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523A -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523A
KR20200026523A KR1020180104558A KR20180104558A KR20200026523A KR 20200026523 A KR20200026523 A KR 20200026523A KR 1020180104558 A KR1020180104558 A KR 1020180104558A KR 20180104558 A KR20180104558 A KR 20180104558A KR 20200026523 A KR20200026523 A KR 2020002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ir
corner
corner member
finish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4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6523A/ko
Publication of KR2020002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41Elements for window or door openings, or for corner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83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otatable locking means co-operating with a re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은 내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외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외장재를 구비하며,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 상기 외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단열재; 상기 외측 외장재와 상기 외부단열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단열재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보드; 상기 내측 외장재와 상기 마감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마감보드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터드; 상기 한 쌍의 패널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코너부재; 및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마감보드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코너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Heat bridge prevention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주택의 코너부위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습한 공기가 노점온도 이하의 구조체에 접촉되면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이 발생한다. 일례로 건물의 벽체 내외부 온도가 일정 정도 이상 차이 날 경우에 통상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더운 실내공기가 차가운 벽면에 접촉하여 수분이 발생하는 벽체의 결로 현상은 그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특히 벽체와 지붕 또는 바닥의 접합부위, 창문 또는 창틀 주위, 벽의 모서리 부위, 건물의 테두리보, 발코니의 돌출부위, 지하실 벽체 모서리와 같이 건물의 단열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벽체 코너부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부분은 열 적으로 취약하여 내부 열에너지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쉽지만 외부의 찬 공기가 쉽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그 표면온도가 낮아져 결로 현상이 쉽게 나타난다.
한편, 상기한 벽체의 결로 현상은 벽지 등에 얼룩을 발생시켜 미관을 해침은 물론 곰팡이의 발생원인이 되고, 피부염이나 호흡기 질환 등 각종 질병 발병률을 크게 높임과 동시에 건물의 구조적 특성을 크게 약화시킨다. 이에 벽체 코너부의 결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6476(2005.01.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주택의 코너부위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은 내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외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외장재를 구비하며,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 상기 외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단열재; 상기 외측 외장재와 상기 외부단열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단열재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보드; 상기 내측 외장재와 상기 마감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마감보드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터드; 상기 한 쌍의 패널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코너부재; 및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마감보드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코너부재; 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부재는 제1본체부와, 상기 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장재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코너부재는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본체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우레탄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2코너부재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의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마감보드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부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일면이 상기 제2본체부와 맞대어지고, 타면이 상기 마감보드와 맞대어지는 제2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부분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는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상기 마감보드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제4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장재에는 상기 패널과 수평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패널을 연결 및 고정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내장재의 일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제1잠금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장재의 타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어 회전도구에 의해 상기 제1몸체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장재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갈고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돌출된 상기 갈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1코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서로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을 상기 제1코너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외측 외장재에 이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외부단열재를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도록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2코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측 외장재에 스터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스터드에 마감보드를 결합하는 단계; 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조립식주택의 코너부위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은 조립식주택의 코너부위에 구비되어 조립식주택의 외벽을 형성함과 동시에 코너부위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교방지시스템은 한 쌍의 패널(100), 외부단열재(200), 이격부재(300), 마감보드(400), 스터드(500), 제1코너부재(600) 및 제2코너부재(7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패널(100)은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수직으로 이웃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패널(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패널(100)은 내장재(110), 내장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외장재(120) 및 내장재(110)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외장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내장재(110)를 중심으로 양면에 내측 외장재(120)와 외측 외장재(130)가 맞대어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단열재(200)는 패널(100)의 외측 외장재(13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단열효과를 발휘하여 외기가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격부재(300)는 외측 외장재(130)와 외부단열재(200)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단열재(2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격부재(300)에 의해 외부단열재(200)와 패널(10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외부단열재(200)에 직접 전달된 외기가 패널(1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감보드(400)는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터드(500)는 내측 외장재(120)와 마감보드(400) 사이에 구비되며 마감보드(400)이 패널(100)에 지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감보드(4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스터드(500)에 의해 패널(100)과 마감보드(40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패널(100)에 전달된 외기가 마감보드(40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거나 마감보드(400)에 전달된 실내공기가 패널(100)을 통해 직접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코너부재(600)는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00)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열효과를 발휘하여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통한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코너부재(6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제1본체부(610)와 제1결합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본체부(610)는 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이격부재(300)에 의해 외부단열재(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패널(100)과 결합할 시 내측 외장재(120)와 외측 외장재(130)의 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다. 