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70A -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70A
KR20200027170A KR1020180105140A KR20180105140A KR20200027170A KR 20200027170 A KR20200027170 A KR 20200027170A KR 1020180105140 A KR1020180105140 A KR 1020180105140A KR 20180105140 A KR20180105140 A KR 20180105140A KR 20200027170 A KR20200027170 A KR 2020002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ghting
recognized
lights
ligh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907B1 (ko
Inventor
김범준
최성식
김규헌
Original Assignee
(주) 수호이미지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수호이미지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 수호이미지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0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의 종류 및 움직임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의 밝기를 각각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Parking Light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의 종류 및 움직임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의 밝기를 각각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트 혹은 아파트단지 등의 대형 주차장은 복수의 조명이 설치되어 주차장에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조명의 경우 사람 혹은 차량이 지나다니지 않는 구역에까지 일률적으로 조명을 제공하게 되어 불필요한 에너지가 소모된다. 특히 마트 등의 주차장의 경우 이용객의 수에 따라 마트의 출입구에서 먼 쪽의 주차공간에는 사람 혹은 차량이 접근하지 않아, 지속적으로 조명을 유지하는 경우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한다.
이처럼 사람의 인적이 드문 장소에 조명을 제공하는 경우 적외선 모션 센서 등을 사용하여 움직임이 검출되는 경우 조명을 켜고, 기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조명이 꺼지는 센서조명이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센서조명의 경우, 센서조명 단독으로 감지한 움직임에 따라 센서조명을 켜고 끄지만, 다른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지 못해 움직임에 따른 조명의 범위가 협소하고, 주차장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서 사람 혹은 차량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의 종류 및 움직임에 따라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의 밝기를 각각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차장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대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과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시스템은, 설치된 위치에서 주차장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의 조명; 및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은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밝기가 제어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카메라시스템의 설치위치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MCU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MCU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 및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를 구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인식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서버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매핑정보는,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MCU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모드결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alive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여부 및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상기 서버의 응답패킷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 및 서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1모드;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2모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매핑정보는,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라우터를 통해 다른 카메라모듈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혹은 다른 카메라모듈로부터 객체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를 통해 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조명을 동시에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 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카메라시스템이 매핑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서버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정상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를 구별하여 객체에 따라 조명 구역 및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이 주차장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CU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결정부의 동작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인식부의 객체 인식을 위한 영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인식부의 객체 인식을 위한 영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매핑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매핑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은 주차장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대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메라시스템(1000);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1000)과 라우터(2000)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3000); 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3000)는 라우터(2000)를 통해 N개의 카메라시스템(1000)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이 설치된 주차장에 대해 조명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설치된 위치에서 주차장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의 조명(200); 및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카메라모듈(100);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주차장 내에 이동하는 사람, 차량 등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연결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조명(200)은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밝기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명(200)은 밝기의 단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임이 바람직하고, 이는 LED를 이용한 조명으로 구성되어 상기 LED의 제어회로에서 상기 LED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상기 서버(3000)로 인식한 객체에 대한 객체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3000)는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조명의 제어에 관한 정보를 상기 카메라모듈(100)로 전송함으로써 연결된 조명(2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이 주차장에 설치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이 설치된 주차장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와 같은 주차장은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구역과,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주차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이동구역은 도로와 같이 교차로 등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차로에는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의 카메라모듈(100)이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상기 교차로에 설치되어 인근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조명(2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주차장에서는 좌측 상단의 교차로에 카메라모듈#1(100.1)이 설치되어 있고, 좌측 하단의 교차로에 카메라모듈#2(100.2)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 상단의 교차로에 카메라모듈#3(100.3)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 하단의 교차로에 카메라모듈#4(10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카메라시스템(1000)은 각각 카메라모듈(100)과,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연결된 6개의 조명(20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모듈#1(100.1)에는 조명 1-1. 