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810A -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810A
KR20200028810A KR1020180173567A KR20180173567A KR20200028810A KR 20200028810 A KR20200028810 A KR 20200028810A KR 1020180173567 A KR1020180173567 A KR 1020180173567A KR 20180173567 A KR20180173567 A KR 20180173567A KR 20200028810 A KR20200028810 A KR 20200028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energy
nodes
weight
weight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준
최유준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교통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00028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로드(load)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 각각에 대한 무게 및 상기 객체가 하차 또는 배송되는 위치인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상기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변화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ATH PROVIDING CONSIDERING WEIGTH VARIATION}
본 발명은 경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른 무게 변화를 경로 결정에 반영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지리정보시스템과 교통상황정보시스템이 구축되고 무선 통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경로제공수단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대부분의 차량에 탑재되어 운전자에게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장치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경로안내시스템(예를 들어, 포털사이트의 '길 찾기' 서비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경로안내시스템은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기만 하면, 현재의 교통상황, 복합 교통수단에 대한 정보 등이 반영된 경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유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적 이슈를 해결하며 전기차의 신속한 상용화를 위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경로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것이 경로제공수단들의 당면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 경로제공수단들은 짧은 이동시간 또는 짧은 이동거리를 가지는 경로정보를 생성 및 제공함으로써 위와 같은 과제를 일부 충족시키고 있으나, 에너지 효율성은 이동시간 또는 이동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라미터가 종합적으로 반영되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인 수준의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 경로제공수단들은 경로에 대한 2차원 데이터(평면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할 뿐,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큰 영향을 주는 고도 변화를 경로정보 생성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 경로제공수단들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큰 영향을 주는 차량의 무게, 사람의 하차 또는 물건의 배송 등에 따른 차량의 무게 변화 등에 대한 고려 없이 경로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고도 변화 또는 차량의 무게 변화와 같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량에 큰 영향을 주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경로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함으로써 더욱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동경로 생성에 차량의 무게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로드(load)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 각각에 대한 무게 및 상기 객체가 하차 또는 배송되는 위치인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상기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변화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에 로드(load)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 각각에 대한 무게 및 상기 객체가 하차 또는 배송되는 위치인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상기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변화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에너지경로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너지 소요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무게 변화를 경로 결정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므로, 무게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더욱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 변화, 고도 변화, 정차에 소요되는 에너지 등과 같이 종래 방법이 고려하지 못한 새로운 파라미터들을 반영하여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되므로, 더욱 정확한 에너지 연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고도 변화를 더 고려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무게 변화와 이동거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시간 효율적인 경로와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이하 '경로제공장치'라 지칭한다)(100) 및 관련 구성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경로 결정 또는 생성에 반영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경로를 제공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객체에는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 배송을 위해 차량에 탑재되는 배송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객체가 로드되는 차량에는 회사 직원들이 이용하는 통근 버스, 배송을 위해 이동하는 차량, 다수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차하는 공유형 차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게 변화는 사람의 하차, 물건의 배송 등에 따라 발생한다. 본 발명은 탑승한 사람 전체의 무게와 차량 자체의 무게를 합산한 값 또는 탑재된 물건 전체의 무게와 차량 자체의 무게를 합산할 값을 기준으로 무게 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자체의 무게는 고정적으로 유지되므로, 본 발명은 탑승한 사람 전체 또는 탑재된 물건 전체의 무게만을 기준으로 무게 변화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경로 생성에 반영하기 위하여, 차량에 로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한 무게와, 객체가 하차하거나 배송되는 위치인 노드(노드의 위치정보)가 미리 확보되어야 한다.