제1결합부(620)는 패널(100)과 마주보는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데 한 쌍의 패널(100)이 수직으로 이웃하도록 구비되므로 제1결합부(620)도 수직으로 이웃하는 제1본체부(610)의 일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620)는 패널(100)과 결합할 시 본체의 내장재(110)와 맞대어지고 양측에 내측 외장재(120)와 외측 외장재(13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코너부재(600)와 패널(100)은 제1본체부(610)에서 돌출된 형태의 제1결합부(620)가 오목한 형태의 패널(100)의 측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코너부재(700)는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고 마감보드(400)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코너부재(700)는 제2본체부(710)와 제2결합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본체부(710)는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일면이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각각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본체부(710)의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타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에 마감보드(400)의 모서리가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720)는 제2본체부(710)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며 제2본체부(710)와 마감보드(400)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고 마감보드(4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7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2결합부(720)는 제2본체부(710)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부분(721), 한 쌍의 제1부분(721)의 일측에서 각각 연장되며, 일면이 상기 제2본체부(710)와 맞대어지고, 타면이 상기 마감보드(400)와 맞대어지는 제2부분(722), 한 쌍의 제1부분(721)의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는 제3부분(723) 및 제3부분(723)에서 연장되어 내측 외장재(120)와 마감보드(400)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제4부분(7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제2코너부재(700)는 스터드(500)와 마찬가지로 마감보드(4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감보드(40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코너부재(600)와 제2코너부재(700)를 구비함으로써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코너에서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은 내장재(110)와, 상기 내장재(110)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외장재(120)와, 상기 내장재(110)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외장재(130)를 구비하며,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00), 외측 외장재(13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단열재(200), 외측 외장재(130)와 외부단열재(200) 사이에 구비되어 외부단열재(2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재(300), 내측 외장재(120)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보드(400), 내측 외장재(120)와 마감보드(400) 사이에 구비되어 마감보드(4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터드(500), 한 쌍의 패널(100)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코너부재(600) 및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고 마감보드(400)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코너부재(7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코너부재(600)는 제1본체부(610) 및 패널(100)과 마주보는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내장재(110)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결합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본체부(610)는 각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내부공간(61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본체부(610)의 내부공간(611)에는 우레탄(630)이 충진되어 제1코너부재(600)의 단열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열교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잠금장치(8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교방지시스템의 잠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패널(100)은 내장재(110), 내측 외장재(120) 및 외측 외장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내장재(110)에는 패널(100)과 수평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을 연결 및 고정하는 잠금장치(800)가 구비될 수 있다.
잠금장치(8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잠금장치(800)는 내장재(110)의 일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1잠금부(810) 및 제1잠금부(8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내장재(110)의 타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2잠금부(820)를 구비할 수 있다. 패널(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잠금부(810)는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의 타측면에 구비된 제2잠금부(820)와 연결되어 패널(100)과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잠금부(810)는 제1몸체(811) 및 제1몸체(811)와 연결되는 갈고리(8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갈고리(812)는 제1몸체(811)를 축으로 회전하여 내장재(110)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갈고리(812)를 제1몸체(811)를 축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회전도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패널(100)에는 회전도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잠금부(820)는 제2몸체(821) 및 제2몸체(821)의 내부에 구비되는 걸림돌기(822)를 구비할 수 있다. 패널(100)의 걸림돌기(822)에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의 내장재(110)로부터 돌출된 갈고리(812)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패널(100)과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을 상호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패널(100)과 이웃하는 또 다른 패널(100) 간의 상호 연결을 해제하고자 할 시에는 별도의 회전도구를 사용하여 갈고리(812)를 회전시켜 걸림돌기(822)로부터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100)과 이웃하는 패널(100)의 연결 및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조립식주택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1코너부재(600)를 설치하는 단계(S110), 서로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00)을 제1코너부재(600)에 결합하는 단계(S120), 패널(100)의 외측 외장재(130)에 이격부재(300)를 설치하는 단계(S130), 외측 외장재(130)와 마주보도록 외부단열재(200)를 이격부재(300)에 결합하는 단계(S140),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도록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2코너부재(700)를 설치하는 단계(S150), 내측 외장재(120)에 스터드(500)를 설치하는 단계(S160) 및 내측 외장재(120)와 마주보도록 스터드(500)에 마감보드(400)를 결합하는 단계(S17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코너부재(600)는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100)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열효과를 발휘하여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통한 열교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코너부재(60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제1본체부(610)와 제1결합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본체부(610)는 패널(100)과 마찬가지로 이격부재(300)에 의해 외부단열재(200)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패널(100)과 결합할 시 내측 외장재(120)와 외측 외장재(130)의 측면이 맞대어질 수 있다. 