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27A -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27A
KR20200031727A KR1020180110131A KR20180110131A KR20200031727A KR 20200031727 A KR20200031727 A KR 20200031727A KR 1020180110131 A KR1020180110131 A KR 1020180110131A KR 20180110131 A KR20180110131 A KR 20180110131A KR 20200031727 A KR20200031727 A KR 20200031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dm
module
iec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창엽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80110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727A/ko
Publication of KR20200031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6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including wip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05B45/56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involving measures to prevent abnormal temperature of the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구동모듈(LDM: LED Driving Module)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등을 비롯하여,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전기연결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 조명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 조명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이 융통성 있게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The integrated device which manages a LED lamp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엘이디조명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주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 구동모듈(LDM: LED Driving Module)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등을 비롯하여,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전기연결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 조명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 조명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이 융통성 있게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차량용 엘이디조명의 품질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관련기술들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53585호(명칭: 차량 외장용 램프의 LED 어셈블리 모듈)(2015.05.18.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1758호(명칭: 차량 램프용 엘이디 구동 모듈의 기준전압 출력 회로)(2016.02.02.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82828호(명칭: 자동차의 조명장치)(2017.07.17.자 공개) 등에는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관련기술들의 일례가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전/후방에 복수의 엘이디조명들(2)이 구비된 차량(1)에 설치되는 종래의 엘이디조명 제어시스템(10)은 엘이디조명들(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각 엘이디조명들(2)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엘이디 구동모듈(11)(LDM: LED Driving Module)과, 각 엘이디조명들(2), 각 LDM(11) 등과 전기연결라인(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각 엘이디조명들(2), 각 LDM(11) 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테리어 일렉트리컬 센터(12)(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와, 각 엘이디조명들(2), 각 LDM(11), IEC(12) 등과 전기연결라인(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각 엘이디조명들(2), 각 LDM(11) 등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함과 아울러, 와이퍼 구동모터(도시 안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와이퍼(도시 안됨)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13)(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과, IEC와 캔 통신라인(4)을 통해 통신 연결되면서, 차체 체크/제어 역할을 수행하는 바디 체크 모듈(14)(BCM: Body Check Module)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LDM(11)은 각각의 엘이디조명들(2)에 일대일 대응되어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는 바, 이 경우,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LDM(11)의 개수를 엘이디조명들(2)의 배치 개수에 비례하여 대폭 증가시킬 수밖에 업게 되며(예를 들어, 엘이디조명들(2)이 4개 배치될 경우, LDM(2) 역시 4개가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결국, <LDM(11)의 개수 증가에 비례하여, 차량의 제조원가가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 <LDM(11)과 엘이디조명들(2)의 일대일 조립에 따라, 엘이디조명들(2)의 구조, 연결배선의 구조 등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 <엘이디조명들(2)과 LDM(2)의 일대일 조립으로 인해,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이 대폭 저하되는 문제점>, <엘이디조명들(2)과 LDM(2)의 일대일 조립으로 인해, 엘이디조명들(2)의 발열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엘이디조명들(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 등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ELM(13)은 엘이디조명(2)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은 물론, 와이퍼의 구동상태를 제어하는 역할 등도 복합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처럼, ELM(13) 측에서, <엘이디조명들(2)의 전원공급 제어>, <와이퍼의 구동상태 제어> 등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게 될 경우, ELM(13)은 그 배선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을 가지게 되며, 이 상황 하에서, 별도의 조치 없이, IEC(12)와 ELM(13)이 전기연결라인(3)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형성하게 될 경우, 해당 전기연결라인(3) 역시, 필요이상으로 큰 규모의 배선다발 묶음(Wire harness bundle)을 불가피하게 형성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전체적인 차량 디자인 유연성이 저하되는 피해는 물론, 전체적인 와이어 비용이 증가하는 피해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LDM(11), IEC(12), ELM(13) 등은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큰 배선다발 묶음을 가지는 전기연결라인(3)을 통해 서로 복잡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신속한 진단절차를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되며, 결국, 각 구성요소들의 고장여부 및 고장이유(예를 들어, 엘이디조명들(2)의 고장여부 및 고장이유, LDM(11)의 고장여부 및 고장이유, IEC(12)의 고장여부 및 고장이유, ELM(13)의 고장여부 및 고장이유, 각 전기연결라인(3)의 이상여부 및 이상이유 등)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53585호(명칭: 차량 외장용 램프의 LED 어셈블리 모듈)(2015.05.18.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11758호(명칭: 차량 램프용 엘이디 구동 모듈의 기준전압 출력 회로)(2016.02.02.자 공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7-82828호(명칭: 자동차의 조명장치)(2017.07.17.