경로제공장치(100)는 객체 각각에 대한 무게 및 노드를 자체적으로 확보하거나, 실시형태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관리서버(11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하여 전송 받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자가 자신이 소지한 경로제공장치(100)에 배송물의 무게 및 배송되는 위치(노드)를 직접 입력하거나, 경로제공장치(100)에 탑재된 스캐너를 이용하여 배송물에 부착된 식별코드(바코드 등)를 인식시킴으로써 배송물의 무게 및 배송되는 위치(노드)를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배송자가 경로제공장치(100)를 통해 배송 회사가 관리하는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당일 배송해야 할 배송물의 정보(무게 및 노드)를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해 전송 받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경로의 고도 변화를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연산하거나, 특정 경로의 이동시간을 연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도 변화와 이동시간을 연산하기 위하여, 도로의 고도데이터가 미리 확보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지리정보를 관리하는 지리정보서버(120)로부터 도로의 고도데이터 또는 도로의 고도데이터가 포함된 3차원 맵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하여 전송 받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로제공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가 객체의 무게 변화를 경로 생성에 반영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경로를 제공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정보획득부(210), 에너지경로생성부(220), 제공부(230), 시간경로생성부(240) 및 메모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후보생성부(222), 에너지연산부(224) 및 경로도출부(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획득부(210)는 하차 또는 배송에 따른 무게변화를 고려하기 위해, 차량에 로드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에 대한 무게를 획득한다(S310). 또한, 본 발명의 정보획득부(210)는 객체가 하차하는 위치에 해당하거나 객체가 배송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노드를 획득한다(S310).
전술된 바와 같이, 정보획득부(210)는 경로제공장치(100)에 탑재된 별도의 인식 기기를 이용하여 객체 각각의 무게와 노드를 확보하거나, 이 정보들을 관리서버(11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하여 전송 받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게 및 노드가 관리서버(110)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본 발명의 메모리부(250)에 저장되는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의 정보획득부(210)는 운행일 또는 배송일과 같이 경로의 제공이 요구되는 시점에 메모리부(250)로부터 무게 및 노드를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정보획득부(210)가 객체 각각에 대한 노드를 획득하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무게 변화와 해당 무게 변화가 발생한 노드(위치)를 매칭시켜 특정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까지(경로 전체)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연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연산부(220)는 획득된 노드들을 연결하여 이동경로를 생성하되,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이동경로인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데(S320), 에너지경로 생성에는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 변화와 이 무게 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특정 노드에서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이 이루어지면 이 특정 노드에서 무게 변화(무게 감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로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소모량은 다른 노드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소모량과 상이하게 된다.
하차 또는 배송되는 객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특정 노드에서 큰 무게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에너지소모량이 무게 변화에 반비례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이와 달리, 하차 또는 배송되는 객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특정 노드에서 작은 무게 변화가 발생하게 되므로, 에너지소모량이 무게 변화에 반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무게 변화와 에너지소모량 사이의 이러한 관계를 고려하여 노드들을 연결함으로써, 전체 경로를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전체 에너지량이 상대적으로 작은(최소의 에너지소모량을 가지는) 경로인 에너지경로를 생성한다.
에너지경로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제공부(230)는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외부로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30). 제공부(230)는 경로제공장치(100)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사운드 기기, 모터 등과 같은 알림 장치에 해당하거나, 이 알림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하차 또는 배송에 의해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경로 생성 또는 경로 결정에 반영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동거리와 같은 제한된 파라미터만을 이용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종래 방법에 비해 더욱 향상된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을 위해 이동 가능한 경로후보를 하나 이상 생성하고, 이 경로후보들 중 최소의 에너지소모량을 가지는 경로후보를 에너지경로로 도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경로를 생성 및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후보생성부(222)는 획득된 하나 이상의 노드를 기반으로 최초 노드로부터 최종 노드까지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경로후보를 생성한다(S322).
여기서, 최초 노드는 정보획득부(210)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 중 하차 또는 배송이 최초로 이루어지는 노드를 의미하거나 차량이 운송 또는 배송을 위해 출발하는 최초 지점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생성되는 경로후보들 각각마다 서로 다른 최초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는 관점에서, 최종 노드는 정보획득부(210)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노드들 중 하차 또는 배송이 마지막으로 이루어지는 노드를 의미하거나 사람의 하차 또는 물건의 배송을 완료한 차량이 반납, 수리 등을 위해 이동하는 장소인 최종 지점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생성되는 경로후보들 각각마다 서로 다른 최종 노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로후보들이 생성되면, 본 발명의 에너지연산부(224)는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이 무게 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경로후보 각각마다 연산한다(S324).
