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372A -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372A
KR20200025372A KR1020180102599A KR20180102599A KR20200025372A KR 20200025372 A KR20200025372 A KR 20200025372A KR 1020180102599 A KR1020180102599 A KR 1020180102599A KR 20180102599 A KR20180102599 A KR 20180102599A KR 20200025372 A KR20200025372 A KR 20200025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display device
display
processor
displa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880B1 (ko
Inventor
김영민
노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80B1/ko
Priority to US16/532,803 priority patent/US11082740B2/en
Priority to PCT/KR2019/010921 priority patent/WO2020045953A1/en
Priority to EP19856294.4A priority patent/EP3794832A4/en
Priority to CN201980054836.0A priority patent/CN112585983B/zh
Publication of KR20200025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8Distribution of signals with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involving splitting/multiplexing signals to/from different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주변 장애물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A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기술발전에 따라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다양한 외부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무선으로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 간의 거리, 수신각도 등을 고려한 표준측정조건에 기초한 설정값으로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설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라도, 그 설치환경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에 특정한 재질의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외부장치로 송신되는 신호가 예기치 못하게 감쇄되어 속도 저하, 연결 끊김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물의 유무 및 그 재질에 대응한 무선통신 설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주변 장애물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설치환경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UI상에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공간을 나타내는 맵과, 복수의 후보 장애물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맵 상에 이동 배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카메라가 마련된 외부장치를 활용하여 쉽게 장애물을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촬상한 이미지는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소정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센서를 활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장애물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센서는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부로부터 읽고, 설정값에 기초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유전율에 대응하는 신호감쇄율이 높은 장애물의 송신신호를 더 크게 증폭함으로써, 장애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주변 장애물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설치환경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UI상에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공간을 나타내는 맵과, 복수의 후보 장애물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맵 상에 이동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카메라가 마련된 외부장치를 활용하여 쉽게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센서를 활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장애물을 검출할 수 있다.
장애물이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설정값을 저장한 저장부로부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읽는 단계; 및 설정값에 기초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유전율에 대응하는 신호감쇄율이 높은 장애물의 송신신호를 더 크게 증폭함으로써, 장애물의 종류와 관계없이 안정적인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서,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주변 장애물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주변 장애물과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 가능한 UI를 제공하고 그 UI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유무 또는 그 재질을 식별하므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설치환경에 대응하는 무선통신의 설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촬상된 이미지나,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유무 또는 그 장애물의 재질을 자동으로 검출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UI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UI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를 식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처리하는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를 들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가 수신하는 방송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신호공급원은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셋탑박스나, 블루레이(Blu-ray) 또는 DVD 등의 광디스크가 재생 가능한 플레이어(player)와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 또는 중계가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신호공급원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그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ιcepteurs et Tιlιviseurs) 규격 등에 의하여 유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한다)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동작 가능하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는 TV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랩탑(laptop) 또는 데스크탑(desk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장치(또는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 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장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서 동작하는 중계장치(200)(허브장치,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장치(200)로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중계장치(200)를 통해 제어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로 해당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장치는 제어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 없이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300)에 다이렉트로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smart phone),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장치(loudspeaker), 조명장치, 에어컨과 같은 가전기기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중계장치(200)를 통해 또는 다이렉트로 무선통신 가능한 외부장치(300)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셋탑박스(set-top box, STB), 랩탑(laptop) 또는 데스크탑(desk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table)과 같은 스마트 패드(smart pad)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사용자단말), 스마트워치(smart watch)나 3D 안경, VR(virtual reality) 장치 등의 머리 장착형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블루레이나 DVD 등의 광학 디스크 재생장치, AV 리시버와 같은 컨텐츠 제공장치(영상소스), 게임기 등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중계장치(200)를 통해 또는 다이렉트로 무선통신하는 디바이스(300)는 리모컨(remote control)과 같은 입력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외부장치(200, 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그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외부장치(200, 3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설치환경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유무 및/또는 그 장애물의 재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라 텔레비전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바닥이나 탁자 위에 놓인 스탠드형(또는 데스크형)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벽에 걸릴 수 있는 벽걸이형으로 설치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주변에 장애물(10, 11)이 존재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10)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에 존재하는 벽(wall)을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 즉, 중계장치(200) 사이에 위치된 벽과 같은 장애물(10)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해당 장애물(10)을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중계장치(2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중계장치(200)로 무선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중계장치(200)없이 다이렉트로 제어대상 디바이스(30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바, 도 1과 같은 장애물(10)이 존재하는 설치환경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해당 장애물(10)을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로 전달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벽(11)에 걸릴 수 있는 벽걸이형으로 설치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외부장치 즉, 중계장치(200) 또는 제어대상 디바이스(300)로 송신되는 무선신호는 그 벽(11)을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중계장치(200) 또는 해당 디바이스(300)로 전달될 수 있다.
