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176A - 전동 댐퍼 - Google Patents

전동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176A
KR20200029176A KR1020180107634A KR20180107634A KR20200029176A KR 20200029176 A KR20200029176 A KR 20200029176A KR 1020180107634 A KR1020180107634 A KR 1020180107634A KR 20180107634 A KR20180107634 A KR 20180107634A KR 20200029176 A KR20200029176 A KR 20200029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tical sensor
electric damper
rotation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수
Original Assignee
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수 filed Critical 박현수
Priority to KR102018010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9176A/ko
Publication of KR20200029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댐퍼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의 개방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각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광센서; 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동작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상기 셔터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연통공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댐퍼 {ELECTRIC DAMPER}
본 발명은 전동 댐퍼에 관한 것으로, 연통로를 개폐하는 셔터의 개폐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 댐퍼에 관한 것이다.
환풍기는 건물의 실내, 예를 들어 욕실이나 화장실 등의 벽면이나 천정에 설치되어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덕트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냄새를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환풍기는 실내를 향해 개방된 공기 흡입구와 실외를 향해 개방된 공기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배기덕트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배기덕트는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풍기에는 댐퍼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환풍기가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공기 유동 경로를 밀폐시키고 있다가 환풍기가 배기 동작을 실시하면 이에 대응하여 공기 유동 경로를 개방시켜, 층간소음 및 역류성 기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댐퍼는 일반 댐퍼와 전동 댐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일반 댐퍼는 원판형의 셔터가 환풍기의 공기 토출구 내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토출구를 폐쇄하고 있다가 환풍기가 구동되면 배기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토출구를 개방시키게 된다.
반면, 전동 댐퍼는 일반 댐퍼와 달리 배기덕트 상에 별도 설치되고, 전원 인가시 작동하는 구동모터 내지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배기덕트에 설치된 원판형 셔터의 축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배기덕트의 개방 및 폐쇄를 달성한다.
이처럼 전원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방식으로 배기덕트를 개폐하는 전동 댐퍼는 일 반댐퍼에 비하여 우수한 기밀성과 높은 배기 효율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 댐퍼는 셔터의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리미트 스위치 등을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리미트 스위치는 고장이 잦을 뿐만 아니라 정확도가 낮아 잦은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센서를 이용하여 셔터의 개폐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며, 전동 댐퍼의 조립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환풍기용 전동 댐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댐퍼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의 개방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각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광센서; 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동작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상기 셔터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연통공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회전각을 감지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회전중심축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중심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제1면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면취부와 대면하는 제2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바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는, 날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날개돌기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돌기는, 18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날개돌기와 제2날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광센서는, 9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광센서와 제2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센서에서 상기 제1날개돌기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광센서가 상기 제2날개돌기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가 열려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중심축은, 상기 셔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셔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는, 외주면에 제1면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는, 상부에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은, 상기 제1면취부와 대면하는 제3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면취부와 제3면취부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과 상기 셔터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와 광센서가 장착된 하우징 및 상기 모터 및 광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후크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는, 이격된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 사이에 삽입되되, 기 제1걸림부에는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방향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덕트가 삽입 장착되는 상기 연통공의 일단 내주면에는 고정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덕트가 상기 연통공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 댐퍼에 따르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셔터의 개폐여부를 파악하기 때문에, 종래의 리미트스위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셔터의 개폐여부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댐퍼의 전체적인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그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사 등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상측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하측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셔터, 회전중식축 및 회전바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충전 캐퍼시터 양 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파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상측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하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댐퍼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의 개방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각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광센서, 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동작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상기 셔터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연통공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동 댐퍼의 외관을 이루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는 하우징(11)과 커버 (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16)는 상기 모터(40), 광센서(50), 제어부 등을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1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연통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상기 모터(40), 광센서(50), 제어부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15)에는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방향으로 걸림턱(15a)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턱(15a)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17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커버(16)를 상기 케이스(10) 방향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1걸림부(15)는 상기 커버(16)의 내측면과 상기 제2걸림부(1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5a)에 의해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은 상기 커버(16)의 내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졌다가 상기 걸림턱(15a)이 상기 걸림홈(17a)에 삽입되게 되면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크류의 체결 작업 없이 상기 커버(16)를 상기 케이스(10)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15) 및 제2걸림부(17)는 본 실시예와 달리 반대로 형성하거나 그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걸림부(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16)의 내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15)가 후크 결합되는 제2걸림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걸림부(17)는 일단이 상기 커버(16)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타단이 하 방향으로 절곡 되어 상기 커버(16)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부(15)는 이격된 상기 커버(16)의 내측면과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 사이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7a)을 상기 커버(16)의 내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16)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내구성이 저하되는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걸림부(17)를 별도로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걸림홈(17a)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셔터(20)는 