경로후보들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노드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에너지연산부(224)는 하차 또는 배송에 의해 특정 노드에서 발생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이 특정 노드에서의 현재 무게를 결정하고, 결정된 현재 무게로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단위 에너지량을 연산한 후, 연산된 단위 에너지량들을 합산하여 에너지소모량을 연산할 수 있다.
에너지소모량이 연산되면, 본 발명의 경로도출부(226)는 생성된 경로후보들 중 최소의 에너지소모량을 가지는 경로후보를 에너지경로로 도출함으로써(S326), 본 발명에 의한 에너지경로의 생성이 완료되게 된다.
실시형태를 달리하여, 본 발명의 경로도출부(226)는 생성된 경로후보들 중 차량이 해당 경로후보들을 이동한 후 차량에 남아 있는 잔여 에너지량이 일정 수치 이상에 해당하는 경로후보들을 먼저 선별한 후, 선별된 경로후보들 중 최소의 에너지소모량을 가지는 경로후보를 에너지경로로 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정 수치 이상의 잔여 에너지량이란, 차량이 해당 경로후보를 이동한 후 주유소 또는 충전소까지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의미하거나, 충전을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량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간을 고려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경로후보들 중 일정 수치 이상의 잔여 에너지량을 확보할 수 있는 경로후보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주유소 또는 충전소를 경유하는 새로운 이동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고도 변화를 더 고려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차량의 무게 변화에 고도 변화를 더 고려하여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경로의 이동거리, 경로의 교통 상황과 같은 제한된 파라미터만을 근거로 해당 경로를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추정하도록 구성되며, 에너지 추정에 이용되는 이동거리는 2차원 도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된다.
따라서, 종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현재 고도로부터 높은 고도로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량의 차이와 현재 고도로부터 낮은 고도로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에너지량의 차이를 이동거리 및 경로 결정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경로의 고도 변화를 에너지소모량 연산에 반영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량을 더욱 정확하게 연산함으로써 종래 방법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정보획득부(210)는 도로의 고도데이터 또는 도로의 고도데이터가 포함된 3차원 맵데이터를 지리정보를 관리하는 지리정보서버(12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130)을 통하여 전송 받아 획득하거나, 기 전송된 고도데이터를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고 이 메모리부(250)로부터 고도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S410).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획득된 고도데이터를 기반으로, 특정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까지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도 변화와 이 고도 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에너지경로를 생성한다(S420).
이와 같이, 무게 변화와 고도 변화가 모두 고려된 에너지경로가 생성되면, 본 발명의 제공부(230)는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외부로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가 고도 변화를 더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면,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경우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경로로 안내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무게 변화와 이동거리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경로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무게 또는 무게 변화와 정차 횟수를 유기적으로 반영하여 경로를 생성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에너지소모량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운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므로, 큰 무게를 가지는 배송물을 선순위로 배송하는 것이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다만,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가지는 배송물을 선순위로 배송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특정 노드와 다음 노드 사이의 이동거리가 큰 경우), 이 긴 거리를 이동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무게를 가지는 배송물을 선순위로 배송하는 것 즉, 상대적으로 큰 무게를 가지는 배송물을 후순위로 배송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성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정차 횟수와 관련하여, 하차 또는 배송을 위해 차량을 정차시키는 과정과 하차 또는 배송을 완료한 후 차량을 출발시키는 과정은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에 소요되는 에너지보다 더욱 많은 에너지를 소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적용 대상에 해당하는 차량은 하차 또는 배송을 위해 정차와 출발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정차와 출발에 소요되는 에너지량이 일반적인 이동에 소요되는 전체 에너지량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정차와 출발에 소요되는 에너지량 즉 정차 횟수에 관련된 에너지량을 에너지소모량 연산에 추가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획득된 노드들 중 n(n은 1 이상의 자연수)번째 노드를 선별하고(S510), 선별된 n번째 노드에서의 무게 변화가 기준 무게변화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0).
여기서, 기준 무게변화는 특정 노드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의도, 하차 또는 배송의 횟수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n번째 노드에서의 무게 변화가 기준 무게변화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해당 n번째 노드를 후순위로 배치하고(S530), n+1번째 노드에서의 무게 변화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S540).
이와 달리, n번째 노드에서의 무게 변화가 기분 무게변화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n번째 노드와 n+1번째 노드 사이의 이동거리가 기준 이동거리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S550).
