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137A -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137A
KR20200025137A KR1020180102036A KR20180102036A KR20200025137A KR 20200025137 A KR20200025137 A KR 20200025137A KR 1020180102036 A KR1020180102036 A KR 1020180102036A KR 20180102036 A KR20180102036 A KR 20180102036A KR 20200025137 A KR20200025137 A KR 20200025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terface
exercise
layo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1708B1 (ko
Inventor
정광
조민규
Original Assignee
정광
조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 조민규 filed Critical 정광
Priority to KR102018010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7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운동방법을 쉽게 만들어 공유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트레이너로 하여금 직접 자신만의 운동법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편집기를 제공하고, 만들어진 운동법을 타인과 공유하거나 콘텐츠 마켓을 통해 판매까지 가능하게 하는 종합적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운동방법을 쉽게 만들어 공유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트레이너로 하여금 직접 자신만의 운동법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편집기를 제공하고, 만들어진 운동법을 타인과 공유하거나 콘텐츠 마켓을 통해 판매까지 가능하게 하는 종합적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의 중요성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 게 없다 할 것이나, 인스턴트 식품의 대중화, 기술 발전에 따른 작업의 자동화 등에 의해 최근 현대인들은 높은 비만율, 낮은 운동량에 건강을 크게 위협받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체육관이나 운동장을 찾아 정기적인 운동을 시작해 보고자 하나, 대부분의 경우 운동의 의지를 유지해 나갈 동기를 잃은 채 중도에서 포기하게 된다.
한편, 건강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을 계속 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에게 맞는 운동법, 재미를 유발하는 운동법, 운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동법을 찾지 못해서인데, 실상 다양한 운동법 중 자신에게 맞는 운동법을 찾으려 해도 인터넷 상에 중구난방으로 공개되어 있는 운동법들은 검색의 의지를 꺾을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 맞는 수준의 운동법을 찾기도 어렵게 되어 있어 운동을 하고자 하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욱 쉽게 운동을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운동법을 고안해 낼 수 있는 트레이너의 입장에서는 오히려 자신만의 경험에 의해 고안된 운동법들이 적절하게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현실, 즉 다양한 운동법을 공유할 수 있는 장(場)이 부족하고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운동법을 콘텐츠화하여 제작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트레이너의 경우 콘텐츠 제작 기술을 익히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익힌다 하더라도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의 수준에 한계가 있어 많은 소비자들의 구입을 유도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만든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SNS, 블로그 등을 통해 공개가 될 뿐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루트도 마땅하지 않다.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트레이너와 소비자의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종합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트레이너들에게는 다양한 운동법을 쉽게 콘텐츠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만들어진 콘텐츠를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고, 소비자들로서는 더욱 다양한 운동법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입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7252호 (2016.12.12.)
본 발명은 운동법을 고안하고 가르치는 입장에서의 트레이너와 운동법을 선택하고 가르침을 받는 입장에서의 트레이니가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종합적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트레이너에게는 운동법을 쉽게 콘텐츠화 할 수 있는 편집 환경을 제공하고, 트레이너에 의해 생성된 트레이닝 콘텐츠를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많은 트레이너들로 하여금 다양한 트레이닝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유도하고, 이로 인해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트레이니, 즉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더욱 다양한 트레이닝 콘텐츠를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구입한 트레이닝 콘텐츠를 활용하여서는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은 채 꾸준히 운동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콘텐츠 내 보조적인 수단들을 제공함으로써 트레이닝 콘텐츠를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해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되,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기초로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기초로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 및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는 상기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의 임의 재생시점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기 저장된 개별운동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기 저장된 개별운동 콘텐츠가 나열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일차(日次)를 입력받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해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전제로 하되,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일차(日次)별 콘텐츠들이 나열된 제3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일차별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일차별 콘텐츠를 구성하는 개별운동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4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4인터페이스는,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을 출력하는 레이아웃; 및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완료횟수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완료횟수는 상기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완료 될 때마다 1회씩 증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제4인터페이스는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시간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임을 전제로 하되, 상기 방법은 전술한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이너들이 자신만의 노하우 운동법을 쉽게 콘텐츠화 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트레이너들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운동법의 종류도 크게 다양해 질 수 있으므로 일반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트레이너들이 체육관을 통하여서만 운동법을 가르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었던 한계에서 벗어나, 온라인 상으로도 콘텐츠화 된 운동법을 판매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트레이너가 트레이닝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을 순서에 따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트레이닝 콘텐츠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트레이너가 