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127A - 한글학습교재 - Google Patents

한글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127A
KR20200029127A KR1020180107486A KR20180107486A KR20200029127A KR 20200029127 A KR20200029127 A KR 20200029127A KR 1020180107486 A KR1020180107486 A KR 1020180107486A KR 20180107486 A KR20180107486 A KR 20180107486A KR 20200029127 A KR20200029127 A KR 2020002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s
consonants
read
vowels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240B1 (ko
Inventor
성유선
Original Assignee
성유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유선 filed Critical 성유선
Priority to KR102018010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학습교재와 상기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음과 모음을 단순히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하며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규칙과 패턴으로 체계적이고 뇌에 기억이 잘되는 반복기억법과 소리기억법으로 쉽게 배울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만 이미지와 이야기 연상기업법 소리기억법으로 기억을 하면 합성어 즉, 낱말은 모두 외우지 않아도 소리모아읽기(소리기억법)으로 읽어지고 쓰기도 되는 원리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종래보다 짧은 교육시간으로도 충분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Hangeul learning teaching material and Hangeul teaching using them}
본 발명은 한글학습교재와 상기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음과 모음을 단순히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하며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규칙과 패턴으로 체계적이고 쉽게 배울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종래보다 짧은 교육시간으로도 충분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한글은 우리나라 고유 문자의 이름으로 세종대왕이 우리말을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이르는 것으로, 1446년 반포될 당시에는 28자모 였지만, 현재는 자음 14개와 모음 10개를 쓰고 있다.
우리들은 우리의 고유 언어인 한글을 통하여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전달하고 서로 소통하고, 우리들의 생활에 절대적인 요소인 한글을 통상적으로 유아시절부터 학습을 통하여 알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글학습교재는 자음과 모음을 분석적으로 편성하는 방법과 낱말 또는 문장으로 편성하는 방법으로 대별되고 있으나, 현재의 대체적인 추세는 후자를 선호하고 있다. 이는 유아기나 아동기는 분석적 사고보다는 직감적 사고가 발달하는 시기라는 근거에 있다.
낱말로 학습하는 교재의 경우는 그림과 이에 대응하는 한글이름을 나란히 표시하고나 카드의 전면과 이면에 표시하여 그림과 한글을 동일시하여 익히도록 편성하고 있다. 그러나 유아나 아동은 문자를 사물로 인식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가 있어, 낱말 위주의 한글학습방법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한글학습의 다른 방법으로는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한글을 익히는 방법이 오래전부터 제시되어 있다. 이는 ㄱ, ㄴ, ㄷ, ㄹ, ㅁ, ... 과 ㅏ, ㅑ, ㅓ, ㅕ, ㅗ, ... 순서이고 받침없는 한글의 140음절을 "가, 나, 다, 라, 마, ... " 또는 "가, 갸, 거, 겨, 고, ..." 등의 글자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함으로써, 한글 글자들을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요소의 이해없이 글자 자체를 외우는 것은 그 과정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의미없는 글자들을 그대로 외우는 것에 불과하여 학습의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어떠한 한글학습방법도 유아들이 즐겁고 재미있게 한글을 배우기 보다는 주로 반복, 암기, 주입식의 학습으로 인하여 학습효과가 높지 않고, 한글학습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유아들이 재미난 게임을 하듯이 흥미를 갖고 한글을 학습하는 방법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9296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에 자음과 모음을 단순히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하며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은 보편화된 주입식 교육으로 학습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는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이미지와 이야기 및 노래를 통해 흥미를 유발시키고, 체계적인 규칙과 패턴으로 쉽게 읽고 쓰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만 이미지와 이야기 연상 기억법 소리기억법으로 기억을 하면 합성어 즉, 낱말은 모두 외우지 않아도 소리모아읽기(소리기억법)으로 읽어지고, 쓰기도 되는 원리이다. 종래의 교육교재는 개인 및 개별지도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교재 및 교구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도 단체수업으로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고 가르칠 수 있다.
그래서 종래보다 짧은 교육시간으로 충분한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1단계와, '가'~'하'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2단계와, '기'~'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3단계와, '거'~'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4단계와, '고'~'호'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5단계와, '구'~'후'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6단계 및 '그'~'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7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갸~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1단계와, '겨~혀'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2단계와, '교~효'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3단계와, '규~휴'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4단계와, 자음을 순서대로 이용하되,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5단계 및 모음 및 이중모음을 이용하되, 쌍자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가'~'하'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1단계와, '거'~'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2단계와, '고'~'호'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3단계 및 '구'~'후'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구'~'후'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1단계와, '그'~'흐'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2단계 및 '기'~'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상기 제4교재까지 언급된 낱자와 낱말 중 받침이 들어가 있지 않은 낱자와 낱말에 'ㄷ, ㅈ, ㅊ, ㅌ, ㅍ, ㅎ, ㄲ, ㅆ,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ㅌ, ㄹㅍ, ㄹㅎ, ㄹㅅ, ㅂㅅ'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5교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하되,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치, 키, 티, 피, 히'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자음자 지도법(100);과, 이야기를 연상케 하는 문장을 이용하여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모음자 지도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끼, 띠, 삐, 씨, 찌'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쌍자음 지도법(300);과, 이야기를 연상케 하고,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로 "애, 에, 얘, 예, 와, 워, 위, 의, 왜, 웨, 외"를 가르치는 이중모음 지도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받침이 없는 낱말을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는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이 있는 낱말의 경우, 낱말을 보고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한번에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받침글자까지 한번에 읽을 수 없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받침없는 글자와 받침에 들어간 자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며, 자음과 모음은 분해해서 읽을 수 있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없는 아이는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를 한 다음 받침없는 낱말을 소리모아 읽도록 하고, 받침이 있는 낱말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상기 한글 교수법은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을 쓰는 경우,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첫획의 시작되는 지점에 시작점(710)을 표시한 후 쓸 수 있도록 가르치는 쓰기 지도법(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두번째획의 시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재시작점(7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은 이미지와 이야기(스토리)를 연상하게 할 뿐만 아니라 노래를 이용하여 정서(감정)를 자극하여 학습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와, 자음 모음을 반복적으로 읽어 소리모아 읽기로 학습하여 자연스럽게 기억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소리내어 읽도록 하여 더욱더 기억이 잘되도록 하는 효과와, 낱말을 눈으로 보고 눈으로 기억하고 자음과 모음으로 분해해서 말하도록 하므로 입으로 기억함과 동시에 쓰도록 하여 손으로 기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대한 많은 감각을 이용하여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및 종래보다 짧은 기간에 한글 원리를 깨닫을 수 있는 과정으로 스스로 읽고 쓰게 될 경우, 자존감이 향상되어 더욱더 향상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학습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3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4교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한글 교수법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쓰기 지도법을 나타낸 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쓰기 지도법을 나타낸 예시 표.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받침없는 지도법과 받침있는 지도법을 나타낸 표.
