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2393A -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393A
KR20200032393A KR1020180111356A KR20180111356A KR20200032393A KR 20200032393 A KR20200032393 A KR 20200032393A KR 1020180111356 A KR1020180111356 A KR 1020180111356A KR 20180111356 A KR20180111356 A KR 20180111356A KR 20200032393 A KR20200032393 A KR 20200032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s
information
lif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463B1 (ko
Inventor
장현미
유기상
박은미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우마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우마정보통신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우마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18011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비스의 메뉴 및 플랫폼과 같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로부터 관리서비스와 메뉴 및 플랫폼을 제공받고, 단지별서버(30)에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실시하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로부터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한전서비스를 제공받는 단지별서버(30); 및 각 세대별 구비되는 단말기(40)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a life friendly service supply system based on home networks}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홈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는 국내 아파트의 설치비율이 60%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아파트의 재개발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그 비율이 증가될 전망에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는 기존의 비디오폰에서 홈오토메이션을 거쳐 홈네트워크로 변모하며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아파트의 출입여부에 대한 통제 및 도어락 등과 연계하여 방문자에 대한 정보 등을 파악하는 기술까지 접목되고 있다.
또한, 별도의 IOT기술을 이용하여 가전제품 및 조명 시설 등에 대한 제어기술까지 접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은 가정 내의 시설에 대한 제어 및 정보 등을 중점으로 하고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 등에 대한 접속 및 생활 주변에 대한 정보 등은 별도의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개별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기술들이 제공 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351호(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2009년 09월 09일 공개)는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을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해 UPnP(Universal Plug and Play), PnP, OSGi Middle Ware 등을 적용하여 구현한 Smart Home Network Management Program 혹은 Package(SHNMP라 칭함)를 닷넷 프레임 장비, 데스크탑 PC, Home Server, Home Pad, Home Station, Set Top Box, IPTV 등등에 설치하고, 상기 제어기기와 SHNMP는 브리지, u-(Smart Home)Gateway, 홈네트워크 기능을 제공하는 PABX(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등이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변환장치와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그리고 모든 스마트 홈 기기들을 통신변환장치인 브리지, u-(Smart Home)Gateway, PABX 중의 하나와 연결하여 u-Smart Home Network를 누구나 손쉽게 구성하는 단계; 리모컨,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과 감성 인식 등의 입력기기를 사용하여 집안, 빌딩 그리고 기타 건물 등에 설치된 모든 홈자동화기기, 홈시큐리티기기, 홈엔터테인먼트기기, 홈헬스케어기기, 홈운동기기, 홈인포메이션기기, 홈센서기기, Telemetering 기기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제어 그리고 시나리오 기반으로 최적화 하는 단계; 유비쿼터스 스마트홈네트워크 구현을 위한 PC나 서버 기반의 스마트 홈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패케이지 구현단계; 및 상기 SHNMP를 기반으로 하여 u-Smart Home Network 및 Ubiquitous 분야의 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u-Smart Home Network Education Package를 구현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들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PC 혹은 서버 기반의 SHNMP 제품을 개발하여 기존 주택 및 건물, 신축주택 및 건물, 다양한 교육기관, 기업 등에 공급함으로 최소의 비용만으로 누구나 스마트홈네트워크 기기들을 쉽게 교환, 설치 및 확장하여 행복하고 안전한 삶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PABX나 다양한 통신변환장치(브리지, u-Smart Home Gateway, 다양한 Gateway 등)로부터 SHNMP가 획득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각 가정은 물론 단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매니지먼트 패케이지를 PC나 서버용으로 개발하여 저렴하게 공급함으로 누구나 소유한 PC에 이프로그램을 깔아 꿈의 스마트 홈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PC용 SHNMP와 통신변환장치를 이용하여 누구나 기존에 살고 있는 주택이나, 연립주택, 빌딩, 학교, 기업체 사옥이나 공장 혹은 아파트 등에 Smart Home Network 기기들을 예산에 따라 한 번 혹은 연차적으로 구입하여 설치하고, 또 쉽게 확장할 수 있다 반면에 기존에 유통 되거나 설치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경우는 그 시스템이 지원하고 있는 기기와 동일한 것이 아니면 바꿀 수도 없고, 또 추가나 확장도 할 수 없다 이 발명을 통해 이러한 제약을 해소함은 물론 쉽고, 값싸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어떠한 기기라도 이 SHNMP를 설치한 건물에는 설치나, 대체 및 확장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컴
