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138A -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 Google Patents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138A
KR20200029138A KR1020180107512A KR20180107512A KR20200029138A KR 20200029138 A KR20200029138 A KR 20200029138A KR 1020180107512 A KR1020180107512 A KR 1020180107512A KR 20180107512 A KR20180107512 A KR 20180107512A KR 20200029138 A KR20200029138 A KR 20200029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elevator
user terminal
remot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662B1 (ko
Inventor
천홍렬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6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H04N5/232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승강기의 보수를 위한 원격 보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특정 승강기 및 해당 승강기와 연관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 복수의 VR(Virtual Reality)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하는 원격 제어 결정부, 상기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진단 부품을 인식하고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원격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보수 진단을 수행하는 보수 진단 수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격 제어를 통해 현장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승강기에 대한 보수 진단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VR-BASED ELEVATOR REMOTE MAINTENANCE APPARATUS}
본 발명은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를 통해 현장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승강기에 대한 보수 진단이 가능한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VR/AR 기술은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기술로 Virtual Reality와 Argued Reality의 약자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뜻한다. VR과 AR은 모두 안경과 같은 형태의 Wearable Device를 착용한 후 가상 세계를 경험하거나 또는 눈에 보이는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에 해당하고, 주요 적용 분야는 VR의 경우 엔터테인먼트 분야, AR의 경우 엔터테인먼트와 제품 설계 등의 분야로서 사용자의 동작과 연계가능한 인터랙티브한 동작에 반응하는 형태의 기술이 출현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08086(1998.03.11)호는 엘리베이터용 원격 보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신회선을 통해 각 엘리베이터에 각각의 지능형 보수장치를 접속하여 해당 지능형 보수장치로 하여금 고장발생을 진단하여 수리요원을 직접 호출하도록 하고, 특정 품목에 대해 성능저하 정도를 측정하여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보수장치측으로 통보하는 엘리베이터용 원격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04945(1998.02.18)호는 원격 감시 엘리베이터의 고장대응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센터의 막대한 정보를 현장에 있는 보수 요원들이 용이하게 고장수리 및 점검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이 향상되고, 고장수리 후 작업내역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중앙센터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정확성에 의한 신뢰성이 향상되며, 각 보수 요원의 위치 및 작업사항을 수시로 참조할 수 있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08086(1998.03.11)호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04945(1998.02.1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격 제어를 통해 현장 상황을 확인함으로써 승강기에 대한 보수 진단이 가능한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승강로 유지 보수 작업 중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하는 총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승강로 내에서의 작업 안전을 확보하며 유지 보수 점검자의 불필요한 승강로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현장 부품에 대한 원격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승강기의 보수를 위한 원격 보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특정 승강기 및 해당 승강기와 연관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 복수의 VR(Virtual Reality)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하는 원격 제어 결정부, 상기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진단 부품을 인식하고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원격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보수 진단을 수행하는 보수 진단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는 상기 특정 승강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 결정부는 상기 특정 승강기에 대한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진단 영역 및 진단 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진단 영역에서의 상기 진단 항목에 대한 진단을 위해 필요한 VR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진단 부품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특정 승강기의 운행과 상기 VR 카메라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보수 진단 수행부는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진단 부품의 진단 상태와 이력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보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는 승강로 유지 보수 작업 중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야 하는 총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승강로 내에서의 작업 안전을 확보하며 유지 보수 점검자의 불필요한 승강로 출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현장 부품에 대한 원격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원격 보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승강기와 연관되어 설치되는 VR 카메라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승강기와 연관되어 설치되는 VR 카메라 및 사용자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원격 보수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 데이터베이스(150) 및 VR 카메라(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원격지에서 승강기의 원격 보수를 위해 설치된 VR 카메라(17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VR 카메라(1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고 진단 부품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HMD(Head Mounted Display), VR/AR 디바이스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VR 카메라(170)에 대한 원격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승강기 원격 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가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VR 카메라(170)에 대한 원격 제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인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승강기 원격 보수를 위한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및 이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VR 카메라(170)는 원격지에서 사용자 단말(110)에게 승강기 운행 상황에 관한 정보를 영상으로 제공하기 위한 촬영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VR 