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525A -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525A
KR20200030525A KR1020200031005A KR20200031005A KR20200030525A KR 20200030525 A KR20200030525 A KR 20200030525A KR 1020200031005 A KR1020200031005 A KR 1020200031005A KR 20200031005 A KR20200031005 A KR 20200031005A KR 20200030525 A KR20200030525 A KR 20200030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wireless lan
lan system
repeated
b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1137B1 (ko
Inventor
유희정
정민호
이재승
권형진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03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525A/ko
Priority to KR102021001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7Modulators with direct modulation of individual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5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 H04L27/2617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using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는,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신호 반복부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반복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페이즈 로테이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FDM TRANSMISSION IN WIRELESS LAN}
아래에서 기술하는 것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오에프디엠(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기술의 진화 방향은 크게 3가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 번째 방향은 전송 속도를 더욱 높이기 위한 기술로서 60GHz 밴드를 사용하는 무선랜 기술과 5GHz 밴드를 사용하는 무선랜 기술이 있다. 두 번째 기술은 기존의 무선랜 기술 보다 커버리지를 늘리기 위해 1GHz 미만의 주파수 밴드를 활용하는 광역 무선랜 기술이 있다. 세 번째 방향은 무선랜 시스템의 링크 셋업 시간을 줄이기 위한 기술이 있다.
광역 무선랜 기술은 다중 대역폭(multi bandwidth)을 지원할 수 있고, OFDM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OFDM 전송 방식의 특성 상 높은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광역 무선랜 시스템에서 주파수 반복 기법의 OFDM 변조를 사용하는 경우,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광역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는,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신호 반복부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반복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리버와,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페이즈 로테이션부를 포함한다.
상기 페이즈 로테이션부는 상기 변조된 심벌들 중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의 위상은 유지하고, 상기 변조된 심벌들 중 상기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페이즈 로테이션부는 상기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 중 일부 심벌들의 위상은 유지하고, 나머지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페이즈 로테이션부는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45°, 90°, 135°, 또는 180°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상기 무선랜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복수의 대역폭들 중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대역폭 모드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대역폭 모드의 프레임 구조는 기본 프레임 및 상기 기본프레임과 위상이 다른 듀플리케이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숏 트레이닝 필드(Short Training Field, STF), 롱 트레이닝 필드(Long Training Field, LTF) 및 반복 부호화된 신호필드(repetition coded SIG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은,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반복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는,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신호 반복부와,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를 컨버전하는 비트 컨버전(conversion)부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변조부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예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은,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를 컨버전하는 단계와,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파수 반복 기법의 OFDM 변조를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PAPR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광역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의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다중 대역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다중 대역폭 중 1MHz 모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duplication mode 프레임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다중 대역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광역 무선랜 시스템, 예를 들어 IEEE 802.11ah 표준에 정의된 무선랜 시스템은 다중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다중 대역폭은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1 대역폭의 2배 크기인 제2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대역폭의 값은 1MHz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중 대역폭은 1MHz 대역폭(110), 2MHz 대역폭(120), 4MHz 대역폭(130), 8MHz 대역폭(140) 및 16MHz 대역폭(15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은 1GHz 이하일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대역폭은 1MHz, 2MHz, 4MHz, 8MHz 및 16MHz를 포함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주파수 하한 값(161)은 700~920[MHz] 사이의 값이고, 주파수 상한 값(163)은 750~930[MHz] 사이의 값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MHz 대역폭(110)은 전체 채널에 걸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대역폭들(120, 130, 140, 150)은 전체 채널의 일부 구간에만 할당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16MHz 대역폭(150)은 도 1의 참조부호 165에서 주파수 상한 값(163) 사이에 할당될 수 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2MHz 대역폭(120)은 8개의 채널들이 할당되어 있고, 4MHz 대역폭(130)은 4개의 채널들이 할당되어 있고, 8MHz 대역폭(140)은 2개의 채널들이 할당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채널 할당은 예시적인 것이고, 채널의 개수 및 주파수 밴드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역폭의 값이 1MHz(110)인 전송 모드를 1MHz 모드라 칭하고, 마찬가지로 대역폭의 값이 2MHz(120)인 전송 모드를 2MHz 모드라 칭하기로 한다.
