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925A -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 Google Patents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925A
KR20200027925A KR1020197037730A KR20197037730A KR20200027925A KR 20200027925 A KR20200027925 A KR 20200027925A KR 1020197037730 A KR1020197037730 A KR 1020197037730A KR 20197037730 A KR20197037730 A KR 20197037730A KR 20200027925 A KR20200027925 A KR 2020002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illiliters
compou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873B1 (ko
Inventor
찰스 제트 딩
페이 선
얀빈 후
슈후이 첸
Original Assignee
푸젠 코선터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푸젠 코선터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메드샤인 디스커버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푸젠 코선터 파마슈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61K31/5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having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ring hetero atoms, e.g. loxapine, staurospo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61K31/70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purine ring system, e.g. guanosine, gua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B형 간염 표면항원 억제제인 11-옥소-7,11-다이히드로-6H-벤조[f]-피리도[1,2-d]-[1,4]옥사제핀-5-카르복실산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형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에서의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개시하였다.
[화학식 V]
Figure pct00170

Description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22일에 제출된 중국특허출원 201710365328.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신규한 B형 간염 표면항원 억제제인 11-옥소-7,11-다이히드로-6H-벤조[f]-피리도[1,2-d]-[1,4]옥사제핀-5-카르복실산유도체(11-oxo-7,11-Dihydro-6H-benzo[f]-pyrido[1,2-d]-[1,4]oxazepin-5-carboxylic acid derivativ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B형 간염 바이러스성 간염 치료에서의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 조성물의 응용에 관한 것이다.
B형 바이러스성간염은 약어로 B형 간염이라고도 하며,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약어 HBV)의 감염으로 인해 발병되는 질환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는 헤파드나 바이러스과에 속하며, 주로 간세포 내에서 발견되고 간세포를 손상시켜 간세포의 염증, 괴사 및 섬유화를 일으킨다. B형 바이러스성 간염은 급성과 만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대부분의 성인에서 급성 B형 간염은 자체면역 메커니즘을 통해 자가치유 될 수 있다. 하지만 만성 B형 간염(CHB)은 세계 보건 의료의 주요 과제가 된 동시에 만성 간질환, 간경변 및 간암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20억 명이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으며, 3억5천만 명이 넘는 인구가 이미 B형 간염을 앓고 있으며, 매년 약 60만 명은 만성 B형 간염의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중국은 B형 간염의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고, B형 간염에 걸린 누적 환자가 많으며, 그 피해가 심각하다.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약 9,300만 명이며, 여기서 약 2,000만 명은 B형 간염으로 진단되었고, 그 중 10% 내지 20%가 간경변으로 진행될 수 있고, 1% 내지 5%는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B형 간염치료의 핵심은 HBsAg(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을 제거하고 표면항체를 생성하는 것이다. HBsAg의 정량화는 매우 중요한 생물학적 지표이다. 만성 감염환자에서, HBsAg의 감소와 혈청전환은 거의 관찰되지 않으며 이는 현재 치료의 종점이다.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표면항원단백질은HBV의 간세포 침입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HBV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표면항원 단백질은 공통 C-말단 S영역을 공유하는 대형(large)(L), 중형(medium)(M) 및 소형(small)(S) 표면항원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들은 판독 프레임의 3 개의 AUG 개시 코돈에 의해 결정되는 상이한 길이의 판독 프레임으로부터 발현된다. 이 3 가지 표면항원 단백질은 프리-S1(pre-S1)/프리-S2(pre-S2)/S, 프리-S2/S 및 S 도메인을 포함한다. HBV 표면 항원 단백질은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막에 통합되어 N-말단 신호서열에 의해 개시된다. 그들은 비리온(virion)의 기본 구조를 구성할뿐만 아니라 ER, 호스트(host) ER 및 골지-전(pre-Golgi)기구에서 응집된 구형 및 섬유 성 서브 바이러스 입자(SVP, HBsAg)를 형성하며 SVP는 대부분의 S 표면 항원 단백질을 함유한다. L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형태 형성 및 뉴클레오캡시드와의 상호작용에서 중요하지만, SVP의 형성에는 필수적이지 않다. 이들 뉴클레오캡시드의 결핍으로 인해 여기서 SVP는 비감염성이다. SVP는 질병의 진행에 크게 참여하고, 특히 B형 간염 바이러스의 면역반응에 관여하며, 감염된 사람의 혈액에서 SVP양은 바이러스의 최소 10,000 배에 달하고, 면역 체계를 포착하여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신체 면역반응을 약화시킨다. 또한 HBsAg은 인간의 선천면역을 억제하고 다당류(LPS) 및 IL-2에 의해 유발된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며 수지상세포 DC의 기능 및 단핵구에서 LPS에 의한 ERK-1/2와 c-Jun N말단의 상호작용 키나아제-1/2의 유도 활성을 억제한다. 간경변 및 간세포 암종에서의 질병 진행 또한 HBsAg의 지속적인 분비와 관련이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HBsAg이 만성 간염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재 승인되어 시판중인 항 HBV 약물은 주로 면역조절제(인터페론-α 및 페그인터페론-α-2α) 및 항 바이러스치료제(라미부딘, 아데포비어디피복실, 엔테카비르, 텔비부딘, 테노포비어, 클레부딘 등)이다. 여기서 항 바이러스 치료제는 뉴클레오티드 약물과에 속하며, 그 작용 메카니즘은 HBV DNA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고 HBsAg 레벨을 직접 감소시키지 않는다. 치료를 연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뉴클레오타이드계 약물은 자연관찰결과와 유사한 HBsAg 제거율을 나타낸다.
기존의 임상적 치료법은 HbsAg를 감소시키는 효능이 좋지 않기 때문에, HBsAg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소분자 경구억제제의 개발이 현재 임상적으로 시급히 필요하다.
로슈(Roche)사는 B형 간염 치료제로 RG7834라고 하는 표면항원 억제제를 개발하였고, 우드척(woodchuck) 항B형 간염 모델에서 이 화합물의 효능을 보고하였다. RG7834를 단일약물로 사용하면 2.57 Log 표면 항원을 줄이고 1.7 Log HBV-DNA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우수한 활성을 지니지만, 분자 합성과정에서 이성질체를 분리할 필요가 있어 수율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구조변형을 통해 항B형 간염 생물학적 활성이 보다 높고, 합성 공정이 더 간단하고, 약물과 같은 특성의 우수한 신규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WO2017013046A1은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되는 일련의2-옥소-7,8-다이히드로-6H-피리도[2,1,a][2]벤자제핀-3-카르복실산 유도체(일반식 구조는 하기와 같다)를 개시하였다. 이 계열의 융합고리 화합물의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진 실시예 3의 IC50은 419nM이며, 활성은 개선의 여지가 많다. 이 일련의 화합물에 포함된 카이랄중심은 비대칭적으로 합성하기가 더 어렵다. 통상적으로 7원 탄소고리는 수용성이 약하여 산화대사되기 쉽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화학식 V]
Figure pct00002
여기서,
"*"로 표기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또는 (S)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고;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1- 6헤테로알킬기, C2- 5알케닐기, C2- 5헤테로알케닐기, C3-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m은0, 1, 2, 3, 4 또는 5로부터 선택되고;
m이 0일때, R1은 OH, CN, NH2를 선택하지 않고;
R은 H, 할로겐, OH, CN, NH2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은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CH2F로부터 선택되고;
"헤테로”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을 나타내고, 여기서 C1- 6헤테로알킬기, C2- 5헤테로알케닐기,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에서 "헤테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C(=O)N(R)-, -N(R)-, -C(=NR)-, -(R)C=N-, -S(=O)2N(R)-, -S(=O)N(R)-, N, -O-, -S-, =O, =S, -C(=O)O-, -C(=O)-, -C(=S)-, -S(=O)-, -S(=O)2-, -N(R)C(=O)N(R)-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임의의 경우,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단의 개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은 H,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또는 CH2F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2- 3알케닐기, C2- 3헤테로알케닐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 C3-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F, Cl, Br, I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Cl, Br, CN, CH3,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기, C3-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m은 0, 1, 2, 3, 4로부터 선택되거나, 또한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조단위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에서, "*"로 표기한 탄소원자는 카이랄탄소원자이며, (R)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은 H,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또는 CH2F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2- 3알케닐기, C2-3 헤테로알케닐기, C3-6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F, Cl, Br, I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Cl, Br, CN, CH3,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4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m은 0, 1, 2, 3, 4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조단위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탄소원자이며, (R)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학식 V-1]
Figure pct00036
[화학식 V-2]
Figure pct00037
[화학식 V-3]
Figure pct00038
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식에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또는 (S)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고;
R4는 H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기와 C1~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X는 C와 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와 C로부터 선택되고;
L1과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H2)n-, -C(=O)-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L1과 L2는 동시에 단일결합이 되지 않고;
n은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고;
m, R, R2, R3과 C1~ 3헤테로알킬기 중의 "헤테로"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고, 또한 m이 0일 때, R4는 H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여기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39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화학식 I]
Figure pct00047
여기서,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1- 6헤테로알킬기, C2- 5알케닐기, C2- 5헤테로알케닐기, C3-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4 또는 5로부터 선택되고;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고;
R은 H, 할로겐,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은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CH2F로부터 선택되거나;
"헤테로"는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단을 나타내고, 여기서 C1- 6헤테로알킬기, C2- 5헤테로알케닐기,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에서 "헤테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C(=O)N(R)-, -N(R)-, -C(=NR)-, -(R)C=N-, -S(=O)2N(R)-, -S(=O)N(R)-, N, -O-, -S-, =O, =S, -C(=O)O-, -C(=O)-, -C(=S)-, -S(=O)-, -S(=O)2-, -N(R)C(=O)N(R)-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임의의 경우,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의 개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은 H,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CH2F로부터 선택된다.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2- 3알케닐기, C2- 3헤테로알케닐기, C3-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Figure pct00053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 C3-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F, Cl, Br, I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54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Cl, Br, CN, CH3,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4알킬기, C3-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m은 0, 1, 2, 3, 4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조단위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화학식 II]
Figure pct00063
[화학식 III]
Figure pct00064
[화학식 IV]
Figure pct00065
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R4는 H로부터 선택되고,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기와 C1~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X는 C와 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와 C로부터 선택되고;
L1과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H2)n-, -C(=O)-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L1과 L2는 동시에 단일결합이 되지 않고;
n은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고;
m, R, R2, R3과 C1~ 3헤테로알킬기 중의 "헤테로"는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이, m이 0일 때, R4는 H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여기서, 화합물은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Figure pct00070
Figure pct00071
Figure pct00072
Figure pct00073
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B형 간염 치료용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응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은 H,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CH2F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2- 3알케닐기, C2- 3헤테로알케닐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Figure pct00076
로부터 선택되며,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1은 H, OH, CN, NH2,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H, OH, CN, NH2, F, Cl, Br, I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080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2는 Cl, Br, CN, CH3,
Figure pct00081
Figure pct00082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4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R3
Figure pct00083
Figure pct00084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m은 0, 1, 2, 3, 4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으며,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부 해결수단에 있어서, 상기 구조단위
Figure pct00085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로부터 선택되고, 기타 변량은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B형 간염 치료용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상기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약물 조합물의 응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해결수단은 상기 각 변량을 임의로 조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7원 옥사제핀을 코어구조로 하는 신규한 일련의 화합물을 창의적으로 디자인 및 합성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높은 항B형 간염 시험관 내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제일 높은 활성을 지닌 화합물은 HBV-DNA와 HBsAg의 EC50을 1nM내로 되게끔 억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카이랄중심은 시판중인 아미노산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며, 합성공정이 간단하고 경제적이고; 현재 보유 기술에 비해 7원 고리의 탄소가 산소로 치환된 후에는 화합물의 수용성이 증가하여 산화 대사의 위험성이 낮아지고,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약리학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당한 혈장단백결합률을 가지며, 시토크롬 P450 동종효소를 억제하지 않고, 약물-약물 상호작용의 위험이 낮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랫트, 사람과 마우스 이 3 종에서 간 마이크로솜의 안정성이 우수하며, 화합물이 쉽게 대사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마우스 및 랫트에서의 약동학 실험에서 비교적 우수한 노출양 및 생체 이용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꼬리정맥 고압주사 마우스 HBV 모델(HDI-HBV)의 생체 내 약효실험과 재조합8형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매개된 B형 간염 바이러스 마우스 모델(AAV-HBV)에서 모두 우수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랫트의 14일간의 사전-독성실험에서 내성이 우수하고, 단일투여 신경독성 연구에서 내성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R)-배열 화합물은 본 발명의 라세미화합물에 비해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이 3 내지 5배 증가하였으며, 본 발명의 (S)-배열 화합물의 항B형 간염 바이러스의 활성보다 약 10배 더 증가하였다.
정의 및 설명
다른 설명이 없으면, 본문에서 사용된 하기 용어와 문구는 하기와 같은 함의를 갖는다. 하나의 특정된 용어 또는 문구는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상황에서 확정되지 않거나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아니 되며, 통상적인 함의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문에서 상품 명칭이 나타나면 이는 대응되는 상품 또는 이의 활성 성분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은 신뢰 가능한 의학 판단 범위 내에서 그러한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제형은 인간과 동물의 조직과 접촉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되, 과도한 독성, 자극성, 과민성 반응 또는 기타 문제 또는 합병증이 없으며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을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 화합물의 염으로, 본 발명에서 발견된 특정 치환기를 지닌 화합물과 상대적인 무독의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상대적으로 산성인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족한 양의 염기와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식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염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으로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암모늄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유사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상대적인 염기성의 관능기가 함유될 경우, 순수한 용액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족한 양의 산과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식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산 부가염을 얻을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의 구현예로,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hydrobromic acid), 질산(nitric acid), 탄산(carbonic acid), 중탄산기(bicarbonate group), 인산(phosphoric acid), 인산일수소기(monohydrogen phosphate), 인산이수소기(dihydrogen phosphate group), 황산(sulfuric acid), 황산수소기(hydrogen sulfate group), 요오드화수소산(hydroiodic acid), 아인산염(phosphoric acid) 등을 포함하는 무기산염; 및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이소부티르산(isobutyr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론산(malonic acid), 벤조산(benzoic acid), 숙신산(succinic acid), 수베린산(suber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만델린산(mandelic acid), 프탈산(phthalic acid), 벤젠술폰산(benzenesulfonic acid), p-톨루엔술폰산(p-toluenesulfonic acid), 구연산(citr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및 메탄술폰산(methanesulfonic acid)과 같은 유사한 산을 포함하는 유기산염을 포함하고, 아미노산(예를 들어 아르기닌 등)의 염, 및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같은 유기산의 염을 더 포함한다(문헌[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66: 1-19(1977)]을 참조). 본 발명의 일부 특정 화합물은 염기성과 산성 관능기를 포함하여 임의의 염기 또는 산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상적인 방식으로 염과 염기 또는 산을 접촉시키는 것으로 모체 화합물을 다시 분리시켜 화합물의 중성 형식을 재생시킨다. 화합물의 모체 형식과 이의 여러 가지 염의 형식의 상이한 점은 극성 용매에서의 용해도의 차이와 같은 일부 물리적 성질에 있다.
본문에서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 부가염 또는 염기 부가염의 방식으로 상기 모체 화합물을 수식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유도체에 속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구현예로 아민과 같은 염기성 기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염,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과 같은 산기의 알칼리금속 또는 유기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무독성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 형성된 염과 같은 통상적인 무독성의 염 또는 모체 화합물의 4급암모늄염(quaternary ammonium salt)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무독성의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유도된 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무기산 또는 유기산은 2-아세톡시벤조산(2-acetoxybenzoic acid), 2-하이드록시에탄술폰산(2-hydroxyethanesulfonic acid), 아세트산,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벤젠술폰산, 벤조산, 탄산수소이온, 탄산, 구연산, 에데트산(edetic Acid), 에탄디술폰산(ethane disulfonic acid), 에탄술폰산(ethanesulfo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글루코헵토오스(glucoheptose), 글루콘산(gluconic acid), 글루타민산(glutam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브롬화수소산, 염산, 요오드화수소산염(hydriodate), 히드록실기(hydroxyl group), 하이드록시나프탈렌(hydroxynaphthalene), 이세티온산(isethionic acid), 락트산, 유당, 도데실술폰산(dodecyl sulfonic acid), 말레산, 말산(malic acid), 만델린산, 메탄술폰산(methanesulfonic acid), 질산, 옥살산(oxalic acid), 팜산(pamoic acid),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페닐아세트산(phenylacetic acid), 인산, 폴리갈락토스알데히드(polygalactosaldehyde), 프로피온산, 살리실산(salicylic acid), 스테아린산(stearic acid), 엽산칼슘(calcium Folinate), 숙신산, 술파민산(sulfamic acid), p-아미노벤젠술폰산(p-aminobenzenesulfonic acid), 황산, 탄닌(tannin), 타르타르산 및 p-톨루엔술폰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산기 또는 염기를 함유한 모체 화합물로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이러한 염의 제조 방법은,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양자의 혼합물에서 유리산 또는 염기 형식의 이러한 화합물을 화학적으로 계량된 적절한 염기 또는 산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에테르(ether),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탄올(eth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또는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등 비수성 매질이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수화물 형식을 포함하는 비용매화 형식 또는 용매화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 형식과 비용매화의 형식은 동등하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광학 중심) 또는 이중 결합을 구비할 수 있다.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기하적 이성질체와 단일 이성질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다른 설명이 없으면, 쐐기형 실선결합(
Figure pct00089
)과 쐐기형 점선 결합(
Figure pct00090
)으로 하나의 입체 중심의 절대적 배열을 나타내고, 물결모양선(
Figure pct00091
)으로 쐐기형 실선결합(
Figure pct00092
) 또는 쐐기형 점선결합(
Figure pct00093
)을 나타내고, 직형 실선결합(
Figure pct00094
)과 직형 점선결합(
Figure pct00095
)으로 입체 중심의 상대적 배열을 나타낸다. 본문에서 서술된 화합물은 올레핀계 이중 결합 또는 기타 기하적 비대칭 중심을 포함하고, 달리 규정되지 않는 한, 이들은 E, Z 기하적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모든 호변 이성질체 형식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일종의 이성질체가 풍부하게 함유된", "이성질체가 풍부한", "일종의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하게 함유된"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한"은 여기서 일종의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100%보다 적으며 이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60%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70%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80%보다 크거나 같으며, 90%보다 크거나 같고, 95%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96%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97%보다 크거나 같으며, 98%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99.5%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99.6%보다 크거나 같으며, 99.7%보다 크거나 같고, 99.8%보다 크거나 같으며 또는 99.9%보다 크거나 같음을 나타낸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이성질체 과량"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과량"은 두 이성질체 또는 두 거울상 이성질체의 백분율의 차이 값을 나타낸다. 예컨대, 여기서 한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90%이고 다른 한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함량이 10%이면 이성질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과량(ee값)은 80%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정된 기하적 또는 입체 이성질체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화합물은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농축된 혼합물과 같은 시스(cis) 및 트랜스(trans) 이성질체, (-)- 및 (+)-거울상이성질체, (R)- 및 (S)-거울상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D)-이성질체, (L)-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 및 기타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모든 이러한 혼합물은 전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알킬기 등 치환기에는 다른 비대칭 탄소 원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들 모든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카이랄(chiral) 합성 또는 카이랄 시약 또는 기타 통상적인 기술을 통해 광학 활성의 (R)- 및 (S)-이성질체 및 D 및 L 이성질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얻으려면, 비대칭 합성 또는 카이랄 보조제를 구비한 유도 작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얻은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분리하고, 보조 라디칼을 절단하여 순수한 필요 되는 거울상이성질체를 제공한다. 또는, 분자에 염기성 관능기(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산성 관능기(예를 들어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가 함유될 경우, 적합한 광학 활성의 산 또는 염기와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염을 형성한 후, 본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부분입체이성질체를 분해한 후, 회수하여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를 얻는다. 이 외에, 일반적으로 거울상이성질체와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분리는 크로마토그래피방법(chromatography)으로 완성되고,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방법은 카이랄 고정상을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화학적 유도법과 결합한다(예를 들어 아민(amine)으로 카바메이트(carbamate)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원자 상에 비천연적 비율의 원자 동위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튬(tritium)(3H), 요오드-125(125I) 또는 C-14(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화합물을 표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로 조성된 변환은 방사성이든 아니든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본 발명의 유효량의 활성 물질을 전달할 수 있고, 활성 물질의 생물 활성을 간섭하지 않으며 숙주 또는 환자에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없는 임의의 제제 또는 대표적인 담체로 물, 오일, 야채 및 미네랄, 크림기제, 세제기제, 연고기제 등을 포함하는 담체 매질을 지칭한다. 이러한 기제로 현탁제, 접착제, 경피 촉진제 등을 포함한다. 이들의 제제는 화장품분야 또는 국소 약물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주지된 바와 같다. 담체의 기타 정보에 관련하여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5)]를 참조할 수 있고, 해당 문헌의 내용은 인용하는 방식을 통해 본문에 병합된다.