카메라(170)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어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360도 영상 촬영 장치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VR 카메라(170)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VR 카메라(170)들은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R 카메라(170)는 승강기에 대한 보수를 위하여 점검이 필요한 부품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설치 위치와 VR 카메라의 설치 수는 승강기의 운행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VR 카메라(170)는 이동 가능한 로봇에 부착되어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원격 제어를 통해 로봇을 이동시킴으로써 VR 카메라(17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 원격 제어 결정부(230),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 보수 진단 수행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승강기의 보수를 위한 원격 보수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승강기를 보수하고자 하는 보수 점검자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에 특정 승강기에 대한 원격 제어 권한을 요구할 수 있고,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원격 제어의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를 통해 원격 보수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원격 보수 요청은 사용자 단말(110)이 승강기의 원격 보수를 위하여 특정 승강기 또는 VR 카메라(17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권한을 요구하는 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는 특정 승강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원격 제어를 허락할 수 있는 승강기 목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승강기 식별 정보를 기초로 원격 보수 요청의 대상이 되는 해당 승강기가 승강기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정보 또는 홍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기초로 지문인식 또는 홍채인식 등의 개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를 통해 내부적인 인증 절차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인증 시스템, 예를 들어, 인증 서버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만을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에 의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특정 승강기 및 해당 승강기와 연관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 복수의 VR(Virtual Reality) 카메라(17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특정 승강기와 연관된 VR 카메라(170)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VR 카메라(170)는 승강기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승강기 진단을 위하여 점검이 필요한 부품들을 확인할 수 있는 위치로서 기계실, 피트(FIT) 및 승강기 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특정 승강기와 연관된 VR 카메라(170) 목록을 확인하여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VR 카메라(170)를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VR 카메라(170)를 결정할 수 있지만, 조건에 따라 동시에 두개 이상의 VR 카메라(170)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VR 카메라(170)의 제어 순서를 결정하여 차례대로 VR 카메라(170)의 제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특정 승강기에 대한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진단 영역 및 진단 항목을 결정하고 진단 영역에서의 진단 항목에 대한 진단을 위해 필요한 VR 카메라(170)를 결정할 수 있다.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원격 보수의 대상이 되는 특정 승강기에 대한 운행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승강기에서 진단이 필요한 영역과 진단이 필요한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승강기의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발생한 에러 코드를 검출할 수 있고, 에러 코드 별로 설정된 진단 영역 및 진단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진단 영역은 승강기의 기계실, 피트(FIT) 또는 승강로 내부 등에 해당할 수 있고, 진단 항목은 도어의 인터록 접촉 불량, 카 상부 착상 센서 불량, 리미트 스위치 불량, 승강로 상태 점검, 피트 및 기계실 상태 점검, 또는 PCB 보드 부품이나 컨텍터 불량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특정 승강기와 연관되어 부착된 여러 센서로부터 수신된 센싱 신호를 기초로 진단 영역과 진단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결정부(230)는 특정 승강기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한 경우, 해당 승강기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해당 승강기의 남아 있는 호출을 모두 서비스한 후 수동 운전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110)을 통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17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진단 부품을 인식하고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된 점검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정 VR 카메라(170)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VR 카메라(170) 주변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의 원격 제어를 통해 특정 층으로 이동하면서 승강로의 상태에 관한 영상을 VR 카메라(1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17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영상에 포함된 진단 부품을 인식할 수 있다. 현장 영상 속에 포함된 진단 부품을 인식하는 방법은 해당 진단 부품에 부착된 QR 코드, 시리얼 넘버 등의 고유 넘버를 인식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진단 부품 분류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 인식 기반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영상 속에서 진단 부품을 인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해당 진단 부품에 관한 인터페이스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해당 인터페이스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진단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진단 인터페이스는 진단 부품을 진단하기 위한 진단 테스트에 관한 메뉴, 해당 진단 부품에 대한 운행 또는 이력 데이터에 관한 메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진단 부품의 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메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에 의해 제공되는 진단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위치에 특정 투명도를 가지도록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영상에 포함된 진단 부품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진단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식별코드는 진단 부품을 식별하기 위한 기호에 해당할 수 있고, 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 시리얼 넘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영상 또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영상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식별코드 별로 설정된 진단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단말(110)의 움직임에 따라 특정 승강기의 운행과 VR 카메라(170)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VR/AR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움직임 신호를 수신하여 승강기의 운행을 제어하거나 VR 카메라(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머리를 위로 향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해당 움직임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움직임 신호를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고,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해당 움직임 신호를 기초로 원격 제어의 대상이 되는 승강기를 위층으로 운행하거나 또는 VR 카메라(170)를 위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VR 카메라(17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지점을 주시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고,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해당 지점의 영상을 확대시키도록 VR 카메라(170)를 제어할 수 있다.