조명 1-2, 조명 1-3, 조명 1-4, 조명 1-5 및 조명 1-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2(100.2)에는 조명 2-1. 조명 2-2, 조명 2-3, 조명 2-4, 조명 2-5 및 조명 2-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3(100.3)에는 조명 3-1. 조명 3-2, 조명 3-3, 조명 3-4, 조명 3-5 및 조명 3-6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모듈#4(100.4)에는 조명 4-1. 조명 4-2, 조명 4-3, 조명 4-4, 조명 4-5 및 조명 4-6이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카메라시스템(1000)에서는 카메라모듈(100)을 중심으로 십자로 6개의 조명이 연결되고, 각각의 카메라시스템(1000)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주차장의 곳곳에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차장의 각 구역에 설치된 조명은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제어를 받고,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서버(3000)에 연결되어 상기 서버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서버(3000)는 주차장의 모든 조명에 대해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와 같은 주차장에서 카메라모듈#1(100.1)에서 인식된 객체정보에 의해 카메라모듈#1(100.1)에 직접 연결된 조명 1-1, 조명 1-2, 조명 1-3, 조명 1-4, 조명 1-5 및 조명 1-6 뿐만 아니라, 인접한 조명 2-3, 조명 3-1 및 조명 3-2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의 설치위치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110);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MCU부(120);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130);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140); 상기 카메라모듈(100)이 설치된 구역의 주차가능 구역 존재 여부를 표시하는 만공차등(150); 및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16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의 설치위치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ccd 혹은 cmos를 이용하여 전기신호로 구성된 영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MCU부(12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MCU부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이 연결된 상기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MCU부(120)는 상기 카메라부(110)에서 생성된 영상정보에서 객체를 인식하거나, 연결된 조명(2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2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130)은 라우터(2000)를 통해 상기 서버(30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통신모듈(130)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3000)와 TCP/IP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140)은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제2통신모듈(140)은 상기 조명(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된 상기 조명(200)의 제어장치에 제어명령을 송신하거나, 혹은 연결된 상기 조명(200)의 전원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상기 조명(2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만공차등(150)은 상기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인근의 주차구역 중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MCU부(120)는 상기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인근의 주차구획 각각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인근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이 있는 경우 주차를 원하는 차량의 운전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통해 주차 가능한 주차구역이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만공차등(150)을 포함하여 상기 MCU부(120)가 상기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인근의 주차구역에 대한 차량의 주차여부를 파악하는 경우, 파악한 상기 차량의 주차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3000)로 전송하여, 서버에서 상기 주차장의 주차구역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MCU부에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혹은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CU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MCU부(120)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모드결정부(121);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122); 및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123);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3000)로 alive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여부 및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상기 서버의 응답패킷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 및 서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1모드;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2모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3000)로 alive패킷을 전송하고, 상기 서버(3000)로부터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가 서버(3000)와 정상적으로 alive패킷 및 응답패킷을 송수신 하는 경우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파악하여 상기 서버(300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1000)이 제어되는 제1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3000)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다른 카메라시스템(1000)과 연계하여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거나, 혹은 카메라시스템(1000) 단독으로 직접 연결된 조명에 대해서만 제어를 수행하는 제3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객체인식부(122)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를 구별하고,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객체인식부(122)는 상기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영상정보에 촬영된 영역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의 대상이 차량인지, 혹은 사람인지 여부를 구별하여 움직이는 객체의 종류를 파악한다. 또한, 상기 움직임의 방향을 파악해 냄으로써, 상기 움직임의 방향성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객체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인식부(122)는 경사지향 히스토그램(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알고리즘 및 LBP(Local Bit Patter)을 이용한 Adaboos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객체를 파악해 내고,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상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고, 상기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외부의 서버(3000)등으로부터 상기 조명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연결된 조명(200)을 제어하거나, 혹은 상기 카메라모듈(100) 자체에 기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조명(2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조명(200)에 대한 제어는 상기 인식한 객체의 종류 및 움직임에 따라 상기 조명(200)의 밝기를 각각 다르게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객체정보에 대해 조명(200) 각각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매핑정보는 상기 객체인식부(122)에서 인식한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의 다양한 조합에 대해 각각의 조명(200)의 밝기에 대한 정보를 대응시켜놓은 자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상기 매핑정보에서 상기 객체정보에 대응되는 조명(200)의 밝기를 찾아서 불러오는 방식으로 상기 조명(200)의 밝기에 대한 제어 목표 밝기를 설정하여 제어명령을 직접 생성하거나, 혹은 상기 매핑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한 서버(3000)로부터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매핑정보에는 상기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최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조명(200)의 밝기가 도출되어 저장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모드결정부의 동작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3000)로 alive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여부 및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상기 서버의 응답패킷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상기 서버(3000)로 alive패킷을 송신한다(S10).