본 발명은 한글학습교재와 상기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에 자음과 모음을 단순히 순서에 따라 행렬로 배열하고 글자들을 그대로 반복하여 쓰거나 읽게 하며 모두 암기하도록 하는 것이 아닌 규칙과 패턴을 이용하여 체계적이고 쉽게 배울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이야기를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연상하도록 하고,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를 하여 소리 기억법으로 교육을 하고, 노래를 이용하여 교육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켜 교육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종래보다 짧은 교육시간으로 교재를 모두 교육할 수 있도록 기간을 설정하여도 충분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글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한글 교수법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를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1단계(11)와, '가'~'하'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2단계(12)와, '기'~'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3단계(13)와, '거'~'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4단계(14)와, '고'~'호'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5단계(15)와, '구'~'후'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6단계(16) 및 '그'~'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7단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교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갸~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1단계(21)와, '겨~혀'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2단계(22)와, '교~효'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3단계(23)와, '규~휴'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4단계(24)와, 자음을 순서대로 이용하되,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5단계(25) 및 모음 및 이중모음을 이용하되, 쌍자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6단계(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교재(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가'~'하'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1단계(31)와, '거'~'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2단계(32)와, '고'~'호'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3단계(33) 및 '구'~'후'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4단계(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교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구'~'후'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1단계(41)와, '그'~'흐'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2단계(42) 및 '기'~'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3단계(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교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상기 제4교재(40)까지 언급된 낱자와 낱말 중 받침이 들어가 있지 않은 낱자와 낱말에 'ㄷ, ㅈ, ㅊ, ㅌ, ㅍ, ㅎ, ㄲ, ㅆ,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ㅌ, ㄹㅍ, ㄹㅎ, ㄹㅅ, ㅂㅅ'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5교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하되,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치, 키, 티, 피, 히'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자음자 지도법(100);과, 이야기를 연상케 하는 문장을 이용하여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모음자 지도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끼, 띠, 삐, 씨, 찌'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쌍자음 지도법(300);과, 이야기를 연상하고,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로 'ㅐ, ㅔ, ㅒ, ㅖ, ㅘ, ㅝ, ㅟ, ㅢ, ㅙ, ㅞ, ㅚ'를 가르치는 이중모음 지도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받침이 없는 낱말을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는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이 있는 낱말의 경우, 낱말을 보고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한번에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받침글자까지 한번에 읽을 수 없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받침없는 글자와 받침에 들어간 자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며, 자음과 모음은 분해해서 읽을 수 있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없는 아이는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를 한 다음 받침없는 낱말을 소리모아 읽도록 하고, 받침이 있는 낱말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상기 한글 교수법은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을 쓰는 경우,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첫획의 시작되는 지점에 시작점(710)을 표시한 후 쓸 수 있도록 가르치는 쓰기 지도법(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두번째획의 시작하는 지점에 표시되는 재시작점(7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교재(10)는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 낱자와 자음을 종래의 교육 순서대로 이용하되, 모음 'ㅏ, ㅣ, ㅓ, ㅗ, ㅜ, ㅡ'을 교육하는 것으로서, 제1-1단계(11) 부터 제1-7단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1단계(11)는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의 14개를 읽고, 쓰고, 받아쓰는 것으로서, 읽을 때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는 교수법인 자음자 지도법(100)을 이용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기억에 남도록 할 뿐만 아니라 흥미를 유발시켜 향상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1단계(11)는 자음을 쓰도록 할 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쓰기 