용어 "부형제"는 통상적으로 효과적인 약학적 조성물을 조제하는데 필요한 담체, 희석제와/또는 매질을 지칭한다.
약물 또는 약리학적 활성제에 대하여, 용어 "유효량” 또는 "치료 유효량”은 독성이 없지만 충분히 예기된 효과에 도달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약제의 충분한 용량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경구 투여 제형에 있어서, 조성물에서 활성 물질의 "유효량”은 상기 조성물에서 다른 활성 물질과 병용될 경우 예기된 효과에 도달하기 위한 사용량을 지칭한다. 유효량의 확정은 사람에 따라 다르고, 수용체의 연령과 일반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며, 구체적인 활성 물질에 따라서도 다르므로, 사례에서 적합한 유효량은 당업자에 의해 통상적인 시험으로 확정될 수 있다.
용어 "활성 성분”, "치료제”, "활성 물질” 또는 "활성제”는 표적 문란, 질환 또는 병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화학적 실체이다.
“선택적” 또는 "선택적으로”는 후술되는 상기 서술에는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된 경우 및 상기 사건 또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사건 또는 상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무조건 나타나는 것은 아님을 지칭한다.
용어 "치환된”은 특정 원자에서의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수소 원자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단지 특정 원자의 원자가가 정상적이고 치환된 후의 화합물이 안정적이면 중수소 및 수소의 변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치환기가 케톤기(즉 =O)일 경우, 두 개의 수소 원자가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케톤 치환은 아릴기에서 발생되지 않는다. 용어 "선택적으로 치환된”은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설명이 없으면, 치환기의 종류와 개수는 화학적으로 실현 가능한 기초 상에서 임의적일 수 있다.
화합물의 조성 또는 구조에서 임의의 변량(예를 들어 R)이 한번 이상 나타날 경우, 이의 각각의 경우에서의 정의는 모두 독립적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만약 하나의 라디칼이 0 내지 2 개의 R에 의해 치환되면, 상기 라디칼은 선택적으로 두 개 이하의 R에 의해 치환 될 수 있고, 각각의 경우에서의 R은 모두 독립적인 선택 항이다. 이 외에, 치환기 및/또는 이의 변이체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하는 경우에서만 허용된다.
-(CRR)0-와 같이 하나의 연결기의 개수가 0일 경우, 상기 연결기는 단일 결합을 나타낸다.
그 중에서의 하나의 변량이 단일 결합으로부터 선택될 경우, 연결된 두 개의 라디칼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L-Z에서 L이 단일 결합을 나타낼 경우 상기 구조는 실제적으로 A-Z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치환기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치환기는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A-X에서 X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구조는 실제적으로 A임을 나타낸다. 하나의 치환기의 결합이 하나의 고리의 한 개 이상의 원자에 연결될 수 있을 경우, 이러한 치환기는 그 고리의 임의의 원자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단위
Figure pct00096
또는
Figure pct00097
는 사이클로헥실기(cyclohexyl group) 또는 사이클로헥사디엔(cyclohexadiene)의 임의의 하나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열거된 치환기에서 어느 하나의 원자에 의해 치환라디칼에 연결되는 것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치환기는 임의의 원자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환기로서의 피리딜기는 피리딘고리상의 임의의 하나의 탄소원자를 통해 치환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연결 라디칼은 결합 방향을 명시하지 않았으며 결합방향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Figure pct00098
에서 연결된 라디칼 L은-M-W-이고, 이 때,-M-W-는 고리 A와 고리 B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순서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하여
Figure pct00099
를 형성할 수 있고, 고리 A와 고리 B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읽기 순서와 반대 방향으로 연결하여
Figure pct00100
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라디칼은, 치환기 및/또는 이의 변이체의 조합은 이러한 조합이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할 경우에만 허용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헤테로”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즉 헤테로 원자를 함유한 원자단)을 나타내고, 탄소(C)와 수소(H) 외의 원자 및 이러한 헤테로 원자를 함유한 원자단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산소(O), 질소(N), 유황(S), 규소(Si), 게르마늄(Ge), 알루미늄(Al), 붕소(B), -O-, -S-, =O, =S,-C(=O)O-, -C(=O)-, -C(=S)-, -S(=O) ,-S(=O)2-, 및 선택적으로 치환된-C(=O)N(H)-, -N(H)-, -C(=NH)-, -S(=O)2, N(H)- 또는 -S(=O)N(H)-를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사이클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사이클로알케닐기(cycloalkenyl group),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heterocycloalkenyl group), 사이클로알키닐기(cycloalkynyl group),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heterocycloalkynyl group),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이른바 고리는 단일 고리, 병합 고리(bicyclo), 스피로 고리, 앤드 고리 또는 브릿지 고리이다. 고리 상의 원자의 개수는 통상적으로 고리의 원수로 정의되고, 예를 들어, "5 내지 7 원 고리”는 5 내지 7 개의 원자가 에둘러 배열된 것을 의미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상기 고리는 선택적으로1 내지 3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5 내지 7 원 고리”는 예를 들어 페닐기, 피리딘과 피페리디닐기(piperidinyl group)를 포함하고; 한편, 용어 "5 내지 7 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고리”는 피리딜기와 피페리디닐기를 포함하지만 페닐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헤테로사이클로(heterocyclo)" 또는 "헤테로사이클로기(heterocyclo group)"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을 함유한 안정적인 단일 고리, 이중 고리 또는 삼중 고리를 의미하고, 이들은 포화, 부분 불포화 또는 불포화된(방향족의)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은 탄소 원자와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개,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사이클로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임의의 헤테로사이클로 고리는 하나의 벤젠 고리에 축합되어 이중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질소와 유황 헤테로 원자는 선택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즉 NO 및 S(O)p이고, p는 1 또는 2임). 질소 원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즉 N 또는 NR이고, 여기서 R은 H 또는 본문에서 정의된 기타 치환기임). 상기 헤테로사이클로는 임의의 헤테로 원자 또는 탄소 원자의 측쇄에 부착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생성된 화합물이 안정적이면, 본문에서 서술되는 헤테로사이클로는 탄소 부위 또는 질소 부위에서 치환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에서의 질소 원자는 선택적으로 4 차 암모늄화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헤테로사이클로에서 S 및 O 원자의 총수가 1을 초과할 경우, 이들 헤테로 원자는 서로 인접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바람직한 해결수단에 있어서, 헤테로사이클로에서 S 및 O 원자의 총수가 1을 초과하지 않는다. 본문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방향족헤테로사이클로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는 안정적인 5 원, 6 원, 7 원 단일 고리 또는 이중 고리 또는 7 원, 8 원, 9 원 또는 10원 이중 고리 헤테로사이클로기의 방향족 고리를 의미하고, 이는 탄소 원자와 독립적으로 N, O 및 S로부터 선택되는 1 개, 2 개, 3 개 또는 4 개의 사이클로헤테로 원자를 포함한다. 질소 원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즉 N 또는 NR이고, 여기서 R은 H 또는 본문에서 정의된 기타 치환기임). 질소와 유황 헤테로 원자는 선택적으로 산화될 수 있다.(즉 NO 및 S(O)p이고, p는 1 또는 2임).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로 상의 S와 O 원자의 총수는 1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브릿지 고리도 헤테로사이클로의 정의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다수의 원자(즉 C, O, N 또는 S)가 두 개의 인접되지 않은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에 연결될 경우 브릿지 고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브릿지 고리로 하나의 탄소 원자, 두 개의 탄소 원자, 하나의 질소 원자, 두 개의 질소 원자와 하나의 탄소-질소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나의 브릿지는 단일 고리를 삼중 고리로 항상 전환시킨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브릿지 고리에서 고리 상의 치환기는 브릿지 상에 나타날 수도 있다.
헤테로사이클로 화합물의 구현예로 아크리디닐기(acridinyl group), 아조시닐기(azocinel group), 벤조이미다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메트캅토푸라닐기(benzomethapfuranyl group), 벤조메르캅토페닐기(benzomaptophenyl group), 벤조옥사졸릴기(benzoxazolyl group), 벤조옥사졸릴닐기(benzoxazolinyl group), 벤조티아졸릴기, 벤조트리아졸기(benzotriazole group), 벤조테트라졸릴기(benzotetrazolyl group), 벤조이소옥사졸릴기(benzoisooxazolyl group), 벤조이소티아졸릴기(benzoisothiazolyl group), 벤조이미다졸릴기(benzoimidazolyl group), 카르바졸릴기(carbazolyl group), 4aH-카르바졸릴기, 카르볼리닐기(carboline group), 벤조디히드로피라닐기(benzodihydropyranyl group), 크로멘(chromene), 신놀리닐기, 데칼히드로퀴놀릴기, 2H, 6H-1, 5,2-디티아지닐기(2H, 6H-1, 5,2-dithiazinyl group), 디히드로푸로[2,3-b]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dihydrofuro [2,3-b] tetrahydrofuranyl group), 푸라닐기(furanyl group), 푸라자닐기(furazanyl group), 이미다졸리디닐기(Imidazolidinyl group), 이미다졸리닐기(imidazolinyl group), 이미다졸릴기, 1H-인다졸릴기, 인돌알케닐기(indolealkenyl group), 디히드로인돌릴기(dihydroindolyl group), 인돌리진닐기(indolizininyl group), 인돌릴기(indolyl group), 3H-인돌릴기, 이소벤조푸라닐기(isobenzofuranyl group), 이소인돌릴기(isoindolyl group), 이소디히드로인돌릴기(isodihydroindolyl group), 이소퀴놀릴기, 이소티아졸릴기, 이소옥사졸릴기, 메틸렌디옥시페닐기(methylene dioxyphenyl group), 모르폴리닐기(morpholinyl group), 나프티리디닐기(naphthyridinyl group), 옥타히드로이소퀴놀리닐기(octahydroisoquinoline group), 옥사디아졸릴기(oxadiazolyl group), 1,2,3-옥사디아졸릴기, 1,2,4-옥사디아졸릴기, 1,2,5-옥사디아졸릴기, 1,3,4-옥사디아졸릴기, 옥사졸리디닐기(oxazolidinyl group), 옥사졸릴기, 옥시인돌릴기(oxyindolyl group), 피리미디닐기(pyrimidinyl group), 페난트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phenanthrolinyl group), 페나진(phenazine), 페노티아진(phenothiazine), 벤조크산티닐기(benzoxanthinyl group), 페녹사지닐기(phenoxazinyl group), 프탈라지닐기(phthalazinyl group), 피페라지닐기(piperazinyl group), 피페리디닐기, 피페리디노닐기(piperidinonyl group), 4-피페리디노닐기, 피페로닐기(piperonyl group), 프테리디닐기(pteridinyl group), 푸리닐기(purinyl group), 피라닐기(pyranyl group), 피라지닐기(pyrazinyl group), 피라졸리디닐기(pyrazolidinyl group), 피라졸리닐기(pyrazolinyl group), 피라졸릴기, 피리다지닐기(pyridazinyl group), 피리도옥사졸릴기(pyridooxazolyl group), 피리도이미다졸릴기(pyridoimidazolyl group), 피리도티아졸릴기(pyridothiazolyl group), 피리딜기, 피롤리디닐기(pyrrolidinyl group), 피롤리닐기(pyrrolinyl group), 2H-피롤릴기(2H-pyrrolyl group), 피롤릴기(pyrrolyl group), 퀴나졸리닐기(quinazolinyl group), 퀴놀릴기, 4H-퀴놀리지닐기(4H-quinolizinyl group), 퀴녹살리닐기(quinoxalinyl group), 퀴누클리디닐기(quinuclidinyl group), 테트라히드로푸라닐기(tetrahydrofuranyl group),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기(tetrahydroisoquinolyl group), 테트라히드로퀴놀릴기, 테트라졸릴기(tetrazolyl group), 6H-1,2,5-티아디아지닐기(6H-1,2,5-thiadiazinyl group), 1,2,3-티아디아졸릴기(1,2,3-thiadiazolyl group), 1,2,4-티아디아졸릴기(1,2,4-thiadiazolyl group), 1,2,5-티아디아졸릴기(1,2,5-thiadiazolyl group), 1,3,4-티아디아졸릴기(1,3,4-thiadiazolyl group), 티안트레닐기, 티아졸릴기, 이소티아졸릴티오페닐기(isothiazolylthiophenyl group), 티에노옥사졸릴기(thienooxazolyl group), 티에노티아졸릴기(thienothiazolyl group), 티에노이미다졸릴기(thienoimidazolyl group), 티에닐기(thienyl group), 트리아지닐기(triazinyl group), 1H-1,2,3-트리아졸릴기, 2H-1,2,4-트리아졸릴기, 2H-1,2,4-트리아졸릴기, 4H-1,3,4-트리아졸릴기 및 크산테닐기(xanthianyl group)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합 고리와 스피로 고리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탄화수소기(hydrocarbon group)" 또는 이의 하위 개념(예를 들어 알킬기, 알케닐기(alkenyl group), 알키닐기(alkynyl group), 아릴기 등) 자체 또는 다른 하나의 치환기의 일부분으로서 직쇄, 분지 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원자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완전 포화된(예를 들어 알킬기), 일가 또는 다가 불포화된 것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 알케닐기, 알키닐기, 아릴기), 일 치환, 이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고, 1가(예를 들어 메틸기), 2가(예를 들어 메틸렌기) 또는 다가(예를 들어 메틴기(methine group))일 수 있으며, 2가 또는 다가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고, 지정된 개수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C1 내지 C12는 1 개 내지 12 개의 탄소를 나타내고, C1-12는 C1, C2,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으로부터 선택되고; C3-12는 C3, C4, C5, C6, C7, C8, C9, C10, C11 및 C12로부터 선택된다)를 구비한다. "탄화수소기”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는 사슬형과 고리형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벤젠, 나프탈렌과 같은 6 내지 12 원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어 "탄화수소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원자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완전 포화된, 일가 또는 다가 불포화된 것일 수 있으며, 2가 및 다가 원자단을 포함할 수 있다. 포화 탄화수소 원자단의 구현예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n-propyl group), 이소프로필기(isopropyl group), n-부틸기(n-butyl group), tert-부틸기(tert-butyl group), 이소부틸기(isobutyl group), sec-부틸기(sec-butyl group), 이소부틸기, 사이클로헥실기,(사이클로헥실)메틸기, 사이클로프로필메틸기(cyclopropylmethyl group), 및n-펜틸기(n-pentyl group), n-헥실기(n-hexyl group), n-헵틸기(n-heptyl group), n-옥틸기(n-octyl group) 등 원자단의 동족체 또는 이성질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포화 탄화수소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구비하고, 이의 구현예로 비닐기(vinyl group), 2-프로페닐기(2-propenyl group), 부테닐기(butenyl group), 크로틸기(crotyl group), 2-이소펜테닐기(2-isopentenyl group), 2-(부타디에닐기)(2-(butadienyl group)), 2,4-펜타디에닐기(2,4-pentadienyl group), 3-(1,4-펜타디에닐기)(3-(1,4-pentadienyl group)), 에티닐기(ethynyl group), 1-프로피닐기(1-propinyl group) 및 3-프로피닐기(3-propinyl group), 3-부티닐기(3-butynyl group), 및 더욱 높은 동족체 및 이성질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헤테로탄화수소기” 또는 이의 하위 개념(예를 들어 헤테로알킬기, 헤테로알케닐기(heteroalkenyl group), 헤테로알키닐기(heteroalkynyl group), 헤테로아릴기 등) 자체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직쇄,분지쇄 또는 고리형의 탄화수소 원자단 또는 이들의 조합을 나타내고, 일정 개수의 탄소 원자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로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용어 "헤테로알킬기”는 자체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안정적인 직쇄,분지쇄의 탄화수소 원자단 또는 이의 조합물을 나타내고, 일정 개수의 탄소 원자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헤테로 원자는 B, O, N 및 S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질소와 유황 원자는 선택적으로 산화되며, 질소헤테로 원자는 선택적으로 4 차 암모늄화된다.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은 상기 탄화수소기가 부착되는분자의 나머지 부분의 위치를 포함하는 헤테로탄화수소기의 임의의 내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지만, 용어 "알콕시기”, "알킬아미노기(alkylamino group)" 및 "알킬티오기(alkylthio group)"(또는 티오알킬기(thioalkyl group))는 통상적인 표현에 속하는 것으로, 각각 하나의 산소 원자, 아미노기 또는 유황 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는 알킬기를 지칭한다. 구현예로 -CH2-CH2-O-CH3,-CH2-CH2-NH-CH3,-CH2-CH2-N(CH3)-CH3,-CH2-S-CH2-CH3,-CH2-CH2,-S(O)-CH3,-CH2-CH2-S(O)2-CH3,-CH=CH-O-CH3,-CH2-CH=N-OCH3 및 -CH=CH-N(CH3)-CH3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CH2-NH-OCH3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헤테로 원자는 연속적일 수 있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사이클로탄화수소기(cyclohydrocarbon group)", "헤테로사이클로탄화수소기(heterocyclohydrocarbon group)" 또는 이의 하위 개념(예를 들어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사이클로알케닐기,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기, 사이클로알키닐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기 등) 자체 또는 기타 용어와 함께 사이클로화된 "탄화수소기”, "헤테로탄화수소기”를 각각 나타낸다. 이 외에, 헤테로탄화수소기 또는 헤테로사이클로탄화수소기(예를 들어 헤테로알킬기,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에 대하여, 헤테로 원자는 상기 헤테로사이클로에 부착된 분자의 나머지 부분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사이클로탄화수소기의 구현예로 사이클로펜틸기(cyclopentyl group), 사이클로헥실기, 1-사이클로헥세닐기(1-cyclohexenyl group), 3-사이클로헥세닐기(3-cyclohexenyl group), 사이클로헵틸기(cycloheptyl group)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로기의 비제한적인 구현예로 1-(1,2,5,6-테트라히드로피리딜기)(1-(1,2,5,6-tetrahydropyridyl group)), 1-피페리디닐기, 2-피페리디닐기, 3-피페리디닐기, 4-모르폴리닐기, 3-모르폴리닐기, 테트라히드로푸란-2-일(tetrahydrofuran-2-yl), 테트라히드로푸릴인돌-3-일(tetrahydrofuryl indol-3-yl), 테트라히드로티오펜-2-일(tetrahydrothiophen-2-yl), 테트라히드로티오펜-3-일(tetrahydrothiophen-3-yl), 1-피페라지닐기 및 2-피페라지닐기를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단일 치환(예를 들어-CH2F) 또는 다중 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예를 들어-CF3), 1가(예를 들어 메틸기), 2가(예를 들어 메틸렌기) 또는 다가(예를 들어 메틴기)일 수 있다. 