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542A - 동축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542A
KR20200031542A KR1020190112795A KR20190112795A KR20200031542A KR 20200031542 A KR20200031542 A KR 20200031542A KR 1020190112795 A KR1020190112795 A KR 1020190112795A KR 20190112795 A KR20190112795 A KR 20190112795A KR 20200031542 A KR20200031542 A KR 20200031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conductor
outer conductor
central
centra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마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9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특성 임피던스를 유지하고,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제 1 내지 제 3 동축 커넥터 (10 ∼ 30) 를 갖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는, 제 2 유전체 (22) 로 유지되어 있는 제 2 축부 (23A) 와,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수용부 (13B) 에 끼워 넣음되는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 (23B)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중심 접촉부 (33B) 와 끼워 맞춤되는 타단측 접촉부 (23C) 를 갖고, 일단측 접촉부 (23B) 가 제 2 축부 (23A) 의 외경보다 크고, 일단측 접촉부 (23B) 와 제 1 외부 도체 (13) 의 제 1 끼워 맞춤부 (11B)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 1 중심 도체 (13) 와 그 주위 사이 및 제 2 중심 도체 (23) 의 제 2 축부 (23A) 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와 정합되고,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끼리의 사이 그리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끼리의 사이가 플로팅 구조를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조립체 {COAXI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동축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춤 접속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일방의 동축 커넥터와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양자의 구조에서 기인하여, 양자의 끼워 맞춤이 그 축선 방향에서의 적절한 위치에서 실시되지 않으면,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특성 임피던스가 소정치로부터 변동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은 접속 상황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의 종래 기술로서 이 특허문헌 1 의 도 4 에 나타나 있는 구조에서는,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와 이것을 유지하는 유전체가 축선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 단면을 갖고,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가 상기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끼워 넣음된 상태에서, 상기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상기 단면에 축선 방향으로 대면하는 플랜지상의 장출부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이와 같은 구조하에서는, 양동축 커넥터의 끼워 맞춤이 축선 방향으로 적정 위치에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면, 상기 장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상기 단면에 있어서의 유전체의 면과 상기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형성된 플랜지상의 장출부의 면 사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간극의 간격이 바뀌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가 변동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특허문헌 1 에서는, 타방의 동축 커넥터의 중심 도체에 플랜지상의 장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그 중심 도체의 접촉면 (외주면) 을 직주상 (直柱狀) 을 이루어 외경이 축선 방향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한 라인 스트레처로 하고, 그 라인 스트레처에 대하여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대방인 상기 일방의 동축 커넥터의 외부 도체의 내주면도 축선 방향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내경으로 함으로써,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간극의 간격이 바뀌어도, 상기 라인 스트레처의 주위의 상기 외부 도체와의 사이의 공기층의 반경 방향 두께를 축선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하여, 특성 임피던스를 소정치로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3266
특허문헌 1 에 의하면, 라인 스트레처가 그 주위의 공기층에 대하여 노정 (露呈) 하는 축선 방향 범위에서는, 상기 축선 방향에서의 간극의 간격이 변동되어도, 상기 공기층의 반경 방향 두께가 축선 방향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하기 때문에 특성 임피던스는 유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이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개재하여 접속되는 2 개의 접속 대상 기기 혹은 부재, 예를 들어 2 개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데에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용도의 경우, 2 개의 접속 대상 기기 혹은 부재는, 단순히 접속 방향이 되는 축선 방향에서만 접속 위치가 소정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경우에는 특허문헌 1 이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적용 가능하지만,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어긋남에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동축 커넥터 조립체가 축선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있어도 특성 임피던스를 소정치로 유지하고, 또한 축선 방향뿐만 아니라,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어긋남에도 대응할 수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가진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제 1 중심 도체가 제 1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1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2 중심 도체가 제 2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2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중심 도체가 제 3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3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3 동축 커넥터를 갖고, 제 1 동축 커넥터에 대하여 제 2 동축 커넥터를 중계하여 제 3 동축 커넥터를 1 개의 축선 방향으로 끼워 맞춤 접속한다.
