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307A - 캐뉼라 - Google Patents

캐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307A
KR20200028307A KR1020190108789A KR20190108789A KR20200028307A KR 20200028307 A KR20200028307 A KR 20200028307A KR 1020190108789 A KR1020190108789 A KR 1020190108789A KR 20190108789 A KR20190108789 A KR 20190108789A KR 20200028307 A KR20200028307 A KR 20200028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nula
clip
control
contac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하우거
시몬 파융크-셸링
Original Assignee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파융크 게엠베하 메디친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200028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3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23Access ports, e.g. toroid shape introducers for instruments or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3Ner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9/00Local anaesthesia; Hypo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61N1/36125Details of circuitry or electric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1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guided by ultra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7Locking means, e.g. for locking instrument in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72Connectors and adapters therefor
    • A61B2018/00178Electrical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41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025/0166Sensors, electrod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catheter to a target zone, e.g. image guided or magnetically gui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6Ergonomic details therefor, e.g. specific ergonomics for left or right-handed u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뉼라 튜브(11) 및 캐뉼라 튜브(11)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본체 부분(10)을 갖는 캐뉼라 본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를 구비한 장착 본체(31)를 갖는 제어 클립(30), 제1 구성(Ⅰ)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 상에 측방향으로 부착가능한 상기 제어 클립(30)을 포함하는 캐뉼라(1)에 관련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1)의 캐뉼라 본체, 접촉 클립(20) 및 제어 클립(30)에 관련있다.

Description

캐뉼라{CANNULA}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캐뉼라 및 청구항 제19항의 특징부를 갖는 캐뉼라 본체, 청구항 제20항의 특징부를 갖는 제어 클립 및 청구항 제21항의 특징부를 갖는 접촉 클립에 관련있다.
종래의 기술에서 다양한 구성의 캐뉼라는 널리 공지되어 있다. 캐뉼라는 전형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캐뉼라 튜브를 포함하고, 그의 근위 단부에 배치된 본체 부분 그리고 그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캐뉼라 팁을 갖는다. 본체 부분에 의해서, 캐뉼라 팁은 치료 목적을 위해 의료인에 의해 환자의 신경에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캐뉼라 팁의 위치는, 특히, 전기 자극 임펄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기 자극 임펄스는 캐뉼라의 근위 본체 부분의 영역 내 전기 전도성 캐뉼라 튜브와 접촉하는 자극 케이블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캐뉼라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7,022,115 B1, EP 1 002 500 A1 및 DE 10 2016 110 379 A1로부터 공지되고 특히 말초 신경 차단을 위한 마취에서 사용된다.
요법 또는 마취에서, 초음파는 치료될 환자 내에서 캐뉼라 팁 및 캐뉼라 튜브의 정확한 위치를 각각 관찰 및 체크하기 위해 점점 더 사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초음파 신호를 방출하고 금속 캐뉼라 튜브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가 환자의 신체 표면 상에 배치된다. 캐뉼라의 개선된 초음파 가시성의 결과로, 예를 들어, WO 2010/012 024 A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마취사는 캐뉼라 튜브의 초음파 위치에 점점 더 제한을 받으며, 전기 자극을 배제한다.
의료인은 한 손에 캐뉼라 튜브의 위치를 체크 및 관찰하기 위해 초음파 프로브를 홀딩해야 하고, 추가로, 한 손으로 캐뉼라를 통한 액체, 특히 국소 마취제의 공급 및 흡인을 적합한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하며, 다른 손으로는 전기 자극 임펄스를 설정해야 하는 것은 단점으로 입증되었다. 종래의 기술로부터 공지된 캐뉼라에서, 이 작동은 번거롭고 환자의 치료에 의료인의 증가된 인력 충원을 요구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는 본 발명의 출발점이다.