지도법(700)을 이용하여 가르치되,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고자 하는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자 첫획의 지점에 시작점(710)을 표시한 후 쓰도록 함으로써, 글자의 균형을 잡아줌과 동시에 쓰기칸(미표시)의 밖으로 벗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받아쓰기를 통해 학습효과를 더욱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1단계(11)는 자음 뿐만 아니라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5개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10개와, 이중모음 "ㅐ, ㅔ, ㅒ, ㅖ, ㅘ, ㅝ, ㅟ, ㅢ, ㅙ, ㅞ, ㅚ" 11개 또한 상기 자음과 같이,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단계(12)는 '가'~'하' 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가'~'하'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ㅏ'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3단계(13)는 '기'~'히' 즉,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키, 티, 피, 히'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기'~'히'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ㅣ'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4단계(14)는 '거'~'허' 즉, '거, 너, 더, 러, 머, 버, 서, 어, 저, 처, 커, 터, 퍼, 허'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거'~'허'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ㅓ'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5단계(15)는 '고'~'호' 즉, '고, 노, 도, 로, 모, 보, 소, 오, 조, 초, 코, 토, 포, 호'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고'~'호'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ㅗ'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6단계(16)는 '구'~'후' 즉, '구, 누, 두, 루, 무, 부, 소, 우, 주, 추, 쿠, 투, 푸, 후'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구'~'후'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ㅜ'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7단계(17)는 '그'~'흐' 즉, '그, 느, 드, 르, 므, 브, 스, 으, 즈, 츠, 크, 트, 프, 흐'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그'~'흐'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ㅡ'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1교재(10)는 종래의 모음 순서대로 진행하지 않고, 'ㅏ, ㅣ, ㅓ, ㅗ, ㅜ, ㅡ'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상기 순서대로 모음이 들어간 낱자를 포함하는 받침없는 낱말이 많기 때문에 유아 또는 아동 등의 피교육자가 쉽게 읽을 수 있고, 쉽게 기억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제1-1~7단계는 받침이 없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후에 받침이 있는 글자를 따로 교육하기 때문이고, 받침있는 글자를 초반에 교육하면 난이도가 너무 상승될 뿐만 아니라 교육의 규칙과 패턴이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1교재(10)는 4주 동안 교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바람직한데, 구체적으로는, 제1-1단계(11)를 1주차에서 진행하고, 제1-2단계(12)와 제1-3단계(13)를 2주차, 제1-4단계(14)와 제1-5단계(15)를 3주차, 제1-6단계(16)와 제1-7단계(17)를 4주차에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제2교재(20)는 제1교재(10)에서 교육되지 않은 모음인 'ㅑ, ㅕ, ㅛ, ㅠ'를 마저 교육하고, 자음을 종래의 교육 순서대로 이용하되, 이중모음을 교육하는 것으로서, 제2-1단계(21)부터 제2-6단계(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1단계(21)는 '갸'~'햐' 즉, '갸, 냐, 댜, 랴, 먀, 뱌, 샤, 야, 쟈, 챠, 캬, 탸, 퍄, 햐'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갸'~'햐'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ㅑ'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교재(10)에서 마찬가지로 받침이 없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2-2단계(22)는 '겨'~'혀' 즉, '겨, 녀, 뎌, 려, 며, 벼, 셔, 여, 져, 쳐, 켜, 텨, 펴, 혀'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겨'~'혀'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ㅕ'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교재(10)에서 마찬가지로 받침이 없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2-3단계(23)는 '교'~'효' 즉, '교, 뇨, 됴, 료, 묘, 뵤, 쇼, 요, 죠, 쵸, 쿄, 툐, 표, 효'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교'~'효'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ㅛ'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교재(10)에서 마찬가지로 받침이 없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2-4단계(24)는 '규'~'휴' 즉, '규, 뉴, 듀, 류, 뮤, 뷰, 슈, 유, 쥬, 츄, 큐, 튜, 퓨, 휴'의 낱자 모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고, 상기 '규'~'휴'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모음 'ㅠ'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1교재(10)에서 마찬가지로 받침이 없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1단계(21) 내지 제2-4단계(24)에서 교육되는 모음 'ㅑ, ㅕ, ㅛ, ㅠ'는 만들 수 있는 받침없는 낱말들이 많지 않아 제1교재(10)에서 다루지 않고, 제2교재(20)에서 다루는 것이 교육기간을 산정하기 용이하여 제2교재(20)에서 교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5단계(25)는 자음을 종래의 순서 즉, 'ㄱ, ㄴ, ㄷ, ㄹ ~' 순서대로 이용하되, 이중모음 즉, 'ㅐ, ㅔ, ㅒ, ㅖ, ㅘ, ㅝ, ㅟ, ㅢ, ㅙ, ㅞ, ㅚ'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5단계(25)는 앞선 단계 즉, 제1교재(10)의 제1-2단계(12) 부터 제2-4단계(24) 까지와 마찬가지로, '개'~'해'와, '게'~'헤'와, '걔'~'쟤'와, '계'~'혜'와, '과'~'화'와, '궈'~'훠'와, '귀'~'휘'와, '긔'~'희'와, '괘'~'홰'와, '궤'~'훼' 및 '괴'~'회'의 낱자와 상기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5단계(25)에서 자음 'ㅊ~ㅎ'과 모음 'ㅒ'와 같이 표준어에 해당되지 않는 낱자를 제외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2-6단계(26)는 앞서 교육된 모음과 이중모음을 본 발명의 교육 순서대로 이용하되, 