개별운동 콘텐츠를 제작할 때에 제공되는 제1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트레이너가 통합운동 콘텐츠를 제작할 때에 제공되는 제2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트레이니, 즉 소비자가 통합운동 콘텐츠를 이용할 때에 제공되는 제3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상기 제3인터페이스에 이어 제공되는 제4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트레이니가 운동을 할 때에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운동장비들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제4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트레이닝 센터 내 센터 서버에 제공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화기(phone)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의 개략적인 제공 모습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운동법을 가르치는 트레이너와 운동법을 배우는 트레이니 모두에게 제공될 수 있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트레이너로 하여금 직접 다양한 개별운동법을 포함하는 통합운동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렇게 해서 생성된 통합운동 콘텐츠를 마켓을 통해 판매하거나 또는 당해 트레이너가 관리하는 회원들에게 직접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트레이닝 콘텐츠들에는 트레이니들로 하여금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고 한 번 시작한 운동을 끝까지 마칠 수 있도록 다양한 수단들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단순 비디오 영상만을 재생시키던 운동 콘텐츠와는 차별화 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트레이닝 콘텐츠들은 고객의 수준, 또는 운동 가능한 레벨에 따라 운동을 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지금까지 수행한 운동에 대한 누적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레이니들이 자신의 운동량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트레이너가 트레이닝 콘텐츠를 만드는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 그리고 트레이니들이 콘텐츠를 구입하여 이를 활용하는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중에서도 특히 트레이너에게 트레이닝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 다시 말해 트레이너가 트레이너가 본 발명에 따라 트레이닝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도 2의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단말기를 이용해 제공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란 기본적으로 데이터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CPU 및 메모리를 갖춘 연산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CPU 및 메모리는 각각 제어부, 저장부에 대응되는 구성이다. 상기 장치의 종류에는 휴대성을 갖춘 스마트폰, 태블릿PC, 또는 랩탑 컴퓨터 이외에 휴대성이 없는 데스크탑 컴퓨터 등도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음성 및 그 밖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구성들을 갖춘 연산 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운동기구에 내장된 것 또는 운동기구와 연동되는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가장 먼저 트레이너 객체생성을 요청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S200) 이 때 트레이너 객체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주체는 서비스를 운영하는 관리자의 서버, 즉 서비스 서버가 될 것이며, 트레이너 객체생성 요청을 발신하는 주체는 트레이너가 현재 사용중인 단말기, 즉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객체(OBJECT)란, 일반적으로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와 그 데이터에 관련되는 절차, 방법,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트레이너 객체 역시 여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트레이너 객체란 개별 트레이너들을 구별하고 각 트레이너 별로 별개의 데이터를 매핑시켜 저장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것으로 이해한다. 트레이너 객체는 최초에 트레이너가 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 등에 가입할 때, 예를 들어 최초에 회원가입을 하였을 때에 생성될 수 있으며, 특히 회원가입 시 트레이너임을 구별할 수 있는 표시를 한 경우 서비스 서버에 의해 트레이너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트레이너 객체가 최초 생성되는 하나의 실시예를 소개한 것일 뿐, 이 밖에 다른 방식으로도 트레이너 객체가 생성될 수 있다.
트레이너 객체가 생성된 이후, 단말기는 트레이너, 즉 사용자가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1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S210)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개별운동 콘텐츠란 트레이닝 콘텐츠의 한 종류를 일컫는 것으로 쉽게 말해 하나의 운동법에 대한 미디어(예. 동영상) 및 텍스트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개별운동 콘텐츠와 대응되는 것으로 통합운동 콘텐츠가 존재하는데, 통합운동 콘텐츠는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콘텐츠로, 통합운동 콘텐츠는 개별운동 콘텐츠를 포함하는 관계에 있다.
도 3은 트레이닝 콘텐츠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도면인데, 트레이닝 콘텐츠는 크게 통합운동 콘텐츠, 개별운동 콘텐츠, 그리고 개별운동 콘텐츠를 구성하는 강의영상 및 반복동작영상을 모두 포함한다. 트레이닝 콘텐츠는, 쉽게 말해 트레이너가 동영상 및 텍스트 기반으로 하나의 영상을 편집한 것이며, 이러한 트레이닝 콘텐츠는 트레이니들이 각자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소위 '모바일 트레이닝 콘텐츠'로 실행될 수 있다. 이해하기 쉬운 실시예로, 트레이니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고, 온라인 마켓에 올라와 있는 트레이닝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으며, 구매한 트레이닝 콘텐츠를 스마트폰 상에서 동작시킴으로써 '모바일 트레이닝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앞서 언급한 트레이닝 콘텐츠를 작은 단위의 콘텐츠부터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강의영상은 특정 운동법을 소개하는 콘텐츠이며, 여기에는 해당 운동법에 대한 간략한 동작들, 해당 운동법을 실시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 해당 운동법을 실시하는 세트 및 횟수, 해당 운동법이 필요한 대상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의영상에는 레그 프레스(leg press) 운동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으며, 레그 프레스 운동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 효과, 세트 및 횟수, 레그 프레스 운동이 필요한 사람들에 대한 설명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반복동작영상은 상기 강의영상에서 소개한 운동법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반복동작영상은 하나의 영상 내에 1회의 운동법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레그 프레스를 예로 들 때, 반복동작영상에는 트레이너가 누운 상태에서 다리로 기구를 앞으로 밀어내는 과정이 1회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동작영상은 개별운동 콘텐츠 내에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레이너는 하나의 운동법을 여러 방향에서 촬영한 동영상들을 포함시키거나 또는 하나의 운동법을 촬영하되 줌(zoom) 정도를 달리하여 촬영한 동영상들을 개별운동 콘텐츠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반복동작영상을 복수 개 포함시켜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트레이니들로서는 해당 운동법을 보다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개별운동 콘텐츠는 앞서 설명한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이 적어도 하나 포함되고, 영상 외에 텍스트, 이미지, 소리 등의 또 다른 미디어가 포함되는 소단위의 콘텐츠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통합운동 콘텐츠는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가 복수개 포함된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는 임의의 기간동안 각 일차(日次)별로 복수의 개별운동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운동 콘텐츠 및 통합운동 콘텐츠는 도 2에 대한 계속된 설명에서 이어 하기로 한다.
