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329A -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 Google Patents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329A
KR20200031329A KR1020180110211A KR20180110211A KR20200031329A KR 20200031329 A KR20200031329 A KR 20200031329A KR 1020180110211 A KR1020180110211 A KR 1020180110211A KR 20180110211 A KR20180110211 A KR 20180110211A KR 20200031329 A KR20200031329 A KR 2020003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ension
fabric
bobb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887B1 (ko
Inventor
옥성영
Original Assignee
옥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성영 filed Critical 옥성영
Priority to KR102018011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8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에서 원사가 방직부로 공급될 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양이 다르더라도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단의 품질을 높여 고품질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21)을 갖는 원사공급부(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방직하기 위한 방직부(130)와,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상기 방직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10)를 포함하는 원단 방직기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축과 체인(122)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20)과; 일측이 상기 스프로킷(20)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프로킷(2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텐션부(30)와; 상기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하며, 균일한 양을 유지하며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베어링부(40)와; 원단의 방직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40)의 하부를 타격하고,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타격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A fabric loom equipped with a tension adjuster for supplying a uniform amount of yarn}
본 발명은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에서 원사가 방직부로 공급될 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양이 다르더라도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단의 품질을 높여 고품질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직기는 섬유의 제조, 가공, 처리에 사용되는 기계 및/또는 장치를 총칭하며, 섬유제품 중에서 직선상의 원사(yarn)를 평면상의 편성(knitted fabrics), 직물(woven fabrics), 부직포(non woven fabrics), 조물(braid fabrics)을 제조하는 편직기와, 원형편기 중에서 주로 의류용 편포를 편성하는 환편기가 있으며, 방적기에서 실을 뽑아 콘(corn)에 권취하는 와인드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직기는 원사가 권취된 보빈에서 원사를 공급받아 편침 혹은 콘에 권취하는 과정을 통해 원사를 유입받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원사가 방직기에 공급될 때에는 공급속도(균일한 양을 공급)와 원사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여야만 고품질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공급속도와 원사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원단의 품질이 떨어져 고품질의 원단을 얻을 수 없고,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상술한 원단 방직기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21)을 갖는 원사공급부(120)와,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방직하기 위한 방직부(130)와,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방직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상기의 원단 방직기에서 원단이 제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원사공급부의 보빈은 4개가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방직부는 공급되는 원사를 설정된 경로를 따라 방직하는데, 제1보빈(121a)에 권취된 원사는 상측으로 직선방향으로 경로가 설정되고, 제2보빈(121b)에 권취된 원사는 상측으로 이동후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3보빈(121c)의 원사와 꼬아지고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3보빈(121c)의 원사는 상측으로 이동후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보빈(121a)의 원사와 꼬아지고 상측으로 이동후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4보빈(121d)에 권취된 원사는 상측으로 이동후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2보빈(121b)의 원사와 꼬아지고 상측으로 이동후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는 방직부에서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원단을 제조하는데, 이때, 제3보빈의 원사는 제1보빈의 원사와 꼬아질 시 제3보빈에 권취된 원사는 다른 보빈에 비해 많은 양의 원사가 필요하고, 또한 이동하는 시간이 다른 보빈에 비해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설정된 경로에 따라 보빈에 권취된 원사는 양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보빈의 회전속도는 달라져 보빈에 권취된 원사는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원사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원사의 장력을 장력조절부에서 조절하여 공급하지만 보빈에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방직부에서 제조된 원단의 품질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에서 원사가 방직부로 공급될 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양이 다르더라도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원단의 품질을 높여 고품질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21)을 갖는 원사공급부(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방직하기 위한 방직부(130)와,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상기 방직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10)를 포함하는 원단 방직기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축과 체인(122)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20)과; 일측이 상기 스프로킷(20)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프로킷(2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텐션부(30)와; 상기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하며, 균일한 양을 유지하며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베어링부(40)와; 원단의 방직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40)의 하부를 타격하고,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타격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서 상기 베어링부(40)는 중심측이 상기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본체(41)와; 상기 베어링 본체(41)의 하부의 중심측에 결합봉(42)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의 양에 따라 상기 타격부(50)와의 유격이 조절되는 유격조절구(43)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상기 베어링 본체(4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부(44)와; 일측이 상기 베어링 본체(41)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타격부(50)에 고정되는 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서 상기 유격조절구(43)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에 따라 상기 유격조절구(43)가 회전하여 상기 타격부(50)가 타격하는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 의하면,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에서 원사가 방직부로 공급될 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양이 다르더라도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원단 방직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원단 방직기에서 원단을 제조시 원사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서 장력조절부가 설치된 방직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서 장력조절부의 베어링부의 베어링 본체와 우격조절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10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21)을 갖는 원사공급부(120)와,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방직하기 위한 방직부(130)와,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방직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원단 방직기(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직기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장력조절부(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장력조절부(10)는 스프로킷(20), 텐션부(30), 베어링부(40), 타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는 것으로, 원사공급부(120)의 보빈(121), 즉, 복수개의 보빈(121)과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되어 프레임(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진다.
스프로킷(20)은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원사공급부(120)의 보빈(121)의 회전축과 체인(122)을 통해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한다.
텐션부(30)는 일측이 스프로킷(20)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스프로킷(20)의 하측에서 프레임(110)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것으로, 스프로킷(20)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회전판(31)과, 회전판(31)의 하측에서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원통형상의 관통구(32)와, 관통구(32)와 이격되어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구(33)와, 일측이 회전판(31)과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구(33)를 관통하여 회전판(31)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텐션구(34)와, 관통구(32)와 고정구(33) 사이에 위치되어 텐션구(34)에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탄성스프링(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어링부(40)는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고, 원사공급부의 보빈(121)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하며, 균일한 양을 유지하며 원사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베어링부(40)는 중심측이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본체(41)와, 베어링 본체(41)의 하부의 중심측에 결합봉(42)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원사공급부의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의 양에 따라 타격부(50)와의 유격이 조절되는 유격조절구(43)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베어링 본체(4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부(44)와, 일측이 베어링 본체(41)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타격부(50)에 고정되는 스프링(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어링 본체(42)는 내륜과 외륜으로 구성되는 볼베어링인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유격조절구(43)는 원사공급부의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에 따라 회전하여 타격부(50)가 타격하는 거리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베어링 본체(4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고,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베어링부(40)는 타격부(50)가 타격하는 유격조절구(43)의 하부를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원사공급부(120)의 보빈(12)의 회전 즉,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의 양에 따라 원사가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며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타격부(50)는 원단의 방직에 따라 베어링부(40)의 유격조절구(43)의 하부를 타격하고,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부(4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프레임(110) 상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이때, 베어링부(40)의 유격조절구(43)를 타격하기 위해 돌출부(51)가 형성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에 의하면,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에서 원사가 방직부로 공급될 시 각각의 보빈에 권취된 원사의 양이 다르더라도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균일한 양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장력조절부
20 : 스프로킷 30 : 텐션부
40 : 베어링부 41 : 베어링 본체
42 : 결합봉 43 : 유격조절구
44 : 복귀부 45 : 스프링
50 : 타격부
100 : 원단 방직기
119 : 프레임 120 : 원사공급부
121 : 보빈 130 : 방직부

