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162A -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162A
KR20200031162A KR1020207005510A KR20207005510A KR20200031162A KR 20200031162 A KR20200031162 A KR 20200031162A KR 1020207005510 A KR1020207005510 A KR 1020207005510A KR 20207005510 A KR20207005510 A KR 20207005510A KR 20200031162 A KR20200031162 A KR 2020003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book
precoders
cbsr
group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940B1 (ko
Inventor
세바스찬 팩세
시위 가오
로버트 마크 해리슨
시바 무루가나탄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0003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69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special antenna structures, e.g. cross polarized antennas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73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constraints in layer or codeword to antenna mapping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78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 H04B7/0479Special codebook structures directed to feedback optimisation for multi-dimensional arrays, e.g. horizontal or vertical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9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및 프리코더 선택을 위한 예시의 실시예들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UE(102)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예시의 방법(300)이 제공된다. 그러한 예시의 방법에서, 상기 UE(102)는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gNB와 같은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요소(128)의 제한은 제2요소의 제한에 맵핑되고, 제2요소(130)는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다. 또한, 그러한 예시의 방법은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의 UE(102) 및 네트워크 노드(106)들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측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본 출원은 2017년 8월 11일 출원된 "Enhanced Beam-Based Codebook Subset Restriction Signaling,"으로 명칭된 미국 가출원 제62/544,761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을 위한, 특히 개선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R; New Radio)라고도 하는 5세대(5G)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현재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개발 중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에 사용되는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rank-agnostic) CBSR 접근 방식은 동일한 빔-기반 수량이 모든 랭크에 대한 프리코더의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NR에 직접 재사용할 수 없다. 즉, LTE에서 랭크 3 및 4에 대한 프리코더 코드북은 나머지 랭크와 다른 빔-기반 수량으로 구성된다. 다른 대안은 프리코딩 매트릭스 표시자(PMI)-기반 랭크별 CBSR을 기반으로 프리-LTE 전차원 다중-입력 다중-출력(FD-MIMO) CBSR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LTE에 비해 약 8배 더 많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할 것이다.
NR 코드북은 2-차원 이산 푸리에 변환(2D DFT) 빔들을 공동-위상화(co-phasing)하는데 사용되는 2개의 파라미터(
Figure pct00001
_n 및 θ_p)가 존재하기 때문에, LTE에서의 종래의 코드북과는 다른 일반화된 공동-위상화 조정 동작을 사용한다. 그러한 공동-위상화 동작은 코드북에 사용된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포트의 수에 따라 달라지며, 각기 다른 랭크의 코드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동-위상화 및 랭크의 코드북 제한을 위해 NR에 새로운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개선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및 프리코더 선택을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기술은 제1요소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되는 제1 코드북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상기 제1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는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예시의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E는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예컨대, gNB, eNB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 방법의 형태에서, 제1요소의 제한은 제2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의 제한에 맵핑된다. 상기 UE에 의해 수행되는 몇몇 다른 예시의 실시예들이 또한 여기에 포함되어 아래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를 표시하는 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개시한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요소는 제2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된다. 추가로, 상기 CBSR 시그널링은 UE가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시 방법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BSR 시그널링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는 대응하는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캐리어(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네트워크-측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선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의 실시예들에 기초한 공간 다중화 동작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교차-편파 안테나 요소들을 갖는 예시의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3은 동적 앙각 빔포밍이 간섭을 야기할 수 있는 예시의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앙각(elevation angle)에서의 전송 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요소를 제2요소에 맵핑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7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7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7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7d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7e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8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8b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8c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을 나타낸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예시 실시예들에서 UE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a 및 10b는 본 개시의 예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개시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및 프리코더 선택을 위한 예시의 기술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일부의 예에서, UE는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또는 요소들)를 표시하는 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UE는 제1요소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제1요소를 맵핑할 수 있고,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할 수 있다.
다중-안테나 기술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속도와 신뢰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전송기와 수신기 모두에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다중 안테나가 장착된 경우 성능이 특히 개선된다. 그와 같은 시스템 및/또는 관련 기술들은 보통 MIMO로 지칭된다.
NR 표준이 현재 지정되고 있다. NR의 핵심은 MIMO 안테나 배치 및 MIMO 관련 기술의 지원이다. NR은 채널 종속 프리코딩으로 최대 32개의 TX 안테나 포트에 대해 8-계층 공간 다중화 모드를 지원할 것이다. 공간 다중화 모드는 유리한 채널 조건에서 높은 데이터 속도를 목표로 한다.
공간 다중화 동작이 도 1에 제공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이송 심볼 벡터 s(10)는 N T (N T 안테나 포트(12)에 대응)-차원 벡터 스페이스의 서브스페이스에 전송 에너지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N T ×r 프리코더 매트릭스 W(11)에 의해 멀티플라이된다. 그러한 프리코더 매트릭스(11)는 통상적으로 가능한 프리코더 매트릭스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되고, 통상적으로 주어진 수의 심볼 스트림에 대해 코드북에서 고유한 프리코더 매트릭스를 지정하는 프리코더 매트릭스 표시자(PMI)에 의해 표시된다. 심볼 벡터 s(10)에서의 r 심볼들은 각각 계층에 대응하고, r은 전송 랭크라고 지칭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간 다중화가 달성되는데, 이는 다수의 심볼이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요소(TFRE)를 통해 동시에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심볼의 수(r)는 통상적으로 현재 채널 특성에 적합하도록 조정된다.
NR은 다운링크에서 OFDM을 사용하므로, 서브캐리어 n(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TFRE 수 n)의 특정 TFRE에 대한 그 수신된 N R ×1 벡터 y n 은 다음과 같이 모델링된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en은 랜덤 프로세스의 실현으로 얻은 잡음/간섭 벡터이다. 상기 프리코더 매트리스(W)는 광대역 프리코더일 수 있으며, 이는 주파수에 걸쳐 일정하거나 또는 주파수 선택적이다.
상기 프리코더 매트릭스(W)는 종종 소위 채널 종속 프리코딩을 야기하는 N R ×N T MIMO 채널 매트릭스(Hn)의 특성과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폐-루프 프리코딩(closed-loop precoding)이라고도 하며, 본질적으로 전송 에너지를 서브스페이스로 포커싱하기 위함인데, 이는 전송된 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UE로 전달한다는 의미가 강하다. 또한, 상기 프리코더 매트릭스는 채널을 직교화하기 위해 선택될 수도 있는데, 이는 UE에서 적절한 선형 등화(linear equalization) 후에 계층간 간섭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UE가 프리코더 매트릭스(W)를 선택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은 가정된 등가 채널의 프로베니우스 놈(Frobenius norm)을 최대화하는 W k 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Figure pct00004
는 채널 추정이고;
Figure pct00005
는 인덱스 K를 갖는 가정된 프리코더 매트릭스이며;
Figure pct00006
는 가정된 등가 채널이다.
NR 다운링크를 위한 폐-루프 프리코딩에 있어서, UE는 사용하기에 적합한 프리코더에 관한 추천을 gNB(본원에서 gNB, eNB, 기지국 등으로도 지칭된)로 전송한다(예를 들어, PMI를 gNB로 전송 또는 송신함으로써). 상기 gNB는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UE를 구성할 수 있고, UE가 코드북으로부터 선택하는 추천된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피드백하기 위해 CSI-RS의 측정을 사용하도록 CSI-RS를 전송하고 그리고/또 UE를 구성할 수 있다. 큰 대역폭(광대역 프리코딩)을 커버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싱글 프리코더 또는 그 표시가 피드백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주파수 변동을 일치시키고 대신 주파수-선택 프리코딩 리포트, 예컨대 하나의 부대역(subband) 당 몇 개의 프리코더 또는 그 표시를 피드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일반적인 케이스의 CSI 피드백의 예이며, 이는 또한 gNB가 UE로의 후속 전송에서 보조하도록 그 추천된 프리코더 이외의 다른 정보의 피드백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다른 정보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뿐만 아니라 전송 랭크 표시자(RI)를 포함할 수 있다.
