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669A -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669A
KR20200045669A KR1020180126482A KR20180126482A KR20200045669A KR 20200045669 A KR20200045669 A KR 20200045669A KR 1020180126482 A KR1020180126482 A KR 1020180126482A KR 20180126482 A KR20180126482 A KR 20180126482A KR 20200045669 A KR20200045669 A KR 20200045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remote control
interface
c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7379B1 (ko
Inventor
신현철
박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379B1/ko
Priority to PCT/KR2019/013909 priority patent/WO2020085773A1/en
Priority to US16/661,087 priority patent/US11006167B2/en
Publication of KR20200045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characterized by types of remote control, e.g. universal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6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 G08C19/28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pulses using pulse cod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IR 수신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고,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호텔과 같은 상업적인 환경에서 외부장치의 전용 리모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리모컨의 분실이나 도난에 대비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RECORDING MEDIA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되는 IR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TV)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하여 각 기능별로 분류된 구성들의 조합으로서 형성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호텔, 병원 등과 같이 상업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이른바 B2B(Business to Business) TV는 방송사업자와 같은 서비스업체에서 제공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리모컨(remote control)으로부터 IR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장치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외부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영상신호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리모컨은 제어 대상인 외부장치와 분리된 형태로 제공 및 사용되기 때문에, 분실 또는 도난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특정 서비스업체의 외부장치 전용으로 설계된 리모컨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교체가 용이한 범용 리모컨을 사용하여 외부장치에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BTB 시스템의 유지 관리에 보다 유리한 점이 있다.
범용 리모콘으로 외부장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외부장치의 코드셋(code set)에 대응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달해 주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가 구체적인 서비스업체의 정보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비스업체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고 하여도, 외부장치의 종류 즉, 모델이 세분화됨에 따라서, 외부장치와 정확히 매칭되는 코드셋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기는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업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 및 종류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리모컨 설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한 저가의 리모컨을 사용하여 외부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IR 수신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고,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리모컨의 종류에 관계없이 IR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중에서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업체 별로 코드셋이 상이한 경우에도 리모콘 코드셋이 식별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미리 정해진 코드를 송수신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서비스업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 및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응답 코드에 대응하여 서비스업체를 식별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복수의 서비스업체 별로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이 더 저장되고, 프로세서는, 저장부로부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고,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전송된 키코드의 리모컨 코드셋으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업체 별로 코드셋이 상이한 경우, 키코드의 전송을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리모콘 코드셋이 식별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고,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각각으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으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 모드를 실행하여,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의 최초 연결 또는 전원 공급 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초기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어제든지 리모컨 설정이 가능하다.
제1인터페이스는 RJ12 타입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방식으로 연결된 외부장치에 적용이 용이하다.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들 별로 미리 정해진 코드 정보와, 서비스업체들 별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 및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리모컨의 종류에 관계없이 IR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중에서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서비스업체 별로 코드셋이 상이한 경우에도 리모콘 코드셋이 식별 가능하다.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외부장치로부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미리 정해진 코드를 송수신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서비스업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 및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복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응답 코드에 대응하여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복수의 서비스업체 별로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이 더 저장되고, 저장부로부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외부장치로부터 송신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전송된 키코드의 리모컨 코드셋으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업체 별로 코드셋이 상이한 경우, 키코드의 전송을 이용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리모콘 코드셋이 식별 가능하다.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는,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 및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각각으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키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선택된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외부장치로부터 전송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으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 모드를 실행하여,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의 최초 연결 또는 전원 공급 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초기화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어제든지 리모컨 설정이 가능하다.
