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12A -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12A
KR20200028112A KR1020180106356A KR20180106356A KR20200028112A KR 20200028112 A KR20200028112 A KR 20200028112A KR 1020180106356 A KR1020180106356 A KR 1020180106356A KR 20180106356 A KR20180106356 A KR 20180106356A KR 20200028112 A KR20200028112 A KR 20200028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handpiece
cooling gas
coo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606B1 (ko
Inventor
고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트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트로닉
Priority to KR1020180106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06B1/ko
Priority to PCT/KR2019/009016 priority patent/WO2020050493A1/ko
Priority to US17/273,601 priority patent/US20210251801A1/en
Publication of KR20200028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18/1233Generators therefor with circuits for assuring patient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17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with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44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61B2018/00809Temperature measured thermochr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3Needle multipl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18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81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EM radiation, e.g. microwa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of gas, e.g. hot ai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54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 A61F2007/005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closed fluid circuit, e.g. hot water f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핸드피스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직 표면으로 공급되는 냉각 가스를 제공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A Handpiece for treatment, AN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AT}
본 발명은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조직 내부에 삽입되어 침습 방식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직을 치료하는 방식은 조직의 외부에서 조직을 치료하는 방식과, 치료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직 내부로 삽입하여 진행하는 침습 치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침습 치료 방식은 주로 니들 또는 카테터 등과 세경의 삽입부를 갖는 치료 장치를 이용하며, 치료 장치를 조직 내부의 타겟 위치까지 삽입한 후 치료를 진행한다.
이러한 침습 치료 방식은 조직 내부에 치료 물질을 전달하거나, 조직 내부의 특정 조직과 인접한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동작하여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거나, 조직 내부의 타겟 위치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등 다양한 치료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치료 방식은 공개특허공보 10-2011-0000790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침습 치료 방식 중, RF 전극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직 내부에 삽입하여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치료 방식은 전극을 통해 조직으로 RF 전류를 흐르게 하면, 조직이 저항으로 역할하면서 열 에너지가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조직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치료 중에 화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00790호(2011. 1. 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료 중인 조직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치료 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핸드피스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직 표면으로 공급되는 냉각 가스를 제공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냉각 가스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RF 전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구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을 향해 상기 냉각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가스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킨 이후에 상기 냉각 채널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동작과 연계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 가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가스는 크라이오젠(cryogen) 및 에어(ai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은, 조직 표면 상에 삽입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조직 표면으로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조직의 내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개시 온도 이상이거나 초과하는 때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중단 온도 이하이거나 미만일 때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조직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기체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조직 표면을 향해 이동된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는, RF 발생부와 냉매 탱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RF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RF 에너지를 상기 조직 내부에 인가하는 삽입부 및 상기 냉매 탱크로부터 전달되는 냉각 가스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직 표면으로 제공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와 상기 핸드피스를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RF 