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922B1 -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922B1
KR102551922B1 KR1020210081694A KR20210081694A KR102551922B1 KR 102551922 B1 KR102551922 B1 KR 102551922B1 KR 1020210081694 A KR1020210081694 A KR 1020210081694A KR 20210081694 A KR20210081694 A KR 20210081694A KR 102551922 B1 KR102551922 B1 KR 102551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andpiece
pcb
body portion
handpiec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624A (ko
Inventor
안건영
Original Assignee
(주)아그네스메디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그네스메디컬 filed Critical (주)아그네스메디컬
Priority to KR1020210081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922B1/ko
Priority to US17/836,465 priority patent/US20220409898A1/en
Publication of KR2022017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 A61M5/3298Needles arranged in parall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 A61M2205/054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kinds of therapy with electro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주입 및 전기 자극 시술을 위한 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니들 본체부; 상기 니들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PCB; 상기 니들 본체부의 일 단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니들공이 형성된 니들캡; 및 일 단이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드피스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니들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PCB; 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PCB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a)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정보에 따라 핸드피스 본체부 내부의 모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모터의 설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풋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c)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라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고, 니들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미감지하는 경우, 상기 (b) 단계로 피드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ELECTRIC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전 위험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 시술에 사용되는 고주파 전류는 일반적으로 100,000 Hz 이상의 교류 전류를 말하며,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인체 조직을 통전할 때 이온 운동을 거의 야기하지 않으며, 전기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분해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가 조직에 가해지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생체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는 다른 전류 형태와 달리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고, 인체 내 불편함이나 근수축을 일으키지 않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열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열 에너지는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추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고주파를 이용한 피부 시술 장치는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피부의 재생, 리프팅, 멜라닌 색소의 분비 억제 또는 비만 시술뿐만 아니라 피부관리, 모발촉진 또는 통증 완화 등의 다양한 시술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피부 시술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전기 시술기는 니들을 통해 피부의 진피층에 고주파 전류 등의 에너지를 직접 전달하여 세포 조직을 활성화 함에 따라 탄력적인 피부가 유지되고 피부노화가 최소화하도록 하는 시술을 구현한다.
그런데 종래 전기 시술기는 니들에 전류를 흐르게 하도록 니들과 연결된 접촉단자가 핸드피스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바, 사용자 감전 위험이 존재하고, 또한 사용된 니들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과정에서 상기 접촉단자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4245호 (2016. 10. 0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먼저, 니들과 접촉하는 접촉단자가 외부 돌출 없이 니들과 접촉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니들이 결합되지 않는 경우에는 니들과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감전 위험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는 약물 주입 및 전기 자극 시술을 위한 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니들 본체부; 상기 니들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PCB; 상기 니들 본체부의 일 단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니들공이 형성된 니들캡; 및 일 단이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드피스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니들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PCB; 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PCB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본체부는,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니들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도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구비된 연결부재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 본체부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일 단이 핸드피스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금부와 접촉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사용자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금부와 접촉하여 상기 니들에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금부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부와 통전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 본체부는,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니들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은, (a)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정보에 따라 핸드피스 본체부 내부의 모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모터의 설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풋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c)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라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고, 니들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미감지하는 경우, 상기 (b)단계로 피드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단계는, (c1) 연결부재가 니들 본체부의 도금부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연결부재가 니들 본체부의 도금부와 비접촉한다면, 상기 니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에 따르면, 핸드피스 본체부 내부에 배치되는 연결PCB케이블을 통하여 니들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결PCB케이블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때보다 고장나는 빈도가 낮아지고, 사용자와 시술자도 감전의 위험이 해소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에 따르면, 관통공이 구비된 연결부재 덮개는 니들 본체부와 핸드피스 본체부가 결합하는 경우에만 연결부재가 니들 본체부의 도금부에 접촉하여 통전되며, 니들 본체부와 핸드피스 본체부가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일 측이 핸드피스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와 시술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피부 시술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니들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 본체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2의 니들 본체부와 핸드피스 본체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다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평 방향”이라는 용어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을 의미하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수직 방향”이라는 용어는 전방 측, 후방 측, 좌측 또는 우측 방향의 위치가 변화되지 않는 상태의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의미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의 구성과 구성의 결합
도 1은 종래 피부 시술기(1)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는 니들 본체부(100) 및 핸드피스 본체부(200)를 포함한다.