제1인터페이스는 RJ12 타입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존의 방식으로 연결된 외부장치에 적용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리모컨의 종류에 관계없이 IR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호텔과 같은 상업적인 환경에서 외부장치의 전용 리모컨을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리모컨의 분실이나 도난에 대비하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무장치 간 신호의 송수신 과정을 통해 자동으로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 및 그에 따른 리모컨 키코드를 식별하는 방식으로 리모컨 설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편의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IR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TV)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호텔, 병원 등과 같이 상업적인 환경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장치, 이른바 B2B(Business to Business) TV로 구현되어, 영상소스인 외부장치(200)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소정 서비스업체(System Integrator, SI)에 의해 운영 또는 제공되는 셋탑박스(set-top box, STB)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영상소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므로, 외부장치(200)는 셋탑박스 뿐 아니라, 예를 들어 블루레이(Blu-ray)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디스크 재생장치, 테스크탑(desktop) 또는 랩탑(laptop)을 포함하는 컴퓨터(PC), 콘솔 게임기, 스마트폰(smart phone)이나 태블릿(tablet)과 같은 스마트패드(smart pad)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텔레비전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 방송정보, 또는 방송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방송 컨텐츠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 즉, 방송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기 위한 튜너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방송신호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서 수신 가능하며, 신호공급원은 외부장치(200)나 방송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 또는 스테이션이라면 본 발명의 영상소스에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규격은 장치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 포트(display port, DP), DVI(digital visual interface),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Syndicat des Constructeurs d'Appareils Radiorcepteurs et Televiseurs), USB(universal serial bus) 등에 의하여 유선으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서버 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통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통한 무선 통신 또는 AP 없이 타 기기와 다이렉트 연결되는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영상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이더넷(Ethernet)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AP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에 따른 파일 형태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내부/외부의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한다) 등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스마트 TV 또는 IP TV(Internet Protocol TV)로 동작 가능하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징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 즉, 리모컨(3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리모컨(3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적외선(Infrared Rays, IR) 신호(이하, IR 신호 라고 한다)로서,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IR 신호를 수신하는 IR 수신부(도 2의 110)가 마련될 수 있다. IR 수신부(110)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서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테두리(베젤)의 일 영역(예를 들면, 하부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도 3의 120, 130)가 마련되어, 이를 통해 외부장치(200)와 케이블에 의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의 접속 방식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규격에 따른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의해 양 장치가 연결되게 구현 가능하다. IR 수신부(110)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120, 130)의 구체적인 구현 예는 도 3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IR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300)의 IR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모컨(300)은 MBR(Multi-Brand Remote Control) 기능을 가지는 범용 리모컨(Universal Remote Control) 또는 통합 리모컨으로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모컨(300)은 디스플레이장치(100) 즉, TV의 리모컨으로 구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리모컨(300)은 리모컨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장치 즉,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리모컨(30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리모컨(300)이 통합 리모컨으로 구현된 경우, 리모컨(300)으로부터 수신되는 IR 신호는 표준 코드셋(code set)에 대응하는 소정 키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IR 신호에 포함된 키코드의 코드셋은 외부장치(200)의 코드셋과 상이하여, 그대로 전달될 경우 외부장치(200)가 해당 키코드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리모컨(300)으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외부장치(200)의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도 3의 150)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R 수신부(110), 제1인터페이스(120), 제2인터페이스(130), 영상처리부(140), 디스플레이(150), 저장부(160) 및 프로세서(1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은 상기한 일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일부 구성을 제외 또는 변경하여 구성되거나,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영상소스, 서버 등의 다양한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 가능한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통신부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주변 환경을 검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R 수신부(110)는 리모컨(300)으로부터 출력되는 IR 신호를 수신한다. 사용자는 리모컨(300)을 사용하여 전원 온 또는 오프, 볼륨 조절, 채널 선택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다.
IR 수신부(110)는 소정 파장의 적외선 빛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로 구성된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IR 수신부(110)는 IR 포토다이오드(photodiode)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120, 130)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장치(200)와 유선 연결되도록 한다.
