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90A - 변기 소음 저감 기구 - Google Patents

변기 소음 저감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90A
KR20200027190A KR1020180105198A KR20180105198A KR20200027190A KR 20200027190 A KR20200027190 A KR 20200027190A KR 1020180105198 A KR1020180105198 A KR 1020180105198A KR 20180105198 A KR20180105198 A KR 20180105198A KR 20200027190 A KR20200027190 A KR 2020002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noise reduction
toilet
reduction mechanism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456B1 (ko
Inventor
강균희
Original Assignee
(주)베스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큐 filed Critical (주)베스큐
Priority to KR1020180105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변기 소음 저감 기구는 외부면에 나선형으로 위치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가운데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배관 형태의 제1 차음부, 그리고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제2 차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알루미늄 포일이나 비닐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변기 소음 저감 기구{TOILET NOISE RED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사용 후 배출되는 오물로 인한 소음을 줄이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변기는 세정 시 배출되는 물을 이용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세정 시 배출되는 물의 낙수 소음과 변기에서 오수관으로 오물이 배출될 때 발생하는 배출 소음이 발생하여,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큰 소음이 외부로 발생한다.
특히 변기에 존재하는 오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물의 압력이 매우 커야 되므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 역시 매우 크다.
이러한 소음으로 인해,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는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거지의 경우, 변기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이 층간 소음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97391호(공개일자: 2007년 10월 04일, 발명의 명칭: 화장실 변기용 소음방지 이중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변기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는 외부면에 나선형으로 위치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가운데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배관 형태의 제1 차음부, 그리고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제2 차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알루미늄 포일이나 비닐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차음부를 제1 차음부에 위치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탄성 밴드나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내부면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음부의 내부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차음부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는 상기 제2 차음부가 위치하는 제1 차음부와 결합되는 장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유닛은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출 구멍과 접하게 위치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있는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1 부분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기의 걸림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 차음부와 제2 차음부의 이중구조로 인해, 변기의 소음 감소 효과가 크게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변기에 연결된 배관 속에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배관 형태의 차음기가 설치되므로, 오물 배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배관 속에 위치하는 차음기로 인한 배관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별도의 도구없이, 단순히 회전 동작만으로 차음기를 배수 트랩에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하므로, 차음기의 시공이나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한 변기 소음 저감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변기 소음 저감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한 변기 소음 저감 기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구비된 제2 차음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각각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를 이용할 때, 변기에서 발생한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로서, 도 7은 등가 소음도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최고 소음도에 대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소음 저감 기구는 변기(100)의 배출구(110)와 통해 있는 장착 유닛(10) 및 상기 장착 유닛(10)에 연결되어 있는 차음기(20)를 구비한다.
장착 유닛(10)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본체(11)와 본체(11)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결합부(12)를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 유닛(10)은 플라스틱(plastic)과 같이 가볍고 견고한 합성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의 가운데 부분에는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멍(H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 구멍(H11)은 결합부(12)를 관통해 있다. 이로 인해, 결합부(12)의 가운데 부분 역시 배출 구멍(H11)이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 구멍(H11)은 변기(100)의 배출구(110)와 연결되어 있어,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이 차음기(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체(11)는 배출 구멍(H11)의 주변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결 구멍(H12) 및 인접한 두 연결 구멍(H12)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가운데 관통구인 빈 구멍을 갖고 있는 복수 개의 결합 돌기(P11)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구멍(H12)과 결합 돌기(P11)를 이용하여, 장착 유닛(10)은 변기(100)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이때, 본체(11)의 지름은 차음기(20)가 삽입되는 오수관(120)의 지름보다 크므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오수관(120)의 상단에 본체(11)가 걸쳐지게 위치한다. 따라서 본체(11)는 결합부(12)에 장착되어 있는 차음기(20)가 오수관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지탱한다.
결합부(12)는 가운데 배출 구멍(H11)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관 형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결합부(12)는 배출 구멍(H11)과 접해 있는 제1 부분(121) 및 제1 부분(121)과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121)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제2 부분(122), 및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위치하여 제2 부분(122)를 제1 부분(121)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 다리(123)를 구비한다.
제1 부분(121)은 본체(11)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출 구멍(H11)은 제1 부분(121)에 에워싸여 있다.