쌍자음을 종래 순서대로 즉, 'ㄲ, ㄸ, ㅃ, ㅆ, ㅉ'의 순서대로 이용하고, 상기 쌍자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6단계(26)는 앞선 단계 즉, 제1교재(10)의 제1-2단계(12) 부터 제2-4단계(24) 까지와 마찬가지로, '까'~'짜', '끼'~'찌', '꺼'~'쩌', '꼬'~'쪼', '꾸'~'쭈', '끄'~'쯔', '꺄'~'쨔', '껴'~'쪄', '꾜'~'쑈', '뀨~쮸', '깨'~'째', '께'~'쩨', '꼐', '꽈'~'쫘', '꿔'~'쭤', '뀌'~'쮜', '띄'~'씌', '꽤'~'쫴', '꿰'~'쒜', '꾀'~'쬐'의 낱자와 상기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6단계(26)에서도 제2-5단계(25)에서와 같이 표준어에 해당되지 않는 낱자를 제외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6단계(26)에서는 쌍자음 낱말 중 받침이 없는 낱말에 받침을 넣어 받침글자를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하는 교육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이후의 교육과정 중 쌍자음을 포함하며 받침이 있는 낱자나 낱말을 교육하는 별도의 기간을 산정하기에는 교육기간이 모호해질 수 있기 때문이고, 이후에 제3교재(30), 제4교재(40)를 거쳐 받침있는 글자를 배우면 자연스럽게 받침이 들어간 쌍자음 낱자나 낱말을 읽고, 쓸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교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3교재(30)는 모음 'ㅏ, ㅓ, ㅗ, ㅜ'에 받침이 있는 글자를 교육하되, 비교적 쉬운 받침인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글자를 교육하는 것으로서, 제3-1단계(31)부터 제3-4단계(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1단계(31)는 앞서 언급된 '가'~'하'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가'~'하'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ㅏ'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2단계(32)는 앞서 언급된 '거'~'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거'~'허'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상기 받침 'ㄱ, ㄴ ~'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ㅓ'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3단계(33)는 앞서 언급된 '고'~'호'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고'~'호'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상기 받침 'ㄱ, ㄴ ~'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ㅗ'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4단계(34)는 앞서 언급된 '구'~'후'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구'~'후'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상기 받침 중 'ㄱ'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ㄱ'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ㅜ'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4단계(34)는 제3-1,2,3단계와 다르게 'ㄱ' 받침만을 사용하는 데, 이는 이후에 제4교재(40)와의 교육양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시 'ㄴ, ㄹ, ㅁ, ㅂ, ㅅ, ㅇ'의 받침을 모두 포함시켜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받침 'ㄴ, ㄹ, ㅁ, ㅂ, ㅅ, ㅇ'을 포함시킬 경우 교육기간을 조절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4교재(40)는 모음 'ㅜ'에 받침 'ㄴ, ㄹ, ㅁ, ㅂ, ㅅ, ㅇ'이 있는 글자를 마저 교육하고, 모음 'ㅡ, ㅣ'에 비교적 쉬운 받침인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글자를 교육하는 것으로, 제4-1단계(41)부터 제4-3단계(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1단계(41)는 앞서 제3교재(30)의 제3-4단계(34)에서 교육하지 않은 '구'~'후'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구'~'후'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비교적 쉬운 받침 중 'ㄱ'을 제외한 'ㄴ, ㄹ, ㅁ, ㅂ, ㅅ, ㅇ'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 'ㄴ, ㄹ, ㅁ, ㅂ, ㅅ, ㅇ'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 'ㄴ, ㄹ, ㅁ, ㅂ, ㅅ, ㅇ'들이 포함된 모음 'ㅜ'를 읽힐 수 이TEhfhr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2단계(42)는 앞서 언급된 '그'~'흐'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그'~'흐'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상기 받침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ㅡ'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3단계(43)는 앞서 언급된 '기'~'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기'~'히' 중 어느 하나의 낱자에 상기 받침 'ㄱ, ㄴ ~'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쉬운 상기 받침들이 포함된 모음 'ㅣ'를 읽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3교재(30)와 제4교재(40)에서는 받침을 포함한 글자 중 비교적 쉽다고 느껴지는 글자 위주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모음 중 'ㅏ, ㅓ, ㅗ, ㅜ, ㅡ, ㅣ'만을 이용하여 교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교재(30)와 제4교재(40)를 이용한 교육은 자연스럽게 피교육자들이 받침으로 사용되는 자음 중 'ㄷ, ㅈ, ㅊ, ㅌ, ㅍ,ㅎ'이 없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한데, 제1교재(10)부터 제4교재(40)까지의 교육 규칙과 패턴을 통해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고, 이는 쉽고 깨닫는 즐거움을 통해 교육의 흥미를 자연스럽게 유발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5교재(50)는 상기 제1교재(50)부터 제4교재(40)까지 언급된 낱자와 낱말 중 받침이 들어가 있지 않은 낱자와 낱말에 어려운 받침으로 여겨지는 'ㄷ, ㅈ, ㅊ, ㅌ, ㅍ, ㅎ, ㄲ, ㅆ,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ㅌ, ㄹㅍ, ㄹㅎ, ㄹㅅ, ㅂㅅ'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어느 하나가 포함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어렵다고 여겨지는 받침들이 포함된 글자를 교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한글학습교재는 교재당 4주간 교육함으로써, 총 4개월만에 한글 교육을 할 수 있고, 기존교육방식으로 학습했던 아이 중 읽기는 되는데 받아쓰기가 되지 않는 아이는 1개월 안에 받아쓰기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기존방법으로 교육을 받고도 읽기, 받아쓰기가 되지 않는 아이가 있다. 이런 아이들도 상황에 따라 1~2개월 안에도 가능한 교육방법이다. 