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670A -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 Google Patents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670A
KR20200028670A KR1020180107044A KR20180107044A KR20200028670A KR 20200028670 A KR20200028670 A KR 20200028670A KR 1020180107044 A KR1020180107044 A KR 1020180107044A KR 20180107044 A KR20180107044 A KR 20180107044A KR 20200028670 A KR20200028670 A KR 2020002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inion
spool
fishing ree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299B1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07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299B1/ko
Priority to US16/555,238 priority patent/US11013222B2/en
Publication of KR2020002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disengageable positive drive components, e.g. a clutch
    • A01K89/01902Gear p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결합된 피니언의 외주면에 절연성 재질의 부싱을 끼워 지지부재가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접촉 내지 마찰에 의한 전위 부식(전식(電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고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스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프레임에 축설되는 스풀 샤프트; 상기 스풀 샤프트의 일측 축부에 외삽되어 결합되고,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몸통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 및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FISHING REEL}
본 발명은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결합된 피니언의 외주면에 절연성 재질의 부싱을 끼워 지지부재가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접촉 내지 마찰에 의한 전위 부식(전식(電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고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이트 캐스팅 릴(이하 낚시 릴로 통칭함.)은, 스풀의 제동 방식에 따른 브레이크 다이얼이나 텐션 너트의 작동 구조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스풀(11)이 장착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면에 결합된 기어(gear)측 제1 사이드커버(12), 상기 프레임(10)의 타측면에 결합된 팜(palm)측 제2 사이드커버(13), 상기 제1 사이드커버(12)에 구비된 핸들(14) 및 캐스팅 시 상기 스풀(11)의 자유 회전을 보장하면서 핸들과 연동하여 스풀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스풀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클러치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 릴은 스풀 샤프트(20)의 양측 단부가 길에 연장되어, 일측 단부는 제1 사이드커버(12)에 구비된 텐션 너트(15)의 텐션력 조절부에 연결되면서, 스풀 샤프트(20)의 양측 축부(21)(22)가 제1, 제2 사이드커버(12)(13)에 내장된 베어링 등의 지지부재(50)에 축설되어 스풀(11)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스풀 샤프트(20)의 제1 축부(21)에는 클러치 수단의 피니언(30)이 외삽되어, 베어링 등의 지지부재(50)가 피니언(3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0)은 스풀 샤프트(20)의 제1 축부(21)가 내삽되는 중공부(31)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전단부에 스풀 샤프트(20)의 체결핀(23)이 걸림 결합되는 끼움부(32)를 갖고, 중단부에 핸들과 연동하는 드라이브 기어가 치합되는 톱니부(33)를 구비한다.
이러한 낚시 릴은 클러치 바를 눌러서 피니언(30)을 스풀 방향(내측)으로 전진시키면 피니언(30)이 스풀 샤프트(20)에 걸림 결합되면서 클러치 off 상태가 되어, 스풀이 자유 회전하지 못하고 핸들(14)에 의해서만 회전되도록 제어되며,
반대로 클러치 바를 풀어서 피니언(30)을 스풀의 반대 방향(외측)으로 후진시키면 피니언(30)이 스풀 샤프트(20)에서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서 클러치 on 상태가 되어, 스풀(11)이 핸들(14)과 연동하지 않고 스풀(11)의 자유 회전이 가능해져, 캐스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어된다.
그런데 종래의 낚시 릴에 있어서, 피니언(30)과 베어링 등의 지지부재(50)는 마모 방지를 위한 금속 재질, 특히 이종(異種)의 금속 재질(피니언은 황동, 지지부재는 SUS)로 제작된다.
그리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 스풀(11)이 회전하게 되면 전진 작동한 피니언(30)이 스풀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바,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피니언(30)과 지지부재(40) 사이에는 금속 재질에 의한 전위차가 발생하면서 피니언(30)과 지지부재(40)의 접면에 전위 부식(전식(電蝕))이 발생한다.
