A1 (ja) 2020-07-02
SG11201913725RA (en)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747B2 (en) Covering element for bus bar
EP3346071B1 (en) A window assembly
KR20200032689A (ko) 다중 창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20190063146A1 (en) Modular window assembli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modification
US9243442B2 (en) Panelized shadow box
BRMU9102638U2 (pt) estrutura de display transparente
US20070177391A1 (en) Lighting for insulated glazing assembly
EP2687669B1 (en) Method of mounting an insulating glazing panel to a window frame by means of an embedded fitting in its extruded border
US20090199888A1 (en) Sun protection device with angle-selective transmission properties
KR20200099130A (ko) 태양광 발전 통합형 유리 조립체 및 유리 조립체의 스페이서 구조
KR100894575B1 (ko)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커튼월 시스템
CN203037966U (zh) 调光液晶膜的平面结构
KR20130003732U (ko) 고분자 분산형 액정 필름의 평면구조
TW202107171A (zh) 可切換光學裝置及可切換鑲嵌玻璃單元
US20160123000A1 (en) Building envelope solar heat and daylighting control system
KR101586208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회전형 이중외피 시스템
KR101551722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차양 및 난방용 이중외피 시스템
KR101550845B1 (ko) 커튼 월
US20040016186A1 (en) Door or window with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ection associated therewith
JP2011032721A (ja) 採光断熱材の取り付け施工方法及び簡易断熱窓
KR20230038653A (ko) 절연 유리 유닛 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기 연결부 및/또는 연관된 방법
KR20180090786A (ko) 색소 증감 태양 전지를 구비한 태양 전지 모듈, 및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구조물
Rayaz et al. Review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CN217481107U (zh) 亮化中空玻璃结构及建筑幕墙
RU2599606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экра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