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045A -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045A
KR20200026045A KR1020190097138A KR20190097138A KR20200026045A KR 20200026045 A KR20200026045 A KR 20200026045A KR 1020190097138 A KR1020190097138 A KR 1020190097138A KR 20190097138 A KR20190097138 A KR 20190097138A KR 20200026045 A KR20200026045 A KR 20200026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distributed
destinations
destination list
network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995B1 (ko
Inventor
쇼헤이 바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47Controlling the connection of th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04N2201/0017Notifying a communication result
    • H04N2201/0018Notifying a communication result via a non-image communication channel, e.g. via a computer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와,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매니저를 포함한다. 매니저는, 1 이상의 목적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정된 태스크를 작성하는 작성부를 구비한다. 클라이언트는, 매니저가 작성한 태스크에 근거하여,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부와,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타입이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목적지 정보를 분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관리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하여, 전화번호, 메일 어드레스, 파일 전송처를 나타내는 정보 등의 목적지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분배하는 관리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1 이상의 목적지를 모은 목적지 리스트로서 데이터가 분배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국 특개 2007-110263호 공보는, 서버로부터, 분배 조건을 갖는 주소록을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고, 분배 조건에 합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수신한 주소록을 보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분배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타입(기종 또는 기능 구성)이 존재하는 것이 상정된다.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분배되는 목적지의 수, 목적지 리스트의 사이즈나 포맷 등에 따라서는, 분배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적절한 관리를 실현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관리 시스템이, 분배처의 디바이스 타입을 고려하여 분배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복수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동시에 목적지를 분배하고 싶을 경우에, 분배처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배 데이터를 관리 시스템의 오퍼레이터가 작성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오퍼레이터의 번잡한 작업을 경감하면서, 복수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목적지 정보를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매니저를 구비하고, 상기 매니저는, 1 이상의 목적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정된 태스크를 생성하는 태스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매니저가 생성한 상기 태스크에 근거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을 실행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 판정하는 제2 판정을 실행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하다고 상기 제1 판정부가 판정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다고 상기 제1 판정부가 판정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는, 생성된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의 번잡한 작업을 경감하면서, 복수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목적지 정보를 적절히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시스템의 전체도다.
도 2는, 관리 서버 및 클라이언트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4a 내지 도 4g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 및 도 5b는, 태스크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a 및 도 6b는, 태스크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태스크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9a 및 도 9b는, 관리 서버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1a 및 도 11b는, 관리 서버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2는,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3은,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4실시형태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시스템의 전체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시스템은,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1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하여 1 이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클라이언트 장치(102)가 분배하는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하는 매니저로서의 역할을 하는 관리 서버(101)를 구비한다.
관리 서버(매니저)(101)는, LAN(104)을 거쳐,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접속된다.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도, LAN(104)에 접속된다. 관리 서버(101)는, 클라이언트 장치(102) 및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의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한다.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는, 레이저 빔 프린터(LBP) 또는 복합기(MFP) 등의 기기다.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에 의해 감시된다.
클라이언트 장치(102)는, LAN(104)을 거쳐,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를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02)는,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와 통신하여,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103)에 대하여 목적지 리스트의 분배 등을 행한다.
<클라이언트 장치 및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관리 서버(101) 및 클라이언트 장치(102) 등의 정보 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정보 처리장치는, 통신 I/F부(201)와, 기억장치(202)와, CPU(203)과, 메모리(204)와, 출력 I/F부(205)를 구비한다.
통신 I/F부(201)는, 외부의 시스템이나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다.
기억장치(202)는, 운영체계(OS). 프로그램, 관리 데이터, 외부 시스템이나 장치 등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등이 격납되어 있다.
CPU(203)은, 기억장치(202)로부터 프로그램을 메모리(204)에 로드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출력 I/F부(205)는, 디스플레이 등의 출력장치를 접속하고, 프로그램 등의 실행 결과를 출력한다.