반면, 제2 부분(122)은 제1 부분(121)의 외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연결 다리(123)를 통해 제1 부분(121)의 외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부분(122)의 내부면[즉, 제1 부분(121)의 외부면과 인접한 면]에는 상기 제1 부분(121)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걸림턱(P122)이 일정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중첩되어 있는 공간에는 복수 개의 걸림턱(P122)이 위치한다.
이러한 복수 개의 걸림턱(P122)은 차음기(20)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이다.
차음기(20)는 제1 차음부(21) 및 제1 차음부(21)의 외부에 위치하는 제2 차음부(22)를 구비한다.
제1 차음부(21)는 플라스틱(plastic) 등의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aluminum) 등의 금속과 같이 내구성이 양호하고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가운데에 배출 구멍(H11)과 연결되는 배출 구멍(H21)을 갖는 배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변기(100)의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오물은 제1 차음부(21)를 통해 오수관(120)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본 예의 제1 차음부(21)는 가요성(flexibility)을 갖고 있고 설치가 용이하며, 이를 위한 한 예로서, 제1 차음부(21)는 외부면에 돌기(P21)가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본 예의 제1 차음부(21)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땅 속에 매설되어 있는 오수관(120) 속에 삽입되므로, 오수관(12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한 예로서, 제1 차음부(21)의 외경은 8㎝ 내지 8.5㎝이고 두께는 0.3㎝ 내지 0.7㎝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차음부(21)의 두께가 두껍지 않으므로, 하수관(120) 속에 제1 차음부(21)가 삽입되어 제1 차음부(21)를 통해 오물이 배출되더라도 원활한 오물 배출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오수관(120)의 내경의 크기에 고려하여 가능한 한 큰 내경을 갖는 제1 차음부(21)를 설계하면, 오수관(120)을 통해 오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오물 배출관의 내경 감소 정도는 크지 않는다. 따라서, 본 예의 제1 차음부(21)를 통해 오물 배출이 이루어지더라도 오수관(120)을 통해 오물 배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큰 차이없이 원활한 오물 배출이 이루어진다.
제2 차음부(22)은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접하게 위치한다. 이러한 제2 차음부(22)는 시트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제2 차음부(22)는 제1 차음부(21)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고 있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차음부(22)는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이나 비닐 등과 같이 방수 기능과 가요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시트 형태의 제2 차음부(22)는 원통 형태를 갖는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감싸게 위치한다.
대안적인 예에서, 제2 차음부(22)가 원통 형태를 가질 경우, 제2 차음부(22)의 내부 구멍에 제1 차음부(21)를 삽입한 후 제2 차음부(21)의 외측면에 제2 차음부(22)를 접촉시킨다.
이때,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위치한 제2 차음부(22)와 제2 차음부(22)로 감싸져 있는 제1 차음부(21)의 결합을 위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탄성 밴드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 복수 개의 클램프(clamp)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23)를 이용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2 차음부(22)의 원하는 부분(예, 상단부, 중간부 및 하단부)을 체결 부재(23)로 묶어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제2 차음부(22)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제2 차음부(22)를 부착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제2 차음부(22)의 내부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차음부(21)에 다시 시트 형태나 원통 형태의 제2 차음부(22)를 접합시켜 위치시키므로, 이중의 차음 부재를 구비한 차음기(20)가 완성된다.
본 예의 경우, 제1 및 제2 차음부(21, 22)가 모두 가요성을 갖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오수관(120)의 관 형태에 무관하게 오수관(120)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가 용이하다. 즉, 오수관(120)의 굽은 부분에서도 용이하게 오수관(120)의 형태에 맞게 차음기(20)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또한,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제2 차음부(22)가 위치하더라도 얇은 제2 차음부(22)의 두께로 인해,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P21)는 차음기(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예의 차음기(20)는 제1 차음부(21)의 외부면에 제2 차음부(22)가 위치하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와 달리, 다른 예에서, 제2 차음부(22)는 제2 차음부(2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차음부(22)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차음부(21)의 내부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차음기(20)의 일단은 장착 유닛(10)의 결합부(12)와 결합된다.
즉,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결합부(12)의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공간 속에 차음기(20)의 일단을 삽입한 후 정해진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 차음기(20)를 회전시켜 삽입 동작을 실시한다.
이러한 삽입 동작에 의해, 차음기(20)가 정해진 양만큼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삽입되면,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걸림턱(P122)에 차음기(20)의 외부면에 돌출되게 위치한 돌기(P21)가 걸리게 되어, 장착 유닛(10)에 차음기(20)가 결합된다.
