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468A - Cup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up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468A
KR20200025468A KR1020180102866A KR20180102866A KR20200025468A KR 20200025468 A KR20200025468 A KR 20200025468A KR 1020180102866 A KR1020180102866 A KR 1020180102866A KR 20180102866 A KR20180102866 A KR 20180102866A KR 20200025468 A KR20200025468 A KR 20200025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older
cup holder
thermoelectric elem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8886B1 (en
Inventor
이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0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86B1/en
Publication of KR2020002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which can simultaneously retain heat of two cups inserted into a pair of insertion units by using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 transmission. To this end,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comprises: a holder unit in which a first insertion unit and a second insertion unit are formed such that a cup can be inserted thereinto, and a communication flow path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heat exchange unit which exchanges heat with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a thermoelement which heats or cools the heat exchange unit; an air blowing unit which generates an air flow in the communication flow path; and a bottom unit which is fastened to the holder unit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and is connected to the thermoelement to heat or cool the cup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ertion unit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Therefore, a single thermoelement is used to simultaneously retain the heat of two cups inserted into the pair of insertion units by using the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 transmission, thereby reducing costs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achieving a lightweight structure.

Description

차량용 컵홀더{CUP HOLDER FOR VEHICLE}Cup Holder for Cars {CUP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이용하여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a vehicle which can simultaneously insulate two cups inserted into a pair of insertion portions using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 transfer.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 및 동승자의 편의성 및 거주성의 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다양한 편의 장치들이 구비되어 있다. 컵홀더는 이러한 편의 장치 중 하나로, 주로 콘솔의 내부나 센터 페시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거나 암레스트의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부분에 구비된다. In general, a variety of convenience devices ar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a vehicle for improving driver's and passenger's convenience and habitability. The cup holder is one of such convenience devices, and is mainly provided in various parts such as being installed in the console or the center fascia by sliding or in the armrest by sliding.

특히, 최근에는 저전력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냉음료 및 온음료의 온도 유지를 위한 온도 유지 기능이 장착된 컵홀더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In particular, a cup holder equipped with a temperature maintaining function for maintaining a temperature of cold and hot beverages using a low-power thermoelectric element has been applied to a vehic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지칭)에는 냉온장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허문헌 1의 냉온장 컵홀더는 한 쌍의 홀더바디(100, 100')와, 각각의 홀더바디(100, 100')에 설치된 한 쌍의 열전소자(200, 200')와 각각의 열전소자와 열교환되도록 한 쌍의 열교환핀(400, 400')으로 구성된다.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4492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is disclosed a cold and hot cup holder. Referring to FIG. 1, the cold / cold cup holder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pair of holder bodies 100 and 100 ′ and a pair of thermoelectric elements 200 and 200 ′ installed in each holder body 100 and 100 ′. ) And a pair of heat exchange fins 400 and 400 ′ to exchange heat with each thermoelectric element.

이와 같이,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는 홀더바디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홀더바디에 열전소자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열전소자를 냉각하기 위하여 한쌍의 열교환핀이 구비되므로, 제조 원가의 상승,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As such,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cold / cold cup holder having a pair of holder bodies, each holder body is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pair of heat exchange fins are provided to cool each thermoelectric elem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ise, maintenance and repair costs ri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49293호 (2014.10.08)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449293 (2014.10.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하나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통해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up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insulate the two cups inserted into a pair of inserts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 transfer using one thermoelectric element Its purpose is t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컵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통되게 연통유로가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sert portion and a second insert portion formed to insert a cup, and the first insert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 por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holder portion having a communication flow path formed therein; A heat exchanger disposed in the holde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 to heat or cool the heat exchange part; A blower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cup which is fastened to the holder part a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erting part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It includes; a bottom portion for heating or cooling the cup inserted i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 및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일측단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제2 바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is fastened to the holder portion, the bottom cover for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formed through; A first bottom memb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insertion part; A second bottom memb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insertion part; And a metal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bottom members.

여기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는, 일측단이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또는 상기 제2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plate, one end is dis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exchanger, the other end is at least between the first bottom member and the bottom cover or between the second bottom member and the bottom cover. It can be arranged on either side.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1 순환유로; 및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삽입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2 순환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hold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irculation passag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circulate air, and connecting the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a second circulation passag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circulate air, and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hole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통유로에서 상기 송풍부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holder par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wing part protruding from the communication flow passage so as to face the blower part and dividing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part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You may.

