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2968A - 한글 교재 - Google Patents

한글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968A
KR20170092968A KR1020160014305A KR20160014305A KR20170092968A KR 20170092968 A KR20170092968 A KR 20170092968A KR 1020160014305 A KR1020160014305 A KR 1020160014305A KR 20160014305 A KR20160014305 A KR 20160014305A KR 20170092968 A KR20170092968 A KR 20170092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s
pronunciation
learning
hangul
lear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숙
Original Assignee
이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숙 filed Critical 이명숙
Priority to KR102016001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2968A/ko
Publication of KR20170092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7/00Teaching read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한글 교재는 제1 발음부 및 제2 발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발음부는 일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은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 발음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글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은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이다.

Description

한글 교재{TEACHING MATERIAL FOR LEARNING KOREAN}
본 발명은 한글 교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글에서 받침을 포함하는 글자들에 대한 발음법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인간의 발음 원리에 따라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교재에 관한 것이다.
한글은 과학적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만들어진 문자로서 다른 언어 문자에 비해 문자를 배우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발달심리학자인 삐아제는 유아가 논리적인 사고가 가능하게 되는 시기가 만 5세이후라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한글을 일찍 깨우치길 원하는 부모들의 높은 열망으로 인하여 가정 내에서 과도한 조기학습과 무리한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면서 유아들이 학습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고 배우는 즐거움을 얻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만 5세 이전의 유아들의 경우에 논리적으로 이해를 하는 방법으로 한글을 익히는 학습 방법은 유아들의 사고 발달에 적합하지 않으며 유아들에게 한글이 지겹고 어려운 것으로 인식시켜서 아이가 문자를 통한 공부나 책을 좋아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존의 한글 학습 방법은 주로 한글의 자음의 기역(ㄱ), 니은(ㄴ), 디귿(ㄷ), 리을(ㄹ), 미음(ㅁ), 비읍(ㅂ), 시옷(ㅅ), 이응(ㅇ), 지읒(ㅈ), 치읓(ㅊ), 키읔(ㅋ), 티읕(ㅌ), 피읖(ㅍ), 및 히읗(ㅎ) 순서대로 익히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한글의 글자들 각각은 종성 글자에 해당하는 받침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받침을 포함하는 글자들은 어린아이 또는 외국인들과 같이 한글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그 발음법을 학습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받침을 포함하는 글자들에 대해,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발음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한글 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의 발음을 고려한 한글 자음 및 모음 순서에 따라 한글을 학습하는 한글 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1 발음부 및 제2 발음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발음부는 일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은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 발음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글자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은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3 글자를 포함하는 제3 발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글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초성,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중성,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일 수 있다.
상기 제3 발음부는 상기 제2 발음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자음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음 학습부는 한글 자음들 중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이 순서대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모음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 학습부는 한글 모음들 중 ㅡ, ㅣ, ㅗ, ㅏ, ㅜ, 및 ㅓ가 순서대로 배열된 모음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완성 글자 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성글자 학습부는 상기 자음 학습부에 포함된 상기 한글 자음들과 상기 모음 학습부에 포함된 상기 한글 모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글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는 제1 글자들 및 제2 글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글자들은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글자가 각각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글자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며,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의 글자가 각각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은, 일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을 포함하는 한글의 발음법을 쉽게 학습할 수 있다. 