퓨터를 모르더라도 리모컨이나 터치스크린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누구나 쉽게 SHNMP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동안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쇼핑 및 음식 주문 등에 대한 수요도 있었고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7559호(홈네트워크 구축을 이용한 온라인 주문 중개 방법, 2005년 10월 10일 공개)는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동네 상점들과 제휴하여 물품에 대한 신뢰성 및 배송 후의 AS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양한 물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동시에 열악한 상점에 대해 경쟁적 증대와 시장성 확보를 통한 매출액을 상승시킬 수 있는 중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홈네트워크가 구축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가정내 가전기기를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해당 물품을 APT별 전용서버를 통해 온라인으로 주문하는 단계와, 가맹점으로 등록된 해당 소비자의 주변상점 중 상기 주문된 물품을 구비하고 있는 상점을 검색하고, 상기 APT별 전용서버를 통해 상기 검색된 상점에 주문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선행기술들은 각각 사용자와 업체간의 연결을 중계하는 정도로 이용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이용에 따른 아파트 세대간 또는 아파트 단지에 대한 인센티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5351호(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2009년 09월 09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23053호(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시스템, 2014년 02월 26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5827호(월패드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주문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2016년 02월 15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이용세대에 대한 인센티브 및 아파트 단지의 이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각 세대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세대별 사용자의 해당지역 이탈 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지역으로 이사 시 종래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홈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비스의 메뉴 및 플랫폼과 같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로부터 관리서비스와 메뉴 및 플랫폼을 제공받고, 단지별서버(30)에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실시하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로부터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한전서비스를 제공받는 단지별서버(30); 및 각 세대별 구비되는 단말기(40)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고, 지역정보서비스는 관공서, 행사축제안내, 위급상황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며, 생활안전서비스는 긴급상황신고, 위급상황통보, 생활안전정보, 픽업서비스가 포함되고,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지역상가 정보, 지역서비스정보 및 확대서비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취합 후 가공하고, 각각의 단지별서버(30)를 통하여 단말기(4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정보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각 단지에 배포되는 불특정 광고전단물,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되는 현수막을 통하여 관리자가 획득하거나,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밀착형서비스(2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또는 단지별서버(3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되며, 상기 정보를 가공하는 것은 단지별 세대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의 종류, 각각의 서비스별로 부여되는 UI를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여 단지별 또는 세대별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광고 또는 홍보와 관련된 정보를 업로드 할 때, 수익에 따른 광고 또는 홍보비용을 적립금의 형태로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적립금은 세대별로 이용 실적에 따라 지급되고, 서비스 재이용시 발생되는 요금의 일부로 사용하거나, 관리비의 일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기부금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세대별로 지급되는 적립금은 적립되는 양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기(40)를 통하여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안내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지별서버(30)는 세대별로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를 통하여 각세대별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 등을 분석하여 그 정보를 세대별단말기(40)로 제공하거나, 세대의 요칭에 따라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은 각세대별, 전기, 수도, 용수, 소각쓰레기, 음식쓰레기 등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특정기간 동안 산출하여 전송하거나, 실시간 누적량을 전송하여 세대별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지별서버(30)에서는 각 세대별 관리비와 관련된 정보 및 고지서비스를 제공하되, 각 세대별로 종이고지서 또는 e-mail고지서 또는 단말기(40)에서 알림형태의 고지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40)는 단지별서버(30),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및 중앙서버(10)로부터 식별정보 획득을 위한 ID를 부여받고, 각각의 세대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지역을 이탈할 경우, 기존에 중앙서버(1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새로 이사가는 세대에 이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비스의 메뉴 및 플랫폼과 같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로부터 관리서비스와 메뉴 및 플랫폼을 제공받고, 단지별서버(30)에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실시하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로부터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한전서비스를 제공받는 단지별서버(30); 및