이렇게 피니언(30)과 지지부재(40) 사이에 전위 부식이 발생하게 되면, 피니언(30)이 지지부재(50)에 고착되면서 전후진 작동이 불가능해져, 피니언(30)의 전후진을 통한 클러치 on/off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12-0033241호, 공개특허 제10-2015-0062981호, 공개특허 제10-2006-0045676호, 등록특허 제10-0791733호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금속 재질인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접촉 내지 마찰에 의한 전위차로 인해 피니언과 지지부재의 접면에 전위 부식(전식(電蝕))이 발생하여 피니언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니언과 지지부재 사이에 플라스틱 등의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이 개재되어 있는 낚시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스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프레임에 축설되는 스풀 샤프트;
상기 스풀 샤프트의 일측 축부에 외삽되어 결합되고,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몸통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 및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은,
상기 피니언 또는 상기 부싱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부싱이 피니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피니언과 부싱의 접면에서 서로 걸리도록 결합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에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피니언과 부싱의 접면에서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탭과 제2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은,
스풀 샤프트의 자유 회전을 클러치 on/off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피니언의 외주면에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이 구비되어, 베어링 등의 지지부재가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금속 마찰에 따른 전위차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 부식의 발생을 방지하여, 피니언이 지지부재에 고착되지 않아 별도의 부식 방지를 위한 사후 관리가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이탈방지수단을 통해 부싱을 피니언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낚시 릴의 분해 후 재조립 시 부싱의 분실을 방지함은 물론,
피니언과 부싱의 이탈방지 구조를 간소화시켜, 제작의 용이성 확보 및 제조 단가 절감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낚시 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수단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 이탈방지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후진 동작하는 피니언을 이용한 클러치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에 관한 것으로, 크게 스풀(11)이 회전하도록 프레임(10)(보다 엄밀하게는 양측 사이드커버(12)(13))에 축설되는 스풀 샤프트(20), 상기 스풀 샤프트(20)에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결합되어 클러치 동작을 하는 피니언(30), 상기 피니언(30)에 결합되는 부싱(40), 상기 부싱(40)을 구름 지지하는 지지부재(50) 및 부싱(40)을 피니언(30)에 고정시키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풀 샤프트(20)는 스풀(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프레임(10)의 사이드커버(12)(13)에 축설된다.
이러한 스풀 샤프트(20)는 양측 축부(21)(22)가 스풀(11)의 양측으로 길게 연장(텐션 너트(15)에 연결되는 제1 축부(21)가 제2 사이드커버(13)에 직결되는 제2 축부(22)보다 길게 형성됨.)되어 있으며, 축부(21)(22)들 사이에 스풀(11)이 외삽되어 스풀(11)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으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스풀 샤프트(20)는 제1 축부(21)의 내측에 체결핀(23)이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체결핀(23)은 제1 축부(21)의 외주면에서 돌출된다.