Claims (3)

  1.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원사가 권취된 복수개의 보빈(121)을 갖는 원사공급부(120)와,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를 원단으로 방직하기 위한 방직부(130)와,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원사공급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원사가 장력을 가지고 상기 방직부(130)에 공급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10)를 포함하는 원단 방직기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축과 체인(122)을 통해 연결되는 스프로킷(20)과;
    일측이 상기 스프로킷(20) 상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스프로킷(20)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면 상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텐션부(30)와;
    상기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보빈(121)의 회전과 대응되어 회전하며, 균일한 양을 유지하며 원사를 공급하도록 하는 베어링부(40)와;
    원단의 방직에 따라 상기 베어링부(40)의 하부를 타격하고, 원사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타격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40)는 중심측이 상기 텐션부(30)의 끝단에 결합되는 베어링 본체(41)와;
    상기 베어링 본체(41)의 하부의 중심측에 결합봉(42)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의 양에 따라 상기 타격부(50)와의 유격이 조절되는 유격조절구(43)와;
    설정된 시간이 경과 후 상기 베어링 본체(4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부(44)와;
    일측이 상기 베어링 본체(41)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타격부(50)에 고정되는 스프링(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구(43)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빈(121)에 권취된 원사에 따라 상기 유격조절구(43)가 회전하여 상기 타격부(50)가 타격하는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방직기.
KR1020180110211A 2018-09-14 2018-09-14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KR10209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11A KR102099887B1 (ko) 2018-09-14 2018-09-14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11A KR102099887B1 (ko) 2018-09-14 2018-09-14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329A true KR20200031329A (ko) 2020-03-24
KR102099887B1 KR102099887B1 (ko) 2020-04-10

Family

ID=7000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11A KR102099887B1 (ko) 2018-09-14 2018-09-14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444B1 (ko) 2020-11-15 2021-03-26 (주)인암 히팅용융과 원심토출력을 이용한 자동 방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55A (ko) * 2001-03-14 2002-09-19 박세진 경편기의 소극적 경사송출장치
KR20170140934A (ko) * 2016-06-14 2017-12-22 박종용 정경기의 장력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055A (ko) * 2001-03-14 2002-09-19 박세진 경편기의 소극적 경사송출장치
KR20170140934A (ko) * 2016-06-14 2017-12-22 박종용 정경기의 장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887B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887B1 (ko) 균일한 양의 원사를 공급하는 장력조절부를 구비한 원단 제직기
KR101446440B1 (ko) 고무줄끈 제조장치
CN108049006B (zh) 360°全方向弹力织针面料的编织方法及一种针织圆机
US2239378A (en) Knitting machine
JPH0226942A (ja) 編地被覆糸の製造装置
CN107083614B (zh) 包芯呢绒织物编织装置
US2406525A (en) Knitting machine
US3738125A (en) Three-strand knitted yarn
JP3864275B2 (ja) 丸編機
KR20190018458A (ko) 양말 편성방법
TW461926B (en) Strand guide device for braiding machine, particularly rotational braiding machine
KR101213182B1 (ko) 양말 편직기의 합연장치 및 양말 편직 시스템
US2696836A (en) Circular loom
KR102313156B1 (ko) 마스크 끈용 튜블러 편기의 헤드
KR100260591B1 (ko) 다기능 장식사 연사기
EP0385154B1 (en) Mechanical take down device
KR100678520B1 (ko) 보풀 제조 방법 및 그 장치
CN113846416B (zh) 经编机
KR200451069Y1 (ko) 더블 실린더형 환편기용 스팽글 안내장치
US2084770A (en) Knitted strand covering machine
CN108978015B (zh) 一种氨纶纱送纱器
CN106702624A (zh) 一种挑线杆锁止机构及绣花机
TWI672405B (zh) 餵紗裝置和方法
US650641A (en) Chenille-machine.
US311410A (en) Knitt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