또한,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인간의 발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어서, 한글을 배우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유아나 어린 학생들이 더 쉽게 한글을 공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발음 학습표의 발음부들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학습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학습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글자 학습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표(10)를 도시한 것이다. 발음 학습표(10)는 발음 구분부(100), 받침 구분부(200), 및 발음 학습부(300)를 포함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발음 학습부의 발음부들(311, 312, 313)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발음 학습표(10)는 한글 교재에 포함된다. 상기 한글 교재를 이용하여 한글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발음 학습표(10)를 통해 받침 글자 발음법을 익힐 수 있다.
발음 구분부(100)는 발음 학습부(300)에 포함된 글자들을 발음 변화에 따라 구분할 수 있도록 목차를 제공한다. 도 1 에서는 발음 구분부(100)에는 1차 발음 내지 5차 발음이 예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발음 구분부(10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따라, 발음 학습부(300)에 포함된 글자들이 구분될 수 있다.
받침 구분부(200)는 발음 학습부(300)에 포함된 글자들을 받침 변화에 따라 구분할 수 있도록 목차를 제공한다. 도 1 에서는 받침 구분부(200)에 제1 받침 내지 제4 받침이 예시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받침 구분부(200)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따라, 발음 학습부(300)에 포함된 글자들이 구분될 수 있다.
발음 학습부(300)는 학습자가 발음하는 법을 익혀야 하는 복수 개의 글자들을 포함한다. 발음 학습부(300)는 발음 변화부(310)를 포함한다.
발음 변화부(310)는 제1 발음부(311), 제2 발음부(312), 및 제3 발음부(313)를 포함한다. 제1 발음부(311), 제2 발음부(312), 및 제3 발음부(313) 각각은 발음 변화부(310) 중에서 발음이 서로 동일한 글자들을 구분하여 포함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발음부(311)는 발음 변화부(310) 중 발음이 "가"로 동일한 복수 개의 글자들(이하, 제1 글자들)을 포함한다. 제1 글자들(TX1)의 크기는 각각 서로 다를수 있다. 제1 글자들(TX1)의 크기는 세로길이, 가로길이, 또는 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4개의 제1 글자들(TX1)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글자들(TX1) 중 가장 왼쪽 첫 번째에 배치된 글자는 제1 크기(HH1)를 갖는다. 제1 글자들(TX1) 중 두 번째에 배치된 글자는 제1 크기(HH1)보다 작은 제2 크기(HH2)를 갖는다. 제1 글자들(TX1) 중 세 번째에 배치된 글자는 제2 크기(HH2)보다 작은 제3 크기(HH3)를 갖는다. 제1 글자들(TX1) 중 네 번째에 배치된 글자는 제3 크기(HH3)보다 작은 제4 크기(HH4)를 갖는다. 따라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제1 글자들의 크기는 작아진다.
단, 도 2a에서 4개의 제1 글자들(TX1)로 "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 및 글자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 발음부(312)는 발음 변화부(310) 중 발음이 "은"으로 동일한 복수 개의 글자들(이하, 제2 글자들)을 포함한다. 제2 글자들(TX2) 각각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글자들(TX2) 각각은 제5 크기(HH5)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글자들(TX2)의 크기는 변화없이 일정할 수 있다. 제5 크기(HH5)는 제1 크기(H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단, 제2 글자들(TX2)의 크기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하지 않고 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2 글자들(TX2)의 크기는 제1 글자들(TX1)의 크기와 달리 점점 커질 수 있다. 제2 글자들(TX2)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제2 글자들(TX2)의 발음의 강도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2b에서 4개의 제2 글자들(TX2)로 "은"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개수 및 글자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3 발음부(313)는 발음이 "간"으로 동일한 글자들(이제, 제3 글자들)을 포함한다. 도 2c에서 제3 글자들(TX3)로 "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2c에서 제3 글자들(TX3)이 2개 도시되었으나, 이제 제한되지 않으며, 2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글자의 크기는 발음의 강도를 나타낸다. 발음의 강도는 소리의 크기 및 발음을 지속하는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들어, 소리의 크기가 작거나 발음을 지속하는 시간이 짧을수록 발음의 강도가 작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가은"을 발음하는데 있어서, 처음에는 "가"와 "은"이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한 강도로 발음된다. 이후, "가"의 발음의 강도가 점점 작아지고, "은"의 발음의 강도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되거나 커진다. 즉, "가은"에서 "가"를 "은"에 비해서 작은 소리로 짧게 발음을 하다보면, 자연스레 "간"의 발음과 동일해진다. 이와 같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발음부(311, 312, 313)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로 공부하는 사람들은 받침이 있는 글자에 대한 발음법을 쉽고 효율적으로 익힐 수 있다. 발음 학습부(300)는 받침 있는 글자의 발음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해주어서, 한글을 처음 접하는 어린 아이들이나 외국인들이 쉽게 한글 발음을 익힐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 있는 글자들에 대한 발음법은 "간"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음 학습부(300)는 "갈"을 발음하기 위한 "가을", "감"을 발음하기 위한 "가음", 및 "강"을 발음하기 위한 "가응"이 도시되어 있다. "가을", "가음", 및 "가응" 각각에서 "가"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갈", "감", 및 "강"을 발음할 수 있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표(10-1, 10-2, 10-3, 10-4)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표(10-1)는 발음 학습부(300-1)를 포함한다.