상기 피니언(30)은 상기 스풀 샤프트(20)(보다 엄밀하게는 제1 축부(21))가 외삽되는 중공부(31)가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것으로, 요크를 비롯한 클러치 수단의 클러치 바 작동을 통해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스풀 샤프트(20)의 회전을 on/off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니언(30)은 내측(도면 상 좌측) 전단부에 상기 체결핀(23)이 끼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끼움부(32)가 구비되고, 중단부의 외주면에 핸들(14)과 연동하는 드라이브 기어가 치합되는 톱니부(33)가 구비되며, 외측(도면 상 우측) 후단부에는 톱니부(33)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안착부(34)가 형성되어 부싱(40)이 상기 안착부(34)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피니언(30)은 클러치 바에 의해 전진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부(32)가 상기 체결핀(23)에 걸림 결합되어, 스풀 샤프트(20)를 피니언(30)과 치합된 드라이버 기어에 구속시켜, 핸들(14)에 의해서만 스풀(11)이 회전되도록 하고,
클러치 바에 의해 피니언(30)이 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끼움부(32)가 상기 체결핀(23)과 분리되면서, 스풀 샤프트(20)가 피니언(30)의 구속을 해제시켜, 스풀 샤프트(20)가 피니언(30)이 연동하여 회전하지 않아(즉, 피니언(30)에 대하여 스풀 샤프트(20)만이 공회전하여) 스풀(11)이 자유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풀 샤프트(20)는 양측 축부(21)(22)가 베어링 등의 지지부재(50)에 끼워져 회전 시 마찰을 저감시키는데, 이때 종래의 낚시 릴은 텐션 너트(15)와의 연결로 인해 제1 축부(21)를 지지부재(50)로 직접 지지할 수가 없어, 제1 축부(21)가 끼워진 피니언(30)의 몸통부 후단(톱니부(33) 외측단)을 지지부재(50)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 릴에 있어, 피니언(30)이 스풀 샤프트(20)와 동반 회전할 때, 금속 재질인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의 접촉 내지 마찰로 인해 전위차가 발생하여,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의 접면에 전위 부식이 발생함에 따라 피니언(30)이 스풀 샤프트(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작동하지 못하고 고착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피니언(30)과 상기 지지부재(50) 사이에 절연성을 갖는 재질의 부싱(40)을 개재하여, 전위차에 의한 전위 부식의 발생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싱(40)은 상기 피니언(30)의 몸통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와 같이 전기와 열의 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싱(40)은 상기 피니언(30)의 몸통부에 상응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써, 피니언(30)의 안착부(34)에 압입을 통해 억지 끼움되어 결합되며, 이때 부싱(40)의 외경이 피니언(30)의 몸통부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써, 부싱(40)과 피니언(30)의 몸통부 사이에 높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싱(40)은 직경차를 이용한 압입 구조 및 후술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통해, 부싱(40)이 피니언(30)의 안착부(34)에 고정되어, 낚시 릴의 분해 시 부싱(40)이 피니언(30)에서 분리되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절연성 부싱(40)의 외주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50)는 공지된 각종 베어링이나 마찰저감부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태나 지지 구조에 제한이 없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금속 재질인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 사이에 절연성의 부싱(40)이 개재되어 있어, 피니언(30)이 회전하더라도 지지부재(50)에 직접 마찰되지 않아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 사이에 전위차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의 접면에 전위 부식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 3a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30) 또는 상기 부싱(40)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부싱(40)이 피니언(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부싱(40)을 피니언(30)의 안착부(34) 상에 걸림 결합(나사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임.)시켜, 부싱(40)이 피니언(3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면 족하고, 그 형태 등에 제한이 없는데,
이하에서는 조립성 향상 및 제조 단가 절감을 위한 이탈방지수단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제1 실시예는 상기 피니언(30)과 부싱(40)의 접면에서 서로 걸리도록 결합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제2 걸림부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돌출 및/또는 오목 형성된 구조로써, 부싱(40)을 안착부(34)에 압입하여 끼웠을 때 제1, 제2 걸림부가 상호 걸림 결합되어 부싱(40)이 피니언(30)에서 분리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도 3a 내지 도 3f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형태 내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40)의 내주면에 후크 형태의 제1 결속돌기(41a)가 돌출 형성되어 제1 걸림부를 구성하고, 상기 피니언(30)의 안착부(34) 외주면에 홈 형태의 제1 결속홈(35a)이 오목 형성되어 제2 걸림부를 구성하여, 부싱(40)을 안착부(34)에 압입하여 끼웠을 때, 상기 제1 결속돌기(41a)가 상기 제1 결속홈(35a)에 걸려서 부싱(40)의 분리를 방지한다.
