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924A - 어블레이션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블레이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924A
KR20200024924A KR1020207003535A KR20207003535A KR20200024924A KR 20200024924 A KR20200024924 A KR 20200024924A KR 1020207003535 A KR1020207003535 A KR 1020207003535A KR 20207003535 A KR20207003535 A KR 20207003535A KR 20200024924 A KR20200024924 A KR 2020002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lation
power
supply
power supply
bra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199B1 (ko
Inventor
히사오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18/1233Generators therefor with circuits for assuring patient saf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3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closed, i.e. without wound contact by the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529L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6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 A61B2018/00678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using a threshold valu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A61B2018/00708Power or energy switching the power on or of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44Fl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898Alarms or notifications created in response to an abnorm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22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by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treatment energy directly within the hand-pie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1)과, 이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를 공급하는 전원부(32)와, 이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갖는 전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3)는,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함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제1 역치)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카운트하고, 이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

Description

어블레이션 시스템
본 발명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어블레이션(소작)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자 체내의 환부(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기기의 하나로서, 그러한 환부에 대하여 어블레이션을 행하는, 어블레이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환부에 대한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5907545호 공보
그런데,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이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이 전원부에 있어서의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함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이 제1 역치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카운트됨과 함께, 이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원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자동적으로 정지됨으로써, 어블레이션이 자동적으로 종료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브레이크 횟수를 눈으로 보거나 하여 확인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경우나, 브레이크 횟수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경우 등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원 장치가,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갖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전원 장치의 조작자 등을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편리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도록 해도 된다(제1 동작 모드). 이와 같이 한 경우(상기 제1 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 전력 공급의 재개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까지의 일련의 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
혹은,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도록 해도 된다(제2 동작 모드). 이와 같이 한 경우(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실행하도록 한 경우), 전력 공급의 재개 자체는 수동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전력 공급의 재개 타이밍을 수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도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전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동작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전력 공급을 재개할 때, 예를 들어 용도나 상황 등에 따라,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를 수시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극침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추가로 마련함과 함께, 상기 제어부가,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 후에 상기 액체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 액체의 공급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액체 공급 정지가 실현되게 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후의 환부(조직)가 액체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어 버릴 우려가 회피되고, 환부의 소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따르면, 제어부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이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원부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어블레이션 시의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의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어블레이션 시의 표시부에서의 표시 양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전력 공급 재개 시의 동작 모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실시 형태(전원 장치 내의 제어부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의 자동 카운트 등을 행하는 예)
2. 변형예
<1. 실시 형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어블레이션 시스템(5))의 전체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를 치료할 때 사용되는 시스템이며,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환부(90)로서는, 예를 들어 암(간암, 폐암, 유방암, 신장암, 갑상선암 등)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를 들 수 있다.
어블레이션 시스템(5)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대향 전극판(4)도 적절하게 사용되도록 되어 있다.
(A. 전극침(1))
전극침(1)은,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에 있어서의 환부(90)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바늘이다. 이 전극침(1)은, 상기한 어블레이션 시에 사용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부(11) 및 피복부(12)를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전극침(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액체 공급 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L이 순환하여 흐르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전극부(11)는, 전극침(1)을 구성하는 침형 구조체 중, 절연성 피복이 되어 있지 않은 영역 부분이며, 어블레이션 시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피복부(12)는, 상기한 침형 구조체 중, 절연성 피복이 되어 있는 영역 부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에 있어서의 선단 부근에 전극부(11)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전극부(11)의 기단부측에 피복부(12)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액체 공급 장치(2))
액체 공급 장치(2)는, 상기한 전극침(1)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 L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를 갖고 있다. 또한, 이 냉각용 액체 L로서는, 예를 들어 멸균수나, 멸균한 생리 식염수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공급부(21)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한 액체 L을 전극침(1)에 대하여 수시로 공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21)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소정의 유로 내)를 액체 L이 순환하도록 하여,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상기한 제어 신호 CTL2에 의한 제어에 따라, 이러한 액체 L의 공급 동작이 실행되거나, 정지되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액체 공급부(21)는, 예를 들어 액체 펌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 장치(3))
전원 장치(3)는,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RF; Radio Frequency)의 전력)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한 액체 공급 장치(2)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전원 장치(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 전원부(32), 제어부(33) 및 표시부(34)를 갖고 있다.