이후, 상기 동작모드결정부(121)는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 여부를 확인한다(S20).
상기 alive패킷이 정상 송신된 경우,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S30).
상기 응답패킷이 정상수신 되는 경우, 상기 라우터(2000)를 통한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원활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1000) 및 서버(300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1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40). 이 후, 기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다시 alive패킷을 송신하여(S10)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 응답패킷이 정상수신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100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2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50). 이 후, 기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다시 alive패킷을 송신하여(S10)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 alive패킷이 정상송신 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라우터(2000)를 통한 네트워크에의 접근 또한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에 의해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3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60). 이 후, 기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다시 alive패킷을 송신하여(S10)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 주기적으로 alive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여부 및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응답패킷의 수신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을 확인하고,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지속적, 안정적으로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은,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버(3000)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3000)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200)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00)로 전달하고, 상기 매핑정보는,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의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부(110)의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한다(S100).
영상정보로부터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은 라우터(2000)를 통해 서버(3000)로 인식된 객체의 객체정보를 전달한다(S200). 상기 객체정보는 인식된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이동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서버(3000)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전달 받은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00). 상기 서버(3000)는 상기 매핑정보에서 전달 받은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제어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서버(3000)는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카메라시스템(1000)으로 전달한다(S400). 이 때 상기 서버(3000)는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상기 객체를 인식한 카메라시스템#1(1000.1) 뿐만 아니라, 다른 카메라시스템#2(1000.2)에도 전달한다. 이를 통해 객체를 인식한 경우, 상기 객체를 인식한 카메라시스템#1(1000.1) 뿐만 아니라 다른 카메라시스템#2(1000.2)에 연결된 조명(200)까지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달 받은 카메라시스템(1000) 각각은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조명(200)을 제어한다(S50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은 주차장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000)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3000)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라우터(2000)를 통해 다른 카메라모듈(1000)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혹은 다른 카메라모듈(1000)로부터 객체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200)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의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부(110)의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한다(S100).
영상정보로부터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은 라우터(2000)를 통해 다른 카메라시스템#2(1000.2)로 인식된 객체의 객체정보를 전달한다(S210). 상기 객체정보는 인식된 객체의 종류 및 상기 객체의 이동의 방향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 각각은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전달 받은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10).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서버(3000)로부터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메모리부(14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매핑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상기 매핑정보에서 전달 받은 객체정보(혹은 스스로 인식한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제어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 각각은 연결된 조명(200)을 제어한다(S50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은 주차장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모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3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000)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3000)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200)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123)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200)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의 카메라모듈(100)은 카메라부(110)의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한다(S100).