무선신호의 투과율(Transmission Coefficient)은 그 투과대상인 장애물(10, 11)의 재질에 따라 상이하며, 일례는 아래 표 1과 같다.
콘크리트
Size : A * B * C
Transmission Coefficient[Db]
2.45 GHz x
5 GHz y
벽돌
Size : A * B * C
Transmission Coefficient[Db]
2.45 GHz x'
5 GHz y'
나무
Size : A * B * C
Transmission Coefficient[Db]
2.45 GHz x''
5 GHz y''
유리
Size : A * B * C
Transmission Coefficient[Db]
2.45 GHz x'''
5 GHz y'''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10, 11)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 300)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신호가 감쇄되어 속도 저하, 연결 끊김 등의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그 장애물(10, 11)의 재질에 따라 신호가 감쇄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러한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그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외부장치(200, 300)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신호수신부(110), 통신부(120), 영상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사용자입력부(150), 저장부(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1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컨텐츠)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30)로 전달한다.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호수신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 비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슈퍼 비디오, SCART, HDMI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과 포트(port)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다양한 주변장치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후술하는 통신부(120)를 통해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60)가 연결되는 연결부(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 300)와 유선 혹은 무선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통신부(12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을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무선랜유닛을 포함한다. 무선랜유닛은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AP 즉, 중계장치(200)로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중계장치(200)를 통해 제어 대상인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로 해당 신호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랜유닛은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RF(radio frequency)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모듈은 AP 없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 사이에 다이렉트로 통신을 지원하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통신부(120)는 성능에 따라 무선랜유닛, 근거리 통신모듈, 유선통신모듈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200, 3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300)와 다이렉트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저장부(160)에는 통신 대상 디바이스(300)에 대한 식별정보(예를 들어, MAC address각 또는 IP address)가 저장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신호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4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3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4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코더는 예를 들어, 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상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메인 SoC(System-on-Chip)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메인 SoC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70)를 구현하는 일례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3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신호수신부(110), 영상처리부(130) 및 프로세서(170)가 단일의 영상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3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부(14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처리부(13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4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구동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환경으로서, 예를 들면 장애물(10, 11)의 재질을 선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UI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이용하여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10, 11)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기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프로세서(17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에 마련된 전원키,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패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설정된 커맨드/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하는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와 이격 분리되어, 사용자 입력을 수신 가능한 리모컨(remote control),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을 포함한다.
리모컨에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감지부 및/또는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는 리모컨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수신 가능하다.
입력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무선통신하는 외부장치에 포함되며, 무선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사운드를 수신하는 음성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입력부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memory)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하드디스크(HDD),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EPROM 또는 EEP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하며, 휘발성 메모리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비휘발성 메모리뿐 아니라, 휘발성 메모리, 프로세서(170)의 내부에 마련되는 캐시메모리,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정의된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60)는 프로세서(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UI, 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환경에 기초하여 결정된 무선통신의 설정값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의 설정값은 통신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세기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여 매칭된 형태로 저장부(160)에 저장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무선통신의 설정값이 저장되는 일례로서, 저장부(160)는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비휘발성의 메모리로부터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휘발성의 메모리로 로드하고,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프로세서,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GPU(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코어(core)와 GPU가 결합된 SoC(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SoC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제,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고, 그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부(140)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와 같은 프로세서(17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7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0)의 동작은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데이터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직접 액세스되어 실행되거나,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전송매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되어 실행됨으로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감지부(180)에 포함되는 센서의 종류/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적외선(IR)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감지부(180)에 포함된 센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로서 센서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180)는 센서에 의한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프로세서(17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70)는 감지부(18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환경으로서, 주변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무선통신 설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무선통신 설정을 개시한다(501).