UE로부터의 CSI 피드백이 주어지면, gNB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프리코더, 전송 랭크, 및 변조 및 코딩 상태(MCS)를 포함하여, UE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전송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이들 전송 파라미터는 UE가 추천하는 것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랭크 표시자 및 MCS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로 시그널링될 수 있고, 프리코딩 매트릭스 또는 프리코더 또는 그 표시가 DCI로 시그널링될 수 있거나 또는 gNB는 등가 채널이 측정될 수 있는 복조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랭크,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다중화된 계층의 수는 프리코더(W)의 열(column)의 수에 반영된다. 효율적인 성능을 위해서는, 채널 특성과 일치하는 전송 랭크가 선택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개시에 제공된 예시의 실시예들에는 2-차원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제공된 실시예들 중 일부는 그와 같은 안테나를 사용한다. 그와 같은 안테나 어레이들은 수평 치수(
Figure pct00007
)에 대응하는 안테나 열의 수, 수직 치수 (
Figure pct00008
)에 대응하는 안테나 행(row)의 수 및 상이한 편파(
Figure pct00009
)에 대응하는 치수의 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총 안테나 수는
Figure pct00010
이다. 그러한 안테나의 개념은 물리적 안테나 요소의 임의의 가상화(예컨대, 선형 맵핑)를 참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제한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물리적 하위-요소에 동일한 신호가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일한 가상화 안테나 포트를 공유한다. 도 2는
Figure pct00011
수평 안테나 요소 및
Figure pct00012
수직 안테나 요소들을 갖는 교차-편파 안테나 요소들을 갖는 2-차원(4×4) 어레이(13)를 나타낸다.
프리코딩은 전송 전에 각 안테나에 대해 다른 빔포밍 가중치와 신호를 멀티플라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통상적인 접근 방식은 프리코더를 안테나 폼 인자(form factor)에 맞게 조정하는 것이다(즉, 프리코더 코드북을 디자인할 때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를 고려하여).
프리코딩의 일반적인 타입은 DFT-프리코더를 사용하는 것인데, 여기서 N개의 안테나를 갖는 싱글-편파 균일 선형 어레이(ULA)를 사용하여 싱글-계층 전송을 프리코딩하는데 사용되는 프리코더 벡터는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Figure pct00015
여기서,
Figure pct00016
은 프리코더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17
는 정수의 오버샘플링 계수이다. 2개의 프리코더 벡터의 크로네커 곱(Kronecker product)을
Figure pct00018
로 취함으로써 2-차원 균일 평면 어레이(UPA)에 대한 대응하는 프리코더 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듀얼-편파 UPA의 프리코더 확장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여기서,
Figure pct00020
는, 예를 들어 QPSK 알파벳
Figure pct00021
에서 선택될 수 있는 공동-위상화 인자이다. 다-층 전송을 위한 프리코더 매트릭스
Figure pct00022
는 다음과 같이 DFT 프리코더 벡터의 열을 추가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23
,
여기서, R은 전송 계층의 수, 즉 전송 랭크이다. 랭크-2 DFT 프리코더의 일반적인 특수한 경우,
Figure pct00024
은 다음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25
2D 또는 수직 안테나 어레이에서 코드북-기반 프리코딩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 앙각 빔포밍(Elevation beamforming)은 전송된 에너지를 관심 있는 UE로 향하게 하여 그 수신된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는 강력한 툴(tool)이다. 간섭은 시스템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측면이다. 예를 들어, 일부 어반 토폴로지(urban topology)에서, 동적 앙각 빔포밍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당한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gNB(14)가 그 전송된 파워를 UE(15A)로 향하게 할 때, 동시에 그 전송된 에너지를 현재 다른 gNB(18B)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다른 UE(15B)로 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gNB(14)는 앙각 빔포밍을 수행할 때 그들의 이웃하는 셀에 간섭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섭은 시스템에 매우 해로울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간섭이 완화되지 않으면, 동적 빔 선택에 의한 수신된 신호 레벨의 증가가 동시 증가보다 간섭 레벨이 작을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에서 앙각 빔포밍을 사용하더라도 시스템-레벨 이득을 이끌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셀들에 대한 야기된 간섭이 큰 특정 각도 간격에서 빔포밍을 피하기 위해 각도 갭 제한 전송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그와 같은 전송 특성은 전송 "갭"을 생성하기 위해 임계 방향으로 앙각 빔을 제공하지 않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도 4는 갭 16과 같은 갭을 나타내며, 정규화된 안테나 이득(y-축)은 인접한 천정각의 안테나 이득 레벨과 비교하여 상승 천정각(elevation zenith angle)(x-축) 범위에서 떨어진다.
앙각 빔포밍이 코드북-기반 프리코딩과 함께 사용될 때, 그와 같은 전송 갭(16)은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gNB는 과도한 셀간 간섭을 야기하는 빔 방향에 대응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서브세트를 그 코드북에서 사용하지 않도록 UE에 지시한다. 셀간 간섭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는 방위각 방향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으로의 전송을 제한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LTE 프리코더 코드북은 상술한 바와 같이 DFT 프리코더들에 기초한다. 코드북은 랭크 1-8로 규정되며 다음 수량에 기초한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에 대해 규정되며,
Figure pct00029
에 대응하는 2D DFT 프리코더 또는 빔이고, 모든 랭크에 대한 코드북은 수량(
Figure pct00030
)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일 예로서, 랭크-2 및 랭크-4 코드북의 규정은 아래의 표 1 및 표 2에 주어져 있으며, 여기서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는 각 차원의 2D DFT 빔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33
는 대응하는 공동-위상화 인덱스이다.
표 1
Figure pct00034
표 2
Figure pct00035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LTE FD-MIMO는 LTE의 이전 릴리스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PMI-기반 랭크별 CBSR과 반대로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 CBSR 시그널링을 사용한다. PMI-기반 랭크별 CBSR에서, 프리코더들은 각 랭크에 대해 하나 이상의 비트맵(즉, 랭크 1-8에 대한 8개의 비트맵 세트)을 시그널링함으로써 제한되며, 비트맵의 각 비트는 특정 랭크의 코드북에 대해 하나의 PMI 인덱스(예컨대, i1 또는 i2)를 제한한다.
반면,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 CBSR을 사용하면, 구성 요소 2D DFT 빔
Figure pct00036
이 대신 제한되어, 각 비트가 하나의 오버샘플링된 2D DFT 빔
Figure pct00037
과 연관된 크기
Figure pct00038
비트맵을 생성한다. 비트맵의 비트가 설정되면, 대응하는 DFT 빔이 제한되거나 CSI 추정에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수량(
Figure pct00039
)은 모든 랭크의 프리코더를 위한 구성 블록이기 때문에, CBSR 시그널링에서 실질적인 오버헤드 감소가 달성된다. 따라서, 프리코더에 제한된 빔
Figure pct00040
중 임의의 것이 존재하면 코드북의 특정 프리코더가 제한된다.
빔-기반 CBSR에는 랭크 및/또는 i2를 제어하기 위한 제2의 제한 세트가 필요하다. 이들 제한은 LTE에서 조인트(joint) 랭크-i2 제한으로 표시되며, 여기서 랭크
Figure pct00041
와 코드북 인덱스 i2의 조합의 비트맵이다. 3GPP TS 36.213에 명시된 바와 같이, 비트
Figure pct00042
는 계층
Figure pct00043
및 코드북 인덱스
Figure pct00044
의 프리코더와 연관되며, 여기서
Figure pct00045
는 아래의 표 3에 주어져 있다:
표 3
Figure pct00046
NR 타입 I 코드북은 여러 면에서 LTE FD-MIMO 코드북과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점이 있다. 하나의 차이점은 랭크-3 및 랭크-4 코드북은 안테나 포트의 수가 16보다 큰 경우 "안테나 그룹화"를 사용한다는 것이다(16 포트 케이스보다 작은 경우, 랭크-3 및 랭크-4 코드북은 LTE 코드북과 유사하다). 이는 2D DFT 빔, 즉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에 대응하는 2개의 수량의 도입을 이끌며, 여기서
Figure pct00049
은 16개의 안테나 포트 이상의 랭크 1, 2, 5, 6, 7, 8개의 코드북(및 16개의 안테나 포트보다 작은 경우 랭크 1-8)에 사용되며,
Figure pct00050
은 16개의 안테나 포트보다 크거나 같은 랭크-3 및 랭크-4 코드북에 사용된다. 여기서, 2D DFT 빔
Figure pct00051
을 공동-위상화하는데 사용되는 2개의 파라미터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가 이제 존재하기 때문에, LTE에서 공동-위상화 동작이 일반화됨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54
일 예로서, 랭크-2 및 랭크-4 코드북의 규정은 또한 각각 표 4 및 표 5에 주어져 있다:
표 4
Figure pct00055
표 5
Figure pct00056
롱 텀 에볼루션(LTE)에 사용되는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rank-agnostic) CBSR 접근 방식은 동일한 빔-기반 수량이 모든 랭크에 대한 프리코더의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NR에 직접 재사용할 수 없다. 대안은 PMI-기반 랭크별 CBSR에 기초한 사전(pre)-"LTE FD-MIMO" CBSR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이는 LTE에 비해 약 8배 더 많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초래할 것이다. 또한, NR 코드북은, 2D DFT 빔
Figure pct00057
을 공동-위상화하는데 사용되는 2개의 파라미터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가 이제 존재하기 때문에, LTE에서 종래의 코드북과 다른 일반화된 공동-위상화 동작을 사용한다. 그러한 공동-위상화 동작은 코드북에 사용된 CSI-RS 포트의 수와 리포트의 랭크에 따라 다르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된 것과 같은 새로운 메커니즘이 공동-위상화 및 랭크의 코드북 제한을 위해 NR에 필요하다.
