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827A -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827A
KR20200030827A KR1020180109550A KR20180109550A KR20200030827A KR 20200030827 A KR20200030827 A KR 20200030827A KR 1020180109550 A KR1020180109550 A KR 1020180109550A KR 20180109550 A KR20180109550 A KR 20180109550A KR 20200030827 A KR20200030827 A KR 20200030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lectronic device
reception
received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888B1 (ko
Inventor
김태윤
임채만
강민규
우준영
이영포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3888B1/ko
Priority to PCT/KR2019/011305 priority patent/WO2020055022A1/ko
Priority to US17/269,761 priority patent/US11528072B2/en
Publication of KR20200030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METHOD FOR CONTROLLING BE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고주파(mmWave) 대역(예: 60기가(60GHz) 대역)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와 같은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지정된 주기마다 수신되는 트레이닝 신호(training signal)에 기반하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RX beam)을 갱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이동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주변 기지국들의 정보, 신호 상태, 및 주변 기지국들의 송신 빔(TX beam)과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전자 장치의 수신 빔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변 기지국들의 송신 빔은 전자 장치와 주변 기지국들 간의 거리로 인하여 크게 변화되지 않는 반면, 전자 장치의 수신 빔은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화될 때마다 각각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탐색(search)하는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 동작을 수행해야 한다. 전자 장치가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탐색하는 동안 전자 장치와 서빙(serving)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영향을 받게 되며, 수신 빔 탐색을 수행해야 하는 주변 기지국의 수가 많을수록 그 영향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탐색하는 동작을 최소화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탐색하는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서빙(serving) 기지국 간의 데이터 송수신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각각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탐색하는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신 빔 탐색에 의해 야기되는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해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해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수신 빔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해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신호 흐름의 예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동성(mobility)을 갖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음악 재생 장치(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장치(portable game console),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또는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이동국(mobile station), 단말(terminal) STA(station), 또는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지국(102)은 전자 장치(101)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지국(102)은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강화된 노드 B(eNB), 또는 AP(access point) 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110에서,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의 복수의 빔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training signal)들을 송신할 수 있다. 트레이닝 신호는 기지국(102)의 복수의 빔들 중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에 적합한 기지국(102)의 송신 빔(예: best TX beam) 및/또는 전자 장치(101)의 수신 빔(예: best RX beam)을 결정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트레이닝 신호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빔 참조 신호(BRS, beam reference signal), 또는 동기 신호 블록(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들을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예: 제1 빔 내지 제n 빔) 중 하나의 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20에서,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의 복수의 빔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들을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다른 하나의 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기지국(102)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트레이닝 신호에 포함된 기지국(102)의 송신 전력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별로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 값이 가장 큰 값을 갖는 빔을 기지국(102)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40에서,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의 복수의 빔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들을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하나의 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0에서, 기지국(102)은 기지국(102)의 복수의 빔들을 통해 전자 장치(101)로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트레이닝 신호들을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다른 하나의 빔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60에서,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의 자세 변화로 인해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101)의 복수의 빔들 중 가장 낮은 경로 손실 값을 갖는 빔은 동작 130에서 결정된 빔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사이의 경로의 상태 변화에 기반하여 기지국(102)에 대한 수신 빔을 다른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동작 110 내지 동작 120과 동작 140 내지 동작 150은, 빔 트레이닝(beam training), 빔 시그널링(beam signaling), 또는 빔 측정(beam measurement)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사이의 경로의 형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빔 트레이닝을 통해 기지국(102)에 대한 최적 (best 또는 preferred)의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201)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과 통신을 위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도 1에 예시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1 기지국(202)(예: 도 1의 기지국(102)), 제2 기지국(203) (예: 도 1의 기지국(102)), 및 제3 기지국(204)(예: 도 1의 기지국(102))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 장치(201)로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빙 기지국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빔 트레이닝을 통해 결정된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의 송신 빔은 전자 장치(201)의 자세(posture)가 변화하더라도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과 전자 장치(201) 사이의 거리로 인하여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에 대한 전자 장치(201)의 수신 빔은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의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의 송신 빔은 변화가 없는 반면,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 각각에 대한 전자 장치(201)의 수신 빔은 전자 장치(101)의 자세가 변화되기 이전의 수신 빔과는 다른 빔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가 변경되는 경우, 전자 장치(201)의 주변에 위치한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기지국들(202 내지 204) 각각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1)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전자 장치(201)는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동안 송신 기지국과 최적의 빔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없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빔 트레이닝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300)에서 전자 장치(301)(예: 전자 장치(101 또는 201))는 제1 네트워크(3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3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3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304) 또는 