각 세대별 구비되는 단말기(40)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고, 지역정보서비스는 관공서, 행사축제안내, 위급상황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며, 생활안전서비스는 긴급상황신고, 위급상황통보, 생활안전정보, 픽업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지역상가 정보, 지역서비스정보 및 확대서비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취합 후 가공하고, 각각의 단지별서버(30)를 통하여 단말기(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정보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각 단지에 배포되는 불특정 광고전단물,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되는 현수막을 통하여 관리자가 획득하거나,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밀착형서비스(2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또는 단지별서버(3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보를 가공하는 것은 단지별 세대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의 종류, 각각의 서비스별로 부여되는 UI를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여 단지별 또는 세대별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광고 또는 홍보와 관련된 정보를 업로드 할 때, 수익에 따른 광고 또는 홍보비용을 적립금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립금은 세대별로 이용 실적에 따라 지급되고, 서비스 재이용시 발생되는 요금의 일부로 사용하거나, 관리비의 일부로 적용할 수 있으며,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기부금의 형태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대별로 지급되는 적립금은 적립되는 양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기(40)를 통하여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안내 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지별서버(30)는 세대별로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를 통하여 각세대별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 등을 분석하여 그 정보를 세대별단말기(40)로 제공하거나, 세대의 요칭에 따라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은 각세대별, 전기, 수도, 용수, 소각쓰레기, 음식쓰레기 등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특정기간 동안 산출하여 전송하거나, 실시간 누적량을 전송하여 세대별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지별서버(30)에서는 각 세대별 관리비와 관련된 정보 및 고지서비스를 제공하되, 각 세대별로 종이고지서 또는 e-mail고지서 또는 단말기(40)에서 알림형태의 고지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40)는 단지별서버(30),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및 중앙서버(10)로부터 식별정보 획득을 위한 ID를 부여받고, 각각의 세대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지역을 이탈할 경우, 기존에 중앙서버(1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새로 이사가는 세대에 이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40)는 월패드(40a) 및 상기 월패드(40a)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휴대단말기(4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이용세대에 대한 인센티브 및 아파트 단지의 이익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 세대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세대별 사용자의 해당지역 이탈 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지역으로 이사 시 종래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단말기(40)에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판매자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세대별 단말기(40)에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 세대별 단말기(40)에 서비스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판매자와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세대별 단말기(40)에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이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중앙서버(10),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단지별서버(30), 단말기(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40)는 세대별로 설치되는 월패드(40a) 또는 월패드(40a)와 연동되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휴대단말기(40b)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40)는 통상의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단말기(40)는 내산성, 내염기성 및 내구성이 현저히 좋으며, 친환경적인 특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 수지로 된 케이스로 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 CPE(Chlorinated 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MBS)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수지를 혼합한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는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20~50중량부 , 폴리프로필렌(PP) 20~50중량부,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20~50중량부,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 20~50중량부, CPE(Chlorinated Polyethylene) 1~2중량부, EVA(Ethylene Vinyl Acetate) 1~2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MBS)수지 0.5~1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수지 0.5~1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로 이루어진 케이스는 내산성, 내염기성 및 부식에 강한 내구성이 현저히 좋은 기술적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난연성 첨가물을 첨가한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한 난연성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인산, 초산, 흑연, 산화아연이 혼합된 조성물인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난연성 첨가물은 단말기가 폭염 또는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 단말기의 안정적인 운영과 작동을 도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난연성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100중량부에 인산 5~10중량부, 초산 5~10중량부, 흑연 2~5중량부, 산화아연 1~2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난연성 첨가물 0.1~ 5 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수산화 알루미늄은 화염 등으로 가열되면 결정수를 방출하는 특징이 있어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수산화 알루미늄은 화학식 Al(OH)3, 비중 2.423 정도이며 알루미늄의 수산화물로 양쪽성 수산화물이다.