제1결합부(620)는 패널(100)과 마주보는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데 한 쌍의 패널(100)이 수직으로 이웃하도록 구비되므로 제1결합부(620)도 수직으로 이웃하는 제1본체부(610)의 일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620)는 패널(100)과 결합할 시 본체의 내장재(110)와 맞대어지고 양측에 내측 외장재(120)와 외측 외장재(13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코너부재(600)와 패널(100)은 제1본체부(610)에서 돌출된 형태의 제1결합부(620)가 오목한 형태의 패널(100)의 측면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제2코너부재(700)는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고 마감보드(400)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코너부재(700)는 제2본체부(710)와 제2결합부(7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본체부(710)는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일면이 패널(100)의 내측 외장재(120)와 각각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본체부(710)의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타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단턱에 마감보드(400)의 모서리가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720)는 제2본체부(710)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며 제2본체부(710)와 마감보드(400) 사이에 위치하여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고 마감보드(400)와 결합할 수 있다. 제2결합부(7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제2결합부(720)는 제2본체부(710)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부분(721), 한 쌍의 제1부분(721)의 일측에서 각각 연장되며, 일면이 상기 제2본체부(710)와 맞대어지고, 타면이 상기 마감보드(400)와 맞대어지는 제2부분(722), 한 쌍의 제1부분(721)의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어 내측 외장재(120)와 맞대어지는 제3부분(723) 및 제3부분(723)에서 연장되어 내측 외장재(120)와 마감보드(400)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제4부분(7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제2코너부재(700)는 스터드(500)와 마찬가지로 마감보드(400)가 패널(10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함과 동시에 마감보드(400)의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코너부재(600)와 제2코너부재(700)를 구비함으로써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이중으로 형성하여 코너에서의 열교차단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교방지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패널 110: 내장재
120: 내측 외장재 130: 외측 외장재
200: 외부단열재 300: 이격부재
400: 마감보드 500: 스터드
600: 제1코너부재 610: 제1본체부
611: 내부공간 620: 제1결합부
630: 우레탄 700: 제2코너부재
710: 제2본체부 720: 제2결합부
721: 제1부분 722: 제2부분
723: 제3부분 724: 제4부분
800: 잠금장치 810: 제1잠금부
811: 제1몸체 812: 갈고리
820: 제2잠금부 821: 제2몸체
822: 걸림돌기

Claims (11)

  1. 조립식주택의 코너부위에 구비되어 열교를 방지하는 열교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교방지시스템은 내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내측에 구비되는 내측 외장재와, 상기 내장재의 실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외장재를 구비하며,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
    상기 외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외부단열재;
    상기 외측 외장재와 상기 외부단열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부단열재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부재;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조립식주택의 실내공간을 마감하는 마감보드;
    상기 내측 외장재와 상기 마감보드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마감보드가 상기 패널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스터드;
    상기 한 쌍의 패널과 결합하며, 조립식주택의 코너를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1코너부재; 및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마감보드의 모서리와 결합하여 단열효과를 발휘하는 제2코너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재는 제1본체부와,
    상기 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내장재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너부재는
    상기 제1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결합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부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우레탄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너부재는 상기 한 쌍의 패널의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본체부와 일체화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고 상기 마감보드와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2본체부와 맞대어지는 한 쌍의 제1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부분의 일측에서 연장되며, 일면이 상기 제2본체부와 맞대어지고, 타면이 상기 마감보드와 맞대어지는 제2부분과,
    상기 한 쌍의 제1부분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는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외장재와 상기 마감보드 사이의 이격공간에 위치하는 제4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에는 상기 패널과 수평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패널을 연결 및 고정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내장재의 일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제1잠금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내장재의 타측면에 내장 및 고정되는 제2잠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연결되어 회전도구에 의해 상기 제1몸체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장재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갈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는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돌출된 상기 갈고리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방지시스템.
  11.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1코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서로 수직으로 이웃하는 한 쌍의 패널을 상기 제1코너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외측 외장재에 이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외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외부단열재를 상기 이격부재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패널의 내측 외장재와 맞대어지도록 조립식주택의 코너부분에 제2코너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내측 외장재에 스터드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내측 외장재와 마주보도록 스터드에 마감보드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열교방지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180104558A 2018-09-03 2018-09-03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26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58A KR20200026523A (ko) 2018-09-03 2018-09-03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558A KR20200026523A (ko) 2018-09-03 2018-09-03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523A true KR20200026523A (ko) 2020-03-11

Family

ID=6980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558A KR20200026523A (ko) 2018-09-03 2018-09-03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5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476A (ko) 2003-07-09 2005-01-17 최경관 벽체 코너부의 결로 방지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476A (ko) 2003-07-09 2005-01-17 최경관 벽체 코너부의 결로 방지용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236B1 (ko) 이중단열복합 커튼월창의 프레임 구조
JP2015001120A (ja) 窓部連結構造
JP2010168886A (ja) 軒先構造
KR101969379B1 (ko) 커튼월 유닛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JP6291438B2 (ja) 窓部連結構造の施工方法
JP2005351008A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KR102178344B1 (ko) 화재 확산 방지구조 및 시공방법
KR20200026523A (ko) 열교방지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194056A (ja) サッシ
KR101743980B1 (ko) 외단열 패널유닛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2169745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275554B1 (ko) 프레임 연결부를 기밀하기 위한 커튼월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102240604B1 (ko) 커튼월 프레임의 접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276B1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20180061535A (ko) 차열프레임 및, 이를 활용한 프레임구조체
KR101933354B1 (ko)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JP537649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6946028B2 (ja) 建物
KR100648225B1 (ko) 단열수단을 구비하는 레인 스크린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117407B1 (ko) 건물 외장 패널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6604773B2 (ja) 建物の建具枠取付構造
KR101897700B1 (ko) 건축용 창호의 단열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18254A (ko) 단열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