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이디 구동모듈(LDM: LED Driving Module)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등을 비롯하여,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전기연결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 조명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 조명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고, 이를 통해,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이 융통성 있게 현실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전/후방에 복수의 엘이디조명들이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연결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I-LDM과 전기연결패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테리어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와;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IEC와 전기연결패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의 전류 공급상태 및 전압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들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전류/전압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 조명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 조명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 구동모듈(LDM: LED Driving Module)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등을 비롯하여,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을 전기연결패턴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I-LDM,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IEC, 전류/전압 센서들, 통합 컨트롤러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 조명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 조명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을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의 차량 내 배치 패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소속된 통합 컨트롤러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단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 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의 세부적인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100)는 전/후방에 복수의 엘이디조명들(22)이 구비된 차량(21)에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LDM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I-LDM(104)으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104)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종래의 ELM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201)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등을 비롯하여,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전기연결패턴(1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110)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100)는 <엘이디조명들(22)과 전기연결라인(2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I-LDM(104)>,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I-LDM(104)과 전기연결패턴(102)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엘이디조명들(22)로 전원을 공급하는 IEC(103)>,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IEC(103)와 전기연결패턴(102)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의 전류 공급상태 및 전압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들(106)>,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및 전류/전압 센서들(1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여부 진단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11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트롤러(110)는 <인터페이스 모듈(111), 신호연결패턴(102) 등을 매개로 하여, IEC(103)와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IEC(10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공급절차를 제어하는 전원공급 처리모듈(112)>, <인터페이스 모듈(111), 신호연결패턴(102) 등을 매개로 하여, I-LDM(104)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를 제어하는 엘이디조명 구동 처리모듈(113)>, <인터페이스 모듈(111), 신호연결패턴(102) 등을 매개로 하여, IEC(103),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엘이디조명들(22)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IEC(103) 측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해당 IEC(10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정상여부를 진단하고,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전원공급상태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전원 공급상태 진단모듈(114)>, <인터페이스 모듈(111), 신호연결패턴(102) 등을 매개로 하여,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등의 동작수행 상황 하에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온/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고,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모듈(115)>, <인터페이스 모듈(111), 신호연결패턴(102) 등을 매개로 하여, 전류/전압 센서들(106)과 통신을 취하면서, 전류/전압 센서들(106)로 진단용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해당 진단용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류/전압 센서들(106)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발생 여부를 진단한 후,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라인상태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라인상태 진단모듈(116)>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트롤러(110)에는 전원 공급상태 진단모듈(114),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모듈(115), 라인상태 진단모듈(116)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들에 의해 생성 완료된 전원공급상태 진단정보,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정보, 라인상태 진단정보를 수신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완료된 진단정보가 그래픽/표/문자/숫자로 표현된 진단 가이드 프레임(301)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진단 가이드 프레임(301)을 상기 차량(21)에 통신 접속 중인 관리자 정보처리기기(3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진단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117)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트롤러(110)에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캔 통신라인(24)을 통해 연결된 바디 체크 모듈(200)(BCM: Body Check Module)과 통신을 취하면서, 상기 BCM(200)에 의해 생성된 차체 체크/제어 결과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BCM 통신 처리모듈(118)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컨트롤러(110)에는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상기 전기연결라인(23)을 통해 연결된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201)과 통신을 취하면서, 차량(21)에 구비된 와이퍼(도시 안됨)의 구동절차를 제어하는 와이퍼 구동 처리모듈(119)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DM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I-LDM(104)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104)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ELM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201)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등을 비롯하여,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전기연결패턴(1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110)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을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22)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22)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하에서,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100a)는 I-LDM(104)이 IEC(103) 내부에 설치되는 변화된 구성을 취할 수도 있게 된다.
