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60A - 피부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60A
KR20200031760A KR1020180110594A KR20180110594A KR20200031760A KR 20200031760 A KR20200031760 A KR 20200031760A KR 1020180110594 A KR1020180110594 A KR 1020180110594A KR 20180110594 A KR20180110594 A KR 20180110594A KR 20200031760 A KR20200031760 A KR 20200031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skin whitening
sunscree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비씨
Priority to KR102018011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760A/ko
Publication of KR20200031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하며,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제공한다.
[화학식 I]

Description

피부미백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본 발명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 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및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멜라노사이트에서 형
성되는 멜라닌 이라는 색소가 피부색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들여지고 있다. 멜라닌은 티로신이 티로시나제에 의해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 도파퀴논, 류코도파크롬, 도파크롬, 5,6-디하이드록시인돌 및 돌-5,6-퀴논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으로 변환되는 산화 과정의 최종 생성물이다. 멜라닌 생합성은 매우 복합한 과정으로 아직까지 멜라닌 합성을 유도하는 정확한 메커니즘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밝혀지지 않고있다.
멜라닌은 유해한 자외선에 대한 자연적 방어 역할을 제공하지만 멜라닌이 잉생산되는 경우 기미, 주근깨 등의 과다 색소침착을 유발한다.
피부 색소 침착을 억제하여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옥타데센다이온산, 공액 리놀레산, 니아신아미드, 하이드로퀴논, 코지산, 글루타치온, 아젤라인산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들이 실제로 미백 제품들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유효 성분들은 불충분한 미백 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제형 제작의 난이성 및 안정성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이다. 콜라겐은세포외 간질에 존재하고,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접착의 지탱, 세포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치유시)의 유도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van der Rest et al., 1990). 이러한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Arthur K. Balin et al., "Aging and the skin", 1989).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계속되면서 피부에서의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보습효과로부터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하는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 흡수에 의한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한편, 콜라겐 합성 촉진하여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들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Cardinale G. et al, Adv. Enzymol., 41, p. 425, 1974),
동물 태반 유래의 백질(JP8-231370),베튤린산(betulini acid)(JP8-208424), 클로렐라 추출물(JP9-40523,JP10-36283) 등이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피부 적용시 자극과 발적 등의 안전성의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거나,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유효성분이 안정하며,
무엇보다도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우수한 주름 개선 활성을 지닌 성분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피부에 안전하고, 제품의 제조 및 보관 과정에서 열, 광, 시간의 경과 등에 의해 활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며, 다양한 제형을 만들기에 적합한 용해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지니고, 무엇보다도 우수한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활성 성분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특성을 갖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활성을 가지며, 피부에 안전하고, 제형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장품제조 및 보관시 안정성을 갖는 유효 성분을 스크리닝하는 과정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콜라겐 합성촉진 활성 및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용해도 및 안정성이 우
수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at00001
미백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미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피부 미백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미백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미백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미백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미백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미백 활성은 우수하나,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미백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미백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미백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미백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기존에 알려진 미백 성분인 알부틴과 비교할때 저농도에서 월등히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낸다. 또한, 친수성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높아 제품의
적용시 휘발성이 낮고, 피부 투과성이 우수하며, 제형화가 용이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광, 열 또는 시간의흐름에 따른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농도로도 미백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기 때문에 피부에
매우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서 미백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피부 미백용 의약 조성물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및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써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백'이라 함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의과다 색소 침착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 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반점 또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
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조성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에 공지의 미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미백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의 미백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
이다. 미백 성분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미백 성분으로서, 알부틴, 데
옥시알부틴, 옥타데센다이온산, 공액 리놀레산, 니아신아미드, 코지산, 글루타치온, 엠브리카닌 A, 엠브리카닌B,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미백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미백 활성, 피부 안전성,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제형화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또한 공지의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낮시간 동안에 사용되는 리브-온 형태의 제품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공지의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 노출에 따른 멜라닌 생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자외선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글리세릴파바,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레이트, 3-(4-메칠벨질리덴)-캄파, 메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시녹세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2-페닐벤즈이미다졸-5-설폰산, 호모살레이트,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
리아진, 디소듐페닐디벤지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폴리실리콘-15(디메치코디에칠벤질말로네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일테트라메칠부틸페놀, 테레프탈리덴디캄퍼
설폰산 및 그 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한 구체예에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일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는 자외선 차단 활성, 피부 안정성, 제형화시의 용이성, 피부에 적용 될 제형의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수, 로션,크림 등의 기초 화장품으로 제형화될 경우에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및 자외선 A 차단등급(Protection grade of UVA, PA)가 다소 낮아도 되므로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는 낮아질 것이며,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선 스크린 제품이나,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으로 제형화될 경우, SPF 및 PA 수치는 높게 설정되어야 하므로 총 조성물 중의 자외선 차단제의 중량%는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주름 개선 성분이 실제 피부에 적용시 우수한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저농도에서 고활성의 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고,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우수하고,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머무를 수 있도록 휘발성이 낮고, 조성물이나 피부 상에서 활성 성분이 안정하게 유지되고, 의약이나 화장품으로의 제형화가 용이하며, 또한 피부에 안전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 중 상기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주름 개선 성분은 흔치 않다. 예를 들어, 몇몇 주름 개선 성분들은 시험관 내 실험 시 저농도에서도 주름 개선 활성은 우수하나, 피부를 투과하여 흡수되는 능력이 떨어져 실제 피부에 적용하기엔 어렵다. 또 다른 주름 개선 성분들은 친수성이 낮아 의약이나 화장품으로 제형화가 어렵다. 또한 몇몇 주름 개선 성분들은 열, 광, 또는 산소에 노출되었을 때 주름 개선 성분이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로 변형되어 피부에 적용하기 전에 이미 주름 개선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의약품 또는 화장품에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으로서 이용될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주름 개선용 의약 조성물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및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의 화합물로써 합성하여 이용하거나,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주름 개선'이라 함은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때 바람직한 주름 개선 효과를 제공할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효량'이라 함은 피부의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이 피부의 주름 생성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 조성물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0.0001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외에 공지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주름 개선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주름 개선 성분의 추가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주름 개선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주름 개선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튤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상의 주름 개선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주름 개선 성분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중량%는 콜라겐 합성 촉진 또는 콜라게나제 억제 활성, 피부 안전성, 화학식 I의 화합물과의 제형화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의약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서 작용하는 피부적으로 허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 할 수 있다. 의약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 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일 경우, 상기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유화제, 비누산, 용매, 착색제, 보존제, 항산화제, 소포제, 항균제, 항재침착제, 효소, 식물 또는 미네랄 오일, 지방,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보존제, 단백질, 실리콘, 용해화제,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왁스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Claims (10)