본 설명은 또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을 압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랭크별 코드북이 2개의 그룹으로 분할될 수 있는 프리코더 코드북에 적용 가능하다. 제1그룹의 랭크별 코드북에서의 프리코더는 모두 제1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반면, 제2그룹의 랭크별 코드북에서의 프리코더는 모두 제2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제2요소는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하다. 또한, 각각의 요소는 다수의 상이한 값을 취할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에 의해 개시된 기술들은 (제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NR 타입 I 코드북에 적용 가능하다(16개 안테나 포트보다 크고 동일한 경우). 이러한 경우에, 제1그룹은 랭크 1, 2, 5, 6, 7, 8의 랭크별 코드북을 포함하며, 여기서 프리코더 모두는
Figure pct00060
에 대해 규정되고 크기-
Figure pct00061
2D DFT 벡터를 구성하는 요소
Figure pct00062
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제2그룹은 랭크 3 및 4에 대한 랭크별 코드북을 포함하며, 여기서 프리코더 모두는
Figure pct00063
에 대해 규정된 요소
Figure pct00064
에 기초하여 구성된다.
이들 코드북의 그룹은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을 통한 무선 통신에서 네트워크 노드(106) 및 UE(102)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E(102)는 네트워크 노드(106)에 의해 이용 가능한 코드북들을 제1 코드북 그룹(118) 및 제2 코드북 그룹(120)과 같은 개별의 분리된 그룹으로 분할할 수 있다. UE는 다운링크 상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CBSR 시그널링(114)을 수신할 수 있고, CBSR 시그널링(114; 본원에서는 간단히 CBSR이라고도 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118) 및 제2 코드북 그룹(120)으로부터 코드북들의 프리코더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UE(102)는 제한된 코드북으로부터 프리코더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프리코더를 업링크에서 CSI 메시지(116)로 네트워크 노드(106)에 리포트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들에서 그러한 제한과 선택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상세히 나타내는 예시의 실시예들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다.
제1기술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또는 그 표시는 제1요소(128)를 포함하는 CBSR 시그널링(114) 또는 그 표시를 통해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UE(102)로 시그널링되며, 이는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대한 CBSR을 규정하는데 사용된다. 그 후, 그 제한된 제1요소(128)는 미리 규정된 맵핑을 사용하거나 또는 그에 기초하여 제한된 제2요소(130)에 맵핑된다.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의 프리코더들의 CBSR은 그 제한된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규정된다. 상기 제1 코드북 그룹 내에서,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 CBSR은 기존 기술들에 따라 제1 랭크별 코드북들에 대한 CBSR을 규정하기 위해 적용된다. 즉, 하나 이상의 제한된 제1요소(128)를 사용하여 구성된 제1 코드북 그룹(118)의 각 프리코더는 UE에 의한 CSI리포트를 위해 사용될 수 없다.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의 제한을 유도하기 위해, 제1요소와 제2요소 사이의 맵핑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각각의 제1요소는 하나 이상의 제2요소에 맵핑되거나 맵핑될 수 있다. 또는, 등가적으로, 각각의 제2요소(130)는 하나 이상의 제1요소(128)에 맵핑되었거나 또는 맵핑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2요소(130)는 하나 이상의 제1요소(128)에 맵핑되거나 맵핑될 수 있고, 각각의 제1요소(128)는 하나 이상의 제2요소(130)에 맵핑되거나 맵핑될 수 있다. 이러한 맵핑 및 제한된 제1요소(128)에 기초하여, 상기 제2요소(130)의 제한은 적어도 하나의 제한된 제1요소(128)가 상기 제2요소(130)에 맵핑되면, 그 제2요소(130)가 제한되도록 결정된다.
이러한 원리는 제1요소(128)의 인덱스(또는 그 제한)가 제2요소(130)의 인덱스에 어떻게 맵핑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 6의 예시의 맵핑도에 나타나 있다. 그러한 맵핑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덱스 2, 7, 8을 갖는 제1요소(128)는 제한된다. 인덱스 2를 갖는 제1요소는 인덱스 1 및 2를 갖는 제2요소(130)에 맵핑되는데, 이는 이들 제2요소가 제한됨을 의미한다. 그러한 결정된 제한된 제2요소들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에서 랭크별 코드북들의 프리코더들에 대한 CBSR은 제2 코드북 그룹 내에 빔-기반 랭크-애그노스틱 CBSR을 적용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CBSR 시그널링을 위한 오버헤드를 유지하는 CBSR을 규정하기 위해 제1요소의 제한만이 시그널링될 필요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코드북 그룹이 상기와 같이 규정되는 NR 타입 I 코드북이 사용된다. 상기 제1요소의 제한의 시그널링은, 예를 들어 길이
Figure pct00065
비트맵
Figure pct00066
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비트는 제1요소(128)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067
에 맵핑된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요소"(예컨대, 용어 "제1요소(들)" 및 "제2요소(들)" 등으로 사용되는 바와 같은)는 수의 벡터(numerical vector)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요소(128)는 본 개시에 걸쳐 수학적으로
Figure pct00068
로 지칭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요소는 본 개시에서 수학적으로
Figure pct00069
로 표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형식
Figure pct00070
또는
Figure pct00071
에 따라 기술된 모든 요소 또는 엔티티는 위에서 소개된 바와 같은 요소의 벡터 표현을 식별한다. 또한, 용어 "요소"는 특히 본 개시의 목적 뿐만 아니라 요소/벡터의 대응하는 수학적 표현을 위해 정의되지만, 각각의 요소 및 이의 수학적 표현은 실제적인 관점에서 무선 전송을 위한 특정 빔 방향을 나타낸다는 것 또한 알아야 한다.
이제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간 맵핑이 설명될 것이다. 우선,
Figure pct00074
은 안테나 어레이(안테나 어레이의 각 편파)에 적용되는 2D DFT 벡터일 수 있고, 반면
Figure pct00075
은 안테나 어레이의 각 안테나 그룹(각 안테나 그룹의 각 편파)에 적용되는
Figure pct00076
와 비교된 절반 크기의 2D DFT 빔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2개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 어레이를 제1치수(통상적으로 수평 치수인)를 따라 절반으로 분할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Figure pct00077
은 안테나 어레이의 왼쪽 절반과 오른쪽 절반에 모두 적용된다. 이것은
Figure pct00078
의 대응하는 빔 폭이 제1치수를 따라
Figure pct00079
의 2배(어레이의 절반이 빔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므로)이고, 반면 제2치수에 따른 빔폭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랭크-4 전송을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그룹들과 편광들 사이의 상이한 공동-위상화가 상이한 계층들에 적용되지만, 결과의 빔 형상은
Figure pct00080
의 빔 형상과 유사할 것이다.
일부 예시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사이의 맵핑은 안테나 포트의 수가 1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만 수행되고, 랭크-3 및 랭크-4 코드북에 대한 CBSR은 제한된
Figure pct00083
을 사용하여 빔-기반 CBSR을 적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들 예에서, 안테나 포트의 수가 16 미만인 경우, 랭크-3 및 랭크-4 코드북에 대해, 세트
Figure pct00084
을 사용하여 빔-기반 CBSR이 적용된다.
따라서, 제2치수에 따른 빔 형상의 특성이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에 대해 동일하므로, 그 문제는 제1치수에서 맵핑 규칙을 찾음으로써, 즉 인덱스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사이의 맵핑 규칙을 찾음으로써 줄일 수 있다. 그와 같은 관계를 유도하기 위해, 어레이 스티어링 벡터
Figure pct00089
의 엔트리를 연구할 수 있는데, 여기서
Figure pct00090
는 스티어링각(steering angle)이고,
Figure pct00091
는 파장에서 어레이 요소 분리이며,
Figure pct00092
은 어레이 요소 인덱스이다. 이것은
Figure pct00093
요소 분리를 갖는 어레이에 대해 빔이 각도 -
Figure pct00094
로 스티어링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위상
Figure pct00095
는 각 어레이 요소 n에 적용되어야 한다(즉, 스티어링 위상의 복합적인 결합이 적용되어야 한다).