발생부로부터 상기 RF 에너지를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냉매 탱크로부터 냉각 가스를 상기 냉각 채널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1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은 RF 전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통해 각각 상기 RF 전달부 및 상기 냉각 채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로 상기 RF 에너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냉각 채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치료 중인 조직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RF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RF 치료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핸드피스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RF 치료장치'라 함은 사람을 포함하여 포유류 등의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치료장치는 병변 또는 조직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치료하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에서는 피부 병변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내 기관 병변을 수술적으로 치료하는 장치를 비롯하여, 다양한 환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조직'이라 함은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의 다양한 신체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의 집합을 의미하며, 피부 조직을 비롯하여, 체내의 다양한 기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삽입부'라 함은 치료장치 중 조직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성을 의미한다. 니들, 마이크로 니들, 카테터와 같이 단부가 뾰족하고 가늘고 긴 구조로 구성되어 조직의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까지 삽입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RF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RF 장치는 RF 치료장치로 구성되며, 이러한 RF 치료장치(1)는 본체(100), 사용자가 쥐고 치료를 진행할 수 있는 핸드피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RF 발생부(RF generator)(111, 도 3 참고)가 구비될 수 있다. RF 발생부(111)는 치료에 사용되는 RF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RF 발생부(111)는 연속 파형이 아닌 펄스 형태로 RF 에너지를 발생시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RF 발생부(111)는 환자의 체질, 치료 목적, 치료 부위 등에 따라 다양한 파라미터(예를 들어, 출력, 펄스 지속시간, 펄스 간격, 주파수 등)의 RF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RF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RF 펄스는 조직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치료용 RF 펄스이다. 피부 치료에 사용되는 RF 에너지는 0.1 내지 0.8MHz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냉매 탱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냉매 탱크는 치료 과정에서 RF 에너지가 공급되어 열이 발생한 조직의 표면에 제공되는 냉각 가스를 가압된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 저장한다. 냉매로는 크라이오젠(cryogen) 및/또는 에어(air)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피부에 무해하며 피부의 열을 떨어뜨릴 있는 다양한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체(100)의 외면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비롯하여 치료장치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101) 및 치료장치의 동작 내용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02)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표시부(102)를 통해 직접 치료 내용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핸드피스(200)는 연결부(300)에 의해 본체에 연결된다. 연결부(300)는 핸드피스(200)의 각종 장치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 제어신호 등을 본체(100)로부터 전달할 수 있다. 연결부(300)는 각종 신호선, 전원선 등을 포함하는 케이블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절곡될 수 있는 절곡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본체(100)의 RF 발생부(111)에서 발생되는 RF 에너지를 핸드피스(200)로 전달하는 제1 라인(300a)과, 본체(100)의 냉매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냉각 가스를 핸드피스(200)로 전달하는 제2 라인(30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01)은 핸드피스 몸체(202)와 팁(203)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핸드피스 몸체(202)의 외면에는 핸드피스 조작부(230) 및 핸드피스 표시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드피스 조작부(230)는 핸드피스(200)의 온/오프를 조작하거나, 삽입부(2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거나, 삽입부(250)를 통해 전달되는 에너지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핸드피스의 표시부(220)는 설정 모드 또는 치료 중 필요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드피스(200)를 손에 쥔 상태에서 조작부(230)를 조작하여 치료를 진행함과 동시에, 표시부(220)를 통해 치료 내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핸드피스(200)의 내부에는 구동부(210)가 설치된다. 구동부(210)는 삽입부(250)를 이동시켜 조직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동부(210)는 솔레노이드, 유/공압 실린더 등의 다양한 리니어 액추에이터,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의 구동부는 일단에 구비된 출력단(211)을 길이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출력단(211)의 단부에는 삽입부(250)에 해당하는 복수개의 니들(320, 도 4 참고)이 배치되어, 출력단이 선형 이동함에 따라 삽입부(250)가 핸드피스(200)의 일단(치료 위치와 접하는 일단)으로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해 삽입부(250)가 전진/후퇴하면서 환자의 조직 내부로 삽입되거나, 조직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삽입부(2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까지 삽입되는 구성으로, 핸드피스(20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삽입부(250)는, 조직 삽입이 용이한 마이크로 니들(320, 도 4 참고)로 구성되나, 이 이외에도 단수의 니들 구조, 카테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니들(320, 도 4 참고)은 수 내지 수천 ㎛ 범위의 직경을 갖는 니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범위의 직경을 갖는 니들을 이용할 수 있다.