여기서,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관통홀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may include: a partition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lder so that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re located inward, and the partition member It may be formed by a cover member fastened to cover the.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홀더부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에 밀착되게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the heat exchanger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portion, an insertion hole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unit, the base plate i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 close contact; And a heat exchange fin, in which a plurality of fins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trud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se plate.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heat exchange fi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exchange heat with air circulating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Can be.

그리고,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The blower is provided as a blower fan,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fin,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to exchange heat with the heat exchange fi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passage. It may be circulated to flow into the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는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ans for coo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on means, the heat pip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plate fastened to the holder to fix the heat pipe; And a heat sink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nd connected to the heat pipes.

나아가,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heat dissipation means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 which the heat sink is accommodated; A cover fastened to an upper side of the heat sink in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And a cooling fan disposed below the heat sink in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to cool the heat sink.

또는,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heat dissipation means may be provided such that a heat sink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따르면, 하나의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대류 및 전도 열전달을 통해 한쌍의 삽입부에 삽입된 2개의 컵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수 감소에 따른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cups inserted into a pair of inserts can be kept at the same time through convection and conduction heat transfer using one thermoelectric element,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can achieve the weight reduction.

도 1은 종래의 냉온장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바닥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커버부재와 열교환부 그리고 송풍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2의 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2의 II-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서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cold and hot cup holder,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ract of a holder portion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ract of a holder in a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ract of a cover member, a heat exchanger and a blower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I ′ region of FIG. 2;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I-II ′ region of FIG. 2;
1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ract of heat dissip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컵홀더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cup holder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s possible. .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바닥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홀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후면 사시도 및 정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서 커버부재와 열교환부 그리고 송풍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2의 I-I' 영역 및 II-II'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portion in the vehicle cup holder, and FIG. 5 and 6 are a rear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holder portion in the vehicle cup holder.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ver member, the heat exchanger and the blower in the vehicle cup holder, and FIGS. 8 and 9 are schematic views of the II ′ and II-II ′ regions of FIG. 2.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n.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100)는 컵(미도시)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가 연통되게 연통유로(230)가 형성된 홀더부(200)와, 상기 홀더부(200)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300)와, 상기 열교환부(3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300)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230)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500),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600)를 포함한다. 2 to 9, the vehicle cup hold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a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formed to insert a cup (not shown). The holder part 200 in whic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is formed so that the 1st insertion part 210 and the 2nd insertion part 2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s arranged in the holder part 200, and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A heat exchanger 300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a thermoelectric element 4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300 to heat or cool the heat exchanger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300. A blower 500 disposed to generate air flow in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and fastened to the holder 200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and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to heat the cup insert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Includes a bottom portion 600 for cooling.

상기 바닥부(600)는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열전도에 의해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마련된다.The bottom part 600 is fastened to the holder part 200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ed cup,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is provided to heat or cool the inserted cup by heat conduction.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600)는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610)와,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610)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620)와,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2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610)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630), 그리고,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64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bottom portion 600 is fastened to the holder portion 200 and bottom cover 610 for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0 formed through And a first bottom member 620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6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inserting part 210, and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 A second bottom member 630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6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220, and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the first bottom member 620, and the first bottom member 620. 2 includes a heat transfer plate 640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bottom member 630.

여기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는 일측단(641)이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단(642)은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바닥부 커버(610) 사이 또는 상기 제2 바닥부재(630)와 상기 바닥부 커버(610)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one end 641 is dis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the heat exchange unit 300, the other end 642 is the first bottom member 620 and the bottom It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sub-covers 610 or between the second bottom member 630 and the bottom cover 610.

그리고, 상기 바닥부 커버(610)는 상기 홀더부(200)의 후방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 커버부(611)와, 상기 제1 커버부(611)에서 절곡 연장되어 상기 홀더부(200)의 하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커버부(612)로 형성된다. The bottom cover 610 is bent from the first cover part 611 and the first cover part 611 disposed to surround the holder part 200 and the holder part 200. It is formed of a second cover portion 612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제1 커버부(611)에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단(641)이 위치하여 상기 열전소자(400)와 상기 열교환부(300)와 접촉하도록 관통홀(613)이 형성된다. Here, a through hole 613 is formed in the first cover part 611 such that one end 641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the heat exchange part 300. .