종래 기술의 캐뉼라로부터 공지된 단점을 편리하게 제거하고 의료인에 의한 단순화된 작동 및 생산에서의 비용적 이점 그리고 개별 구성요소의 재사용을 편의적으로 조합하는 개선된 캐뉼라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특히, 개선된 캐뉼라, 및 캐뉼라 튜브의 위치를 관찰 및 체크하기 위한 초음파 프로브의 조작은 한 사람에 의해 가능해야 하고, 캐뉼라의 모든 기능, 즉 액체의 공급 제어 및/또는 액체의 제거 또는 주입 및/또는 흡인 및 자극 임펄스 제공뿐만 아니라 캐뉼라의 안내, 또는 신경에서 캐뉼라 튜브의 원위 단부의 위치설정이 단일 작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자극과 초음파를 조합하는 것은 환자 및 의료인이 더욱 안전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환자의 개별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그림 초음파 표현 및 자극에 의한 캐뉼라와 신경의 간격의 동시적인 제어는, 천공 정확도의 최적화 그리고 따라서 국소 마취제를 주입할 때 사용되는 양 측면에서 국소 마취제의 최적의 효과 및 최적의 사용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기술로서, 치료에서 입증된 시간적 이점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캐뉼라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19항의 특징부를 갖는 캐뉼라 본체, 청구항 제20항의 특징부를 갖는 제어 클립, 및 청구항 제21항의 특징부를 갖는 접촉 클립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본질적 개념은 몇몇의 부분에서 모듈식 시스템의 방식으로 캐뉼라를 형성하는 것에 기초하고, 의도된 용도에 따라, 이 캐뉼라는 제어 클립과 제1 구성에 장착되거나, 전기 자극을 위해 추가적으로 접촉 클립과 제2 구성에 장착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갖는 캐뉼라는, 캐뉼라 튜브 및 캐뉼라 튜브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본체 부분을 갖는 캐뉼라 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제어 요소를 구비한 장착 본체를 갖는 제어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본체는 제1 구성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에 측방향으로 부착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예에 따르면, 제2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는 본체 부분 상에서 측방향으로 인체공학적으로 배열된 접촉 클립이 제공될 수 있다. 접촉 클립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를 갖는 장착 부분을 포함하고, 접촉 클립은 제2 구성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에 측방향으로 부착가능하며, 제2 구성에서 전기 접촉부는 본체 부분의 영역 내에서 캐뉼라 튜브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자극 케이블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한다. 제2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는 종래의 기술로부터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의 방식으로 전기 자극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클립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가 제2 구성에서 전기 자극 임펄스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사용 후에, 접촉 클립은 본체 부분으로부터 제거되고 적절한 세정 후에 다른 환자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 클립의 장착 부분은 본체 부분과 결합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래칭 아암(latching arm)을 갖는다. 따라서, 접촉 클립의 장착은 래칭 연결에 의해 수행되고, 접촉 클립은 본체 부분 상에 측방향으로 부착되며, 탄성 래칭 아암은 각각, 본체 부분 내 대응 래칭 리세스와 결합하고 및/또는 본체 부분의 대응 에지 뒤에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칭 러그(lug)를 갖는다. 접촉 클립이 제2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 부분으로 전달될 때, 래칭 아암은 본체 부분의 양 측면 상에서 서로 정반대로 안착되고, 리세스는 접촉 클립의 전기 접촉부와 결합하기 위해 래칭 아암 사이의 본체 부분의 영역에 존재한다. 대안적으로, 접촉 클립 또는 접촉 클립의 장착 부분은 본체 부분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탄성 래칭 아암에 의해 본체 부분에서 로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예는, 제2 구성에서, 전기 접촉부가 본체 부분의 리세스와 결합하고 캐뉼라 튜브와 전기 접촉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접촉 클립이 제2 구성을 형성하기 위한 장착 부분에 의해 본체 부분에 부착되는 경우, 전기 접촉부는 본체 부분의 리세스와 결합한다. 본체 부분의 리세스는 금속 캐뉼라 튜브, 또는 비전기 전도성 캐뉼라 튜브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커버하지 않고, 전기 접촉부와 금속 캐뉼라 튜브, 또는 캐뉼라 튜브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 사이의 전기 연결을 허용한다. 따라서, 접촉 클립의 장착 부분에서, 전기 접촉부는 본체 부분을 향하는 측면 상에 배치되고, 이는 본체 부분의 외부 설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조작은 방해받지 않고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캐뉼라와 완전히 일치한다.