영상정보로부터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인식한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한다(S310).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서버(3000)로부터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메모리부(14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주기적으로 매핑정보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상기 서버(3000)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저장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은 상기 매핑정보에서 인식한 객체정보에 대응하는 조명의 제어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조명에 대한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시스템(1000) 각각은 연결된 조명(200)을 제어한다(S50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은 주차장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인식부의 객체 인식을 위한 영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시스템(100)의 카메라부(110)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의 일 예이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촬영되는 주차장에 방위, 혹은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카메라시스템(100)은 촬영된 상기 영상에서 왼쪽을 L, 오른쪽을 R, 위쪽을 U, 아래쪽을 D와 같이 기설정된 식별부호 등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촬영된 상기 영상정보에서 L 방향에서 C 방향으로 차량(10)이 접근하고 있고, 도 10의 예에서는 촬영된 상기 영상정보에서 C 방향에서 L 방향으로 사람(20)이 멀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영상정보로부터 상기 객체인식부(122)는 움직이고 있는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가 사람인지 혹은 차량인지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이 어느 방향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악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는 객체의 종류 및 방향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서버(3000) 등으로 전송되어, 상기 객체의 움직임에 따라 최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제어정보를 도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객체의 정보는 (차량, L -> C)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객체의 정보는 (사람, C -> L)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매핑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의 (a)에는 도 2에 도시된 주차장의 카메라시스템(1000) 중 카메라시스템#1(1000.1)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카메라시스템#1(1000.1)의 카메라모듈#1(100.1)은 주차장에서 차량의 이동구획의 교차로에 위치하여, 상기 교차로 인근에 설치되어 있는 6개의 조명을 제어한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시스템#1(1000.1)은 카메라모듈#1(100.1)의 네 방향을 L, R, U, D의 기호로 식별하고, 카메라모듈#1(100.1)이 위치한 중앙을 C의 기호로 식별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1(100.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먼 순서대로 1, 2, 3, 4의 구역으로 구분한다.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의 조명 중 조명 1-1 및 조명 1-2는 L 방향에 설치되어 있고, 조명 1-3은 U방향, 조명 1-4는 D방향, 조명 1-5 및 조명 1-6은 R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의 (b)에는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에 대한 매핑정보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매핑정보의 1열에는 객체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2열부터 7열까지는 각각의 조명에 대한 밝기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1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매핑정보 중 객체정보를 보면 1행의 PLC1은 인식된 객체가 사람(P)이고, L방향으로부터 C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1 구역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객체정보 중 6행의 VLC3은 인식된 객체가 차량(V)이고, L 방향으로부터 C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3 구역의 거리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매핑정보를 살펴보면 PLC1의 상황, 즉 사람이 L 방향의 1구역에서 C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사람이 조명 1-1의 인근에서 조명 1-2 방향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매핑정보에 의하면 PLC1의 상황에서 조명 1-1은 60%의 밝기, 조명 1-2는 40%의 밝기, 조명 1-3, 조명 1-4, 조명 1-5, 및 조명 1-6은 30%의 밝기로 대응되어 있다. 즉, 상기 사람이 위치한 곳에서부터 가까운 조명은 밝게, 먼 곳의 조명은 어둡게 유지하여, 사람이 이동하는데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면서도, 사람의 이동에 필요하지 않은 조명은 차단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PLC2의 상황에서 사람은 조명 1-1과 조명 1-2 사이에서 조명 1-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매핑정보에 의하면 조명 1-1 및 조명 1-2는 60%의 밝기, 조명 1-3, 조명 1-4, 조명 1-5는 40%의 밝기, 조명 1-6은 30%의 밝기로 대응되어 있다. 상기 PLC1과 비교하면 조명 1-2의 밝기가 40%에서 60%로 밝아졌고, 조명 1-3, 조명 1-4 및 조명 1-5의 밝기가 30%에서 40%로 밝아졌다, 이는 인식된 사람이 상기 카메라모듈#1(100.1)에 더욱 가까워졌기 때문에, 조명 1-3 내지 조명 1-6 또한 가까워진 결과 조명의 밝기가 밝아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매핑정보에 의하면 인식된 객체의 위치에 따라 조명을 제어하여, 상기 객체에 필요한 조명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PLC3의 상황에서 사람은 조명 1-2의 인근에서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매핑정보에 의하면 조명 1-1은 40%의 밝기, 조명 1-2는 60%의 밝기, 조명 1-3, 조명 1-4 및 조명 1-5는 50%의 밝기, 조명 1-6은 40%의 밝기로 대응되어 있다. 상기 PLC2와 비교하면 조명 1-3 내지 조명 1-6의 밝기가 10%씩 밝아졌고, 조명 1-1은 60%에서 40%로 어두워졌다. 이 때, 상기 조명 1-1은 상기 조명 1-3 내지 조명 1-5와 비교하여 인식된 사람과의 거리는 비슷하지만, 밝기는 더 어둡다. 이는 인식된 사람이 조명 1-2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100.1)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인식된 사람의 이동하는 반대방향이기 때문에, 밝은 조명이 필요 없어 밝기를 어둡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식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명의 밝기를 조절하여, 객체에 필요한 조명을 제공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VLC1, VLC2 및 VLC3의 상황, 즉 차량이 인식된 경우 역시 PLC1, PLC2 및 PLC3의 상황과 유사하게 조명의 밝기가 제어된다.