관리 서버(101)에서는, 기억장치(202)가, 도 3에서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장치(102)에서는, 기억장치(202)가, 도 8에서 후술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1대의 정보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101) 및 클라이언트 장치(102)로서 동작한다. 이 경우에는, 기억장치(202)에 관리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스톨되고, 관리 프로그램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양쪽이 CPU(203)에 의해 실행되게 된다. 1대의 정보 처리장치가, 관리 서버(101) 및 클라이언트 장치(102)의 양쪽으로서 동작하는 케이스에서는, 관리 서버(101)는 동일한 장치 내의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통신하게 된다.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 3은, 관리 서버(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목적지 리스트 관리부(301)는, 1 또는 복수의 목적지 정보를 함께 관리하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를 관리한다.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3)에 대하여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기 위해 필요하다.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태스크 관리부(302)는, 1 이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기 위한 태스크 정보와,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한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태스크 관리 정보를 관리한다. 태스크 관리 정보는, 태스크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하다. 태스크 관리 정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케줄러(303)는, 태스크 실행의 스케줄 관리, 실행해야 할 태스크의 기동과, 클라이언트 장치(102)에 대한 태스크 처리 개시 통지를 행한다.
태스크 실행부(304)는, 클라이언트 장치(102)가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억장치(202)에 등록하고, 분배해야 할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중간 데이터에는, 목적지 리스트의 정보와,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정보가 포함된다.
리퀘스트 처리부(305)는, 클라이언트 장치(102)로부터의 각종 요구(디바이스 정보 취득 요구, 태스크 정보 취득 요구 등)를 처리한다.
태스크 결과 처리부(306)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에 의해 통지되는 태스크 결과를 수신하고, 태스크 결과를 기억장치(202)에 보존한다.
화면 표시부(307)는, 태스크 결과 등을 표시한다.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의 설명을 생략한다.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의 예>
도4a 내지 도 4g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목적지 리스트 관리 정보는, 미리 유저에 의해 등록되는 정보다.
우선, 목적지 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지 관리 테이블(도4a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부다. 바꿔 말하면, 목적지 리스트 정보는 목적지 정보를 그룹화한 정보다.
목적지 ID(401)은 목적지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목적지 타입(402)은, 목적지의 종별을 나타내는 정보다. 예를 들면, 목적지 타입은 e-mail, FAX 등이다.
목적지 명(403)은 목적지의 명칭이다.
메일 어드레스(404)는 e-mail 기능을 이용할 때의 목적지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FAX 번호(405)는 FAX 기능을 이용할 때의 목적지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다음에,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 테이블(도 4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목적지 리스트 ID(406)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목적지 리스트 명(4070은 목적지 리스트의 명칭이다.
다음에, 목적지 리스트 세트 정보를 관리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 관리 테이블(도 4c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 정보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그룹화해서 관리하는 정보이며, 디바이스의 어떤 목적지 리스트에 관리 서버(101)의 어떤 목적지 리스트를 적용시킬지를 나타낸 정보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 정보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복수 포함하고, 각 목적지 정보는 1 이상의 목적지를 포함한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타입은, 디바이스 타입에 의존하지 않고, 1종류의 목적지 리스트만 존재한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 ID(4080은, 목적지 리스트 세트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 명(409)은,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명칭이다.
다음에, 디바이스 관리 시스템의 관리 대상이 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관리 테이블(도 4d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디바이스 ID(410)는,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다.
디바이스 명(411)은, 디바이스의 명칭이다.
디바이스 타입(412)은, 디바이스의 기종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이 정보는, 디바이스를 등록할 때에 유저가 입력하거나, 디바이스 등록후의 적당한 타이밍에,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관리 서버가 기종을 판단해서 등록을 행해도 된다.
더구나, 목적지 리스트와 목적지를 관련시키는 목적지 리스트 & 목적지 관리 테이블(도 4e),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목적지 리스트를 관련시키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 & 목적지 리스트 관리 테이블(도 4f), 및 디바이스와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련시키는 디바이스 & 목적지 리스트 세트 관리 테이블(도 4g)이 존재한다. 이들 테이블에서는, ID 정보의 페어가 서로 관련되어 유지된다.
목적지 리스트 세트 & 목적지 리스트 관리 테이블에서, ID 정보의 페어 이외에, 각 페어에 대응하는 목적지 리스트 타입(413)이 유지되어 있다. 목적지 리스트 타입(413)은, 관리 서버(101) 내의 어떤 목적지 리스트가 디바이스 내의 어느 목적지 리스트에 분배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다.
<관리 서버에서 관리하는 태스크 관리 정보의 예>
도5a, 도 5b, 도6a, 도 6b, 및 도7은, 태스크 관리 정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는 태스크의 스케줄을 관리하는 태스크 스케줄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5b는 태스크의 타겟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태스크 타겟 관리 테이블 나타내고 있다. 이 정보는, 미리 유저에 의해 등록되는 정보다.