이러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중심 도체는,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가 축선 방향으로 직상으로 연장되는 통공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외부 도체는, 제 1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1 중심 도체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축선 방향으로 제 1 유전체 그리고 제 1 중심 도체보다 제 2 동축 커넥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일단부에 외감 (外嵌) 하는 제 1 끼워 맞춤부를 갖고, 그 제 1 끼워 맞춤부가 제 1 유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는, 제 2 외부 도체 내에서 제 2 유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2 축부와, 축선 방향으로 제 2 유전체 그리고 제 2 외부 도체보다 제 1 동축 커넥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수용부에 끼워 넣음되도록 제 1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3 중심 접촉부와 끼워 맞춤되도록 제 3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타단측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중심 도체는, 일단측 접촉부의 외경이 제 2 축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 접촉부와 상기 제 1 외부 도체의 제 1 끼워 맞춤부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 1 중심 도체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 및 제 2 중심 도체의 제 2 축부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정합되어 있고, 제 3 동축 커넥터는, 제 3 외부 도체가 제 2 외부 도체의 타단부에 대하여 외감하게 되어 있고,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2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 그리고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가 각각 축선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플로팅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중심 도체 (제 2 동축 커넥터) 의 일단측 접촉부와 그 반경 외방에 위치하는 제 1 외부 도체 (제 1 동축 커넥터) 의 제 1 끼워 맞춤부는, 일단측 접촉부의 축선 방향에서의 노정 범위 (제 1 중심 도체와 제 2 유전체 사이의 축선 방향 간격) 에서는, 축선 방향의 위치에 상관없이 직경이 일정해지기 때문에, 상기 일단측 접촉부의 노정 범위 부분 주위의 공기층의 반경 방향 두께가 일정해지고, 상기 노정 범위의 축선 방향 거리 (상기 축선 방향 간격) 가 바뀌어도 상기 공기층의 두께는 변하지 않고, 그 결과,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1 동축 커넥터 및 제 3 동축 커넥터 사이가 플로팅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특정 임피던스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축선 방향 간격이 바뀌어도 축선 방향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 즉 축선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도 플로팅 특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팅 구조는,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제 1 수용부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의 일단측 접촉부 사이,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외부 도체에 있어서의 제 1 끼워 맞춤부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일단부 사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의 타단측 접촉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 사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타단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의 접촉역이 그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축선 방향 국부 범위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로팅 구조에서는, 접촉역을 축선 방향 국부 범위로 함으로써, 그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접촉역을 형성하는 2 개의 부재를 경사 가능하게 하여 플로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촉역을 형성하는 2 개의 부재의 일방이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1 개 지점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팅홈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슬리팅홈을 형성하는 부재의 탄성 확경에 의해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한 경사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는,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와 협동하여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로크 기구를 형성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크 기구를 형성함으로써 제 3 동축 커넥터와 제 2 동축 커넥터를 일체화하여, 이 제 2 동축 커넥터에 대하여 제 1 동축 커넥터를 자유롭게 삽입 발출하도록 할 수 있고, 제 1 동축 커넥터를 제 2 동축 커넥터로부터 발출할 때에, 제 2 동축 커넥터가 항상 제 3 동축 커넥터측에 머물게 되어, 제 1 동축 커넥터만의 삽입 발출 조작이 확실하게 실시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동축 커넥터는, 제 1 중심 도체가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1 중심 접속부를 갖고, 제 1 외부 도체는,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또한, 제 3 동축 커넥터는, 제 3 중심 도체가 다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3 중심 접속부를 갖고, 제 3 외부 도체는,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3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양회로 기판 사이에서의 3 축의 어느 방향으로도 플로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가 1 개의 커넥터를 이루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도, 플로팅 구조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제 1 동축 커넥터에 대하여 제 2 동축 커넥터를 중계하여 제 3 동축 커넥터를 1 개의 축선 방향으로 끼워 맞춤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중심 도체는,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의 외경이 제 2 축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 접촉부와 상기 제 1 외부 도체의 제 1 끼워 맞춤부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 1 중심 도체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 및 제 2 중심 도체의 제 2 축부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정합되어 있는 것,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 그리고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가 각각 축선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플로팅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제 2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중심 도체의 일단측 접촉부와 그 반경 외방에 위치하는 제 1 동축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외부 도체의 제 1 끼워 맞춤부는, 일단측 접촉부의 축선 방향에서의 제 1 중심 도체와 제 2 유전체 사이의 축선 방향 간격에서의 노정 범위에서는, 축선 방향의 위치에 상관없이 직경이 일정해지고, 상기 일단측 접촉부의 노정 범위 부분 주위의 공기층의 반경 방향 두께가 일정해지는 결과, 상기 노정 범위의 상기 축선 방향 간격이 바뀌어도 상기 공기층의 두께는 변하지 않고,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가 유지되는 것에 더하여,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1 동축 커넥터 및 제 3 동축 커넥터 사이에서 플로팅 구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축선 방향 간격이 바뀌어도 축선 방향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 즉 축선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도 플로팅 특성이 확보된다, 는 효과를 얻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상부 커넥터 실장체와 하부 커넥터 실장체를 접속한 동축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2 개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형태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를, 회로 기판의 도시를 생략한 상태에서 접속 전의 상부 커넥터 실장체의 제 1 동축 커넥터와, 하부 커넥터 실장체로서, 접속되어 있는 제 2 동축 커넥터 및 제 3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제 1 동축 커넥터와 접속 전의 제 2 동축 커넥터 및 제 3 동축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외부 도체, 제 1 유전체, 제 1 중심 도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 제 2 유전체, 제 2 중심 도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2 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축선을 포함하는 면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커넥터의 접속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커넥터가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정규 접속 위치로부터 어긋났을 때의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동축 커넥터 조립체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가지고 있고, 제 1 동축 커넥터 (10) 가 그 상방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 (P1) 에 실장되어 형성된 상부 커넥터 실장체 (I)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로크 상태로 결합하여 제 3 동축 커넥터 (30) 가 하방에 위치하는 다른 회로 기판 (P2) 에 실장되어 형성된 하부 커넥터 실장체 (II)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회로 기판 (P1, P2) 은, 상기 상부 커넥터 실장체 (I) 의 하부 커넥터 실장체 (II) 가 실장되는 영역 이외를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도 1 의 제 1 커넥터 실장체 (I) 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 (P1) 의 도시를 생략하여 제 1 동축 커넥터 (10) 를, 그리고 회로 기판 (P2) 의 도시를 생략하여, 서로 결합한 상태의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제 1 동축 커넥터 (10) 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고, 도 3 은 추가로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사용에 있어서는, 도 3 에 분리하여 나타내는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제 3 동축 커넥터 (30) 중, 제 1 동축 커넥터 (10) 를 회로 기판 (P1) 에 실장하여 상부 커넥터 실장체 (I) 를 형성하고, 한편,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일체적으로 축선 방향 (도면에서 상하 방향) 으로 결합 (도 2 참조) 후에,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다른 회로 기판 (P2) 에 실장하여 하부 커넥터 실장체 (II) 를 형성하거나, 혹은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다른 회로 기판 (P2) 의 실장 후에 제 2 동축 커넥터 (20) 를 제 3 동축 커넥터 (30) 에 결합하여 하부 커넥터 실장체 (II) 를 형성한다.
