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85A - 귀 관리 기구 - Google Patents

귀 관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85A
KR20200025585A KR1020180103171A KR20180103171A KR20200025585A KR 20200025585 A KR20200025585 A KR 20200025585A KR 1020180103171 A KR1020180103171 A KR 1020180103171A KR 20180103171 A KR20180103171 A KR 20180103171A KR 20200025585 A KR20200025585 A KR 20200025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fluid
guide tube
fluid guide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914B1 (ko
Inventor
이재권
Original Assignee
이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권 filed Critical 이재권
Priority to KR102018010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06Ear cleaners, e.g. curet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33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 A61M3/0254Enemata; Irrigators characterised by liquid supply means, e.g. from pressurised reservoirs the liquid being pu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A61M3/0279Cannula; Nozzles; Tips; their conne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62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를 이용하여 귀를 세척하거나 건조시킬 수 있는 귀 관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는,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귀 관리 기구로,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 상기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사공; 및 상기 유체 안내관과 상기 외이도의 내벽 사이에 배출공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귀 관리 기구{Ear care tool}
본 발명은 귀 관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는 소리를 분벽하고 균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청각 및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크게 외이(바깥귀), 중이(가운데귀), 내이(속귀) 세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이는 일명 "귓구멍"으로 귓바퀴에서 고막에 이르는 부위를 말하고, 중이는 고막 안쪽의 공간을 말하고, 그리고 내이는 그 안쪽의 뼈로 둘러싸인 부분을 말한다.
한편, 귀 중에서 외이에는 귀지가 발생될 수 있고, 이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외이도염이나 고막염 등의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귀지나 이물을 외이에서 제거하거나 염증의 유발을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코를 관리하기 위한 코 세척기 등은 알려져 있으나, 귀를 관리하기 위한 귀 세척기 등은 부재한 상태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유체를 이용하여 외이를 세척하거나 건조시킬 수 있는 귀 관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는,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귀 관리 기구로,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 상기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사공; 및 상기 유체 안내관과 상기 외이도의 내벽 사이에 배출공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pacer);를 포함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공은, 상기 유체를 상기 외이도의 내벽을 향해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유체 안내관의 상기 말단부에서 그 선단 측을 향해 멀어질수록 점점 상기 유체 안내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는,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를 연결하며 상기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과의 사이에 상기 배출공을 형성시키는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각각의 스페이서의 최장(最長; longest) 돌출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고리는 상기 유체 안내관과 동심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유체 안내관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의 중심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유체 안내관의 상기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며 그리고 뭉툭한 말단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체 안내관은, 상기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안내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는, 상기 액체를 이용하여 귀 세척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유체 안내관은, 상기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기체를 안내할 수 있고,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는, 상기 기체를 이용하여 귀 건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귀 관리 기구로, 유체 안내관과, 하나 이상의 분사공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유체 안내관을 통해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하나 이상의 분사공으로 안내되고, 이 분사공을 통해 유체가 외이도로 분사되며, 그리고 외이도로 분사된 유체가 외이도를 경유해서 스페이서에 의해 제공된 배출공을 통해 외이도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이도에 발생된 귀지나 이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유체로 약산성 용액 등의 액체가 제공될 경우 외이도염이나 고막염 등의 염증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유체로 에어 등의 기체가 제공될 경우 외이도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분사공은 유체를 외이도의 내벽을 향해 분사시키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유체가 고막에 직접 분사되지 않아 고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이도의 내벽에 있는 귀지를 향한 직접 분사로 외이도의 내벽으로부터 귀지를 효과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페이서는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에서 그 선단 측을 향해 멀어질수록 점점 유체 안내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경사지 형상의 스페이서를 통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가 유체 안내관의 말단을 시작으로 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도 충분한 배출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스페이서와, 각각의 스페이서를 연결하며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과의 사이에 배출공을 형성시키는 연결 고리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연결 고리를 통해 복수의 스페이서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 및 연결될 수 있고, 연결 고리에 의해 외이도의 내벽이 환 형태로 받쳐질 수 있어 외이도의 내벽과 각각 스페이서의 사이에 충분한 배출공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고리는 각각의 스페이서의 최장 돌출부를 연결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각각의 스페이서의 최장 돌출부의 뾰족한 끝단 모서리가 연결 고리에 의해 제거될 수 있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외이도의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고리는 원 형상을 가지고 유체 안내관과 동심을 이루며, 유체 안내관은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의 중심축을 이루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에 그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의 배출공을 형성시킬 수 있어, 외이도로 분사된 유체가 외이도의 어느 한 부분에 잔류됨 없이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는 그 말단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고 뭉툭한 말단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가 유체 안내관의 말단을 시작으로 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음과 더불어, 뭉툭한 말단을 통해 외이도의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귀 관리 기구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100)는, 외이도(미도시)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귀 관리 기구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안내관(110)과,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유체 안내관(110)은, 외부 