도 3b에 도시된 제2 결속돌기(41b) 및 제2 결속홈(35b)은 도 3a와 달리 돌기와 홈이 2개씩 구비되는 실시예로써, 도 3a의 실시예는 부싱(40)의 일방향 결합을 위해 제1 결속돌기(41a)가 후크 형상을 갖도록 삼각형으로 돌출됨에 비해, 도 3b의 실시예는 부싱(40)의 양방향 결합을 위해 서로 대응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제2 결속돌기(41b) 및 제2 결속홈(35b)이 부싱(40)과 안착부(34) 각각의 내외측 동일 위치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에서 차이가 있다.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는 돌기의 돌출 및 홈의 오목 구조가 도 3b와 반대로 구비된 실시예이다. 즉, 안착부(34)의 외주면에서 제3 결속돌기(36a)가 돌출 형성되고, 부싱(40)의 내주면에 제3 결속홈(42a)이 오목 형성되는 형태이다.
도 3d에 도시된 실시예는 안착부(34)의 외측 후단 끝단부에 제4 결속돌기(36b)가 돌출 형성되고, 부싱(40)의 내주면 양측 끝단부에 각각 제4 결속홈(42b)이 오목 형성되어 제4 결속홈(42b)들 사이에 상기 제4 결속돌기(36b)가 걸리는 걸림단(42c)이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써, 제4 결속돌기(36b) 및 걸림단(42c)이 각각 걸림부들로써 기능한다.
이때 제4 결속홈(42b)들 각각의 깊이 및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걸림단(42c)이 항상 제4 결속돌기(36b)에 걸리도록 하여, 도 3d의 실시예 역시 부싱(40)의 끼움 방향을 좌우 구분 없이 양방향으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도 3e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d의 변형예로써, 제4 결속돌기(36b), 제4 결속홈(42b) 및 걸림단(42c)은 동일하나, 다만 부싱(40)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43)가 더 구비되어, 절개부(43)를 통해 부싱(40)의 직경을 벌려서 부싱(40)의 조립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f에 도시된 실시예는, 부싱(40)이 도 3d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외측 제4 결속홈(42b)과 대응하는 위치의 안착부(34) 외주면에 끼움홈(35c)이 오목 형성되어 있으며, 안착부(34)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이탈방지링(44)이 상기 끼움홈(35c)에 끼워져, 걸림단(42c)이 이탈방지링(44)에 걸리는 형태이다.
상기 이탈방지링(44)은 조립의 편의를 위해 원형의 링 일부가 절단되어 양단이 분리된 형태의 C-링이 사용되며. 이러한 도 3f의 실시예 역시 부싱(40)을 좌우방향 구분 없이 자유롭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탈방지수단의 제2 실시예는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30)과 부싱(40)의 접면에서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탭(37)과 제2 나사탭(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제2 나사탭(37)(45)은 서로 대응하는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로써, 부싱(40)을 안착부(34)에 끼울 때 부싱(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탭들이 나사 결합되어 부싱(40)이 안착부(34)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안착부(34)의 외측 끝단부에 수나사부(제1 나사탭(37))가 오목 형성되고, 부싱(40)의 외측 끝단부에 암나사부(제2 나사탭(45))가 돌출 형성되어야, 부싱(40)을 안착부(34)에 끼운 후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부싱(40)의 이탈방지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한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부(34)의 외측 끝단부에는 제4 결속돌기(36b)가 돌출되되, 제4 결속돌기(36b)에는 피니언(30)의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37)이 제4 결속돌기(36b)의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하여 구비되고,
상기 부싱(40)의 내주면에는 상기 삽입홈(37)에 끼움 가능하게 돌출된 복수개의 걸림편(46)이 부싱(40)의 둘레 방향으로 삽입홈(37)들과 동일 간격으로 이격하여 구비되되, 각 걸림편(46)은 각 삽입홈(37)의 폭보다 작으면서 걸림편(46)의 외측 끝단부에 삽입홈(37)보다 미세하게 큰 두께(너비)를 갖는 끼움단(46A)이 연결되고, 걸림편(46)과 끼움단(46A) 사이에 홈 형상으로 절개된 파단부(46a)가 구비되어,