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최초로 설치하는 때, 기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무선통신의 속도저하가 감지되는 때, 사용자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가 발생되는 때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경우, 통신부(120)에 대한 무선통신 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무선통신 설정이 개시되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한다(503). 여기서, 장애물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외에 설치된 벽(wall)인 것을 일례로 한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3에서, 디스플레이부(140)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UI들을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가 설치된 주변에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61)와, 메시지(62)에 응답한 사용자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또는 버튼)(62, 63)을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UI에서, 사용자로부터 예 항목(62)를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한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의 설치형태를 확인하는 메시지(71)와, 메시지(72)에 응답한 사용자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72, 73)을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상태에 대한 사용자선택이 입력가능한 메뉴항목(72, 73)이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UI는 다음 단계로 진행 또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사용자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로 벽걸이와 스탠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의 UI에서, 사용자로부터 벽걸이 항목(72)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지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도 2 또는 도 3과 같은 벽걸이형으로 설치된 경우, 무선신호는 벽(11)을 적어도 일부 투과하여 외부장치인 중계장치(200) 또는 해당 디바이스(300)로 전달되며, 이는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도 7의 UI에서, 다음 항목(74)을 선택하여, 프로세스(170)가 무선통신 설정의 다음 단계로 진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단계 50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프로세서(170)는 그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한다(505).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단계 505에서, 디스플레이부(140)에 UI를 표시하고,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 주변 장애물의 재질을 확인하는 메시지(81)와, 메시지(82)에 응답한 사용자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메뉴항목(82, 83, 84, 85)을 포함하는 UI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메뉴항목(82, 83, 84, 85)이 체크박스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선택 가능하게 표시되는 메뉴항목(82, 83, 84, 85)는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한다.
또한, UI는 다음 단계로 진행 또는 이전 단계로 돌아가도록 하는 사용자선택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항목(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선택 가능한 후보 장애물의 재질로, 콘크리트, 벽돌, 나무, 유리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장애물의 재질은 상기 열거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으므로, UI는 도 8에 도시된 항목들(82, 83, 84, 85) 외에 추가적으로 메뉴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의 재질을 선택하는 UI는 도 8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5에서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strength)를 조정한다(507).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단계 505에서의 결정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재질이,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대응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0)는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설정값을 저장한다. 프로세서(170)는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저장부(160)로부터 읽고, 그 읽은 설정값에 기초하여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0)는 저장부(160)로부터 읽은 설정값이 송신신호의 세기가 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여 송신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설정값은 그 재질에 따른 주파수별 신호 감쇄율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장애물 즉, 매질에 따른 신호 감쇄율의 일례는 아래 표 2와 같다.
구분 두께 유전율 신호 감쇄율
콘크리트 A 6.25 A
벽돌 A 4.4 B
나무 A 2 C
유리 A 5.1 D
표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애물의 각 재질에 대응하는 신호 감쇄율은 매질(장애물)의 유전율에 대응한다. 즉, 유전율이 클수록 신호 감쇄율도 크게 되므로, 표 2에서는 콘크리트의 신호 감쇄율이 가장 크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식별된 장애물의 유전율/신호감쇄율이 클수록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더 크게 증폭되도록 제어한다. 그에 따라, 장애물이 콘크리트인 경우, 다른 재질의 장애물 대비 송신신호의 세기가 크게 증폭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UI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유무 및 그 장애물의 재질을 식별하는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8과 상이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UI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UI들은 앞서 설명한 단계 501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무선통신 설정을 개시하기 위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설치 마법사)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의 설치공간을 나타내는 맵(90)이 표시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의 설치형태를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91, 92)이 UI로서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실제 TV의 설치형태와 가장 유사한 어느 하나의 항목(91)을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선택된 항목(91)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아이콘(93)을 맵(90) 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로서 마련된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아이콘(92)를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해당 아이콘(93)을 맵(90) 상에서 원하는 곳(실제 TV 가 설치된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공간을 나타내는 맵(90)과, 복수의 후보 장애물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항목(94, 95)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후보 장애물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 가능하며, 도 10과 같은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복수의 메뉴항목(94, 95) 중에서 실제 장애물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항목(94)을 선택하고, 사용자입력부(150)로서 마련된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맵(90)상에서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장애물의 위치(96)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94, 95) 중 선택된 항목(95)를 맵(90) 상에 이동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입력은 선택된 항목(95)에 대한 드래그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도 10에서의 장애물의 형태 및 위치를 선택한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단계 503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9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와 장애물의 위치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택된 위치에 대응하여 맵(90) 상에 디스플레이장치 아이콘(92) 및 장애물 아이콘(97)을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50)로서 마련된 리모컨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장애물 아이콘(97)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장애물의 존재여부 또는 그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는 자동으로 장애의 존재여부 또는 그 재질을 선택하는 실시예도 구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로부터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식별하거나,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는, 도 5의 단계 505에서 수신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에 포함된다.