종래의 교육기간에 비해 짧은 교육기간으로도 충분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짧은 교육기간으로 한글 교육이 끝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복습을 통한 반복학습 또는 심화학습을 더 진행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한글 교수법은 앞서 설명한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자음과 쌍자음 및 모음과 이중모음을 종래에 비해 쉽고 흥미를 유발시키며 교육하는 것으로서, 자음자 지도법(100)과 모음자 지도법(200)과 쌍자음 지도법(300)과 이중모음 지도법(400)과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 및 쓰기 지도법(700)과 받아쓰기 지도법(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은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을 교육할 때,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치, 키, 티, 피, 히'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의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자음을 생각할 때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어 기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자음을 자음 자체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고 다음과 '기, 니, ~"로 기억함으로써, 더욱 쉽게 자음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ㄱ : "기차"할 때 "기" ㄴ : "어머니"할 때 "니"
ㄷ : "디딤돌"할 때 "디" ㄹ : "리본"할 때 "리"
ㅁ : "미안해"할 때 "미" ㅂ : "비"할 때 "비"
ㅅ : "시계"할 때 "시" ㅇ : "이"할 때 "이"
ㅈ : "지렁이"할 때 "지" ㅊ : "치카치카"할 때 "치"
ㅋ : "키커키커"할 때 "키" ㅌ : "티셔츠"할 때 "티"
ㅍ : "피아노"할 때 "피" ㅎ : "히히"할 때 "히"
또한,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은 노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연상하게 할 수있고, 사용되는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으며,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를 이용하여 자음을 생각할 때 노래와 함께 이미지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더욱더 쉽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자음자 노래 가사>
ㄱ는 칙칙폭폭 기차 ㄴ는 어머니의 니예요
ㄷ 디딤돌의 디고요 ㄹ는 리본체조의 리죠
ㅁ는 미안해요 예쁜마음 미 ㅂ는 주룩주룩 비고요
ㅅ는 똑딱똑딱 시계 ㄱㄴㄷㄹㅁㅂㅅ재미있다~
ㅇ는 이할 때 예쁜이 ㅈ는 꿈틀꿈틀 지렁이의 지
ㅊ는 치카치카 하세요 ㅋ는 키커키커의 키죠
ㅌ는 티셔츠의 티고요 ㅍ는 랄랄랄라 피아노
ㅎ 히히히 하루종일 웃어요 ㅇㅈㅊㅋㅌㅍㅎ재미있다~
아울러,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은 이미지, 노래와 더불어 사진 또는 그림을 함께 이용하여 자음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더욱더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실시예를 다음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상기 모음자 지도법(200)은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을 교육할 때, 이야기를 연상케 하는 문장을 이용하여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음자 지도법(200)의 이야기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모음을 생각할 때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어 더욱 쉽게 모음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ㅏ : 아빠께서 서 계시다가 밖으로 나가셨으어요. "아빠"할 때 "아"
ㅑ : 아빠가 야구를 보러 가셨어요. "야구"할 때 "야"
ㅓ : 아빠가 야구 보러 가셔서 어머니를 만났데요. "어머니"할 때 "어"
ㅕ : 어머니는 남자일까요? 여자일까요? 여자예요. "여자"할 때 "여"
ㅗ : 여자는 오빠를 사랑해. "오빠"할 때 "오"
ㅛ : 오빠는 접시위에 요구르트 2개를 좋아한데요. "요구르트"할 때 "요"
ㅜ : 비올 때 쓰는 것은 무엇일까요? 우산이요. "우산"할 때 "우"
ㅠ : 애기가 타는 차는 무엇일까요? 유모차요. "유모차"할 때 "유"
ㅡ : 뱀나오면 깜짝놀라 어떤 소리를 낼까요? 으악이요. "으악"할 때 "으"
ㅣ : 음식은 무엇으로 꼭꼭 씹어 먹을까요? 이요. "이"할 때 "이"
또한, 상기 모음자 지도법(200)에서도 앞서 설명한 자음자 지도법(100)과 같이 노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되는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으며,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를 이용하여 모음을 생각할 때 노래와 함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더욱더 쉽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모음자 노래 가사>
서있다 나가시고 아빠할 때 ㅏㅏㅏ
아빠가 한번 더나가 야구할 때 ㅑㅑㅑ
들어오고 서있고 어머니할 때 ㅓㅓㅓ
어머니가 또 들어와 여자할 때 ㅕㅕㅕ
여자는 오빠를 사랑해 오빠할 때 ㅗㅗㅗ
오빠는 요구르트 좋아해 요구르트할 때 ㅛㅛㅛ
비올 때 쓰는 것은 우산 ㅜㅜㅜ
아기가 타는 차는 유모차 ㅠㅠㅠ
뱀나오면 깜짝놀라 으악 ㅡㅡㅡ
연필이 서 있다가 이를 그렸네 ㅣㅣㅣ
아울러, 상기 모음자 지도법(200)에서도 앞서 설명한 자음자 지도법(100)과 같이 노래와 더불어 사진 또는 그림을 함께 이용하여 모음을 기억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더욱더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실시예를 다음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쌍자음 지도법(300)은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을 교육할 때,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끼, 띠, 삐, 씨, 찌'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ㄴ다.
구체적으로, 상기 쌍자음 지도법(300)의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쌍자음을 생각할 때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어 기억이 쉬울 뿐만 아니라, 자음을 자음 자체의 이름을 기억하지 않고 다음과 '끼, 띠, ~"로 기억함으로써, 더욱 쉽게 자음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ㄲ : "토끼"할 때 "끼"
ㄸ : "머리띠"할 때 "띠"
ㅃ : "삐약삐약"할 때 "삐"
ㅆ : "씨앗"할 때 "씨"
ㅉ : "찌개"할 때 "찌"
또한, 상기 쌍자음 지도법(300)에서도 앞서 자음자 지도법(100)과 모음자 지도법(200)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노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연상하게 할 수 있고, 사진 또는 그림을 함께 이용하여 쌍자음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더욱더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이중모음 지도법(400)은 이중모음 "ㅐ, ㅔ, ㅒ, ㅖ, ㅘ, ㅝ, ㅟ, ㅢ, ㅙ, ㅞ, ㅚ"을 교육할 때, 이야기를 연상케 하는 문장을 이용하여 왜, 웨, 외"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모음 지도법(400)의 이야기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모음을 생각할 때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어 더욱 쉽게 모음을 기억할 수 있게 된다.