부싱(40)을 안착부(34)의 길이방향으로 끼우면 상기 끼움단(46A)이 상기 삽입홈(37)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된 후, 부싱(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파단부(46a)에 의해 걸림편(46)과 끼움단(46A) 사이가 절단되면서 걸림편(46)의 외측단부가 제4 결속돌기(36b)의 내측단에 걸린다. 즉, 부싱(40)을 회전시키면, 끼움단(46A)이 부싱(40)의 내주면 및 걸림편(46)에서 절단되어 분리되어 삽입홈(37)에 남게 되고, 걸림편(46)만이 부싱(40)함께 회전하여 걸림편(46)이 제4 결속돌기(36b)에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편(46) 및 끼움단(46A)은 부싱(4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되, 걸림편(46)이 끼움단(46A)보다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면서 끼움단(46A)의 선단부가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면서 걸림편(46)에 연결되며, 이 선단부의 내측에 상기 파단부(46a)가 구비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끼움단(46A)은 부싱(40)의 내주면에서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절단홈이 형성되어 부싱(40)과 끼움단(46A)이 '
Figure pat00001
'형 단면 구조를 갖도록 연결된다.
또한 각 삽입홈(37)과 이에 대응하는 끼움단(46A)은, 각각의 두께(너비) 및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도 4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동일 뚜께 및 너비를 갖도록 도시하였음.).
따라서 각 삽입홈(37)에 각 끼움단(46A)을 맞추어 부싱(40)을 안착부(34)에 끼우면, 폭이 작은 걸림편(46)이 삽입홈(37)을 통과하여 끼워지며, 끼움단(46A)이 삽입홈(37)에 진입할 때 부싱(40)을 강한 압력으로 압입하면 두께가 미세하게 두꺼운 끼움단(46A)이 이에 상응하는 두께의 삽입홈(37)에 억지 끼움되면서 부싱(40)이 1차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부싱(4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파단부(46a)와 걸림편(46)의 연결부가 끊어지면서 끼움단(46A)만이 삽입홈(37)에 남은 상태로 부싱(40)과 걸림편(46)이 함께 회전하고, 이렇게 분리된 걸림편(46)은 외측단이 각각의 제4 결속돌기(36b) 내측단에 걸려서 부싱(40)의 2차 고정이 완료되어, 부싱(40)이 안착부(34)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각 삽입홈(37)의 두께(너비)와 삽입홈(37)들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어 제4 결속돌기(36b)의 두께 역시 다르게 되므로, 조립된 부싱(40)이 안착부(34) 상에서 회전하더라도 절단된 각 걸림편(46)이 최초 삽입된 삽입홈(37)과 일대일 대응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고, 걸림편(46)들과 삽입홈(37)들 각각이 서로 대응하는 두께의 동일선 상에 배열되더라도 삽입홈(37)에 억지 끼움된 끼움단(46A)으로 인해 걸림편(46)이 삽입홈(37)으로 빠지지 않아, 결국 결합된 부싱(40)은 안착부(34) 상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부싱은 피니언에서 분리 후 이탈이 발생하지 않아, 낚시 릴의 분해 시 부싱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피니언(30)에 고정된 부싱(40)으로 인해 피니언(30)과 지지부재(50)의 마찰에 의한 전위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피니언(30)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낚시 릴의 클러치 기능을 장기적으로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프레임 11 : 스풀
12, 13 : 사이드커버 14 : 핸들
15 : 텐션 너트
20 : 스풀 샤프트 21, 22 : 축부
23 : 체결핀
30 : 피니언 31 : 중공부
32 : 끼움부 33 : 톱니부
34 : 안착부 35a : 제1 결속홈
35b : 제2 결속홈 36a : 제3 결속돌기
36b : 제4 결속돌기 37 : 제1 나사탭
40 : 부싱 41a : 제1 결속돌기
41b : 제2 결속돌기 42a : 제3 결속홈
42b : 제4 결속홈 42c : 걸림단
43 : 절개부 44 : 이탈방지링
45 : 제2 나사탭 46 : 걸림편
46A : 끼움단 46a : 파단부
50 : 지지부재

Claims (4)

  1. 스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프레임에 축설되는 스풀 샤프트;
    상기 스풀 샤프트의 일측 축부에 외삽되어 결합되고,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스풀 샤프트의 회전을 on/off 제어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몸통부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싱; 및
    상기 부싱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또는 상기 부싱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어, 부싱이 피니언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피니언과 부싱의 접면에서 서로 걸리도록 결합되는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피니언과 부싱의 접면에서 서로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탭과 제2 나사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릴.