우선, 태스크 스케줄 관리 테이블(도5a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태스크 ID(501)는, 태스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태스크 타입(502)은 태스크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다.
스케줄(503)은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케줄을 나타내는 정보다. 이 정보는, 유저가 태스크 작성시에 설정하는 정보다. 설정할 수 있는 스케줄의 예로는, "즉시 실행", "일시 지정" 및 "정기 스케줄 지정"이 있다.
태스크의 다음 개시 시각(504)은, 태스크가 태스크의 다음번 개시 시각에 태스크가 다음에 실행되어야 할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다. 이 정보는, 스케줄러(303)에 의해, 태스크 등록과 실행시에 유저가 설정한 스케줄을 기초로, 산출된다.
다음에, 태스크 타겟 관리 테이블(도 5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태스크 ID(501)는, 태스크 스케줄 관리 테이블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타겟 ID(505)는 태스크가 실행되는 타겟 디바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도6a는 태스크 인스턴스 정보를 관리하는 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6b는 서브태스크 인스턴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브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서브태스크는, 타겟 디바이스마다 할당된 태스크다.
우선, 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도6a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인스턴스 ID(601)은, 태스크 인스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태스크 ID(602)는, 태스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태스크 타입(603)은, 태스크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다.
콘텐츠(604)는, 태스크의 실행에 필요한 상세정보다.
작성 일시(605)은, 태스크 인스턴스를 작성한 일시다.
완료 일시(606)는, 태스크의 실행이 완료한 일시다.
스테이터스(607)는, 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다.
다음에, 서브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도 6b 참조)에 대해 설명한다.
인스턴스 ID(601)은, 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에서 설명한 인스턴스 ID와 유사하다.
클라이언트 ID(608)는, 서브태스크를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다.
디바이스 ID(609)는, 서브태스크의 타겟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다.
서브태스크 콘텐츠(610)는, 서브태스크의 실행에 필요한 상세정보다. 예를 들면, 이 정보는,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 식별 정보, 관리 서버(101) 내의 어떤 목적지 리스트가 디바이스 내의 어떤 목적지 리스트에 분배되는지를 나타내는 목적지 리스트 타입 정보, 또는 타겟 디바이스의 기종 판별 정보에 관한 정보다.
서브태스크 완료 일시(611)는, 서브태스크의 실행이 완료한 일시다.
서브태스크 스테이터스(612)는, 서브태스크의 실행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정보다.
결과(613)는 서브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다.
도7은, 태스크 실행 통지 정보(태스크 실행이 통지되는 클라이언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관리하는 태스크 실행 통지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통지 ID(701)는, 통지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다.
클라이언트 ID(702)는 태스크 실행이 통지되는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는 정보다.
태스크 타입(703)은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는 태스크를 나타내는 정보다.
<클라이언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
도8은, 클라이언트 장치(102)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처리 개시 통지 수신부(801)는, 관리 서버(101)로부터의 태스크의 처리 개시 통지를 수신한다.
클라이언트용 태스크 실행부(802)는, 실행해야 할 태스크의 정보나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고, 타겟 디바이스마다의 태스크로서 서브태스크를 작성한다.
큐 관리부(803)는, 서브태스크를 큐에 격납하거나, 큐로부터 서브태스크를 추출 등을 행한다.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디바이스 정보와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를 취득해서 분배용의 목적지 정보를 작성하는 처리, 네트워크 디바이스(103)에의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는 처리, 관리 서버(101)에 대하여 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통지하는 처리 등을 행한다.
<제1실시형태>
· 관리 서버의 동작
도9a 및 도 9b는, 관리 서버(101)의 동작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9a는,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9b는, 도9a의 서브루틴 S902를 나타낸다.
우선, 도9a의 S901에 있어서, 스케줄러(303)는, 태스크 관리부(302)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 현재 시각보다 앞의 시각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 현재 시각보다 앞의 시각인 경우에는, 스케줄러(303)는,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 태스크 실행 타이밍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S902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태스크의 실행 시각이 현재 시각보다 뒤의 시각인 경우에는, 스케줄러(303)는, 태스크의 실행 시간이 태스크 실행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처리가 S901을 반복한다.
다음에, S902에 있어서, 태스크 실행부(304)는, 목적지 리스트 분배 태스크를 실행한다(도 9b 참조).