캐뉼라 튜브와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전기 접촉부는, 제2 구성으로의 접촉 클립의 전달 중에 캐뉼라 튜브 상으로 가압되는 절연 변위 접촉부로서 설계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절연 변위 접촉부는 캐뉼라 튜브와의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부를 수행하고 캐뉼라 튜브 상의 어떠한 절연 층도 전기 접촉부로부터 캐뉼라 튜브 또는 캐뉼라 튜브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로의 전기 자극 임펄스의 송신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접촉부는 전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 부분의 리세스 내로 돌출되고 캐뉼라 튜브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스프링 탭이 제공된다. 특히, 스프링 탭의 자유 단부는 예리한 에지로 형성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는데, 이로 인해 스프링 탭이 캐뉼라 튜브 상에 안착될 때, 안정적인 전기 연결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는, 접촉 클립이 자극 케이블로의 전기적으로 분리가능한 연결을 확립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갖는 것을 제공한다. 특히, 이 경우에, 전기 접촉부는 전기 커넥터를 형성하도록 클램핑 접촉을 제공하는, 제2 단부에서의 추가 스프링 탭을 갖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 결과, 특히 컴팩트한 커넥터가 제공되고, 이는 공간-절약 설계의 요구조건을 충족한다. 이 경우에, 커넥터는 쌍으로 배열된 래칭 아암 사이의 중심에 위치되고,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구성에서 본체 부분에 몰딩되거나 조인트된 보유 바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전기 제어 요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어 요소는 제어 라인에 연결되고, 제어 라인은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이는 자극 케이블 및 접촉 클립에 의해 캐뉼라 튜브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로 송신되는 전기 자극 임펄스를 생성한다. 추가로, 더 바람직하게는, 제어 라인은 장치, 또는 캐뉼라 튜브를 통해 주입 또는 흡인될 액체를 공급 또는 흡인하도록 구성된 추가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클립의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자극 케이블 내에서 유동하는 전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데, 전류는 자극 임펄스, 특히 전원을 켜고 전원을 끔을 표현한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자극 임펄스, 특히 진폭 및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 클립이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제어 요소를 갖는 경우,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캐뉼라 튜브를 통과하고 환자 내로 주입되는 액체가 제어될 수 있어 유리하다. 특히, 액체의 주입 및/또는 흡인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제어 요소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제어 요소는 주입률 - 또는 흡인률, 즉, 단위 시간 당 주입 또는 흡인되는 액체의 양에 효과를 미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체 부분 상에 측방향으로 장착하는 목적을 위한, 제어 클립의 장착 본체의 적어도 2개의 래칭 아암은 본체 부분 및/또는 접촉 클립을 수용하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접촉 클립 및/또는 캐뉼라의 본체 부분과의 래칭 연결을 확립하는 경우에 유리하다. 이 경우에, 제어 클립의 장착 본체의 적어도 2개의 래칭 아암은 서로로부터 정반대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제어 클립 및/또는 본체 부분을 수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에서, 접촉 클립은 이미 적어도 2개의 래칭 아암 사이의 제어 클립의 영역 내 또는 본체 부분에 위치된다. 제어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이 설계 조치는 본체 부분 또는 캐뉼라의 외부 설계에 단지 약간의 영향을 미치고,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조작이 방해받지 않고 특히 한 손으로 한 손 파지 자세로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특히, 제어 클립의 적어도 2개의 탄성 래칭 아암은 접촉 클립의 장착 부분을 수용하고, 접촉 클립 및 제어 클립의 플러그-인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접촉 클립 및 제어 클립은 상이한 플러그-인 방향을 가질 수 있고, 플러그-인 방향은 캐뉼라 튜브 주위로 서로 90°, 180° 또는 270°로 회전되어 특히 바람직하게 정렬된다.
본체 부분은 주입될 액체가 캐뉼라 튜브에 동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근위 연결부를 갖는 경우에 유리하다. 특히, 연결부는 주입 호스가 본체 부분 내에 삽입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호스는 바람직하게는 본체 부분 상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따라서 유실될 위험 없이 유지된다. 연결부를 통해, 액체, 특히 국소 마취제는 캐뉼라 팁에서 개방되는 출구를 통해 이 액체를 적용하도록 캐뉼라 튜브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는 커넥터, 특히 루어 록(Luer-lock) 커넥터 또는 엔알피트(NRfit)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 커넥터는 본체 부분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본체 부분에 동축으로 그리고 밀봉식으로 부착되거나 본체 부분 내에 있는, 주입 호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장착 본체에 내장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외부 영향, 특히 액체 또는 오염물에 대항하여 고정 본체 내에서 완전히 밀폐식으로 보호된다. 특히, 그렇게 할 때, 적절한 세정 후에 제어 클립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제2 구성에서 제어 요소가 본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작동될 수 있는 경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특히 인체공학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해 특히 유리하다.
또한, 장착 본체가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영역, 특히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한 영역을 갖고, 이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영역은 장착 본체에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가 작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의료인의 작동 움직임은 변형가능한 영역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로 전달되고, 이 제어 요소가 대응 전기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거나, 주입 또는 흡인이 기계적으로 개시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 본체는 양호한 변형가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영역은 적어도 본체 부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의 제2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전기 제어 요소는 작동하기 특히 용이하다. 특히, 제2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을 위한 재료로서 실리콘-함유 플라스틱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제어 요소는 햅틱적(haptically) 및/또는 광학적 및/또는 음향적으로 인지가능한 피드백을 생성할 수 있는 경우에 유리하다. 특히, 햅틱적 및 음향적으로 인지가능한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요소는 조명 수단, 특히 LED에 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시각적으로 인지가능한 신호를 생성하는 스냅 돔 및/또는 제어 클립을 갖는 경우에 유리하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는 전기 용량성 스위치 및/또는 전기 유도성 스위치인 경우에 유리하다. 이러한 스위치는 저렴하고 사용하기 안전하다.