1MHz 모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구조를 유지하면서 32개의 부반송파를 갖는 전송 모드이다. 이때, 1MHz 모드는 주파수 영역 반복(repetition) 전송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역폭들 중 전송률은 가장 낮다. 그러나, 1MHz 모드는 신호대 잡음비가 낮아서 가장 먼 거리까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1GHz 미만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광역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말들은 1MHz 모드에서 전송되는 신호 및 2MHz 모드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모두 수신 할 수 도 있다.
광역 무선랜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률이 아주 낮고, 전송 빈도가 낮을 수 있다. 따라서,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전력 소모를 줄여 한번 설치 된 후에 오랫동안 사용되는 것과 스테이션(STA: Station) 또는 AP(Access Point)의 통신 도달 거리를 늘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저속 데이터의 전송 만을 요구하는 센서 기기들의 통신 도달 거리 확장을 위해서, 1MHz 모드의 BPSK, 1/2 BCC (binary convolutional code) 전송률에 대하여 주파수 반복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OFDM 전송 방식의 특성상 같은 심볼이 두 개의 부반송파에 실리면 상대적으로 높은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PAPR: 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갖게 된다. 따라서, OFDM 전송 방식의 특성상 PAPR로 인한 전력 증폭기의 비효율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변조과정 이후에 심볼의 위상 변화 시켜 PAPR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광역 무선랜 시스템의 다중 대역폭 중 1MHz 모드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MHz 모드 프레임은 숏 트레이닝 필드(Short Training Field, STF)(210), 롱 트레이닝 필드(Long Training Field, LTF1)(220) 및 반복 부호화된 신호필드(repetition coded SIG field)(230)를 포함한다.
STF(210)는 신호 검출, 자동이득 조절 및 초기 동기 등을 위한 짧은 훈련 구간이다.
LTF1(220)은 정교한 동기 및 SIG 심벌들을 검파하기 위한 채널 추정 구간이다.
1MHz 모드 프레임의 SIG 필드(230)는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생략되어 있는 구조로서 36비트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LTF 2~LFT N은 LTF1과 함께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채널 추정을 위해 추가될 수 있다. LTF 2~LFT N의 길이는 전송 스트림의 개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도 2에서 "repetition or non-repetition (SERVICE+DATA)"는 전송하기 위한 실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송신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송신단은 1MHz 모드의 프레임을 BPSK 변조하여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램블러(scrambler)(310)는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랜덤화(randomize)한다.
FEC(forward error correction)(320)는 순방향 에러 정정을 위한 1/2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2x block-wise repetition(330)은 하나의 OFDM 심벌에 삽입되는 블록 단위로 비트열을 반복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x block-wise repetition(330)은 부호화된 비트열을 12비트 단위로 반복하여 부호화된 비트열+반복된 비트열을 출력할 수 있다.
인터리버(interleaver)(340)는 인터리빙을 수행한다. BPSK(350)는 BPSK 변조를 수행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IFFT(370)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신호를 시간영역(time domain) 신호로 변환하는 32비트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할 수 있다.
IFFT(370)로부터 출력된 시간 영역 신호는 GI(380)에서 보호구간(Guard Interval)이 추가된 후 아날로그(Analog)(390)를 통해 처리 될 수 있다.
이때, BPSK(350)의 출력 신호를 그대로 IFFT(370)로 입력할 수 도 있다. 그러나, BPSK(350)의 출력 신호를 그대로 IFFT(370)로 입력하는 경우 하나의 OFDM 심볼에 동일한 신호가 두 번씩 반복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하나의 OFDM 심볼에 동일한 신호가 두 번씩 반복되는 구조는 신호의 반복에 의한 상관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OFDM 신호보다 PAPR이 더 커질 수 있다.