알킬기의 예로 메틸기(Me), 에틸기(Et), 프로필기(예를 들어, n-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 부틸기(예를 들어, n-부틸기, 이소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예를 들어, n-펜틸기, 이소펜틸기(isopentyl group), 네오펜틸기(neopentyl group)) 등을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알케닐기”는 사슬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으며,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알케닐기의 예로 비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펜테닐기(pentenyl group), 헥세닐기(hexenyl group), 부타디에닐기(butadienyl group), 펜타디에닐기(pentadienyl group), 헥사디에닐기(hexadienyl group) 등을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알키닐기”는 사슬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갖는 알킬기를 의미하고,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으며,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알키닐기의 예로 에티닐기, 프로피닐기, 부티닐기, 펜티닐기(pentynyl group) 등을 포함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사이클로알킬기는 임의의 안정적인 고리형 또는 다환 탄화수소기를 포함하고, 임의의 탄소 원자는 전부 포화된 것이며,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고,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로알킬기의 구현예로 사이클로프로필기(cyclopropyl group), 노르보닐기(norbornyl group), [2.2.2]디사이클로옥탄([2.2.2] dicyclooctane), [4.4.0]비사이클로데칸([4.4.0] bicyclodecane)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사이클로알케닐기는 임의의 안정적인 고리형 또는 다환 탄화수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고리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불포화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함유하며,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고,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로알케닐기의 구현예로 사이클로펜테닐기(cyclopentenyl group), 사이클로헥세닐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사이클로알키닐기는 임의의 안정적인 고리형 또는 다환 탄화수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화수소기는 고리의 임의의 위치에 하나 또는 다수의 탄소-탄소 삼중 결합을 함유하며,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고,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할로겐화” 또는 "할로겐”은 자체 또는 다른 치환기의 일부분으로서 불소,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이 외에, 용어 "할로겐화 알킬기”는 모노할로겐화 알킬기와 폴리할로겐화 알킬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어 "할로겐화(C1-C4)알킬기”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group), 2,2,2-트리플루오로에틸기(2,2,2-trifluoroethyl group), 4-클로로부틸기(4-chlorobutyl group) 및 3-브로모프로필기(3-bromopropyl group)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할로겐화 알킬기의 구현예로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group), 트리클로로메틸기(trichloromethyl group), 펜타플루오로에틸기(pentafluoroethyl group), 및 펜타클로로에틸기(pentachloroethyl group)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알콕시기”는 특정 개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산소 가교를 통해 결합된 상기 알킬기를 나타내며, 다른 설명이 없으면, C1- 6알콕시기는 C1, C2, C3, C4, C5 및 C6의 알콕시기를 포함한다. 알콕시기의 예로 메톡시기, 에톡시기(ethoxy group), n-프로폭시기(n-propoxy group), 이소프로폭시기(isopropoxy group), n-부톡시기(n-butoxy group), sec-부톡시기(sec-butoxy group), tert-부톡시기(tert-butoxy group), n-펜틸옥시기(n-pentyloxy group) 및 s-펜틸옥시기(s-pentyloxy group)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용어 "아릴기”는 다가 불포화된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기를 나타내고, 단일 치환 또는 다중 치환될 수 있으며, 1가, 2가 또는 다가일 수 있고, 단일 고리 또는 다중 고리(예를 들어 1 개 내지 3 개 고리이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방향족임)일 수 있으며, 이들은 함께 축합되거나 공유 결합되어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기”는 1 개 내지 4 개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아릴기(또는 고리)를 지칭한다. 하나의 전형적인 구현예에서, 헤테로 원자는 B, N, O 및 S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질소와 유황 원자는 선택적으로 산화되며, 질소 원자는 선택적으로 4 차 암모늄화된다. 헤테로아릴기는 헤테로 원자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로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4-비페닐기, 1-피롤릴기, 2-피롤릴기, 3-피롤릴기, 3-피라졸릴기, 2-이미다졸릴기, 4-이미다졸릴기, 피라지닐기, 2-옥사졸릴기, 4-옥사졸릴기, 2-페닐-4-옥사졸릴기, 5-옥사졸릴기, 3-이소옥사졸릴기, 4-이소옥사졸릴기, 5-이소옥사졸릴기, 2-티아졸릴기, 4-티아졸릴기, 5-티아졸릴기, 2-푸라닐기, 3-푸라닐기, 2-티에닐기, 3-티에닐기, 2-피리딜기, 3-피리딜기, 4-피리딜기, 2-피리미디닐기, 4-피리미디닐기, 5-벤조티아졸릴기, 푸리닐기, 2-벤조이미다졸릴기, 5-인돌릴기, 1-이소퀴놀릴기, 5-이소퀴놀릴기, 2-퀴녹살리닐기, 5-퀴녹살리닐기, 3-퀴놀릴기 및 6-퀴놀릴기를 포함한다. 상기 임의의 하나의 아릴기와 헤테로아릴기 고리계의 치환기는 하기에서 서술되는 허용 가능한 치환기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설명이 없으면, 아릴기를 기타 용어와 함께 사용할 경우(예를 들어 아릴옥시기(aryloxy group), 아릴티오기(arylthio group), 아랄킬기), 상기에서 정의된 아릴기와 헤테로아릴기 고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어 "아랄킬기”는 아릴기를 포함하는 알킬기에 부착된 원자단을 의미하고(예를 들어 벤질기(benzyl group), 페닐에틸기(phenylethyl group), 피리딜메틸기 등), 그 중의 탄소 원자(예를 들어 메틸렌기)가 예를 들어 산소 원자에 의해 대체된 페녹시메틸기(phenoxymethyl group), 2-피리딜옥시메틸3-(1-나프틸옥시)프로필기(2-pyridyloxymethyl 3-(1-naphthyloxy)propyl group)와 같은 그러한 알킬기를 포함한다.
용어 "이탈기”는 다른 관능기 또는 원자에 의해 치환 반응(예를 들어 친핵성 치환 반응)을 통해 치환된 관능기 또는 원자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이탈기로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trifluoromethanesulfonate); 염소, 브롬, 요오드; 메탄술포네이트(methane sulfonate), 토실레이트(tosylate), p-브로모벤젠술포네이트(p-bromobenzenesulfonate), p-톨루엔술포네이트(p-toluenesulfonate)과 같은 술포네이트기(sulfonate group); 아세톡시기(acetoxy group), 트리플루오로아세톡시기(trifluoroacetoxy group)와 같은 아실옥시기(acyloxy group) 등을 포함한다.
용어 "보호기”는 "아미노기 보호기”, "히드록실기 보호기” 또는 "메르캅토기(Mercapto group) 보호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아미노기 보호기”는 아미노기 질소 위치에서 부반응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보호기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아미노기 보호기로 포르밀기(formyl group); 알카노일기(alkanoyl group), 예로는 알카노일기(alkanoyl group)(예를 들어 아세틸기(acetyl group), 트리클로로아세틸기(trichloroacetyl group) 또는 트리플푸오로아세틸기(triple fluoroacetyl group))와 같은 아실기(acyl group); tert-부톡시카르보닐기(tert-butoxycarbonyl group)(boc)와 같은 알콕시카보닐기(alkoxycarbonyl group); 벤질옥시카보닐기(benzyloxycarbonyl group)(Cbz) 및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보닐기(9-fluorenylmethoxycarbonyl group)(Fmoc)와 같은 아릴메톡시카보닐기(aryl methoxycarbonyl group); 벤질기(bn), 트리페닐메틸기(triphenylmethyl group)(Tr), 1,1-비스-(4'-메톡시페닐)메틸기(1,1-bis-(4'-methoxyphenyl)methyl group)와 같은 아릴기메틸기; 트리메틸실릴기(trimethylsilyl group)(TMS)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기(tert-butyldimethylsilyl group)(TBS)와 같은 실릴기(silyl group)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히드록실기 보호기”는 히드록실기 부반응을 억제하는데 적합한 보호기를 지칭한다. 대표적인 히드록실기 보호기로 메틸기, 에틸기 및 tert-부틸기와 같은 알킬기; 알카노일기(예를 들어 아세틸기)와 같은 아실기; 벤질기(Bn), p-메톡시벤질기(p-methoxybenzyl group)(PMB), 9-플루오레닐메틸기(9-fluorenylmethyl group)(Fm) 및 디페닐메틸기(diphenylmethyl group)(디페닐메틸기, DPM)와 같은 아릴기메틸기; 트리메틸실릴기(TMS) 및 tert-부틸디메틸실릴기(TBS)와 같은 실릴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다양한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고, 하기에서 예를 든 구체적인 실시형태, 이를 기타 화학 합성 방법과 결합하여 형성한 실시형태 및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등가 교체 방식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매는 시중에서 구매할 수 있다.
화합물은 수공 또는 ChemDraw® 소프트웨어로 명명되고, 시판되는 화합물은 공급 업체 목록 명칭을 사용한다.
도 1은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날짜 별 혈장 내 HBsAg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는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날짜 별 HBsAg 함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마우스에게 투여한 후 매일 체중의 변화를 나타낸다.
아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떠한 불리한 제한도 받지 않는다. 본문에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고, 이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도 개시하였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 및 개선하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 1
Figure pct00101
[반응식 1]
Figure pct00102
단계 A: 1-1(200.00그램, 1.19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164.39그램, 1.19몰)을 첨가한 후, 섭씨 90도에서 한 시간 동안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182.01그램, 1.19몰)을 드롭하였다. 혼합물은 섭씨 90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에틸아세테이트 3리터(1리터Х3)를 첨가하고, 합병된 유기층은, 물 15.00리터(3.00리터Х5)와 포화식염수 3.00리터(1.00리터Х3)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다시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제: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1/0)로 정제하여 화합물 1-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1-2(80.00그램, 332.98밀리몰)를 아세토니트릴(8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클로로석신이미드(44.46그램, 332.98밀리몰)를 첨가하고 혼합물은 섭씨 90도에서 세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먼저 절반 부피의 아세토니트릴을 스핀아웃 시킨 후, 물 200.00밀리리터와 에틸아세테이트 300.00밀리리터를 첨가하였다. 분리된 유기층은 염화암모늄 용액(100.00밀리리터)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유상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화합물은 메탄올 용액으로 슬러리화시켜, 1-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3(76.00그램, 276.67밀리몰), 벤질브로마이드(52.05그램, 304.34밀리몰, 36.15밀리리터)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800.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76.48그램, 553.34밀리몰)을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은 섭씨 25도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900.00밀리리터)와 물(1000.00밀리리터)을 용액에 첨가하여,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10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포화식염수(3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한 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및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4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4(92.00그램, 252.18밀리몰)를 메탄올 용액(5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킨 후, 수산화칼륨 용액(6M, 239.99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섭씨 45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6몰/리터의 염산으로 pH값이 3이 되게끔 조정하여, 백색의 고체가 석출되었다.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800.00밀리리터)에 녹이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5를 수득하였다.
단계 E: 1-5(76.58그램, 218.31밀리몰)를 디클로로메탄(5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옥살릴클로라이드(41.56그램, 327.46밀리몰, 28.66밀리리터)와 N,N-디메틸포름아미드(159.56밀리그램, 2.18밀리몰, 167.96마이크로리터)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은 섭씨 25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6을 수득하였다.
단계 F: 1-6(63.00그램, 170.62밀리몰)과 에틸-2-(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3-옥소-부티르산메틸(44.24그램, 238.87밀리몰)을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6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섭씨 영하70도 내지 섭씨 영하60도일 때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1.00몰, 409.49밀리리터)에 드롭하였다. 드롭완료 후, 드라이아이스 아세톤 배스를 제거하고, 일회성으로 염산 용액(3.00몰, 832.06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섭씨 20도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여과하여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 감압농축하여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에 메틸tert-부틸에테르(60.00밀리리터)를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화합물 1-7을 수득하였다.
1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8.55 (s, 1H), 7.73-7.79 (m, 1H), 7.34-7.43 (m, 4H), 7.20 (s, 1H), 6.63 (s, 1H), 5.24 (s, 2H), 4.39 (q, J=7.15 Hz, 2H), 4.11 (t, J=6.21 Hz, 2H), 3.59 (t, J=5.90 Hz, 2H), 3.38 (s, 3H), 2.05-2.12 (m, 2H), 1.40 (t, J=7.15 Hz, 3H).
단계 G: 1-7(2.00그램, 4.23밀리몰)을 에탄올 용액(3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아세테이트(10.00밀리리터)와 (R)-(-)-2-아미노-1-부탄올(565.59밀리그램, 6.35밀리몰, 595.36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80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한 후, 물 50.00밀리리터와 에틸아세테이트 60.00밀리리터(20.00밀리리터Х3)를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합병된 유기층은 포화중탄산나트륨 20.00밀리리터(1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며, 용리제는(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10/1 내지 1/1)이다. 화합물 1-8을 수득하였다.
단계 H: 1-8(1.80그램, 3.31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502.41밀리그램, 4.97밀리몰, 688.23마이크로리터)을 첨가하며, 섭씨 0도에서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454.99밀리그램, 3.97밀리몰, 307.43밀리리터)를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25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25도에서 30.00밀리리터의 물로 ?칭시킨 후, 디클로로메탄 100.00밀리리터(50밀리리터Х 2)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층을 합병하고 포화식염수 60.00밀리리터(3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9를 수득하였다.
단계 I: 1-9(2.00그램, 3.21밀리몰)를 테트라히드로푸란(1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질소 가스 보호 하에 팔라듐탄소(300.00밀리그램, 순도 10%)를 첨가하였다. 현탁액은 질소 가스로 세 번 치환하였다. 반응액은 질소 가스(15Psi)분위기하에, 섭씨 25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0을 수득하였다.
단계 J: 1-10(1.70그램, 3.20밀리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884.54밀리그램, 6.40밀리몰)과 요오드화칼륨(5.31밀리그램, 32.00마이크로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을 섭씨 100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에틸아세테이트 100.00밀리리터(5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였다. 합병된 유기층은 포화식염수 100.00밀리리터(50.00밀리리터Х2),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1-11을 수득하였다.
단계 K: 1-11(1.00그램, 2.29밀리몰)을 메탄올(47.4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수산화나트륨 용액(4몰/리터, 10.32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25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염산(1몰)으로 ?칭시키고, pH값을 3이 되게끔 조정하여, 고체를 석출시켰다. 이어서 에틸아세테이트 40.00밀리리터(2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였다. 합병된 유기층은 포화중탄산나트륨 수용액 30.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2)으로 세척하고, 다시 포화식염수 30.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얻었다. 조질의 생성물은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0:1)를 통과하였다. 화합물 실시예 1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cel O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5.67 (s, 1H), 8.50 (br s, 1H), 7.43 (s, 1H), 6.71 (s, 1H), 6.67 (s, 1H), 4.19-4.40 (m, 2H), 4.10 (br t, J=6.11 Hz, 2H), 3.46-3.63 (m, 2H), 3.42 (s, 1H), 3.30 (s, 3H), 2.07 (quin, J=6.02 Hz, 2H), 1.77-1.98 (m, 2H), 0.96 (br s, 3H).