제1요소
Figure pct00096
은 제1치수에 따라
Figure pct00097
의 위상 진행을 갖는 반면, 제2요소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의 위상 진행을 갖는다. 따라서, 빔을 동일한 각도로 스티어링하게 하려면,
Figure pct00100
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Figure pct00101
가 동일한 빔 방향을 야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제한된 제1 및 제2요소 간 맵핑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제1요소의 (서브)-인덱스
Figure pct00102
이 제한되면, 제2요소에 대한 (서브)-인덱스
Figure pct00103
가 제한된다. 홀수
Figure pct00104
의 경우
Figure pct00105
는 정수가 아니므로
Figure pct00106
인덱스에 맵핑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된 제1요소와 제한된 제2요소 간 일-대-일 맵핑이 되도록 홀수
Figure pct00107
값은 단순히 무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08
이 제한되고
Figure pct00109
이 홀수이면
Figure pct00110
Figure pct00111
모두가 제한되는데, 이 경우 하나의 제1요소가 2개의 제2요소를 제한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12
이 제한되면
Figure pct00113
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114
또는
Figure pct00115
이 제한되면,
Figure pct00116
도 랭크 3 및 랭크 4 코드북에서 제한된다. 대안으로,
Figure pct00117
이 제한되면
Figure pct00118
가 제한된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119
이 제한되면,
Figure pct00120
도 랭크 3 및 랭크 4 코드북에서 제한된다.
Figure pct00121
의 빔 폭은
Figure pct00122
의 빔 폭의 2배이므로,
Figure pct00123
의 제한은 인접한 여러
Figure pct00124
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일부의 실시예에서, 인덱스
Figure pct00125
의 간격
Figure pct00126
에 대응하는 제1요소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한되면 인덱스
Figure pct00127
에 대응하는 제2요소가 제한된다. 빔 인덱스가 N 1 O 1 를 포용하기 때문에(즉,
Figure pct00128
이고 동일한 빔 방향에 대응), 모듈로 연산자가 사용된다. 간격은 본질적으로 (서브)-인덱스
Figure pct00129
를 갖는 제2요소의 제한에 영향을 주는 제한된 제1요소들의
Figure pct00130
부근의 크기
Figure pct00131
윈도우를 규정한다. 그와 같은 일부의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32
이도록 대칭 윈도우가 사용된다. 제2요소에 대응하는 빔 폭이 제1요소의 2배이기 때문에
Figure pct00133
, 즉 크기 3 윈도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Figure pct00134
Figure pct00135
이므로, 크기
Figure pct00136
윈도우들이 그러한 제한에서 좀더 보수적이도록 사용된다.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서, 개별 CBSR이 제1 코드북 그룹 및 제2 코드북 그룹에 대해 시그널링된다. 제1 코드북 그룹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은 제1요소의 제한을 규정하고, 반면 제2 코드북 그룹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은 제2요소의 제한을 규정한다. 따라서, 제1 코드북 그룹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은 특정 랭크의 프리코더들에 대한 CBSR을 결정하고, 반면 제2 코드북 그룹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은 다른 랭크의 프리코더들에 대한 CBSR을 결정한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제2 코드북 그룹에 대응하는 CBSR의 시그널링은 구성된 안테나 포트의 수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포트의 수가 16 미만인 경우, 제2 코드북 그룹에 대응하는 CBSR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안테나 포트의 수가 16 이상이면, 제2 코드북 그룹에 대응하는 CBSR은 시그널링된다. 일 실시예에서, NR 타입 I 코드북이 사용되고, 그 CBSR 시그널링은 2개의 비트맵을 포함한다:
ㆍ 하나의 길이
Figure pct00137
비트맵
Figure pct00138
이고, 여기서 각 비트는 제1요소(
Figure pct00139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140
값에 맵핑되고,
ㆍ 하나의 길이
Figure pct00141
비트맵
Figure pct00142
이고, 여기서 각 비트는 제2요소(
Figure pct00143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144
값에 맵핑된다.
더욱이, CBSR에서 제1요소 또는 그 표시만을 수신하는 대신, UE는 또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해 제2요소 또는 그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의 예에서, UE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CBSR을 수신할 수 있고, 그 CBSR은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1요소를 표시한다. 이들 예에서, 제1요소는 제1 프리코더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일 수 있다. 또한, 그 CBSR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2요소를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제2요소는 제2 코드북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다. 이들 예시의 실시예의 형태에서, 제2요소는 제1요소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요소에 따르면, UE는 제1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할 수 있고,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UE는 랭크 값과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의 조합의 조인트 표시(joint indic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이들 예시의 실시예의 형태에서, 제1인덱스는 2-차원(2D) 이산 푸리에 변환(DFT) 빔을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1복소수를 식별하고, 제2인덱스는 2D DFT 빔을 또한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2복소수를 식별한다. UE는 또한 (a) 랭크 값 및 (b) 코드북 구성과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 포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서, UE(102)는 CSI 리포팅에 사용되는 조합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으로서 공동-위상화 및 랭크 서브세트 제한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메커니즘은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랭크 값과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의 조합의 조인트 표시를 수신하는 UE(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인덱스는 2D DFT 빔을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1복소수
Figure pct00145
를 식별하며, 제2인덱스는 2D DFT 빔을 또한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2복소수를 식별한다. 그러한 조인트 표시에 기초하여, UE(102)는 랭크 값과 코드북 구성 및/또는 CSI-RS 포트의 수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인덱스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더욱이, 메커니즘은 UE(102)가 조인트 표시에 따라 허용된 랭크와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의 값만을 표시하는 CSI 리포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연히, UE(102)는 또한 그러한 생성된 CSI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106)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특징에 있어서, 공동-위상화 및 랭크는 제1 및/또는 제2인덱스(
Figure pct00146
Figure pct00147
와 같은) 및 랭크 표시(
Figure pct00148
)의 조합을 식별하는 비트맵을 사용하여 공동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의 형태에 따르면,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비트맵 값
Figure pct00149
Figure pct00150
계층에 대한 프리코더와 연관되어 있다. 코드북 인덱스
Figure pct00151
은 제1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52
의 상태를 식별하고, 인덱스
Figure pct00153
는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54
의 상태를 식별한다. 벡터 c n 은 랜덤 프로세스의 결과를 표시하는 노이즈/간섭 벡터이다. 추가로, 특정 실시예에 사용된 비트맵에서 비트의 순서에 따라,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또는
Figure pct00157
, 및
Figure pct00158
이다. 나머지 계수
Figure pct00159
는 아래 표 6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표 6
Figure pct00160
표 6의 구성인 코드북-구성(Codebook-Config)은 특정 랭크 값(예컨대, 1 또는 2)에 대해 제2인덱스
Figure pct00161
에 사용되는 상태 수를 식별한다. Codebook-Config=2인 경우, 제2인덱스
Figure pct00162
는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63
뿐만 아니라 주어진 부대역 내의 L개의 빔 그룹 중 선택된 빔
Figure pct00164
모두를 식별한다. NR 코드북 디자인은,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65
에 필요한 4 또는 2개 상태 및 2 또는 1비트 이외에, 코드북-구성=2의 랭크 1과 2에 대해 빔 그룹에서 L=4 빔을 사용하므로 4개 상태 및 2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Codebook-Config 2는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66
을 나타내기 위해 랭크 1 및 2에 대해 각각 16 및 8개 상태가 필요하며, 이 경우 제2인덱스
Figure pct00167
에 대해 4 또는 3비트가 필요하다.