이 목적지 리스트 분배 태스크에서, 우선, 태스크 실행부(304)는, 태스크 인스턴스를 작성하고, 태스크 인스턴스를 태스크 관리부(302)를 거쳐 기억장치(202)에 등록한다(S9021). 다음에, 태스크 실행부(304)는, 서브태스크의 인스턴스를 작성하고, 서브태스크의 인스턴스를 태스크 관리부(302)를 거쳐 기억장치(202)에 등록한다(S9022). 다음에, 태스크 실행부(304)는, 목적지 리스트 관리부(301)로부터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취득하고, 목적지 리스트마다 중간 데이터를 작성하여, 중간 데이터를 기억장치(202)에 보존한다(S9023). 최후에, 태스크 실행부(304)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에 대하여 태스크 실행을 통지하기 위한 태스크 실행 통지 정보를, 태스크 관리부(302)를 거쳐 기억장치(202)에 등록한다(S9024).
다음에, S903에 있어서, 스케줄러(303)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에 대하여, 태스크 실행 통지를 행한다.
그후, S904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305)는, 클라이언트 장치(102)로부터의 리퀘스트가 있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리퀘스트가 있었을 경우에는, S905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리퀘스트가 없을 경우에는, 처리가 S904를 반복한다.
다음에, S905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305)는, 리퀘스트 내용이 서브태스크 결과 통지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리퀘스트 내용이 서브태스크 결과 통지인 경우에는, S907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리퀘스트 내용이서브태스크 결과 통지가 아닐 경우에는, S906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S906에 있어서, 리퀘스트 처리부(305)는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으로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리퀘스트가 지정된 디바이스의 정보를 취득하는 요구이면, 기억장치(202)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여, 리스폰스를 행한다.
다음에, S907에 있어서, 태스크 결과 처리부(306)는, 클라이언트 장치(102)로부터 수신한 서브태스크의 결과를, 태스크 관리부(302)를 거쳐 기억장치(202)에 보존한다.
S908에 있어서, 태스크 결과 처리부(306)는, 태스크에 관련되는 모든 서브태스크가 완료하였는지 아닌지를, 서브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도 6b 참조)에 보존되어 있는 서브태스크의 스테이터스를 기초로 판단한다. 모든 서브태스크가 완료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S909로 처리를 진행한다. 모든 서브태스크가 완료하지는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S904를 반복한다.
다음에, S909에 있어서, 태스크 결과 처리부(306)는, 태스크의 결과를 태스크 관리부(302)를 거쳐 기억장치(202)에 보존한다.
S910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307)는, 기억장치(202)에 보존되어 있는 태스크 결과 및 서브태스크의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
·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도 10a 내지 도 10c는, 클라이언트 장치(102)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0a는,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10b는, 도 10a의 서브루틴 S1002를 나타내고, 도 10c는, 도 10a의 서브루틴 S1003을 나타낸다.
우선, S1001에 있어서, 처리 개시 통지 수신부(801)는, 관리 서버(101)로부터의 처리 개시 통지를 수신한다.
다음에, S1002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용 태스크 실행부(802)는, 목적지 리스트 분배 태스크를 실행한다.
이 목적지 리스트 분배 태스크에서, 우선, 클라이언트용 태스크 실행부(802)는, 관리 서버(101)로부터 태스크 정보를 취득한다(S10021). 다음에, 클라이언트용 태스크 실행부(802)는, 태스크에 관련되는 모든 서브태스크 정보를 관리 서버(101)로부터 취득한다(S10022). 최후에, 큐 관리부(803)는, 취득한 태스크 정보 및 서브태스크 정보가 기록된 서브태스크를 작성하여, 서브태스크를 큐에 등록한다(S10023).
다음에, S1003에 있어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목적지 리스트 분배 서브태스크를 실행한다.
이 목적지 리스트 분배 서브태스크에서, 우선,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정보가 이 서브태스크 실행부(804)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 캐시되어 있으면, 이 정보를 취득한다. 이 정보가 캐시되지 않고 있으면, 관리 서버(101)로부터 분배 대상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 캐시한다(S10031).
디바이스 정보는, 서브태스크 실행시마다, 관리 서버(101)로부터 취득하는 것은 아니다. 클라이언트 장치(102)가 기동한 후,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최초 태스크 실행시에만, 관리 서버(101)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관리 서버(101)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경감된다.