상기 연통공(12)의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연통공(1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1샤프트(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샤프트(3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셔터(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샤프트(31)의 일단은 상기 모터(4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샤프트(31)의 타단을 상기 장착공(21)이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제1면취부(32)와 제3면취부(22)에 의해 상기 셔터(20)는 상기 회전중심축(30) 즉 제1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셔터(20)에 연결되어 상기 셔터(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40)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져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셔터(20)에는 상기 회전중심축(30)이 장착되고, 상기 모터(40)는 상기 회전중심축(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중심축(30)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35)는 상기 제1샤프트(31)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센서(50)는 상기 제1샤프트(31)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바(35)를 감지하여, 상기 회전중심축(30) 및 셔터(20)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바(35)에는 상기 제1샤프트(31)가 관통하는 관통공(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36)에는 상기 제1샤프트(31)의 제1면취부(32)와 대면하는 제2면취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면취부(32)와 제2면취부(37)에 의해 상기 제1샤프트(31)와 상기 회전바(35)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35)의 외주면에는 날개돌기(38)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광센서(50)는 상기 날개돌기(38)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50)는 상기 셔터(20)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50)는 상기 회전중심축(30)의 회전각을 감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중심축(30) 자세하게는 상기 제1샤프트(31)의 일단의 둘레에는 회전바(3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50)는 9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광센서(51)와 제2광센서(52)로 이루어지고, 상기 날개돌기(38)는 18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날개돌기(38a)와 제2날개돌기(38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셔터(20)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연통공(12)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터(40)의 작동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제어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센서(51)에서 상기 제1날개돌기(38a)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20)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회전바(35)가 회전하여 상기 제2광센서(52)가 상기 제2날개돌기(38b)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20)가 열려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광센서(51)와 제2광센서(52)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날개돌기(38a) 및 제2날개돌기(38b)는 18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덕트(70)가 상기 연통공(12)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7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73)는 상기 고정턱(13)에 걸려 상기 하우징(1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턱(13)에는 상기 덕트(70)의 삽입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이동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70)의 결합돌기(73)는 상기 이동홈(14)을 따라 상기 연통공(12)의 일단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셔터(20)의 회전각을 광센서(50)를 이용하여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고장률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셔터(20)의 개폐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6)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이 기판(55)과 광센서(50)와 모터(40) 등인바, 종래보다 부품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제품의 경량화 및 고장률을 저감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전동 댐퍼의 결합 관계 및 동작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셔터, 회전중식축 및 회전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2샤프트(33)가 고정 결합된 상기 셔터(20)를 상기 연통공(1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샤프트(33)는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회전바(35)의 관통공(36)을 관통한 상기 제1샤프트(31)를 상기 셔터(20)의 장착공(2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에 의해 상기 회전바(35), 회전중심축(30)(제1샤프트(31) 및 제2샤프트(33)), 셔터(20)는 함께 회전 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50)가 장착된 기판(55)을 상기 회전바(35)의 상부에 배치하고, 그 위에 상기 모터(4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샤프트(31)가 상기 모터(40)에 미리 장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커버(16)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모두 배치한 후, 상기 커버(16)를 조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걸림부(15)가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과 상기 커버(16)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16)를 누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걸림부(15)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15a)은 상기 제2걸림부(17)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17a)에 삽입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전동 댐퍼 자체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풍기에 연결된 덕트(70)를 상기 연통공(12)의 일단에 삽입하여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73)는 약간 압축되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댐퍼를 회전되면, 상기 덕트(7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73)는 상기 고정턱(13)의 안쪽에서 배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73)는 상기 연통공(1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73)가 상기 고정턱(13)에 걸려 상기 덕트(70)는 상기 연통공(12)에서 분리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전동 댐퍼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센서(51)가 상기 제1날개돌기(38a)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20)가 상기 연통공(12)을 폐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터(40)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3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바(35)는 상기 회전중심축(30)과 함께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35)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광센서(52)가 상기 제2날개돌기(38b)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셔터(20)가 회전하여 상기 연통공(12)을 개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광센서(50) 및 회전바(35)에 의해 상기 셔터(20)의 개폐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부품의 피로누적에 의한 신뢰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충전 캐퍼시터 양 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충전 캐패시터 양 단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이미지일 수 있다.
여기서, 가로축은 한 칸이 1초 단위인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한 칸이 50V 단위인 전압을 표시한다. 상용전원으로 220V 교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T0 시각은 교류 스위치가 온이 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T1 시각은 전자석(60)이 온이 되면서 충전 캐패시터(60)에 충전된 전하가 전자석(690)으로 방전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2 시각은 전자석(60)이 온 상태에서 다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T0 시각과 T1 시각 사이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30)가 오프 상태이고, 릴레이(RL)도 단락 상태이므로 충전 캐패시터(C1)의 전압은 약 220V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충전상태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T1 시각에서는 트랜지스터(30)가 온 상태, 릴레이(RL)는 연결 상태로 전환되며, T1 시각과 T2 시각 사이 구간에서 충전 캐패시터(C1)에 충전된 전하가 전자석(60)으로 방전된다.
이후, T2 시각에 리드 스위치(4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트랜지스터(30)가 오프되고 릴레이(RL)가 단락되므로 충전 캐패시터(C1)는 다시 충전을 시작한 후 정상상태(steady state)인 대략 300V까지 서서히 전압이 올라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가 구비하는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파영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랜지스터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 이미지이다.
여기서, 가로축은 한 칸이 1초 단위인 시간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한 칸이 0.5V(500mV) 단위인 전압을 표시할 수 있다.
T0 시각은 교류 스위치가 온이 되는 시점일 수 있다.
또한, T1 시각은 트랜지스터(30)가 온 되는 순간을 나타내며, T2 시각은 리드 스위치(40)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T0 시각과 T1 시각 사이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30)가 오프 상태이고, 릴레이(RL)도 단락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 단자와 베이스 단자 사이 전압은 서서히 증가하면서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여기서, T1 시각에서는 트랜지스터(30)의 에미터와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임계전압에 도달한 상태가 되면서 트랜지스터(3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며, T1 시각과 T2 시각 사이 구간에서 트랜지스터(30)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후, T2 시각에 리드 스위치(4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트랜지스터(30)가 오프된 후, 정상상태(steady state)에서는 계속 오프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케이스 20 : 셔터
30 : 회전중심축 40 : 모터
50 : 관센서 70 : 덕트