실시예 2 내지 5는 모두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
Figure pct00103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5.77 (br s, 1H), 8.49 (s, 1H), 7.52 (s, 1H), 6.87 (s, 1H), 6.68 (s, 1H), 4.49-4.72 (m, 2H), 4.12-4.28 (m, 2H), 3.92 (br d, J=6.40 Hz, 1H), 3.63 (t, J=5.90 Hz, 2H), 3.39 (s, 3H), 2.06-2.24 (m, 3H), 1.10 (d, J=6.53 Hz, 3H), 0.89 (d, J=6.53 Hz, 3H).
실시예 3
Figure pct00104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5.81 (s, 1H), 8.88-9.18 (m, 1H), 7.47 (s, 1H), 6.78 (s, 1H), 6.76 (s, 1H), 4.48-4.59 (m, 2H), 4.19 (dt, J=2.07, 6.12 Hz, 2H), 3.59-3.67 (m, 2H), 3.45-3.52 (m, 1H), 3.39 (s, 3H), 2.15 (quin, J=6.05 Hz, 2H), 1.14-1.31 (m, 2H), 0.29-0.55 (m, 2H), 0.09 (s, 1H).
실시예 4
Figure pct00105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97%.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5.74 (s, 1H), 8.61 (br s, 1H), 7.52 (s, 1H), 6.79 (s, 1H), 6.74 (s, 1H), 4.46 (br s, 2H), 4.20 (t, J=6.15 Hz, 2H), 4.04 (br s, 1H), 3.63 (dt, J=2.20, 5.87 Hz, 2H), 3.39 (s, 3H), 2.38 (br s, 1H), 2.16 (quin, J=5.96 Hz, 2H), 1.60-2.00 (m, 6H), 1.09-1.25 (m, 2H).
실시예 5
Figure pct00106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89%.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15.73 (br s, 1H), 8.42 (s, 1H), 7.43 (s, 1H), 6.78 (s, 1H), 6.57 (s, 1H), 4.64 - 4.45 (m, 2H), 4.13 - 4.05 (m, 2H), 3.97 (ddd, J=2.4, 5.6, 10.9 Hz, 1H), 3.53 (t, J=6.0 Hz, 2H), 3.30 (s, 3H), 2.06 (quin, J=6.1 Hz, 2H), 1.64 - 1.52 (m, 1H), 1.42 - 1.01 (m, 2H), 0.85 (t, J=7.4 Hz, 3H), 0.74 (d, J=6.6 Hz, 3H).
실시예 6
Figure pct00107
[반응식 2]
Figure pct00108
단계 A: 섭씨 0도 유지하에, 6-1(100.00그램, 762.36밀리몰, 1.00당량)의 테트라히드로푸란(400.00밀리리터) 용액에 수소화알루미늄리튬(80.00그램, 2.11몰, 2.77당량)을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10도하에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반응액에 80.00밀리리터의 물, 및 240.00밀리리터의 15% 수산화나트륨수 용액을 첨가하고, 다시 80.00밀리리터의 물을 첨가하였다. 수득한 현탁액을 섭씨 10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무색의 투명한 액체를 얻었다.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2를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3.72 (dd, J=3.9, 10.2 Hz, 1H), 3.21 (t, J=10.2 Hz, 1H), 2.51 (dd, J=3.9, 10.2 Hz, 1H), 0.91 (s, 9H).
단계 B: 6-2(50.00그램, 426.66밀리몰)과 트리에틸아민(59.39밀리리터, 426.66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5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디-tert-부틸디카보네이트(92.19그램, 422.40밀리몰)를 디클로로메탄(100.0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섭씨 0도하에 한 방울씩 상기 반응액에 드롭하였다. 이어서 반응액을 섭씨 25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포화식염수(600.00밀리리터)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스핀 드라이한 후, 메틸tert-부틸에테르/석유에테르(50.00/100.00)로 재결정화시켜, 화합물 6-3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4.64 (br s, 1H), 3.80-3.92 (m, 1H), 3.51 (br d, J=7.09 Hz, 2H), 2.17 (br s, 1H), 1.48 (s, 9H), 0.96 (s, 9H).
단계 C: 염화티오닐(100.98밀리리터, 1.39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707.5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6-3(121.00그램, 556.82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282.90밀리리터)에 용해시켜, 섭씨 영하 40도하에 상기 반응액에 드롭하고, 드롭완료 후, 피리딘(224.72밀리리터, 2.78몰)을 한번에 반응액에 첨가하였다. 얼음 배스를 제거하고, 반응액은 섭씨 5 내지 10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스핀드라이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800.00밀리리터)를 첨가하면, 고체가 석출되고,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제2단계: 수득한 오일과 물과 삼염화루테늄(12.55그램, 55.68밀리몰)을 아세토니트릴(153.8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과요오드산나트륨(142.92그램, 668.19밀리몰)을 물(153.80밀리리터)에 부유시키고, 천천히 상기 반응액에 첨가하며, 최종 반응혼합액 섭씨5 내지 10도하에 0.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반응 혼합액은, 여과액을 수득하여, 에틸아세테이트(8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포화식염수(800.00밀리리터)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스핀드라이하였다. 칼럼으로 정제하여(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 내지 20/1) 화합물 6-4를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4.49-4.55 (m, 1H), 4.40-4.44 (m, 1H), 4.10 (d, J=6.15 Hz, 1H), 1.49 (s, 9H), 0.94 (s, 9H).
단계 D: 6-5(100.00그램, 657.26밀리몰)를 아세토니트릴(13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227.10그램, 1.64몰)과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110.63그램, 722.99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85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에틸아세테이트 600.00밀리리터(20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6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9.76-9.94 (m, 1H), 7.42-7.48 (m, 2H), 6.98 (d, J=8.03 Hz, 1H), 4.18 (t, J=6.53 Hz, 2H), 3.95 (s, 3H), 3.57 (t, J=6.09 Hz, 2H), 3.33-3.39 (m, 3H), 2.13 (quin, J=6.34 Hz, 2H).
단계 E: 6-6(70.00그램, 312.15밀리몰)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키고, 3-클로로페록시벤조산(94.27그램, 437.01밀리몰)을 첨가하며, 반응물은 섭씨 50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냉각시킨 후, 여과하며, 여과액은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포화중탄산나트륨 용액 2000.00밀리리터(400.00밀리리터Х5)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였다. 수득한 갈색의 유상물질은, 가능한 한 적은 양의 메탄올로 용해시킨 후, 천천히 2몰/리터의 수산화칼륨(350.00밀리리터) 용액(열을 방출함)을 첨가하였다. 짙은 색의 반응액은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고, 37%의 염산으로 반응액의 pH를 5가 되게끔 조정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400.00밀리리터(2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포화식염수200.00밀리리터(1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7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6.75 (d, J=8.53 Hz, 1H), 6.49 (d, J=2.89 Hz, 1H), 6.36 (dd, J=2.82, 8.60 Hz, 1H), 4.07 (t, J=6.40 Hz, 2H), 3.82 (s, 3H), 3.60 (t, J=6.15 Hz, 2H), 3.38 (s, 3H), 2.06-2.14 (m, 2H).
단계 F: 6-7(33.00그램, 155.48밀리몰)을 테트라히드로푸란(33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파라포름알데히드(42.02그램, 466.45밀리몰), 염화마그네슘(29.61그램, 310.97밀리몰), 트리에틸아민(47.20그램, 466.45밀리몰, 64.92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80도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완료 후, 섭씨 25도에서 2몰 염산 용액(200.00밀리리터)으로 ?칭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600.00밀리리터(20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고, 유기층은 포화식염수400.00밀리리터(2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은 에탄올(30.00밀리리터)로 세척하고, 여과하여, 필터 케이크를 얻었다. 따라서 화합물 6-8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1.29 (s, 1H), 9.55-9.67 (m, 1H), 6.83 (s, 1H), 6.42 (s, 1H), 4.10 (t, J=6.48 Hz, 2H), 3.79 (s, 3H), 3.49 (t, J=6.05 Hz, 2H), 3.28 (s, 3H), 2.06 (quin, J=6.27 Hz, 2H).
단계 G: 6-8(8.70그램, 36.21밀리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8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10.01그램, 72.42밀리몰)과 6-4(11.13그램, 39.83밀리몰)를 첨가하며, 반응액은 섭씨 50도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1.00몰/리터의 염산수 용액(200.00밀리리터)으로 ?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15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병하고 물(15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9를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0.31 (s, 1H), 7.34 (s, 1H), 6.57 (s, 1H), 4.18-4.26 (m, 3H), 4.07 (dd, J=5.33, 9.60 Hz, 1H), 3.88 (s, 4H), 3.60 (t, J=5.96 Hz, 2H), 3.39 (s, 3H), 2.17 (quin, J=6.21 Hz, 2H), 1.47 (s, 9H), 1.06 (s, 9H).
단계 H: 6-9(15.80그램, 35.95밀리몰)를 디클로로메탄(15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43.91밀리리터, 593.12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10도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스핀드라이하고, 중탄산나트륨 수용액(100.00밀리리터)을 첨가하며, 디클로로메탄(100.00밀리리터)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10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8.40 (s, 1H), 6.80 (s, 1H), 6.51 (s, 1H), 4.30 (br d, J=12.35 Hz, 1H), 4.04-4.11 (m, 3H), 3.79 (s, 3H), 3.49 (t, J=5.99 Hz, 2H), 3.36 (br d, J=2.93 Hz, 1H), 3.28 (s, 3H), 2.06 (quin, J=6.24 Hz, 2H), 1.02 (s, 9H).
단계 I: 6-10(5.00그램, 15.56밀리몰)을 톨루엔(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6-11(8.04그램, 31.11밀리몰)을 첨가하며 반응액은 질소 가스 보호 하에 섭씨 120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물(100.00밀리리터)로 ?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1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물(8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였다. 잔류물은 역상 칼럼으로 정제하였다. 다시 고성능 액상 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법(칼럼: Phenomenex luna C18 250Х50밀리미터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35% 내지 70%, 25분간)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6-12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7.95 (s, 1H), 6.59 (s, 1H), 6.40 (s, 1H), 5.15-5.23 (m, 1H), 4.35-4.41 (m, 2H), 4.08-4.19 (m, 2H), 3.94-4.00 (m, 2H), 3.72 (s, 3H), 3.61-3.67 (m, 1H), 3.46 (dt, J=1.96, 5.99 Hz, 2H), 3.27 (s, 3H), 3.01-3.08 (m, 1H), 2.85-2.94 (m, 1H), 1.97-2.01 (m, 2H), 1.18-1.22 (m, 3H), 1.04 (s, 9H).
단계 J: 6-12(875.00밀리그램, 1.90밀리몰)를 톨루엔(20.00밀리리터)과 1,2-다이메톡시에테인(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1.40그램, 5.69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12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포화탄산나트륨 수용액(50.00밀리리터)과 에틸아세테이트(60.00밀리리터)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을 섭씨 10 내지 15도하에 20분 동안 교반하고, 액체를 분리하여 유기층을 얻었다. 유기층에 2.00몰/리터의 염산 수용액(60.00밀리리터)을 첨가하고, 섭씨 10 내지 15도 하에 20분 동안 교반하며, 액체를 분리하고, 유기층은 다시 2몰/리터의 염산 수용액(60.00밀리리터Х2)으로 세척하고, 액체를 분리하며, 수상에 2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00.00밀리리터)과 디클로로메탄(200.00밀리리터)을 첨가하였다. 액체를 분리하고,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6-13을 수득하였다.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7.98-8.78 (m, 1H), 6.86 (s, 1H), 6.43-6.73 (m, 2H), 4.41-4.48 (m, 1H), 4.28-4.38 (m, 2H), 4.03-4.11 (m, 2H), 3.93 (br s, 1H), 3.80 (s, 3H), 3.47-3.52 (m, 3H), 3.29 (s, 3H), 2.06 (quin, J=6.24 Hz, 2H), 1.33 (t, J=7.15 Hz, 2H), 0.70-1.25 (m, 10H).
단계 K: 6-13(600.00밀리그램, 1.31밀리몰)을 메탄올(6.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4.00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00밀리리터, 6.39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액은 섭씨 15도하에0.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1.00몰/리터의 염산 수용액으로 pH = 3 내지 4되게끔 조정한 후, 디클로로메탄(50.00밀리리터Х3)으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병하며, 포화식염수(50.00밀리리터)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실시예 6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cel O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이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15.72 (br s, 1H), 8.32-8.93 (m, 1H), 6.60-6.93 (m, 2H), 6.51 (br s, 1H), 4.38-4.63 (m, 2H), 4.11 (br dd, J=4.52, 12.23 Hz, 3H), 3.79-3.87 (m, 3H), 3.46-3.54 (m, 2H), 3.29 (s, 3H), 2.07 (quin, J=6.24 Hz, 2H), 0.77-1.21 (m, 9H).
실시예 7
Figure pct00109
[반응식 3]
Figure pct00110
단계 A: 7-1(50.00그램, 274.47밀리몰, 1.00당량)을 아세토니트릴(5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섭씨 0도까지 냉각시킨 후, 이 용액에 클로로석신이미드(37.75그램, 282.70밀리몰, 1.03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섭씨 25도까지 가열하고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액을 감압농축하여 무색의 액체를 수득하고, 다시 500밀리리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액체에 첨가하고, 용액을 물(100.00밀리리터Х3번)로 세척하고 포화식염수(100.00밀리리터Х3번)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수득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무색의 액체를 수득하였다. 무색의 액체는 실리카겔 칼럼으로 정제하여, 7-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7-2(50.00그램, 230.82밀리몰, 1.00당량)와 벤질브로마이드(43.42그램, 253.90밀리몰, 30.16밀리리터, 1.1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00.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70.18그램, 507.80밀리몰, 2.20당량)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혼합계는 섭씨 25도하에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700.00밀리리터Х2)와 물(200.00밀리리터)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또한 용액은 섭씨 20도하에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물(2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포화식염수(200.00밀리리터Х2),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여 7-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7-3(25.00그램, 81.50밀리몰, 1.00당량)의 물(20.00밀리리터)과 메탄올(60.00밀리리터)의 혼합 용액에 한번에 수산화칼륨(6.00몰/리터, 41.57밀리리터, 3.06당량)을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50도하에 두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50.00밀리리터의 물을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70.00밀리리터가 되게끔 하고, 에틸아세테이트/석유에테르(4/1, 2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였다. 수상을 분리하고, 1.00몰/리터의 염산으로 용액의 pH가 1 내지 2 되게끔 조정하여 현탁액을 얻었다. 현탁액을 여과하여 백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다시 물(30.00밀리리터)로 슬러리화시킨 후 7-4를 수득하였다.
단계 D: 7-4(20.00그램, 68.33밀리몰, 1.00당량)의 디클로로메탄(200.00밀리리터) 용액에 옥살릴클로라이드(17.35그램, 136.65밀리몰, 11.96밀리리터, 2.00당량)를 한 방울씩 드롭하였다. 용액은 섭씨 28도하에 두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농축하여 7-5를 수득하였다.
단계 E: 섭씨 영하 70도하에,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1.00몰/리터, 152.65밀리리터, 2.50당량)의 테트라히드로푸란(10.00밀리리터) 용액에 5분 동안 7-5(19.00그램, 61.06밀리몰, 1.00당량)와 에틸-2-(디메틸아미노메틸리덴)-3-옥소-부티르산메틸(11.88그램, 64.11밀리몰, 1.05당량)의 테트라히드로푸란(50.00밀리리터)혼합 용액을 한 방울씩 드롭하였다. 드라이아이스 아세톤 배스를 제거하고, 용액을 계속하여 5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에 희석 염산(1.00몰/리터, 125.37밀리리터, 57.44당량)을 첨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한 후, 섭씨 60도하에 회전증발로 대부분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제거하였다. 잔여물은 섭씨60 내지 65도하에 1.5시간 동안 가열을 유지하였다. 다시 200.00밀리리터의 물을 혼합물에 첨가하여, 현탁액을 얻고, 30분 동안 교반하며, 여과하여 황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황색의 고체를 각각 물(40.00밀리리터)과 메틸tert-부틸에테르(40.00밀리리터)로 슬러리화시켜 화합물 7-6을 수득하였다.
단계 F: 7-6(10.00그램, 24.11밀리몰, 1.00당량)과 발리놀(3.73그램, 36.17밀리몰, 4.01밀리리터, 1.50당량)의 아세트산(30.00밀리리터)과 에탄올(90.00밀리리터) 혼합 용액을 섭씨 90도하에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섭씨 20도로 냉각시키고 섭씨 40도하에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액체를 수득하였다. 황색의 액체는 실리카겔칼럼(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10/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7-7을 수득하였다.
단계 G: 7-7(8.00그램, 15.36밀리몰, 63.71%)의 디클로로메탄(10.00밀리리터) 용액에 한번에 트리에틸아민(4.86그램, 48.06밀리몰, 6.66밀리리터, 3.00eq)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3.67그램, 32.04밀리몰, 2.84밀리리터, 2.00당량)를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20도하에 두 시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갈색의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두 번 실리카겔 칼럼(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탄올 = 100/1 내지 10/1)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7-8을 수득하였다.
단계 H: 질소 가스 보호 하에 7-8(8.01그램, 13.86밀리몰, 1.00당량)의 테트라히드로푸란(15.00밀리리터) 용액에 팔라듐탄소(1.00그램, 10%)를 수득하였다. 현탁액을 진공화한 후, 수소가스(2.80그램, 1.39몰, 100.00당량,15 psi)로 여러 번 교체하였다. 이어서 혼합액은 섭씨 15도의 수소 가스 분위기하에 두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액은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겔 상의 물질을 수득하였다. 이를 석유에테르(30.00밀리리터Х2)로 슬러리화 및 여과하여 화합물 7-9를 수득하였다.
단계 I: 7-9(0.79그램, 1.62밀리몰, 1.0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4.00밀리리터) 용액에 각각 탄산칼륨(0.45그램, 3.24밀리몰, 2.00당량)과 요오드화칼륨(2.69밀리그램, 16.21마이크로몰, 0.01당량)을 첨가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은 섭씨 100도하에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10.00밀리리터의 물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3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합병하고, 물(5.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며, 포화식염수(5.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7-10을 수득하였다.