다음에,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가 이 서브태스크 실행부(804)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 캐시되어 있으면, 이 정보를 취득한다. 중간 데이터가 캐시되지 않고 있으면, 관리 서버(101)로부터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 캐시한다(S10032).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는, 서브태스크 실행시마다, 관리 서버(101)로부터 취득하는 것은 아니다.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는, 각 서브태스크의 실행시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가 캐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만, 관리 서버(101)로부터 취득한다. 이에 따라, 각 서브태스크에서 목적지 리스트를 공유할 수 있다. 그 결과, 클라이언트 장치(102)와 관리 서버(101)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경감된다.
다음에,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복수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033). 디바이스 타입마다의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의 값은 미리 클라이언트 장치 내부에 유지한다.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복수일 경우에는,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해야 할 모든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의 총합이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의 사양 내인지를 판정한다(S10034). 즉, S10034에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해야 할 모든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의 총합이,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S10034에서의 판정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의 상한값을 디바이스 타입마다 클라이언트 장치에 유지함으로써 실현된다.
S10034에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 내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목적지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로부터 분배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배 데이터를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 분배한다(S10035). 더구나,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결과(성공)의 정보를 서브태스크의 실행 결과로서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S10036).
한편, S10034에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 내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10036에 있어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에러를 나타내는 서브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
S10033에서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복수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처리는 S10037로 진행한다.
S10034에서와 마찬가지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해야 할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의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의 총합이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의 사양 내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037).
목적지의 총합이 디바이스의 사양 내이면, 분배해야 할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의 각각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지 전체를 포함하는 한개의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한다(S10038).
그후,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생성된 한개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분배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한다(S10035). 그리고, 분배 결과(성공)의 정보를 서브태스크 결과로서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S10036).
한편, S10037에서 목적지의 총합이 디바이스의 사양 내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S10036에 있어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에러를 나타내는 서브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S10033에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가 복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있다.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는 2 또는 3개 정도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하다. 동시에, 디바이스의 기종에 따라서는, 10 이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S10033에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의 수의 상한과, 분배해야 할 태스크에서 설정된 목적지 리스트의 수를 비교해서 판정을 행해도 된다. 이 때에는, 분배해야 할 태스크에서 설정된 목적지 리스트의 수가 상한 이내이면, S10034로 처리가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S10037로 처리가 진행한다.
그후, S10037에서 "yes"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의 상한 이내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개인용 타입이나 공유 타입 등 목적지 리스트의 타입이 다른 경우에는, 같은 타입의 목적지 리스트의 각각에 포함되는 목적지를 1개의 목적지 리스트로 모음으로써, 타입들의 수에 해당하는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목적지 리스트의 작성된 타입들에 해당하는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S10035에서 분배 대상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한다.
다음에, S1004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용 태스크 실행부(802)는, 클라이언트 장치(102) 내부에서 캐시된 목적지 리스트 정보의 중간 데이터를 삭제한다.
클라이언트 장치(102)에서 분배용의 목적지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은, 관리 서버(101)측의 부하 경감에 이어진다. 전체 디바이스에 대한 분배용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 서버(101)에서 작성하는 것보다도, 각각의 클라이언트 장치(102)에서 대상 디바이스에 대한 분배용의 목적지 리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부하 분산의 관점에서, 더 효과적인 것이 자명하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102)에서 디바이스 정보나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캐시하고 서브태스크들 사이에서 공유함으로써, 관리 서버(101)와 클라이언트 장치(102)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형태에서는, 디바이스 타입에 의존하지 않는 1 종류의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서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한다. 목적지 리스트 분배시에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 내의 정보를 기초로,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른 목적지 리스트를 작성함으로써, 유저가 용이하게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클라이언트 장치에서는, 목적지 리스트의 중간 데이터를 기초로 분배용의 목적지 리스트를 작성함으로써, 관리 서버의 부하 경감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장치에서는, 디바이스 정보나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캐시하고, 서브태스크들 사이에서 디바이스 정보나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관리 서버와 클라이언트 장치 사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때에, 1개의 목적지만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기 위해서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머지(merge)한다(도 10c의 S10038 참조). 이때, 머지할 때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수가 대응하는 분배 대상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보다 많은 경우, 에러가 발생된다(도 10c의 S10037 및 S10036 참조).