입력부(31)는, 각종 설정값이나, 후술하는 소정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신호(조작 신호 Sm)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조작 신호 Sm은, 전원 장치(3)의 조작자(예를 들어 기사 등)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부(31)로부터 입력 되도록 되어 있다. 단, 이들 각종 설정값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입력부(31)에 의해 입력된 설정값은, 후술하는 제어부(3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31)는, 예를 들어 소정의 다이얼이나 버튼,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원부(32)는, 후술하는 제어 신호 CTL1에 따라, 상기한 전력 Pout를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원부(32)는, 소정의 전원 회로(예를 들어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 Pout가 고주파 전력을 포함하는 경우, 그 주파수는, 예를 들어 450kHz 내지 550kHz 정도(예를 들어 500kHz)이다.
제어부(33)는, 전원 장치(3) 전체를 제어함과 함께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우선,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에 있어서의 전력 Pout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전력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에 있어서의 액체 L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제어부(33)에는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전극부(11)의 내부에 배치된 열전대 등의 온도 센서)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가, 수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3)에는, 상기한 전원부(32)로부터 임피던스값 Z(후술)의 측정값이 수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포함시켜, 제어부(33)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 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4 내지 도 6).
표시부(34)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부분(모니터)이다.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는 전술한 각종 설정값이나,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파라미터(예를 들어 후술하는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 등), 전극침(1)으로부터 공급되는 온도 정보 It 등을 들 수 있다. 단, 표시 대상의 정보로서는 이들 정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정보로 대체하여, 혹은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부(34)는, 각종 방식에 의한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등)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판(4))
대향 전극판(4)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블레이션 시에 환자(9)의 체표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어블레이션 시에, 전술한 전극침(1)(전극부(11))과 이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서, 고주파 통전이 이루어지도록(전력 Pout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침(1)(전극부(1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가 수시로 측정되고, 측정된 임피던스값 Z가, 전원 장치(3) 내에 있어서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3)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동작 및 작용ㆍ효과]
(A. 기본 동작)
이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예를 들어 암 등의 종양을 갖는 환부(90)를 치료할 때, 그러한 환부(90)에 대하여 소정의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도 1 참조). 이러한 어블레이션에서는, 우선, 예를 들어 도 1 중의 화살표 P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환자(9)의 체내의 환부(90)에 대하여, 전극침(1)이 선단측(전극부(11)측)으로부터 경피적으로 천자된다. 그리고, 이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전력 Pout(예를 들어 고주파 전력)가 공급됨으로써, 환부(90)에 대하여, 주울 발열에 의한 어블레이션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소정의 유로 내)를 냉각용 액체 L이 순환하도록, 액체 공급 장치(2)(액체 공급부(21))로부터 전극침(1)에 대하여 액체 L이 공급된다(도 1 참조). 이에 의해, 어블레이션 시에, 전극침(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행해진다. 또한,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는, 이러한 냉각 동작도 정지된 후, 전극침(1)에 있어서 측정된 온도 정보 It를 기초로, 환부(90)의 조직 온도가 충분히 상승하였는지 등, 환부의 소작 상태가 확인된다.
도 2는, 이러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90)에서의 소작 상태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부(90)에 천자된 전극침(1)을 사용하여 상기한 어블레이션이 이루어지면, 예를 들어 당초의 럭비볼형(타원구형)의 열 응고 영역 Ah1이, 점차 퍼져 감으로써, 거의 구형의 열 응고 영역 Ah2가 얻어진다(도 2 중의 파선의 화살표를 참조). 이에 의해, 환부(90) 전체로의 등방적인 어블레이션이 행해지는 결과, 환부(90)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게 된다.