삽입부(250)는 환자의 체내 조직에 삽입되는 구성으로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삽입부(250)는 핸드피스 몸체(202)의 단부에 착탈 가능한 팁(203)에 구비되며, 팁(203)은 치료 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팁(203)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301, 도 4 참고)의 외벽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탈착돌기(307)가 형성된다. 팁(203)이 결합되는 리세스부(240)에는 탈착돌기(307)의 진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41)과, 가이드 홈(241)을 따라 진입된 탈착돌기(30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홈(242)이 형성된다. 그리고 팁(203)의 탈착돌기(307)는 가이드 홈(241)을 따라 안내되어 이탈방지 홈(242)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핸드피스에 설치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핸드피스 몸체(202)와 팁(203)의 결합 구조는 팁(203)이 핸드피스 몸체(20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의 일 예이며, 피스 몸체(202)와 팁(203)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팁(203)이 핸드피스 몸체(20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팁(203)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니들(320, 도 4 참고)로 구성되는 삽입부(250)가 내장 설치되며 구성되며, 핸드피스(200) 몸체 일단에 구비되는 리세스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팁(203)의 후면에는 전술한 출력단(211)이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술한 출력단(211)이 전진/후퇴에 따라 팁(203)에 수용된 복수의 마이크로 니들(320) 또한 전진/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팁(203)이 리세스부(240)에 설치되면, 팁(203)의 마이크로 니들(230)은 핸드피스(200) 내의 RF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 니들(320)을 통해 치료 위치의 조직 내측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피스, 팁 등의 세부적인 구성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123호 등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RF 치료 장치의 주요 제어 계통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의 제어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40)는 본체(100) 및 핸드피스(200)의 각종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핸드피스의 구동부(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삽입부(250)를 조직 내부로 삽입시키거나, 조직으로부터 인출하거나, 삽입부(25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RF 발생부(111)를 제어하여, RF 펄스의 온/오프 동작 및 RF 펄스의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RF 치료장치(1)는 조직 내측으로 마이크로 니들을 삽입한 후,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는 RF 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냉각 가스 밸브(112)를 제어하여, 냉각 가스의 공급 타이밍 및 냉각 가스의 공급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냉각 가스 밸브(112)는 냉매 탱크와 제2 라인(300b) 사이에 구비되거나, 핸드 피스(2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설정부(120)는 사용자가 치료 내용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설정부(120)를 통해 설정한 내용에 근거하여 치료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종 구성을 제어한다. 설정부(120)는 전술한 표시부(102) 및/또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02)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옵션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RF 치료장치(1)는 각종 데이터들이 저장된 메모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40)는 RF 치료장치를 제어함에 있어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와서 제어에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RF 치료장치는 모니터링부(260)를 더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60)는 치료 중 치료 위치에 해당하는 조직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니터링부(260)는 조직의 온도를 모니터링하거나, 조직을 경유하여 형성되는 RF 에너지 전달 경로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거나, 핸드피스의 접촉 여부, 가압 상태 등 치료에 필요한 각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의 모니터링부(260)는 RF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상에 구비되어, 조직을 경유하여 RF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부는 핸드피스 내의 RF 전달 경로 상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본체 내의 RF 전달 경로 상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260)는 별도의 테스트 전류를 삽입부(250)에 흘려서 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고, 치료용 RF 펄스가 전달되는 동안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때, 측정되는 임피던스는 환자의 특성, 조직의 상태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하므로, 편의상 '조직의 임피던스'로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료를 진행하기에 앞서 또는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모니터링부(260)에서 조직의 임피던스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근거하여 치료 내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팁(23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니들(320)이 설치되는 RF 전달부(310)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니들(320)은 매트릭스 형태로 RF 전달부(310)에 고정 설치된다. RF 전달부(310)에는 복수개의 니들(320)과 각각 연결되는 전기 회로가 형성된다. RF 전달부(310)에 형성된 전기 회로는 출력단(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단(211)을 통해 전달되는 RF 에너지가 RF 전달부(310)를 통해 복수개의 니들(320)로 전달되도록 한다.
팁(230)의 선단은 치료시 환자의 피부와 인접하거나 접촉하는 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팁(230)의 선단에는 복수개의 니들(320)이 출몰하는 복수의 관통홀(302)이 형성된다.
팁(230)의 하측에는 출력단(211)이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303)이 구비된다. 출력단(211)은 구동부(210) 동작시 상기 홀(303)을 따라 선형으로 이동하면서 RF 전달부(310)를 가압한다. RF 전달부(310)의 후면은 팁(230) 내부의 지지대(304)에 안착되고, RF 전달부(310)의 전면은 팁(230)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330)에 의해 가압된다.
