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060A -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060A
KR20200028060A KR1020180105925A KR20180105925A KR20200028060A KR 20200028060 A KR20200028060 A KR 20200028060A KR 1020180105925 A KR1020180105925 A KR 1020180105925A KR 20180105925 A KR20180105925 A KR 20180105925A KR 20200028060 A KR20200028060 A KR 20200028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kickboard
mounting
slid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계광
이평재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5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8060A/ko
Publication of KR2020002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20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2J43/23Arrangements of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dismounted when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62M6/90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수직연결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지지부를 통해 배터리를 간편하게 착탈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착탈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을 위한 배터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는 전동 킥보드의 핸들을 지지하는 수직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장착부와, 수직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장착부와 결합되는 제2장착부 및 제2장착부에 연결되어 전동 킥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BATTERY DETACHABLE DEVICE FOR ELECTRIC KICKBOARD}
본 발명은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수직연결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지지부를 통해 배터리를 간편하게 착탈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착탈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을 위한 배터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어린이들이 타고 다니면서 유희를 즐기는 것으로서, 핸들로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보드프레임에 한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발은 지면을 지치면서 전, 후바퀴를 구동 회전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기구이다.
이러한 킥보드는 평탄한 길과 내리막길 같은 곳에서 주행할 때에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계속해서 주행을 할 수 있지만 언덕길과 같은 경사진 곳을 주행시 육체적인 노력을 소요되기 때문에 놀이용 기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모터 혹은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장착된 전동식 킥보드가 제안되고 있으며, 모터로 구동되는 전동식 킥보드는 자동차 시동시와 같이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모터가 구동됨으로써 전동 주행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킥보드는 대부분 배터리가 보드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어 충전을 하기 위해서는 전동식 킥보드를 충전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평탄하지 않은 노면에서 주행할 경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배터리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084호(2001.04.18 등록, 고안의 명칭: 전동식 킥보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수직연결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지지부를 통해 배터리를 간편하게 착탈시킴으로써, 배터리의 착탈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뿐만 아니라 충전을 위한 배터리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는 전동 킥보드의 핸들을 지지하는 수직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수직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결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킥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에는 물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제1결합안내부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안내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1삽입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상기 볼트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수용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착탈지지부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배터리지지부 및 상기 제2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지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분리결합부는 제2결합안내부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안내부는 상기 분리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너트를 상기 볼트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수용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지지부와 상기 분리결합부는 슬라이드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분리결합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배터리지지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수용시 유동방지부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는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가 수직연결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착탈지지부를 통해 배터리가 간편하게 착탈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터리의 운반이 용이하여 전동 킥보드를 충전장소까지 이동시킬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착탈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장착부와 착탈지지부가 제2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장착부와 제2장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동 킥보드의 무게 중심을 사용자의 임의로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고, 부품의 손상시 손상된 부품만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장착부(10), 제2장착부(20) 및 착탈지지부(30)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10)는 전동 킥보드의 핸들을 지지하는 수직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장착부(10)는 제2장착부(20)와 함께 수직연결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제2장착부(20)와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직연결부의 일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장착홈부(11)를 구비한다. 물론, 제1장착홈부(11)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장착부(10)의 양측에는 가방, 바구니, 조명장치 등의 다양한 물품이 거치되도록 거치부재(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재(12)의 단부에는 전동 킥보드의 주행시 거치된 물품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물품을 걸림 지지하는 걸림지지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장착부(20)는 수직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1장착부(10)와 결합된다. 이러한 제2장착부(20)는 제1장착부(10)와 함께 수직연결부에 위치 고정되도록 제1장착부(20)와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직연결부의 타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장착홈부(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장착부(10)와 제2장착부(20)는 제1결합안내부(4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안내부(40)는 제1장착부(10)에 형성되어 볼트(B)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41) 및 제1삽입홀부(41)와 연통되도록 제2장착부(20)에 형성되어 너트(N)를 볼트(B)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수용홈부(42)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장착부(10)와 제2장착부(20)는 볼트(B)와 너트(N)의 체결력에 의해 수직연결부에 장착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전동 킥보드의 무게 중심을 사용자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호 간의 결합이 가능하며, 볼트(B)의 체결로 인한 마모가 방지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착탈지지부(30)는 제2장착부(20)에 연결되어 전동 킥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서, 배터리지지부(31) 및 분리결합부(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지지부(31)는 배터리를 지지하도록 배터리와 결합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지지부(31)에는 배터리와 볼팅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부(31a)가 형성된다. 그리고, 분리결합부(32)는 제2장착부(20)에 지지되어 배터리지지부(31)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분리결합부(32)와 제2장착부(20)는 제2결합안내부(5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결합안내부(50)는 분리결합부(32)에 형성되어 볼트(B)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51) 및 제2삽입홀부(51)와 연통되도록 제2장착부(20)에 형성되어 너트(N)를 볼트(B)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수용홈부(52)를 포함한다. 이로써, 착탈지지부(30)는 미사용시 제2장착부(20)에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장착부(20)와 분리결합부(32)가 서로 다른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호 간의 결합이 가능하며, 볼트(B)의 체결로 인한 마모가 방지되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지지부(31)와 분리결합부(32)는 슬라이드안내부(60)에 의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안내부(60)는 분리결합부(32)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61) 및 슬라이드홈부(61)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배터리지지부(31)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6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분리결합부(32)는 배터리지지부(31)를 자중으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탈이 간편하고, 충전시 배터리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부재(62)는 슬라이드홈부(61)에 수용시 유동방지부(63)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방지부(63)는 슬라이드홈부(61)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63a) 및 걸림홈부(63a)에 걸리도록 슬라이드부재(62)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63a)를 포함한다. 즉, 배터리지지부(31)와 분리결합부(32)가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평탄하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 경우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및 요동에 의한 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배터리 착탈장치 10: 제1장착부
11: 제1장착홈부 12: 거치부재
20: 제2장착부 21: 제2장착홈부
30: 착탈지지부 31: 배터리지지부
32: 분리결합부 40: 제1결합안내부
41: 제1삽입홀부 42: 제1수용홈부
50: 제2결합안내부 51: 제2삽입홀부
52: 제2수용홈부 60: 슬라이드안내부
61: 슬라이드홈부 62: 슬라이드부재
63: 유동방지부 63a: 걸림홈부
63b: 걸림턱부