장착 유닛(10)에 결합된 차음기(20)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결합 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차음기(20)를 회전시키면, 나선형으로 위치하는 차음기(20)의 돌기(P21)는 걸림턱(P122)을 따라서 나선형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차음기(20)와 장착 유닛(10)과의 결합 상태의 해제가 시작된다. 이러한 해제 동작으로 인해, 차음기(20)가 걸림턱(P122)이 위치하지 않는 부분까지 회전 이동하여 걸림턱(P122)과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차음기(20)는 완전히 장착 유닛(10)과의 결합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중 구조를 갖는 본 예의 차음기(20)가 변기(100)에 연결된 오수관(120) 속에 위치하게 되면, 오수관(120) 속으로 배출되는 오물의 배출 소리가 크게 감소한다.
본 예의 경우, 오수관(120) 속에 배관 형태의 차음기(20)가 설치되므로, 방음을 위해 오수관(120) 속에 얇은 비닐지를 이용한 경우에 비해 오수관(120)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방음을 위해 오수관(120)에 비닐지를 삽입하는 경우, 비닐지의 얇은 두께 때문에 비닐지의 위치가 오수관(120) 내에서 안정적이지 않고, 이로 인해, 오수관(120) 내에서 비닐지가 꼬이는 현상 등이 발생하며, 비닐지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비닐지를 이용할 경우, 오물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비닐지가 꼬여 있는 부분에서는 오물이 잔존하여 악취가 발생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제공한다.
또한, 비닐지로 인한 오물 배출 문제가 반복될 때, 오수관(120)이 막히게 되어 변기(100)를 뜯어 오수관 교체 등과 같은 공사를 실시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낭비된다.
하지만, 본 예의 차음기(20)의 경우, 배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배관 형태가 안정적으로 유지하므로, 차음기(20)를 통한 오물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진다. 특히, 배관 형태의 제1 차음부(21)의 두께가 오수관(120)의 오물 배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얇으므로, 차음기(20)가 오수관(120) 내부에 삽입되더라도, 오물 배출은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본 예의 차음기(20)는 제1 및 제2 차음부(21, 22)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차음 효과는 더욱더 향상된다.
또한, 별도의 도구없이, 단순히 회전 동작만으로 차음기(20)를 장착 유닛(10)에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할 수 있으므로, 차음기(20)의 시공이나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하다.
다음, 도 7과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변기 소음 저감 기구에 대한 소음 저감 효과를 살펴본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소음 크기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서, 실시예와 비교예를 변기에 장착한 후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7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등가 소음도(equivalent noise level, Leq)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최고 소음도(Lmax)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에서, 그래프(G11-G13)는 비교예 1에 대한 그래프로서, 비교예 1은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저감 기구가 장착되지 않은 오수관이고, 그래프(G21-G22)는 비교예 2에 대한 그래프로서 비교예 2는 원통형의 비닐로 이루어진 소음 저감 기구가 오수관 내에 장착된 경우이며, 그래프(G31-G33)는 실시예에 대한 그래프로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변기 소음 저감 기구가 오수관 내에 장착된 경우이다.
도 7의 경우, 비교예 1보다 비교예 2와 실시예가 등가 소음도가 낮았고, 특히, 800Hz~12.5kHz의 주파수 범위에서 비교예 2와 실시예의 등가 소음도는 비교예 1보다 월등히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와 실시예를 비교할 때, 대부분의 주파수에서 실시예가 비교에 2보다 등가 소음도가 낮았다.
도 8에 도시한 그래프에 도시한 것처럼, 비교예 1 및 2, 그리고 실시예의 경우 발생하는 소음 크기인 최고 소음도(Lmax)는 주파수의 크기가 낮은 경우에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주파수의 크기가 증가하면 비교예 1의 경우가 가장 크고 실시예의 경우가 가장 작게 출력되었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의 실험 그래프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변기 소음 저감 기구가 오수관 내에 장착되면 변기 세정 시 배출되는 물에 의한 소음 저감에 탁월한 효과가 발휘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변기 소음 저감 기구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장착 유닛 11: 본체
12: 결합부 121: 제1 부분
122: 제2 부분 20: 차음기
21: 제1 차음부 22: 제2 차음부
23: 체결 부재 H11: 배출 구멍
H21: 연결 구멍 P21: 돌기
P122: 걸림턱

Claims (9)

  1. 외부면에 나선형으로 위치하는 돌기를 구비하고 있고 가운데에 빈 공간을 구비하는 배관 형태의 제1 차음부, 그리고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접하게 위치하는 제2 차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알루미늄 포일이나 비닐로 이루어져 있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변기 소음 저감 기구는 상기 제2 차음부를 제1 차음부에 위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3. 제2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탄성 밴드인 변기 소음 저감 기구.