본 발명의 추가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부분 및/또는 접촉 클립의 장착 부분 및/또는 제어 클립의 장착 본체는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체 부분, 장착 부분 및 장착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1-성분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만들어지는 경우에 유리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캐뉼라 본체, 접촉 클립 및 제어 클립에 관련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구성에서, 본체 부분에 측방향으로 부착된 제어 클립에 의해 개선되고 단순화된 작동을 실현하고, 제2 구성에서, 전류에 의해 자극을 가능하게 하는 캐뉼라 시스템이 제안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캐뉼라 튜브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본체 부분을 갖는 캐뉼라 튜브, 접촉 클립 및 제어 클립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접촉 클립이 본체 부분에 부착된, 도 1에 따른 캐뉼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제어 클립이 제1 구성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에 부착된, 도 1 또는 2에 따른 캐뉼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캐뉼라를 통과하는 종방향 축을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근위 단부에 부착된 본체 부분을 갖는 캐뉼라 튜브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접촉 클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어 클립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1)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캐뉼라(1)는 종방향 축을 따라 동축으로 연장되는 캐뉼라 튜브(11)를 갖는 캐뉼라 본체를 포함한다. 캐뉼라 튜브(11)는 전기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추가로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캐뉼라 튜브(11)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주 상에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코팅될 수 있다.
캐뉼라 튜브(11)는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고, 치료 목적을 위해 환자의 신체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캐뉼라 팁(도시되지 않음)이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캐뉼라 튜브(11)의 근위 단부에는, 바람직하게는 캐뉼라 튜브(11) 상의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된 본체 부분(10)이 배열된다. 본체 부분(10)은 실질적으로, 의료인에 의한 캐뉼라의 안정적인 파지 및 안내를 허용하도록, 그 근위 및 원위 단부가 플랜지형 방식으로 넓어지는 직사각형 직육면체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다. 삽입 리세스(15)는 원위 단부에서의 플랜지와 근위 단부에서의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부(18)는 본체 부분(10)의 근위 단부에 배열된다. 연결부(18)는, 도 5에서 상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뉼라 튜브(11)와 주입 호스(19)를 연결한다. 이 목적을 위해, 주입 호스(19)는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돌출된 근위 단부에 걸쳐 밀려진 상태이고, 본체 부분(10)에 고정식 및 밀봉식으로 부착되거나 장착된다.
주입 호스(19)는 원위 단부의 캐뉼라 팁으로 캐뉼라 튜브(11)를 통과할 수 있고 캐뉼라(1)의 원위 단부에서 나갈 수 있는 액체, 특히 국소 마취제를 공급 및/또는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입 호스는 그 자유 단부(도시되지 않음)에, 예를 들어, 루어 록 커넥터 또는 엔알피트 커넥터인 연결부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주사기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이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어떠한 주입 호스(19)도 원하지 않는 경우, 커넥터는 또한 본체 부분(10) 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거나 연결부(18)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10)은 원위 플랜지와 근위 플랜지 사이의 삽입 리세스(15) 영역 내에 리세스(14)를 갖고, 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10)의 상부면 상에서 개방되고 그 깊이는 적어도 캐뉼라 튜브(11)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리세스(14)는 본체 부분(10)을 통해 정반대로(diametrically) 연속적으로 개방된다.
캐뉼라 튜브(11)는 리세스(14) 내의 영역에서 일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섹션에서 금속 캐뉼라 튜브(11)는 절연성 주변부 코팅을 갖지 않는다.