유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외이도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유체 안내관(110)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직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부(111)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말단(F10)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질 수 있으며 뭉툭한 말단(F10)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가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F10)을 시작으로 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음과 더불어, 뭉툭한 말단(F10)을 통해 외이도(미도시)의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안내관(110)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100)의 중심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130)와 함께 유체 안내관(110)의 외부 둘레면에 그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의 배출공(E10)을 형성시킬 수 있어, 외이도로 분사된 유체가 외이도의 어느 한 부분에 잔류됨 없이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유체 안내관(110)은, 외부 유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액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로는 귀지나 이물을 제거할 수 있고 염증을 호전시킬 수 있는 약산성 용액(Acetic solu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100)는, 약산성 용액 등의 액체를 이용하여 귀를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귀 관리 기구를 통한 귀지 제거는 귀지에 기름성분이 많아 왁스처럼 진득한 귀지가 생기는 사람과 외이도가 좁은 아이들에게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귓속 이물 제거는 모래처럼 작은 이물이 들어간 사람에게 필요할 수 있다. 나아가, 고막이나 외이도에 만성 염증이 있는 경우, 특히 곰팡이 감염이 있는 경우에 약산성 용액(Acetic solution)으로 세척을 하면 금방 호전이 된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 안내관(110)으로 약산성 용액 등의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유체 공급원은, 일 예로 부드러운 소재의 통을 손으로 짜서 액체를 공급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예로 손 가락으로 트리거(trigger) 등을 당겨 액체를 펌핑(pumping)하는 분무기의 메커니즘을 가질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피스톤을 눌러 액체 공급하는 주사기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유체 안내관(110)은, 외부 유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기체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스쿠버다이빙(scuba diving), 서핑(surfing), 스노클링(snorkeling) 등 물놀이를 즐기는 인구가 많이 늘면서 이와 관련한 여름철 귓병도 함께 증가하게 되는데, 염증이 안 생기게 하려면 외이도를 건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외이도의 건조 유지를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100)는, 에어 등의 기체를 이용하여 귀를 건조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 안내관으로 에어 등의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외부 유체 공급원은, 일 예로 휴대용 선풍기 정도의 모터 용량을 가지며 히터를 이용하여 30 내지 40도의 미온풍을 가하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발열에 대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위와 동일한 모터 용량을 가지되 히터를 이용하지 않고 상온의 에어를 가하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도 있고, 또 다른 예로 유체 안내관에 호스의 일단을 연결하고 호스의 타단에는 손선풍기나 헤어드라이어의 에어가 포집되도록 깔때기 형태의 에어 포집 부재를 연결하여 에어를 가하는 메커니즘을 가질 수도 있다. 나아가, 건조 시간은 짧을수록 좋으며 대략 5 내지 10분 정도로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은, 유체를 최종적으로 분사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고막이 아닌 외이도의 내벽을 향해 분사되도록,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부(111)의 외부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가 고막에 직접 분사되지 않아 고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이도의 내벽에 있는 귀지를 향한 직접 분사로 외이도의 내벽으로부터 귀지를 효과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 간격을 두고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분사공(12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4개의 분사공(120)을 가질 경우, 외이도의 내벽에 고르게 유체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사공의 개수가 4개를 초과하게 되면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의 살이 적어져 그 강성이 취약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spacer)(130)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을 통해 외이도로 유입된 유체가 외이도를 경유한 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체 안내관(110)과 외이도의 내벽 사이에 배출공(E10)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3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안내관(110)의 외부 둘레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13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부(111)에서 그 선단(F20)[말단(F10)과 반대에 위치되는 단] 측을 향해 멀어질수록 점점 유체 안내관(110)의 반경 방향[유체 안내관(110)에서 멀어지되 이에 수직한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경사지 형상의 스페이서(130)를 통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100)가 유체 안내관(110)의 말단(F10)을 시작으로 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고, 삽입된 후에도 충분한 배출공(E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략 90도의 간격을 두고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 관리 기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고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고리(140)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페이서(130)를 연결하며 유체 안내관(110)의 외부 둘레면과의 사이에 배출공(E10)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 고리(140)를 통해 복수의 스페이서(130)가 서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 및 연결될 수 있고, 연결 고리(140)에 의해 외이도의 내벽이 환 형태로 받쳐질 수 있어 외이도의 내벽과 각각 스페이서(130)의 사이에 충분한 배출공(E10)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연결 고리(140)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페이서(130)의 최장(最長; longest) 돌출부(도 4에서 스페이서의 맨 우측 부분)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스페이서(130)의 최장 돌출부의 뾰족한 끝단 모서리가 연결 고리(1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어,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10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동안, 외이도의 내벽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고리(1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유체 안내관(110)과 동심을 이룰 수 있고, 유체 안내관(110)은 본 발명의 귀 관리 기구(100)의 중심축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안내관(110)의 외부 둘레면에 그 둘레를 따라 동일한 간격의 배출공(E10)을 형성시킬 수 있어, 외이도로 분사된 유체가 외이도의 어느 한 부분에 잔류됨 없이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유체 안내관(110)과,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과,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130)를 포함하는 귀 관리 기구(100)를 제공하므로, 유체 안내관(110)을 통해 외부 유체 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유체가 하나 이상의 분사공(120)으로 안내되고, 이 분사공(120)을 통해 유체가 외이도(미도시)로 분사되며, 그리고 외이도로 분사된 유체가 외이도를 경유해서 스페이서(130)에 의해 제공된 배출공(E10)을 통해 외이도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이도에 발생된 귀지나 이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유체로 약산성 용액 등의 액체가 제공될 경우 외이도염이나 고막염 등의 염증을 호전시킬 수 있으며, 유체로 에어 등의 기체가 제공될 경우 외이도를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귀 관리 기구 110: 유체 안내관
111: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 F10: 유체 안내관의 말단
F20: 유체 안내관의 선단 120: 분사공
130: 스페이서 E10: 배출공
140: 연결 고리