다시 도 2의 S210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면, S210 단계에서는 사용자가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1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데, 도 4에는 제1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할 때 제1인터페이스는 복수의 미디어들이 입력될 수 있는 레이아웃들을 포함한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레이아웃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기로 한다.
가장 먼저, 제1인터페이스는 개별운동 콘텐츠, 즉 개별운동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10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가 레그 프레스에 대한 개별운동법을 콘텐츠로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트레이너는 상기 레이아웃에 “레그 프레스”라는 텍스트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테마(1005) 선택을 통해 해당 콘텐츠가 재생되어 질때 나타나는 애니메이션 효과 및 디자인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타입(1006) 변경을 통하여 강의영상과 반복동작영상이 모두 포함된 콘텐츠 타입, 강의영상만 포함된 콘텐츠 타입, 반복동작영상만 포함된 콘텐츠 타입을 결정 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부위(1007)를 통해 해당 콘텐츠의 운동부위를 복수개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인터페이스는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레이아웃(1001, 1002)을 포함한다. 개별운동 콘텐츠는 강의영상만 포함하거나, 반복동작영상만 포함하거나 또는 강의영상과 반복동작영상을 모두 포함하도록 생성할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영상을 입력하는지에 따라 레이아웃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강의영상과 반복동작영상이 모두 입력될 수 있는 상태의 레이아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의 (a)와 (b)는 각각 강의영상만 입력하는 레이아웃이 배치된 실시예, 그리고 반복동작영상만 입력하는 레이아웃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제1인터페이스에는 [강의영상], [반복동작영상], [강의영상+반복동작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목록(1005)이 라디오박스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강의영상]만 입력하도록 선택된 경우 제1인터페이스는 강영영상 및 강의에 대한 설명만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그리고 [반복동작영상]이 선택된 경우에는 반복동작영상과 반복동작들에 대한 팁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참고로, [반복동작영상]이 선택된 경우에는 [강의영상]이 선택되었을 때와 달리 당해 개별운동에 대한 데이터들, 예를 들어 운동강도, 세트 별 실시 횟수, 세트별 소요시간, 세트별 쉬는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할 때, 제1인터페이스는 앞서 입력된 영상들에 대한 텍스트를 입력받기 위한 레이아웃들(1003, 10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인터페이스에는 상기 강의영상에 대한 설명 입력, 그리고 반복동작영상에 대한 팁 입력이 가능한 레이아웃들이 포함된다. 강의영상에 대한 설명에는 운동법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 운동법의 효과 등에 대한 간략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으며, 반복동작영상에 대한 팁에는 구분동작 별로 자세를 어떻게 취해야 하는지, 주의해야 할 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팁들은 각각 상기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복동작영상의 제1재생시점에 제1팁이, 제2재생시점에 제2팁이, 제3재생시점에 제3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텍스트 입력과 함께 출력시점을 동시에 설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인터페이스는 개별 운동법에 대한 운동데이터들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10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법의 종류에 따라 입력이 필요한 운동데이터들이 상이할 수 있고, 향후 트레이니가 실시하게 되는 운동법의 종류에 따라 통합운동 콘텐츠 역시 상이한 운동 관련 파라미터를 표시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1인터페이스 내에는 입력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선택목록(101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목록은 [횟수], [시간], [시간, 속도], [횟수, 무게] 중 하나의 입력 레이아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목록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이아웃(1010) 내에는 운동강도(level1 ~ level5)를 설정할 수 있는 레이아웃(1012), 세트 별로 반복동작이 실시되는 횟수, 세트를 실시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 반복동작 실시 이후 쉬는 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1013)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세트를 추가할 수 있는 버튼(1014)도 더 포함될 수 있다. 운동강도는 바람직하게는 5단계까지 나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단계 별로 복수 개의 세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들을 수신한 이후에는 개별운동 콘텐츠가 생성된다. 이 때 개별운동 콘텐츠가 생성된다는 것의 의미는 상기 입력된 복수 개의 영상들, 복수 개의 텍스트 입력들이 하나의 객체로 생성되어 소비자들에게 마치 하나의 동영상처럼 보일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해 내는 주체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는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레이어(layer)와 텍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레이어를 구별하여 둠으로써 영상 내 적절한 시점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2의 S210단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도 2로 돌아가 살펴볼 때, S210단계 이후에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는 통합운동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최종적으로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한다. (S220)