출력단(211)이 이동하여 RF 전달부(310)를 가압하면 RF 전달부(310)가 지지대(304)로부터 분리되면서 전진하고, 복수개의 니들(320)이 관통홀(302)의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피부 조직에 삽입된다. 그리고,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해 출력단(211)이 후퇴하면 탄성부재(330)의 복원력에 의해 RF 전달부(310)가 후퇴하면서, 복수개의 니들(320) 또한 팁(230)의 내측으로 복귀한다. 도면에서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RF 전달부(310)가 이동하는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RF 전달부(310)의 회로는 팁(230)이 핸드피스 몸체(202)에 설치되면 본체(100)의 RF 발생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RF 전달부(310)의 회로는 출력단(211)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RF 발생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출력단(211)의 단부에 전극이 형성되어, 가압시 RF 전달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
각각의 니들(320)은 직경이 대략 5 내지 500㎛ 정도인 마이크로 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니들(320)은 RF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구성된다. 각 니들의 표면 중 선단부를 제외한 부분은 절연성 물질로 형성되어, 조직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각각의 니들 중 선단부 일부가 전극으로서 역할하며, 선단부를 통해서만 조직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치료 중 니들의 단부가 위치한 부분에 선택적으로 RF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봐와 같이, 팁(203)의 일측에는 팁(230)의 측벽을 관통하는 냉각 채널(205)이 형성된다. 냉각 채널(205)은 제2 라인(300b)과 연결되어 냉매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냉각 가스가 팁(20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냉각 채널(205)을 통해 팁(203)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 가스는 관통홀(302)을 통해 배출되어, 복수개의 니들(320)을 통해 전달되는 RF 에너지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피부 조직을 냉각시킨다. 복수개의 니들(320)이 관통홀(302)을 통과한 상태에서도 팁(203)의 내부로 유입된 냉각 가스가 관통홀(302)과 니들(320) 사이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302)은 니들(320)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팁(203)의 일측에는 냉각 채널(205)을 팁(203)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2 라인 결합 포트(204)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포트(204)는 제2 라인(300b)과 팁(203)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포트는 팁(203)의 측벽에 함몰 형성되어 제2 라인(300b)의 단부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치료장치의 삽입부(250)를 치료 대상인 조직의 표면 상에 위치시킨다(S11). 구체적으로, 삽입부(250)가 내장된 핸드피스(200)의 선단부(팁(203))가 치료 위치에 해당하는 조직의 표면과 인접하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삽입부(250)를 조직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 제어부(140)는 구동부(210)를 동작시켜 삽입부(250)가 전진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40)는 구동부(210)를 동작시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니들(320)의 선단부가 관통홀(302)을 통과한 후, 조직(T)의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T)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후, 조직 내부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3). 제어부(140)는 RF 발생부(111)를 제어하여 RF 에너지가 제1 라인(300a), 출력단(211), RF 전달부(310), 및 복수개의 니들(320)을 통해 조직(T)의 내부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후,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4). 제어부(140)는 냉각 가스 밸브(112)를 제어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탱크로부터 냉각 가스가 제2 라인(300b), 냉각 채널(205)을 통해 핸드피스(200)의 하우징(20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하우징(201) 내부로 유입된 냉각 가스는 관통홀(302)을 통해 조직(T)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한다. RF 에너지를 흡수한 조직(T)은 온도가 상승하는데, 관통홀(302)을 통해 분사된 냉각 가스는 조직(T)을 냉각시켜 온도 상승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후, 조직(T)에 대한 치료가 종료되면, 삽입부(250)를 조직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5). 제어부(140)는 구동부(210)를 동작시켜 삽입부(250)가 후퇴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40)는 구동부(210)를 동작시켜 복수개의 니들(320)의 선단부가 조직 표면으로부터 밖으로 빠져나오도록 하여 치료를 완료할 수 있다.