반대로, Codebook-Config 1은 모든 랭크에 대해 빔 그룹에서 L=1 빔을 사용하므로 제2인덱스
Figure pct00168
는 Codebook-Config 1에 대한 파라미터
Figure pct00169
만 식별한다. 이 때 Code book-Config 1은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70
를 나타내기 위해 랭크 1 및 2에 대해 각각 4 및 2개 상태를 필요로 하며, 이 경우 제2인덱스
Figure pct00171
에 대해 2 또는 1비트를 필요로 한다. 파라미터
Figure pct00172
에는 4개 상태가 필요하고, 따라서, 이 때
Figure pct00173
은 2비트를 사용한다. 파라미터
Figure pct00174
는 랭크 3 및 4와 같은 일부 조건에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코드북에 사용된 CSI-RS 포트
Figure pct00175
의 수가 16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모든 코드북 구성에서
Figure pct00176
에 대한 추가의 상태 또는 비트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공동-위상화 파라미터
Figure pct00177
에 사용되는 더 많은 수의 상태로부터 성능 이점이 랭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Figure pct00178
에 사용된 상태의 수는 랭크 1에 대해 4이고 랭크 2 내지 8과 같이 더 높은 랭크에 대해서는 2일 수 있다. 이는 랭크 4보다 높은
Figure pct00179
는 1비트만 요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이, 랭크, 제1 및 제2공동-위상화 파라미터, 및 빔 그룹으로부터의 빔 선택에 대해 공동으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표시하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2개의 독립적인 조건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 빔 그룹에서 빔 L의 수가 1보다 큰지(또는 등가적으로 Codebook-Config=2인 경우)의 여부, (b) 코드북
Figure pct00180
에 사용된 CSI-RS 포트의 수가 16보다 크거나 같은지(또는 등가적으로 그 수가 16보다 작은지). 이들 조건은 표 6에 나타낸 실시예를 이끌고, 여기서 4개의 순열 각각이 4개의 행 중 하나에 표시되는 바와 같이, 함수
Figure pct00181
는 이들 2개의 조건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함수
Figure pct00182
는 이전 랭크
Figure pct00183
에 대한 코드북 인덱스
Figure pct00184
Figure pct00185
의 가능한 값의 수의 누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Codebook-Config=2 및
Figure pct00186
의 경우, 각각
Figure pct00187
에 대해, 파라미터
Figure pct00188
가 랭크 3 및 4에 대해 표시되지 않고, 16 및 8개의 상태가 랭크 1 및 2에 대해 필요하기 때문에,
Figure pct00189
에 대해 2보다 큰 랭크에는 2개의 상태가 필요하지만,
Figure pct00190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91
Figure pct00192
이고,
Figure pct00193
이다. Codebook-Config=2 및
Figure pct00194
의 경우, 파라미터
Figure pct00195
가 랭크 3 및 4에 대해 표시되고, 랭크 1 및 2에 필요한 상태의 수는 CSI-RS 포트의 수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Figure pct00196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197
Figure pct00198
이고,
Figure pct00199
이다. Codebook-Config=1 및
Figure pct00200
의 경우, 각각
Figure pct00201
에 대해, 파라미터
Figure pct00202
가 랭크 3 및 4에 대해 표시되지 않고, 4 및 2개의 상태가 랭크 1 및 2에 대해 필요하기 때문에,
Figure pct00203
에 대해 2보다 큰 랭크에는 2개의 상태가 필요하지만, 이 경우
Figure pct00204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205
Figure pct00206
이고,
Figure pct00207
이다. Codebook-Config=1 및
Figure pct00208
의 경우, 각각
Figure pct00209
에 대해, 파라미터
Figure pct00210
가 랭크 3 및 4에 대해 표시되고, 4 및 2개의 상태가 랭크 1 및 2에 대해 필요하기 때문에,
Figure pct00211
에 대해 2보다 큰 랭크에는 2개의 상태가 필요하지만, 이 경우
Figure pct00212
이고, 여기서
Figure pct00213
Figure pct00214
이고,
Figure pct00215
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UE(102)에서 CSI 리포팅에 사용되는 조합을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와 같은 메커니즘은 랭크 값과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의 조합의 조인트 표시를 수신하는 UE(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이러한 제1인덱스는 2D DFT 빔을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1복소수
Figure pct00216
를 식별하고, 반면 제2인덱스는 2D DFT 빔을 또한 스케일링하는 (적어도) 제2복소수를 식별한다. 메커니즘은 또한 UE(102)가 랭크 값과 코드북 구성 및 CSI-RS 포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1 및/또는 제2인덱스가 획득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E(102)는 조인트 표시에 따라 허용된 랭크와 제1인덱스 및/또는 제2인덱스의 값만을 표시하는 CSI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E(102)는 CSI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106)에 전송함으로써 메커니즘을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 제시된 세부사항을 고려하여,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법들이 제공될 것이다. 도 7a 내지 7e는, 일부의 예에서, 위에서 논의된 기술들을 수행하기 위해 UE(10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5개의 예시의 방법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8a-8c는, 일부의 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3개의 비-제한적인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UE(102)에서 상술한 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의 방법(300)을 나타낸다.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302에서, UE(102)는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제1요소(128)의 제한은 제2요소의 제한에 맵핑되거나 맵핑될 수 있다. 또한, 블록 304에서, UE(102)는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을 위해, 용어 "제한" 또는 "제한하는"은 "요소 또는 요소들의 제한을 규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UE(102)에서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다른 예시의 방법(306)이 제공된다.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308에서, 방법(306)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형태에 있어서, 제1요소(128)는 제2요소(130)에 맵핑되고, 제2요소(130)는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다. 또한, 블록 310에서, 방법(306)은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UE에서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방법(312)의 다른 실시예가 도 7c에 나타나 있다. 그러한 방법(312)에 있어서, 블록 314에서, UE(102)는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표시하는 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블록 316에서, UE(102)는 제1요소(128)를 상기 제1요소(128)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에 맵핑할 수 있다. 더욱이, 블록(318)에서, 상기 방법(312)은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d에 나타낸 다른 예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방법(320)은, 블록(322)에서,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제한을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은 또한 블록 324에서 제1요소(128)에 대한 제한을 제2요소(130)에 대한 제한에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제2요소(130)는 제1요소(128)와 상이할 수 있고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에 공통일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방법(320)은, 블록 326에서, 제2요소(130)에 대한 제한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e는 사용자 장비 UE(102)에서의 코드북 선택 제한을 위한 또 다른 예시의 방법(328)을 나타낸다.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330에서, 상기 방법(328)은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CBSR 시그널링은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1요소(128)를 표시한다. 상기 CBSR 시그널링은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2요소(130)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제2요소(130)는 제1요소(128)와 상이하다. 또한, 블록 332에서, 방법(328)은 제1요소(128)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 뿐만 아니라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7b, 7c, 7d 및 7e 중 하나 이상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다른 형태는 다음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여 추가의 다른 실시예에서 UE(102)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요소는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상기 제1 코드북 그룹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상기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2요소는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며, 상기 제2 코드북 그룹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2요소는, 제2 벡터 세트의 벡터들이 제1 벡터 세트의 벡터들의 절반 크기인 경우와 같이,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한 크기의 벡터를 구성한다.
더욱이, 일부의 예에서, 상기 CBSR 시그널링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그러한 복수의 비트의 각각의 비트는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를 표시한다. 일부 예는, 예를 들어, 제1요소가 제한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트에 기초하여 제2요소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1요소는 이 제1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소는 길이
Figure pct00217
비트맵
Figure pct00218
일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비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의 2-차원 제한 벡터
Figure pct00219
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20
값을 구성한다.
또한, 도 7a, 7b, 7c, 7d 및 7e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로부터 프리코더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다른 형태에서, 상기 방법들은 선택된 프리코더를 표시하는 CSI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선택적으로 CSI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는 제1요소가 적어도
Figure pct00221
,
Figure pct00222
, 및
Figure pct0022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또는 그 각각에 대해)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에 기초하여 제2요소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1요소는 연관된 인덱스
Figure pct00224
을 갖고, 상기 제2요소는 연관된 인덱스
Figure pct00225
를 가지며,
Figure pct00226
Figure pct00227
Figure pct00228
와 같은 관계 r 을 갖는다. 이들 예에서, 상기 방법은 또한 관련된 제2요소의 제한에 영향을 주는
Figure pct00229
를 갖는 임의의 제한된 제1요소 부근의 크기
Figure pct00230
윈도우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에서,
Figure pct00231
이고 윈도우 크기는 3이다.