이하,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순서대로 도 3, 도 4 그리고 도 5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 는, 도 2 그리고 도 3 에 나타낸 제 1 동축 커넥터 (10) 를 각 구성 부재로 분리하여 나타내고, 도 6 은 이들 부재를 조립하여 얻어진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축선을 통과하는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설명에 있어서, 그들 각 구성 부재에는 필요에 따라, 제 1 동축 커넥터 (10) 에 대해서는 「제 1」 을, 제 2 동축 커넥터 (20) 에 대해서는 「제 2」 를, 그리고 제 3 동축 커넥터 (30) 에 대해서는 「제 3」 을 부여하여 서로의 구별을 명확하게 하였다.
제 1 동축 커넥터 (10) 는, 단차 원통상의 금속제의 제 1 외부 도체 (11) 내에 전기 절연재제의 제 1 유전체 (12) 를 개재하여 금속제의 제 1 중심 도체 (13) 를 유지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제 1 외부 도체 (11) 는, 그 제 1 외부 도체 (11) 의 상반부를 이루고, 내부에 상기 유전체 (12) 를 수용 그리고 유지하는 제 1 유지부 (11A) 와, 그 제 1 외부 도체 (11) 의 하반부를 이루고, 상기 제 1 유지부 (11A) 에 대하여 단을 이루어 소직경 원통상으로 형성된 제 1 끼워 맞춤부 (11B) 를 갖고, 그 제 1 끼워 맞춤부 (11B) 의 하단 외주에는 반경 외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플랜지부 (11B-1) 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 개구의 내주에는 테이퍼면 (11B-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제 1 외부 도체 (11) 는,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유지부 (11A) 의 상단에 반경 외방으로 돌출된 사각 외형을 이루는 돌출부 (11A-1) 가 형성되고, 그 돌출부 (11A-1) 에는 둘레 방향 4 개 지점에 오목부 (11A-2) 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 (11A-2) 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볼록부의 상면을 회로 기판 (P1) 에 접면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속부 (11A-3) 로 하고 있다.
제 1 외부 도체 (11) 의 제 1 유지부 (11A) 내에서 유지되어 있는 제 1 유전체 (12) 는, 상기 제 1 유지부 (11A) 의 내면에 접면하는 제 1 피유지 통부 (12A) 와, 상기 제 1 유지부 (11A) 의 상부 위치에서 상기 제 1 피유지 통부 (12A) 로부터 반경 내방으로 장출된 제 1 중심 도체 유지부 (12B) 를 가지고 있다.
제 1 중심 도체 (13) 는, 제 1 유전체 (12) 의 제 1 중심 도체 유지부 (12B) 의 내주면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축부 (13A) 와, 그 제 1 축부 (13A) 로부터 제 2 동축 커넥터 (20) 쪽을 향하여 축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 수용부 (13B) 를 가지고 있다. 제 1 축부 (13A) 는, 제 1 유전체 (12) 의 제 1 중심 도체 유지부 (12B) 에 의해 반경 방향뿐만 아니라 축선 방향 (도면에서 상하 방향) 으로도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축선 방향에서의 중간부 외주면이 환상 오목부 (13A-1) 를 이루고 있다. 제 1 축부 (13A) 의 상면은 회로 기판 (P1) 에 땜납 접속되는 제 1 중심 접속부 (13C) 를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 (13B) 는, 축선 방향으로 제 1 유전체 (12) 의 제 1 피유지 통부 (12A) 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그 제 1 수용부 (13B) 의 외주면과 유전체 (12) 의 제 1 피유지 통부 (12A)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공기층 (A) 을 형성하고 있다. 제 1 수용부 (13B) 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쪽을 향하여 개구하고, 제 1 축부 (13A) 측으로 폐색된 제 1 수용공부 (13B-1) 를 형성하는 통상을 이루고, 그 제 1 수용부 (13B) 는 둘레 방향의 복수 위치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팅홈 (13B-2) 이 형성되어 있어, 반경 방향에서의 탄성 축경 그리고 확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수용부 (13B) 의 개구 가장자리 (도면에서 하단 가장자리) 내면에, 후술하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면 (13B-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도 3, 도 5, 그리고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2 동축 커넥터 (20) 는, 금속제의 제 2 외부 도체 (21), 전기 절연재의 제 2 유전체 (22), 금속제의 제 2 중심 도체 (23) 를 가지고 있다.