도 5에는 각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의 순서를 변경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S14)는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S12) 및 조직 내부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S13)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삽입부를 조직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S15)가 진행되는 중에도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1) 및 치료 방법은 RF 에너지가 공급되는 치료 부위에 냉각 가스를 공급하여 치료 과정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조직을 냉각시켜 화상을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1) 치료 방법은 치료 부위와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핸드피스(200)의 관통홀(302)을 통해 냉각 가스가 분사되도록 하여, 치료 부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들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와 비교하여, 온도 측정부(340)를 더 포함한다.
온도 측정부(340)는 팁(2203)의 선단이 인접하여 위치하거나 접하도록 위치하는 조직의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측정부(340)는 접촉식(전자식) 온도 측정 센서 또는 비접촉식(광학식)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340)가 접촉식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팁(2203)의 선단이 조직의 표면에 접한 상태로 조직에 대한 치료가 진행되고, 온도 측정부(340)가 비접촉식 온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팁(2203)의 선단이 조직의 표면에 인접한 상태로 조직에 대한 치료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에는 온도 측정부(340)가 팁(2203)의 선단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치료가 진행되는 조직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온도 측정부(340)는 팁(2203)의 다른 부분 또는 핸드피스 몸체(202)에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340)는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온도 측정 결과를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제어부(140)는 온도 측정부(340)의 온도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냉각 가스 밸브(112)를 제어하여 냉각 가스의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핸드피스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RF 치료 장치를 이용한 치료 방법 역시, 삽입부를 치료 대상인 조직의 표면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S21), 삽입부를 조직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S22) 및 조직 내부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의 RF 치료 장치(1)를 이용한 치료 방법에서 설명한, S11, S12 및 S13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조직 내부로 RF 에너지가 전달된 이후,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4). 온도 측정부(340)는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한다. 온도 측정부(340)는 치료가 진행되는 중에는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측정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5). 제어부(140)는 온도 측정부(340)로부터 수신한 조직 표면의 온도를 기준 온도와 비교한다. 기준 온도는 미리 입력된 온도값이거나 제어부(140)에 의해 자동 연산된 온도값일 수 있다.
도 9에는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되거나,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또는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는, 기준 온도는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중단 온도를 포함하여, 측정 온도를 상한 온도 및 하한 온도와 비교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어부(140)가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6).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냉각 가스 밸브(112)를 제어하여 냉각 채널(205)을 통해 냉각 가스가 핸드피스(2200) 내로 공급되어 관통홀(302)을 통해 치료가 진행 중인 조직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기준 온도가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중단 온도를 포함하는 경우, S26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기준 온도 중 냉각 개시 온도를 측정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7). 그리고 S25 단계가 다시 수행된다.
S27 단계는 조직의 표면으로 제공되던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냉각 기체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측정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냉각 가스 밸브(112)를 제어하여 제2 라인(300b)을 통해 냉각 가스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기준 온도가 냉각 개시 온도와 냉각 중단 온도를 포함하는 경우, S27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기준 온도 중 냉각 중단 온도를 측정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이후, 조직에 대한 치료가 종료되면, 삽입부(250)를 조직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28). S28 단계는 전술한 S15 단계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각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단계의 순서를 변경하여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복수의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4), 측정 온도와 기준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25) 및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S26) 등은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S22) 및 조직 내부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S23) 중 적어도 하나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200)를 이용한 RF 치료 장치 및 치료 방법은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고, 조직 표면의 온도에 대응하여 냉각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므로,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냉각 가스의 지나친 공급으로 인해 조직에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200)과 비교하여, 냉각 채널(3205)의 위치가 상이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핸드피스(200, 2200)는 냉각 채널(205)이 팁(203, 2203)을 관통하여 형성된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0)는 냉각 채널(3205)이 핸드피스 몸체(202) 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각 채널(3205)은 구동부(210)를 통해 핸드피스 몸체(202)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냉각관(3204)에 의해 형성된다. 냉각관(3204)은 구동부(210)가 출력축(211)을 이동시키는 것과 무관하게 핸드피스 몸체(202) 내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구동부(210)가 출력축(211)을 이동시킬 때에 출력축(211)가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냉각 채널(3205)로 냉각 가스를 전달하는 제2 라인(300b)은 제1 라인(300a)과 함께 핸드피스 몸체(202)의 후단을 통해 냉각 채널(3205)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관(3204)은 핸드피스 몸체(202)의 후단으로 노출되어 제2 라인(300b)과 연결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냉각관(3204)과 제2 라인(300b)이 핸드피스 몸체(202) 내부에서 연결되거나, 냉각관(3204)과 제2 라인(300b)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핸드피스 몸체(202)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냉각관(3204)이 팁(3203)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팁(3203)의 베이스(301) 및 RF 전달부(310)에는 냉각관 진입홀(미부호)이 형성될 수 있다.