산화아연은 공업약품 ·의약품 ·안료(顔料)로서의 명칭은 아연화(亞鉛華)이다. 백색 안료로서 사용할 때는 아연백(亞鉛白:zinc white)이라고 한다. 가벼운 백색 분말로 녹는점 1,975℃(가압), 1,720℃(상압)이며, 비중 5.47(비결정성), 5.78(결정성)이다. 약 300℃로 가열하면 황색으로 변하지만, 식히면 원래의 빛깔이 된다. 물에는 거의 녹지 않지만, 묽은 산 및 진한 알칼리에는 녹는 양쪽성산화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른 첨가물과 혼합되어 난연성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천연 강화 조성물을 혼합하여 강도 및 내구성을 현저히 증진시킨 고분자 물질 수지를 이용하여 케이스를 제조하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을 혼합하는 경우 케이스의 강도가 높아짐은 물론 케이스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작용을 최소화하여 단말기의 정전기적 에러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폴리에틸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강화 조성물을 0.5 ~ 1.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백복령, 금은화, 백작약, 백지, 고삼, 교맥, 백선피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백복령 100중량부에 금은화 50~150중량부, 백작약 50~150중량부, 백지 50~150중량부, 고삼 50~150중량부, 교맥 50~150중량부, 백선피 50~150중량부를 혼합한 원재료를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물질 수지에 천연 환경 첨가물을 첨가하여 단말기의 고분자 물질 수지의 플라스틱 수지로서의 환경호르몬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이 기술적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폴리에틸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천연 환경 첨가물을 0.1~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환경 첨가물은 삼초, 어성초, 녹차, 방풍, 선퇴, 형개, 천마, 우방자, 생지황을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환경 첨가물은 삼초 100중량부에 어성초 80~120중량부, 녹차 80~120중량부, 방풍 80~120중량부, 선퇴 80~120중량부, 형개 80~120중량부, 천마 80~120중량부, 우방자 80~120중량부, 생지황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 및 천연 환경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0~85%[질량%] 에탄올 800~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 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약 80~150중량부 정도의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천연 강화 조성물은 분말로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중앙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여기서, 관리프로그램은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 제공되는 관리서비스의 메뉴 및 플랫폼 등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세대별 이용실적, 이용패턴, 아파트 관리비 현황 등과 같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는 단지별서버(30)에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는 외부 전산망과 연결되어, 지역상가와 같은 쇼핑업체, 지자체 및 유관기관 및 경찰서, 소방서, 기상청, 행정안전부 등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3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를 포함하는 생활편의서비스와 관공서, 행사축제안내, 위급상황, 및 기타 서비스를 포함하는 지역정보서비스 및 긴급상황신고, 위급상황통보, 생활안전정보, 픽업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생활안전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관공서는 관공서의 위치, 연락처 안내 또는 관공서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행사축제안내는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안내되는 지역별 또는 단지내의 특별행사 등의 정보를 말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 중 긴급상황신고는 화재 등에 따른 119 자동신고, 폭염, 지진 등의 기상상황에 따른 위급상황통보, 노약자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이를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기관에 알릴 수 있거나, 세대에 무단으로 침입하는 도둑 등을 112에 자동을 신고해주는 생활안전정보 및 노약자 등의 거동불편자에 대한 픽업서비스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서, 상기 생활편의 서비스에 제공되는 정보는 지역상가 정보, 지역서비스정보, 확대서비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데, 음식점, 세탁서비스,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마트,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 정보를 지역상가 정보를 통하여 획득하게 되고, 이를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취합 후 가공하고, 각각의 단지별에 맞는 구성을 통하여 단지서버(30)를 통해 단말기(40)로 전송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부동산, 예매 및 예약, 택배, 고장수리 및 기타 서비스 정보는 지역서비스정보로부터 획득하고, 쇼핑몰, 지역특산품, 교통 및 기타 서비스는 추가로 확대서비스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여, 앞선 생활편의 서비스와 같이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취합 후 가공하며, 단지별로 맞는 구성을 통하여 단지서버(30)를 거쳐 각각의 세대별 