그리고, 상기 제2 커버부(612)에는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가 삽입 체결되게 체결홈(61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614)에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삽입되게 삽입홈(61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614 is formed in the second cover part 612 such that the first bottom member 620 and the second bottom member 630 are inserted into and fastened, and the heat transfer groove is formed in the fastening groove 614. The insertion groove 615 is formed to insert the other end 642 of the plate 640.

즉, 상기 삽입홈(615)에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배치되어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단(642)이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모두와 접촉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1 바닥부재(620)와 상기 제2 바닥부재(630)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That is, the other end 642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disposed in the insertion groove 615 to contact at least one of the first bottom member 620 and the second bottom member 630. In the drawing, the other end 642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shown to be in contact with both the first bottom member 620 and the second bottom member 6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provided to contact any one of the member 620 and the second bottom member 630.

상기 홀더부(200)는 차량의 콘솔에 배치되고, 두 개의 컵이 각각 삽입되도록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는 상기 연통유로(230)로 연통되어 있어, 하나의 열전소자(400)와 열교환부(30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가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The holder part 200 is disposed on the console of the vehicle, and the first inserting part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220 are formed to insert two cup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and are heated or cooled by on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the heat exchange part 300.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insertion unit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unit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이러한 상기 홀더부(200)는 원가 절감을 위하여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200)에서는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여 컵을 보온하도록 구성되므로 비전도체인 수지로 제작하여도 컵을 보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부(200)에서는 대류 열전달을 이용하고, 상기 바닥부(600)에서는 전도 열전달을 이용하여 컵을 보온하도록 마련된다.The holder part 2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resin for cost reduction. Here, the holder portion 200 is configured to heat the cup using convection heat transfer, it is possible to heat the cup even if made of a non-conductive resin. That is, the holder part 200 is provided to use convection heat transfer, and the bottom part 600 is provided to insulate the cup using conduction heat transfer.

그리고, 상기 홀더부(20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에서 상기 송풍부(500)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50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날개부(240)가 상기 홀더부(200)와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은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 형태로 제작되어 이 부분에서 와류의 형성없이 공기 유동을 원활히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In addition, the holder part 200 protrudes from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so as to face the blower part 500 so that air flowing by the blower part 500 flows through the first inserting part 210 and the holder. A guide wing 240 may be formed to divide and guide the second insertion part 220. Here, the corner portion of the guide wing 240 is connected to the holder 200 is made in a round shape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s provided to smoothly guide the air flow without the formation of vortices in this portion.

또한, 상기 홀더부(200)에는 상기 제1 삽입부(210) 내부와 상기 제2 삽입부(22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순환유로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circulation flow path is formed in the holder part 200 to circulate air existing in the first insertion part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220.

즉, 상기 제1 삽입부(21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와 이격되어 제1 관통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홀(211)은 상기 제1 삽입부(21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유로(230)와 연결되어 제1 순환유로(25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삽입부(220)에는 상기 연통유로(230)와 이격되어 제2 관통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통홀(221)은 상기 제2 삽입부(220)의 외부에서 상기 연통유로(230)와 연결되어 제2 순환유로(260)를 형성한다.That is, a first through hole 211 is formed in the first inserting part 2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and the first through hole 211 is formed outside the first inserting part 210.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to form a first circulation flow path (250). In addition, a second through hole 221 is formed in the second inserting part 2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1 is outside the second inserting part 220.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flow path 230 to form a second circulation flow path (260).

이러한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통유로(230)와 상기 제1 관통홀(211)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221)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270)와, 상기 격벽부재(270)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280)가 구비된다. In order to form the circulation passage, the partition member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holder part 200 such that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the first through hole 2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1 are located inside. 270 and a cover member 280 fastened to cover the partition member 270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280)는 상기 열교환부(300)를 상기 홀더부(200)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300)에 밀착되게 삽입홀(281)이 형성된다. Here, the cover member 280 is fixed to the heat exchange unit 300 in close contact with the holder 200, the one sid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unit 300 281 is formed.