  4. 제2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클램프인 변기 소음 저감 기구.
  5. 제1항에서,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음부의 외부면에 접착되어 있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6. 제1항에서,
    상기 제2 차음부는 상기 제1 차음부의 내부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차음부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차음부의 내부면에 접착되어 있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차음부는 가요성을 갖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8. 제1항에서,
    상기 제2 차음부가 위치하는 제1 차음부와 결합되는 장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9. 제8항에서,
    상기 장착 유닛은,
    오물이 배출되는 배출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출 구멍과 접하게 위치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어 있는 제2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의 내부면에서 상기 제1 부분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기의 걸림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 개의 걸림턱
    을 포함하는 변기 소음 저감 기구.
KR1020180105198A 2018-09-04 2018-09-04 변기 소음 저감 기구 KR10219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98A KR102196456B1 (ko) 2018-09-04 2018-09-04 변기 소음 저감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98A KR102196456B1 (ko) 2018-09-04 2018-09-04 변기 소음 저감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90A true KR20200027190A (ko) 2020-03-12
KR102196456B1 KR102196456B1 (ko) 2020-12-30

Family

ID=6980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98A KR102196456B1 (ko) 2018-09-04 2018-09-04 변기 소음 저감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69A1 (ko)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박막 시편의 물성 평가방법 및 인장시험 테스트용 박막 시편
KR20230109283A (ko) * 2022-01-13 2023-07-20 고준성 변기의 냄새 역류 및 소음 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781A (ja) * 2002-04-24 2003-11-06 Nitto Denko Corp 防音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1058A (ko) * 2004-12-21 2006-06-26 한규진 화장실 배수관 파이프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성형경화비닐
KR20070092354A (ko) * 2006-03-09 2007-09-13 영보화학 주식회사 흡음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흡음 파이프 구조체
KR20070097391A (ko) 2007-09-05 2007-10-04 박종남 화장실 변기용 소음방지 이중관
KR101668582B1 (ko) * 2016-06-23 2016-10-21 차호준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4781A (ja) * 2002-04-24 2003-11-06 Nitto Denko Corp 防音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71058A (ko) * 2004-12-21 2006-06-26 한규진 화장실 배수관 파이프의 소음을 줄이기 위한 성형경화비닐
KR20070092354A (ko) * 2006-03-09 2007-09-13 영보화학 주식회사 흡음 파이프 커버 구조체 및 흡음 파이프 구조체
KR20070097391A (ko) 2007-09-05 2007-10-04 박종남 화장실 변기용 소음방지 이중관
KR101668582B1 (ko) * 2016-06-23 2016-10-21 차호준 좌변기의 배수관 소음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7569A1 (ko)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박막 시편의 물성 평가방법 및 인장시험 테스트용 박막 시편
KR20230109283A (ko) * 2022-01-13 2023-07-20 고준성 변기의 냄새 역류 및 소음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456B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3215A (en) Decorative escutcheon capable of inhibiting the propagation of noise
KR20200027190A (ko) 변기 소음 저감 기구
JP2016050468A (ja) トイレ装置、及び、大便器ユニット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JP2009504954A (ja) 下水溝防臭トラップ
KR100954013B1 (ko) 배수트랩
US20070143912A1 (en) Drain-Clearing Device and System
JP6194505B2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EP3255216A1 (en) Odour trap
JP2007138654A (ja) 排水トラップ
KR20150017876A (ko) 씽크대용 악취차단장치
KR200436876Y1 (ko) 소음방지용 배수관
KR102089765B1 (ko) 패킹
JP4967099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JP579374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JP6300175B2 (ja) 衛生設備機器の掃除口蓋及びそれを備えた衛生設備機器
KR100861862B1 (ko) 머리카락 걸림 방지 기능의 배수구 필터장치
JP2019141547A (ja) 仮設トイレ
KR20190045632A (ko) 하수관 연결구
US20230193612A1 (en) Splash and Noise Reduction Assembly for Toilets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WO2019211648A1 (en) Waterless waste valve
KR20230117024A (ko) 악취 차단용 배수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