ㅐ : 아와 이가 만나서 "애기"할 때 "애"
ㅔ : 어와 이가 만나서 "에어콘"할 때 "에"
ㅒ : 야와 이가 만나서 "얘들아"할 때 "얘"
ㅖ : 여와 이가 만나서 "예"할 때 "예"
ㅘ : 오와 오와 "와"
ㅝ : 우어 우어 "워"
ㅟ : 우이 우이 "위"
ㅢ : 으이 으이 "의"
ㅙ : 오애 오애 "왜"
ㅞ : 우에 우에 "웨"
ㅚ : 외할머니는 오이를 좋아 한대요. "외할머니"할 때 "외"
또한, 상기 이중모음 지도법(400)에서도 앞서 설명한 자음자 지도법(100)과 모음자 지도법(200)에서와 같이 노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연상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되는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으며,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를 이용하여 이중모음을 생각할 때 노래와 함께 이야기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더욱더 쉽게 기억할 수 있게 된다.
<이중모음 노래 가사>
ㅐㅐ ㅏ ㅣ가 만나 작은 애기 되지요
ㅔㅔ ㅓ ㅣ가 만나 에어콘의 에가 되지요
ㅒㅒ ㅑ ㅣ가 만나 얘들아 하고 엄마가 부르실 때 얘
ㅖㅖ ㅕ ㅣ가 만나 예 대답하지요
ㅘㅘ ㅗ ㅏ가 만나 "와" 하고 박수치지요
ㅙㅙ ㅗ ㅐ가 만나 "왜불러"하고 묻지요
ㅝㅝ ㅜ ㅓ가 만나 미국의 수도 "워싱턴"
ㅟㅟ ㅜ ㅣ가 만나 웨하스할 때 웨고요
ㅚㅚ ㅗ ㅣ가 만나 외할머니 외자 되지요
ㅢㅢ ㅡ ㅣ가 만나 의자할 때 의가 되지요
워워 이중(겹)모음노래 재미있어요
아울러, 상기 이중모음 지도법(400)에서도 앞서 설명한 자음자 지도법(100)과 모음자 지도법(200)과 같이 노래와 더불어 사진 또는 그림을 함께 이용하여 모음을 기억하게 할 수 잇고, 이로써 더욱더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일실시예를 다음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이상에서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 모음자 지도법(200), 쌍자음 지도법(300), 이중모음 지도법(400)의 이미지 연상, 이야기 연상, 노래, 사진 또는 그림은 일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모두 다양한 실시예로 변경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며, 보다 규칙적이고, 일정한 패턴으로 다양하게 만들어 실시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음자 지도법(100), 모음자 지도법(200), 쌍자음 지도법(300), 이중모음 지도법(400)은 일정한 음율이 발생할 수 있는 이미지와 이야기를 정한 경우, 노래 및 사진 또는 그림과 함께 가르칠 수 있는데, 노래 및 사진 또는 그림과 함께 가르치는 경우 피교육자들의 흥미를 더욱더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억에 오랫동안 남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이 없는 낱자 또는 낱말을 읽을 때,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두번 읽은 후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는 것으로서, 일예로, "가"의 경우, 자음 "ㄱ"을 "기"로 배웠고, 모음 "ㅏ"를 "아"로 배웠으므로, "기"를 읽고, "아"를 읽은 후 "가"라고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며,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기"+"아", "기"+"아"="가"이며, ㄷ두번 반복적으로 읽어 소리모아 즉, 분해한 소리 "기"와 "아" 소리를 모아서 읽기를 하는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소리모아 읽는다는 것은 분해한 소리를 각각을 모아서 합쳐진 낱자 또는 낱말로 읽은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은 새로운 낱자 및 낱말의 진도를 나갈 때마다 정서에 좋은 영향을 끼치도록 노래로 읽기를 하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일예로, "가~하" 안에 있는 낱말을 배울 때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를 이용한다.
"가나다라마바사 재미있게 공부해 아자차카타파 정말 정말 재밌어"
상기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은 받침이 있는 낱자 또는 낱말을 읽을 때, 낱자 또는 낱말을 보고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 즉, 피교육자는 한번에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받침글자 즉, 낱자 또는 낱말을 읽을 수 없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받침없는 글자와 받침에 들어간 자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며(지도법1), 자음과 모음은 분해해서 읽을 수 있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없는 아이는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도록 한 다음 받침없는 낱말을 읽도록 하고, 받침이 있는 낱말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지도법2)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을 "각"의 경우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법1의 경우에는 "가"를 읽고, "기"를 읽은 후 "각"이라고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지도법2의 경우에는 "기"를 읽고, "아"를 읽은 후 "가"를 읽고, "기"를 읽은 다음 "각"이라고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이를 간단히 나타내면 "가+ㄱ 가+ㄱ 각"이며, 두번 반복적으로 읽어 소리모아 즉, 분해한 소리 "가"와 "ㄱ"소리를 모아서 읽기를 하는 것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소리모아 읽는다는 것은 분해한 소리 각각을 모아서 합쳐진 낱자 또는 낱말로 읽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 또한 상기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낱자 및 낱말의 진도를 나갈 때 마다 정서에 좋은 영향을 끼치도록 노래로 읽기를 하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일예로, "각~학" 안에 있는 낱말을 배울 때 다음과 같은 노래 가사를 이용한다.