신호의 반복에 의한 상관 특성은 위상 변화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BPSK(350)의 출력 신호의 위상을 변화 시킨다. 이때, 기 설정된 규칙은 제어 신호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규칙은 BPSK 변조된 심벌들 중 반복된 신호를 BPSK변조한 심벌에 대해서만 위상을 변화 시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블록들의 출력 신호는 표 1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12개의 독립적인 BPSK 변조 신호는 하나의 OFDM 심볼 안에 2개의 부반송파에 실려서 전송될 수 도 있다.
또한,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은 부호화된 신호(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를 변조한 심벌들(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의 위상은 그대로 유지하고, 변조된 심벌들 중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은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중 일부 심벌들의 위상은 그대로 유지하고, 6개의 심벌들(a5, a6, a1, a2, a10, a3)만 위상을 변화시킬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 중 일부 심벌들의 위상은 유지하고, 나머지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경우 가장 낮은 PAPR이 발생할 수 도 있다.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은 90°위상 변화뿐 만 아니라,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45°, 135°, 또는 180° 변화 시킬 수 도 있다.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45°, 135°, 또는 180°변화시키는 경우, 24개의 심벌 중에서 위상 변화를 시키는 심벌도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180°변화시키는 경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은 "a6 a8 a1 a10 a11 a12"의 위상을 변화 시킬 수 있다. 위상을 180°변화시키는 경우 단순한 부호 변경 만으로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부호의 반전은 예를 들어 BPSK 심벌 -1은 1로, BPSK 심벌 1은 -1으로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180°위상 변화는 BPSK 변조 이후에 "a6 a8 a1 a10 a11 a12"의 부호 반전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BPSK 변조 이전에 비트 정보에서 0을 1로, 1을 0으로 컨버전(conversion)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래서, 2x block-wise repetition(330)에서 반복된 "b1 b6 b8 b10 b11 b12" 비트를 컨버전하는 것으로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 과정을 대체할 수 있다.
이때, 비트의 컨버전은 반복된 비트열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과 [1 0 0 0 0 1 0 1 0 1 1 1]를 XOR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심벌의 반복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심벌(a1 a9 a5 a2 a10 a6 a3 a11 a7 a4 a12 a8 a5 a1 a9 a6 a2 a10 a7 a3 a11 a8 a4 a12)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경우에도 PAPR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송신단 또는 도 6에 도시된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410단계 이전에, 송신단은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송신단은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반복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한다.
410단계에서 송신단은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킨다.
420단계에서 송신단은 IFFT를 통해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의 신호를 생성하고, 430 단계에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duplication mode 프레임의 구성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2MHz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나타낸다.
이때, 2MHz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은 기본 프레임(510) 및 상기 기본프레임(510)과 위상이 90°차이나는 듀플리케이션 프레임(5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의 전송은 DC tone을 중심으로 동일한 프레임이 위상이 90°쉬프트되어 두 개의 대역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다.
즉,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전송하는 과정은 기본 프레임을 제1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 동시에 상기 듀플리케이션 프레임을 제2 대역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수신하는 수신단은 제1 대역 및 제2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수신되는 프레임 만을 수신하여도 복조(demodul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프레임(510)은 도 2에 도시된 1MHz 모드 프레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프레임(510)은 Short Training Field(STF), Long Training Field(LTF) 및 SIG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MHz 모드 프레임의 SIG 필드는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생략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1MHz 대역폭을 기초로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대역폭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를 삽입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SIG의 reserved bit로 정의된 4비트 중에서 일부 비트를 사용하여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대역폭에 대한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주파수 축의 어떤 대역을 이용하는 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SERVICE 필드에 있는 스크램블러 시트의 하위 일부 비트를 사용하여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정의할 수 도 있다.
대역폭을 1, 2, 4, 8, 16 [MHz]로 구분하여 정의하기 위해서 3비트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1MHz 모드 프레임 구조는 다중 대역폭에 대한 정보가 생략된 형태이고, 상기 1MHz 모드 프레임 에 기초하여 생성된 기본 프레임(510)은 신호 필드 또는 서비스 필드에 다중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는 4MHz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나타낸다.