그러나, 에러가 발생한 디바이스에 대하여, 다시 태스크를 실행하기 위해서 처음부터 태스크를 작성하는 것은 유저에게 있어서 수고이다. 에러의 원인에 따라서는, 다시 태스크를 실행해도 실패하는 케이스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는 목적지 정보를 분배하는 케이스가 실패하는 케이스이다. 실패를 알고 있기 때문에,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쓸데 없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설명을 근거로 하여, 유저가 용이하게 태스크를 재작성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재차 처리를 행했을 때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디바이스만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 시스템 구성
시스템의 전체도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전체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은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다. 제2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설명한 소프트웨어 구성과 이하의 점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이 다르다. 그 밖의 점은 도 3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리커버리의 지시에 따라, 태스크를 재실행하는 디바이스 만을 타겟으로 한 리커버리 태스크를 자동으로 작성한다.
· 관리 서버의 동작
도 11a 및 도 11b는, 관리 서버(101)의 동작 처리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11a는,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고, 도 11b는, 도 11a의 서브루틴 S1103을 나타낸다.
우선, 도 11a의 S1101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307)는, 유저의 요구에 따라,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을 표시할 때, 화면 표시부(307)는, 제1실시형태에서 서술한 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로부터 정보를 취득하여, 그 내용을 표시한다. 실행 결과가 실패하고 있는 태스크에 대해서는, 리커버리 버튼을 배치하여,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으로의 링크를 행한다.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S1102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307)는, 태스크 결과 리스트 화면 상의 리커버리 버튼을 유저가 눌렀는지 아닌지, 즉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이 요구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리커버리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S11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리커버리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1102를 반복한다.
다음에, S1103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307)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즉, 화면 표시부(307)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에 대하여 리커버리 태스크의 작성을 의뢰하여, 리커버리 태스크 정보를 취득한다(S11031).
다음에,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리커버리 대상의 태스크의 소스의 정보를 태스크 스케줄 관리 테이블로부터 취득하고, 그 소스 정보를 기초로 리커버리 태스크의 작성을 행한다.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리커버리 태스크의 타겟 디바이스의 정보를 더 취득한다(S11032).
여기에서, 타겟 디바이스는, 태스크의 처리가 실패하고, 실패의 원인이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한 목적지 정보를 제외한 디바이스다. 타겟 디바이스는, 서브태스크 인스턴스 관리 테이블(도 6b 참조)에 포함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특정된다.
최후에,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이들 취득한 정보를 기초로,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S11033).
여기에서,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은, 리커버리 대상의 태스크의 소스의 정보(스케줄, 태스크 명 등)가 미리 표시되는 화면과, 리커버리 태스크의 타겟 디바이스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선택 화면을 포함한다. 선택 화면은, 이 화면을 사용하여 작성된 태스크 정보를 기억장치(202)에 등록하기 위한 보존 버튼을 표시한다.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S1104에 있어서, 화면 표시부(307)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버튼이 눌린 경우에는, S1105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버튼이 눌리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S1104를 반복한다.
최후에, S1105에 있어서,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부(308)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에서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리커버리 태스크 정보를 기억장치(202)에 등록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실시형태에 따르면, 화면 표시부(307)는, 리커버리 태스크를 작성할 때에, 리커버리 대상의 태스크의 소스의 태스크 정보가 입력되는 리커버리 태스크 작성 화면을 작성한다. 이 화면에서, 처리가 실패한 디바이스 중에서, 다시 처리를 행했을 때에 성공할 가능성이 있는 디바이스만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용이하게 리커버리 태스크를 작성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때에, 1개의 목적지 만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기 위해서 목적지 리스트 정보를 머지한다(도 10c의 S10038 참조). 이때, 머지할 때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수가 대응하는 분배 대상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보다 많은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도 10c의 S10037 및 S10036 참조).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에러가 없이,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머지해서 분배하고 싶은 경우도 있다. 따라서, 분배 대상의 목적지 수가 분배 대상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에러로 생각하거나, 또는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병합된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지를 미리 유저에게 선택시켜도 된다.
그리고, 목적지 리스트 분배시에는, 그 선택된 정보를 기초로, 그후의 처리를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를 머지하는 경우에는, 머지된 목적지 리스트의 우선도를 유저에게 미리 선택시켜도 된다. 이 경우, 목적지 리스트 분배시에는, 우선도의 정보로부터, 머지되는 목적지 리스트의 순서를 제어한다.