발음 학습부(300-1)는 "난", "날", "남", 및 "낭"의 발음법을 익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난"은 "나은"에서 "나"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날"은 "나을"에서 "나"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남"은 "나음"에서 "나"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낭"은 "나응"에서 "나"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표(10-2)는 발음 학습부(300-2)를 포함한다.
발음 학습부(300-2)는 "만", "말", "맘", 및 "망"의 발음법을 익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만"은 "마은"에서 "마"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말"은 "마을"에서 "마"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맘"은 "마음"에서 "마"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망"은 "마응"에서 "마"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표(10-3)는 발음 학습부(300-3)를 포함한다.
발음 학습부(300-3)는 "산", "살", "삼", 및 "상"의 발음법을 익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산"은 "사은"에서 "사"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살"은 "사을"에서 "사"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삼"은 "사음"에서 "사"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상"은 "사응"에서 "사"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표(10-4)는 발음 학습부(300-4)를 포함한다.
발음 학습부(10-4)는 "안", "알", "암", 및 "앙"의 발음법을 익히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안"은 "아은"에서 "아"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알"은 "아을"에서 "아"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암"은 "아음"에서 "아"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앙"은 "아응"에서 "아"의 발음의 강도를 작게하여 발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음 학습부들(300, 300-1, 300-2, 300-3, 300-4)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 중 어느 페이지에 발음 학습표들(300, 300-1, 300-2, 300-3, 300-4)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음 학습부들(300, 300-1, 300-2, 300-3, 300-4)은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 순서대로 정렬된 것이다. 이 순서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발음의 순서에 따른 것으로, 기존처럼 인위적으로 기역(ㄱ), 니은(ㄴ), 디귿(ㄷ), 리을(ㄹ) 순서로 정렬된 것보다 한글을 학습할 때 더 효과적이다.
발음 학습부들(300, 300-1, 300-2, 300-3, 300-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교재에서 하나의 페이지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음 학습부들(300, 300-1, 300-2, 300-3, 300-4) 각각은 서로 다른 페이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음 학습부(4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음 학습부(500)를 도시한 것이다.
자음 학습부(400)에는 한글 자음들 중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이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 배열의 효과는 도 4에서 설명한바 생략한다.
모음 학습부(500)에는 한글 모음들 중 ㅡ, ㅣ, ㅗ, ㅏ, ㅜ, 및 ㅓ가 순서대로 배열된다. 한글 천지인은 천(·), 지(ㅡ), 및 인(ㅣ)으로 구분되는데, 모음 학습부(500)의 ㅡ, ㅣ, ㅗ, ㅏ, ㅜ, 및 ㅓ는 천(·), 지(ㅡ), 및 인(ㅣ)의 조합에 따른 것이다.
우선, 천(·)이 없는 모음들인 지(ㅡ)와 인(ㅣ)을 먼저 배치한다. 그 후, 지(ㅡ)와 인(ㅣ)에 천(·)이 추가된 모음들인 ㅗ와 ㅏ을 배치한다. 마지막으로, 지(ㅡ)와 인(ㅣ)에 천(·)이 추가된 다른 모음들인 ㅜ와 ㅓ를 배치한다.
통상적으로 한글 모음을 학습할 때, ㅏ, ㅑ, ㅓ, ㅕ 순서대로, 천(·)을 포함하는 모음을 먼저 학습하고, 마지막에 천(·)이 없는 모음인 ㅡ, ㅣ를 학습하게 되는데, 이는 한글 창체 원리에 맞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ㅡ, ㅣ, ㅗ, ㅏ, ㅜ, 및 ㅓ가 순서대로 배치된 모음 학습부(500)를 활용하는 경우, 천(·), 지(ㅡ), 및 인(ㅣ)의 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한글 모음을 학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성 글자 학습부(700)를 도시한 것이다. 완성 글자 학습부(700)는 도 5의 자음 학습부(400)에 포함된 자음들과 도 6의 모음 학습부(500)에 포함된 모음들을 조합하여 완성된 글자들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자음 학습부(400)의 5개의 자음들과 모음 학습부(500)의 6개 모음들의 조합에 의한 글자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의 총 5x6=30개 이다. 도 7에서, 복수 개의 행들 각각을 모음 학습부(500)의 모음들에 따라 구분하고, 복수 개의 열들 각각을 자음 학습부(600)의 자음들에 따라 구분하였다. 단,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행들 각각을 자음 학습부(600)의 자음들에 따라 구분하고, 복수 개의 열들 각각을 모음 학습부(500)의 모음들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음 학습표 100: 발음 구분부
200: 받침 구분부 300: 발음 학습부
311: 제1 발음부 312: 제2 발음부
313: 제3 발음부 TX1: 제1 글자들
TX2: 제2 글자들 TX3: 제3 글자들
400: 자음 학습부 500: 모음 학습부