KR1020180107044A 2018-09-07 2018-09-07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KR10212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44A KR102127299B1 (ko) 2018-09-07 2018-09-07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US16/555,238 US11013222B2 (en) 2018-09-07 2019-08-29 Fishing reel provided with bushing for anti-electrochemical corro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44A KR102127299B1 (ko) 2018-09-07 2018-09-07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70A true KR20200028670A (ko) 2020-03-17
KR102127299B1 KR102127299B1 (ko) 2020-06-26

Family

ID=6971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044A KR102127299B1 (ko) 2018-09-07 2018-09-07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13222B2 (ko)
KR (1) KR1021272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390A (ja) * 2000-12-25 2002-07-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0104322A (ja) * 2008-10-31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6218532B2 (ja) * 2013-09-27 2017-10-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5417A (en) * 1953-10-13 1956-12-25 Kleinzway Inc Fishing reel
TW440425B (en) * 1999-07-14 2001-06-16 Shimano Kk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JP3961757B2 (ja) 2000-09-29 2007-08-22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部品支持構造
SG116585A1 (en) 2004-04-13 2005-11-28 Shimabno Inc Reel unit for dual-bearing reel.
JP4981958B2 (ja) 2010-09-29 2012-07-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14155470A (ja)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ピニオンギア及びそれを備えた両軸受リール
US9545088B2 (en) 2013-11-29 2017-01-17 Globeride, Inc. Fishing re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6390A (ja) * 2000-12-25 2002-07-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10104322A (ja) * 2008-10-31 2010-05-1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6218532B2 (ja) * 2013-09-27 2017-10-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13222B2 (en) 2021-05-25
US20200077633A1 (en) 2020-03-12
KR102127299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00176A1 (en) Actionneur tubulaire pour l'entrainement d'un ecran domotique
EP2833014B1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CN107795605B (zh) 棘轮式单向离合器
CN104728227A (zh) 弹性保持组件和方法
DE102011088875A1 (de) Anlasser
JP2016153662A (ja)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固定構造
TWI756487B (zh) 雙軸承捲線器
KR102127299B1 (ko) 전위 부식 방지용 부싱을 구비한 낚시 릴
JP2009224113A (ja) 電磁スイッチ
JP6334178B2 (ja) トルクリミッター
JP5028477B2 (ja) 可逆自在のレバー同期化装置
CN210240498U (zh) 传动轴防脱结构
FR2465120A1 (fr) Butee de debrayage
KR102139521B1 (ko) 전위 부식 방지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
JP4543969B2 (ja) ギア取付構造
JP2005076409A (ja) 組プレートの取付装置
US20180259011A1 (en) Sprag one-way clutch
KR102184732B1 (ko) 피니언 지지구조를 갖는 낚시 릴
GB2485815A (en) Bearing retainer of a shearing handpiece
JP2008144945A (ja) 回転伝達装置
JP2022022394A (ja) 両軸受リール
JP2007333021A (ja) 回転伝達装置
JP3160011U (ja) 自転車用ホイールハブの構造
JP2008057621A (ja) 回転伝達装置
TW202116159A (zh) 雙軸承捲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