제 2 외부 도체 (21) 는, 축선 방향 중간 위치에 형성된 환상의 플랜지 (21A) 의 상방에 상측 끼워 맞춤부 (21B), 하방에 하측 끼워 맞춤부 (21C) 를 갖고, 상측 끼워 맞춤부 (21B) 보다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쪽이 대내경 그리고 대외경이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 (21A) 의 외경은 하측 끼워 맞춤부 (21C) 보다 대직경이다.
상측 끼워 맞춤부 (21B) 는, 상단이 되는 축선 방향 일단, 즉 제 1 동축 커넥터 (10) 측의 단부에 환상 돌기부로서 형성되는 일단측 접촉부 (21B-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일단측 접촉부 (21B-1) 는,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반경 외방을 향하는 볼록 만곡 형상을 이루고, 그 최대 직경이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외부 도체 (11) 에 형성된 제 1 끼워 맞춤부 (11B) 의 내경보다 약간 커져 있다. 상측 끼워 맞춤부 (21B) 는, 둘레 방향의 4 개 지점에서 축선 방향으로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단으로 개구한 슬리팅홈 (21B-2) 이 형성되어 있어, 그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의 반경 방향 탄성 변형 (축경 및 확경) 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일단측 접촉부 (21B-1) 는, 볼록 만곡 형상의 정상부에서의 최대 외경 부분이 축선 방향으로 극히 좁은 국부 범위로서 상기 제 1 끼워 맞춤부 (11B) 의 내면과의 접촉역을 형성한다.
하측 끼워 맞춤부 (21C) 는, 하방을 향하여, 즉 제 3 동축 커넥터 (30) 쪽을 향하여 점차 외경을 크게 하는 테이퍼상의 통상부를 이루고, 그 외주면의 하단에는, 환상 돌기부로서 형성되는 걸림 돌기부 (21C-1)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외주면은 축선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후술하는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외부 도체 (31) 와의 사이에서 축선 방향에서의 좁은 국부 범위에서 접속역을 형성한다.
하측 끼워 맞춤부 (21C) 는, 하단이 되는 축선 방향 타단, 즉 제 3 동축 커넥터 (30) 측의 단부에 환상 돌기부로서 형성되는 걸림 돌기부 (21C-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 돌기부 (21C-1) 는, 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 형상이 반경 외방을 향하는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그 최대 외경이 후술하는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외부 도체 (31) 에 형성된 제 3 걸림부의 내경보다 약간 커져 있다. 하측 끼워 맞춤부 (21C) 는, 둘레 방향의 4 개 지점에서 축선 방향으로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하단으로 개구한 슬리팅홈 (21C-2) 이 형성되어 있어, 그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반경 방향 탄성 변형 (축경 및 확경) 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제 2 외부 도체 (21) 내에는, 제 2 유전체 (22) 가 유지되어 있고, 그 제 2 외부 도체 (21) 는 그 제 2 유전체 (22) 를 개재하여 제 2 중심 도체 (23) 를 유지하고 있다. 그 제 2 중심 도체 (23) 는 제 2 유전체 (22) 에 압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전체 (22) 는, 축선 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플랜지 (22A) 의 상방으로 외경이 그 플랜지 (22A) 보다 소직경의 직원통상의 유지부 (22B), 플랜지 (22A) 로부터 하방으로 외경이 그 플랜지 (22A) 보다 소직경이지만 상기 유지부 (22B) 보다 대직경이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22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전체 (22) 의 내경 (22D) 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동일 직경이고 상기 제 2 중심 도체 (23) 의 후술하는 피유지부 (23A-1) 가 압입되는 데에 바람직한 내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유전체 (22) 의 플랜지 (22A) 는, 축선 방향으로 제 2 외부 도체 (21) 의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와 그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경계가 되는 단부에 축선 방향으로 맞닿는다 (도 6 참조). 제 2 유전체 (22) 의 연장부 (22C) 는 제 2 외부 도체 (21) 의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그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와의 사이에 환상의 공간 (S) 을 형성한다. 그 공간 (S) 은 상기 제 2 외부 도체 (21) 의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탄성 축경을 허용한다.
제 2 중심 도체 (23) 는, 제 2 외부 도체 (21) 내에서 제 2 유전체 (22)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2 축부 (23A) 와, 축선 방향으로 제 2 유전체 (22) 그리고 제 2 외부 도체 (21) 보다 제 1 동축 커넥터 (10) 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수용부 (13B) 의 제 1 수용공부 (13B-1) (도 6 도 참조) 에 끼워 넣음되도록 제 1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 (23) 의 일단부에 형성된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 (23B) 와, 후술하는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중심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3 중심 접촉부와 끼워 맞춤되도록 제 3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 (23) 의 타단부에 형성된 타단측 접촉부 (23C)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2 축부 (23A) 는, 축선 방향에서의 전체 범위에서 제 2 유전체 (22) 에 의해 유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축선 방향으로 그 제 2 축부 (23) 의 범위의 일부에 환상 돌기부로서 형성된 피유지부 (23A-1) 로 제 2 유전체 (22) 의 유지부 (22B) 의 내경 내로 압입됨으로써 유지되어 있다.