(B.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에 대하여)
여기서, 도 1, 도 2에 추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어블레이션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어블레이션 시의 브레이크 상태 및 브레이크 횟수의 일례를, 타이밍도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도 3에서는, 전극침(1)(전극부(1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의 측정 파형예를, 시간축을 따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 중에 도시한 임피던스값 Z의 역치 Zth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역치」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극침을 사용한 어블레이션 시에는,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 내의 수분의 증발에 의해, 임피던스값 Z가 급격하게 상승해 간다. 이러한 임피던스값 Z의 급격한 상승(임피던스 라이즈)은,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의 열 응고의 지표가 된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 시의 정지 타이밍의 목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임피던스값 Z가 소정의 역치 Zth를 초과한 상태(Z>Zth)는, 「브레이크 상태」라고 불린다(도 3 참조). 또한, 이러한 브레이크 상태로 되면, 어블레이션(전력 Pout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후, 어블레이션이 재개된다. 또한, 어블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면, 주위 조직으로부터 환부(90)에 있어서의 조직 내로 수분이 공급되는 결과, 임피던스값 Z가 다시 저하되게 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이러한 단속적인 어블레이션이 복수회 반복됨으로써, 환부(90)에 대한 치료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어블레이션의 일시적인 정지 시간(어블레이션의 재개까지의 대기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내지 15초 정도), 또는 임피던스값 Z가 대략 상승 전의 값으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시간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타이밍 t1, t2, t3의 3회, 브레이크 상태로 되어 어블레이션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레이크 상태가 복수회 반복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를, 이하 「브레이크 횟수 Nb」라고 칭한다. 즉, 이 도 3의 예에서는, 타이밍 t1에 있어서 1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고(Nb=1), 타이밍 t2에 있어서 2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고(Nb=2), 타이밍 t3에 있어서 3회째 브레이크 상태로 되어 있다(Nb=3).
덧붙여서 말하자면, 전극침(1)을 사용한 어블레이션에 의한 환부(90)에 대한 치료에서는, 이 브레이크 횟수 Nb는, 일반적으로 2 내지 3회(Nb=2 또는 Nb=3) 정도가 기준으로 되어 있다. 즉, 전술한 도 2 중에 도시한 열 응고 영역 Ah1, Ah2는 각각, 일례로서 Nb=1, Nb=3인 경우에 상당한다.
(C. 비교예)
그런데, 이러한 어블레이션 시스템에 의한 어블레이션 시에,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어블레이션을 종료시키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브레이크 횟수 Nb를, 전원 장치(3)의 조작자가 눈으로 보거나 하여 확인하고 나서(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2 내지 3회 정도),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방법(비교예 1)을 들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횟수 Nb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고정값)이 경과하고 나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함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방법(비교예 2)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비교예 1의 방법에서는, 조작자에 의한 목시 등으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예를 들어 브레이크 상태의 간과 등에 의해,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가 부정확하게 되어 버릴 우려도 있고, 어블레이션 시간이 한층 더 걸려 버릴 리스크도 있다. 또한, 2회째 이후의 브레이크 상태로의 이행은, 일반적으로 단시간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3 참조), 이러한 리스크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교예 2의 방법에서는, 항상 일정한 대기 시간의 경과를 기다린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 시간 내에 브레이크 횟수 Nb가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버릴(예를 들어 4회 이상)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비교예 1, 2 등에서는, 어블레이션에 의한 치료 시에, 환부(90)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많은 브레이크 상태가 부여되게 되는 결과, 환자(9)가 느끼는 동통이 커져, 환자(9)에 대한 부담도 커져 버릴 우려가 있다.
여기서, 이 동통이란, 치료 시에 환자(9)가 느끼는 통증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척수 신경을 통한 관련통으로서, 오른쪽 어깨 등이 아픈 경우가 많다고 한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임피던스값 Z가 급상승하기 때문에, 전력 Pout를 예를 들어 정전력 출력하는 경우에는, 출력 전압도 급상승한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로의 이행 전에는, 환부(90)에서의 온도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 동통에는 전기적 및 열적의 쌍방의 발생 요인이 있다고 한다.