서버(3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서버(3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는 프로세서(320), 메모리(330), 입력 장치(350), 음향 출력 장치(355), 표시 장치(360), 오디오 모듈(370), 센서 모듈(376), 인터페이스(377), 햅틱 모듈(379), 카메라 모듈(380), 전력 관리 모듈(388), 배터리(389), 통신 모듈(390), 가입자 식별 모듈(396), 또는 안테나 모듈(3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3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360) 또는 카메라 모듈(3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3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3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320)에 연결된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3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376) 또는 통신 모듈(3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3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3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3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메인 프로세서(3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3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323)은 메인 프로세서(3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323)는 메인 프로세서(3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3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3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3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3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321)와 함께,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360), 센서 모듈(376), 또는 통신 모듈(3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3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380) 또는 통신 모듈(3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0) 또는 센서 모듈(3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휘발성 메모리(3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3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340)은 메모리(3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342), 미들 웨어(3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350)는, 전자 장치(3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3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3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3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3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3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360)는 전자 장치(3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3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3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3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370)은, 입력 장치(3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355), 또는 전자 장치(3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376)은 전자 장치(3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3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77)는 전자 장치(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3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3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3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3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3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3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3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3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388)은 전자 장치(3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389)는 전자 장치(3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3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90)은 전자 장치(3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302), 전자 장치(304), 또는 서버(3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390)은 프로세서(3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390)은 무선 통신 모듈(3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3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3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3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392)은 가입자 식별 모듈(3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398) 또는 제2 네트워크(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3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3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1 네트워크 398 또는 제2 네트워크 3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3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3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399)에 연결된 서버(308)를 통해서 전자 장치(301)와 외부의 전자 장치(304) 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302, 304) 각각은 전자 장치(3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302, 304, 또는 3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3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3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 통신 모듈(400)(예: 무선 통신 모듈(392))은 부호화 및 변조부(401), 디지털 빔포밍부(402),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 및 아날로그 빔포밍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부호화 및 변조부(401)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 코드, 또는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1)는 성상도 맵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빔포밍부(402)는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2)는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및/또는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구현 방식에 따라,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빔포밍부(404)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2)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40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3-1 내지 403-N)은 적응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복수인 경우, 신호 세기 값이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beambook)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이동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 각각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변경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501에서, 제1 기지국(예: 기지국(101) 또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예: 제1 기지국(202), 제2 기지국(203), 및 제3 기지국(204))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이 결정된 이후, 기지국들 중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201)와 제1 기지국(202)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전자 장치(201)의 수신 빔은 전자 장치(201) 자세가 변경되기 이전의 수신 빔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제1 기지국(202)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빔 트레이닝을 통해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을 다른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되면,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빔북(beambook) 정보(또는 코드북(codebook)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변화량(예: 3축 회전값(rotation value))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503에서,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201)와 제2 기지국(203)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와 제2 기지국(203)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측정값(measurement)(예: 신호 세기)을 획득하고,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하나 이상인 경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201)의 복수의 빔들 중 후보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 중 