단말기(40)에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정보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각 단지에 배포되는 불특정 광고전단물,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되는 현수막 등을 통하여 관리자가 획득하거나,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또는 단지별서버(3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 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서비스 정보가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 입력되면, 각각의 단지별서버(30)에 공급하기 전에 각 단지별로 맞춤 정보 형태로 가공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지별 세대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 메뉴의 종류, 각각의 서비스별로 부여되는 UI(User Interface) 등을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여 단지별로 또는 세대별로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본으로 제공되는 단말기인 월패드(40a)와 세대구성원 또는 세대주가 보유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통신단말기(40b)와의 연동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광고 또는 홍보와 관련된 정보를 업로드 할 때, 수익에 따른 광고 또는 홍보비용을 지불하게 되는데, 통상의 적립금의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적립금은 세대별 단말기(40)에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한 실적에 따라 각 세대에 지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대별로 지급되는 적립금은 서비스 재이용시 발생되는 요금의 일부로 사용하거나, 아파트의 경우 선택에 따라 관리비의 일부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전산망에 접속하여 기부금의 형태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립금은 기타서비스의 일종으로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를 통하여 중앙서버(10)에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실시간 전송되어 저장되며, 각 세대별 단말기(40)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내역 및 적립금의 적립이력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적립금의 양에 따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단말기(40)를 통하여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안내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립금이 일정 수준 이상 적립되면,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내용 들을 알림형태로 단말기(40)로 전송하여 세대에서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지별서버(30)는 전통적인 홈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아파트와 같은 경우 공동현관, 경비실, 주차, 세대기기 제어, 및 보안, 방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지별서버(30)는 기타 서비스의 일종으로 세대별로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를 통하여 각세대별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 등을 분석하여 그 정보를 세대별 단말기(40)로 제공하거나, 세대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관리비현황 및 생활패턴은 각세대별 전기, 수도, 용수, 소각쓰레기, 음식쓰레기 등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특정기간 동안 산출하여 전송하거나, 실시간 누적량을 전송하여 세대별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각 세대별 생활패턴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세대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생활패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지별서버(30)에서는 각 세대별 관리비와 관련된 정보 및 고지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데, 각 세대별로 종이고지서 또는 e-mail고지서 또는 단말기(40)에 알림형태의 고지서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기(40)에 알림형태의 고지서를 적용할 경우 온라인 은행서비스와 연동 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납부의 형태의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40)는 각 세대별 설치되는 월패드(40a) 또는 월패드와 연결되는 개인용휴대단말기(40b)로서, 단지별서버(40)를 통하여 제공되는 홈네트워크 서비스와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서 제공하는 확장형 서비스를 단지별서버(30)를 통하여 제공받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40)는 단지별서버(30),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및 중앙서버(10)로부터 식별정보 획득을 위한 ID를 부여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ID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 따른 대구분, 단지별서버(30)에 따른 중구분 및 세대에 따른 소구분의 형태로 부여된다.
예를 들어, 지역별로 배치되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에 부여되는 대구분으로 '대전서구', 단지별서버(30)에 부여되는 중구분으로 '샘머리', 세대에 따른 소구분으로 '2-1202'와 같은 형태로 부여된다.
여기서, 상기 구분은 일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은 기본적인 ID 정보 외에 세대 사용자의 고유 식별부호를 추가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여하게 된다.