팁(3203)이 핸드피스 몸체(202)에 결합될 때, 핸드피스 몸체(202)의 선단에노출된 냉각관(3204)이 냉각관 진입홀에 쉽게 진입하도록, 냉각관(3204) 중 핸드피스 몸체(202)의 선단에 노출된 부분은 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봐와 같이, 팁(3203)이 핸드피스 몸체(202)에 결합된 상태에서 냉각관(3204)의 단부는 RF 전달부(310)와 팁(3203)의 선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냉각관(3204)의 단부는 RF 전달부(310)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0) 역시 냉각관(3204)을 통해 팁(3202)의 내부까지 냉각 채널(3205)이 형성되어, 핸드피스(2200)의 관통홀(302)을 통해 냉각 가스가 분사되므로, 치료 부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냉각관(3204)의 단부가 베이스(301)와 RF 전달부(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301)와 RF 전달부(310) 사이로 공급된 냉각 가스는, 구동부(210)가 출력단(211)을 전진시켜 RF 전달부(310)가 지지대(304)에서 떨어진 상태에서 관통홀(302)을 통해 팁(3202)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지지대(304)는 냉각관(3204)의 주변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RF 전달부(310)가 지지대(304)와 접한 상태에서는 냉각 가스가 RF 전달부(310)와 지지대(304)에 의해 구획된 공간으로부터 쉽게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RF 전달부(310)와 지지대(30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은 밀폐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4)의 상단 또는 RF 전달부(310)의 하면 중 지지대(304)의 상단과 접하는 부분에 실링 부재를 구비하여 RF 전달부(310)와 지지대(304)에 의해 구획된 공간을 밀폐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냉각 채널(3205)을 통해 팁(3203) 내부로 유입된 냉각 가스는 복수개의 니들(320)이 조직으로 삽입되기 위해 이동한 상태에서만 관통홀(30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가스는 치료를 위해 RF 전달부(310) 및 복수개의 니들(320)을 관통홀(302)을 향해 이동시킨 상태에서 관통홀(302)을 통해 배출되고, 치료를 진행하지 않는 RF 전달부(310)가 지지대(304)의 상단에 접한 상태에서는 관통홀(302)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0) 역시 온도 측정부(340, 도 8 참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부(340)를 이용한 냉각 가스의 제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4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3200)과 비교하여, 냉각 채널(3205) 상에 밸브(4206)를 더 포함한다.