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신호에 따라 진단 부품에 대한 보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진단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통해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명령 입력을 결정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정보를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에 제공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보수 진단 수행부(270)를 통해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진단 명령에 대응되는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110)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인식된 명령을 기초로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진단 명령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진단 명령에 따라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단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위치를 손으로 터치하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이 해당 동작을 인식하여 진단 인터페이스 상에서 특정 명령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수신한 보수 진단 수행부(270)에 의해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진단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사용자 단말(110)과 연동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통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해당 동작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또는 진단 부품의 진단 상태와 이력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보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명령에 따라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승강기 운행과 연관된 진단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승강기의 운행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강기의 오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수 진단 수행부(270)는 원격지에 위치한 승강기 시스템에 보관된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상태와 이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보수 점검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해당 진단 부품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현장 상황에 대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 원격 제어 결정부(230),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 및 보수 진단 수행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원격 보수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승강기의 보수를 위한 원격 보수 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10).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원격 제어 결정부(230)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경우 특정 승강기 및 해당 승강기와 연관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 복수의 VR 카메라(170)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30).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17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진단 부품을 인식하고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50).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보수 진단 수행부(27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신호에 따라 진단 부품에 대한 보수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70).
도 4는 승강기와 연관되어 설치되는 VR 카메라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R 카메라(410)는 승강기 시스템의 기계실에 설치될 수 있고(그림 (a)), 승강기 카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그림 (b)), 승강기 시스템의 피트(FIT)에 설치될 수 있다(그림 (c)). VR 카메라의 위치와 개수는 가변될 수 있고, VR 카메라(410)는 승강기 원격 보수를 위하여 진단이 필요한 부품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R 카메라(410)는 특정 위치에 설치되면 위치 변동이 불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이동 가능한 로봇과 결합하는 형태로서 사용자의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4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VR 카메라(410)의 위치 변경은 특정 영역 내로 제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복수의 VR 카메라(410)들이 하나의 승강기에 관한 원격 보수를 위해 설치된 경우, 각 VR 카메라(410)는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승강기와 연관되어 설치되는 VR 카메라 및 사용자 단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VR 카메라(170)는 설치된 위치를 기준으로 360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의 카메라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VR 카메라(170)는 전면 180도를 촬영하는 전면 카메라 및 이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후방 180도를 촬영하는 후면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그림 (a)). 사용자 단말(110)은 VR/AR 디바이스에 해당할 수 있고(그림 (b)),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그림 (c)에서, VR 카메라(170)는 승강기 카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의 원격 제어를 통하여 해당 위치에서 360도 주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화면(610)을 통해 원격지에서 VR 카메라(1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에게 진단 인터페이스(630)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10)은 디스플레이 화면(601) 특정 위치에 진단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화면(610)의 중앙점(650)을 진단하고자 하는 진단 부품에 중첩시키는 경우,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250)는 해당 영상으로부터 진단 부품의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보수 진단 수행부(270)를 통해 해당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정보, 로그 이력 등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여 승강기에 관한 진단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에서 수행되는 승강기 원격 보수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기 보수 점검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인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의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클라우드(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도 7의 클라우드(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승강기 보수 점검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승강기 또는 VR 카메라(170)에 대한 원격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VR 카메라(17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130)는 VR 카메라(170)를 통해 촬영된 VR 영상을 분석하여 현장 부품에 대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부품을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승강기 보수 점검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해당 정보를 확인하고 현장 부품에 대한 원격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170: VR 카메라