Claims (7)

  1. 전동 킥보드의 핸들을 지지하는 수직연결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장착부;
    상기 수직연결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결합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제2장착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동 킥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착탈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의 양측에는 걸이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물품을 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는 제1결합안내부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결합안내부는,
    상기 제1장착부에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부; 및
    상기 제1삽입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되고, 너트를 상기 볼트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1수용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부는,
    상기 배터리를 지지하는 배터리지지부; 및
    상기 제2장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터리지지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부와 상기 분리결합부는 제2결합안내부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안내부는,
    상기 분리결합부에 형성되어 볼트가 삽입되는 제2삽입홀부; 및
    상기 제2삽입홀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장착부에 형성되고, 너트를 상기 볼트와 체결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2수용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지지부와 상기 분리결합부는 슬라이드안내부에 의해 슬라이드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분리결합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배터리지지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수용시 유동방지부에 의해 흔들림이 방지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함몰 형성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에 걸리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KR1020180105925A 2018-09-05 2018-09-05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KR20200028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25A KR20200028060A (ko) 2018-09-05 2018-09-05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925A KR20200028060A (ko) 2018-09-05 2018-09-05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60A true KR20200028060A (ko) 2020-03-16

Family

ID=6994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925A KR20200028060A (ko) 2018-09-05 2018-09-05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80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1894B1 (ko) * 2020-11-05 2021-05-17 주식회사 복용 폴딩형 전동킥보드
KR20210122466A (ko) 2020-04-01 2021-10-12 허준호 전동 킥보드 조명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2466A (ko) 2020-04-01 2021-10-12 허준호 전동 킥보드 조명제어장치
KR102251894B1 (ko) * 2020-11-05 2021-05-17 주식회사 복용 폴딩형 전동킥보드
WO2022098137A1 (ko) * 2020-11-05 2022-05-12 주식회사 복용 폴딩형 전동킥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329B2 (en) Electric scooter assemblies
US4848504A (en) Convertible walking/riding golf cart
US20180148128A1 (en) Bicycle frame with battery mount
US20160257374A1 (en) Portable Multi-Platform Friction Drive System with Retractable Motor Drive Assembly
US5207361A (en) Easily detachable carrier attachment for a vehicle
CN104787187B (zh) 独轮电动平衡车
JPH08508953A (ja) 固定装置
KR20200028060A (ko) 전동 킥보드용 배터리 착탈장치
US20060208522A1 (en) Removable vehicle seat cowl
US8662218B1 (en) Motorized platform
US20180072380A1 (en) Ebike battery with integral control panel
US20180036626A1 (en) Modular drive system for skateboards
US20080035691A1 (en) Bicycle golf bag
KR101684602B1 (ko) 전동장치가 부착된 주행용 보드
KR100991035B1 (ko) 자전거의 탈착식 전동장치
CN111132895B (zh) 鞍乘型车辆的电池拆装构造
US20220258782A1 (en) Modular cart
US20200231247A1 (en) A power unit and electric drive system for a bike
US7938421B2 (en) Collapsible axle for velocipede
EP2404819A1 (en) Bicycle rear wheel propelled by trailer mounted power supply and drive train
JP3490901B2 (ja) 電動自転車
US20030201627A1 (en) Wheel of a golf trolley
KR101200369B1 (ko) 이륜차와 수레의 연결장치
SI25808A (sl) Samokolnica s pogonom
US7503574B1 (en) Bicycle cadd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