다른 예시의 형태에서, 상기 제1 코드북 그룹은 랭크 1, 랭크 2, 랭크 5, 랭크 6, 랭크 7, 및/또는 랭크 8 코드북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 상기 제2 코드북 그룹은 랭크 3 및/또는 랭크 4 코드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의 네트워크 노드 방법을 참조하면, 그 도면은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6)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400)을 예시하며, 그 방법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402)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는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에 맵핑된다. 더욱이, 상기 CBSR 시그널링은 UE(102)가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블록 404에서, 방법(400)은 CBSR 시그널링을 UE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8b는, 블록 408에서,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106)의 방법(406)을 제공한다. 다시, 상기 제1요소(128)는 이 제1요소(128)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에 맵핑된다. 블록 410에서, 방법(406)은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는 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은 상기 제2요소(130)에 맵핑되는 제1요소(128)를 표시하기 위해 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네트워크 노드(106)를 포함한다. 다음에, 블록 412에서, 상기 방법(406)은 CBSR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c에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106)에서 코드북 선택 제한을 위한 다른 예시의 방법(414)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블록 416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형태에서, 상기 CBSR 시그널링은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1요소(128) 및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2요소(130)를 표시한다. 더욱이, 상기 CBSR 시그널링은 UE(102)가 상기 제1요소(128)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119)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게 하고,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게 한다. 또한, 블록(418)에서, 네트워크 노드(106)는 CBSR 시그널링을 UE(102)로 전송한다.
도 8a, 8b, 및 8e 중 하나 이상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다른 형태들은 다음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것들을 포함하여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UE(102)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방법의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요소는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상기 제1 코드북 그룹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2요소는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여기서 제2 코드북 그룹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한다. 일부의 예에서, 상기 제2요소는, 제2 벡터 세트의 벡터들이 제1 벡터 세트의 벡터들의 절반의 크기인 경우와 같이,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한 크기의 벡터를 구성한다. 더욱이, 일부의 실시예는 제한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에 대응하는 허용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을 표시하는 CSI 리포트를 UE(102)로부터 수신하는 네트워크 노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예시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요소는 길이
Figure pct00232
비트맵
Figure pct00233
일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비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의 2-차원 제한 벡터
Figure pct00234
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35
값을 구성한다.
도 9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예시적인 UE(102)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적어도 도 7a, 7b, 7c, 7d, 및 7e에 제시된 방법들을 참조하여 상술한 특정 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상기 UE(102)는, 예컨대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본원에서 모듈 또는 요소들로 지칭될 수도 있음)을 통해 구성된다.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UE(102)는, 예를 들어 이들 방법의 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모듈, 요소, 또는 유닛들(530, 540, 및 550; 도 5b에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수단, 모듈, 요소, 또는 유닛들)을 포함한다. 일부의 예에서, 이들 수단, 모듈, 요소, 또는 유닛들은 처리 회로(500)에서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UE(102)의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은, 도 7a, 7b, 7c, 7d, 및 7e의 블록(302, 308, 314, 322, 및 330)들에서의 CBSR 시그널링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도 7c 및 7d의 블록 316 및 324와 같이 수행되는 제2요소에 대한 제1요소의 맵핑(및/또는 그 제한)을 수행하는 맵핑 유닛/모듈(5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E(102)는, 예를 들어, 블록 332에서, 맵핑의 결과로서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유닛/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UE(102)는, 상기의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을 실시함으로써, 도 7a, 7b, 7c, 7d, 및 7e에 제시된 방법들의 처리 및 다른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특징의 특정 관련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회로들(50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그러한 처리 회로(들)(500)는 각각의 회로로서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을 실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들은 메모리(520)와 함께 특정 기능적 처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ROM, RAM,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광학 저장 장치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520)를 채용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5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 기술된 기술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UE(102)는 또한 통신 회로(510)를 포함한다. 그러한 통신 회로(51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예를 들어,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회로(510)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표준에 따라 공지된 신호 처리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전송을 위한 신호를 컨디셔닝하도록(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상기 통신 회로는 수신된 신호(예컨대, 안테나(들)를 통해)를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샘플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도 10a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예시의 네트워크 노드(106)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나타낸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예컨대 기능적 수단, 요소, 모듈, 또는 유닛들을 통해 적어도 도 8a, 8b, 및 8c에 제시된 방법을 참조하여 상술한 특정 형태들을 수행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의 예에서, 이들 수단, 모듈, 요소, 또는 유닛들은 도 10a의 처리 회로(600)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상기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을 실시함으로써 도 8a, 8b, 및 8c의 방법의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6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600; 또는 처리 회로 소자)는 기능적 수단 또는 유닛들을 각각의 회로로서 실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들은 메모리(1020)와 함께 특정 기능적 처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ROM, RAM,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광학 저장 장치 등과 같은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1020)를 채용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10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에 의해 실행될 때, 본원에 기술된 기술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또한 통신 회로(601)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회로(601)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예컨대,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 회로(601)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표준에 따라 공지된 신호 처리 기술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전송을 위한 신호를 컨디셔닝하도록(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상기 통신 회로는 수신된 신호(예컨대, 안테나(들)를 통해)를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에 의해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샘플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수신기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본원의 실시예들이 대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노드(106) 또는 UE(102)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될 때 이들 장치가 상술한 각각의 처리 중 임의의 처리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106) 또는 UE(102)의 처리 또는 기능은 단일 인스턴스(instance) 또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간주되거나 또는 그러한 장치 인스턴스가 함께 모든 개시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주어진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106) 또는 UE(102)의 복수의 인스턴스로 분할될 수 있다.
일 형태에에서, 사용자 장비(102)는 랩탑, 전화, 태블릿, IoT 장치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측 인프라구조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소비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이동(또는 심지어 고정)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기지국, eNB, gNB, 액세스 포인트,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장치와 같은 임의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그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캐리어는 전자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수단 또는 유닛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코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들은 개시된 대상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각각이 아닌 예시로 간주되어야 하며, 수반된 청구범위의 의미 및 등가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경은 여기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아래는 본원에 기술된 것의 예시의 열거된 실시예의 세트이다.
열거된 실시예
1. 사용자 장비 UE에서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1요소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상기 제1요소를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3. 실시예 1 또는 2의 방법에 있어서, 제1요소는 길이
Figure pct00236
비트맵
Figure pct00237
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각의 비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의 2-차원 제한 벡터
Figure pct00238
를 나타내는
Figure pct00239
값을 구성한다.
4. 실시예 3의 방법에 있어서, 제1요소를 제2요소에 맵핑하는 단계는
Figure pct00240
의 크기와 다른 크기의 제2의 2-차원 벡터
Figure pct00241
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5. 실시예 4의 방법에 있어서,
Figure pct00242
Figure pct00243
의 크기의 절반이다.
6.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제한된 프리코더들로부터 프리코더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프리코더를 표시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CSI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7. 사용자 장비(UE)에서 코드북 선택 제한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CBSR은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1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제1요소는 제1 프리코더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며, 상기 CBSR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2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제2요소는 제2 프리코더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며, 상기 제2요소는 상기 제2요소와 다름; 및
상기 제1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고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8. 실시예 7의 방법에 있어서, 제1요소는
Figure pct00244
의 값들을 갖는 길이
Figure pct00245
의 제1비트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결국 제1요소(
Figure pct00246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47
값에 맵핑되고, 상기 제2요소는
Figure pct00248
의 값들을 갖는 길이
Figure pct00249
의 제2비트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결국 제2요소(
Figure pct00250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51
값에 맵핑된다.
9. 실시예 7 또는 8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제한된 프리코더들로부터 프리코더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프리코더를 표시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CSI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 CSI 리포팅에 사용된 조합들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랭크 값과 제1인덱스 및 제2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조인트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인덱스는 적어도 2-차원(2D) 이산 푸리에 변환(DFT) 빔을 스케일링하는 제1복소수를 식별하고, 상기 제2인덱스는 적어도 2D DFT 빔을 스케일링하는 제2복소수를 식별함; 및
상기 제1인덱스 및 제2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랭크 값과 코드북 구성 및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 포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1.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UE는 적어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형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1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장비(UE)로서, 상기 UE는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한 실시예의 의 형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13.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가 실시예 1 내지 10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형태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14. 실시예 13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15.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CBSR은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하고 제2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하게 하고,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CBSR을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6. 실시예 15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CBSR은 상기 UE가 상기 제1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더 구성된다.
17. 실시예 15 또는 16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요소는 길이
Figure pct00252
비트맵
Figure pct00253
을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비트맵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의 2-차원 벡터
Figure pct00254
를 표시하는
Figure pct00255
값을 구성한다.
18. 실시예 17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제2요소에 맵핑하게 하는 단계는 상기 UE가
Figure pct00256
의 크기와 다른 크기의 제2의 2-차원 벡터
Figure pct00257
를 형성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9. 실시예 18의 방법에 있어서,
Figure pct00258
Figure pct00259
의 크기의 절반이다.