4MHz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은 기본 프레임(510) 및 기본 프레임(510) 과 위상이 180°차이나는 3개의 듀플리케이션 프레임들(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600)는 신호 반복부(610), 인터리버(620), 변조부(630), 페이즈 로테이션부(640) 및 전송부(650)를 포함한다.
신호 반복부(610)는 도 3의 2x block-wise repetition(3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반복부(610)는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이때, 부호화된 신호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복수의 대역폭들 중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대역폭 모드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대역폭 모드의 프레임 구조는 기본 프레임 및 상기 기본프레임과 위상이 다른 듀플리케이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숏 트레이닝 필드(Short Training Field, STF), 롱 트레이닝 필드(Long Training Field, LTF) 및 반복 부호화된 신호필드(repetition coded SIG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리버(620)는 도 3의 인터리버(interleaver)(3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리버(620)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반복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한다.
변조부(630)는 도 3의 BPSK(3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변조부(630)는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한다.
페이즈 로테이션부(640)는 도 3의 페이즈 로테이션(phase rotation)(36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페이즈 로테이션부(640)는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킨다.
페이즈 로테이션부(640)는 상기 변조된 심벌들 중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의 위상은 유지하고, 상기 변조된 심벌들 중 상기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페이즈 로테이션부(640)는 기 반복된 신호를 변조한 심벌들 중 일부 심벌들의 위상은 유지하고, 나머지 심벌들의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페이즈 로테이션부(640)는 상기 변조된 심벌들의 위상을 45°, 90°, 135°, 또는 180° 변화시킬 수 있다.
전송부(650)는 도 3의 IFFT(370), GI(380) 및 아날로그(Analog)(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650)는 1MHz 모드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부(650)는 도 5에 도시된 기본 프레임(510)을 제1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 동시에 상기 듀플리케이션 프레임(520)을 제2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장치(700)는 신호 반복부(710), 비트 컨버전부(720), 인터리버(730), 변조부(730), 및 전송부(750)를 포함한다.
신호 반복부(710)는 도 3의 2x block-wise repetition(3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신호 반복부(710)는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여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반복된 신호를 함께 출력한다. 이때, 부호화된 신호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복수의 대역폭들 중 신호 대 잡음비가 가장 낮은 대역폭 모드를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비트 컨버전부(720)는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를 컨버전 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트 컨버전은 XOR 연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비트 컨버전부(720)는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 중 일부 비트들의 부호는 유지하고, 나머지 비트들의 부호를 컨버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 컨버전부(720)는 반복된 비트열 [b1 b2 b3 b4 b5 b6 b7 b8 b9 b10 b11 b12]과 [1 0 0 0 0 1 0 1 0 1 1 1]를 XOR 연산할 수 있다.
인터리버(730)는 도 3의 인터리버(interleaver)(34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리버(730)는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한다.
변조부(730)는 도 3의 BPSK(3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변조부(730)는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한다.
전송부(750)는 도 3의 IFFT(370), GI(380) 및 아날로그(Analog)(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750)는 1MHz 모드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듀플리케이션 모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부(750)는 도 5에 도시된 기본 프레임(510)을 제1 대역을 통해 전송하고, 동시에 상기 듀플리케이션 프레임(520)을 제2 대역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는 신호 반복부; 및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를 컨버전하는 비트 컨버전(conversion)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컨버전부는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 중 일부 비트들의 부호는 유지하고, 나머지 비트들의 부호를 컨버전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OFDM 심볼에 포함된 12개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신호는 12개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컨버전부는
    상기 12개의 비트들과 [1 0 0 0 0 1 0 1 0 1 1 1]을 XOR 연산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리버; 및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변조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장치.
  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된 신호를 블록 단위로 반복(repetition)하는 단계;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를 컨버전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컨버전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된 신호의 비트 정보 중 일부 비트들의 부호는 유지하고, 나머지 비트들의 부호를 컨버전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는 OFDM 심볼에 포함된 12개의 비트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된 신호는 12개의 비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트 정보를 컨버전하는 단계는
    상기 12개의 비트들과 [1 0 0 0 0 1 0 1 0 1 1 1]을 XOR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와 상기 비트 정보가 컨버전된 신호를 인터리빙하여 인터리빙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리빙된 신호를 변조하여 변조된 심벌들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전송 방법.