도 6은 제2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제2인터페이스는 먼저 통합운동 콘텐츠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200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너, 즉 사용자는 [30일 복근 완성 플랜북]과 같이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인터페이스는 일차(日次)를 추가할 수 있는 버튼(2001) 및 각 일차별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레이아웃(2002)을 포함한다. 앞서 도 3에 대한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듯 하나의 통합운동 콘텐츠는 복수 개의 일차별 콘텐츠로 구성되는데, 사용자에게는 1일차부터 N일차까지 각 일차별로 개별운동 콘텐츠를 이용해 콘텐츠 구성을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한편, 추가된 일차들은 순서대로 [1일차], [2일차], [3일차]… [N일차]와 같이 나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일차의 순서를 바꾸고 싶은 경우 어느 특정 일차를 드래깅 하여 원하는 일차 자리에 둠으로써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인터페이스는 검색 레이아웃(200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검색된 개별운동 콘텐츠의 썸네일이 배열되는 검색결과 레이아웃(2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색 레이아웃(2003)은 트레이너, 즉 사용자가 앞서 미리 제작해 둔 개별운동 콘텐츠들 중 원하는 것을 검색하기 위한 레이아웃으로, 예를 들어 1일차 운동법에 레그 프레스 운동을 넣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검색 레이아웃(2003)에 [레그]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하여 미리 생성해 둔 레그 프레스에 대한 개별운동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결과 레이아웃(2004)은 검색이 된 개별운동 콘텐츠들의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역으로, 예를 들어 [레그]에 대한 검색결과 5개의 개별운동 콘텐츠들이 검색되었다면 각각의 썸네일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중 원하는 개별운동 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2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개별운동 콘텐츠를 입력 받고, 그 선택된 개별운동 콘텐츠의 세부내용을 표시하는 레이아웃(2005, 20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이아웃(2005)은 사용자가 입력한 개별운동 콘텐츠의 세부내용을 표시하는 것으로, 당해 레이아웃은 이미 앞서 살펴본 제1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들과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레이아웃(2006)은 사용자가 개별운동 콘텐츠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색결과 레이아웃(2004)으로부터 특정 콘텐츠를 드래깅(dragging)하여 레이아웃(2006)에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별도의 창을 띄워 복수 개의 개별운동 콘텐츠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인터페이스는 원하는 일차의 콘텐츠를 편집하기 위해 일차별로 이동을 할 수 있는 레이아웃(200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운동단계를 추가하기 위한 버튼(2008), 개별운동 콘텐츠를 추가하기 위한 버튼(20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일차별 콘텐츠에는 복수 개의 개별운동 콘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는데, 버튼 2008, 2009는 이를 위한 버튼들이다.
한편,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입력들이 수신된 이후, 트레이닝 콘텐츠 서버는 최종적으로 하나의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한다. 통합운동 콘텐츠는 도 3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일차별 콘텐츠들, 그리고 각 일차별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개별운동 콘텐츠들을 포함한다.
이상 도 6을 참조하여 도 2의 S220단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할 때, S220단계에 의해 생성된 통합운동 콘텐츠는 온라인 상의 마켓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판매(S230)되거나 또는 트레이너의 의사에 의해 상기 트레이너가 관리하는 회원들에게 공유(S240)될 수 있다.
특히 판매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트레이너는 전술한 단계들에 의하여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한 이후, 이를 결제시스템과 연동되어 있는 온라인 마켓에 등록한 후 일반 소비자들이 당해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입하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는 하나의 저작물, 예를 들어 '1주일 다이어트 플랜북'이라는 제목의 콘텐츠로 온라인 마켓에 등록될 수 있으며, 일반 소비자들은 이를 카드결제, 모바일 결제, 계좌이체 등으로 비용 지불 후 구입을 하게 한 것이다.