니들 본체부(100)는 피부에 약물 주입 또는 전기 자극 시술을 할 수 있도록 니들캡(130), 도금부(140) 및 돌출부(150) 등을 포함한다.
니들 본체부(100)는 니들 본체부(100)의 돌출부(150)를 통하여 핸드피스 본체부(2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삽입공(250)에 니들 본체부(100)의 돌출부(150)가 삽입 결합된다.
니들 본체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핸드피스 본체부(200)는 사용자가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시술자의 피부 시술을 행하는게 용이한 형태인 유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210), 연결부재 덮개(240) 및 센서부(300) 등을 포함한다.
연결부재(210)는 제1 연결부재(211) 및 제2 연결부재(212)를 포함하며, 연결부재(210)는 연결부재 덮개(240)에 구비된 관통공(241) 내부에 배치된다.
제1 연결부재(211)는, 도금부(140)와 접촉하여 니들(110)에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2 연결부재(212)는, 니들 본체부(100)와 핸드피스 본체부(200)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제2 연결부재(212)와 도금부(140)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며, 후술할 센서부(300)와 통전 연결된다.
센서부(300)는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와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접촉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를 손에 쥐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니들 본체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니들 본체부(100)는 니들(110), 니들PCB(120), 니들캡(130), 도금부(140), 돌출부(150), 약물수용부(160) 및 니들하우징캡(170)을 포함한다.
니들(110)은 니들 본체부(100)에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며,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니들(110)의 길이 방향이 후술할 니들PCB(120)의 단면에 수직하게 연결된다.
니들(110)은 전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니들(110)은 니들 본체부(100)에 개별적으로 장착되므로 살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니들(11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니들(110)이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높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니들(110)은 약물 시술을 위한 용도와, 전기 자극을 위한 용도를 구별하여 각각의 용도에 맞는 별개의 니들(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용도에 맞는 별개의 복수 개의 니들(110)이 상술한 니들PCB(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니들(110)의 일 단에는 전기접속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후술할 니들PCB(120)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니들(11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니들PCB(120)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통하여 니들(110)에 전류를 인가시켜주는 인쇄회로기판이다. 이때, 니들PCB(12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FPC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들PCB(120)는 하나 이상 관통된 접점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접점공(미도시)에 니들(110)이 관통되거나, 니들(110)의 상기 전기접속단자(미도시)가 결합되면서 니들(110)과 니들PCB(120)가 서로 통전 연결된다.
니들캡(130)은 시술자의 피부에 니들(110)이 삽입되는 동안, 니들(110)이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니들(110)을 흔들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니들캡(130)은 니들 본체부(100)의 일 단에 구비되며, 니들캡(130)에 형성된 니들공(131)을 니들(110)이 관통한다.
도금부(140)는, 니들 본체부(100)의 타 단에 형성되며, 일 단이 니들PCB(120)와 접촉하며, 타 단이 후술할 연결부재(210)와 접촉하여 니들(110)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금부(140)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50)는, 니들 본체부(100)의 타 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부(200)에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수용부(160)는 후술할 약물 전달부(260)로부터 유입된 약물을 니들(1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약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며, 니들PCB(120)를 관통하는 니들(110)의 타측과 연결된다.
약물 수용부(160)는 외측면이 돌출부(150)의 내측면과 대응하여, 돌출부(150)의 일 측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니들하우징캡(170)은 니들 본체부(100)의 일 단에 형성되며, 니들캡(130)에 결합되어, 내부에 니들(110)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니들하우징캡(170)은 니들(110)로부터 사용자 또는 시술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핸드피스 본체부(200)는 사용자가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를 손에 쥐고 시술자의 피부에 시술을 행하는게 용이한 형태인 유선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핸드피스 본체부(200)는 일 단이 니들 본체부(100)의 타 단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일 측에 삽입공(250)이 구비되는데, 이때 삽입공(250)의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부재 덮개(240)에도 니들 본체부(100)의 타 단이 탈부착 가능한 관통 구멍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돌출부(150)가 삽입공(250)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핸드피스 본체부(200)에 삽입 결합된다.