도 1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301)과 같이 카메라가 구비된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할 수 있다. 스마트폰(301)은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제어 대상인 디바이스(300)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역을 추출하고, 그 주변 이미지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12의 경우를 예로 들면,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역의 주변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에 벽(11)과 같은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는, 도 5의 단계 505에서 수신되는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에 포함되는 바,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역의 주변 이미지에 기초하여, 주변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주변 이미지에서 벽돌 패턴이 검출되면, 프로세서(170)는 장애물의 재질이 벽돌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80)는, 촬상한 주변 이미지에서 나무 재질의 패턴이 검출되면 장애물의 재질이 나무인 것으로 결정하거나, 촬상한 주변 이미지에서 빛의 반사 패턴이 검출되면 장애물의 재질이 유리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상한 이미지를 통해 장애물의 재질을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프로세서(180)는 통상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인 콘크리트로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감지부(180)의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설치형태 즉, 벽걸이 또는 스탠딩을 결정하고, 그에 대응하여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존재를 식별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하방을 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81)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이용하여 그 설치형태가 벽걸이와 스탠딩 중 어느 형태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센서(181)는 디스플레이부(140)의 패널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센서(181)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81)가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센서(181)로부터 신호가 발신된 시간과 그 피드백신호가 수신된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바닥면과의 거리 즉, 설치 높이(h)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바닥면과의 거리(h)가 70cm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가 벽걸이인 것으로 결정한다.
센서(181)가 조도센서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부의 조도가 소정 설정값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가 스탠딩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후방을 향하여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82)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그 설치형태가 벽걸이와 스탠딩 중 어느 형태에 해당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센서(182)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일례로 한다.
센서(182)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조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82)가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경우, 프로세서(170)는 센서(182)로부터 신호가 발신된 시간과 그 피드백신호가 수신된 시간 사이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후방의 장애물 즉, 벽(11)과의 거리(d)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 결정된 거리(d)에 기초하여, 장애물(11)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가 벽걸이인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170)는, 상기 결정된 거리(d)에 기초하여, 도 14와 같이, 장애물(11)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방으로부터 소정 거리 보다 멀리 위치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가 스탠드인 것으로 결정한다.
센서(181)가 조도센서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방의 조도가 소정 설정값 이하로 매우 낮은 경우, 프로세서(18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치형태가 벽걸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최초 설치 당시에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V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최초로 설치하는 때 설정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는데, 예를 들면 설치장소의 정보로서 사용자의 주소 가 입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180)는 입력된 사용자의 주소를 서버 등에 마련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해당 주소지의 보편적인 주거형태에 대응하여 벽(11)과 같은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주소가 아파트 밀집 지역인 경우, 장애물의 재질은 콘크리트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는 자신 주변에 벽(11)과 같은 장애물(10)이 존재하는 경우, 그 장애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여,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른 유전율에 대응하여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게 되는데, 유전물이 큰 장애물일수록 송신신호가 더 크게 증폭되도록 제어한다.