한편, 판매가 완료되거나 공유가 완료된 통합운동 콘텐츠는 각 소비자들, 즉 트레이니들의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통합운동 콘텐츠가 실행되는 인터페이스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입한 후 이를 처음 실행시켰을 때의 제3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를 때, 제3인터페이스는 가장 먼저 해당 통합운동 콘텐츠의 제목을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30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비자가 [더블루휘트니스 운동기구 강의]라는 콘텐츠를 마켓을 통해 구입한 경우, 화면의 상단에 위 통합운동 콘텐츠의 제목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인터페이스는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차별 콘텐츠(3010)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30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일차별 콘텐츠가 하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가 N일차까지의 콘텐츠들을 포함한다면 상기 레이아웃 3001에는 1일차부터 N일차까지의 콘텐츠에 대한 썸네일들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일차별 콘텐츠를 나타내는 썸네일에는 해당 일차별 콘텐츠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대표이미지, 해당 일차별 콘텐츠의 제목, 그리고 진행률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진행률이란, 트레이니가 해당 일차별 콘텐츠를 얼마나 진행하였는지를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 가령 1일차 콘텐츠에 포함된 3개의 개별운동 콘텐츠 중 1개의 개별운동 콘텐츠만 실시하였을 때에는 33%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는 1일차 콘텐츠에 포함된 1개의 개별운동 콘텐츠가 10세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2세트만 실시한 경우 20%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인터페이스는 트레이니의 개인정보 입력창을 팝업시키는 버튼(3002), 그리고 환경설정창을 팝업시키는 버튼(30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창은 트레이니의 나이, 신장, 몸무게, 체지방률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이며, 환경설정창은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이용시 제어가 가능한 설정들을 입력하는 창이다. 환경설정창에서는 예를 들어 강의영상에 대한 텍스트 표시를 온/오프 할 수 있는 메뉴, 반복동작영상 재생시 카운트 수 표시를 온/오프 할 수 있는 메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인터페이스는 트레이니가 콘텐츠를 이용한 결과를 기초로 통계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레이아웃(30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계정보에는 예를 들어 총 운동 시간, 총 실시 세트수, 예상 소비 칼로리량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는 실제 트레이니가 운동을 실시하였는지에 대한 확인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운동장비들과 연동할 수도 있다. 도 9는 트레이니가 운동을 할 때에 활용할 수 있는 운동장비들(300), 트레이니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200), 그리고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의 네트워크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가령, 트레이니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입한 후, 이를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구동시킨 상태에서 운동을 한다고 가정할 때에, 트레이니는 자신의 운동장비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통신(블루투스 등)이 가능한 운동장비들을 활용함으로써 운동 중인 자신의 신체에 대한, 또는 운동량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측정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서는 측정된 파라미터들을 수신한 뒤 상기 트레이니가 실제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위 측정된 파라미터들은 다시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 측에도 전달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실시예로, 트레이니는 심박수 측정이 가능한 이어폰(300(a))을 착용한 상태로 운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심박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스마트폰(200)과도 공유함으로써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동시키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트레이니가 현재 정상적으로 운동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니는 칼로리 소모량, 이동 거리 측정, 수면 시간 측정 등이 가능한 스마트 워치(300(b))를 착용한 채 활동을 함으로써 자신의 신체 상태, 운동 거리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닐, 이를 스마트폰(200)과도 공유함으로써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상기 트레이니가 현재 운동 중, 또는 수면 중임을 인지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운동장비가 갖추어지지 않아 파라미터 측정에 의한 운동실시 여부를 알 수 없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에서는 통합운동 콘텐츠 상에서 반복동작영상의 재생 횟수, 개별운동 콘텐츠의 실행 횟수와 같이 개별 콘텐츠들이 몇 번 재생 또는 실시되었는지에 따라 트레이니의 운동실시 여부를 확인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통계정보도 얻을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인터페이스는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이아웃(30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니는 자신의 상태에 맞추어 운동강도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운동강도를 1로 선택하고 어느 특정 일차별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후술하게 될 제4인터페이스에서는 상기 선택된 운동강도1의 개별운동 콘텐츠를 출력하게 된다. 각 개별운동 콘텐츠 내에 운동강도 별로 별개의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이 포함된다는 점은 이미 앞선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하였다.
도 8은 트레이니가 제3인터페이스 상에서 어느 특정 일차별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출력되는 제4인터페이스의 실시예이다. 제4인터페이스는 개별운동 콘텐츠의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을 재생하는 인터페이스이며, 도 8에 도시된 것은 그 중에서도 반복동작영상을 재생 중인 실시예이다.