기준 무게변화와 마찬가지로, 기준 이동거리는 특정 노드의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의도, 하차 또는 배송의 횟수 등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누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n번째 노드와 n+1번째 노드 사이의 이동거리가 기준 이동거리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n번째 노드를 후순위로 배치하고(S530), n+1번째 노드에서의 무게 변화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S540).
이와 달리, n번째 노드와 n+1번째 노드 사이의 이동거리가 기준 이동거리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n번째 노드를 선순위로 배치한 후(S560), 획득된 모든 k개의 노드들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570).
판단이 완료되지 않은 노드들이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전술된 판단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S580) 모든 노드들에 대한 판단을 완료한 후(n=k), 순위 배치가 완료된 노드들을 연결하여 에너지경로를 생성한다(S59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노드에서 발생하는 무게 변화의 크기(하차 또는 배송하는 객체의 무게), 하차 또는 배송을 위해 정차하는 횟수 및 노드들 사이의 이동거리를 유기적으로 고려하여 이동경로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므로, 에너지 효율성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도 6은 시간 효율적인 경로와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가 통근 버스와 같이 사람이 하차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경로제공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출근 또는 퇴근 시간을 준수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가 배송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경로제공장치(100)는 사용자의 개인 스케줄, 배송예정시간, 차량반납시간을 준수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 이외에, 시간 효율적인 경로를 함께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응되는 경로를 최종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에너지경로생성부(220)는 정보획득부(210)에서 획득된 객체의 무게와 노드를 고려하여 에너지 효율성이 향상된 에너지경로를 생성한다(S620).
한편, 본 발명의 시간경로연산부(240)는 차량이 노드들을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동시간과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소요되는 정차시간을 고려하여, 시간 효율성이 향상된 즉, 최단의 소요시간을 가지는 시간경로를 생성한다(S610).
주행시간은 교통상황, 평균적인 주행 속도 등을 이용하여 연산되거나, 노드 사이를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을 미리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고 실제 이동하고자 하는 노드에 소요되는 주행시간을 메모리부(250)로부터 선별하는 방법 등을 통해 연산될 수 있다.
정차시간은 특정 노드에 물건을 배송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미리 메모리부(250)에 저장하고, 배송 지점에 해당하는 노드와 대응되는 노드의 배송시간을 메모리부(250)로부터 선별하는 방법 등을 통해 연산될 수 있다.
또한, 정차시간은 배송되는 물건의 종류, 무게, 배송지점의 지리적 위치 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기준으로 정차시간을 더 세분화하여 메모리부(250)에 저장하는 방법 등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에너지경로와 시간경로의 생성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제공부(230)는 생성된 에너지경로와 시간경로를 외부로 표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630).
에너지경로와 시간경로를 외부로 표출하는 방법은 제공부(230)의 기기 특성 또는 제공부(230)가 제어하는 기기의 종류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사운드, 진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출된 에너지경로와 시간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또는 수신되면(S640), 본 발명의 제공부(230)는 시간경로와 에너지경로 중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경로를 다시 외부로 표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6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는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와 시간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의 현재 요구에 더욱 부합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어, 향상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객체의 무게 및 노드를 획득하는 과정,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시간경로를 생성하는 과정, 생성된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들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 자체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실시형태에 따라, 객체의 무게 및 노드를 획득하는 과정과 생성된 경로를 제공하는 과정만이 본 발명의 경로제공장치(100)에서 수행되고, 나머지 과정들은 경로제공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 내지 휴대하는 경로제공장치(100)와 이 경로제공장치(100)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경로제공장치(100)는 객체의 무게, 노드, 고도데이터 등 경로 생성에 필요한 정보들을 획득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전송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경로 또는 시간 효율적인 경로를 생성한 후 경로제공장치(100)로 재전송하며, 경로제공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로를 외부로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내지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내지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경로제공장치
210: 정보획득부 220: 에너지경로생성부
230: 제공부 240: 시간경로생성부
250: 메모리부

Claims (11)