제1인터페이스(120)는 외부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하고, 전송된 신호에 대한 응답을 피드백으로서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인터페이스(120)는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과 포트(port)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되며, 일례로 RJ12 타입에 따른 커넥터 즉, RJ12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인터페이스(120)는 리모컨(300)으로부터 수신되는 IR 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하도록 마련된 IR 출력부로서 동작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IR 수신부가 마련되지 않은 외부장치(200)가 리모컨(300)의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IR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300)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제1인터페이스(120)에 의해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한다.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는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된다.
제2인터페이스(14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제2인터페이스(140)는 기본적으로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만,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인터페이스(130)는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S/W module, chip 등)과 포트(port)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회로(communication circuitry)로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인터페이스(130)는 HDMI 또는 디스플레이 포트(DP)를 포함하며, 다만 그 통신 방식이 HDMI나 DP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처리부(140)는,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의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음성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생성 또는 결합한 영상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50)에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40)에서 처리되는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영상처리부(140)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도록 디코드하는 디코더(decoder)와,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150)의 출력규격에 맞도록 조절하는 스케일러(scal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는 예를 들어,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디코더인 것을 일례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부(140)의 디코더는 H.264 디코더 또는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ec) 디코더 등 다양한 압축 표준에 따른 디코더로서 구현 가능하다.
영상처리부(140)가 수행하는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방송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노이즈 감소,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처리부(140)가 처리하는 컨텐츠는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뿐 아니라, JPEG와 같은 사진, 배경화면 등의 정지영상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메인 SoC(System-on-Chip)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메인 SoC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70)를 구현하는 일례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CP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부(14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칩셋, 메모리, 전자부품, 배선 등의 회로 구성이 인쇄회로기판(PCB) 상에 실장된 영상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영상처리부(140), 저장부(160) 및 프로세서(170)가 단일의 영상보드 즉, 메인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례에 불과하고 각 구성들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50)로 출력된다. 디스플레이(150)는 영상처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5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5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구동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IC(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되어, 영상처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0)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광원 또는 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소자 등을 구동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호텔에서 사용되는 B2B TV인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에는 초기화면으로서 호텔 로고 및 호텔명을 나타내는 항목(401)이 표시된다. 또한,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는 초기화면에는 리모컨(300)을 사용하여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항목(402, 403)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변동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DD), EPROM 또는 EEPRO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더 포함하며, 휘발성 메모리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읽기 또는 쓰기 속도가 비휘발성 메모리에 비해 빠른 DRAM 또는 SRAM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부라는 용어는 비휘발성 메모리뿐 아니라, 휘발성 메모리, 프로세서(170)의 내부에 마련되는 캐시메모리, 소정 규격에 따른 접속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를 포괄하는 용어로서 정의된다.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그래픽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그래픽데이터는 영상처리부(140)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로서 디스플레이(150)로 출력되어, 디스플레이(150) 화면의 일 영역에 OSD(on-screen display)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이하, UI(user interface) 라고도 한다) 등의 그래픽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호텔에서 사용되는 B2B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0)의 초기화면에 표시되는 호텔 로고 및 호텔명을 나타내는 항목(401)은 저장부(160)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되는 그래픽의 일례이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0)는 외부장치(200)의 종류 즉, 모델 별로 리모컨 코드셋(code set)(이하, 제어 코드셋 또는 코드셋 이라고도 한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리모컨 코드셋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가 리모컨(300)의 각 버튼을 조작하여 발생하는 IR 신호에 대응하여 외부장치(2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방송사업자와 같은 서비스업체 즉, SI는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모델의 외부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서비스업체는 모델명 1, 2, 3에 대응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며, 제2서비스업체는 모델명 4, 5, 6, 7에 대응하는 외부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0)에 저장되는 리모컨 코드셋에 대한 정보는, 해당 코드셋에 대응되는 외부장치(20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서비스업체의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저장부(160)는 서비스업체들 별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모델)을 분류하고, 분류된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외부장치(200)를 관리하는 서비스업체들 별로 미리 정해진 코드정보를 더 저장한다. 