도 8에 따를 때, 제4인터페이스는 가장 먼저 현재 재생되고 있는 반복동작영상이 해당 일차별 콘텐츠 내에서 몇 번째 개별운동 콘텐츠 내에 포함된 것인지, 현재 재생 중인 반복동작영상이 몇 번 재생되었는지(이는 곧 트레이니가 몇 번 반복운동을 실시하였는지와 대응됨)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레이아웃(4001)을 포함한다. 가령 1일차 콘텐츠 내에 제1개별운동 콘텐츠 및 제2개별운동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고 현재 재생 중인 반복운동영상이 제1개별운동 콘텐츠에 포함된 것이라면 [1/2]와 같이 표시할 수 있으며, 해당 반복동작영상이 몇 번 재생완료 되었는지는 세트수, 횟수로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인터페이스는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레이아웃(40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트레이니는 재생을 멈추거나 앞/뒤 시점으로 영상을 돌려볼 수 있으며, 또는 다음 반복동작영상, 이전 반복동작영상을 재생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4인터페이스는 해당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시간을 역으로 카운트다운 하기 위한 레이아웃(40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도 4에 대한 설명에서는 각 반복동작영상 별로 소요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였는데, 제4인터페이스에서는 이를 카운트다운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트레이니가 적절한 속도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레그 프레스 1회 반복동작영상이 총 10초의 재생시간을 가진다고 가정하면, 상기 레이아웃 4003에서는 10초부터 1초씩 줄어드는 카운트다운이 시작되고, 트레이니는 이를 보면서 운동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운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운동 실시 횟수뿐만 아니라 운동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운동 횟수가 많아질수록 운동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사례가 많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시간을 카운트다운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트레이니로 하여금 운동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4인터페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영상에 대한 텍스트를 출력시킬 수 있는 레이아웃(40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이 강의영상인 경우에는 해당 운동법에 대한 설명이 출력될 수 있으며,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이 반복운동영상인 경우에는 팁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인터페이스는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진행률을 보여주는 레이아웃(40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제 4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제 4 인터페이스는 도 8에서와 같이 반복동작영상만을 재생할 수도 있으나, 도 10에서처럼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4007)에 더하여 현재 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트레이니의 운동 모습(4006)도 함께 재생할 수도 있다. 트레이니의 운동 모습(4006)은 상기 스마트폰(200)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바람직하게는 전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것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촬영장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니는 운동을 시작할 때에 주변 공간에 거치대를 두어 자신의 운동 모습이 촬영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200)을 거치해 둘 수 있으며, 운동을 하는 중에 스마트폰(200)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자신의 운동 모습(4006), 그리고 반복동작영상(4007)을 비교해 가면서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 반복동작영상에서와 같은 속도로 운동을 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의 제 4 인터페이스 상에서는 트레이니의 운동 모습(4006)과 반복동작영상(4007)의 화면 배열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0의 (a)는 트레이니의 운동 모습(4006)이 중앙 넓은 영역에서 재생되고 반복동작영상(4007)이 우측 상단에서 작은 영역에서 재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의 (b)는 (a) 실시예에서와 반대로 각 영상들이 재생되는 실시예를, 그리고 도 10의 (c)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절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반복동작영상(4007)이 재생되고 다른 한쪽에는 트레이니의 운동 모습(4006)이 재생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도 7 내지 도 10의 실시예들은 개인 트레이니들에 의해 구입된 통합운동 콘텐츠가 개인 스마트폰(200)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시되는 것들이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는 비단 개인 트레이니들 뿐만 아니라 복수의 트레이니들이 가입되어 있는 트레이닝 센터에 대해서도 제공될 수 있다. 앞서 도 2를 다시 참조할 때, S220 단계 이후에 사용자는 S240 단계에서 구입한 통합운동 콘텐츠를 회원들에게도 공유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는데, 이 때 회원들은 상기 트레이닝 센터에서 운영하는 시설을 이용하는 회원들일 수 있다.
도 11은 트레이닝 센터에 의해 구입된 통합운동 콘텐츠들이 트레이닝 센터 내 서버(이하 센터 서버라 칭함)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트레이닝 센터 내 트레이너에 의해 선택된 임의의 통합운동 콘텐츠가 트레이닝 센터 내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또는 가입되어 있는 각 회원들, 더 정확하게는 각 회원들의 휴대용 단말기들에 공유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살펴볼 때, 트레이닝 센터 내의 트레이너는 센터 서버를 이용하여 마켓에 등록되어 있는 통합운동 콘텐츠(플랜북)를 복수 개 구입할 수 있으며, 이렇게 구입된 통합운동 콘텐츠들은 센터 서버 상에서 도 11의 500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센터 서버를 이용하여 마켓으로부터 레그#1, 싸이클#2, 레그#3이라는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입한 경우를 상정하여 화면을 표시한 것이다. 이 때 통합운동 콘텐츠들은 센터 서버 내에 직접 저장된 것일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 내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서비스 서버(100)와 네트워크 상으로 연결된 또 다른 클라우드 서버 등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5001과 같이 표시된 통합운동 콘텐츠들 중 센터 내 트레이너는 어느 하나의 통합운동 콘텐츠를 선택함으로써 각 회원들(6000(a)~6000(c))에게 이를 공유시킬 수 있는데, 이 때 공유의 의미는 각 회원들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 내 개별운동 콘텐츠들을 전송함으로써 각 회원들이 단말기에 재생될 수 있는 상태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쉬운 예로, 트레이너는 센터 내에서 운동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들(회원들)의 단말기들로 통합운동 콘텐츠를 공유시켜 운동 프로그램 수강 시 이를 참조하여 회원들 스스로 자세를 교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운동 프로그램 진행시 보통 2명의 트레이너들이 투입되던 것을 하나의 트레이너만 투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쉬운 예로, 트레이너는 센터 서버 또는 서비스 서버(센터 서버에서 로그인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에 저장되어 있는 각 회원들 단말기로 통합운동 콘텐츠를 공유시킴으로써 각 회원들이 가정에서 정해진 과제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도 7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개인 트레이니들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트레이닝 센터가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트레이너가 최초 트레이닝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법부터 트레이니가 해당 트레이닝 콘텐츠를 활용하는 예시까지 살펴보았다.