일단측 접촉부 (23B) 는 상기 피유지부 (23A-1) 나 제 2 축부 (23A) 보다 외경이 대직경인 직주상을 이루고, 상단은 대략 반구면을 이루어,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수용공부 (13-1) 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일단측 접촉부 (23B) 의 외경은,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수용부 (13B) 가 탄성 변형되어 있지 않은 자유 상태시에 있어서의 제 1 수용공부 (13-1) 의 내경보다 약간 크고, 그 직경 차분에 의해 그 제 1 수용부 (13) 를 탄성 확경시킨다.
타단측 접촉부 (23C) 는 축선 방향으로 제 2 축부 (23A) 로부터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향하여 하방으로 통상을 이루어 연장되고, 그 기부 부근으로부터 하단으로 개구하여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후술하는 제 3 중심 도체를 수용하는 수용공 (23C-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상을 이루는 타단측 접촉부 (23C) 는, 둘레 방향의 4 개 지점에서 하단을 향하여 개구하는 슬리팅홈 (23C-2) 이 형성되어 있어, 반경 방향 탄성 변형 (축경 및 확경) 을 가능하게 하고, 탄성 변형이 없는 자유 상태에서, 하단측의 내경이 상기 제 3 중심 도체의 외경보다 약간 작아져 있다. 그 타단측 접촉부 (23C) 의 하단 내주연에는 제 3 중심 도체의 안내를 위한 테이퍼면 (23C-3)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단측 접촉부 (23C) 의 외주면은 제 2 유전체 (22) 의 내경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고 있어, 타단측 접촉부 (23C) 의 상기 반경 방향 탄성 변형시의 확경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제 2 중심 도체 (23) 는, 일단측 접촉부 (23B) 의 외경이 제 2 축부 (23A) 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 접촉부 (23B) 와 상기 제 1 외부 도체 (11) 의 제 1 끼워 맞춤부 (11B)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 1 중심 도체 (13) 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 및 제 2 중심 도체 (23) 의 제 2 축부 (23A) 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정합되어 있다.
제 3 동축 커넥터 (30) 는, 도 6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제 3 외부 도체 (31), 전기 절연재의 제 3 유전체 (32), 금속제의 제 3 중심 도체 (33) 를 가지고 있다.
제 3 외부 도체 (31) 는, 상기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타단측 접촉부 (23) 를 수용하는 제 3 끼워 맞춤부 (31A) 와, 그 제 3 끼워 맞춤부 (31A) 의 하방으로 제 3 유전체 (32) 를 유지하는 제 3 유지부 (31B) 를 가지고 있다.
제 3 끼워 맞춤부 (31A) 의 외주면은 축선 방향으로 등직경이기는 하지만 내주면은 축선 방향 중간부에서 반경 내방으로 사다리꼴을 이루어 돌출되는 환상의 걸림부 (31A-1) 를 가지고 있다. 그 걸림부 (31A-1) 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끼워 맞춤 개시시에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외부 도체 (21) 의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 (21C-1) 와 축선 방향으로 간섭하고, 상기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의 탄성 축경시에 상기 걸림 돌기부 (21C-1) 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 후에 상기 하측 끼워 맞춤부 (21C) 가 자유 상태로 복귀했을 때에, 상기 걸림 돌기부 (21C-1)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발출 방향으로 서로 걸림되어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발출을 저지하여, 이른바 로크 상태를 유지한다.
제 3 유지부 (31B) 는, 후술하는 제 3 유전체 (32) 를 유지하는 유지공 (31B-1) 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축선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외형을 갖고, 상기 제 3 끼워 맞춤부 (31A) 보다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제 3 유지부 (31B) 는, 그 둘레 방향 1 개 지점에서 바닥면으로 개방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술하는 제 3 중심 도체 (33) 의 제 3 접속부를 수용하는 오목홈 (31B-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상기 제 3 유지부 (31B) 의 바닥면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제 3 외부 접속부 (31B-3) 를 형성하고 있다.
제 3 유전체 (32) 는, 상기 제 3 외부 도체 (31) 의 제 3 유지부 (31B) 에 형성된 유지공 (31B-1) 내에서 유지되어 있고, 그 제 3 유전체 (32) 의 내경에 형성된 제 3 중심 도체 유지부 (32A) 로 후술하는 제 3 중심 도체 (33) 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 3 중심 도체 (33) 는, 상기 제 3 유전체 (32) 의 제 3 중심 도체 유지부 (32A) 로 유지되는 기부 (33A) 와, 그 기부 (33A) 로부터 축선 방향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의 하부에 형성된 타단측 접촉부 (23C) 의 수용공 (23C-1) 에 진입하는 직주상의 제 3 중심 접촉부 (33B) 와, 상기 기부 (33A) 로부터 반경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3 유전체 (32) 를 관통하여, 상기 제 3 외부 도체 (31) 의 제 3 유지부 (31B) 에 형성된 오목홈 (31B-2) 에 수용되는 제 3 중심 접속부 (33C) 를 가지고 있다 (도 3 참조).