한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들의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다른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고, 후보 수신 빔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빔 트레이닝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변 기지국들(예: 제1 기지국 및 제2 기지국)의 송신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주변 기지국들의 송신 빔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에만 도 5a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는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모뎀 또는 이동 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예: 센서 모듈(376))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한 경우, 동작 503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더라도 동작 503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한 경우, 센서(예: 센서 모듈(376))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고 있는 중이면, 동작 503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531에서, 제1 기지국(예: 기지국(101) 또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기지국들(예: 제1 기지국(202), 제2 기지국(203), 및 제3 기지국(204))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이 결정된 이후, 기지국들 중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201)와 제1 기지국(202)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전자 장치(201)의 수신 빔은 전자 장치(201) 자세가 변경되기 이전의 수신 빔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와 제1 기지국(202)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빔 트레이닝을 통해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을 다른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되면,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빔북(beambook) 정보(또는 코드북(codebook)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변화량(예: 3축 회전값(rotation value))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533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201)와 제2 기지국(203)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빔 트레이닝을 통해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을 다른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201)와 제2 기지국(203)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자세 변화에 의해 전자 장치와 제2 기지국(203) 사이의 경로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한 측정값(measurement)(예: 신호 세기)을 획득하고,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하나 이상인 경우,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기준 신호 세기 이상의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201)의 복수의 빔들 중 후보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이 결정되면,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의 빔북(beambook)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의 변화량(예: 3축 회전값)을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535에서,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또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또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식별된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및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식별된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만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거나, 복수의 부호 수신 빔들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및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 중 두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들의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를 식별하고,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반하여 복수의 주변 기지국들 중 다른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함으로써, 모든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빔 트레이닝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의 주변에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제3 기지국이 위치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기지국들의 수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주변에는 4개 이상의 주변 기지국들이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위치한 4개 이상의 주변 기지국들 중 2개의 주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의 변화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나머지 기지국들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주변 기지국들(예: 제1 기지국, 제2 기지국, 및 제3 기지국)의 송신 빔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주변 기지국들의 송신 빔도 변경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에만 도 5b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전자 장치는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주변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모뎀 또는 이동 속도 측정을 위한 센서(예: 센서 모듈(376))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한 경우, 동작 533 내지 동작 535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더라도 동작 533 내지 동작 535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한 경우, 센서(예: 센서 모듈(376))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고 있는 중이면, 동작 533 내지 동작 535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b의 동작 533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601에서, 빔 트레이닝을 통해 제2 기지국(예: 기지국(102) 또는 제2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된 경우, 제2 기지국(203)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전자 장치(201)의 복수의 빔들에 대한 측정 값(예: 신호 세기)를 획득하고, 이중 가장 큰 측정 값을 갖는 빔을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603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된 경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수신 빔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은 도 5a의 동작 503 또는 도 5b의 동작 533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701에서, 제1 기지국(예: 기지국(102) 또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예: 기지국(102) 또는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만으로는 전자 장치의 변경된 자세를 특정하지 못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된 경우, 수신 빔의 변경을 야기한 전자 장치(801)의 변경된 자세는, 변경된 수신 빔으로부터 제1 기지국으로 향하는 방향을 기준 축으로 전자 장치(801)가 회전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제1 상태(801-1) 또는 제2 상태(80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801)는 하나의 수신 빔의 변경 정보 만으로 전자 장치(801)의 변경된 자세를 결정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801)는 제1 기지국(8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와 같이, 전자 장치(801)에 대한 제2 기지국(803)의 방향은 전자 장치의 변경된 자세(예: 제1 상태(801-1) 또는 제2 상태(801-2))와 관계없이 유지되므로, 전자 장치(801)는 변경된 제1 기지국(802)에 대한 수신 빔으로부터 제1 기지국(802)으로 향하는 방향을 기준 축으로 전자 장치(801)가 360도 회전될 시 제2 기지국(803)에 대한 수신 빔이 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빔북 정보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703에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이후 나머지 빔들을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705에서,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한 경우, 복수의 후보 빔들 중 가장 낮은 경로 손실 값을 갖는 후보 빔을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이후 나머지 빔들을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 중 가장 낮은 경로 손실 값을 갖는 후보 빔을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707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됨에 따라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된 경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에 따라 전자 장치의 모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빔 트레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통해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a의 동작 503 또는 도 5b의 동작 533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901에서, 제1 기지국(예: 기지국(102) 