추가로, 캐뉼라 튜브(11)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캠이 삽입 리세스(15)에 형성되고, 이는 한편으로는 원위 플랜지 및 리세스(14)로부터 이격되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근위 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체 부분(10)의 근위 단부에서 노치(16)가 근위 플랜지 내에 합체되고, 이는, 삽입 리세스(15)로부터 근위 단부로, 근위 플랜지를 통해 연속적으로 그리고 캐뉼라 튜브(11)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추가로, 캐뉼라(1)는 접촉 클립(20) 및 제어 클립(30)을 포함하고, 이는 예를 들어 도 1에 사시도 및 도 6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접촉 클립(2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부분(21)을 포함하고, 장착 부분(21) 내에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의 전체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 연장되고, 2개의 정반대로 대향하는 래칭 아암(22)을 형성하는 리세스가 형성되거나 합체된다. 따라서, 접촉 클립(20)은 단면이 U자 형상이다. 2개의 쌍으로 배열된 래칭 아암(22) 사이에, 전기 접촉부(25)가 장착 부분(21)의 리세스 내에 배열된다. 전기 접촉부(25)는 2개의 래칭 아암(22) 사이의 리세스 내로 접촉 클립(20)의 원위 단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리세스 내로 돌출되는 전기 접촉부의 자유 원위 단부는 스프링 탭(26)으로서 형성되고 2개의 래칭 아암(22)에 평행하게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근위 단부를 향하는 전기 접촉부(25)의 단부가 또한 스프링 탭(26)으로서 형성될 수 있고, 커넥터(27)로서 설계된 영역 내에서 자립형 방식으로 돌출되는 것은 특히 도 5에서 볼 수 있다. 정합 커넥터(28)의 자유 단부는 자극 케이블(29)과 전기 접촉부(25)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도록 커넥터(27)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정합 커넥터(28)는 커넥터(27) 내에 유지되고, 스프링 탭(26)은 정합 커넥터(28)의 정합 전기 접촉부를 지탱하며 정합 커넥터(28)를 손실의 위험 없이 커넥터(27) 내에 유지하는 데에 기여한다. 커넥터(27)의 형상은 정합 커넥터의 형상에 대응하고, 바람직하게는 본체 부분(10)을 향하는 커넥터(27)의 측면은 개방되고 전기 접촉부(25)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대안적으로, 자극 케이블(29)이 전기 접촉부(25)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장착 부분(21)의 래칭 아암(22)의 각각의 자유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 래칭 러그(23)가 리세스 내로 돌출된 래칭 아암(22) 상에 형성된다.
캐뉼라(1)의 조작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제어 클립(30)은 본체 부분(10) 상으로 플러깅되거나 클리핑될 수 있고, 따라서 제1 구성(Ⅰ)을 형성한다. 그러나,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 클립(30)은 제1 구성(Ⅰ)을 형성하도록 접촉 클립(20) 및 본체 부분(10)을 수용하며, 접촉 클립(20)은 제1 구성(Ⅰ)의 실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는 것이 제시된다. 이 경우에, 제어 클립(30)은 본체 부분(10)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제어 클립(30)은 장착 본체(31)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어 클립(30)은 2개의 전기 제어 요소(35, 36)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는 또한 기계적으로, 예를 들어, 흡인 및 적용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어 요소(35) 및 제2 제어 요소(36)는 의료인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1 제어 요소(35)는 흡인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제어 요소(36)는 주입될 액체를 조절하거나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제1 제어 요소(35) 및/또는 제2 제어 요소(36)는 전기 자극 임펄스를 제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제어 클립(30)은, 플러그 연결에 의해 제어 클립(3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제어 클립(30)에 고정식으로 연결되고 유닛(도시되지 않음)으로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는 제어 라인(39)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유닛은, 예를 들어, 흡인 또는 주입을 수행하거나 전기 접촉부(25)에 의해 캐뉼라 튜브(11)로 자극 케이블(29)을 통과하는 전기 자극 임펄스를 생성한다.
제어 클립(30)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직육면체의 일반적인 형상을 갖고,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연장되는 리세스는 이에 합체되거나 몰딩되며, 제어 클립(30)은 단면이 U자 형상이다. 리세스를 통해, 2개의 정반대로 정렬된 래칭 아암(32)이 형성되고, 이의 자유 단부에 복수의 래칭 러그(33)가 몰딩되거나 조인트되고, 이는 서로를 향해 지향되어 리세스 내로 돌출된다.
장착 본체(31)에서, 제어 요소(35, 36)는 리세싱 형성되고, 이는 제어 요소(35, 36)가 장착 본체(31)에 의해 밀폐식으로 둘러쌓이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어떠한 액체 또는 오염물도 제어 요소(35, 36)와 접촉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
도 1, 4, 6에서 제어 요소(35, 36)는 캐뉼라 튜브(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장착 본체(31)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따라서 첫 번째 손으로 동일한 핸드-홀드(hand-hold) 자세를 취한 의료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1)의 시술 중에 작동될 수 있고, 동시에 동일한 의료인이 두 번째 손으로 초음파 프로브를 유지하며, 치료, 예를 들면 마취 중에 캐뉼라의 위치를 관찰하고 체크한다. 캐뉼라(1)의 용이한 조작으로 인하여, 의료인은 이 작업에 최대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제어 요소(35, 36)의 단순하고 무동력으로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착 본체(31)는 캐뉼라 튜브(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의 영역 내에서 박벽이어서, 의료인에 의한 기계적 작동이 장착 본체(31)의 변형에 의해 제어 요소(35, 36)로 전달된다. 특히, 변형가능한 영역은 더 연성인 플라스틱, 특히 실리콘으로 이루어져서, 작동 중에 기계 저항이 감소되고 조작이 개선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장착 본체(31)를 2-성분 사출 성형 프로세스에서 생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의료인이, 본 발명에 따른 캐뉼라(1)를 이용할 때, 사용 부위, 예를 들어, 환자의 신경에서 캐뉼라 튜브(11)의 위치설정에 최대한 주의를 기울이기 위해, 본 발명의 유리한 발전예는 제어 요소(35, 36)가 작동시에 햅틱, 음향 또는 시각 피드백을 생성하고, 유리하게는 햅틱 및 음향 피드백은 각 제어 요소(35, 36) 내의 스냅 돔에 의해 생성될 수 있음을 제공한다.