  1.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화학식 I]
    Figure pat000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알부틴, 데옥시알부틴, 옥타데센다이온산, 공액 리놀레산, 니아신아미드, 하이드로퀴논, 코지산, 글루타치온, 아젤라인산, 엠브리카닌 A, 엠브리카닌 B, 아스코르브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
    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미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미백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로 포함되는 피부 미백용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옥틸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 디벤조일메탄, 옥시벤존, 옥틸트리아존, 멘틸안트라닐레이트, 3,4-메틸벤질리덴 켐퍼 및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트리아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인 피부 미백용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총 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180110594A 2018-09-16 2018-09-16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00031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4A KR20200031760A (ko) 2018-09-16 2018-09-16 피부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594A KR20200031760A (ko) 2018-09-16 2018-09-16 피부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60A true KR20200031760A (ko) 2020-03-25

Family

ID=7000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594A KR20200031760A (ko) 2018-09-16 2018-09-16 피부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7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3316B (zh) 亮肤、防晒、生成维生素d的组合物
KR100638536B1 (ko) 모발 및/또는 두피용 조성물
EP2144590B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17525767A (ja) 加齢皮膚およびしわの処置用および予防用のγ−ジケトン
JP2011516585A (ja) スキンケア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3518033A (ja) 化粧品製剤および/または医薬製剤
US20090137534A1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828241B2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160123753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Rathod et al. Cosmeceuticals and Beauty Care Products: Current trends with future prospects
KR101382112B1 (ko) 편백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030215406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preparations containing aminogaunidine, derivatives thereof or structural analogs thereof
JP2007532521A (ja) 脱色素剤の形の、ニコチン酸またはニコチン酸アミドと関連したスフィンゴイド塩基の使用
WO2013030794A2 (en) Use of substituted pyridines as skin depigmenting compounds
JP2017530975A (ja) 10−ヒドロキシステアリン酸を含む化粧用組成物の使用
KR20120068707A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20068708A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0047497A (ja) 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
KR20150094832A (ko) 여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여주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US20120177710A1 (en) Topically applicable composition for use as a skin bleaching agent
KR20190023651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200031760A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WO2018046243A1 (en) Compounds for reducing cellular melanin content
KR20090131737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