상기 제 3 중심 접촉부 (33B) 는, 하단측이 그 제 3 중심 접촉부 (33B) 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으로 되어 있는 상기 제 2 중심 도체 (23) 의 타단측 접촉부 (23C) 의 그 내경에 대하여 축선 방향에서의 국부 범위에서 접촉역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 3 중심 접촉부 (33B) 는, 상기 제 3 외부 도체 (31) 의 오목홈 (31B-2) 내에 있어, 그 제 3 중심 접속부 (33C) 의 바닥면이 회로 기판 (P2) (도 1 참조) 과 접면하여 땜납 실장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제 3 동축 커넥터 (30) 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되고, 기능한다.
먼저, 제 1 동축 커넥터 (10) 를, 제 1 외부 도체 (11) 의 제 1 외부 접속부 (11A-3) 와 제 1 중심 도체 (13) 의 제 1 중심 접속부 (13C) 를 회로 기판 (P1) 에 형성된 각각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으로써, 그 회로 기판 (P1) 에 실장한다.
다음으로,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혹은 끼워 맞춤 전의 상태에서, 다른 회로 기판 (P2) 에 실장한다. 이 실장은 그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외부 도체 (31) 의 제 3 외부 접속부 (31B-3) 와 제 3 중심 도체 (33) 의 제 3 중심 접속부 (33C) 를, 다른 회로 기판 (P2) 에 형성된 각각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으로써 실시된다. 이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의 끼워 맞춤 전에 회로 기판 (P2) 에 실장했을 때에는, 이 실장 후에 제 2 동축 커넥터 (20) 가 제 3 동축 커넥터에 끼워 맞춤된다.
제 2 동축 커넥터 (20) 는, 제 3 동축 커넥터 (30) 에 끼워 맞춤되면, 그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외부 도체 (21) 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 (21C-1) 가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외부 도체 (31) 에 형성된 걸림부 (31A-1) 와의 하방 위치에서 그 걸림부 (31A-1) 와 축선 방향으로 서로 걸림되어, 빠짐이 저지되어 이른바 로크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 (P1) 에 실장된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다른 회로 기판 (P2) 에 실장된 제 3 동축 커넥터 (30) 에 로크 상태로 끼워 맞춤된 제 2 동축 커넥터 (20) 를 끼워 맞춤한다.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외부 도체 (21) 는 그 일단측 접촉부 (21B-1) 가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외부 도체 (11) 의 제 1 끼워 맞춤부 (11B) 의 내면과 접촉하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의 일단측 접촉부 (23B) 가 제 1 중심 도체 (13) 의 제 1 수용부 (13B) 의 내면으로 형성된 제 1 수용공부 (13B-1) 와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회로 기판 (P1) 과 다른 회로 기판 (P2) 은, 상기 제 1 동축 커넥터 (10), 제 2 동축 커넥터 (20) 그리고 제 3 동축 커넥터 (30)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회로 기판 (P1) 과 다른 회로 기판 (P2) 은, 소정 접속 위치로부터 축선 방향 혹은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 즉 회로 기판 (P1, P2) 의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고, 나아가 회로 기판 (P1, P2) 끼리가 상대적으로 기울어지는 것, 즉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축선과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축선, 그리고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축선이 상대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축선 방향 그리고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의 어긋남, 혹은 축선 방향끼리에서의 기울어짐이 발생한 경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이 대응한다.
먼저, 회로 기판 (P1, P2) 끼리의 사이에서 축선 방향에서의 어긋남이 있은 경우에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외부 도체 (21) 의 일단측 접촉부 (21B-1) 가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끼워 맞춤부 (11B) 의 직상의 내면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의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 (23B) 가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중심 도체 (13) 의 제 1 수용부 (13B) 의 내면을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를 해도, 제 1 외부 도체 (11) 와 제 2 중심 도체 (23)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전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 슬라이드하에서는,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는 소정치인 채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회로 기판 (P1, P2) 끼리의 사이에서 반경 방향, 즉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어긋남, 혹은 서로 기울어짐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사이에서, 추가로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상기 회로 기판 (P1, P2) 끼리 사이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의 어긋남, 그리고 기울어짐을 흡수한다.