Claims (14)

  1. 일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은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 어느 하나인 제1 발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글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은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인 제2 발음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글 교재.
  3. 제1 항에 있어서,
    제3 글자를 포함하는 제3 발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글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초성;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중성;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한글 교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음부는 상기 제2 발음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한글 교재.
  5. 제1 항에 있어서,
    한글 자음들 중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이 순서대로 배열된 자음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6. 제5 항에 있어서,
    한글 모음들 중 ㅡ, ㅣ, ㅗ, ㅏ, ㅜ, 및 ㅓ가 순서대로 배열된 모음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음 학습부에 포함된 상기 한글 자음들과 상기 모음 학습부에 포함된 상기 한글 모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글자들을 포함하는 완성 글자 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8.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글자가 각각 반복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며,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의 글자가 각각 반복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2 글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은, 일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한글 교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글 교재.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글 교재.
  11. 제10 항에 있어서,
    제3 글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글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받침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한글 교재.
  12. 한글 자음들 중 기역(ㄱ), 니은(ㄴ), 미음(ㅁ), 시옷(ㅅ), 및 이응(ㅇ)이 순서대로 배열된 자음 학습부; 및
    한글 모음들 중 ㅡ, ㅣ, ㅗ, ㅏ, ㅜ, 및 ㅓ가 순서대로 배열된 모음 학습부를 포함하는 한글 교재.
  13. 제12 항에 있어서,
    일 방향을 따라 점점 작아지는 복수 개의 제1 글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각각은 가, 나, 마, 사, 또는 아 중 어느 하나인 제1 발음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과 교번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글자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의 발음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각각은 은, 을, 음, 또는 응 중 어느 하나인 제2 발음부를 더 포함하는 한글 교재.
  14. 제13 항에 있어서,
    제3 글자를 포함하는 제3 발음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글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초성;
    상기 복수 개의 제1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중성;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 글자들 중 어느 하나의 종성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한글 교재.
KR1020160014305A 2016-02-04 2016-02-04 한글 교재 KR20170092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305A KR20170092968A (ko) 2016-02-04 2016-02-04 한글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4305A KR20170092968A (ko) 2016-02-04 2016-02-04 한글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968A true KR20170092968A (ko) 2017-08-14

Family

ID=6014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4305A KR20170092968A (ko) 2016-02-04 2016-02-04 한글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29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7A (ko) 2018-09-10 2020-03-18 성유선 한글학습교재
KR20200120445A (ko) * 2019-04-12 2020-10-21 이가혜 발음 학습 시스템
WO2020218906A1 (ko) * 2019-04-26 2020-10-29 이가혜 발음 개선을 위한 학습 시스템
KR20220046764A (ko) * 2020-10-08 2022-04-15 이성애 한글 학습 교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27A (ko) 2018-09-10 2020-03-18 성유선 한글학습교재
KR20200120445A (ko) * 2019-04-12 2020-10-21 이가혜 발음 학습 시스템
WO2020218906A1 (ko) * 2019-04-26 2020-10-29 이가혜 발음 개선을 위한 학습 시스템
KR20220046764A (ko) * 2020-10-08 2022-04-15 이성애 한글 학습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wahara et al. Expressing evolution in Pokémon names: Experimental explorations
Martinovic Feature geometry and head-splitting: Evidence from the morphosyntax of the Wolof clausal periphery
Hayes et al. Linguistics: An introduction to linguistic theory
Ardila et al. Illiteracy: the neuropsychology of cognition without reading
Trakulkasemsuk Thai English
KR20170092968A (ko) 한글 교재
Burnham et al. Are tones phones?
Ueno et al. Not lost in translation: Generalization of the primary systems hypothesis to Japanese-specific language processes
Do Biased learning of phonological alternations
Ibarretxe-Antuñano Going beyond motion events typology: The case of Basque as a verb-framed language
McCandliss Helping dyslexic children attend to letters within visual word forms
Colombo et al. Stress priming and statistical learning in Italian nonword reading: Evidence from children
Pae et al. Lexical properties influencing visual word recognition in Hangul
Wulandari Grammatical errors found in articles' abstracts of Indonesian scholarly journals
Suárez-Coalla et al. Word writing in Spanish-speaking children: central and peripheral processes
Ennis Italian-Spanish contact in early 20th century Argentina
Breed et al. Die DBAT: n Onbekende digitale taalkundemuseum
Menuta Over-differentiation in Amharic orthography and attitude towards reform
Franklin-Brown The lyric encyclopedia: citation and innovation in Matfre Ermengaud's Breviari d'amor
Bernard Otomi tones
Barkman A descriptive grammar of Jejara (Para Naga)
Bassano et al. Grammaticalization and first language acquisition: crosslinguistic perspectives
Ardila et al. Origins of writing
Hakobian Theoretical Conceptions in Musicology as a Potential Obstacle to Musical Comprehension
Holz Sequential number word formation in the Tungag-Nalik languages (New Ire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