즉, 상기 홀더부(200)에 상기 열교환부(300)를 삽입한 후 상기 커버부재(280)를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하여 상기 열교환부(300)를 고정할 수 있고, 상기 커버부재(280)에 형성된 삽입홀(281)에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를 삽입하여 일측면을 상기 열교환부(300)에 밀착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타측면에는 상기 열전소자(400)가 밀착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400)가 가열 또는 냉각되는 경우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전도 열전달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300)가 가열 또는 냉각된다.That is, the heat exchange part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holder part 200, and then the cover member 280 may be fastened to the holder part 200 to fix the heat exchange part 300. The heat transfer plate 6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81 formed at 280 to closely arrange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art 300.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Therefo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is heated or cooled, the heat exchange part 300 is heated or cooled through the conductive heat transfer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상기 열교환부(300)는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와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면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320)으로 마련된다. The heat exchange part 300 is provided in a flat form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plate 640 and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ai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plate 640, A plurality of fin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to widen the surface area is provided as a heat exchange fin 320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se plate.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커버부재(280)의 삽입홀(28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80)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홀(281)을 통하여 삽입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열전달 플레이트(640)의 전도 열전달을 통해 냉각 또는 가열된다. Here, the base plate 310 is formed larger than the insertion hole 281 of the cover member 280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80, the heat transfer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281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late 640 is cooled or heated through the conductive heat transfer of the heat transfer plate 640.

그리고, 상기 열교환 핀(320)은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2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는 상기 송풍부(5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통유로(230)로 다시 유입된다. In addition, the heat exchange fins 320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250,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260,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so that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250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re disposed. It is provided to exchange heat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260. Th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 fins 320 is introduced again into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500.

상기 송풍부(500)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320)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다시 유입되도록 순환시켜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The blower part 500 is provided as a blower fan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fin 320, and flows into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250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260 to provide the heat exchange fin 320 with the blower fan. The heat-exchanged air may be circulated back in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to further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송풍부(500)가 동작하면 공기가 상기 연통유로(230)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제1 삽입부(210)와 상기 제2 삽입부(220)에 유입된 공기는 컵(미도시)의 외주면을 유동하면서 열교환한 후 상기 제1 관통홀(211)과 상기 제2 관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제1 순환유로(250)와 상기 제2 순환유로(260)로 유입된 후 상기 열교환부(300)와 다시 열교환한 후 상기 송풍부(500)를 통하여 상기 연통유로(230)로 다시 유입된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lower 500 is operated, air flows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220, and the first insertio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art 210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220 exchanges heat while flowing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not show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21. After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250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260 are introduced into the communication passage 230 through the blower 500 after the heat exchange with the heat exchanger 300 again. .

따라서, 하나의 열전소자(400)에 열전달 플레이트(640)와 열교환부(300)를 연결하여 전도 및 대류 열전달을 통해 제1 삽입부(210)와 제2 삽입부(220) 각각에 삽입된 2개의 컵 모두를 보온할 수 있다.Therefore, the heat transfer plate 640 and the heat exchange part 300 are connected to on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two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insertion part 21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220 through conduction and convection heat transfer. I can keep all the cups of the dog.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차량용 컵홀더에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t dissip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vehicle cup holder.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방열수단(7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다. 10 and 11, the heat dissipation means 700 is configured to cool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열수단(700)은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400)의 열을 전달받는 히트 파이프(710)와, 상기 홀더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710)를 상기 열전소자(400)에 밀착 고정시키는 히트 플레이트(720), 그리고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710)와 연결어 외부로 방열하는 히트 싱크(73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heat dissipation means 700 is fastened to the heat pipe 710 and the holder 200 to receive the he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 heat plate 720 for tightly fixing the heat pipe 710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nd a heat sink 73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nd connected to the heat pipe 710 to radiate heat to the outside. do.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열전소자(400)가 컵을 냉각하기 위하여 일측면이 냉각되는 경우 타측면은 가열하게 되므로, 상기 히트 파이프(710)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달받을 후 상기 히트 싱크(730)에서 대류 열전달에 의해 냉각되어 상기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을 냉각하게 된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one side is cooled to cool the cup, the other side is heated, so that the heat pipe 710 is heat genera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After receiving the heat is cooled by the convection heat transfer in the heat sink 730 to cool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여기서, 상기 히트 싱크(730)를 냉각하기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a configuration for cooling the heat sink 730 may be further provided.

즉, 상기 방열수단(700)은 내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히트 싱크(730)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740)과, 상기 하우징(740)에서 상기 히트 싱크(730)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750), 그리고 상기 하우징(740)에서 상기 히트 싱크(73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730)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heat dissipation means 700 has a housing 740 formed therein through which the heat sink 730 is received, and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 sink 730 in the housing 740, and the air is fastened. A cover 750 in whic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to flow, and a cooling fan 760 disposed below the heat sink 730 in the housing 740 and generating an air flow to cool the heat sink 730. It may further include.