Claims (3)

  1. 외이도에 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귀 관리 기구로,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유체를 안내하는 유체 안내관;
    상기 유체 안내관의 말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체를 분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분사공; 및
    상기 유체 안내관과 상기 외이도의 내벽 사이에 배출공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유체 안내관의 외부 둘레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를 포함하는
    귀 관리 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분사공은,
    상기 유체를 상기 외이도의 내벽을 향해 분사시키는
    귀 관리 기구.
  3. 제1항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유체 안내관의 상기 말단부에서 그 선단 측을 향해 멀어질수록 점점 상기 유체 안내관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귀 관리 기구.
KR1020180103171A 2018-08-31 2018-08-31 귀 관리 기구 KR102170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71A KR102170914B1 (ko) 2018-08-31 2018-08-31 귀 관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71A KR102170914B1 (ko) 2018-08-31 2018-08-31 귀 관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85A true KR20200025585A (ko) 2020-03-10
KR102170914B1 KR102170914B1 (ko) 2020-10-28

Family

ID=6980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71A KR102170914B1 (ko) 2018-08-31 2018-08-31 귀 관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592A (ko) * 2020-04-17 2021-10-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이도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4184A (en) * 2021-02-26 2022-08-31 Freeland Products Ltd Cleaning a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655A1 (en) * 1983-01-03 1984-07-19 Thomas Jay Balkany Otologic catheter device
US6210358B1 (en) * 1996-05-09 2001-04-03 Cryptych Pty Ltd Ear irrigation device
JP4331677B2 (ja) * 2002-06-05 2009-09-16 イヤリゲイ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洗浄器
KR20160004780A (ko) * 2014-07-04 2016-01-13 이의진 귀이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2655A1 (en) * 1983-01-03 1984-07-19 Thomas Jay Balkany Otologic catheter device
US6210358B1 (en) * 1996-05-09 2001-04-03 Cryptych Pty Ltd Ear irrigation device
JP4331677B2 (ja) * 2002-06-05 2009-09-16 イヤリゲイ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耳洗浄器
KR20160004780A (ko) * 2014-07-04 2016-01-13 이의진 귀이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592A (ko) * 2020-04-17 2021-10-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이도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14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9088B2 (en) Ear irrigation device
KR20200025585A (ko) 귀 관리 기구
KR20170138318A (ko) 귓속 청소기.
AR055983A1 (es) Dispositivo para usar en la limpieza de endoscopios
JP2013500626A5 (ko)
US6210358B1 (en) Ear irrigation device
US10994069B1 (en) Nozzle and ear cleaning device
US9980067B2 (en) Hearing device with a wax guard, and wax guard
MX2019005511A (es) Cateter plegable de expulsion nasal.
EP3142595B1 (en) Nozzle for oral irrigator device including a nozzle spacer assembly
JP5297901B2 (ja) 内視鏡挿入部の先端部構造
KR20100091652A (ko) 귀 건조장치
KR102474231B1 (ko) 귀지 제거 장치
KR102453355B1 (ko) 외이도 세척 장치
JP5488499B2 (ja) カナル型イヤホン
JP2023066330A (ja) ドライヤーを使用した外耳道吸引乾燥装置
KR101063521B1 (ko) 보청기
KR102553394B1 (ko)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티피이 이어팁
KR20230090512A (ko) 공기 순환 구조를 갖는 이어팁
KR20200129865A (ko) 귀 물빼기
KR20140040578A (ko) 미용용 귀마개
KR200262468Y1 (ko) 귓구멍 건조기
CN208479934U (zh) 一种碳纤维振膜
KR20180106749A (ko) 모발 보호 기능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KR200225071Y1 (ko) 귀이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