<제4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때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만족시키는지를 판정한다. 그러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경우,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의 목적지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만족시키더라도, 분배한 결과,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목적지 총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에 목적지 리스트마다 목적지를 분배했을 경우, 일부의 목적지 리스트만 분배되어, 적절한 목적지 리스트 관리를 실현할 수 없다. 분배 리스트가 분배될 때에도, 계산상으로는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목적지 총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목적지 리스트마다 분배한 결과, 분배 순서에서 도중에 목적지의 총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이들 경우를 취급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 시스템 구성
시스템의 전체도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전체 시스템을 위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관리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다른 점은 도 2에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 관리 서버의 동작
관리 서버의 동작은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 클라이언트 장치의 동작
제1실시형태와 차이가 있는 S1003(목적지 리스트 분배 서브태스크 실행 처리)의 처리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도 10a의 서브루틴 S1003을 나타낸다.
S10031 내지 S10038은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기 때문에, S1401 내지 S1404의 처리만 설명한다.
도 14b에 있어서, S10034의 판단이 "yes"인 경우,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우선, 분배 대상의 디바이스로부터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를 취득한다(S1401). 목적지 수의 취득 방법은, 실제로 목적지 리스트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목적지 리스트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다음에,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가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402). 구체적으로는, 우선, S1401에서 취득한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로부터, 이번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목적지 리스트의 목적지 수를 선별하고, 선별된 목적지 수들을 합하고, 이 합한 결과에,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의 목적지 수를 더함으로써 연산을 행한다. 즉, 그 연산 결과가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타입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 수의 값보다도 큰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S1402에 있어서, 목적지의 수가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S10036(도 14a 참조)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S10036에 있어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에러를 나타내는 서브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관리 서버(101)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일부의 목적지 리스트 만 분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S1402에서, 목적지의 수가 디바이스에서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S14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다음에, S1403에서,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마다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와, S1401에서 취득한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의 차분을 산출한다. 즉,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의 목적지 수로부터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를 감산하여 연산을 행한다.
다음에, 서브태스크 실행부(804)는, S1403에서 얻은 차분 중에서,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가 대응하는 디바이스측의 목적지 리스트의 목적지 수보다도 작은 차분을 선별한다. 그리고, 그 차분이 큰 목적지 리스트로부터 순서대로, 이 선별된 차분에 대응하는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한다(S1404). 즉, S1403의 예에서는, 더 큰 차분값에 대응하는 목적지 리스트로부터 순서대로 목적지 리스트가 분배된다. 이에 따라, 도중에 분배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모든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하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경우, 현재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총 수를 취득하고, 분배후의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목적지 총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일부의 목적지 리스트만 분배된다고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계산상으로는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목적지 총 수가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분배 대상 디바이스의 목적지의 총 수가 분배 순서에서 도중에 디바이스의 사양을 초과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분배 대상의 목적지 리스트의 순서를 제어함으로써, 도중에 분배 에러를 발생하지 않고, 모든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Claims (10)

  1.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매니저를 구비하고,
    상기 매니저는,
    1 이상의 목적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리하는 관리부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정된 태스크를 생성하는 태스크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매니저가 생성한 상기 태스크에 근거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을 실행하는 제1 판정부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 판정하는 제2 판정을 실행하는 제2 판정부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하다고 상기 제1 판정부가 판정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다고 상기 제1 판정부가 판정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부가 판정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배부는, 생성된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의 상기 태스크 생성부는, 상기 매니저를 작성할 때 상기 태스크에 설정된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브태스크를 더 작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작성된 서브태스크에 따라, 상기 매니저로부터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정보를 취득하는 제1 취득부를 더 구비한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분배부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성공적으로 분배 데이터를 분배한 것을 나타내는 분배 결과를 상기 매니저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한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2 판정에서,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판정의 판정 결과에 상관없이, 에러를 나타내는 분배 결과를 상기 매니저에게 통지하는 관리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는,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작성된 태스크에 근거한 분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매니저의 상기 태스크 생성부는, 에러를 나타내는 분배 결과에 대응하는 태스크의 리커버리 지시를 접수했을 때,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이들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분배가 성공적으로 실행되는 분배를 실행하는 리커버리 태스크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를 취득하는 제2 취득부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취득된 목적지 수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가 분배될 때, 목적지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3 판정부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가 분배되고, 목적지의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와, 이 목적지 리스트에 대응하는,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마다의 목적지 수의 차분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구비한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분배부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 중에서,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가, 대응하는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관리되고 있는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 수보다도 적은 차분을 선별하고,
    이 차분이 더 큰 목적지 리스트로부터 순서대로 목적지 리스트를 분배하는 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저와 상기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정보 처리장치에 설치되는 관리 시스템.