밸브(4206)는 냉각 채널(3205)을 개폐하는 밸브로서, 밸브(4206)는 복수개의 니들(320) 및 RF 전달부(310)의 이동과 연계하여 냉각 채널(3205)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4206)는 출력축(211)의 이동과 연계하여 냉각 채널(3205)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축(211)이 관통홀(302)을 향해 전진하는 때 및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는 때에는 밸브(4206)가 냉각 채널(3205)을 개방하여 냉각 가스가 관통홀(302)을 통해 조직으로 분사되도록 하고, 출력축(211)이 후퇴하는 때 및 후퇴된 상태를 유지하는 때에는 밸브(4206)가 냉각 채널(3205)을 폐쇄하여, 냉각 가스가 팁(3203)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밸브(4206)는 출력축(211)의 이동과 동기 구동하는 기계적 방식으로 개폐 전환되도록 구성되거나, 구동부(21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기적 방식으로 개폐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는 밸브(4206)가 핸드피스의 몸체(202) 내에 구비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밸브(4206)는 팁(3203)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브(4206)는 출력축(211) 또는 RF 전달부(310)의 이동과 연계하여 냉각 채널(3205)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4200)는 치료를 진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냉각 가스가 팁(3203) 내부로 분사되는 것을 차단하고, 냉각 가스는 치료를 위해 RF 전달부(310) 및 복수개의 니들(320)을 이동시킨 이후에 냉각 가스가 팁(3203)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주로 피부 조직에 RF 에너지를 전달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치료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이며 피부 조직이 아닌 다른 조직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치료하는 치료장치 뿐만 아니라 RF, 레이저, 초음파와 같은 에너지를 전달하는 다양한 치료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치료 물질(예를 들어, 약물, 마취제, 줄기 세포 등)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치료하는 치료장치 등 다양한 치료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와 핸드피스로 구성되는 치료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핸드피스 단일 모듈 형태로 구성되는 치료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RF 치료장치 100: 본체
200, 2200, 3200, 4200: 핸드피스 201: 하우징
202: 핸드피스 몸체 203: 팁
205, 3205: 냉각 채널 300a: 제1 라인
300b: 제2 라인 301: 베이스
302: 관통홀 310: RF 전달부
340: 온도 측정부 3204: 냉각관
4206: 밸브

Claims (20)

  1.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직 표면으로 공급되는 냉각 가스를 제공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냉각 가스를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제공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RF 전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치료용 핸드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구동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을 향해 상기 냉각 가스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치료용 핸드피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스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킨 이후에 상기 냉각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치료용 핸드피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은 상기 구동부가 상기 삽입부를 이동시키는 동작과 연계하여 개폐되는, 치료용 핸드피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스는 상기 온도 측정부가 측정한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치료용 핸드피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가스는 크라이오젠(cryogen) 및 에어(ai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치료용 핸드피스.
  11. 조직 표면 상에 삽입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조직 표면으로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조직의 내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개시 온도 이상이거나 초과하는 때에 진행되는,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기체의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조직 표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냉각 중단 온도 이하이거나 미만일 때에 진행되는,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직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조직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냉각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는 상기 냉각 기체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조직 표면을 향해 이동된 이후에 진행되는, 치료장치의 제어방법.
  16. RF 발생부와 냉매 탱크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선단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조직 표면을 관통하여 조직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RF 발생부로부터 전달된 RF 에너지를 상기 조직 내부에 인가하는 삽입부; 및
    상기 냉매 탱크로부터 전달되는 냉각 가스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조직 표면으로 제공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는 RF 치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핸드피스를 연결하는 제1 라인 및 제2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RF 발생부로부터 상기 RF 에너지를 상기 핸드피스로 전달하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냉매 탱크로부터 냉각 가스를 상기 냉각 채널로 전달하는, RF 치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1 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삽입부에 RF 에너지를 전달하는 RF 전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 채널은 RF 전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RF 치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 및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통해 각각 상기 RF 전달부 및 상기 냉각 채널과 연결되는, RF 치료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후단을 통해 상기 삽입부로 상기 RF 에너지를 전달하고,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상기 냉각 채널과 연결되는, RF 치료 장치.