따라서, 상기 냉각팬(760)을 동작시키면 상기 하우징(740)의 내부에 공기 유동이 발생하고,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730)와 열교환한 후 상기 커버(750)의 연통홀을 통하여 외부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히트 싱크(73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oling fan 760 is operated, air flow is generated in the housing 740, and the flowing air is heat-exchanged with the heat sink 730, and then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cover 750. By flowing to the heat sink 730 may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컵홀더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t dissipation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in a cup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800)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열전소자(400)의 타측면에 직접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Referring to FIG. 12, the heat dissipation means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such that a heat sink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is dispos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00.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개시되어 있는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한 방열수단(700)과 같이 하우징과, 커버와, 냉각팬을 구비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using, the cover, and the cooling fan may be provided to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heat sink, as in the heat dissipation means 7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isclosed in FIGS. 10 and 11. It may b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inten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100 : 차량용 컵홀더 200 : 홀더부
210 : 제1 삽입부 211 : 제1 관통홀
220 : 제2 삽입부 221 : 제2 관통홀
230 : 연통유로 240 : 가이드 날개부
250 : 제1 순환유로 260 : 제2 순환유로
270 : 격벽부재 280 : 커버부재
281 : 삽입홀 300 : 열교환부
310 : 베이스 플레이트 320 : 열교환 핀
400 : 열전소자 500 : 송풍부
600 : 바닥부 610 : 바닥부 커버
611 : 제1 커버부 612 : 제2 커버부
613 : 관통홀 614 : 체결홈
615 : 삽입홈 620 : 제1 바닥부재
630 : 제2 바닥부재 640 : 열전달 플레이트
700 : 방열수단 710 : 히트 파이프
720 : 히트 플레이트 730 : 히트 싱크
740 : 하우징 750 : 커버
760 : 냉각팬 800 : 방열수단
100: vehicle cup holder 200: holder portion
210: first insertion part 211: first through hole
220: second insertion portion 221: second through hole
230: communication path 240: guide wing
250: first circulation passage 260: second circulation passage
270: partition member 280: cover member
281: insertion hole 300: heat exchanger
310: base plate 320: heat exchange fins
400: thermoelectric element 500: blower
600: bottom part 610: bottom part cover
611: first cover portion 612: second cover portion
613: through hole 614: fastening groove
615: insertion groove 620: first bottom member
630: second bottom member 640: heat transfer plate
700: heat dissipation means 710: heat pipe
720: heat plate 730: heat sink
740: housing 750: cover
760 cooling fan 800 heat dissipation means

Claims (14)