한편, 전술한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은 위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가 운영하는 서비스 서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 서비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도 12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 따르면, 서비스 서버는 편집기 제공부(110), 콘텐츠 제공부(120), 콘텐츠 저장부(130), 사용자 관리부(140), 마켓 관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편집기 제공부(110)는 트레이너들에게 트레이닝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끔 편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공되는 편집기는 앞서 설명한 제1인터페이스, 제2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6에서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중복하여 기재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부(120)는 트레이니들에게 트레이닝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제공되는 트레이닝 콘텐츠는 트레이너들이 제작한 것 중 트레이니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구매하거나 또는 위 트레이너로부터 직접 공유받은 것을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부(120)가 트레이니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때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에는 전술한 제3인터페이스 및 제4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제3인터페이스 및 제4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 역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부(120)는 트레이니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구매하거나 트레이너로부터 직접 공유 받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개별 트레이니들의 데이터들을 수집한 후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각 트레이니들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추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공부(120)는 트레이니들이 회원 가입을 할 때에 입력한 데이터들, 예를 들어 나이,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한 후, 상기 수집한 데이터들을 기초로 해당 트레이니에 적합한 통합운동 콘텐츠 또는 개별운동 콘텐츠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부(120)는 회원 가입시 수집하는 데이터 외에, 트레이니들로 하여금 추가데이터를 입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콘텐츠 탐색에 활용할 수 있는데, 상기 추가데이터의 종류에는 예를 들어 BMI(근력량, 체지방량 수치), 운동경력, 가입당시 체중, 가입당시 신장, 원하는 운동 부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및 추가데이터를 수집한 콘텐츠 제공부(120)는 온라인 마켓에 접속하여 현재 온라인 마켓 상에 등록되어 있는 콘텐츠를 탐색하거나 또는 후술하게 될 콘텐츠 저장부(130) 내 콘텐츠들을 탐색하여 상기 데이터 및 추가데이터에 기반하여 가장 적합한 콘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콘텐츠를 선별하는 과정에는 나이, 성별, 근육량, 체지방량, 키, 몸무게, 직업, 관심 운동, 원하는 운동 부위, 과거 트레이니가 구입 또는 공유 받아 실시한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탐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들의 속성 데이터와 매칭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될 수 있는데, 이 때 콘텐츠들의 속성 데이터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레그 프레스 운동의 속성 데이터는 레그 프레스 운동을 구입 또는 공유하여 실시하였던 트레이니들의 누적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 누적 데이터 중에는 몇 명의 트레이니들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였는지, 어떤 연령대의 트레이니들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였는지, 어떤 성별의 트레이니들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였는지, 어떤 수치의 근력량, 체지방량을 가지고 있던 트레이니들이 해당 콘텐츠를 이용하였는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120)는 이러한 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콘튼츠 속성 데이터와 앞서 트레이니로부터 수집한 데이터 및 추가데이터 간 매칭 여부를 판단한 뒤, 가장 매칭률이 높은 콘텐츠를 선별하여 해당 트레이니에게 추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서버는 콘텐츠 저장부(130) 및 사용자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30)는 상기 트레이너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들을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는 상기 서비스 서버 내에 구비된 메모리가 될 수도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 외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클라우드 저장서버일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양한 콘텐츠들은 URL 값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전술한 콘텐츠 제공부(120)는 상기 URL 값을 호출한 뒤 이를 각 트레이니에게 제공함으로써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트레이너들, 트레이니들의 개별 정보, 또는 각 사용자들 별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한 실적(콘텐츠 제작 횟수, 콘텐츠 구매 횟수, 콘텐츠 재생 횟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트레이너들, 트레이니들의 개별 정보는 각각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트레이너들의 개별정보에는 어느 트레이닝 센터 소속인지, 트레이너의 경력, 트레이너가 운영하는 운동 프로그램 내 가입 회원들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트레이니들의 개별정보에는 트레이니의 체중, 근육량, 누적 운동량, 수준별 세트수 등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140) 역시 서비스 서버 내 구비된 메모리로 구현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클라우드 저장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켓 관리부(150)는 상기 트레이너가 제작한 통합운동 콘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판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실제 결제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직접 제공하는 온라인 마켓 상에 등록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통합운동 콘텐츠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아닌 다른 마켓 운영자에 의해 제공된 온라인 마켓 상에 등록되어 소비자들에게 판매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60)는 앞서 설명한 편집기 제공부(110), 콘텐츠 제공부(120), 콘텐츠 저장부(130), 사용자 관리부(140), 및 마켓 관리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제어부(16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 트레이너와 트레이니 모두를 위한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비스 서버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10 편집기 제공부 120 콘텐츠 제공부
130 콘텐츠 저장부 140 사용자 관리부
150 마켓 관리부 160 제어부
500 트레이닝 콘텐츠
510 통합운동 콘텐츠 520 일차별 콘텐츠
530 개별운동 콘텐츠
540 강의영상 550 반복동작영상

Claims (10)