캐뉼라(1)가 전기 자극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접촉 클립(20)은 본체 부분(10)에 부착되거나 클리핑될 수 있고, 접촉 클립(20), 및 본체 부분(10)과 캐뉼라 튜브(11)를 갖는 캐뉼라 본체는 함께 제2 구성(Ⅱ)을 형성한다. 접촉 클립(20)은 본체 부분 상에서 캐뉼라 튜브(11)에 수직인 플러그-인 방향으로 부착된다.
제2 구성(Ⅱ)은 도 2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제2 구성(Ⅱ)에서 접촉 클립(20)은 삽입 리세스(15) 내에 플러그-인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삽입되고, 2개의 래칭 아암(22)은 원위 플랜지와 근위 플랜지 사이의 본체 부분(10)을 수용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래칭 러그(23)는, 확실한 스냅 또는 클립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뒤쪽으로부터, 본체 부분(10), 또는 접촉 클립(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본체 부분(10)의 측면 상의 에지(17)와 결합한다.
제2 구성(Ⅱ)에서, 전기 접촉부(25)의 스프링 탭(26)은 원위 플랜지와 근위 플랜지 사이의 본체 부분(10)의 리세스(14) 내로 돌출되고, 자유 단부에서 형성된 이의 스프링 탭(26)으로 캐뉼라 튜브(11)를 가압하며, 전기 접촉부(25)와 캐뉼라 튜브(11) 사이에 전기 연결이 달성된다.
추가적으로, 삽입 리세스(15) 내에 배열된 2개의 캠은 전기 접촉부(25)를 가압한다. 그로 인해, 접촉 클립(20)의 근위 단부에서 제2 스프링 탭(26) 상에 추가적인 클램핑력이 달성될 수 있고, 정합 커넥터(28)는 커넥터(27)와 속박되며, 자극 케이블(29)과 전기 접촉부(25) 사이의 전기 연결을 분리하는 것이 방지된다. 접촉 클립(20)의 근위 단부는 본체 부분(10)에서 노치(16) 내에 완전히 들어간다. 추가로,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노치(16) 내로 돌출되고, 정합 커넥터(28)에서 바를 부분적으로 결합하며, 정합 커넥터를 노치(16) 내에 고정시키는 2개의 보유 바(13)가 노치(16) 내에 형성된다.
제1 구성(Ⅰ)에서 캐뉼라(1)를 전달하기 위해, 제어 클립(30)은, 본체 부분(10) 및 접촉 클립(20) 또는 제2 구성(Ⅱ)을 통해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방향으로 배치되고, 2개의 래칭 아암(32)은 접촉 클립(20)을 정반대로 수용하고, 래칭 아암(32)의 자유 단부 상에 배열된 래칭 러그(33)는 접촉 클립(20) 및 접촉 클립(20)의 래칭 아암(22)의 자유 단부 각각을 부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접촉 클립(20)과 형상 끼워맞춤된다. 본체 부분(10)의 원위 플랜지와 근위 플랜지 사이의 제어 클립(30)의 위치는, 접촉 클립(20)의 원위 단부의 오목부(24)와 제어 클립(30)의 원위 단부의 돌출부(34), 및 본체 부분(10) 상의 원위 플랜지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해 고정되고, 이는 제1 구성(Ⅰ)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인터로킹된다.