이 경우,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100a)는 <엘이디조명들(22)과 전기연결라인(2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엘이디조명들(22)로 전원을 공급하는 IEC(103)>, <IEC(103)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I-LDM(104)>,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IEC(103)와 전기연결패턴(102)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의 전류 공급상태 및 전압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들(106)>,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22), I-LDM(104), IEC(103),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및 전류/전압 센서들(1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여부 진단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110) 등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서도, <LDM을 한 개로 대폭 축소/통합하여, 복수의 LDM들을 하나의 I-LDM(104)로 구현하고, 이렇게 구현된 하나의 I-LDM(104)이 차량에 구비된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조치>, <ELM의 기능을 조명제어용 및 와이퍼 제어용으로 분할하여, ELM을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및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201)로 나누어 배치시키는 조치>, <상기 엘이디조명들(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등을 비롯하여,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한꺼번에 배치시킨 후, 각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을 전기연결패턴(10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조치>, <하나의 베이스 인쇄회로기판(101) 상에, 상기 I-LDM(104),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105), IEC(103), 전류/전압 센서들(106), 통합 컨트롤러(110) 등이 한꺼번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110)를 통해,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22)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23) 및 전기연결패턴(102)의 이상여부 진단절차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구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구현환경 하에서도, 차량 생산주체 측에서는, LDM의 배치 개수 축소, ELM의 배선다발 규모 축소,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진행 등을 융통성 있게 현실화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LDM의 배치 개수 증가, ELM의 배선다발 규모 증가, 구성요소에 대한 진단절차 진행 불가능 등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각종 이점(예를 들어, 차량 제조원가의 축소 이점, 엘이디조명들(22)의 구조 단순화 이점, 연결배선의 구조 단순화 이점, 램프의 디자인 유연성 상승 이점, 엘이디조명들(22)의 수명 상승 이점, 와이어 비용의 축소 이점,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이상/고장여부 사전 파악 이점 등)을 안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21: 차량
2,22: 엘이디조명
3,23: 전기연결라인
4,24: 캔 통신라인
10: 엘이디조명 제어시스템
11: 엘이디 구동모듈(LDM: LED Driving Module)
12,103: 인테리어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
13: 외장/조명 컨트롤 모듈(ELM: Exterior Lighting control Module)
14,200: 바디 체크 모듈(BCM: Body Check Module)
100,100a: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101: 베이스 인쇄회로기판
102: 전기연결패턴
104: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
105: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106: 전류/전압 센서
110: 통합 컨트롤러
111: 인터페이스 모듈
112: 전원공급 처리모듈
113: 엘이디 조명 구동 처리모듈
114: 전원 공급상태 진단모듈
115: 엘이디 조명 고장 진단모듈
116: 라인상태 진단모듈
117: 진단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
118: BCM 통신 처리모듈
119: 와이퍼 구동 처리모듈
201: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300: 관리자 정보처리기기
301: 진단 가이드 프레임

Claims (6)

  1. 전/후방에 복수의 엘이디조명들이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연결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I-LDM과 전기연결패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테리어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와;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IEC와 전기연결패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의 전류 공급상태 및 전압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들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전류/전압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2. 전/후방에 복수의 엘이디조명들이 구비된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과 전기연결라인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베이스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인테리어 일렉트리컬 센터(IEC: Interior Electrical Center)와;
    상기 IEC 내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상태를 단독으로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엘이디 구동모듈(I-LDM: Integrated LED Driving Module)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IEC와 전기연결패턴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하는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의 전류 공급상태 및 전압 공급상태를 감지하는 전류/전압 센서들과;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며,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IEC,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 및 전류/전압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의 공급절차,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절차, 전원 공급상태의 진단절차, 엘이디조명들의 고장여부 진단절차,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여부 진단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통합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IEC와 통신하면서, 상기 IEC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공급절차를 제어하는 전원공급 처리모듈과;
    상기 I-LDM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통신하면서,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구동절차를 제어하는 엘이디조명 구동 처리모듈과;