단계 J: 섭씨 영하 78도의 질소 가스 보호 하에7-10(300.00밀리그램, 765.62밀리몰, 1.00당량)의 디클로로메탄(30.00밀리리터) 용액에(약 10분 동안) 삼브롬화붕소(1.15그램, 4.59밀리몰, 442.31밀리리터, 6.00당량)를 한 방울씩 드롭하고, 이 과정에서, 반응 온도는 섭씨 영하78도로 유지하였다. 드롭이 완료된 후, 용액은 섭씨 영하 78도 내지 섭씨 0도 사이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은 메탄올로 ?칭시키고,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액체를 수득하였다. 다시 황색의 액체에 디클로로메탄/메탄올(10/1 100.00밀리리터) 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며, 또한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켰다.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7-11을 수득하였다.
단계 K: 섭씨 10도 질소 가스 보호 하에 7-11(202.00밀리그램, 577.52마이크로몰, 1.00당량)의 메탄올(21.18그램, 661.15밀리몰, 26.81밀리리터, 1144.80당량)의 용액에 한번에 염화티오닐(687.08밀리그램, 5.78밀리몰, 418.95밀리리터, 10.00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계는 섭씨 50도 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7-12를 수득하였다.
단계 L: 7-12(70.00밀리그램, 192.42마이크로몰)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34.57밀리그램, 250.15마이크로몰), 2-클로로에틸에틸설파이드(31.18밀리그램, 250.15마이크로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7-13을 수득하였다. 반응액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직접 투입되었다.
단계 M: 7-13(86.97밀리그램, 192.43마이크로몰)을 물(1.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탄산칼륨(26.59밀리그램, 192.43마이크로몰)을 첨가하여,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pH = 3 내지 4되게끔 조정하고,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30 4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55% 내지 85%, 10.5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7를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5 (s, 1H), 7.03 (s, 1H), 6.92 (s, 1H), 4.71 (br s, 2H), 4.55 (br d, J=9.2 Hz, 1H), 4.34 - 4.25 (m, 2H), 2.92 (t, J=6.3 Hz, 2H), 2.67 (q, J=7.3 Hz, 2H), 1.83 (br s, 1H), 1.21 (t, J=7.4 Hz, 3H), 0.98 (d, J=6.5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8은 실시예 7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8
Figure pct00111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9 (s, 1H), 7.76 (s, 1H), 7.03 (s, 1H), 6.93 (s, 1H), 4.71 (br s, 2H), 4.55 (br d, J=10.7 Hz, 1H), 4.35 - 4.27 (m, 2H), 2.90 (t, J=6.3 Hz, 2H), 2.20 (s, 3H), 2.08 (s, 1H), 0.98 (d, J=6.5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9
Figure pct00112
[반응식 4]
Figure pct00113
화합물 9-5는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9-1(5.00그램, 54.25밀리몰)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0.52그램, 81.38밀리몰), 벤질2-브로모아세테이트(12.43그램, 54.25밀리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5도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거기에 물(50.00밀리리터)을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5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포화식염수(30.00밀리리터)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를 통해 화합물 9-2를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7.24-7.32 (m, 5H), 5.10 (s, 2H), 3.64 (br d, J=3.06 Hz, 2H), 3.21 (s, 2H), 2.66 (t, J=7.09 Hz, 2H), 1.70-1.80 (m, 2H).
단계 B: 9-2(5.00그램, 20.81밀리몰)를 디클로로메탄(5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3.16그램, 31.22밀리몰),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2.62그램, 22.89밀리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0도하에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정제를 거치지 않고 직접 다음 단계 반응에 투입되었다. 반응액은 물(50.00밀리리터)로 ?칭시키고, 디클로로메탄(50.00밀리리터Х2)으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물(50.00밀리리터)과 포화식염수(50.00밀리리터)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감압증류를 통해 화합물 9-3을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7.34-7.42 (m, 5H), 5.20 (s, 2H), 4.31 (t, J=6.09 Hz, 2H), 3.29 (s, 2H), 3.02 (s, 3H), 2.76 (t, J=7.03 Hz, 2H), 1.99-2.07 (m, 2H).
단계 C: 9-3(91.90밀리그램, 288.63마이크로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45.21밀리그램, 327.11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7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여 9-4를 수득하였다. 반응액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직접 투입되었다.
단계 D: 9-4(112.78밀리그램, 192.43마이크로몰)는 물(2.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탄산칼륨(26.59밀리그램, 192.43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pH = 3 내지 4가 되게끔 조정하고, 분취용 고성능 액상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25 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30% 내지 60%, 11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9를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81.8%.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NMR ( 400 MHz ,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5 (s, 1H), 7.02 (s, 1H), 6.90 (s, 1H), 4.70 (br s, 2H), 4.55 (br d, J=10.3 Hz, 1H), 4.27 - 4.11 (m, 2H), 3.27 (s, 2H), 2.76 (t, J=7.2 Hz, 2H), 2.07 - 1.97 (m, 2H), 1.84 (br s, 1H), 0.98 (d, J=6.5 Hz, 3H), 0.71 (br d, J=6.4 Hz, 3H).
실시예 10
Figure pct00114
[반응식 5]
Figure pct00115
화합물 10-1은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10-1(700.00밀리그램, 1.92밀리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452.09밀리그램, 3.27밀리몰), 3-브로모-1-프로판올(401.13밀리그램, 2.89밀리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50도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물(45.00밀리리터)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 150.00밀리리터(5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증류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다시 조질의 생성물을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250Х50밀리미터, 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15% 내지 45%; 30분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10-2를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8.21 (s, 1H), 7.53 (s, 1H), 6.73 (s, 1H), 6.64 (s, 1H), 4.68 - 4.46 (m, 2H), 4.28 - 4.20 (m, 2H), 3.95 (s, 3H), 3.73 (ddd, J=2.9, 5.3, 10.9 Hz, 1H), 2.15 (quin, J=5.8 Hz, 2H), 2.10 - 2.03 (m, 1H), 1.28 (s, 2H), 1.08 (d, J=6.5 Hz, 3H), 0.90 (d, J=6.5 Hz, 3H).
단계 B: 10-2(100.00밀리그램, 237.04마이크로몰)를 디클로로메탄(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섭씨 0도에서 거기에 데스-마틴산화제(110.59밀리그램, 260.74마이크로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20도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포화중탄산나트륨(20.00밀리리터), 티오황산나트륨(20.00밀리리터)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유기층은 포화중탄산나트륨 용액(20.00밀리리터Х3)으로 세척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용리제: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1) 화합물 10-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0-3(40.00밀리그램, 95.27마이크로몰), 메톡시아민염산염(9.55밀리그램, 114.33마이크로몰)은 디클로로메탄(1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피리딘(9.04밀리그램, 114.33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5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스핀드라이하고, 물 15.00밀리리터를 넣어 희석하며, 에틸아세테이트30.00밀리리터(1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증류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다시 실리카겔 플레이트(용리제: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0/1)로 정제하여 화합물 10-4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0-4(30.00밀리그램, 66.30마이크로몰)를 메탄올(9.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4.00몰, 3.00밀리리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5도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의 pH는 3 내지 4가 되게끔 조절하고,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30 4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50% 내지 74%,10.5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10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5.8%.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cel O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 δ 8.77 (br s, 1H), 7.74 (br s, 1H), 7.49 (t, J=5.8 Hz, 1H), 7.01 (br s, 1H), 6.94 - 6.86 (m, 1H), 4.69 (br s, 2H), 4.54 (br s, 1H), 4.36 - 4.20 (m, 2H), 3.83 - 3.71 (m, 3H), 2.78 - 2.61 (m, 2H), 1.83 (br s, 1H), 0.98 (d, J=6.4 Hz, 3H), 0.71 (br d, J=6.4 Hz, 3H).
실시예 11
Figure pct00116
[반응식 6]
Figure pct00117
화합물 11-1은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11-1(700.00밀리그램, 1.92밀리몰)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452.09밀리그램, 3.27밀리몰), 3-브로모-1-프로판올(401.13밀리그램, 2.89밀리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50도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물(45.00밀리리터)을 넣고, 디클로로메탄150.00밀리리터(5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증류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다시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250Х50 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15 내지 45%, 30분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11-2를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8.21 (s, 1H), 7.53 (s, 1H), 6.73 (s, 1H), 6.64 (s, 1H), 4.68 - 4.46 (m, 2H), 4.28 - 4.20 (m, 2H), 3.95 (s, 3H), 3.73 (ddd, J=2.9, 5.3, 10.9 Hz, 1H), 2.15 (quin, J=5.8 Hz, 2H), 2.10 - 2.03 (m, 1H), 1.28 (s, 2H), 1.08 (d, J=6.5 Hz, 3H), 0.90 (d, J=6.5 Hz, 3H).
단계 B: 11-2(80.00밀리그램, 189.63밀리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31.67마이크로그램, 1.90마이크로몰), 트리에틸아민(57.57밀리그램, 568.89마이크로몰)을 디클로로메탄(2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카르바모일클로라이드(35.47밀리그램, 379.26마이크로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5도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물(15.00밀리리터)을 넣고, 디클로로메탄45.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3)으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화합물 11-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1-3(90.00밀리그램, 187.92마이크로몰)을 메탄올(10.00밀리리터), 테트라히드로푸란(10.00밀리리터), 물(1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수산화리튬일수화물(23.66몰, 563.77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2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pH가3 내지 4 되게끔 조절하고, 물 20.00밀리리터로 희석하며, 디클로로메탄45.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3)으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질의 생성물은 다시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30밀리미터, 4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 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35% 내지 65%, 10.5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11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δ 8.79 (s, 1H), 7.76 (s, 1H), 7.11 - 6.95 (m, 2H), 6.89 (s, 1H), 4.71 (br s, 2H), 4.56 (br d, J=7.5 Hz, 1H), 4.23 - 4.07 (m, 4H), 2.56 (d, J=4.5 Hz, 3H), 2.08 - 2.02 (m, 2H), 1.96 - 1.71 (m, 1H), 0.98 (d, J=6.5 Hz, 3H), 0.71 (br d, J=6.5 Hz, 3H).
실시예 12
Figure pct00118
[반응식 7]
Figure pct00119
화합물 12-1은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12-1(100.00밀리그램, 274.88마이크로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49.39밀리그램, 357.34마이크로몰), 4-브로모부티르산tert-부틸(79.73밀리그램, 357.34마이크로몰)를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물(30.00밀리리터)을 넣고, 디클로로메탄45.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3)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증류로 조질의 생성물 12-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12-2(128.00밀리그램, 252.97마이크로몰)를 디클로로메탄(3.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4.62밀리그램, 40.52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5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스핀 드라이하여, 조질의 생성물 12-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12-3(80.00밀리그램, 177.83마이크로몰)을 디클로로메탄(1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2-(7-아자벤조트리아졸)-N,N,N',N'-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HATU)(81.14밀리그램, 213.39마이크로몰), 트리에틸아민(26.99밀리그램, 266.74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25도하에 30분 동안 교반한 후, 디에틸아민(15.61밀리그램, 213.39마이크로몰)을 첨가하고, 반응계는 섭씨 25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물(20.00밀리리터)을 넣고, 디클로로메탄45.00밀리리터(15.00밀리리터Х3)로 추출한 후, 합병된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증류하여 12-4를 수득하였다.
단계 D: 12-4(80.00밀리그램, 158.42마이크로몰)를 메탄올(4.5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수산화나트륨 용액(4.00몰, 1.71밀리리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20도하에 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pH = 2 내지 3되게끔 조절하고,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25밀리미터, 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40% 내지 70%, 11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12를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이성질체 과량): 99.5%.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cel O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NMR ( 400 MHz ,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 δ 8.77 (br s, 1H), 7.74 (s, 1H), 7.12 - 6.79 (m, 2H), 4.77 - 4.48 (m, 1H), 4.80 - 4.45 (m, 2H), 4.22 - 4.10 (m, 2H), 3.29 (br dd, J=7.0, 11.7 Hz, 4H), 2.49 - 2.45 (m, 2H), 1.98 (quin, J=6.6 Hz, 2H), 1.82 (br s, 1H), 1.10 (t, J=7.1 Hz, 3H), 1.04 - 0.96 (m, 6H), 0.71 (br d, J=6.4 Hz, 3H).
실시예 13
Figure pct00120
[반응식 8]
Figure pct00121
화합물 13-5는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혼합물 13-1(13.20그램, 150.00밀리몰),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10.00그램, 99.96밀리몰), 트리에틸아민(10.11그램, 100.00밀리몰), 요오드화테트라부틸암모늄(738.24밀리그램, 2.00밀리몰)을 넣고, 질소 가스를 교체하고, 반응계를 섭씨 100도하에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증류하여 화합물 13-2를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3.91 (q, J=8.74 Hz, 2H), 3.72-3.82 (m, 4H), 2.21 (br s, 1H).
단계 B: 13-2(1.00그램, 6.94밀리몰)를 디클로로메탄(15.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912.94밀리그램, 9.02밀리몰)을 첨가하며, 섭씨 0도하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1.15그램, 10.04밀리몰)를 드롭하고, 반응계는 섭씨 20도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투입되었다. 반응액은 포화탄산나트륨(20.00밀리리터)으로 ?칭시키고, 물(10.00밀리리터)로 희석하며, 디클로로메탄 60.00밀리리터(2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감압 증류하여 화합물 13-3을 수득하였다.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4.43 - 4.39 (m, 2H), 3.96 - 3.88 (m, 4H), 3.07 (s, 3H).
단계 C: 13-3(85.50밀리그램, 384.84마이크로몰)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탄산칼륨(53.19밀리그램, 384.84마이크로몰)을 첨가하며,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동안 교반하여 13-4를 수득하였다. 반응액은 정제하지 않고 직접 다음 단계에 투입되었다.
단계 D: 13-4(94.26밀리그램, 192.42마이크로몰)를 물(0.5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반응계는 섭씨 10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은 pH가3 내지 4되게끔 조절하고,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칼럼: Boston Green ODS 150Х30 4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50% 내지 80%, 10.5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13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83.8%.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NMR ( 400 MHz ,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 δ 8.76 (s, 1H), 7.75 (s, 1H), 6.99 (br s, 1H), 6.92 (s, 1H), 4.75 - 4.63 (m, 2H), 4.53 (br d, J=9.8 Hz, 1H), 4.36 - 4.27 (m, 2H), 4.19 (q, J=9.3 Hz, 2H), 3.98 (t, J=4.2 Hz, 2H), 1.93 - 1.74 (m, 1H), 0.98 (d, J=6.4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14 내지 21은 실시예 7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4
Figure pct00122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67.6%.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5 (s, 1H), 7.02 (s, 1H), 6.89 (s, 1H) , 4.71 (br d, J=3.4 Hz, 2H), 4.55 (br d, J=10.4 Hz, 1H), 3.92 (s, 3H), 1.91 - 1.71 (m, 1H), 0.99 (d, J=6.5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15
Figure pct00123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6 (br s, 1H), 7.73 (s, 1H), 7.11 - 6.75 (m, 2H), 4.73 - 4.47 (m, 3H), 3.98 (dd, J=4.7, 6.8 Hz, 2H), 1.99 - 1.67 (m, 1H), 1.32 - 1.22 (m, 1H), 0.97 (d, J=6.5 Hz, 3H), 0.71 (br d, J=6.5 Hz, 3H), 0.60 (br dd, J=1.5, 7.9 Hz, 2H), 0.37 (q, J=4.5 Hz, 2H).
실시예 16
Figure pct00124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NMR (400MHz,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 δ 8.76 (s, 1H), 7.73 (s, 1H), 6.99 (br s, 1H), 6.87 (s, 1H), 4.69 (br d, J=2.9 Hz, 2H), 4.53 (br d, J=11.3 Hz, 1H), 3.90 (dd, J=2.7, 6.5 Hz, 2H), 2.10 - 2.04 (m, 1H), 1.92 - 1.75 (m, 1H), 1.01 (d, J=6.7 Hz, 6H), 0.98 (d, J=6.5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17
Figure pct00125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 400 MHz ,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δ 8.76 (s, 1H), 7.73 (s, 1H), 6.98 (br s, 1H), 6.89 (s, 1H), 4.71 - 4.49 (m, 3H), 4.00 (br d, J=5.7 Hz, 2H), 3.91 - 3.87 (m, 2H), 3.35 (br s, 2H), 2.12 - 2.01 (m, 2H), 1.73 - 1.62 (m, 2H), 1.43 - 1.32 (m, 2H), 0.98 (br d, J=6.5 Hz, 3H), 0.71 (br d, J=6.5 Hz, 3H).
실시예 18
Figure pct00126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6 (br s, 1H), 7.74 (s, 1H), 7.16 - 6.83 (m, 2H), 4.70 (br s, 2H), 4.52 (br s, 1H), 4.31 - 4.21 (m, 2H), 3.70 (t, J=4.4 Hz, 2H), 3.34 (s, 3H), 1.94 - 1.68 (m, 1H), 0.98 (d, J=6.4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19
Figure pct00127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4 (s, 1H), 7.01 (br s, 1H), 6.88 (s, 1H), 4.70 (br d, J=2.4 Hz, 2H), 4.55 (br d, J=8.9 Hz, 1H), 4.21 - 4.06 (m, 2H), 3.40 (br s, 2H), 3.24 (s, 3H), 1.90 - 1.72 (m, 3H), 1.71 - 1.63 (m, 2H), 0.98 (d, J=6.5 Hz, 3H), 0.71 (br d, J=6.5 Hz, 3H).
실시예 20
Figure pct00128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6 (s, 1H), 7.03 (s, 1H), 6.88 (s, 1H), 4.70 (br d, J=2.8 Hz, 2H), 4.55 (br d, J=8.4 Hz, 1H), 4.30 - 4.23 (m, 2H), 4.21 - 4.11 (m, 2H), 3.69 - 3.50 (m, 2H), 3.35 - 3.33 (m, 2H), 2.00 (quin, J=6.4 Hz, 2H), 1.94 - 1.73 (m, 1H), 0.98 (d, J=6.5 Hz, 3H), 0.71 (br d, J=6.5 Hz, 3H).
실시예 21
Figure pct00129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NMR (400MHz, 중수소화디메틸술폭시드 ) δ 8.78 (s, 1H), 7.76 (s, 1H), 7.03 (s, 1H), 6.93 (s, 1H), 4.70 (br d, J=3.1 Hz, 2H), 4.55 (br d, J=10.0 Hz, 1H), 4.29 - 4.20 (m, 4H), 2.18 (quin, J=6.0 Hz, 2H), 1.83 (br s, 1H), 0.98 (d, J=6.4 Hz, 3H), 0.71 (d, J=6.5 Hz, 3H).