Claims (10)

  1. 광센서를 이용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공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댐퍼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연통공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연통공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1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의 개방하고, 제2 위치일 경우 상기 연통공을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회전각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의 회전각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하는 광센서;
    전력이 제공되는 경우 동작되어 상기 셔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광센서가 감지한 상기 셔터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연통공의 개폐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회전각을 감지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셔터는,
    회전중심축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의 일단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중심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감지하는,
    전동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회전중심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중심축의 외주면에는,
    제1면취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면취부와 대면하는 제2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과 상기 회전바는 함께 회전되는,
    전동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에는,
    날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날개돌기의 회전을 감지하는,
    전동 댐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돌기는,
    18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날개돌기와 제2날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광센서는,
    90도 각을 이루며 배치된 제1광센서와 제2광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센서에서 상기 제1날개돌기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2광센서가 상기 제2날개돌기를 감지하면 상기 셔터가 열려있다고 판단하는,
    전동 댐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중심축은,
    상기 셔터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샤프트 및 상기 셔터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는,
    외주면에 제1면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는,
    상부에 상기 제1샤프트가 삽입되는 장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공은,
    상기 제1면취부와 대면하는 제3면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면취부와 제3면취부에 의해 상기 회전중심축과 상기 셔터는 함께 회전되는,
    전동 댐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상기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모터와 광센서가 장착된 하우징 및 상기 모터 및 광센서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제1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후크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전동 댐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타단이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부는,
    이격된 상기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 사이에 삽입되되,
    기 제1걸림부에는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방향으로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부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전동 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덕트가 삽입 장착되는 상기 연통공의 일단 내주면에는 고정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덕트가 상기 연통공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덕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상기 고정턱에 걸려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동 댐퍼.

KR1020180107634A 2018-09-10 2018-09-10 전동 댐퍼 KR20200029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34A KR20200029176A (ko) 2018-09-10 2018-09-10 전동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634A KR20200029176A (ko) 2018-09-10 2018-09-10 전동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76A true KR20200029176A (ko) 2020-03-18

Family

ID=6999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34A KR20200029176A (ko) 2018-09-10 2018-09-10 전동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1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001A (zh) * 2020-05-22 2020-11-1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室内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12001A (zh) * 2020-05-22 2020-11-1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室内空调器
CN111912001B (zh) * 2020-05-22 2023-09-05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室内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184B1 (ko) 전동 디퓨저
RU258451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вентиля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JPH04208338A (ja) パイプ用ファン
KR200398530Y1 (ko) 후드용 댐퍼.
KR20200029176A (ko) 전동 댐퍼
CN110715387A (zh) 一种切换阀及厨房新风系统
KR100950289B1 (ko) 환기장치
JP4835319B2 (ja) 送風装置
KR20180043964A (ko) 작동감지센서가 부착된 실외기
US20120021680A1 (en) Ventilator with rotating cylinder
KR101675418B1 (ko) 환풍기용 전동댐퍼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KR20120076987A (ko) 스프링을 이용한 개폐구조를 갖는 덕트 댐퍼
KR101442590B1 (ko) 오염된 공기 배출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용 일체형 항온항습기
JP2001065937A (ja) 住宅用換気装置
JP2005127120A (ja) 自然換気装置
KR101761376B1 (ko) 전동 댐퍼
JPH0928060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6038364A (ja) 換気装置
JP2006052927A (ja) 給気装置
KR20180087016A (ko) 자연 급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문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JP2000111110A (ja) 窓枠サッシ用換気扇
CN205677479U (zh) 带窗净化门
JP2008170123A (ja) 浴室換気乾燥装置
KR20180026970A (ko) 환풍기의 팬모터 작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환풍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