제 1 동축 커넥터 (10) 의 제 1 외부 도체 (11) 의 제 1 끼워 맞춤부 (11B)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의 일단측 접촉부 (21B-1) 는, 축선 방향으로 국부적 범위에서 접촉역을 형성하고, 그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에 슬리팅홈 (21B-2) 이 형성되어 있는 것,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의 일단측 접촉부 (23B) 를 수용하고 있는 제 1 수용부 (13B) 에 슬리팅홈 (13B-2) 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상측 끼워 맞춤부 (21B) 와 제 1 수용부 (13) 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외력을 받아 탄성 확경하고, 상기 일단측 접촉부 (21B-1) 에 있어서의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사이의 상대적 기울어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외부 도체 (21) 의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끼워 맞춤부 (31A) 의 사다리꼴상의 걸림부 (31A-1) 는 축선 방향으로 국부적 범위에서 접촉역을 형성하고, 그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에 슬리팅홈 (21C-2) 이 형성되어 있는 것, 제 3 동축 커넥터 (30) 의 제 3 중심 도체 (33) 의 제 3 중심 접촉부 (33) 를 수용하고 있는 제 2 동축 커넥터 (20) 의 제 2 중심 도체 (23) 의 타단측 접촉부 (23C) 에 슬리팅홈 (23C-2) 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하측 끼워 맞춤부 (21C) 와 제 3 끼워 맞춤부 (31A) 는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반경 방향의 외력을 받아 탄성 확경하고, 상기 걸림부 (31A-1) 에 있어서의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하여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사이의 상대적 기울어짐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사이,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사이의 각각에서 상대적인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동축 커넥터 (10) 와 제 2 동축 커넥터 (20) 끼리의 사이 그리고 제 2 동축 커넥터 (20) 와 제 3 동축 커넥터 (30) 끼리의 사이가 각각 축선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플로팅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회로 기판 (P1, P2) 과의 사이에서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 어긋남 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 즉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에서의 상대적인 어긋남에 대해서도, 나아가 상대적 기울어짐에 대해서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그리고 설명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가 1 개의 커넥터를 이루고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도,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2 동축 커넥터 사이에서의 어긋남 혹은 기울어짐의 허용에 의해 플로팅 구조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10 ; 제 1 동축 커넥터 23A ; 제 2 축부
11 ; 제 1 외부 도체 23B ; 일단측 접촉부
11A ; 제 1 유지부 23C ; 타단측 접촉부
11A-3 ; 제 1 외부 접속부 30 ; 제 3 동축 커넥터
11B ; 제 1 끼워 맞춤부 31 ; 제 3 외부 도체
12 ; 제 1 유전체 31B-3 ; 제 3 외부 접속부
13 ; 제 1 중심 도체 32 ; 제 3 유전체
13B ; 제 1 수용부 33 ; 제 3 중심 도체
13C ; 제 1 중심 접속부 33B ; 제 3 중심 접촉부
20 ; 제 2 동축 커넥터 33C ; 제 3 중심 접속부
21 ; 제 2 외부 도체 P1 ; 회로 기판
22 ; 제 2 유전체 P2 ; 회로 기판
23 ; 제 2 중심 도체

Claims (7)

  1. 제 1 중심 도체가 제 1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1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2 중심 도체가 제 2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2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중심 도체가 제 3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3 외부 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3 동축 커넥터를 갖고, 제 1 동축 커넥터에 대하여 제 2 동축 커넥터를 중계하여 제 3 동축 커넥터를 1 개의 축선 방향으로 끼워 맞춤 접속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중심 도체는,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를 수용하는 제 1 수용부가 축선 방향으로 직상으로 연장되는 통공상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 1 외부 도체는, 제 1 유전체를 개재하여 제 1 중심 도체를 유지하는 제 1 유지부와, 축선 방향으로 제 1 유전체 그리고 제 1 중심 도체보다 제 2 동축 커넥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일단부에 외감하는 제 1 끼워 맞춤부를 갖고, 그 제 1 끼워 맞춤부가 제 1 유지부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는, 제 2 외부 도체 내에서 제 2 유전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제 2 축부와, 축선 방향으로 제 2 유전체 그리고 제 2 외부 도체보다 제 1 동축 커넥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수용부에 끼워 넣음되도록 제 1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직주상의 일단측 접촉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 3 중심 접촉부와 끼워 맞춤되도록 제 3 동축 커넥터측이 되는 제 2 중심 도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타단측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 2 중심 도체는, 일단측 접촉부의 외경이 제 2 축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측 접촉부와 상기 제 1 외부 도체의 제 1 끼워 맞춤부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제 1 중심 도체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 및 제 2 중심 도체의 제 2 축부와 그 주위 사이의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정합되어 있고,
    제 3 동축 커넥터는, 제 3 외부 도체가 제 2 외부 도체의 타단부에 대하여 외감하게 되어 있고,
    제 1 동축 커넥터와 제 2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 그리고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끼리의 사이가 각각 축선 방향과 반경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플로팅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중심 도체에 있어서의 제 1 수용부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의 일단측 접촉부 사이, 제 1 동축 커넥터의 제 1 외부 도체에 있어서의 제 1 끼워 맞춤부와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일단부 사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의 타단측 접촉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 사이,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의 타단부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 사이의 각각에 있어서의 접촉역이 그 접촉역을 지지점으로 하여 경사를 가능하게 하는 축선 방향 국부 범위에 형성되어 있는 플로팅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역을 형성하는 2 개의 부재의 일방이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1 개 지점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리팅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는,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와 협동하여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로크 기구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동축 커넥터는, 제 1 중심 도체가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1 중심 접속부를 갖고, 제 1 외부 도체는, 상기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1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 동축 커넥터는, 제 3 중심 도체가 다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3 중심 접속부를 갖고, 제 3 외부 도체는,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대하여 땜납 접속되는 제 3 외부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외부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외부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제 2 동축 커넥터의 제 2 중심 도체와 제 3 동축 커넥터의 제 3 중심 도체가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제 2 동축 커넥터와 제 3 동축 커넥터가 1 개의 커넥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112795A 2018-09-14 2019-09-11 동축 커넥터 조립체 KR202000315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72082 2018-09-14