실시예 22
Figure pct00130
[반응식 9]
Figure pct00131
화합물 22-1은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2-1(300.00밀리그램, 824.65마이크로몰, 1.00당량)과 5-브로모-2-펜타논(176.92밀리그램, 1.07밀리몰, 1.3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182.36밀리그램, 1.32밀리몰, 1.60당량)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110도하에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다시 1.00몰/리터의 희염산(5.00밀리리터)을 첨가하고, 혼합 용액을 섭씨 10도하에 10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3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합병하고, 물(1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고, 포화식염수(1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고, 다시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고체를 얻었고,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판(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1)으로 분리하여(두 번) 화합물 22-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22-2(50.00밀리그램, 111.63마이크로몰, 1.00당량)의 메탄올(3.00밀리리터) 용액에 4.00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0밀리리터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은 섭씨 40도하에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거기에 1.00몰/리터의 희염산 수용액1.00밀리리터를 넣어준 후, 감압농축하여 황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황색고체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칼럼: Phenomenex Gemini 150밀리미터Х25밀리미터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05% 암모니아수)-아세토니트릴];경사용리: 9% 내지 39%, 10분간)정제하여 실시예 22를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93%.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메탄올) δ = 8.43 (br s, 1H), 7.57 (br s, 1H), 6.84 - 6.67 (m, 2H), 4.75 - 4.51 (m, 2H), 4.13 (br d, J=5.6 Hz, 3H), 2.75 (br t, J=6.8 Hz, 2H), 2.20 (s, 3H), 2.13 - 2.08 (m, 2H), 1.95 (br s, 1H), 1.07 (br d, J=6.2 Hz, 3H), 0.82 (br d, J=6.0 Hz, 3H).
실시예 23
Figure pct00132
[반응식 10]
Figure pct00133
화합물 23-1은 화합물 7-12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3-1(200.00밀리그램, 549.77마이크로몰, 1.0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8.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121.57밀리그램, 879.63마이크로몰, 1.60당량)을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110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에 3.00밀리리터의 물을 넣고, 현탁액을 여과하여 갈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갈색의 고체는 두 번의 분취용 실리카겔 플레이트(디클로로메탄/메탄올 10/1)로 분리하여 화합물 23-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23-2(84.00밀리그램, 170.40마이크로몰, 1.00당량)의 디클로로메탄(2.00밀리리터)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950.29밀리그램, 8.33밀리몰, 617.07밀리리터, 48.91당량)을 한 방울씩 드롭하였다. 수득한 용액은 섭씨 10도 하에 3분 동안 교반하고, 다시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3-3을 수득하였다.
단계 C: 질소 가스 보호 하에 , 섭씨 0도하의 23-3(80.00밀리그램, 196.63마이크로몰, 1.00당량)과 트리에틸아민(50.74밀리그램, 501.41마이크로몰, 69.50밀리리터, 2.55당량)의 디클로로메탄(2.00밀리리터)에 5분 내로 클로로포름산메틸(37.16밀리그램, 393.26마이크로몰, 30.46밀리리터, 2.00당량)를 천천히 드롭하였다. 수득한 용액은 섭씨 0 내지 14도하에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칼럼(칼럼: Phenomenex Synergi C18 150밀리미터Х25밀리미터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33% 내지 53%, 10분간)으로 분리하여 실시예 23을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15.61 (br s, 1H), 8.38 (br s, 1H), 7.45 (s, 1H), 6.78 (s, 1H), 6.56 (s, 1H), 5.08 (br s, 1H), 4.65 - 4.45 (m, 2H), 4.07 (br s, 2H), 3.79 (br s, 1H), 3.61 (s, 3H), 3.39 (br d, J=5.1 Hz, 2H), 2.04 (br s, 2H), 1.18 (s, 1H), 1.02 (br d, J=5.9 Hz, 3H), 0.81 (br d, J=6.1 Hz, 3H).
실시예 24
Figure pct00134
[반응식 11]
Figure pct00135
화합물 24-4은 화합물 6-4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4-5(100.00그램, 724.01밀리몰, 1.00당량)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6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섭씨 0도까지 냉각시킨 후, 거기에 탄산칼륨(100.06그램, 724.01밀리몰, 1.00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계를 섭씨 90도까지 가열한 후,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110.79그램, 724.01밀리몰, 1.0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400.00밀리리터)를 한 시간 내에 천천히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은 섭씨 90도하에 계속하여 한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400.00밀리리터의 물에 부어 넣고, 에틸아세테이트(80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물(500.00밀리리터)로 세척하며, 포화식염수(2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감압농축하여 백색의 고체를 수득하고, 다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이산화규소,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100/1 내지 80/1)로 정제하여 화합물 24-6을 수득하였다.
단계 B: 24-6(50.00그램, 237.84밀리몰, 1.00당량)을 아세토니트릴(300.00밀리리터)에 용해시키고 섭씨 0도까지 냉각시키며, 그 용액에 다시 클로로석신이미드(32.08그램, 240.22밀리몰, 1.01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계를 섭씨 25도로 승온시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하여 무색의 액체를 수득하고, 다시 500.00밀리리터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액체에 부어 넣고, 물(10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고, 포화식염수(10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며, 유기층은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농축하여 백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백색고체는 메탄올로 슬러리화시킨 후 화합물 24-7을 수득하였다.
단계 C: 24-7(19.11그램, 78.10밀리몰, 1.00당량)과 24-4(24.00그램, 85.91밀리몰, 1.1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0.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21.59그램, 156.21밀리몰, 2.00당량)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50도하에 두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100.00밀리리터의 물에 부어 넣은 후, 용액은 에틸아세테이트(1000.00밀리리터)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여 물(100.00밀리리터)로 세척하고 포화식염수(100.00밀리리터)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4-8을 수득하였다.
단계 D: 24-8(33.00그램, 74.33밀리몰, 1.00당량)의 디클로로메탄(30.00밀리리터)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68.68그램, 602.31밀리몰, 44.59밀리리터, 8.10당량)을 한번에 첨가하였다. 용액은 섭씨 10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감압농축하여, 갈색의 유상 물질을 수득하였다. 거기에 100.00밀리리터의 포화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섭씨 10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다시 600.00밀리리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분리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화합물 24-9를 수득하였다.
단계 E: 24-11(15.86그램, 61.38밀리몰, 2.00당량)의 톨루엔(100.00밀리리터) 용액에 24-9(10.00그램, 30.69밀리몰, 1.00당량)를 한번에 첨가하였다. 현탁액계를 진공화시키고 질소가스로 여러 번 교체한 후, 섭씨 120도까지 승온시키고, 2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한 후 갈색의 유상물질을 수득하였다. 갈색의 유상물질은 플래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ISCO®; 330 g SepaFlash®플래쉬 실리카겔 칼럼, 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아세토니트릴은 용리액으로 사용됨, 유속:100밀리리터/분간)를 통해 화합물 24-10를 수득하였다.
단계 F: 24-10(4.20그램, 9.01밀리몰, 1.00당량)과 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5.54그램, 22.53밀리몰, 2.50당량)의 톨루엔(60.00밀리리터)과 1,2-다이메톡시에테인(60.00밀리리터) 용액은 섭씨 120도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감압농축한 후 갈색의 유상물질을 수득하였다. 갈색의 유상물질은 플래쉬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ISCO®; 330 g SepaFlash®플래쉬 실리카겔 칼럼, 이동상: 0 내지 70% 아세토니트릴/5%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유속:100밀리리터/분간)를 통해 갈색의 유상물질을 수득하였다. 잔여물은 다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칼럼(칼럼: Phenomenex luna C18 250Х50밀리미터Х10마이크로미터;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경사용리: 38% 내지 68%, 30분간)으로 정제하여 실시예 24를 수득하였다.
ee값(거울상 이성질체 과량):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 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9.04 - 8.37 (m, 1H), 7.66 - 7.51 (m, 1H), 7.07 - 6.54 (m, 2H), 4.90 - 4.48 (m, 2H), 4.18 (br s, 3H), 3.62 (br s, 2H), 3.39 (s, 3H), 2.15 (quin, J=5.9 Hz, 2H), 1.30 - 0.91 (m, 9H).
실시예 25
Figure pct00136
[반응식 12]
Figure pct00137
화합물 25-4은 화합물 6-4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5-1(140.00그램, 1.01몰), 탄산칼륨과 N,N-디메틸포름아미드(500.00밀리리터)의 혼합액을 섭씨 90도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147.34그램, 962.93밀리몰,)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100.00밀리리터)을 섭씨 90도하에, 상기 혼합액에 드롭한 후, 섭씨 90도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물(1500.00밀리리터)에 부어 넣고, 에틸아세테이트(10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포화식염수(1000.00밀리리터 Х3)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조질의 물질을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50/1 내지 10/1) 화합물 25-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질소 가스 보호 하에, 브롬(33.34그램, 208.65밀리몰, 10.76밀리리터)의 디클로로메탄(100.00밀리리터)을 섭씨 0도에서 25-2(40.00그램, 189.68밀리몰)의 디클로로메탄(300.00밀리리터) 용액에 드롭하고, 혼합액은 섭씨 15도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포화티오황산나트륨 용액(200.00밀리리터)으로 ?칭시키고, 이어서 에틸아세테이트(1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포화식염수(1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5-3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11.43 (s, 1H), 9.78 - 9.63 (m, 1H), 7.69 (s, 1H), 6.50 (s, 1H), 4.20 (t, J=6.1 Hz, 2H), 3.73 - 3.52 (m, 2H), 3.39 (s, 3H), 2.23 - 2.08 (m, 2H).
단계 C: 섭씨 15도하에, 25-3(28.20그램, 96.84밀리몰)의 다이메틸폼아마이드(280.00밀리리터) 용액에 탄산칼륨(26.77그램, 193.69밀리몰)과 25-4를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섭씨 50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포화염화암모늄 용액(300.00밀리리터)에 부어 넣고, 에틸아세테이트(200.3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며, 수득한 유기층은 포화식염수(10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5-5를 수득하였다.
단계 D: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29.01그램, 2.01mol, 148.71밀리리터)을 섭씨 0도하에 25-5(45.00그램, 91.34밀리몰)의 디클로로메탄 용액(150.00밀리리터)에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섭씨 45도하에 감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얻은 조질의 물질을 포화중탄산나트륨 용액(400.00밀리리터)에 첨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0.00밀리리터Х4)로 추출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포화식염수(20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며,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5-6을 수득하였다.
1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8.91 (s, 1H), 7.80 (s, 1H), 6.59 (s, 1H), 4.69 (br d, J=10.6 Hz, 1H), 4.16 (dt, J=1.3, 6.2 Hz, 2H), 4.04 - 3.98 (m, 1H), 3.85 (br d, J=2.7 Hz, 1H), 3.53 (t, J=5.9 Hz, 2H), 3.29 (s, 3H), 2.13 - 2.02 (m, 2H), 1.05 (s, 9H).
단계 E: 25-7(34.73그램, 134.40밀리몰)를 섭씨 15도하에 25-6의 톨루엔(120.00밀리리터)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액은 섭씨 120도하에 12시간 동안 교반한 후, 25-7(9.98그램, 38.64밀리몰)을 추가로 더 넣어주고, 계속하여 섭씨 120도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76.62그램, 672.00밀리몰, 49.76밀리리터)을 첨가하고, 섭씨 40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고, 포화탄산나트륨 용액(300.00밀리리터)으로 pH값을9 내지 10이 되게끔 조정하며, 에틸아세테이트(200.00밀리리터Х2)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합병하며, 포화식염수(200.00밀리리터Х1)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여,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고, 조질의 물질은 실리카겔 칼럼크로마토그래피(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 = 10/1 내지 1/1)로 화합물 25-8을 수득하였다.
단계 F: 25-8(3.88그램, 7.37밀리몰)과 2,3,5,6-테트라클로로-1,4-벤조퀴논(2.18그램, 8.85밀리몰)의 톨루엔(20.00밀리리터)과 1,2-다이메톡시에테인(20.00밀리리터)을 첨가하여 섭씨 70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은 섭씨 45도에서 감압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용액(300.00밀리리터), 에틸아세테이트(10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여 산성불순물을 제거하며, 유기층을 합병하고, 2.00몰/리터의 희염산(200.00밀리리터)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며, 수상을 분리한 후, 2.00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값이 10되게끔 조정하고, 이어서 디클로로메탄(100.00밀리리터Х3)으로 추출하며, 유기층(150.00밀리리터Х1)과 포화식염수(150.00밀리리터Х2)로 세척하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며, 섭씨 45도하에 감압농축하여 화합물 25-9를 수득하였다.
단계 G: 섭씨 15도하에, 25-9(60.00밀리그램, 116.74마이크로몰)의 메탄올 용액(1.00밀리리터)에 4.00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494.58밀리리터)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액은 섭씨 15도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섭씨 45도 감압농축하고, 조질의 물질은 1.00몰/리터의 염산 용액으로 pH값이 6 내지 7되게끔 조정하고,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수득한 조질의 물질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염산 조건; 칼럼: Phenomenex Synergi C18 150Х25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포름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40% 내지 70%, 10분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25를 수득하였다.
ee값: 96.654%.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400MHz, 중수소화 메탄올) δ = 8.63 (br s, 1H), 8.44 (s, 1H), 7.86 (br s, 1H), 6.73 (br s, 1H), 4.62 (br s, 3H), 4.20 (br s, 2H), 3.64 (t, J=6.1 Hz, 2H), 3.38 (s, 3H), 2.17 - 2.04 (m, 2H), 1.38 - 0.85 (m, 9H).
실시예 26
Figure pct00138
[반응식 13]
Figure pct00139
화합물 26-1은 화합물 25-9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섭씨 10도하에, 시안화구리(27.88밀리그램, 311.30마이크로몰, 68.00밀리리터, 2.00당량)를 26-1(80밀리그램, 155.65마이크로몰, 1.00당량)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mL)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액은 섭씨 140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은 에틸아세테이트(20.00밀리리터)로 추출하고, 15%의 희암모니아수(20.00밀리리터Х3)로 세척하고, 유기층은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였다. 수득한 조질의 물질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염산 조건; 칼럼: Phenomenex Synergi C18 150Х25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05%염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45% 내지 65%, 7.8분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26을 수득하였다.
ee값: 100%.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400MHz,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δ = 9.07 - 8.18 (m, 1H), 7.74 (br s, 1H), 7.06 - 6.32 (m, 2H), 5.01 - 4.41 (m, 2H), 4.14 (br s, 3H), 3.53 (br s, 2H), 3.30 (s, 3H), 2.07 (br s, 2H), 1.30 - 0.76 (m, 9H).
실시예 27
Figure pct00140
[반응식 14]
Figure pct00141
화합물 27-1은 화합물 25-9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7-1(100.00밀리그램, 194.56마이크로몰), 메틸보론산(13.98밀리그램, 233.47마이크로몰), 탄산나트륨(20.62밀리그램, 194.56마이크로몰), 및[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메탄 복합체(31.78밀리그램, 38.91마이크로몰)의 디옥산(1.00밀리리터)과 물(0.20밀리리터)의 혼탁액을 질소 가스 보호 하에 섭씨 80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은 에틸아세테이트(10.00밀리리터Х3)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포화식염수(20.00밀리리터Х1)로 세척하고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며, 조질의 생성물은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15:1)로 정제하여 27-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섭씨 15도 하에 4.00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4.00M, 443.78밀리리터) 용액을 27-2(55.00밀리그램, 110.06마이크로몰)의 메탄올 용액(2.00밀리리터)에 첨가하고, 혼합액은 섭씨 15도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는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며, 조질의 물질은 1몰/리터의 염산 용액으로 pH값이 6 내지 7이 되게끔 조정하고,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수득한 조질의 물질은 고성능 액상크로마토그래피(포름산 조건; 칼럼: Phenomenex Synergi C18 150Х25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225%염산)-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40% 내지 70%, 10분간)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27을 수득하였다.
ee값: 96.852%.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400MHz, 중수소화 메탄올) δ = 8.73 (br s, 1H), 7.48 (s, 1H), 7.20 (s, 1H), 6.63 (s, 1H), 4.82 (br s, 1H), 4.70 - 4.54 (m, 2H), 4.15 (br s, 2H), 3.62 (t, J=6.1 Hz, 2H), 3.38 (s, 3H), 2.23 (s, 3H), 2.10 (quin, J=6.1 Hz, 2H), 1.22 - 0.83 (m, 9H).
실시예 28
Figure pct00142
[반응식 15]
Figure pct00143
화합물 28-1은 화합물 25-9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8-1(100.00밀리그램, 194.56마이크로몰), 사이클로프로필보론산(33.42밀리그램, 389.12마이크로몰), 인산칼륨(123.90밀리그램, 583.68마이크로몰), 아세트산팔라듐(218.40마이크로그램, 9.73e-1마이크로몰) 및 비스(1-아다만틸)부틸포스핀(697.58마이크로그램, 1.95마이크로몰)의 톨루엔(2.50밀리리터)과 물(1.00밀리리터)의 현탁액을 질소 가스 보호 하에 섭씨 90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은 에틸아세테이트(20.00밀리리터)로 희석하고 여과하며, 규조토로 여과 후 20.00밀리리터의 물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하며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은 분취용 박층크로마토그래피(실리콘,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로 정제하여 28-2를 수득하였다.
단계 B: 섭씨 15도하에 4.00 몰/리터의 수산화나트륨(4.00M, 516.43밀리리터) 용액을 28-2(55.00밀리그램, 103.29마이크로몰)의 메탄올 용액(2.00밀리리터)에 첨가하고, 혼합액은 섭씨 15도하에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액은 1.00몰/리터의 염산 용액으로 pH값이 6 내지 7이 되게끔 조정하고,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한 후, 수득한 조질의 생성물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칼럼(포름산 조건; 5% 아세토니트릴/물 내지 40% 아세토니트릴/물)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실시예 28을 수득하였다.
ee값: 99.202%.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400MHz, 중수소화 메탄올) δ = 8.72 - 8.49 (m, 1H), 7.15 (s, 1H), 7.00 (br s, 1H), 6.89 - 6.47 (m, 1H), 4.62 (s, 3H), 4.16 (br s, 2H), 3.65 (t, J=6.2 Hz, 2H), 3.38 (s, 3H), 2.16 - 2.00 (m, 2H), 1.33 - 1.18 (m, 2H), 1.01 - 0.88 (m, 9H), 0.77 - 0.62 (m, 2H).