KR1020180106356A 2018-09-06 2018-09-06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2192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56A KR102192606B1 (ko) 2018-09-06 2018-09-06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PCT/KR2019/009016 WO2020050493A1 (ko) 2018-09-06 2019-07-22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US17/273,601 US20210251801A1 (en) 2018-09-06 2019-07-22 Handpiece for treatment, treatment device including handpiece, and treatment method using treat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356A KR102192606B1 (ko) 2018-09-06 2018-09-06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12A true KR20200028112A (ko) 2020-03-16
KR102192606B1 KR102192606B1 (ko) 2020-12-17

Family

ID=6972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356A KR102192606B1 (ko) 2018-09-06 2018-09-06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51801A1 (ko)
KR (1) KR102192606B1 (ko)
WO (1) WO20200504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925A1 (ko) * 2021-05-10 2022-11-17 텐텍 주식회사 고주파 치료용 핸드피스
KR102626572B1 (ko) * 2023-08-03 2024-01-19 솔리스엠에스엔 주식회사 체내 삽입용 마이크로 니들 의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033B1 (ko) 2022-02-28 2022-08-31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피부 치료용 rf 고주파 기기의 냉매 분사용 핸드피스 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0A (ko) 2009-06-29 2011-01-06 광주과학기술원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3109A (ja) * 2013-11-13 2015-05-18 巨樹 村田 スキンケア装置
KR101574951B1 (ko) * 2015-08-13 2015-12-07 김유인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장치
KR20170006723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
KR20180081385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167A (en) * 1990-10-31 2000-08-29 Premier Laser Systems, Inc. Contact tip for laser surgery
US7351219B2 (en) * 2004-01-08 2008-04-01 Alcon, Inc. Method and instrumentation for cooling a surgical incision
EP2034917A2 (en) * 2006-07-05 2009-03-18 Bovie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skin tightening and corrective forming
US20080114346A1 (en) * 2006-09-18 2008-05-15 Arbel Medical Ltd. Cryosurgical Instrument
CN100574719C (zh) * 2006-12-26 2009-12-30 上海导向医疗系统有限公司 气体节流冷却式射频消融电极
WO2008087649A1 (en) * 2007-01-19 2008-07-24 Arbel Medical Ltd. Thermally insulated needles for dermatological applications
US20090093864A1 (en) * 2007-10-08 2009-04-09 Anderson Robert S Methods and devices for applying energy to tissue
KR101300123B1 (ko) * 2011-07-26 2013-08-26 주식회사 루트로닉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106016A (ko) * 2012-03-19 2013-09-27 라종주 라-효과 이용 피부개선 장치 및 방법
IL219477A0 (en) * 2012-04-30 2012-07-31 Berger Thermal Res Ltd A method for coupling between catheter tip and tissue by icing their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0790A (ko) 2009-06-29 2011-01-06 광주과학기술원 침습형 침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93109A (ja) * 2013-11-13 2015-05-18 巨樹 村田 スキンケア装置
KR20170006723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치료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74951B1 (ko) * 2015-08-13 2015-12-07 김유인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 장치
KR20180081385A (ko) * 2017-01-06 2018-07-16 주식회사 루트로닉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9925A1 (ko) * 2021-05-10 2022-11-17 텐텍 주식회사 고주파 치료용 핸드피스
KR102626572B1 (ko) * 2023-08-03 2024-01-19 솔리스엠에스엔 주식회사 체내 삽입용 마이크로 니들 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493A1 (ko) 2020-03-12
US20210251801A1 (en) 2021-08-19
KR102192606B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787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smetic treatment of human mucosal tissue
CN108366828B (zh) 用于人体粘膜组织的美容治疗的装置和方法
US896828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female urinary incontinence
JP4460567B2 (ja) 偏向可能間質切除装置
KR102192606B1 (ko)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JP5647215B2 (ja) ウォータジェット手術のための器具
KR102066046B1 (ko) Rf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 방법
US11523863B2 (en) Medical RF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14344B1 (ko) 치료용 핸드 피스, 이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 및 치료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18221B1 (ko)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18639B1 (ko) Rf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05651B1 (ko)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000603A (ko)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는 rf치료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치료방법
US20220080215A1 (en) Rf therapeut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H08150215A (ja) 薬剤投与用処置具
US20210161590A1 (en) Rf fractional device for treatment at different tissue depths
WO2018092935A1 (ko)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WO2005058411A1 (ja) 神経刺激デバイス用キット
KR20160030612A (ko) 체내 온도 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