또한, 환부(90)에 있어서의 종양의 종류에 따라서는, 이러한 동통이 커지면,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간장암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장기에서의 암과 비교하여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반복 치료가 필요하게 되지만, 환자(9)가 느끼는 통증의 기억이, 차회의 치료를 받는 데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치료 시의 마취를 강하게 하면, 그러한 동통을 경감할 수 있기는 하지만, 마취를 강하게 하는 것은 합병증 예지의 방해가 된다. 이러한 점에서, 최소한의 양의 마취를 사용하면서, 동통은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이상적이기 때문에, 어블레이션에 의한 치료 시의 브레이크 횟수 Nb에 대해서도, 상기 비교예 1, 2 등과 같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져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비교예 1, 2 등에서는,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의 실시가 곤란해지는 결과, 어블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D.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그래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이하 상세하게 기술하는 방법으로 어블레이션을 행함으로써, 상기 비교예 1, 2 등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 있어서의 어블레이션의 처리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에서는, 우선, 전술한 역치 Zth(임피던스값 Z의 역치)와, 후술하는 역치 Nth(브레이크 횟수 Nb의 역치)의 설정을 행한다(도 4의 스텝 S10). 구체적으로는, 이들 역치 Zth 및 역치 Nth의 설정값이 각각,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고, 제어부(33)로 공급된다. 또한, 이 역치 Nth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역치」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역치 Nth로서는, 브레이크 횟수 Nb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회(Nth=3)를 들 수 있다. 또한, 역치 Zth로서는, 절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예를 들어, Zth=120[Ω] 정도)과, 상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몇Ω 혹은 몇% 상승하였는지로 규정하는 방법)으로 크게 구별된다. 또한, 이 상대값으로 규정하는 방법으로서도, 어블레이션의 개시 시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값 Z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는 방법과, 어블레이션 개시 후에 있어서의 임피던스값 Z의 최솟값을 기준으로 하여 규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역치 Zth나 역치 Nth의 설정값이,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품의 출하 시 등에 미리 전원 장치(3) 내에서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에 전원 장치(3)(전원부(32))로부터 전력 Pout를 공급함으로써, 환부(90)에 대한 어블레이션을 개시한다(스텝 S11). 구체적으로는, 이 어블레이션의 개시는,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조작 신호 Sm이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되어 제어부(33)로 공급됨으로써 실행된다. 즉, 이 예에서는, 어블레이션이 수동으로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이러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면, 전원부(32)는 우선,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한다(스텝 S12).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33)는, 그러한 임피던스값 Z의 측정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측정된 임피던스값 Z가, 전원부(32)로부터 제어부(33)로 공급되면, 다음에 제어부(33)는 이하의 판정을 행한다. 즉, 제어부(33)는, 이 임피던스값 Z가,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 Zth보다 큰지 여부(Z>Zth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여기서,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 이하라고(Z>Zth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3: "아니오"), 상기한 스텝 S12로 되돌아가서, 다시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이 행해진다.
한편,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보다 크다고(Z>Zth를 충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스텝 S13: "예"), 전술한 브레이크 상태로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 경우, 다음에 제어부(33)는, 이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자동적으로 카운트한다(스텝 S14). 또한, 이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은, 예를 들어 제어부(33) 내의 각종 기억 매체에, 수시로 기억되게 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 등은, 예를 들어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장치(3)에 있어서의 표시부(34)에, 수시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표시부(34)에서는, 우선, 전술한 도 3에도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의 측정 파형이 시간축을 따라 표시되어 있다(도 5 중의 부호 P20 참조). 또한, 이 표시부(34)의 예에서는 또한, 임피던스값 Z의 현재값(Impedance: 부호 P21 참조)과, 전술한 온도 정보 It(Temperature: 부호 P22 참조)와, 전력 Pout의 출력값(Power: 부호 P23 참조)과, 어블레이션 시간의 정보(Ablation Time: 부호 P24 참조)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표시부(34)의 예에서는, 도 5 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의 현재값(부호 P21 참조)과 함께,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이 아울러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스텝 S15). 이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값 Z가 다시 저하되어, 브레이크 상태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33)는, 상기한 스텝 S14에 있어서 카운트된 브레이크 횟수 Nb가, 스텝 S10에 있어서 설정된 역치 Nth 이상인지 여부(Nb≥Nth를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 미만이라고(Nb≥Nth를 충족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6: "아니오"), 이어서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이 자동적 또는 수동에 의해 재개된다(스텝 S17).
여기서, 도 6은, 이러한 전력 Pout의 공급 재개(스텝 S17) 시의, 동작 모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의 동작 모드로서는, 예를 들어 「풀 오토 모드」와 「세미 오토 모드」라는 2종류의 동작 모드를 들 수 있다. 또한, 이 풀 오토 모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동작 모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세미 오토 모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동작 모드」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고 있다.