다만, 차량의 경우, 사람에 비해 이동속도가 빠르고, 차량에 탑승한 사람이 차량의 유리 등을 통해 차량의 외부를 보기 때문에, 더욱 먼 곳까지 더욱 밝은 조명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인식된 경우인 VLC1, VLC2 및 VLC3의 상황은 PLC1, PLC2 및 PLC3의 상황에 비해 각 조명의 밝기가 더욱 밝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매핑정보에 의하면 VLC1, VLC2 및 VLC3의 상황에서는 가장 밝은 조명이 100%의 밝기까지 제어되고, 전반적으로 상기 PLC1, PLC2 및 PLC3의 상황에 비해 30 내지 40%정도 밝게 제어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매핑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매핑정보를 통해 인식된 객체의 상황 별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매핑정보의 데이터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조명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상기 도 11의 (a)와 같이 카메라시스템#1(1000.1)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카메라시스템#1(1000.1)이 설치 된 주차장에 자동차가 주차 가능한 빈자리(30)가 있는 경우, 상기 주차장에 진입한 자동차가 상기 빈자리(30)를 쉽게 찾아서 갈 수 있도록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의 (a)에서와 같이 상기 빈자리(30)는 조명 1-4의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도 12의 (b)에는 차량이 상기 빈자리(30)를 용이하게 찾아 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조명의 매핑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매핑정보는 사람이 인식되는 PLC1, PLC2 및 PLC3의 경우에는 상기 도 11의 (b)에 도시된 매핑정보와 동일하다,
반면, 차량이 인식되는 VLC1, VLC2 및 VLC3의 경우 상기 도 11의 (b)에 도시된 매핑정보와는 차이가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VLC1의 경우, 조명 1-3 및 조명 1-5의 밝기가 도 11의 (b)에서는 60%였지만, 도 12의 (b)에서는 40%이다. 또한 VLC2의 경우 조명 1-3 및 조명 1-5의 밝기가 도 11의 (b)에서는 70%였지만, 도 12의 (b)에서는 60%이고, VLC3의 경우 조명 1-3 및 조명 1-5의 밝기가 도 11의 (b)에서는 80%였지만, 도 12의 (b)에서는 60%이다. 이와 같이 도 12의 (b)의 실시예에서는 조명 1-3 및 조명 1-5의 밝기가 10 내지 20% 정도 어둡게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메라모듈#1(100.1)이 위치한 사거리에서 조명 1-3 및 조명 1-5가 조명 1-4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둡게 제어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는 용이하게 조명 1-4의 방향에 빈자리(30)가 위치함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밝게 제어되는 조명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빈자리(30)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차량을 빈자리(30)가 아닌 주차장의 출구 등으로 조명을 통해 유도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카메라모듈(100)의 카메라부(110) 등을 통해 주차장의 차량을 추적하여 상기 차량이 주차를 위해 들어온 차량인지, 주차 후 나가는 차량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의 밝기 제어를 통해 인식된 차량을 특정 장소로 유도하여 차량에 대한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를 통해 주차장의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조명을 동시에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인식을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제어 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카메라시스템이 매핑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서버와의 연결이 끊기더라도 정상적으로 조명을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를 구별하여 객체에 따라 조명 구역 및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주차장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주차장에 대한 조명을 제공하는 복수의 카메라시스템;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과 라우터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시스템은,
    설치된 위치에서 주차장에 빛을 제공하는 복수의 조명; 및
    주차장 내의 객체를 인식하고,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조명은 인식된 상기 객체에 기초하여 밝기가 제어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카메라시스템의 설치위치에 대한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MCU부;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모듈;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모듈; 및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 를 포함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MCU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객체인식부; 및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인식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를 구별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객체인식부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파악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에 기초하여 밝기를 다르게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서버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매핑정보는,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MCU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모드결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결정부는,
    기설정된 시간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 alive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alive패킷의 정상송신여부 및 상기 alive패킷에 대한 상기 서버의 응답패킷 수신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 및 서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1모드;