도 15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 주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20)를 통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기존(41) 대비 증폭(42)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증폭된 송신신호(42)의 세기는 장애물의 재질에 따른 유전율을 고려하여 결정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에 특정 재질의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신호의 끊김 없이 안정적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200 : 중계장치
300 : 디바이스
10, 11 : 장애물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UI상에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공간을 나타내는 맵과, 복수의 후보 장애물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 상에 이동 배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한 이미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 가능한 소정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애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테두리에서 하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설정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상기 저장부로부터 읽고, 상기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에 UI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UI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I상에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을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공간을 나타내는 맵과, 복수의 후보 장애물을 나타내는 복수의 메뉴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메뉴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맵 상에 이동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을 촬상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유전율이 서로 다른 복수의 미리 정해진 재질의 후보 장애물에 대응하는 송신신호의 설정값을 저장한 저장부로부터 상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대응하는 설정값을 읽는 단계; 및
    상기 설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주변에 위치한 장애물의 재질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장애물의 재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장애물의 재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외부장치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송신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80102599A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462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99A KR102462880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6/532,803 US11082740B2 (en) 2018-08-30 2019-08-06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CT/KR2019/010921 WO2020045953A1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EP19856294.4A EP3794832A4 (en) 2018-08-30 2019-08-27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IT AND RECORDING MEDIUM FOR IT
CN201980054836.0A CN112585983B (zh) 2018-08-30 2019-08-27 显示装置和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99A KR102462880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372A true KR20200025372A (ko) 2020-03-10
KR102462880B1 KR102462880B1 (ko) 2022-11-03

Family

ID=6964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599A KR102462880B1 (ko) 2018-08-30 2018-08-30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2740B2 (ko)
EP (1) EP3794832A4 (ko)
KR (1) KR102462880B1 (ko)
CN (1) CN112585983B (ko)
WO (1) WO2020045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2793B2 (ja) * 2017-05-31 2022-04-12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中継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8062A1 (en) * 2004-09-16 2006-03-16 Airtight Networks, Inc. (Fka Wibhu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network security exposure visualization and scenario analysis
KR20140029125A (ko) * 2012-08-31 2014-03-10 아나로그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장치용 환경 탐지
US20140267558A1 (en) * 2013-03-14 2014-09-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wireless configuration for video conference environment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846A (en) 1995-02-28 1997-05-20 Lucent Technologies Inc. Upstream communications for interactive networks
GB2398965B (en) 2003-02-27 2005-05-18 Toshiba Res Europ Ltd Methods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levels in air interface channels
EP1969447A2 (en) * 2006-01-05 2008-09-17 Eyespo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editing, and sharing digital video
KR20110065220A (ko) 2009-12-09 2011-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그를 이용한 수신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49737B1 (ko) 2009-12-14 2017-06-21 톰슨 라이센싱 유휴 대역 디바이스를 위한 송신기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9015612B2 (en) * 2010-11-09 2015-04-21 Sony Corporation Virtual room form maker
ES2400777T3 (es) * 2011-01-17 2013-04-12 Swisscom Ag Generación de un mapa de red
JP5300100B2 (ja) 2011-06-08 2013-09-25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障害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音声通信端末、障害情報収集方法
US10001401B2 (en) * 2014-01-23 2018-06-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figuring an electronic level gauge including position for an application
KR101969350B1 (ko) * 2012-08-20 2019-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4438B1 (ko) * 2013-07-15 2019-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208028A1 (en) 2014-01-20 2015-07-2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Home Gateway Interface
KR102293654B1 (ko) * 2014-02-11 2021-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271648A1 (en) * 2014-03-24 2015-09-24 Amoesolu Corporation Distributed antenna in-door locating system and its locating method
US9935833B2 (en) * 2014-11-05 2018-04-0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optimized wireless interface installation configuration
KR101917655B1 (ko) * 2015-04-13 2018-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방법
KR102355624B1 (ko) * 2015-09-11 202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359948B1 (de) * 2015-12-09 2019-02-27 Diamonte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alysieren eines stoffs
US11212684B2 (en) * 2016-07-27 2021-12-28 Ryan Robert Hadley Systems and methods for the visual representation and simulat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distribution in a volume of sp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8062A1 (en) * 2004-09-16 2006-03-16 Airtight Networks, Inc. (Fka Wibhu Technologies, Inc.) Method for wireless network security exposure visualization and scenario analysis
KR20140029125A (ko) * 2012-08-31 2014-03-10 아나로그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모바일 장치용 환경 탐지
US20140267558A1 (en) * 2013-03-14 2014-09-18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wireless configuration for video conference environ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880B1 (ko) 2022-11-03
EP3794832A1 (en) 2021-03-24
CN112585983A (zh) 2021-03-30
US11082740B2 (en) 2021-08-03
US20200077141A1 (en) 2020-03-05
WO2020045953A1 (en) 2020-03-05
EP3794832A4 (en) 2021-06-30
CN112585983B (zh) 202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744B2 (en) Virtual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130229577A1 (en) Attached Device Control on Television Event
US117222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274781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upgrading smart fun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825153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US20160019781A1 (en) Electronic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o external apparatus
US2023033359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90761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00045669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314663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462880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1008776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956495B2 (en) Source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1008906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EP38595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018358A (ko)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한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컨텐츠 제공 방법
US1119547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21010327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2733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7973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440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