여기서, 코드정보는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외부장치(200)로 전송되는 소정 프로토콜에 따른 요청 패킷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 및 요청 패킷의 피드백에 포함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제1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그의 응답으로 피드백 패킷이 수신되면, 요청 패킷의 식별 코드 및 피드백 코드의 패킷의 응답 코드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상기와 같이 식별된 서비스업체의 외부장치(200)의 종류 별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여,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키코드를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70)는 전송된 키코드에 대응한 외부장치(200)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결정함으로써, 리모컨의 자동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70)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된 비휘발성의 메모리로부터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를 휘발성의 메모리로 로드하고, 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범용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 예를 들어, 대기 전원만 공급되고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동작하지 않는)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롬 및 램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롬과 램은 저장부(160)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되는 PCB 상에 실장되는 메인 SoC(Main SoC)에 포함되는 형태로서 구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SoC는 영상처리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시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는, 본 발명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의 일례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0)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미도시)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컴퓨터프로그램제품은 컴퓨터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인스트럭션이 저장된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인스트럭션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별도의 컴퓨터프로그램제품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여, 프로세서(17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170)의 동작은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즉, 데이터는 프로세서(170)에 의해 직접 액세스되어 실행되거나, 컴퓨터 시스템이 상호 결합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되는 전송매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되어 실행됨으로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여 리모컨 설정을 수행하고, 식별 결과에 따라 외부장치(20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기 위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4에서 설명하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여 리모컨 설정을 수행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외부장치(200)의 초기화 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의 최초 연결 또는 전원공급 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초기화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리모컨(300)에서의 기설정된 키의 조합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관리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장치의 교체나 리셋이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초기화 모드를 실행하여 외부장치(200)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여 리모컨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외부장치(200)로 소정 프로토콜의 요청 패킷(request packet)이 전송된다(501).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외부장치(200)가 제1인터페이스(120)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SI)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저장부(160)에는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 즉, SI 벤더(vendor) 별로 기설정된 식별 코드(Request Cmd Code)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A SI 벤더, BBB SI 벤더, CCC SI 벤더에 0x00, 0x01, 0x20이 각각 식별코드로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에는 서비스업체 별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Reply Cmd Code)가 더 할당되어 저장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장치(200)로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패킷이 수신되면, 그에 기초하여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200)에는, 자신의 서비스업체의 식별 코드 및 그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의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응답코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코드보다 1이 증가한 값을 가지는 코드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5는 서비스업체 및 그에 대응하는 각 식별코드와 응답코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서비스업체의 개수, 명칭 및 그 식별코드/응답코드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단계 501에서 프로세서(170)는, 저장부(160)로부터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 별로 식별코드를 읽고, 읽은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순차적으로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1에서 전송된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서, 외부장치(20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피드백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502). 프로세서(170)는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 즉, 피드백 패킷이 수신될 때까지 서비스업체 별로 순차적으로 요청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어 AAA SI 벤더에 대해 할당된 식별코드 0x00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한 뒤, 일정 시간 동안 응답(Reply)을 대기한다.