  1. 차량에 로드(load)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 각각에 대한 무게 및 상기 객체가 하차 또는 배송되는 위치인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상기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변화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들을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경로후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상기 에너지소모량을 상기 경로후보 각각마다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경로후보 중 상기 에너지소모량이 최소가 되는 경로후보를 상기 에너지경로로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도로의 고도데이터를 더 획득하고,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고도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드 중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도변화와 상기 고도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더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노드 중 기준 무게변화 이상의 무게변화가 발생하는 노드를 선순위로 배치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노드 중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의 이동거리를 더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을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주행시간과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소요되는 정차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시간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경로와 상기 에너지경로를 외부로 표출하고, 상기 표출된 시간경로와 에너지경로 중 외부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가 지정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7. 차량에 로드(load)되는 하나 이상의 객체(object) 각각에 대한 무게 및 상기 객체가 하차 또는 배송되는 위치인 하나 이상의 노드(node)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부;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따라 상기 노드 각각에서 발생하는 무게변화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에너지경로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에너지경로를 제공하는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경로생성부는,
    상기 노드들을 연결하여 하나 이상의 경로후보를 생성하는 후보생성부;
    상기 무게변화에 따른 상기 에너지소모량을 상기 경로후보 각각마다 연산하는 에너지연산부; 및
    상기 경로후보 중 상기 에너지소모량이 최소가 되는 경로후보를 상기 에너지경로로 도출하는 경로도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획득부는,
    도로의 고도데이터를 더 획득하고,
    상기 에너지경로생성부는,
    상기 고도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이 상기 노드 중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도변화와 상기 고도변화에 따른 에너지소모량을 더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경로생성부는,
    상기 노드 중 기준 무게변화 이상의 무게변화가 발생하는 노드를 선순위로 배치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되, 상기 노드 중 특정 노드로부터 다음 노드까지의 이동거리를 더 고려하여 상기 에너지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간을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주행시간과 상기 객체의 하차 또는 배송에 소요되는 정차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노드들을 연결한 시간경로를 생성하는 시간경로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시간경로와 상기 에너지경로를 외부로 표출하고, 상기 표출된 시간경로와 에너지경로 중 외부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가 지정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장치.
KR1020180173567A 2018-09-07 2018-12-31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288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7041 2018-09-07
KR1020180107041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810A true KR20200028810A (ko) 2020-03-17

Family

ID=70004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567A KR20200028810A (ko) 2018-09-07 2018-12-31 무게 변화를 고려한 경로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8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28A (ko) 2022-07-18 2024-01-25 한승림 식품포장용 점착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28A (ko) 2022-07-18 2024-01-25 한승림 식품포장용 점착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373B2 (en) Fleet maintenance management for autonomous vehicles
US114754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allocation to customers for ride-sharing
US11727345B1 (en) Integrated multi-location scheduling, routing, and task management
JP6707125B2 (ja) 共有可能な注文を割り当て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6568240B2 (ja) 運輸サービスの料金を求め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1182871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idesharing
JP6423520B2 (ja) サービスの供給状況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823907B2 (ja) 輸送サービス予約方法、輸送サービス予約装置、及び輸送サービス予約プログラム
WO20192190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 allocation
US11067400B2 (en) Request and provide assistance to avoid trip interruption
CN109429520B (zh) 用于检查作弊服务订单的方法、系统、设备及可读介质
EP3797261A1 (en) Multi-modal method of transportation routing
JP2013545078A (ja) ルート設計デジタル地図を最適化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6931446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CN114581180A (zh) 一种充电站推荐方法、充电桩状态的确定方法及装置
US10594806B2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and resources
JP2019175390A (ja) 搭乗管理システム、搭乗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移動体
CN111433795A (zh) 一种确定线上到线下服务的预估到达时间的系统和方法
WO2014186248A1 (en) Guidebook transit routing
WO2018180583A1 (ja) プラン情報提供システム、プラン情報提供方法、および記憶媒体
CN111882112B (zh) 一种预测到达时间的方法和系统
AU2018217973A1 (en) Dynamic selection of geo-based service options in a network system
CN111954891B (zh) 一种跨业务的共享汽车资源复用方法
US20170178268A1 (en) Management of mobile objects and resources
CN111201421A (zh) 用于确定在线上到线下服务中的最优运输服务类型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