    상기 IEC 측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상기 IEC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정상여부를 진단하고,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전원공급상태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전원 공급상태 진단모듈과;
    상기 엘이디조명들, I-LDM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I-LDM 및 조명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의 동작수행 상황 하에서,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온/오프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엘이디조명들의 고장발생 여부를 진단하고,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모듈과;
    상기 전류/전압 센서들로 진단용 제어신호를 출력한 후, 해당 진단용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전류/전압 센서들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전류 감지신호 및 전압 감지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전기연결라인 및 전기연결패턴의 이상발생 여부를 진단한 후, 해당 진단결과가 반영된 라인상태 진단정보를 생성하는 라인상태 진단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 공급상태 진단모듈,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모듈, 또는 라인상태 진단모듈과 통신하면서, 상기 전원공급상태 진단정보, 엘이디조명 고장 진단정보, 라인상태 진단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진단정보가 그래픽/표/문자/숫자로 표현된 진단 가이드 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진단 가이드 프레임을 상기 차량에 통신 접속 중인 관리자 정보처리기기 측으로 전송하는 진단 가이드 프레임 운영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캔 통신라인을 통해 연결된 바디 체크 모듈(BCM: Body Check Module)과 통신하면서, 상기 BCM에 의해 생성된 차체 체크/제어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BCM 통신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컨트롤러는 상기 베이스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전기연결라인을 통해 연결된 와이퍼 제어용 외장 컨트롤 모듈과 통신하면서, 와이퍼의 구동절차를 제어하는 와이퍼 구동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KR1020180110131A 2018-09-14 2018-09-14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KR20200031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31A KR20200031727A (ko) 2018-09-14 2018-09-14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31A KR20200031727A (ko) 2018-09-14 2018-09-14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27A true KR20200031727A (ko) 2020-03-25

Family

ID=7000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31A KR20200031727A (ko) 2018-09-14 2018-09-14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7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547A (zh) * 2020-08-04 2022-02-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配电电路、车身控制器、车辆及其配电控制方法
KR20230146882A (ko) 2022-04-13 2023-10-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20240015831A (ko)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오피리아 가열식 진동 초음파 가습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585A (ko) 2013-11-08 2015-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외장용 램프의 led 어셈블리 모듈
KR20160011758A (ko) 2014-07-22 2016-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엘이디 구동 모듈의 기준전압 출력 회로
KR20170082828A (ko) 2016-01-07 2017-07-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585A (ko) 2013-11-08 2015-05-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외장용 램프의 led 어셈블리 모듈
KR20160011758A (ko) 2014-07-22 2016-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램프용 엘이디 구동 모듈의 기준전압 출력 회로
KR20170082828A (ko) 2016-01-07 2017-07-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9547A (zh) * 2020-08-04 2022-02-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配电电路、车身控制器、车辆及其配电控制方法
CN114069547B (zh) * 2020-08-04 2024-05-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配电电路、车身控制器、车辆及其配电控制方法
KR20230146882A (ko) 2022-04-13 2023-10-2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상기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20240015831A (ko) 2022-07-28 2024-02-06 주식회사 오피리아 가열식 진동 초음파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1368B1 (en)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programmable modules
KR20200031727A (ko) 차량용 엘이디조명 통합 관리디바이스
US8025423B2 (en) LED lighting system for retrofitting an aircraft cabin fluorescent lighting system
EP2657082B1 (en) Lighting unit
CN109417069B (zh) 紧凑型发光二极管的配置装置
JP6452724B2 (ja) エネルギ伝送装置及び搭載電源系統
US5793615A (en) Multiplex control of components and subsystems in motor vehicles
US1077366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WO2012006279A1 (en) Electrical and electronic system having an electrical center for a vehicle
US9150167B2 (en) Vehicle auxiliary light control unit
US11084435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US20120283914A1 (en) Vehicle steering wheel control system having integrated electronic control unit
US10576913B2 (en) Vehicle wire harness
CN104703841A (zh) 负载控制单元
US20160059772A1 (en) Vehicle side mirror
CN1331804A (zh) 识别和指示车辆运行故障的设备
KR102026296B1 (ko) 회로검사기 성능 검사를 위한 와이어 시뮬레이션 시스템
US20070049108A1 (en) Hierarchical cable harness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CN102495243A (zh) 汽车车身控制器的电磁兼容测试负载箱
WO2019180639A1 (en) Failure detection circuit for hybrid turn signal lamps
CN209764117U (zh) 传感器和车辆
US11130505B2 (en) System for illuminating a rail vehicle and rail vehicle
US10220780B2 (en) Lighting module for vehicle
KR101214845B1 (ko) 차량의 통합 램프 제어기
CN109076667B (zh) 用于模拟出自车载电网的负载电流的电路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