외부장치(200)는 단계 501의 전송에 따라 외부장치(200)에서 수신된 요청 패킷이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503). 여기서, 요청 패킷에 포함된 식별코드 0x00가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외부장치(200)는 요청 패킷을 식별 가능한 것이다. 외부장치(200)에 저장된 식별 코드가 0x00이 아닌 경우, 외부장치(200)가 해당 요청 패킷을 식별할 수 없는 것이므로, 외부장치는 해당 요청 패킷을 무시하며 디스플레이장치(100)로는 응답이 전송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70)는 식별 코드 0x00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BBB SI 벤더에 대해 할당된 식별코드 0x10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한 뒤, 일정 시간 동안 응답 대기한다.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200)는 요청 패킷에 포함된 식별코드 0x10이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요청 패킷을 식별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에 저장된 식별 코드가 0x10이 아닌 경우, 외부장치(200)가 해당 요청 패킷을 식별할 수 없는 것이므로, 디스플레이장치(100)로는 응답이 전송되지 않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식별 코드 0x10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에 대한 응답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CCC SI 벤더에 대해 할당된 식별코드 0x20를 포함하는 요청 패킷을 외부장치(200)로 전송한 뒤, 일정 시간 동안 응답 대기한다.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200)는 요청 패킷에 포함된 식별코드 0x20가 외부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요청 패킷을 식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외부장치(200)에 저장된 식별 코드가 0x20인 경우, 외부장치(200)는 단계 503에서 해당 요청 패킷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503의 식별에 따라, 외부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응답코드 0x21을 포함하는 피드백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504).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단계 502의 모니터링에 따라, 단계 504에서 외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피드백 패킷을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소정 요청 패킷에 대한 피드백 패킷이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면, 단계 501의 요청 패킷의 전송을 중단하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수신된 피드백 패킷의 응답코드 0x20를 식별하여,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를 결정한다(505).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어 식별코드 0x20에 대응하는 응답코드 0x21를 포함하는 피드백 패킷을 수신한 경우,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가 CCC SI 벤더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5에서 결정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외부장치(200)의 종류 별로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한다(506).
이를 위해, 저장부(160)에는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 즉, SI 벤더(vendor)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예를 들면, 모델) 별로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업체 CCC SI 벤더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 즉, 셋탑박스(STB)의 종류가 STB 10, STB 11, STB 12, STB 13의 4개인 경우, 저장부(160)에는 STB 10, STB 11, STB 12, STB 13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로서 A KEY CODE SET, B KEY CODE SET, C KEY CODE SET, D KEY CODE SET가 각각 저장된다. 도 6의 참조부호 601은 단계 505에서 결정된 서비스업체가 CCC SI 업체인 경우, 추출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를 나타낸다.
저장부(160)는 상기와 같이 각 서비스업체 별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모델)을 분류하고, 분류된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단계 506에서 현재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외부장치의 종류 별로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서비스업체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 및 그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서비스업체의 명칭, 대응되는 외부장치의 종류와 명칭, 그 리모컨 코드셋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6에서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소정 기능 또는 명령(command)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선택한다(507).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결정된 서비스업체의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 별 리모컨 코드셋들 중에서 변별키(또는 샘플키)로 사용되는 키코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변별키로 선택되는 키코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볼륨조절, 채널전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키코드가 선택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7에서 변별키로 선택된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한다(508).
단계 508에서, 프로세서(170)는, 단계 505에서 결정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각 외부장치의 종류 별로, 단계 507에서 선택된 키코드 즉, 변별키를 순차적으로 외부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508에서 전송된 키코드에 대한 응답으로서, 외부장치(200)로부터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해당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509).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0)는, 예를 들어 CCC SI 벤더에서 서비스 가능한 외부장치 STB 10의 리모컨 코드셋인 A KEY CODE SET으로부터 변별키로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한 뒤, 일정 시간 동안 응답(Reply)을 대기한다.
외부장치(200)는 단계 508의 전송에 따라 외부장치(200)에서 수신된 키코드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510). 여기서, 외부장치(200)가 수신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 외부장치(200)는 해당 키코드를 식별 가능한 것이다. 외부장치(200)가 해당 키코드를 식별할 수 없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는 해당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70)는 STB 10의 리모컨 코드셋인 A KEY CODE SET으로부터 변별키로서 선택된 키코드에 대한 응답이 일정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CCC SI 벤더에서 서비스 가능한 다른 외부장치 STB 11의 리모컨 코드셋인 B KEY CODE SET으로부터 변별키로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00)로 전송한 뒤, 일정 시간 동안 응답 대기한다.
같은 방식으로, 외부장치(200)는 수신된 키코드가 식별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외부장치(200)가 해당 키코드를 식별할 수 없으면, 디스플레이장치(100)로는 해당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다.