또는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예: 기지국(102) 또는 제2 기지국(203))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7의 동작 701과 같이, 변경된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기준으로 전자 장치가 360도 회전될 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될 수 있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빔북 정보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903에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905에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측정값이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각각을 통해 제2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함으로써,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는 경우, 동작 907을 수행하고,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작 909를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907에서,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대응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복수 개인 경우, 신호 세기 값이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909에서,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 것에 대응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 중 후보 수신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들을 이용하여 제2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911에서,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의 모든 빔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경우보다 빔 트레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은 도 5b의 동작 535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제1 기지국(예: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또는 제2 기지국(예: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전자 장치(1101)는 빔북 정보(1102)로부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빔 A에서 빔 A`로 변경되고,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빔 B에서 빔 B`로 변경됨을 식별한 경우, 빔북 정보(1102)의 각각의 빔들에 매핑된 회전 각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101)의 자세가 제1 상태(1101-1)에서 제2 상태(1101-2)로 변경(예: X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11b와 같이, 전자 장치(1101)는 빔북 정보(1102)로부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빔 A에서 빔 A`로 변경되고,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빔 B에서 빔 B`로 변경됨을 식별한 경우, 빔북 정보(1102)에 매핑된 회전 각도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1101)의 자세가 제1 상태(1101-1)에서 제3 상태(1101-3)로 변경(예: X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되고, Y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었음을 식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1)의 빔북 정보(1102)에 포함된 빔의 수 및 각도 정보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 모듈의 수, 위치, 크기, 및/또는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1003에서,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3 기지국(예: 제3 기지국(204))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a와 같이, 전자 장치의 자세가 제1 상태(1101-1)에서 제2 상태(1101-2)로 변경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기 이전의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부터 X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된 각도에 상응하는 빔을 빔북 정보(1102)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식별된 빔을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1005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또는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기 위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빔 트레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가 두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를 식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센서(예: 센서 모듈(376))를 통해 측정된 자세 변화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할 수도 있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b의 동작 535의 상세 동작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1, 201, 또는 301))는 동작 1201에서, 제1 기지국(예: 제1 기지국(202))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 및/또는 제2 기지국(예: 제2 기지국(203))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의 동작 110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통해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203에서,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빔북 정보로부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0의 동작 1003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을 통해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빔북 정보로부터 결정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주변 빔들을 제3 기지국에 대한 후보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1)의 빔북 정보(1102)에 포함된 빔의 수 및 각도 정보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안테나 모듈의 수, 위치, 크기, 및/또는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동작 1205에서, 전자 장치는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 중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제3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후보 수신 빔들 중 하나를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 중 후보 수신 빔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제3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이후 나머지 빔들을 이용하여 제3 기지국과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후보 수신 빔들을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는 경우, 나머지 빔들을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후보 수신 빔이 복수인 경우, 신호 세기 측정값이 가장 큰 후보 수신 빔을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 1207에서,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후보 수신 빔들만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거나 또는 결정된 후보 수신 빔들을 우선적으로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빔 트레이닝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전자 장치가 두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를 식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센서(예: 센서 모듈(376))를 통해 측정된 자세 변화값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복수인 경우, 신호 세기 값이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beambook)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이동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 각각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변경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3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336) 또는 외장 메모리(3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3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고,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복수인 경우, 신호 세기 값이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beambook)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고,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이동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 각각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이 변경됨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빔 트레이닝 수행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 중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빔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복수인 경우, 신호 세기 값이 가장 큰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을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세기를 만족하는 신호를 수신한 후보 수신 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의 복수의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beambook)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변경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변경 정보 및 상기 제2 변경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 