참조번호 리스트
1 캐뉼라
10 본체 부분
11 캐뉼라 튜브
13 보유 바
14 리세스
15 삽입 리세스
16 노치
17 에지
18 연결부
19 주입 호스
20 접촉 클립
21 장착 부분
22 래칭 아암
23 래칭 러그
24 오목부
25 접촉부
26 스프링 탭
27 커넥터
28 정합 커넥터
29 자극 케이블
30 제어 클립
31 장착 본체
32 래칭 아암
33 래칭 러그
34 돌출부
35 제어 요소
36 제어 요소
39 제어 라인

Claims (21)

  1. 캐뉼라(1)이며,
    - 캐뉼라 튜브(11) 및 캐뉼라 튜브(11)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본체 부분(10)을 갖는 캐뉼라 본체,
    -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를 구비한 장착 본체(31)를 갖는 제어 클립(30),
    - 제1 구성(Ⅰ)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에 측방향으로 부착가능한 상기 제어 클립(30)
    을 포함하는, 캐뉼라(1).
  2. 제1항에 있어서, 접촉 클립(20)이 제공되고, 접촉 클립(2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촉부(25)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부분(21)을 갖고, 접촉 클립(20)은 제2 구성(Ⅱ)을 형성하도록 본체 부분(10)의 측면에 부착가능하며, 제2 구성(Ⅱ)에서 전기 접촉부(25)는 본체 부분(10)의 영역 내에서 캐뉼라 튜브(11)의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자극 리드선(29)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3. 제2항에 있어서, 접촉 클립(20)의 장착 부분(21)은, 제2 구성(Ⅱ)에서, 래칭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본체 부분(10)을 수용하는 적어도 한 쌍의 탄성 래칭 아암(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는, 제2 구성(Ⅱ)에서, 본체 부분(10)의 리세스(14)와 결합하고 캐뉼라 튜브(1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25)는 캐뉼라 튜브(11) 상으로 가압된 절연 변위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25)는 본체 부분(10)의 리세스(14) 내 캐뉼라 튜브(11) 상에 안착되는 스프링 탭(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클립(20)은 자극 케이블(29)에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한 연결을 확립할 수 있는 커넥터(2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접촉부(25)는 전기 커넥터와 클램핑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스프링 탭(2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는 전기 제어 요소이고 제어 라인(39)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클립(30)은 적어도 2개의 제어 요소(35, 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클립(30)의 장착 본체(31)는 본체 부분(10), 및/또는 접촉 클립(20)의 장착 부분(21)을 수용하는 적어도 2개의 래칭 아암(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연결부는 본체 부분 상에서 동축으로 캐뉼라 튜브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본체 부분(10) 내에 삽입된 주입 튜브(19)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본체(31)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를 둘러싸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는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부터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본체는 제어 요소(35, 36)를 작동시키기 위해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에서 변형가능하고, 및/또는 제어 요소(35, 36)를 작동시키기 위해 본체 부분(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의 장착 본체(31)는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제2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요소(35, 36) 작동시에 햅틱 피드백이, 특히 스냅 돔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요소(35, 36)는 전기 용량성 스위치 및/또는 전기 유도성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 부분(10), 및/또는 접촉 클립(20)의 장착 부분(21), 및/또는 제어 클립(30)의 장착 본체(31)는 전기 절연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뉼라(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뉼라(1)의 캐뉼라 본체.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뉼라(1)의 제어 클립(30).
  21.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캐뉼라(1)의 접촉 클립(20).
KR1020190108789A 2018-09-06 2019-09-03 캐뉼라 KR202000283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121733.1A DE102018121733A1 (de) 2018-09-06 2018-09-06 Kanüle
DE102018121733.1 2018-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307A true KR20200028307A (ko) 2020-03-16

Family

ID=6714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789A KR20200028307A (ko) 2018-09-06 2019-09-03 캐뉼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534202B2 (ko)
EP (1) EP3620208B1 (ko)
JP (1) JP2020039861A (ko)
KR (1) KR20200028307A (ko)
CN (1) CN110876636A (ko)
AU (1) AU2019210631B2 (ko)
CA (1) CA3051118C (ko)
DE (1) DE102018121733A1 (ko)
DK (1) DK3620208T3 (ko)
IL (1) IL268489B1 (ko)
SG (1) SG10201907154Q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4427B4 (de) 2020-09-18 2022-09-08 Karl Storz Se & Co. Kg Medizinisches hf-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8430A (en) * 1990-03-16 1992-03-24 Beacon Laboratories, Inc. Dual mode electrosurgical pencil
JPH0484948A (ja) * 1990-07-30 1992-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穿刺用超音波探触子
DE29820525U1 (de) 1998-11-17 2000-04-06 Braun Melsungen Ag Katheterset für die Plexusanästhesie