핸드피스 본체부(200)는 또한, 연결부재(210), 연결PCB(220), 연결PCB케이블(230) 및 연결부재 덮개(240) 및 약물 전달부(2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연결부재(210)는 상술한 도금부(140)의 타 단 및 연결PCB(220)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때, 연결부재(210)의 일 단이 도금부(140)의 타 단과 밀착 접촉되고, 연결부재(210)의 타 단은 연결PCB(220)와 밀착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연결부재(210)의 양 단을 통하여 도금부(140), 연결부재(210) 및 연결PCB(220)에 전류가 흐르는데 문제가 없도록 연결부재(210)는 전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구리, 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또한 연결부재(210)는 탄성부재(미도시)를 구비하거나 또는 탄성에 의해 변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부재(210)의 양 단을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포고핀, 판 스프링, 단자 커넥터, 핀 커넥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 덮개(240)는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일 단에 배치되며 관통공(241)을 포함하는데, 관통공(241) 내부에 연결부재(210)의 일 측이 위치한다. 이때, 니들 본체부(100)가 핸드피스 본체부(200)에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부재 덮개(240)가 연결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으므로, 연결부재(210)의 일 측이 관통공(24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연결PCB(220)는, 니들PCB(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도록 상술한 연결부재(210)가 결합한다.
연결PCB케이블(230)은, 외부로 돌출되어 있던 종래 기술과 달리,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술한 연결PCB(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연결PCB케이블(230)이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때보다 고장나는 빈도가 낮아지고, 사용자와 시술자가 감전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재 덮개(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니들 본체부(100)가 핸드피스 본체부(200)에 결합하지 않았을 경우에, 연결부재(210) 내부에 구비된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하여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연결부재(210)의 일 측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와 시술자의 감전의 위험이 예방될 수 있다.
약물 전달부(260)는, 피부 내부에 주입되는 약물을 상술한 약물 수용부(16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며,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5a는 도 2의 니들 본체부(100)와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결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동작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도금부(140)는, 니들 본체부(100)의 타 단에 형성되며, 일 측이 니들PCB(120)와 연결되며, 타 측이 후술할 연결부재(210)와 접촉되는 경우에 니들(110)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니들 본체부(100)와 핸드피스 본체부(200)를 결합할 때, 니들 본체부(100)의 도금부(140)가 연결부재 덮개(240)와 밀착되고 연결부재(210) 내부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압축되어 연결부재(210)의 일 측이 관통공(241)을 통하여 도금부(140)와 접촉할 때까지 돌출부(150)를 삽입공(250)에 삽입시켜야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 때 제1 연결부재(211)가 도금부(140)와 접촉하여 통전되고, 니들(110)에 전류를 전달한다.
약물 전달부(260)의 일 단은, 니들 본체부(100)가 핸드피스 본체부(200)와 결합하는 경우에 돌출부(150)의 타 단과 연결되며, 돌출부(150)의 내부는 약물 전달부(260)의 약물이 약물 수용부(16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야 한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의 제어방법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10)의 제어방법을 도시하는 다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정보에 따라 핸드피스 본체부(200) 내부의 모터(미도시)의 위치를 설정한다(S100 단계). 이때 모터(미도시)의 설정되는 위치는, 사용자가 정의해 놓은 초기 모터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모터(미도시)의 설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풋스위치를 작동시킨다(S200 단계). 이 때 상기 풋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전원공급장치(미도시)에서 핸드피스 본체부(200)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풋스위치를 발로 눌러 작동시키면 전원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발을 떼어 작동을 중지시키면 전원이 차단된다.
이 때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 중이 상태이면서 동시에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센서부(300)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라면, 상기 모터(미도시)가 작동되고, 니들(110)에는 전류가 인가된다(S300 단계).