KR1020200031005A 2012-06-19 2020-03-12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11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720A KR102328892B1 (ko) 2012-06-19 2021-01-27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520 2012-06-19
KR20120065520 2012-06-1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04A Division KR20130142932A (ko) 2012-06-19 2013-06-18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20A Division KR102328892B1 (ko) 2012-06-19 2021-01-27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525A true KR20200030525A (ko) 2020-03-20
KR102211137B1 KR102211137B1 (ko) 2021-02-02

Family

ID=4998641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04A KR20130142932A (ko) 2012-06-19 2013-06-18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200031005A KR102211137B1 (ko) 2012-06-19 2020-03-12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0210011720A KR102328892B1 (ko) 2012-06-19 2021-01-27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404A KR20130142932A (ko) 2012-06-19 2013-06-18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720A KR102328892B1 (ko) 2012-06-19 2021-01-27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9264274B2 (ko)
KR (3) KR20130142932A (ko)
CN (3) CN1083908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2932A (ko) * 2012-06-19 2013-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FR3024001A1 (fr) * 2014-07-15 2016-01-22 Airbus Ds Procede de reduction du facteur de crete d'un signal large-bande
WO2017008303A1 (zh) * 2015-07-16 2017-0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接入点及站点
CN107735942B (zh) * 2015-07-29 202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发射机和接收机
CN107786483B (zh) * 2016-08-26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信号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8632002B (zh) 2017-03-24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信号发送方法、接收方法、装置和系统
CN107359966B (zh) * 2017-05-31 2021-01-29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的发射方法及通信设备
US11576178B2 (en) 2018-07-25 2023-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PDU in wireless LAN system
CN110971555B (zh) * 2018-09-29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230130228A1 (en) * 2020-02-12 2023-04-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ppdu through 240 mhz band in wireless lan system
WO2021184184A1 (en) * 2020-03-17 2021-09-23 Qualcomm Incorporated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dication for multi-slot transmissions
WO2022073245A1 (en) * 2020-10-10 2022-04-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transmission for low power indoor wireless network
US20220345349A1 (en) * 2021-04-22 2022-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ed range commun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1845A1 (en) * 2009-08-31 2011-03-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ity and phase rotation
WO2011084356A1 (en) * 2009-12-17 2011-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ity and phase rotat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268B1 (ko) * 2003-01-14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의 피크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89680B1 (ko) 2004-07-26 2006-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신호 전송 방법 및 그 장치와, 수신방법 및 그 장치
EP1655877A1 (en) * 2004-11-03 2006-05-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transmitter structure reducing ambiguity by repetition rearrangement in the bit domain
KR100788894B1 (ko) * 2005-12-09 2007-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대된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방식의 무선 랜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992701A (zh) * 2005-12-31 2007-07-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交错型正交频分复用的接入方法及装置
KR100751098B1 (ko) * 2006-02-16 2007-08-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의 파일럿심볼 전송 방법 및 장치, 그 수신방법 및 장치
CN101461207A (zh) * 2006-04-04 2009-06-1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降低ofdm传输波形峰均值比的方法和设备
CN1984110B (zh) * 2006-04-24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降低峰均比的方法和具有低峰均比的正交频分复用系统
CN101098324B (zh) * 2006-06-27 2011-06-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实现wcdma系统中扰码相位快速旋转的方法及装置
WO2008075881A2 (en) * 2006-12-19 2008-06-26 Lg Electronics Inc. Sequence generating method for efficient detection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using the same
KR100874016B1 (ko) * 2007-06-29 2008-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 변조 장치 및 그 방법과, 계층 복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1475523B1 (ko) * 2008-04-28 2014-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프리앰블 신호의 피크 전력대 평균 전력비 저감 장치 및 방법