    상기 복수의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2모드; 및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의해 상기 카메라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3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서버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기저장된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카메라모듈로 전달하고,
    상기 매핑정보는,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라우터를 통해 다른 카메라모듈로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를 전달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혹은 다른 카메라모듈로부터 객체정보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상기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모드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은,
    기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서버로부터 인식한 상기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움직임의 방향성에 대해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정보가 대응되어 있는 매핑정보를 전송 받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객체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매핑정보 및 인식한 객체가 차량인지 여부 및 인식한 객체의 움직임의 방향성을 포함하는 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조명에 대한 조명제어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조명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연결된 상기 복수의 조명 각각에 대한 밝기 제어를 수행하는,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KR1020180105140A 2018-09-04 2018-09-04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KR10218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40A KR102186907B1 (ko) 2018-09-04 2018-09-04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40A KR102186907B1 (ko) 2018-09-04 2018-09-04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70A true KR20200027170A (ko) 2020-03-12
KR102186907B1 KR102186907B1 (ko) 2020-12-04

Family

ID=6980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40A KR102186907B1 (ko) 2018-09-04 2018-09-04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9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642A (ko) * 2011-03-16 2012-09-26 장보영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6189A (ko) * 2015-07-07 2017-01-17 (주)티플러스 카메라 연동 led 조명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5642A (ko) * 2011-03-16 2012-09-26 장보영 지능형 주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6189A (ko) * 2015-07-07 2017-01-17 (주)티플러스 카메라 연동 led 조명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907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44798B (zh) 用于乘客运输控制的传感器融合
JP6629205B2 (ja) 隣接する照明器具及び/又は接続されたデバイスからのステータス情報に基づく適合検出設定を備えるセンサネットワーク
US111577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elevated object situated within a parking facility
US10573179B2 (en)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ng guidance system and illuminating guidance method
JP6805363B2 (ja) 駐車場内に存在する隆起した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185146B1 (ko) 차량에서 조작자의 제스처를 검출하기 위한 범용 센서 장치
CN102946663A (zh) 一种图像识别智能照明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70206785A1 (en) Vision sensing system for smart parking
KR101204374B1 (ko) 피엘씨 통신방식을 이용한 주차장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00713B1 (ko)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CN103917411A (zh) 用于分组照明单元的方法和设备
KR101453806B1 (ko)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디밍제어시스템
KR20210048132A (ko) 인공지능 기반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인식기를 구비한 주차 차단기 및 그 구성 방법
US110805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elevated object situated within a parking facility
KR20150095226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
KR102007162B1 (ko) 360° 전방위 cctv 카메라와 클라우딩 시스템을 활용한 통합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186907B1 (ko) 주차조명 제어 시스템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CN108091161A (zh) 用于探测位于停车场内的突起对象的方法和系统
KR101651368B1 (ko) 지하주차장 제어 방법
TWI584691B (zh) 照明控制系統及照明裝置的控制方法
KR101673799B1 (ko) 지하주차장 다중 조명 시스템
KR20150057072A (ko) 카메라를 이용한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4596B1 (ko) 건물의 절전제어시스템
CN111867219A (zh) 太阳能路灯控制系统及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