컵이 삽입되게 제1 삽입부와 제2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가 연통되게 연통유로가 형성된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상기 열교환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전소자;
상기 열교환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통유로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에 삽입된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고, 상기 열전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된 컵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A holder portion having a first insertion portion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formed to insert the cup and having a communication flow path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 heat exchanger disposed in the holder and configured to exchange heat with air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 part to heat or cool the heat exchange part;
A blower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and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in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Is fastened to the holder portion to support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 bottom portion for heating or cooling the inserted cup;
Car cup hold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고, 관통 형성된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을 폐쇄하는 바닥부 커버;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1 바닥부재;
금속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삽입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 커버에 체결되는 제2 바닥부재; 및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일측단은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제2 바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는 열전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portion,
A bottom cover fastened to the holder and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formed therethrough;
A first bottom memb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insertion part;
A second bottom member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fastened to the bottom cover to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insertion part; And
A heat transfer plate provided with a metal material, one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bottom member and the second bottom member;
Vehicle cup hold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플레이트는,
일측단이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교환부 사이에 배치되고, 타측단은 상기 제1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또는 상기 제2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 커버 사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transfer plate,
One end is dis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heat exchanger, the other end is disposed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first bottom member and the bottom cover or between the second bottom member and the bottom cover. Car cup holder made wi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제1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1 순환유로; 및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상기 연통유로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삽입부에 형성된 제2 관통홀과 상기 연통유로를 연결시키는 제2 순환유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portion,
A first circulation passag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circulate air, and connecting the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And
A second circulation passage spaced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circulate air, and connecting the second passage hole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to the communication passage;
Vehicle cup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연통유로에서 상기 송풍부와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송풍부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분할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portion,
A guide wing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mmunication passage so as to face the blower to divide and guide the air flowing by the blower into the first inserting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ng portion;
Vehicle cup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는,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관통홀 그리고 상기 제2 관통홀이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홀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격벽부재와, 상기 격벽부재를 덮도록 체결되는 커버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nd a partition membe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holder to cover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cover member fastened to cover the partition member. Car cup hol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열교환부를 상기 홀더부에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이 삽입되어 상기 열교환부에 밀착되게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6,
The cover member,
The cup holder for the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exchange unit is tightly fixed to the holder portion, one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serted to form an insertion hol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열전소자가 밀착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복수의 핀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열교환 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exchange unit,
A base plate on which the thermoelectric elements are closely arranged; And
A heat exchange fin having a plurality of fi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rotrude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ase plate;
Vehicle cup holder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 그리고 상기 연통유로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유로와 상기 제1 순환유로 및 상기 제2 순환유로를 순환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8,
The heat exchange fins,
And a heat exchang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nd the communication passage to exchange heat with air circula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송풍 팬으로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 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순환유로와 상기 제2 순환유로로 유입되어 상기 열교환 핀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연통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로 유입되도록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9,
The blowing unit,
It is provided as a blower fan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 f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irculation passage and the second circulation passage and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 fin through the communication passag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Cup holder for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irculated to flow into the weal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를 냉각시키는 방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
Heat dissipation means for coo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Vehicle cup holder comprising a fur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히트 파이프;
상기 홀더부에 체결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를 고정하는 히트 플레이트; 및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 파이프와 연결된 히트 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at dissipation means,
A heat pip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 heat plate fastened to the holder to fix the heat pipe; And
A heat sink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nd connected to the heat pipes;
Vehicle cup hold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상기 히트 싱크가 내측에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상측에 체결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히트 싱크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를 냉각하도록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2,
The heat dissipation means,
A housing in which the heat sink is received;
A cover fastened to the upper side of the heat sink in the housing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formed therein so that air flows; And
A cooling fan disposed below the heat sink in the housing and generating an air flow to cool the heat sink;
Vehicle cup holder comprising a furth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복수의 방열 핀이 구비된 히트 싱크가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컵홀더.
The method of claim 11,
The heat dissipation means,
A heat sink having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KR1020180102866A 2018-08-30 2018-08-30 Cup holder for vehicle KR1021088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en) 2018-08-30 2018-08-30 Cup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en) 2018-08-30 2018-08-30 Cup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68A true KR20200025468A (en) 2020-03-10
KR102108886B1 KR102108886B1 (en) 2020-05-11

Family

ID=698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866A KR102108886B1 (en) 2018-08-30 2018-08-30 Cup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8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05B1 (en) *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Refrigerator for car
KR20140066889A (en) * 2012-11-23 2014-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449293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20160036448A (en)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대창 Cup holder for use in a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005B1 (en) * 2006-04-11 2007-06-22 주식회사 대창 Refrigerator for car
KR20140066889A (en) * 2012-11-23 2014-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101449293B1 (en)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KR20160036448A (en) * 2014-09-25 2016-04-04 주식회사 대창 Cup holder for use in a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886B1 (en)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7301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1592708B1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US10076987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CN104545267B (en) Heating and cooling cup retainer
US8991193B2 (en)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US10267558B2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344526B1 (en) A cooling and heating cabinet device for vehicles
KR102261354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102108886B1 (en) Cup holder for vehicle
KR20190003309A (en) Cold temperature
KR10171572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with thermoelement module
KR20140073137A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N104545266A (en) Heating and cooling cup holder
KR101534584B1 (en) Apparatus for cooling and heating cup holder for vehicle
CN111425922A (en) Heat sink assembly and electric oil heater
CN212029698U (en) Heat sink assembly and electric oil heater
KR20200057857A (en) Cooling device for vehicle
KR20120007790U (en) heat exchanger
KR101947576B1 (en) PTC heater for vehicle
KR102657841B1 (en) ruggage room heating and cooling device for vehicles
WO2024057503A1 (en) Heat transfer member and radiation panel
KR102090693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warm or cool water for mat
KR100726373B1 (en) Join structure of tank for radiator
KR100756987B1 (en) Cooling ? heating cabinet installed at arm rest of car
KR2020012486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