JP5110586B2 (ja) 2008-05-30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Ofdm復調装置、ofdm復調方法、ofdm復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255760B2 (en) * 2008-11-05 2012-08-28 Broadcom Corporation Header encoding for single carrier (SC) and/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using shortening, puncturing, and/or repetition
JP5235629B2 (ja) * 2008-11-28 2013-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装置の符号化及び変調方法、並びに復号方法
US20110280189A1 (en) * 2009-01-27 2011-11-17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515809B (zh) * 2009-03-17 2014-03-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南京分公司 载波聚合场景中降低参考信号cm的方法和装置
GB2470758B (en) * 2009-06-03 2014-08-20 Sony Corp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917784B2 (en) * 2009-07-17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very high throughput long training field sequences
CN101635980B (zh) * 2009-08-28 2012-12-12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利用cazac序列降低参考信号papr的装置和方法
US8553730B2 (en) * 2009-08-31 2013-10-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ort and long training fields
CN101795152B (zh) * 2010-01-15 2013-01-30 清华大学 前向链路基于sc-ofdma的卫星移动通信系统
JP5052639B2 (ja) * 2010-03-31 2012-10-17 株式会社東芝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RU2553278C2 (ru) * 2010-04-29 2015-06-1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локальной сети "wlan" с высок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CN101848184B (zh) * 2010-06-03 2013-04-03 山东大学 降低正交频分复用系统峰均功率比的选择性映射扰码方法
US9054929B2 (en) * 2010-08-1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Constructing very high throughput signal (VHT-SIG) fields for reduced 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KR102036296B1 (ko) * 2011-02-04 2019-10-24 마벨 월드 트레이드 리미티드 Wlan용 제어 모드 phy
KR20140053128A (ko) * 2011-06-24 2014-05-0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앰블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300510B2 (en) * 2011-12-08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nit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130142932A (ko) * 2012-06-19 2013-12-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40269768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diversity in downlink transmiss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1845A1 (en) * 2009-08-31 2011-03-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ity and phase rotation
WO2011084356A1 (en) * 2009-12-17 2011-07-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Frequency diversity and phase rotatio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Std 802.11nTM-2009 (2009.10.29.)* *
Minyoung Park, "Proposed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h", IEEE 802.11-11/1137r9, May 2012 (2012.05.1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90843A (zh) 2018-08-10
CN108390843B (zh) 2021-09-21
US20180145860A1 (en) 2018-05-24
KR102211137B1 (ko) 2021-02-02
CN104380678B (zh) 2018-04-24
KR102328892B1 (ko) 2021-11-19
US20150195115A1 (en) 2015-07-09
CN108183881B (zh) 2021-03-26
US20160156496A1 (en) 2016-06-02
KR20130142932A (ko) 2013-12-30
CN108183881A (zh) 2018-06-19
US11463293B2 (en) 2022-10-04
US10812309B2 (en) 2020-10-20
CN104380678A (zh) 2015-02-25
KR20210013273A (ko) 2021-02-03
US9264274B2 (en) 2016-02-16
US9912509B2 (en) 2018-03-06
US20200412593A1 (en)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892B1 (ko) 무선랜 시스템의 오에프디엠 전송 방법 및 장치
US94198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Y data unit
JP7230054B2 (ja) 車両環境の物理層プロトコルデータユニット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526618B1 (ko) 와이파이를 위한 레인지 확장 모드
US103970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Y data unit
JP2019071647A (ja) 通信チャネルを介した送信のためのデータユニット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124362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wlan)でデータユニットの物理層(phy)モードを自動的に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50146653A1 (e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665908B1 (en) Signaling guard interval capabil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13545336A (ja) 超高スループットワイヤレス通信に対する、コーディングおよびインターリービ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6527826A (ja) Phyヘッダフィールド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JP6464494B2 (ja) Wlanのための物理層フレームフォーマット
EP3443717A1 (en) Dual carrier modulation that mitigates papr
KR101207881B1 (ko) 직교주파수분할 다중 방식 기반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