  9.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를 관리하는 매니저를 구비한 관리 시스템의 방법으로서,
    상기 매니저가, 1 이상의 목적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리하는 단계와,
    상기 매니저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설정된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매니저가 생성한 상기 태스크에 근거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 판정하는 제2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하다고 상기 제1 판정에서 판정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에서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다고 상기 제1 판정에서 판정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에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생성된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방법.
  10. 컴퓨터에,
    복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하고 매니저에 의해 관리되는 클라이언트에서,
    1 이상의 목적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목적지 리스트 세트를 관리하는 매니저에 의해 생성된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와,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설정된 태스크에 근거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한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제1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에 포함되는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인지 판정하는 제2 판정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가능하다고 상기 제1 판정에서 판정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에서 판정되는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단계와,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를 관리할 수 없다고 상기 제1 판정에서 판정되고,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의 수가 관리가능한 목적지 수 이내라고 상기 제2 판정에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목적지 리스트 세트의 복수의 목적지 리스트에 포함되는 목적지들을 사용하여,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관리가능한 목적지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생성된 목적지 리스트를 포함하는 분배 데이터를 상기 분배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분배하는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인 기억매체.
KR1020190097138A 2018-08-29 2019-08-09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 KR102561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60374 2018-08-29
JP2018160374 2018-08-29
JPJP-P-2019-076235 2019-04-12
JP2019076235A JP7208086B2 (ja) 2018-08-29 2019-04-12 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045A true KR20200026045A (ko) 2020-03-10
KR102561995B1 KR102561995B1 (ko) 2023-08-01

Family

ID=6973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138A KR102561995B1 (ko) 2018-08-29 2019-08-09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208086B2 (ko)
KR (1) KR1025619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246A (ja) * 2001-07-26 2003-02-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157509A (ja) * 2007-12-25 2009-07-16 Canon Inc タスク実行装置、タスク実行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40154A (ko) * 2014-06-05 201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882A (ja) 2000-03-06 2001-09-14 Canon Inc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周辺機器管理装置及び記録媒体
EP1840724A4 (en) 2005-01-05 2009-11-25 Seiko Epson Corp DISTRIBUTED PRINTING SYSTEM AND DISTRIBUTED PRINTING CONTROL DEVICE
JP4455462B2 (ja) 2005-09-12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データ配信方法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5391644B2 (ja) 2008-10-22 2014-01-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指示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553670B2 (ja) 2010-04-19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18444B2 (ja) 2012-06-27 2014-11-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6661310B2 (ja) 2015-09-08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246A (ja) * 2001-07-26 2003-02-14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9157509A (ja) * 2007-12-25 2009-07-16 Canon Inc タスク実行装置、タスク実行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140154A (ko) * 2014-06-05 2015-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응답 시스템을 이용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프린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08086B2 (ja) 2023-01-18
KR102561995B1 (ko) 2023-08-01
JP2020038606A (ja)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681B2 (en) Burnout symptoms detection and prediction
CN103547994B (zh) 用于容量管理和灾难恢复的跨云计算的方法和系统
US9489231B2 (en) Selecting provisioning targets for new virtual machine instances
JPWO2019003485A1 (ja) 機械学習又は推論のための計算機システム及び方法
US10439957B1 (en) Tenant-bas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US20190121660A1 (en) Virtual machine management device and virtual machine management method
CN106648850A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10970111B2 (en) Migrating virtual machines
CN103270520A (zh) 基于重要性类的数据管理
WO2024060972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US10176059B2 (en) Managing server processes with proxy files
US9736231B1 (en)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request routing
KR102561995B1 (ko) 관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기억매체
JP2019061359A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10893166B2 (en)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9916861B2 (en) Editing media on a mobile device before transmission
CN111858234A (zh) 一种任务执行方法、装置、设备、介质
JP703041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681273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221305B2 (ja) 情報処理装置
US11537994B2 (en) Mitigating disruptive effects of detected diminished working capacity
JP2008225519A (ja) 静的解析システム、サーバ、静的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651154B2 (en) Orchestrated supervision of a cognitive pipeline
JP2018041400A (ja) ジョブ処理システム、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15395A1 (en) System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