"각낙닥락막박삭 재미있게 공부해 악작착칵탁팍학 정말 정말 재밌어"
상기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은 피교육자의 특성 즉, 수준에 맞게 교육하는 것으로서, 앞서 제1교재(10) 내지 제5교재(50)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규칙과 패턴을 일정하고, 반복기억법, 소리기억법으로 더욱더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을 쓰는 경우,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첫획의 시작되는 지점에 시작점(710)을 표시한 후 쓸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으로서, 글자의 균형을 잡아줌과 동시에 쓰기칸(미표시)의 밖으로 벗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쓰기를 더욱 쉽게 함으로써, 쓰기가 어렵지 않다고 인식시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교육자의 연령 혹은 수준이 낮은 경우,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첫획의 끝나는 지점에 표시되는 끝점(7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첫획을 정확하게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안정적인 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작점(710)과 끝점(720) 외에도 두번째 획의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에 표시되는 재시작점(730)과 재끝점(7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피교육자의 연령 혹은 수준이 낮은 경우 교육자가 피교육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필요시 상기 재시작점(730)과 재끝점(740)이 포함된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하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아쓰기 지도법(800)은 자음자 지도법(100), 모음자 지도법(200), 쌍자음 지도법(300), 이중모음 지도법(400),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 쓰기 지도법(700)에서 교육과 함께 공통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특히,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에서 피교육자가 교육을 받음과 동시에 교재 또는 노트에 쓰게 함으로써, 교육효과를 증대키실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며, 크게 받침없는 낱말 받아쓰기 지도법과 받침있는 낱말 받아쓰기 지도법으로 나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없는 받아쓰기 지도법은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에서 낱말을 교육할 때, 교육자가 낱말을 불러주면 피교육자는 낱자소리를 듣고,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말한 후 해당 낱말을 받아쓰게 됨으로써,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말하게 하고 자기 소리를 듣고 기억해서 쓰도록 하는 원리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없는 받아쓰기 지도법은 일예로, 받침없는 낱말 "마"를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에서 교육할 때, 교육자가 "마"라고 불러주면 피교육자는 "ㅁ+ㅏ ㅁ+ㅏ 마 ㅁ+ㅏ"의 방법으로 박자감 있게 말을 한 후 "마"를 쓰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있는 받아쓰기 지도법은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500)에서 낱말을 교육할 때, 교육자가 낱말을 불러주면 피교육자는 낱자소리를 듣고 받침없는 낱말과 받침을 분해해서 말한 후 해당 낱말을 받아쓰게 됨으로써, 받침있는 낱말과 받침 자음을 분해해서 말하게하고 자기 소리를 듣고 기억해서 쓰도록 하는 원리로 학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받침있는 받아쓰기 지도법은 일예로, 받침있는 낱말 "낙"을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에서 교육할 때, 교육자가 "낙"이라고 불러주면 피교육자는 "나+ㄱ 나+ㄱ 낙 나+ㄱ"의 방법으로 즉, 받침없는 글자 + 받침 자음을 분해해서 박자감 있게 말을 한 후 "낙"을 쓰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받아쓰기 지도법(800)은 반복기억법 및 소리기억법으로 듣고 말하고 받아쓰기 때문에 모든 낱말을 외우지 않아도 되는 원리로서, 아이들이 모든 낱말을 외우지 않고 자음과 모음만 알게 되면 소리모아 읽기로 읽어지므로 흥미를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자존감이 높아지며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모든 지도법에서 낱말을 외워서 읽고 쓰고 받아쓰게 하는 것이 아닌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을 알고 소리를 기억하도록하여 반복기업법, 소리기억법으로 읽고, 쓰고, 받아쓰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제1교재
11 : 제1-1단계 12 : 제1-2단계
13 : 제1-3단계 14 : 제1-4단계
15 : 제1-5단계 16 : 제1-6단계
17 : 제1-7단계
20 : 제2교재
21 : 제2-1단계 22 : 제2-2단계
23 : 제2-3단계 24 : 제2-4단계
25 : 제2-5단계 26 : 제2-6단계
30 : 제3교재
31 : 제3-1단계 32 : 제3-2단계
33 : 제3-3단계 34 : 제3-4단계
40 : 제4교재
41 : 제4-1단계 42 : 제4-2단계
43 : 제4-3단계
50 : 제5교재
100 : 자음자 지도법 200 : 모음자 지도법
300 : 쌍자음 지도법 400 : 이중모음 지도법
500 :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 600 :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
700 : 쓰기 지도법 800 : 받아쓰기 지도법

Claims (10)

  1. 자음, 모음, 쌍자음, 이중모음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1단계(11)와,
    '가'~'하'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2단계(12)와,
    '기'~'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3단계(13)와,
    '거'~'허'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4단계(14)와,
    '고'~'호'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5단계(15)와,
    '구'~'후'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6단계(16) 및
    '그'~'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이용한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1-7단계(1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교재(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학습교재는
    '갸~햐'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1단계(21)와,
    '겨~혀'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2단계(22)와,
    '교~효'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3단계(23)와,
    '규~휴'의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2-4단계(24)와,
    자음을 순서대로 이용하되, 이중모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5단계(25) 및
    모음 및 이중모음을 이용하되, 쌍자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낱자 모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기하는 제2-6단계(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교재(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학습교재는
    '가'~'하'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1단계(31)와,
    '거'~'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2단계(32)와,
    '고'~'호'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3단계(33) 및
    '구'~'후'의 낱자를 모두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3-4단계(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교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학습교재는
    '구'~'후'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1단계(41)와,
    '그'~'흐'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2단계(42) 및
    '기'~'히'의 낱자 모두를 이용하되, 상기 낱자에 'ㄱ, ㄴ, ㄹ, ㅁ, ㅂ, ㅅ, ㅇ'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받침을 넣은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4-3단계(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교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학습교재는