실시예 29
Figure pct00144
[반응식 16]
Figure pct00145
화합물 29-1은 화합물 25-9의 제조방법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단계 A: 29-1(200.00밀리그램, 389.12마이크로몰), 트리부틸-(1-에톡시비닐)주석(0.29그램, 802.99마이크로몰, 271.03밀리리터) 및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디클로라이드(10.92밀리그램, 15.56마이크로몰)의 디옥산(2.00밀리리터)) 혼합액은 질소 가스로 세 번 교체 후, 섭씨 90도에서 12시간 동안 혼합액을 교반하고 섭씨 45도에서 감압농축하여 조질의 생성물을 수득하며, 조질의 생성물은 먼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염산 조건, 5% 아세토니트릴/물(0.05% 염산) = 5% 내지 60%) 다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염기성 조건; 칼럼: Phenomenex Gemini 150Х25밀리미터Х10마이크로미터; 이동상: [물(0.05% 암모니아수)-아세토니트릴]; 경사용리: 11% 내지 38%, 12분간)로 정제하여 실시예 29를 수득하였다.
ee값: 92.56%.
SFC(초임계 유체크로마토그래피)방법: 칼럼: Chiral pak AD-3 100밀리미터Х4.6밀리미터 I.D., 3마이크로미터. 이동상: 이산화탄소에서 메탄올(0.05% 디에틸아민) 5% 내지 40%. 유속: 3밀리리터/분간. 파장: 220나노미터.
1H NMR (400MHz, 중수소화 메탄올) δ = 8.59 (br s, 1H), 8.16 (s, 1H), 7.14 (br s, 1H), 6.77 (s, 1H), 5.04 - 4.95 (m, 1H), 4.76 - 4.51 (m, 2H), 4.35 - 4.22 (m, 2H), 3.63 (t, J=6.1 Hz, 2H), 3.38 (s, 3H), 2.64 (s, 3H), 2.17 (quin, J=6.1 Hz, 2H), 1.02 (s, 9H).
실험예 1: HBV 체외시험
1. 실험목적:
실시간 정량 qPCR실험(real time-qPCR)을 통해 HepG2.2.15 세포배양 상청액의 HBV DNA 함량을 검출, 효소면역측정법(ELISA)으로 HBV표면항원 함량을 검출 및 화합물의 EC50값을 지표로 하여, HBV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 실험재료:
2.1. 세포계 : HepG2 .2.15 세포
HepG2.2.15 세포배지(DMEM/F12, Invitrogen-11330032; 10% 혈청, Invitrogen-10099141; 100유닛/mL 페니실린과 100μg/mL 스트렙토마이신, Hyclone-SV30010; 1% 비필수아미노산, Invitrogen-11140050; 2mm L-GLUTAMINE, Invitrogen-25030081; 300μg/mL Geneticin, Invitrogen-10131027
2.2. 시약:
트립신(Invitrogen-25300062)
DPBS(Corning-21031CVR)
DMSO(Sigma-D2650-100ML)
고효율 DNA 정제키트(QIAamp 96 DNA Blood Kit, Qiagen-51162)
정량 패스트스타트 범용프로브마스터(FastStart Universal Probe Master, Roche-04914058001)
B형 간염 표면항원 정량검사키트(오토바이오(Autobio), CL 0310)
2.3. 소모품 및 기계:
96웰 세포 배양 플레이트(Corning-3599)
CO2인큐베이터(HERA-CELL-240)
광학 씰링 필름(ABI-4311971)
정량PCR 96웰 플레이트(Applied Biosystems-4306737)
형광 정량PCR 기기(Applied Biosystems-7500 real time PCR system)
3. 실험절차와 방법:
3.1 HepG2.2.15 세포(4x104 세포/웰)를 96웰 플레이트에 접종(seeding)해주고, 37℃, 5% CO2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3.2 둘째 날, 화합물을 8개 농도, 3배 농도 구배로 희석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화합물을 배양 플레이트의 웰에 가하고, 두 웰 반복하였다. 배양액 중의 DMSO 최종농도는 0.5%로 하였다. 10mM ETV를 100% 억제 대조로 하고; 0.5%의 DMSO를 0% 억제대조로 하였다.
3.3 다섯째 날, 화합물을 함유한 새 배지로 갈아주었다.
3.4 여덟째 날 배양 플레이트 웰 중의 배양액을 수확하고, 일부 샘플을 취하여 ELISA로 B형 간염 S항원의 함량을 측정하고; 일부 샘플은 고효율 DNA 정제키트(Qiagen-51162)로 DNA를 추출하였다.
3.5 PCR 반응액의 조제는 하기 표 1과 같다.
PCR 반응액의 조제
항목 1개 웰 조제에 필요한 부피
(마이크로리터)
80개 웰 조제에 필요한 부피
(마이크로리터)
정량패스트스타트범용프로브마스터 12.5 1000
프리 프라이머(10마이크로몰) 1 80
포스트 프라이머(10마이크로몰) 1 80
프로브(10마이크로몰) 0.5 40
프리 프라이머 시퀀스: GTGTCTGCGGCGTTTTATCA포스트 프라이머 시퀀스: GACAAACGGGCAACATACCTT
프로브 시퀀스: 5'+ FAM + CCTCTKCATCCTGCTGCTATGCCTCATC + TAMRA -3'
3.6 96웰 PCR 플레이트의 각 웰에 15μL의 반응혼합액을 가하고, 이어서 각 웰에 10μL의 샘플DNA 또는 HBV DNA의 표준 품을 첨가하였다.
3.7 PCR의 반응조건: 95℃에서 10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95℃에서 15초 동안 변성시키고, 60℃에서 1분 동안 신장시키며, 총 40개 사이클을 순환시켰다.
3.8 ELISA로 B형 간염 바이러스 S항원의 함량 측정:
50mL의 샘플과 표준 품을 각각 반응플레이트에 가하고, 매 웰에 각각 50mL의 효소 접합체를 분주하고, 진탕하여 섞어주며, 37℃ 온 욕에 60분 동안 놓고, 세정액으로 플레이트를 5번 세척하며, 다시 웰당 50mL의 발광성 기질을 첨가하고, 섞어주며, 실온에서 빛을 차단하고 10분 동안 반응시켜, 마지막에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기로 화학발광강도를 검출하였다.
3.9 데이타분석:
억제 백분율 계산: %억제 =(1 - 샘플중의 값/DMSO 대조값) x 100.
계산 EC50: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HBV의 50% 를 억제하는 화합물 농도의 EC50 값을 계산.
실험결과: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다.
HBV-DNA 실험결과
실시예 EC 50 (nM) 실시예 EC 50 (nM)
1 44.68 16 11.41
2 8.75 17 4.77
3 104.7 18 34.73
4 11.15 19 11.73
5 21.46 20 44.97
6 2.55 21 23.20
7 35.31 22 11.16
8 22.21 23 24.07
9 16.23 24 0.457
10 3.668 25 <0.457
11 14.25 26 2.187
12 19.09 27 1.103
13 24.07 28 0.508
14 23.43 29 0.507
15 8.66
결론: 본 발명의 대표화합물은 체외에서 효과적으로HBV-DNA를 억제할 수 있다.
HBsAg 실험결과
실시예 EC 50 (nM) 실시예 EC 50 (nM)
1 47.22 16 9.73
2 6.59 17 5.05
3 66.2 18 34.78
4 65.77 19 8.155
5 28.82 20 41.90
6 3.88 21 25.94
7 59.77 22 11.36
8 18.03 23 33.59
9 22.37 24 0.743
10 5.047 25 0.769
11 15.51 26 3.327
12 25.5 27 2.507
13 43.93 28 0.718
14 22.75 29 1.342
15 10.4
결론: 본 발명의 대표화합물은 B형 간염 표면항원(HbsAg)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험예 2: 혈장 단백결합률 연구
사람, CD-1 마우스와 SD랫트의 혈장에서 실시예 6의 단백결합률을 측정하였다. 사람, CD-1 마우스와 SD랫트의 블랭크혈장 796μL에, 시험화합물 작업 용액(400μM) 또는 와파린(warfarin)작업 용액(400μM) 4μL를 가하여, 혈장샘플에서의 시험화합물과 와파린의 최종농도가 모두 2μM가 되게끔 하였다. 샘플을 충분히 혼합하였다. 유기층 DMSO의 최종농도는 0.5%이고; 시험화합물과 와파린 혈장샘플 50μL를 샘플수용플레이트(세 개 평형)에 넣고, 즉시 각 샘플 웰의 최종 부피가 100μL 되도록 대응하는 부피의 블랭크혈장 또는 완충액을 가하여, 혈장:투석완충액의 체적비가 1:1이 되면, 그 다음 이 샘플들에 400μL의 정지액을 넣어주고 이 샘플은 T0 샘플로 되어 회수율 및 안정성 측정에 사용되었다. T0샘플을 2 내지 8℃에 보관하며, 투석이 끝난 기타 샘플과 함께 후속 처리를 진행할 때까지 대기하고; 150μL의 시험화합물과 와파린 혈장샘플을 각 투석웰의 약물전달말단에 첨가하고, 150μL의 블랭크 투석완충액을 투석웰의 상응하는 수용말단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통기성 필름으로 투석플레이트를 밀봉하고 습윤한, 5% CO2 배양기의 37℃에서 약100 rpm으로 진탕하면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투석이 끝난 후, 50μL의 투석 후 완충액 샘플과 투석 후의 혈장샘플을 새로운 샘플수용 플레이트로 옮겼다. 각 샘플웰의 최종 부피가 100μL 되도록 샘플에 상응한 부피의 해당 블랭크혈장 또는 완충액을 첨가하고, 혈장:투석완충액의 체적비가 1:1되었다. 모든 샘플은 단백침전을 거쳐 LC/MS/MS 분석을 진행하고, 공식: 단백미결합률(%) = 100Х투석막을 통과한 약물농도/투석막을 통과하지 못한 약물 농도, 단백결합률(%) = 100 - %단백미결합률, %회수율 = 100Х(투석막을 통과한 약물의 농도+투석막을 통과하지 못한 약물의 농도)/투석 전 전체약물의 농도에 따라 단백결합률 및 회수율을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사람, CD-1 마우스와 SD랫트의 혈장에서의 실시예 6의 단백결합률은 각각55.7%, 50.2% 및 59.4%이다.
실험결론: 본 발명화합물은 중간 정도의 혈장단백결합률을 가지고 있으며, 약물과 단백미결합 비율이 높으면 이로 인해 혈장노출 양이 더 높게 된다.
실험예 3: 시토크롬 P450 동질효소 억제성 연구
사람의 시토크롬 P450 동종효소아형에 대한 시험화합물의 억제 특성을 측정하였다. 시험화합물, 표준억제제(100Х최종농도)와 혼합기질 작업 용액을 준비하고; -80℃ 냉장고에 냉동되어 있던 마이크로솜을 꺼내 해동하였다. 2μL의 시험화합물과 표준억제제 용액을 해당 웰에 가하고, 동시에 2μL의 해당 용매를 무억제제 대조웰(NIC)와 블랭크대조웰(Blank)에 첨가하고; 그 다음 20μL의 혼합기질 용액을 해당 웰에 분주하였고, Blank 웰을 제외(20μL PB를 Blank웰에 첨가)하였고; 사람의 간 마이크로솜 용액(사용 후 날짜를 표기하여 바로 냉장고에 넣음)을 준비하고, 곧이어158μL의 사람 간 마이크로솜 용액을 모든 웰에 분주하였으고; 상기 샘플 플레이트를 37℃ 수욕에서 사전배양(pre-incubation)하고, 코엔자임효소(NADPH) 용액을 준비하고; 10분 후, 20μL의 NADPH 용액(내부표준물질은 200ng/mL 톨부타미드(Tolbutamide)와 라베탈롤(Labetalol)을 모든 웰에 첨가하고, 샘플플레이트를 잘 흔들어준 후, 37℃ 수조에서 10min 인큐베이션하였으고; 이 시점에, 400μL의 차가운 아세토니트릴 용액(내부표준물질은 200ng/mL 톨부타미드와 라베탈롤)을 가함으로써 반응을 정시시키고; 샘플플레이트를 잘 흔들어 준 후, 4,000rpm에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켰으고; 200μL의 상청액을 취하고 100μL의 물에 넣어, 잘 흔들어서, LC/MS/MS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4와 같다.
결론: 본 발명의 화합물은 CYP효소에 대해 억제효과가 없다.
시토크롬 P450 동종효소 억제실험결과
시험화합물 IC 50 ( μM )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CYP3A4 -M
실시예 6 >50 >50 >50 >50 >50
실험예 4: 마이크로솜 대사안정성
실험목적: 3 종류의 간 마이크로솜에서 시험화합물(실시예 6)의 대사안정성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37℃에서, 1μM 시험화합물과 마이크로솜(0.5mg/mL)을 NADPH 재생계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양성대조는 각각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3A4기질), 프로파페논(2D6기질)과 디클로페낙(Diclofenac)(2C9기질)이며, 동일한 37℃에서, 양성대조와 마이크로솜(0.5mg/mL)을 NADPH 재생계에서 인큐베이션하고; 서로 다른 시점(0, 5, 10, 20, 30 및 60 분간)에 샘플과 내부 표준물질을 함유한 차가운 아세토니트릴을 직접 혼합하여 반응을 정시시켰고; 화합물과 마이크로솜은 NADPH 재생계 작용이 없는 조건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매 시점은 단일시점(n = 1)이고; 샘플은 LC/MS/MS로 분석하였으고; 화합물의 농도는 내부표준 피크의 면적에 대한 분석물질의 피크면적의 비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실험결과: T = 60min일 때 랫트, 사람과 마우스의 간 마이크로솜에서의 본 발명의 화합물 잔류율은 각각 113.0%, 109.1%과 102.5%이다.
실험결론: 본 발명의 화합물은 랫트, 사람과 마우스 3종류에서 모두 우수한 안정성을 구비하고 있다.
실험예 5: 랫트 / 마우스에 대한 단일투여 약동학연구
실험목적: 수컷 C57BL/6 마우스 또는 SD랫트를 시험동물로 하여, 단일용량 투여 후 화합물의 혈장, 간과 뇌척수액에서의 약물농도를 측정하고 또한 약동학적 행동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 성년이 된 건강한 수컷 C57BL/6 마우스 또는 SD랫트를 선별하여 위장관으로 투여하였다. 후보 화합물과 적당양의 5% DMSO/95%(10% 하이드록시프로필사이클로덱스트린)를 혼합, 볼텍스 및 초음파처리하여, 0.2mg/mL의 상청 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게 준비해두었다. 마우스에 2mg/kg 경구투여한 후, 일정 시점에서 전혈을 수집하고, 혈장으로 조제하고, 간조직과 뇌척수액을 획득하며, 샘플 전처리 후, LC-MS/MS 방법으로 약물의 농도를 분석하였고, Phoenix WinNonlin소프트웨어로 약동학 매개변수를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5.
실험결론: 시험화합물의 실시예 5는 마우스와 랫트 두 종류에서 우수한 AUC0 -last와 생물이용도를 구비하고 있다.
마우스와 랫트에서 시험화합물의 약동학실험결과
실시예 6
(IV: 1mg/kg PO: 2mg/kg)
마우스 랫트
클리어런스(mL/min/kg) 75.0 28.1
겉보기분포용적(L/kg) 5.79 1.72
AUC0 -last
(정맥주사, nM. hr)
502 1365
AUC0 -last
(경구투여, nM. hr)
876 1832
반감기(h) 2.46 1.98
최고농도(nM) 1055 659
생물이용도(%) 91.6 71.1
실험예 6: 꼬리정맥 고압주사 마우스 HBV 모델(HDI- HBV )의 생체 내약효실험
실험목적: HDI 마우스 모델로 실시예 화합물의 생체 내 항B형 간염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Balb/c 마우스, 10% HP-β-CD용매, 시험화합물, RG7834, ETV(엔테카비르), pAAV2-HBV1.3mer 플라스미드(Qiagen EndoFree Plasmid Giga키트로 추출), 주요한 시약은 QIAamp96 DNA키트와 FasStart Universal Probe Mast(ROX)를 포함한다. 본 프로젝트에 사용된 주요기기는 원심분리기(Beckman Allegra X-15R), 조직분쇄기(QIAGEN-Tissue lyser II)와 분광광도계(Thermo-NANODROP 1000)가 포함된다.
실험방법:
a) 실험디자인은 하기 표 6과 같다:
생체 내 실험 디자인
동물마리수 화합물 투여량(mg/kg) 투여부피(mL/kg) 투여일정 채혈시간
1 5 블랭크 / 10 위장관투여, 1 내지7일째, 하루 한번 1, 3, 5와 7일째, 투여 4시간 후
2 RG7834 30
3 실시예 6 30
4 엔테카비르 0.1
b) 0일차, 모든 마우스의 꼬리정맥으로 HBV 플라스미드 DNA 용액을 고압주사하였다. 플라스미드 DNA는 주사하기 전에 무균 생리식염수로 조제해 놓은 후 사용시까지 4℃에 보관하였다. 마우스 무게의 8%에 달하는 플라스미드 DNA 용액을 꼬리정맥으로 5초내에 주사하였다.
c) 1 내지 7일차, 화합물 또는 용매를 연속 7일간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하였으며, 구체적인 투여방법은 표 15 내지 16에 표시된 바와 같다.
d) 1, 3 및 5일차, 마우스의 턱밑 정맥에서 채혈하고, 헤파린나트륨을 항응고제로 사용하였으며, 7,000Хg, 4도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준비하고, HBV DNA 측정에 사용하였다.
e) 7일차, 모든 마우스를 CO2로 안락사시키고, 심장채혈로 혈장을 준비하였으며, 간조직을 채취하여, 좌측 간엽을 분리하고, 크기는 70 내지 100mg으로 하였고, 수집 직후 액체질소로 급랭시켰으며, 그 중 한 부분은 HBV DNA 검출에 사용되었고, 다른 한 부분은 백업으로 사용되었다.
f) 모든 혈장과 간조직샘플은 검출에 사용되기 전 -80℃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샘플처리: ELISA(효소면역측정법)로 마우스 혈청 중 HBsAg의 함량을 검출하였고, 실험절차는 HBsAg ELISA 키트 설명서를 참조하였다.