이는 세대별 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위한 것으로, 각각의 세대에 거주하는 사용자가 이사 등의 이유로 해당 지역을 이탈할 경우, 기존에 중앙서버(10)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새로 이사가는 세대에 이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이전 데이터를 이관시킬 수 있는 것은 동일한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다른 단지 또는 다른 지역으로 세대 사용자가 이사할 경우에 한하며, 동일한 서비스 외 지역으로 이사할 경우 종래의 정보를 삭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세대별 단말기(40)를 통하여 각각의 세대에서는 기타 서비스의 일종으로 맞춤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지 주변에 개설되는 전통시장이나 한시적으로 개설되는 5일장 등의 판매 정보를 장에 참여하는 상인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장에 참여하는 상인은 외부전산망을 통해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또는 단지별서버(30)에 접속하여 가격 등의 판매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세대 단말기(40)의 요청에 따라 구매예약 및 판매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각세대 구성원의 직장 등의 외부일에 의해, 시간적으로 제약이 따른 5일장 등에서 물건을 구매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0 : 중앙서버
20 :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
30 : 단지별서버
40 : 단말기
40a : 월패드
40b : 개인용휴대단말기

Claims (4)

  1. 홈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와 관리서비스의 메뉴 및 플랫폼과 같은 관리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중앙서버(10);
    상기 중앙서버(10)로부터 관리서비스와 메뉴 및 플랫폼을 제공받고, 단지별서버(30)에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안전서비스 제공 및 관리를 실시하는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
    상기 밀착형서비스 관리서버(20)로부터 생활편의서비스, 지역정보서비스 및 생활한전서비스를 제공받는 단지별서버(30); 및
    각 세대별 구비되는 단말기(40)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배달서비스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고, 지역정보서비스는 관공서, 행사축제안내, 위급상황 및 기타 서비스가 포함되며, 생활안전서비스는 긴급상황신고, 위급상황통보, 생활안전정보, 픽업서비스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편의서비스는 지역상가 정보, 지역서비스정보 및 확대서비스로부터 정보를 획득하여 취합 후 가공하고, 각각의 단지별서버(30)를 통하여 단말기(4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보는 음식점, 세탁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 제공자의 광고 또는 홍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데, 각 단지에 배포되는 불특정 광고전단물,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되는 현수막을 통하여 관리자가 획득하거나, 외부전산망을 통하여 밀착형서비스(2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 하거나, 또는 단지별서버(30)에 서비스 제공자가 접속하여 정보를 업로드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111356A 2018-09-18 2018-09-18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158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56A KR102158463B1 (ko) 2018-09-18 2018-09-18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356A KR102158463B1 (ko) 2018-09-18 2018-09-18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393A true KR20200032393A (ko) 2020-03-26
KR102158463B1 KR102158463B1 (ko) 2020-09-22

Family

ID=6995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356A KR102158463B1 (ko) 2018-09-18 2018-09-18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4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827A (ko) 2004-08-16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 구조
KR20090095351A (ko) 2008-03-05 2009-09-09 조병순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KR20100067921A (ko) * 2008-12-12 2010-06-22 강동우 아이피 홈서버를 활용한 지역 정보 광고 서비스 방법
KR20140023053A (ko) 2012-08-16 2014-02-26 안강석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827A (ko) 2004-08-16 2006-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휠체어 겸용 운전석 시트 구조
KR20090095351A (ko) 2008-03-05 2009-09-09 조병순 Pc나 서버 기반의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매니지먼트 패케이지의 구현방법
KR20100067921A (ko) * 2008-12-12 2010-06-22 강동우 아이피 홈서버를 활용한 지역 정보 광고 서비스 방법
KR20140023053A (ko) 2012-08-16 2014-02-26 안강석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463B1 (ko)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068B1 (en) Extensible framework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haring, comparing, and displaying resource usage data
TW476899B (en) Vending support system for relevant merchandises of living space
CN105210006B (zh) 用于管理需求响应事件的公共事业门户
CN106408466A (zh) 一种智能社区管理系统
US20110035250A1 (en) Ad-Hoc Engagement of Client and Service Provider
CN103873573A (zh) 对应物联网标记的信息发布方法、系统及终端设备
KR102047019B1 (ko)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526556A (zh) 能量的远程计量方法
JP6634141B2 (ja) 住宅内向け決済及び情報通信用の住宅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445839B1 (ko) 미분양 부동산 마케팅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51184B2 (ja) 地域限定サービス網
CA2987238C (en) A system and method for a map-based contract negotiation record
KR102158463B1 (ko) 홈네트워크 기반 생활밀착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Pears et al. Decarbonising household energy use: The smart meter revolution and beyond
KR20070032207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아파트 관리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70032526A (ko) 공동주택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731588B2 (ja) 建築・不動産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981265B1 (ko) 주거지역단위의 다가구주택 관리 시스템
JP4743338B2 (ja) サービスシステム
JP4553068B2 (ja) 利用者限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の提供方法
JP4522484B1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兼チラシ作成システム
TWI383331B (zh) 社區管理互動平台
TW201719526A (zh) 智慧型管理平台
JP4553067B2 (ja) 利用者限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サービス情報の提供方法
JP4506872B2 (ja) 地域限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集線装置、地域限定サービス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