20. 네트워크 노드에서 코드북 선택 제한을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CBSR은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1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제1요소는 제1 프리코더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며, 상기 CBSR은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 제한을 위한 제2요소를 표시하고, 상기 제2요소는 제2 프리코더 그룹의 프리코더들에 공통이며, 상기 제2요소는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하고, 상기 CBSR은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1요소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고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게 함; 및
상기 CBSR은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1. 실시예 20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요소는
Figure pct00260
의 값들을 갖는 길이
Figure pct00261
의 제1비트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비트맵의 각각의 배트는 결국 상기 제1요소(
Figure pct00262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63
값에 UE에 의해 맵핑되며, 상기 제2요소는
Figure pct00264
의 값들을 갖는 길이
Figure pct00265
의 제2비트맵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2비트맵의 각각의 비트는 결국 제2요소(
Figure pct00266
)의 제한을 표시하는
Figure pct00267
값에 UE에 의해 맵핑된다.
22. 실시예 20 또는 21의 방법에 있어서, 제한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에 대응하는 허용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을 표시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를 상기 UE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23.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랭크 값과 제1인덱스 및 제2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의 조인트 표시를 생성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인덱스는 적어도 2-차원(2D) 이산 푸리에 변환(DTF) 빔을 스케일링하는 제1복소수를 식별하고, 상기 제2인덱스는 적어도 2D DFT 빔을 또한 스케일링하는 제2복소수를 식별하며, 그러한 조인트(joint) 조합은 사용자 장비(UE)가 상기 제1인덱스 및 제2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가 코드북 구성과 채널 상태 정보(CSI) 기준 신호 포트의 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상태의 수를 결정하게 함; 및
상기 조인트 표시를 상기 UE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4.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시예 15 내지 23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형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실시예 15 내지 23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형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26.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실시예 15 내지 23 중 어느 한 실시예의 형태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27. 실시예 26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28.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를 결정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요소는 상기 제1요소와 상이하고 제2 코드북 그룹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됨;
상기 제2요소에 맵핑되는 제1요소를 표시하기 위해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을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2요소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CBSR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29.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적어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시예 28의 형태를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한다.
30.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실시예 28의 형태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31.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노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실시예 28의 형태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32. 실시예 26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캐리어로서, 상기 캐리어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무선 신호,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중 하나이다.

Claims (27)

  1. 사용자 장비 UE(102)에서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한 방법(300)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하는 단계(302),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의 제한은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의 제한에 맵핑됨; 및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304)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요소(128)는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의 프리코더는 상기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요소(130)는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의 프리코더는 상기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요소(130)는 제1요소(128)의 크기와 다른 크기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2 벡터 세트의 벡터들은 제1 벡터 세트의 벡터들의 절반의 크기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SR 시그널링은 복수의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트의 각각의 비트는 제1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를 표시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요소가 제한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트맵에 기초하여 제2요소(130)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요소(128)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119)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로부터 프리코더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프리코더를 표시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CIS 리포트를 네트워크 노드(106)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요소(130)는 인덱스
    Figure pct00268
    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인덱스
    Figure pct00269
    Figure pct00270
    을 갖는 제1 벡터 세트의 벡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제1요소(128)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에 기초하여 제2요소(130)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덱스
    Figure pct00271
    Figure pct00272
    을 갖는 제1 벡터 세트의 각각의 벡터에 대해 제1요소(128)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복수의 비트에 기초하여 제2요소(130)가 제한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요소(128)는 연관된 인덱스
    Figure pct00273
    를 갖고, 제2요소(130)는 연관된 인덱스
    Figure pct00274
    를 가지며, 윈도우
    Figure pct00275
    에서 인덱스
    Figure pct00276
    을 갖는 제1요소가 제한되는 경우 인덱스
    Figure pct00277
    를 갖는 제2요소(130)가 제한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Figure pct00278
    인,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Figure pct00279
    이고, 윈도우 크기는 3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코드북 그룹(118)은 랭크 1, 랭크 2, 랭크 5, 랭크 6, 랭크 7, 및/또는 랭크 8 코드북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코드북 그룹은 랭크 3 및/또는 랭크 4 코드북을 포함하는, 방법.
  17.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을 위해 네트워크 노드(106)에 의해 수행된 방법(400)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402), 여기서 상기 CBSR 시그널링은 사용자 장비 UE(102)가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CBSR 시그널링을 UE(102)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요소(128)는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제1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제2요소(130)는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벡터이고,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의 프리코더들은 제2 벡터 세트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제2요소(130)는 제1요소(128)의 크기와 상이한 크기의 벡터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제2 벡터 세트의 벡터들은 제1 벡터 세트의 벡터들의 절반의 크기인,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SR 시그널링은 UE(102)가 제1요소(128)에 기초하여 제1 코드북 그룹(118)의 코드북(119)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한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에 대응하는 허용된 코드북 서브세트들을 표시하는 채널 상태 정보(CSI) 리포트를 UE(102)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4.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사용자 장비 UE(102)로서, 상기 UE(10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0) 및 메모리(92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920)는 상기 프로세서(90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UE(102)가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의 제한은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의 제한에 맵핑됨; 및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5.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노드(106)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0) 및 메모리(101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010)는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상기 프로세서(10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는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되고, 상기 CBSR 시그널링은 사용자 장비 UE(102)가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CBSR 시그널링을 상기 UE(102)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6. 사용자 장비 UE(102)의 프로세서(92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UE(102)가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동작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에 대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네트워크 노드(106)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의 제한은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들에 공통인 제2요소(130)의 제한에 맵핑됨; 및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들을 제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27. 네트워크 노드(106)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0)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노드(106)가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동작은:
    제1 코드북 그룹(118)에서 프리코더(124)들에 공통인 제1요소(128)를 표시하는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CBSR)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동작, 여기서 상기 제1요소(128)는 제2 코드북 그룹(120)에서 프리코더(126)들에 공통인 제2요소에 맵핑되고, 상기 CBSR 시그널링은 사용자 장비 UE(102)가 상기 제2요소(130)에 기초하여 제2 코드북 그룹(120)의 코드북(121)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프리코더(126)들을 제한하게 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CBSR 시그널링을 상기 UE(102)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05510A 2017-08-11 2018-08-06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KR102280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44761P 2017-08-11 2017-08-11
US62/544,761 2017-08-11
PCT/SE2018/050794 WO2019032018A1 (en) 2017-08-11 2018-08-06 SIGNALING FOR LIMITING AN ENHANCED CODES BOOK SUB-ASSEMBLY BASED ON BEA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162A true KR20200031162A (ko) 2020-03-23
KR102280940B1 KR102280940B1 (ko) 2021-07-23

Family

ID=6325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510A KR102280940B1 (ko) 2017-08-11 2018-08-06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5) US10411773B2 (ko)
EP (2) EP4016863A1 (ko)
JP (1) JP6883097B2 (ko)
KR (1) KR102280940B1 (ko)
CN (2) CN110999105B (ko)
AU (1) AU2018313622B2 (ko)
BR (1) BR112020002932A2 (ko)
CA (1) CA3070932C (ko)
CL (1) CL2020000333A1 (ko)
CO (1) CO2020000213A2 (ko)
DE (1) DE202018006314U1 (ko)
DK (1) DK3602816T3 (ko)
ES (1) ES2912343T3 (ko)
IL (1) IL272071B (ko)
MX (2) MX2020001378A (ko)
PH (1) PH12020500084A1 (ko)
PL (1) PL3602816T3 (ko)
PT (1) PT3602816T (ko)
RU (1) RU2742463C1 (ko)
WO (1) WO2019032018A1 (ko)
ZA (1) ZA2020002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63027T3 (es) 2015-01-14 2020-05-26 Ericsson Telefon Ab L M Señalización de restricción de subconjunto de libro de códigos
US10389426B2 (en) * 2017-04-25 2019-08-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er rank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012126B2 (en) * 2017-08-04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selection for CSI reporting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X2020001378A (es) * 2017-08-11 2020-03-09 Ericsson Telefon Ab L M Señalizacion mejorada para la restriccion de subconjuntos de codigos a base de haces.