반면, 외부장치(200)가 해당 키코드를 식별할 수 있으면, 외부장치(200)는 식별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511). 여기서, 해당 키코드가 예를 들어, 채널 변경(+1)에 대응하는 경우, 외부장치(200)는 변경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해당 키코드가 볼륨 조절(-1)에 대응하는 경우, 외부장치(200)는 현재 수신하고 있는 컨텐츠의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장치(200)는 단계 511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512). 예를 들면, 해당 키코드가 채널 변경(+1)에 대응하는 경우, 변경된 채널의 방송신호가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해당 키코드가 볼륨 조절(-1)에 대응하는 경우, 볼륨을 조절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단계 509의 모니터링에 따라, 단계 512에서 외부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120) 또는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소정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키코드에 대해, 해당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면, 단계 508의 키코드 전송을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프로세서(170)는 단계 510에서 외부장치(200)에 의해 식별된 키코드의 리모컨 코드셋, 예를 들면 STB 11의 리모컨 코드셋인 B KEY CODE SET 으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리모컨 설정을 수행하게 된다(513). 그에 따라, 리모컨(300)으로부터 IR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키코드가 단계 513에서 설정된 리모컨 코드셋, 예를 들어 STB 11의 리모컨 코드셋인 B KEY CODE SET에 대응되게 변환되어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제1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외부장치(200)에 식별 코드를 전송하여 응답을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서비스업체를 결정하고, 해당 서비스업체의 외부장치 종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여 동작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외부장치(200)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함으로써, 자동으로 리모컨 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에 따라, 외부장치(200)의 전용 리모컨이 아닌 범용 리모컨 또는 통합 리모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리모컨 설정 과정에서의 사용자의 수동 설정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장치(200)의 서비스업체나 종류(모델)이 교체되는 경우에도 문제없이 리모컨 설정을 통해 해당 외부장치(2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IR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1인터페이스(120)에 연결된 외부장치(300)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여, 리모컨 설정을 수행한다(701). 단계 701에서의 리모컨 코드셋 식별 및 그에 따른 리모컨 설정 과정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IR 수신부(110)를 통해 리모컨(3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키코드를 포함하는 IR 신호를 수신한다(702). 여기서, IR 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컨(300)은 통합 리모컨인 것을 일례로 하며, 제1키코드는 통합 리모컨의 제어 코드셋에 따른 코드값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프로세서(170)는 단계 702에서 수신된 제1키코드를 단계 701에서 식별된 외부장치(300)의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한다(703). 즉, 단계 702에서 수신된 IR 신호의 키코드가 외부장치(200)의 리모컨 코드셋과 상이하여 식별할 수 없는 경우라도,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이를 외부장치(200)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변환하게 된다.
프로세서(170)는 단계 703에서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제1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 전송한다(704).
외부장치(200)는 단계 704에서 전송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2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705). 예를 들어, 제2키코드가 채널 변경(+1)에 대응하는 경우, 외부장치(200)는 변경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705의 동작에 따른 신호가 외부장치(20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된다(706). 여기서, 단계 705의 동작이 채널 변경인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외부장치(200)로부터 변경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70)는 외부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50)에 영상을 표시한다(707). 여기서, 프로세서(170)는 제2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영상처리부(140)를 제어하고, 그 처리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IR 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IR 신호에 포함된 키코드를 외부장치(200)의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리모컨(300)의 종류에 관계없이 IR 수신부가 구비되지 않고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외부장치(200)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호텔과 같은 B2B TV 환경에서, 외부장치(300)의 전용 리모컨을 구비해 둘 필요가 없고, 리모컨의 분실이나 도난에 대비하기 용이하므로, 유지 관리의 비용을 줄이고, 사용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장치 200 : 외부장치
300 : 리모컨 110 : IR 수신부
120 : 제1인터페이스 130 : 제2인터페이스
140 : 영상처리부 150 : 디스플레이
160 : 저장부 17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IR 수신부;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
    상기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고,
    상기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상기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중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 및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응답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업체 별로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이 더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전송된 키코드의 리모컨 코드셋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각각으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의 최초 연결 또는 전원 공급 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초기화 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RJ12 타입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들 별로 미리 정해진 코드 정보와, 상기 서비스업체들 별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 및 상기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상기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중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미리 정해진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의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식별 코드 및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가 저장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응답 코드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업체를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서비스업체 별로 제공 가능한 외부장치의 종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이 더 저장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리모컨 코드셋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송신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전송된 키코드의 리모컨 