변화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빔북 정보로부터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복수의 후보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후보 수신 빔들에 대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상기 결정된 빔으로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이동 속도가 기준 이동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 각각에 대한 빔 트레이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 기지국,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제3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경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변경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한 수신 빔의 3축 회전값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109550A 2018-09-13 2018-09-13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5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50A KR102553888B1 (ko) 2018-09-13 2018-09-13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CT/KR2019/011305 WO2020055022A1 (ko) 2018-09-13 2019-09-03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7/269,761 US11528072B2 (en) 2018-09-13 2019-09-03 Method for controlling be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50A KR102553888B1 (ko) 2018-09-13 2018-09-13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27A true KR20200030827A (ko) 2020-03-23
KR102553888B1 KR102553888B1 (ko) 2023-07-11

Family

ID=6977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50A KR102553888B1 (ko) 2018-09-13 2018-09-13 빔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28072B2 (ko)
KR (1) KR102553888B1 (ko)
WO (1) WO20200550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6033B2 (en) 2021-04-30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erforming beam train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23234575A1 (ko) * 2022-05-30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위핑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6396A4 (en) * 2020-07-29 2022-11-30 ZTE Corporation BEAM STATE DETERMINATION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314A (ko) * 2011-07-15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고정 장치 및 방법
KR101884332B1 (ko) * 2011-09-14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셀 형성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726B1 (ko) 2003-09-03 200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어레이 안테나 빔 형성 방법 및 장치
US8542640B2 (en) 2008-08-28 2013-09-24 Ntt Docomo, Inc. Inter-cell approach to operating wireless beam-forming and user selection/scheduling in multi-cell environments based on limited signaling between patterns of subsets of cells
JP5205330B2 (ja) 2009-04-27 2013-06-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ならびに基地局装置
KR101836207B1 (ko) 2011-09-02 2018-04-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의 빔 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57783B1 (ko) 2012-09-12 2019-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98940B1 (ko) * 2014-03-21 2015-03-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호 송수신 상황에 기반한 빔 포밍 장치 및 방법
CN107135021B (zh) * 2016-02-29 2021-10-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波束跟踪方法及相应的终端和基站
WO2017176022A1 (en) 2016-04-04 2017-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eam in beamforming system
US10141986B2 (en) * 2016-04-14 2018-1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through beamforming in communication system
US10396874B1 (en) * 2016-04-25 2019-08-27 Avago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les Pte. Limited Proactive beamforming while in motion
CN107896123B (zh) * 2016-09-30 2021-03-0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大规模天线波束传输方法及基站、终端
US9900891B1 (en) * 2016-12-20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Fallback beam selection procedure during failure of beam change instruction reception
CN109392091B (zh) * 2017-08-11 2021-10-2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用户终端及其寻呼消息传输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95153B (zh) * 2017-09-13 2022-02-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用于波束训练与跟踪的异构网络、移动装置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9314A (ko) * 2011-07-15 2013-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고정 장치 및 방법
KR101884332B1 (ko) * 2011-09-14 201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상 셀 형성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6033B2 (en) 2021-04-30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performing beam training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same
WO2023234575A1 (ko) * 2022-05-30 2023-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 스위핑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 통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22A1 (ko) 2020-03-19
US20210306058A1 (en) 2021-09-30
KR102553888B1 (ko) 2023-07-11
US11528072B2 (en) 202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807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be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118894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ming relationshi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206718A1 (en) Positioning method using multiple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EP41815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US202300779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hannel recovery for angle domain sparse channels
US11502739B2 (en) Method for selecting beam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20102492A (ko)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오디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9841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TW202205825A (zh) 獲得及構成波束成形矩陣的方法及系統以及電腦可讀媒體
KR20220096725A (ko) 액세서리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EP4373206A1 (en)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EP4262236A1 (en) Audio device for processing audio data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30099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cording audio data acquired from plurality of devices
US20240056720A1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US20220345871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39768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wireless sig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4006990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230342209A1 (en) Service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20220393825A1 (en) Electronic device for allocating resource in wla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351183A1 (en) Uwb signal opera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51865A (ko) 무선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20147458A (ko) 장치 식별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39544A (ko) 8 전송 포트 동작을 위한 진보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050862A (ko) 위치 확인을 위한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20098577A (ko)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