210: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 230: 원격 제어 결정부
250: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 270: 보수 진단 수행부
290: 제어부 410: VR 카메라
610: 디스플레이 화면 630: 진단 인터페이스
650: 중앙점

Claims (6)

  1.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승강기의 보수를 위한 원격 보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특정 승강기 및 해당 승강기와 연관되고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 복수의 VR(Virtual Reality)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원격 제어를 결정하는 원격 제어 결정부;
    상기 원격 제어를 통해 VR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초로 진단 부품을 인식하고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 및
    상기 원격 제어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상의 신호에 따라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보수 진단을 수행하는 보수 진단 수행부를 포함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인증 수행부는
    상기 특정 승강기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 생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결정부는
    상기 특정 승강기에 대한 운행 데이터를 기초로 진단 영역 및 진단 항목을 결정하고 상기 진단 영역에서의 상기 진단 항목에 대한 진단을 위해 필요한 VR 카메라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상기 진단 부품의 식별코드를 인식한 후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특정 승강기의 운행과 상기 VR 카메라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 진단 수행부는
    상기 진단 부품에 대한 진단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진단 부품의 진단 상태와 이력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보수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KR1020180107512A 2018-09-10 2018-09-10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KR10219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12A KR102195662B1 (ko) 2018-09-10 2018-09-10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12A KR102195662B1 (ko) 2018-09-10 2018-09-10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38A true KR20200029138A (ko) 2020-03-18
KR102195662B1 KR102195662B1 (ko) 2020-12-28

Family

ID=6999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512A KR102195662B1 (ko) 2018-09-10 2018-09-10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8565A (zh) * 2020-09-27 2020-12-25 萧县润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实时双向调节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945A (ko) 1996-06-27 1998-03-30 김주용 비트라인 센스앰프 구동 회로
KR980008086A (ko) 1998-02-26 1998-04-30 박문환 건강 증진용 신발
KR20000067287A (ko) * 1999-04-27 2000-11-15 이정식 전기설비 원격관리 시스템
JP2003212447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176618A (ja) * 2005-12-27 2007-07-12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80061237A (ko) * 2006-12-27 2008-07-02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승강기 원격 점검 시스템
KR20120105201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CN108100794A (zh) * 2017-12-18 2018-06-01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ar和智能推送技术的电梯维修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945A (ko) 1996-06-27 1998-03-30 김주용 비트라인 센스앰프 구동 회로
KR980008086A (ko) 1998-02-26 1998-04-30 박문환 건강 증진용 신발
KR20000067287A (ko) * 1999-04-27 2000-11-15 이정식 전기설비 원격관리 시스템
JP2003212447A (ja) * 2002-01-28 2003-07-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エレベータ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176618A (ja) * 2005-12-27 2007-07-12 Toshiba Elevator Co Ltd 昇降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80061237A (ko) * 2006-12-27 2008-07-02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승강기 원격 점검 시스템
KR20120105201A (ko) * 2011-03-15 2012-09-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 단말, 원격 카메라, 및 휴대 단말에 의한 원격 카메라의 팬/틸트/줌 제어 방법
CN108100794A (zh) * 2017-12-18 2018-06-01 快创科技(大连)有限公司 一种基于ar和智能推送技术的电梯维修管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8565A (zh) * 2020-09-27 2020-12-25 萧县润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实时双向调节装置
CN112128565B (zh) * 2020-09-27 2021-12-24 深圳市走去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vr技术的实时双向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662B1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917B2 (en) Ride quality mobile terminal device application
EP3508445B1 (en) Elevator auto-positioning for validating maintenance
US20200102188A1 (en) Elevator system component analysis
EP3505480B1 (en) Elevator inspection using automated sequencing of camera presets
CN107601197B (zh) 电梯检查作业辅助装置和检查作业辅助系统
US20210322851A1 (en) Exercis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413629B2 (en) Electronic adverse event reporting system
CN104508576A (zh) 工业工厂中的对象检验
JP6270488B2 (ja) オペレータ監視制御装置およびオペレータ監視制御方法
JP2019099371A (ja) ロボット点検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点検方法
KR102195662B1 (ko) Vr 기반의 승강기 원격 보수 장치
JPWO2013145530A1 (ja) 解析システム
CN111064935A (zh) 一种智慧工地人员姿态检测方法及系统
CN111583732B (zh) 基于头戴式显示设备的测评状态监测方法、装置和设备
JP4286760B2 (ja) 船舶のニューマチック自己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及び前記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ーで読み取れる記録媒体。
CN112287313A (zh) 设备验证系统和方法
KR20200099863A (ko) 대상물의 분석 방법
US20220204316A1 (en) Maintenance method for a lift system, which verifies maintenance steps
CN111142411A (zh) 设备点检装置及设备点检系统
KR102334334B1 (ko) 상대 밝기 템플릿을 이용한 승강기 로프 진단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0998211B2 (en)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emiconductor fabrication apparatus
WO2021221098A1 (ja) 入店管理装置、入店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48335B1 (ko) Ir 반사판을 이용한 승강기 로프 진단 장치 및 방법
CN106485894B (zh) 安全系统、用于调试安全系统的方法和装置
CN118130466A (zh) 一种智能化检测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