이때, 센서부(300)는 제2 연결부재(212)가 니들 본체부(100)의 도금부(140)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센서부(300)가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연결PCB케이블(240)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상기 풋스위치는 작동 중이지만,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센서부(300)가 사용자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상기 모터(미도시)가 작동되지 않으며, 또한 니들(110)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S400단계).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재(212)가 니들 본체부(100)의 도금부(140)와 비접촉하여, 이를 센서부(300)가 감지하고, 상기 비접촉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연결PCB케이블(24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핸드피스 본체부(200)의 센서부(300)가 사용자를 감지하였으나,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미도시)가 작동되지 않고, 또한 니들(110)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100: 니들 본체부
110: 니들
120: 니들PCB
130: 니들캡
131: 니들공
140: 도금부
150: 돌출부
160: 약물수용부
200: 핸드피스 본체부
210: 연결부재
211: 제1 연결부재
212: 제2 연결부재
220: 연결PCB
230: 연결PCB케이블
240: 연결부재 덮개
241: 관통공
250: 삽입공
260: 약물전달부
300: 센서부

Claims (10)

  1. 약물 주입 및 전기 자극 시술을 위한 니들이 형성되어 있는 니들 본체부;
    상기 니들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연결되는 니들PCB(Printed Circuit Board);
    상기 니들 본체부의 일 단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이 관통되는 니들공이 형성된 니들캡; 및
    일 단이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핸드피스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내부에 상기 니들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연결PCB; 및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연결PCB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니들 본체부는,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니들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는 도금부를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일 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구비된 연결부재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 본체부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일 단이 핸드피스 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금부와 접촉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사용자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와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금부와 접촉하여 상기 니들에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도금부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도록 상기 센서부와 통전되는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본체부는,
    상기 니들 본체부의 타 단에 형성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9. (a)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가 생성한 제어 정보에 따라 핸드피스 본체부 내부의 모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모터의 설정된 위치를 확인하여, 풋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c)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센서부가 사용자를 감지하고,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라면,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고, 니들에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 및
    (d) 상기 풋스위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상기 핸드피스 본체부의 상기 센서부가 사용자를 미감지하는 경우, 상기 (b) 단계로 피드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연결부재가 니들 본체부의 도금부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연결부재가 니들 본체부의 도금부와 비접촉한다면, 상기 니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081694A 2021-06-23 2021-06-23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51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94A KR102551922B1 (ko) 2021-06-23 2021-06-23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7/836,465 US20220409898A1 (en) 2021-06-23 2022-06-09 Electric device for skin treat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94A KR102551922B1 (ko) 2021-06-23 2021-06-23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624A KR20220170624A (ko) 2022-12-30
KR102551922B1 true KR102551922B1 (ko) 2023-07-05

Family

ID=8453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94A KR102551922B1 (ko) 2021-06-23 2021-06-23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409898A1 (ko)
KR (1) KR1025519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93412S1 (en) * 2021-06-09 2023-07-25 Covalent Group Inc. Microneedl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89B1 (ko) 2009-01-23 2010-02-18 강동환 피부처치 장치
US20160128773A1 (en) 2013-07-26 2016-05-12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treatment-instrument operation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245B1 (ko) 2015-03-16 2016-10-11 주식회사 은성글로벌상사 피부치료용 핸드피스
KR101905651B1 (ko) * 2017-03-06 2018-10-10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68432B1 (ko) * 2018-08-31 2020-10-21 (주)메드로메디칼디비젼 고주파를 이용한 여드름제거용 핸드피스
KR102305286B1 (ko) * 2019-10-16 2021-09-27 (주)엠큐어 피부 시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시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089B1 (ko) 2009-01-23 2010-02-18 강동환 피부처치 장치
US20160128773A1 (en) 2013-07-26 2016-05-12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treatment-instrument operation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9898A1 (en) 2022-12-29
KR20220170624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947B1 (ko) 마스크 팩용 전류 콘트롤러
US10589088B2 (en) Apparatus for application of a pulsed radio frequency therapy in a vascular system or another cavity or tissue of the human or animal body
US6325764B1 (en) Bi-level charge pulse apparatus to facilitate nerve location during peripheral nerve block procedures
US7155287B2 (en) Device for percutaneous nerve stimulation
US9056194B2 (en) Lead set for nerve stimulato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A2135301C (en) Apparatus for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skin receptors
CA2324540C (en) Electro-nerve stimulator systems and methods
US8046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a nerve of a patient
KR102551922B1 (ko) 피부 시술용 전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9512A (ko) 고주파 치료용 니들 팁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장치
KR101128607B1 (ko) 고주파 치료기의 핸드피스
KR101649603B1 (ko) 멀티 교차 전극을 갖는 고주파 미용장치
JP2009517190A (ja) 薬剤の自己投与のための界面動電的な送出システムのための塗布カートリッジ
WO2014106970A1 (ko)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KR102131691B1 (ko) 다층 피부 치료 니들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치료기
KR102106783B1 (ko) 전기 자극 장치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8756B1 (ko) 전기 진동 자극기
KR101300695B1 (ko) 고주파 치료기용 밴드타입 전극 유닛
CN209952058U (zh) 电刺激装置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200317889Y1 (ko) 저주파 장갑
KR101289780B1 (ko) 미세전류를 이용한 부항 장치
KR102284783B1 (ko) 고주파 방식의 여드름 개선기기
KR20120126140A (ko) 한방 국소마취방법 및 한방 국소마취용 기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