JP2018172082A JP2020047360A (ja) 2018-09-14 2018-09-14 同軸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42A true KR20200031542A (ko) 2020-03-24

Family

ID=6964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795A KR20200031542A (ko) 2018-09-14 2019-09-11 동축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16902B2 (ko)
JP (1) JP2020047360A (ko)
KR (1) KR20200031542A (ko)
CN (1) CN110911909B (ko)
DE (1) DE1020192140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06A (ko) *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동축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10012A (zh) * 2019-03-11 2021-03-01 美商山姆科技公司 阻抗控制的電接觸點
KR102122687B1 (ko) * 2019-11-08 2020-06-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커넥터
KR20210083814A (ko) * 2019-12-27 2021-07-07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163379B1 (ko) * 2019-12-27 2020-10-08 주식회사 기가레인 기판 메이팅 커넥터
DE102020109786A1 (de) * 2020-04-08 2021-10-14 Mts Sensor Technologie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US20220069502A1 (en) * 2020-09-02 2022-03-03 Avx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EP4133556A4 (en) * 2020-09-09 2023-12-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GH FREQUENCY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WITH IT
JP2022186076A (ja) * 2021-06-04 2022-12-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装置
JP2023084215A (ja) * 2021-12-07 2023-06-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組立体
CN114552291A (zh) * 2022-04-01 2022-05-27 东莞市林积为实业投资有限公司 浮动射频连接器
DE102022115926A1 (de) 2022-06-27 2023-12-28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Elektrisches Doppelkontaktelement mit Berührschutz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66A (ja) 1997-02-18 1998-09-02 Toshiba Corp 同軸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002830D1 (de) * 1999-03-02 2003-08-14 Huber & Suhner Ag Herisau Leiterplatten-koaxialverbindung
DE202007008848U1 (de) * 2007-06-25 2007-08-16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axialsteckverbinder
CN101499586B (zh) * 2008-01-30 2011-03-30 瞿金良 快插、自锁型电连接器
JP5083081B2 (ja) * 2008-07-11 2012-11-28 富士通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及び高周波信号伝送方法
CN201247879Y (zh) * 2008-08-27 2009-05-27 宁波市吉品信息科技有限公司 板对板密集安装型射频同轴连接器
JP2010097823A (ja) * 2008-10-16 2010-04-30 Tyco Electronics Japan Kk 同軸コネクタ組立体
BR112012018469A2 (pt) * 2010-01-25 2016-04-12 Huber+Suhner Ag conector coaxial de placa de circuitos
JP4902018B1 (ja) * 2011-11-04 2012-03-21 株式会社木村電気工業 同軸コネクタ及び同軸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02633583U (zh) * 2012-04-06 2012-12-26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射频连接器及其接触件
CN103855561B (zh) * 2013-08-21 2016-07-20 苏州瑞可达连接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CN103474821A (zh) * 2013-09-26 2013-12-25 鲁建文 一种板到板射频同轴连接器的外壳结构
CN203983661U (zh) * 2014-07-11 2014-12-03 中国工程物理研究院核物理与化学研究所 一种实芯射频同轴电缆转接装置
CN204538406U (zh) * 2015-04-17 2015-08-05 深圳金信诺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板间射频同轴连接器
CN106654760A (zh) * 2015-10-30 2017-05-10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浮动盲配射频同轴转接器
DE102017000632A1 (de) * 2017-01-24 2018-07-26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
CN106998021B (zh) * 2017-05-22 2023-01-24 江苏正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
CN206947679U (zh) * 2017-06-16 2018-01-30 福州迈可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抗恒定的浮动型盲插射频同轴连接器
CN108023245A (zh) * 2017-12-15 2018-05-11 谈振新 适合盲配容许插偏的射频同轴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266A (ja) 1997-02-18 1998-09-02 Toshiba Corp 同軸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06A (ko) * 2020-08-26 2022-03-08 주식회사 텔콘알에프제약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214011A1 (de) 2020-03-19
JP2020047360A (ja) 2020-03-26
CN110911909B (zh) 2022-03-22
US20200091665A1 (en) 2020-03-19
CN110911909A (zh) 2020-03-24
US10916902B2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1542A (ko) 동축 커넥터 조립체
JP6550686B1 (ja) 信号コンタクト部およびグラウンドコンタクト部が連動する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JP546223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677372B2 (ja) 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US9502836B2 (en) Socket contact, inter-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6103917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8465328B2 (en) Connector assembly and male-side connector
US9548568B2 (en) Connector with plate and shell
US11346859B2 (en) Contact probe and probe unit
US10024908B2 (en) Probe and contact inspection device
US10044120B2 (en) Connector
US7114975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osition guider
US11005202B2 (en) Connector
US10840642B2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ocket for connector assembly
JP2019110121A (ja)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用のソケットを製造する方法
CN101552388B (zh) 插座连接器
EP1028495A1 (en) Coaxial connector
KR102305453B1 (ko) 전기 연결핀
KR20200002321U (ko) 커넥터
JP2017103143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175850A (ja) テーパー部が形成されたグラウンド部を含む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KR20180077505A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20070010579A (ko) 커넥터 장치
KR20160108041A (ko) 자삽 타입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접속헤더
KR20220022970A (ko) 케이블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