    상기 제4교재(40)까지 언급된 낱자와 낱말 중 받침이 들어가 있지 않은 낱자와 낱말에 'ㄷ, ㅈ, ㅊ, ㅌ, ㅍ, ㅎ, ㄲ, ㅆ, ㄱㅅ, ㄴㅈ, ㄴㅎ, ㄹㄱ, ㄹㅁ, ㄹㅂ, ㄹㅌ, ㄹㅍ, ㄹㅎ, ㄹㅅ, ㅂㅅ' 중 어느 하나의 자음을 받침으로 넣은 낱자와 상기 낱자를 포함하는 낱말을 읽고, 쓰고, 받아쓰는 제5교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학습교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한글학습교재를 이용하되,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기, 니, 디, 리, 미, 비, 시, 이, 지, 치, 치, 키, 티, 피, 히'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자음자 지도법(100);과,
    이야기를 연상케 하는 문장을 이용하여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으, 이'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모음자 지도법(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교수법은
    이미지를 연상케 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끼, 띠, 삐, 씨, 찌'를 연상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쌍자음 지도법(300);과,
    이야기를 연상케 하고,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로 "애, 에, 얘, 예, 와, 워, 위, 의, 왜, 웨, 외"를 가르치는 이중모음 지도법(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교수법은
    받침이 없는 낱말을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는 받침없는 낱말 지도법(500);과
    받침이 있는 낱말의 경우,
    낱말을 보고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한번에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고,
    받침글자까지 한번에 읽을 수 없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있는 아이는 받침없는 글자와 받침에 들어간 자음을 분해해서 읽은 후 소리 모아서 읽도록 가르치며,
    자음과 모음은 분해해서 읽을 수 있지만, 받침없는 글자를 한번에 읽을 수 없는 아이는 자음과 모음을 분해해서 읽어 소리모아 읽기를 한 다음 받침없는 낱말을 소리모아 읽도록 하고, 받침이 있는 낱말을 읽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받침있는 낱말 지도법(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교수법은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을 쓰는 경우,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첫획의 시작되는 지점에 시작점(710)을 표시한 후 쓸 수 있도록 가르치는 쓰기 지도법(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지도법(700)은
    상기 자음, 쌍자음, 모음, 이중모음, 낱말의 두번째획의 시작되는 지점에 표시되는 재시작점(7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교수법.
KR1020180107486A 2018-09-10 2018-09-10 한글학습교재 KR102173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486A KR102173240B1 (ko) 2018-09-10 2018-09-10 한글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486A KR102173240B1 (ko) 2018-09-10 2018-09-10 한글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127A true KR20200029127A (ko) 2020-03-18
KR102173240B1 KR102173240B1 (ko) 2020-11-03

Family

ID=69999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486A KR102173240B1 (ko) 2018-09-10 2018-09-10 한글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64A (ko) 2020-10-08 2022-04-15 이성애 한글 학습 교재
KR102503394B1 (ko) * 2022-07-20 2023-02-24 베베구쯔 주식회사 한글학습교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75B1 (ko) 2021-04-16 2023-03-17 최지원 한글학습교재
KR102535507B1 (ko) * 2022-12-26 2023-05-30 주식회사 테스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교구를 포함하는 트리플 n 스터디 세트 및 이를 활용한 한글 및 수학 연계 학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79A (ko) * 1998-02-10 1999-09-06 장신희 한글 학습교재
KR200198356Y1 (ko) * 2000-04-14 2000-10-02 박형준 한글쓰기 연습장
KR101537802B1 (ko) *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한글 교재
KR20170092968A (ko) 2016-02-04 2017-08-14 이명숙 한글 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479A (ko) * 1998-02-10 1999-09-06 장신희 한글 학습교재
KR200198356Y1 (ko) * 2000-04-14 2000-10-02 박형준 한글쓰기 연습장
KR101537802B1 (ko) * 2014-12-24 2015-07-17 주식회사 아소비교육 유아용 한글 교재
KR20170092968A (ko) 2016-02-04 2017-08-14 이명숙 한글 교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푸우맘 신샘, 기적의 한글학습 구성 살펴보기(52M활동)*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64A (ko) 2020-10-08 2022-04-15 이성애 한글 학습 교재
KR102503394B1 (ko) * 2022-07-20 2023-02-24 베베구쯔 주식회사 한글학습교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40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lf Proust and the squid: The story and science of the reading brain
KR20200029127A (ko) 한글학습교재
Erickson Comprehensive literacy instructi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Edo-Marzá Pronunciation and comprehension of oral English in th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lass: Key aspects, students’ perceptions and proposals
Schwartz et al. How do kids learn to read? What the science says
Obloberdiyevna et al. Teaching languages using modern educational methods
Alshumaimeri English language teaching in Saudi Arabia: An introduction
Yoshida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Versteegh Learning Arabic in the Islamic world
Narzikulova PHONETIC ERRORS IN LEARNING ENGLISH IN NON-LINGUISTIC UNIVERSITIES.
Bhide et al. Improving Hindi decoding skills via a mobile game
Nel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acquisition of Mandarin Chinese as a second additional language focusing on phonetics
Pandey Language building blocks: Essential linguistic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Isozaki Flowing toward solutions: literature listening and L2 literacy
Ojanen Sewero La-ma-u-A phonetic approach to literacy teaching in Zambia
Chartier Cultural perspective on literacy teaching and methods for young readers
Barnhart et al. Let's read: a linguistic approach
Holz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esearch Tools for Evidence-Based Learning: A Digital Game-Based Spelling Training for German Primary School Children
Bloomfield Linguistics and reading (Continued)
RU2717739C2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чтению и быстрому чтению с помощью компьютерной игры на онлайн-тренажере
Serpell Grounding innovative promotion of literacy in local funds of knowledge
Chantov On the Structure of Some Methods of Early Foreign Language Learning
DeNobile The Impact of Explicit, Multisensory Phonics Instruction on Kindergartener’s Decoding Skills
Chiu Comparing Dyslexia In English And Mandarin Chinese, And Applying Communication Design Methods To Improve The Condition
Komariah et al. ASSISTANCE IN IMPROVING READING SKILLS AT SD NEGERI CIHANJAW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