  1.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해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1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기초로 개별운동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제2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을 기초로 통합운동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 및 운동 데이터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텍스트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되,
    상기 텍스트는 상기 강의영상 또는 반복동작영상의 임의 재생시점에 대응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기 저장된 개별운동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가 입력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기 저장된 개별운동 콘텐츠가 나열된 리스트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일차(日次)를 입력받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7.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해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합운동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일차(日次)별 콘텐츠들이 나열된 제3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일차별 콘텐츠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일차별 콘텐츠를 구성하는 개별운동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제4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인터페이스는,
    상기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을 출력하는 레이아웃; 및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완료횟수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생완료횟수는 상기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완료 될 때마다 1회씩 증가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인터페이스는,
    개별운동 콘텐츠 내 반복동작영상의 재생시간을 반복적으로 표시하는 레이아웃을 더 포함하는,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10.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제1항 또는 제7항의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102036A 2018-08-29 2018-08-29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8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36A KR102181708B1 (ko) 2018-08-29 2018-08-29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36A KR102181708B1 (ko) 2018-08-29 2018-08-29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137A true KR20200025137A (ko) 2020-03-10
KR102181708B1 KR102181708B1 (ko) 2020-11-23

Family

ID=6980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36A KR102181708B1 (ko) 2018-08-29 2018-08-29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70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917A (ko) * 2002-01-29 2003-01-23 김익순 인터넷을 이용한 무도 및 운동 수련계획 작성방법 및작성시스템
KR20110044419A (ko) * 2009-10-23 2011-04-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JP2015219881A (ja) * 2014-05-21 2015-12-07 アルカディア・システムズ株式会社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者側装置及びクラウドサーバ
KR101687252B1 (ko) 2014-11-06 2016-12-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224A (ko) * 2016-06-07 2017-12-15 안진필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917A (ko) * 2002-01-29 2003-01-23 김익순 인터넷을 이용한 무도 및 운동 수련계획 작성방법 및작성시스템
KR20110044419A (ko) * 2009-10-23 2011-04-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JP2015219881A (ja) * 2014-05-21 2015-12-07 アルカディア・システムズ株式会社 運動支援システム、運動者側装置及びクラウドサーバ
KR101687252B1 (ko) 2014-11-06 2016-12-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8224A (ko) * 2016-06-07 2017-12-15 안진필 사용자 맞춤형 운동 지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매일 운동을 위한 매일 운동 무료 어플을 소개합니다.’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brandhot100/60213527119) (2014.04.25. 개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1708B1 (ko) 202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5830B2 (en) Generating custom audio content for an exercise session
US11986721B2 (en) Reflective video display apparatus for interactive training and demonstr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US9430617B2 (en) Content suggestion engine
JP2022023867A (ja) 対話型トレーニング及び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用の反射ビデオディスプレイ機器及びその使用方法
US8858400B2 (en) Training program and music playlist generation for athletic training
US7981002B2 (en) Interval fitness training
US20150118657A1 (en) Creating a workout routine in online and mobile networking environments
CN101970066A (zh) 交互式运动训练日志
WO2001016855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maintaining, and improving an exercise, nutrition, or rehabilitation regime
US20180264344A1 (en) Fitness and entertainment media platform method and system
WO2020045742A1 (ko) 모바일 트레이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레이너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98786B1 (ko) 온라인 매체 서비스와 연계된 운동정보 취득 시스템
KR20200025137A (ko) 트레이닝 콘텐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9799230B2 (en) Creating workout routine and nutritional choices in an online environment
US20150178325A1 (en) System for providing access over a network to users of training preferences of selected individuals
Oheruk et al. Information System for Monitoring Personal Health Status Based on Big Data Analysis.
KR20180062124A (ko) 헬스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Ihamäki Digital human experience models for augmented reality mobile wellness devices
CA2837798A1 (en) System for providing access over a network to users of training preferences of selected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