실험결과: 마우스 HDI 모델에서 시험화합물이 HBV 복제에 대한 억제활성은 마우스의 혈장 중 HBsAg의 함량 검출로 확정하며, 표 7과 도 1은 서로 다른 투약시점의 마우스 혈장 중 HBsAg의 ?량을 나타내었다.
마우스에 투여 후 서로 다른 시점의 혈장 중 HBsAg 함량
투여 시점 Log HBsAg ( IU /mL)(평균값)
1
블랭크
QD
1 3.57
3 4.30
5 4.20
7 2.22
2
RG7834
30mg/kg QD
1 3.75
3 4.08
5 3.59
7 1.10
3
실시예 6
30mg/kg QD
1 3.86
3 4.09
5 3.27
7 1.07
4
엔테카비르
0.1mg/kg QD
1 3.66
3 4.32
5 4.01
7 2.46
결론: 같은 양의 약물 투여 시, 5일차부터 HBsAg가 감소하는 수치로 볼 때, 실시예 6 화합물의 표면항원을 감소시키는 능력은 RG7834와 엔테카비르보다 우수하며, 더 좋은 약효를 구비하고 있다.
실험예 7: 재조합8형 아데노바이러스벡터를 매개로 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마우스 모델( AAV - HBV )에서 항B형 간염 바이러스 활성의 연구
실험목적:
AAV 벡터 매개 HBV 형질감염 마우스 모델은 빠르고 효율적인 HBV 모델이다. AAV8벡터의 높은 간친화성(hepatotropic)을 이용하여, 1.3복제 HBV 게놈을 지니고 있는 재조합8형 아데노바이러스(rAAV8-1.3HBV)를 마우스의 꼬리정맥으로 주사하면, 1.3복제 HBV가 효과적으로 간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AAV바이러스 벡터의 특성으로 인해, 매개된 벡터는 장시간 발현될 수 있으며, AAV/HBV 모델은 마우스의 간조직 내에서 지속적으로 HBV DNA를 복제할 수 있고 또한 HBsAg과 HBeAg를 발현할 수 있다.
AAV/HBV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시험화합물로 치료 후의 마우스 혈청 중 HBsAg를 측정함으로써, 생체 내 항 HBV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재료:
C57BL/6 마우스, 10% HP-β-CD용매, 참조 화합물 TDF(테노포비어), 시험화합물, 재조합바이러스 rAAV8-1.3HBV, 본 프로젝트의 주요시약은 QIAamp96 DNA키트와 TaqMan® Universal PCR Master Mix,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 검사키트 등을 포함한다. 기기는 원심분리기(Beckman Allegra X-15R), 조직분쇄기(QIAGEN-Tissue lyser II)와 분광광도계(Thermo-NANODROP 1000)등을 포함한다.
실험방법:
a) 바이러스 주사 후 28일 차부터 모든 마우스에 약물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이 날을 0일 차로 설정하였다. 투여 전 모든 마우스의 턱밑 정맥에서 채혈하여 혈청을 수집하였다. 매일 한번씩, 연속 4주간 투약하였다. 구체적인 투약 프로토콜은 하기 표 8과 같다.
b) 모든 마우스는 매주 두 번씩 혈청 수집을 위한 턱밑 채혈을 하고, 매번 채혈양은 약100μL이다. 구체적인 채혈시간은 하기 표 8과 같다.
c) 28일 차, 모든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심장채혈을 하고 혈청을 수집하였다.
d) 모든 혈청샘플은 검출에 사용되었다.
생체 내 실험 프로토콜
마우스
마리 수
투여 디자인 혈청수집방법
화합물 투여량
(mg/kg)
투여부피
(mL/kg)
투약프로토콜
1 5 비히클 / 10 바이러스 주사 후 28일째를 0일차로 설정, 매일 한번씩, 연속 4주간 투여, 즉 매번 투여시간은 0 내지 27일차이다. 바이러스 주사 후 28일째를 0일차로 설정, 매주 채혈 두 번, 매번 채혈양은 약 100μL. 매번 채혈시간은 3, 7, 10, 14, 17, 21, 24, 28일차.
2 5 테노포비어 1
3 5 RG7834 10
4 5 실시예 6 3
5 5 실시예 6 10
6 5 실시예 6 30
7 5 실시예 6
+ TDF
(10mg/kg
+
1mg/kg)
샘플분석:
ELISA로 마우스 혈청 중 HBsAg의 함량을 검출하였고, 실험절차는 HBsAg ELISA키트 설명서를 참조하였다.
실험결과:
a) 혈청 중 HBsAg의 함량을 측정하고 시험화합물의 AAV/HBV 마우스 모델에서의 항HBV 활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9 및 도 2와 같다.
마우스에 투여 후 날짜 별 HBsAg의 함량(IU/mL)
검출날짜
(일)
블랭크
( PO,QD )
TDF
(1mg/kg, PO,QD)
RG7834
(10mg/kg, PO)
실시예 6
(3mg/kg, PO)
실시예 6
(10mg/kg, PO)
실시예 6
(30mg/kg, PO)
실시예 6
(10mg/kg, PO)
+ TDF
(1mg/kg, PO,QD)
-1 4.54 4.59 4.56 4.54 4.51 4.48 4.48
4 4.27 4.56 3.54 3.68 3.56 3.38 3.62
7 4.46 4.59 3.58 3.70 3.69 3.44 3.76
11 4.52 4.66 3.70 3.76 3.92 3.64 3.82
14 4.41 4.50 3.49 3.70 3.61 3.40 3.59
18 4.56 4.61 3.70 3.85 3.90 3.55 3.61
21 4.58 4.52 3.52 3.78 3.75 3.46 3.58
25 4.52 4.33 3.50 3.76 3.83 3.37 3.50
28 4.34 4.34 3.66 3.96 3.87 3.53 3.76
b) 마우스 체중변화는 도 3과 같다.
실험결론:
본 실험에서, 시험화합물 실시예 6은 AAV/HBV 마우스 모델 실험에서, HBsAg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일정한 용량효과 관계를 구비하고 있다. 실시예 6의 치료과정에서, 마우스는 양호한 내성을 나타냈고, 체중변화는 RG7834보다 좋았다.
실험예 8: 랫트의 14일간 사전 내독성실험
본 실험은 위장관으로 매일 한번씩 연속 14일간 시험샘플 RG7834와 실시예 6을 랫트에 투여하여 이의 잠재적인 독성을 검출하였다.
실험디자인 군과 투여량
군별 동물마리수
(성별)
시험샘플 투여량 체적 농도 용매
(mg/kg) (mL/kg) (mg/mL)
1 3(수컷) 용매 0 10 0 0.5%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스 / 0.2% 트윈 80 물에 용해시키고, pH 8 내지 9
2 3(수컷) RG7834 100 10 10
3 3(수컷) RG7834 300 10 30
4 3(수컷) RG7834 1000 10 100
5 3(수컷) 실시예 6 100 10 10
6 3(수컷) 실시예 6 300 10 30
7 3(수컷) 실시예 6 1000 10 100
본 실험에서 총 21 마리의 동물을 7개 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어, 1일 1회로 14일 동안 시험샘플을 경구 투여하여 독성을 검출하였다. 동물의 부검과 조직은 고정액에서 옮기고, 수취, 탈수, 포매, 절편, 염색과 현미경검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조직은 동물의 간, 심장, 폐와 부분 동물의 비장, 위, 십이지장, 공장, 회장과 신장을 포함한다.
실험결과:
RG7834: 중저용량군은 심장, 간과 폐만 검사하였으며 시험샘플과 관련된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고용량군에서는 시험샘플과 관련되어 심장의 경미한 심근변성, 가벼운 간 소엽중추 간세포변성, 가벼운 비장백색속질림프구 감소, 십이지장의 중등정도 점막급성염증 등 조직병리학변화가 나타났다.
실시예 6: 중저용량군은 심장, 간과 폐만을 검사하였으며 시험샘플과 관련된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고용량군에서는 시험샘플과 관련되어 경미하거나 또는 경도의 비장백색속질 림프구가 감소하는 병리학적 변화가 나타났다.
실험결론: 실험결과로부터 실시예 6은 RG7834보다 더 높은 안전성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9: 랫트에 단일 투여하는 신경독성실험
실험목적: 본 실험은 RG7834, 실시예 6을 SD랫트에 단일 경구 투여하였고, 기능성관찰조합검사(FOB)를 사용하여 SD쥐의 잠재적 신경행동독성을 평가하고자 했다.
실험재료와 방법: 본 실험에는 총 25마리 SD수컷랫트가 사용되었다. 약을 투여하기 시작할 때 동물의 나이는 약 7 내지 8주령이고, 수컷 무게는 225.50 내지 285.70g이며, 암컷 체중은 177.68 내지 219.89 g이다. 시험샘플투여 군의 동물은 용매[0.5%(w/v)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0.2%(v/v) 트윈 80 정제된 수용액,(pH 8.0-9.0)]에 용해된 300 또는 1000mg/kg RG7834 및 300 또는 1000mg/kg의 실시예 6을 각각 단일 경구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용매만 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의 투약 부피는 10mL/kg이다. 동물은 FOB 검사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투여량 0, 300, 1000mg/kg의 RG7834, 실시예 6을 SD랫트에 단일 경구투여하고, 24시간까지 관찰하였으며, 1000mg/kg과 300mg/kg의 RG7834를 투여 후 수컷 동물에서 시험샘플과 관련된 동공확대현상이 나타났다. 1000mg/kg과 300mg/kg의 실시예 6을 투약 후 수컷동물에서 시험샘플과 관련된 동공확대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결론: RG7834는 고투여량일때, 일정한 신경독성효과가 있으며,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화학물은 더 우수한 안전성을 구비하고 있다.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V]
    Figure pct00146

    상기 식에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또는 (S)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고;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1- 6헤테로알킬기, C2- 5알케닐기, C2- 5헤테로알케닐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3은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6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m은 0, 1, 2, 3, 4 또는 5로부터 선택되고;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고;
    R은 H, 할로겐,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R'은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CH2F로부터 선택되고;
    "헤테로"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단을 나타내고, 여기서 C1- 6헤테로알킬기, C2-5헤테로알케닐기,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에서 "헤테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C(=O)N(R)-, -N(R)-, -C(NR)-, -(R)C=N-, -S(=O)2N(R)-, -S(=O)N(R)-, N, -O-, -S-, =O, =S, -C(=O)O-, -C(=O)-, -C(=S)-, -S(=O)-, -S(=O)2-, -N(R)C(=O)N(R)-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임의의 경우,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단의 개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1, 2 또는 3으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은 H, F, Cl, Br, I, OH, CN, NH2, CH3, CH3CH2, CH3O, CF3, CHF2 또는 CH2F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2- 3알케닐기, C2- 3헤테로알케닐기, C3- 6사이클로알킬기 또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3항에 있어서,
    R1은 H, OH, CN, NH2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147
    Figure pct00148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5. 제4항에 있어서,
    R1은 H, OH, CN, NH2,
    Figure pct00149
    Figure pct00150
    Figure pct00151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는 H, OH, CN, NH2, 할로겐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3알킬기, C1- 3헤테로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7. 제6항에 있어서,
    R2는 H, OH, CN, NH2, F, Cl, Br, I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H3,
    Figure pct00152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8. 제7항에 있어서,
    R2는 Cl, Br, CN, CH3,
    Figure pct00153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 4알킬기, C3- 6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0. 제9항에 있어서,
    R3
    Figure pct00154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은 0, 1, 2, 3, 4로부터 선택되며, m이 0일 때, R1은 OH, CN, NH2로부터 선택되지 않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2. 제5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구조단위
    Figure pct00155
    Figure pct00156
    Figure pct00157
    Figure pct00158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II]
    Figure pct00159

    [화학식 III]
    Figure pct00160

    [화학식 IV]
    Figure pct00161

    상기 식에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또는 (S)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고;
    R4는 H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1개, 2개 또는 3개의 R에 의해 치환된 C1~3알킬기와 C1~ 3헤테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되고;
    X는 C와 N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O와 C로부터 선택되고;
    L1과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CH2)n-, -C(=O)-로부터 선택되고;
    또한 L1과 L2는 동시에 단일결합이 아니고;
    n은 1 또는 2로부터 선택되고;
    m, R, R2, R3과 C1~ 3헤테로알킬기 중의 "헤테로"는 제1항 내지 제11항에 정의된 바와 같으며, m이 0일 때, R4는 H가 아니다.
  15. 제14항에 있어서,
    "*"로 표기된 탄소원자는 카이랄 탄소원자이며, (R) 단일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 또는 하나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많이 포함한 형태로 존재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6. Figure pct00162

    Figure pct00163

    Figure pct00164

    Figure pct00165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7. 제16항에 있어서,
    Figure pct00166

    Figure pct00167

    Figure pct00168

    Figure pct00169

    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8. 치료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9. B형 간염 치료용 약물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
  20. B형 간염 치료용 약물을 제조함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18항에 기재된 약학적 조성물과 테노포비어 또는 엔테카비르의 용도.
KR1020197037730A 2017-05-22 2018-05-2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KR102546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65328.7 2017-05-22
CN201710365328 2017-05-22
PCT/CN2018/087852 WO2018214875A1 (zh) 2017-05-22 2018-05-22 乙型肝炎病毒表面抗原抑制剂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925A true KR20200027925A (ko) 2020-03-13
KR102546873B1 KR102546873B1 (ko) 2023-06-26

Family

ID=64396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730A KR102546873B1 (ko) 2017-05-22 2018-05-22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00197409A1 (ko)
EP (1) EP3632914B1 (ko)
JP (1) JP7072003B2 (ko)
KR (1) KR102546873B1 (ko)
CN (1) CN110372723B (ko)
AU (1) AU2018271643B2 (ko)
BR (1) BR112019024393A2 (ko)
CA (1) CA3062499C (ko)
EA (1) EA039824B1 (ko)
MX (1) MX2019013815A (ko)
WO (1) WO2018214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6278B (zh) 2017-06-01 2021-06-08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稠合三环类化合物及其在药物中的应用
WO2020051375A2 (en) 2018-09-05 2020-03-12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Papd5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856740A4 (en) 2018-09-30 2021-12-15 Sunshine Lake Pharma Co., Ltd. CONDENSED TETRA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IN MEDICINE
AU2019382521B2 (en) * 2018-11-22 2023-11-16 Fujian Akeylink Biotechnology Co., Ltd. Crystal form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inhibitor
US20220306648A1 (en) * 2019-08-15 2022-09-29 Fujian Akeylink Biotechnology Co., Ltd. Preparation Method for Oxazepine Compound
EP4151221A4 (en) * 2020-05-15 2023-11-15 Fujian Akeylink Biotechnology Co., Ltd. COMBINATION COMPRISING A TRICYCLIC COMPOUND AND ITS USE IN THE PREPARATION OF A DRUG FOR THE TREATMENT OF HBV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687A1 (en) * 2007-04-17 2011-03-17 Michael Schwaebe Hydrazid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7013046A1 (en) * 2015-07-21 2017-01-26 F. Hoffmann-La Roche Ag Novel tricyclic 4-pyrido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KR20190080897A (ko) * 2016-11-07 2019-07-08 아뷰터스 바이오파마 코포레이션 치환된 피리디논 함유 트리시클릭 화합물, 및 그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A201691261A1 (ru) * 2014-01-30 2016-11-30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Новые дигидрохинолизиноны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инфекции, вызванной вирусом гепатита b
CA3031063A1 (en) 2016-07-29 2018-02-01 Newave Pharmaceutical Inc. Benzo-quinolizin-2oxo carboxylic aci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hbv inf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5687A1 (en) * 2007-04-17 2011-03-17 Michael Schwaebe Hydrazid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7013046A1 (en) * 2015-07-21 2017-01-26 F. Hoffmann-La Roche Ag Novel tricyclic 4-pyridone-3-carboxylic aci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KR20190080897A (ko) * 2016-11-07 2019-07-08 아뷰터스 바이오파마 코포레이션 치환된 피리디논 함유 트리시클릭 화합물, 및 그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72723A (zh) 2019-10-25
EP3632914B1 (en) 2022-08-31
JP7072003B2 (ja) 2022-05-19
EA039824B1 (ru) 2022-03-17
EP3632914A4 (en) 2020-04-22
CA3062499C (en) 2024-05-07
EP3632914A1 (en) 2020-04-08
JP2020520958A (ja) 2020-07-16
AU2018271643A1 (en) 2020-01-02
BR112019024393A2 (pt) 2020-06-09
EA201992771A1 (ru) 2020-03-23
US20200197409A1 (en) 2020-06-25
CA3062499A1 (en) 2018-11-29
MX2019013815A (es) 2020-07-28
AU2018271643B2 (en) 2022-06-02
WO2018214875A1 (zh) 2018-11-29
KR102546873B1 (ko) 2023-06-26
CN110372723B (zh)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873B1 (ko)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KR102087397B1 (ko) B형 간염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억제제
US10160771B2 (en) Hepatitis C virus inhibitors and uses thereof in preparation of drugs
CA3054324C (en) Tri-cycle compound and applications thereof
CA3207800A1 (en) Pyrimidine aromatic ring compounds
JP7168149B2 (ja) Fgfr阻害剤としてのピラジン-2(1h)-オン系化合物
CN108884107B (zh) 乙型肝炎病毒表面抗原抑制剂
JP7250015B2 (ja) 抗HBVのテトラヒドロイソキサゾロ[4,3-c]ピリジン類化合物
CN111377935B (zh) 选择性cdk4/6抑制剂及其应用
CN112368288B (zh) 一种乙肝表面抗原抑制剂的晶型
CN111377924A (zh) 新型cdk4抑制剂及其用途
CN111377922A (zh) 稠合三环类化合物及其用途
WO2021104470A1 (zh) 抗hbv的1,7-萘啶类化合物
CN111377921A (zh) Cdk4-flt3抑制剂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