코드셋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서비스업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부장치의 종류 각각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리모컨 코드셋 각각으로부터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키코드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순차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전송된 키코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른 신호가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으로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초기화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장치의 최초 연결 또는 전원 공급 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한 소정 이벤트 발생 시,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초기화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RJ12 타입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비휘발성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제1인터페이스에 연결된 외부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컨 코드셋을 식별하는 단계;
    IR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리모컨의 IR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IR 신호에 포함된 제1키코드를 상기 식별된 리모컨 코드셋에 대응하는 제2키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제2키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80126482A 2018-10-23 2018-10-23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102557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82A KR102557379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CT/KR2019/013909 WO2020085773A1 (en) 2018-10-23 2019-10-2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6/661,087 US11006167B2 (en) 2018-10-23 2019-10-23 Display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482A KR102557379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669A true KR20200045669A (ko) 2020-05-06
KR102557379B1 KR102557379B1 (ko) 2023-07-19

Family

ID=7028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482A KR102557379B1 (ko) 2018-10-23 2018-10-23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06167B2 (ko)
KR (1) KR102557379B1 (ko)
WO (1) WO2020085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4049B (zh) * 2017-10-24 2021-10-22 株式会社索思未来 转换器以及数据传输系统
KR102645140B1 (ko) * 2018-12-06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Fpga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20262235A1 (en) * 2021-02-16 2022-08-18 Arris Enterprises Llc System to control multiple devices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ZAA202200039S (en) * 2021-07-14 2022-10-26 Sky Cp Ltd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10849A1 (en) * 2010-02-26 2011-09-01 Howard John W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use in a paging network
US20130278838A1 (en) * 2009-09-01 2013-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KR20140064141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43406A (ko) * 2016-06-21 2017-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신호를 수신하고 변환된 리모컨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1857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셋탑박스 인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6641B1 (en) * 2004-04-29 2009-12-01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ower scan for remote control
KR102402262B1 (ko) * 2015-08-25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00072B1 (ko) * 2016-08-04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78838A1 (en) * 2009-09-01 2013-10-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US20110210849A1 (en) * 2010-02-26 2011-09-01 Howard John W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use in a paging network
KR20140064141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43406A (ko) * 2016-06-21 2017-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모컨신호를 수신하고 변환된 리모컨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1857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셋탑박스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379B1 (ko) 2023-07-19
WO2020085773A1 (en) 2020-04-30
US20200128206A1 (en) 2020-04-23
US11006167B2 (en)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09487A1 (zh) 音频数据流输出的控制方法及显示设备
KR102557379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US113171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29000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voice acquiring apparatus, voice recognition method thereof and voice recognition system
US112287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176807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modes
CN111405338A (zh) 一种智能画质的切换方法及显示设备
US1190761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84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21007328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314663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multiple external apparatuses having different protocols through a connection por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30179815A1 (en) Electronic apparatus,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079562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相互間の電源制御方法
JP2015089007A (ja) 表示装置及び出力制御方法
EP385951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2074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방송 수신 장치의 오디오 출력방법
KR102580505B1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210040489A (ko) 디스플레이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KR20100050373A (ko)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영상기기 제어방법
KR20160072895A (ko) 일대다 실시간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오픈 플랫폼 제공장치, 이를 이용한 일대다 실시간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제공방법, 이를 컴퓨터상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EP3720139A1 (en) Controlling connected tv with a mobile device
KR20230046467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012585A1 (en) Rui server, rui terminal apparatus, rui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ui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