US11515927B2 (en) * 2020-10-30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Beam management with backtracking and dithering
US20220393743A1 (en) * 2021-05-11 2022-12-08 Nokia Technologies Oy Precoding information
US20230170976A1 (en) * 2021-11-30 2023-06-01 Qualcomm Incorporated Beam selection and codebook learning based on xr perception
WO2024077431A1 (en) * 2022-10-10 2024-04-18 Qualcomm Incorporated Ul codebook adaptation for pusch
JP7463583B1 (ja) 2023-03-07 2024-04-08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基地局、システム、並びに、アンテナ指向性のヌルを形成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708A2 (en) * 2015-01-14 2016-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book subset restriction signaling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53678C (en) 2004-01-30 2014-07-08 Universite Laval Multi-user adaptive array receiver and method
US20080051091A1 (en) 2006-08-25 2008-02-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robustness of handover in E-UTRAN with paging of the active UE
TWI467971B (zh) * 2006-10-26 2015-01-01 Qualcomm Inc 於多重存取無線通訊系統中編碼簿交換之方法及裝置
US20100223237A1 (en) 2007-11-05 2010-09-02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Lossless data compression and real-time decompression
KR101435846B1 (ko) 2008-10-30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 방법
BRPI0823365A2 (pt) 2008-12-22 2015-06-16 Ericsson Telefon Ab L M Primeiro nó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e, método para estabelecer comunicação entre um primeiro nó e um segundo nó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US8428177B2 (en) 2009-02-25 2013-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transmit beamforming
US9344243B2 (en) 2009-03-16 2016-05-17 Blackberry Limited Transmission using common and dedicated pilots
BR112012004797A2 (pt) 2009-09-02 2017-02-21 Rockstar Bidco Lp sistemas e métodos para codificação usando uma tabela de codificação reduzida com reconfiguração adaptativa
EP2404455B1 (en) 2010-01-12 2017-12-20 ZT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based on a kronecker product
KR20110083537A (ko) 2010-01-12 2011-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코드북 구성 및 하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276855B1 (ko) 2010-03-08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코딩 행렬 정보 전송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프리코딩 행렬 구성방법 및 기지국
US9088322B2 (en) 2010-03-31 2015-07-21 Nokia Technologies Oy Codebook subset restriction based on codebook grouping
ES2540865T3 (es) 2010-04-06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Diseño de libro de códigos y estructura para retroalimentación modular
PT2556597T (pt) * 2010-04-07 2017-09-01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Estrutura de pré-codificador para pré-codificação mimo
CN104980204B (zh) 2010-04-08 2018-07-17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多天线的无线通信系统中使用码本的信号传输方法和装置
WO2011150549A1 (en) 2010-06-01 2011-12-0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on of beam groups and subset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US8494033B2 (en) 2010-06-15 2013-07-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providing precoder feedback using multiple precoder indices and related communications devices and systems
KR20120003781A (ko) 2010-07-05 2012-01-11 주식회사 팬택 송신장치 및 그 통신방법, 수신장치, 그 통신방법
CN102082637B (zh) 2010-09-16 2015-03-25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码本子集约束的处理方法及设备
EP2619922B1 (en) 2010-09-23 2016-08-10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Antenna device and method in a mimo system
US8913674B2 (en) 2010-10-04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debook subset restriction bitmap
KR20120049095A (ko) 2010-11-08 2012-05-16 주식회사 팬택 송신장치 및 그 통신방법, 수신장치, 그 통신방법
CN102082639B (zh) 2010-11-08 2014-01-2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的传输方法和设备
WO2012067448A2 (ko) 2010-11-17 2012-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제어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5265657B2 (ja) 2010-12-27 2013-08-14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8885749B2 (en) 2012-03-02 2014-11-1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in for transforming a data transmission signal
WO2013129984A1 (en) 2012-03-02 2013-09-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therein for transmitting a data signal to a user equipment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8913682B2 (en) 2012-05-18 2014-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codeword construction for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38321B2 (en) * 2012-07-12 2016-09-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debook subset restriction for two-dimensional advanced antenna systems
US9130619B2 (en) 2012-09-11 2015-09-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in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with reduced codebook in a multi-antenn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17148B (zh) 2012-09-28 2018-03-01 內數位專利控股公司 用於報告回饋的無線發射/接收單元及方法
US8971437B2 (en) 2012-12-20 2015-03-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channel feedback
US8942302B2 (en) 2012-12-20 2015-01-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tenna array channel feedback
US20140198868A1 (en) 2013-01-17 2014-07-17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L MIMO Precoding Enhancement
US10020859B2 (en) 2013-01-17 2018-07-10 Nec Corporation Channel feedback for vertical and full-dimensional beamforming
US9755716B2 (en) 2013-03-07 2017-09-05 Nec Corporation Codebook construction
US9401749B2 (en) 2013-03-08 2016-07-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for codebook enhancement for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US20140301492A1 (en) 2013-03-08 2014-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coding matrix codebook design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KR101959322B1 (ko) 2013-04-28 2019-03-1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프리코딩 행렬 인디케이터 피드백 방법, 수신단 및 송신단
CN105359569B (zh) 2013-07-09 2019-07-09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信道状态报告的方法及其设备
KR102064939B1 (ko) 2013-08-07 2020-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이차원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피드백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5199256A1 (ko) 2014-06-25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성 기반 빔포밍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60072562A1 (en) 2014-09-10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with basis expansion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US20190089441A1 (en) 2014-10-01 2019-03-21 Ne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imo communication
CN105530037B (zh) 2014-10-24 2019-04-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道状态信息的反馈、获取方法及装置
US9893777B2 (en) 2014-11-17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WO2016153163A1 (en) 2015-03-22 2016-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eedback of multi-feedback chain-based channel status information for 3d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110286B2 (en) 2015-03-30 2018-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design and signaling
US9806781B2 (en) 2015-04-29 2017-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debook design and structure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838095B2 (en) 2015-07-21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er rank codebooks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X2020001378A (es) * 2017-08-11 2020-03-09 Ericsson Telefon Ab L M Señalizacion mejorada para la restriccion de subconjuntos de codigos a base de ha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708A2 (en) * 2015-01-14 2016-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book subset restriction signa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99105B (zh) 2022-05-10
WO2019032018A1 (en) 2019-02-14
US20190349043A1 (en) 2019-11-14
DK3602816T3 (da) 2022-03-21
US20210194549A1 (en) 2021-06-24
US10972162B2 (en) 2021-04-06
IL272071B (en) 2021-06-30
CN114696880A (zh) 2022-07-01
RU2742463C1 (ru) 2021-02-08
DE202018006314U1 (de) 2020-02-06
EP3602816B1 (en) 2022-03-02
IL272071A (en) 2020-03-31
CA3070932C (en) 2023-04-04
ZA202000282B (en) 2022-07-27
PT3602816T (pt) 2022-04-07
US20230370128A1 (en) 2023-11-16
JP6883097B2 (ja) 2021-06-09
PL3602816T3 (pl) 2022-07-04
ES2912343T3 (es) 2022-05-25
US10608715B2 (en) 2020-03-31
US10411773B2 (en) 2019-09-10
CN110999105A (zh) 2020-04-10
KR102280940B1 (ko) 2021-07-23
CL2020000333A1 (es) 2020-07-10
CO2020000213A2 (es) 2020-01-17
US20190158161A1 (en) 2019-05-23
US11757499B2 (en) 2023-09-12
BR112020002932A2 (pt) 2020-08-04
CA3070932A1 (en) 2019-02-14
EP3602816A1 (en) 2020-02-05
MX2023008337A (es) 2023-07-25
AU2018313622A1 (en) 2020-02-20
EP4016863A1 (en) 2022-06-22
AU2018313622B2 (en) 2021-08-12
PH12020500084A1 (en) 2020-11-09
JP2020503711A (ja) 2020-01-30
MX2020001378A (es) 2020-03-09
US20200186214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40B1 (ko) 개선된 빔-기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시그널링
KR102277704B1 (ko) 다중 패널 안테나 어레이로부터의 전송의 프리코딩
KR102247005B1 (ko) 더 최적화된 오버헤드를 갖는 멀티-빔 코드북들
KR10226952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정보를 피드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733493B (zh) 用于确定预编码矩阵的方法和装置
CN107078773B (zh) 使ue能够确定预编码器码本的网络节点、用户设备及其方法
EP3345307B1 (en) Precoding a transmission from a one-dimensional antenna array that includes co polarized antenna elements aligned in the array's only spatial dimension
KR101819911B1 (ko) 코드북을 생성하는 방법
JP2019518349A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プリコーダパラメータを示す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13630162A (zh) 用于操作mimo测量参考信号和反馈的方法和装置
EP29654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book enhancement for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CN107852279B (zh) 码本的配置方法和用户设备
CN106160825B (zh) 信道信息的配置方法及装置、反馈方法及装置
CN107113643B (zh) 一种资源选择的方法及装置和一种电子设备
WO2017167156A1 (zh) Dmrs的发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