US7022115B1 (en) 1999-11-11 2006-04-04 Gisela Meier Continuously conductive unipolar cannula for anesthesia
US7510534B2 (en) * 2001-07-20 2009-03-31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for operating biopsy device
EP1611922A2 (en) * 2002-12-16 2006-01-04 Meagan Medical, Inc. Percutaneous apparatus with electrical coupling
US7708751B2 (en) * 2004-05-21 2010-05-04 Ethicon Endo-Surgery, Inc. MRI biopsy device
US20080200835A1 (en) * 2006-06-30 2008-08-21 Monson Gavin M Energy Biopsy Device for Tissue Penetration and Hemostasis
US8002736B2 (en) * 2007-12-21 2011-08-23 Carticept Medical, Inc. Injection systems for delivery of fluids to joints
US9192409B2 (en) * 2008-01-23 2015-11-24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Steerable stylet handle assembly
RU2011105196A (ru) 2008-07-28 2012-09-10 Дэвид Эндрю МАККЕНЗИ-МАКХАРГ (A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концевой заделки кабелей оборудования,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на стойке
WO2010066789A1 (en) * 2008-12-10 2010-06-17 Ambu A/S Endoscope bending section control mechanism
US8870773B2 (en) * 2009-02-09 2014-10-28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Ultrasound-guided delivery of a therapy delivery device to a nerve target
US8277394B2 (en) * 2009-08-18 2012-10-02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Multi-button biopsy device
US8764680B2 (en) * 2010-11-01 2014-07-01 Devicor Medical Products, Inc. Handheld biopsy device with needle firing
US9072523B2 (en) * 2010-11-05 2015-07-07 Ethicon Endo-Surgery, Inc. Medical device with feature for sterile acceptance of non-sterile reusable component
US8986283B2 (en) * 2011-05-18 2015-03-24 Solo-Dex, Llc Continuous anesthesia nerve condu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2155922A2 (en) * 2011-05-19 2012-11-22 Cimpax Aps An electrosurgical pencil, a kit of parts comprising an electrosurgical pencil,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electrosurgical pencil
DE102012106775A1 (de) * 2012-07-25 2014-01-30 Newfrey Llc Clip zur Befestigung an einem flachen Bauteil
ITFI20130277A1 (it) * 2013-11-19 2015-05-20 Fiab S P A Manipolatore per cateteri o cannule ad uso medicale.
US9867963B2 (en) 2014-06-17 2018-01-16 Avent, Inc. Needle hub for over-the-needle catheter
DE102016110379A1 (de) 2016-06-06 2017-12-07 Pajunk GmbH Medizintechnologie Unipolar-Kanü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0208A1 (de) 2020-03-11
CA3051118C (en) 2024-04-30
AU2019210631B2 (en) 2021-12-02
CA3051118A1 (en) 2020-03-06
JP2020039861A (ja) 2020-03-19
IL268489B1 (en) 2024-02-01
AU2019210631A1 (en) 2020-03-26
IL268489A (en) 2019-11-28
SG10201907154QA (en) 2020-04-29
US20200078048A1 (en) 2020-03-12
US11534202B2 (en) 2022-12-27
DE102018121733A1 (de) 2020-03-12
CN110876636A (zh) 2020-03-13
EP3620208B1 (de) 2023-09-06
DK3620208T3 (da)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1188B1 (en) Hand piece electrical connector
US5306236A (en) Needle electrode for use with hypodermic syringe attachment
US11464558B2 (en) Plasma accessory
US9629952B2 (en) Terminal clamp for a moisture sensor for monitoring a vascular access
ES2260103T3 (es) Aparato electroquirurgico mejorado con gas inerte.
ES2244774T3 (es) Conector para cable electrico de retorno.
US20050080411A1 (en) Endoscope for high-frequency treatment
RU2709679C2 (ru) Биполярный элект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US8177804B2 (en) Surgical instrument
WO1992004873A1 (en) Electrosurgical knife
KR102119073B1 (ko) 흡입 및 세척이 가능한 외과용 수술기구
CN112072360A (zh) 具有热电接触保护的电光连接器
MXPA06010923A (es) Perfusor.
AU2002303942A1 (en) Return pad cable connector
US20120150103A1 (en) Tissue aspiration instrument employing twin irrigating-type electro-cauterizing cannula assembly
KR20200028307A (ko) 캐뉼라
JP2022504850A (ja) 電界紡糸装置、電界紡糸システム及び電界紡糸方法
RU2703648C1 (ru) Монополярная канюля
EP2749312B1 (en) Catheter connector
NZ755981A (en) Cannula
KR102551922B1 (ko)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029472A1 (en) Tool for a dental treatment, plug-in element for such a tool and method for manufaturing such a tool
US20120197214A1 (en) Peripheral nerve blockade device
CN216148759U (zh) 电子注射设备
EP1758210A2 (en) Return pad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