우선, 풀 오도 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 S16: "아니오"), 제어부(33)에 의해,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킨다(스텝 S17).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킨다. 즉, 이 풀 오토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세미 오도 모드에서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스텝 S16: "아니오"),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제어부(33)가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시킨다(스텝 S17). 즉, 이 세미 오토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이 수동에 의해 재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전원 장치(3)에 있어서, 이러한 2종류의 동작 모드(「풀 오토 모드」 및 「세미 오토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도 6 중에 나타낸 파선의 화살표 P3 참조). 즉, 예를 들어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가, 수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이 재개된 후에는, 전술한 스텝 S12로 되돌아가서, 다시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이 행해지게 된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전술한 스텝 S15에 있어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브레이크 상태에 있어서도, 임피던스값 Z가 계속해서 측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텝 S15에 있어서, 전력 Pout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상태로 되면, 임피던스값 Z의 측정은 행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텝 S16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 이상이라고(Nb≥Nth를 충족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6: "예"), 다음에 제어부(33)는,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33)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스텝 S16: "예"), 전원부(32)로부터의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완전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스텝 S18).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1을 사용하여,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환부(90)에 대한 어블레이션이, 제어부(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종료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33)는, 이와 같이 하여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스텝 S18) 후에, 액체 공급 장치(2)로부터의 냉각용 액체 L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스텝 S19). 구체적으로는, 제어부(33)는, 전술한 제어 신호 CTL2를 사용하여, 액체 공급부(21)로부터의 액체 L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액체 공급 장치(2)의 내부와 전극침(1)의 내부의 사이에서의 액체 L의 순환이 정지되고(도 1 참조), 전극침(1)에 대한 냉각 동작(쿨링)이 정지된다. 이상으로, 도 4에 도시한 일련의 처리(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의 처리예)가 종료된다.
(E. 작용ㆍ효과)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의 어블레이션 시스템(5)에서는, 제어부(33)는 어블레이션 시에, 이하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즉, 우선, 제어부(33)는, 전극침(1)과 대향 전극판(4)의 사이의 임피던스값 Z를 측정함(도 4의 스텝 S12)과 함께, 이 임피던스값 Z가 역치 Zth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브레이크 횟수 Nb)를 카운트한다(스텝 S14). 그리고, 제어부(33)는, 이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력 Pout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다(스텝 S18).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횟수 Nb를 목시 등으로 확인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수동으로 종료시키는 경우(비교예 1)나, 브레이크 횟수 Nb를 확인하지 않고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어블레이션을 자동 종료시키는 경우(비교예 2) 등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어블레이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비교예 1, 2 등과 비교하여, 어블레이션 시스템(5)을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장치(3)에 있어서,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34)를 마련하도록 하였으므로(도 5 참조), 브레이크 횟수 Nb의 카운트값을, 전원 장치(3)의 조작자 등이 수시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할 때(도 4의 스텝 S17), 제어부(33)에 의해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도록 한 경우(도 6에 도시한 「풀 오토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이 「풀 오도 모드」에서는,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도 자동적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어블레이션이 개시되고 나서 종료까지의 일련의 처리(도 4 중의 스텝 S12 내지 S19의 각 처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전력 Pout의 공급을 재개할 때, 전원 장치(3)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 Sm에 기초하여 재개되도록 한 경우(도 6에 도시한 「세미 오토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 자체는 수동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전력 Pout의 공급의 재개 타이밍을, 수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장치(3)에 있어서, 이들 2종류의 동작 모드(「풀 오토 모드」 및 「세미 오토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도 6 중의 화살표 P3 참조),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전력 Pout의 공급(어블레이션)을 재개할 때(도 4의 스텝 S17), 예를 들어 용도나 상황 등에 따라, 이들 2종류의 모드를 수시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33)는, 브레이크 횟수 Nb가 역치 Nth에 도달한 경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도 4의 스텝 S18) 후에, 액체 L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스텝 S19), 이하와 같이 된다. 즉, 예를 들어 어블레이션의 종료 후에 액체 L의 공급을 수동으로 정지시키는 경우(비교예 3)와 비교하여, 적절한 타이밍에서의 액체 L의 공급 정지가 실현되게 된다. 그 결과, 어블레이션 후의 환부(90)(조직)가 액체 L에 의해 필요 이상으로 냉각되어 버릴 우려가 회피되어, 환부(90)의 소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비교예 3과 비교하여, 편리성의 한층 더한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2.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각 부재의 재료 등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재료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침(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모든 부재를 구비할 필요는 없고, 또한, 다른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종 파라미터의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값이나 범위, 대소 관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공급 장치(2) 및 전원 장치(3)의 블록 구성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블록을 반드시 전부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또한, 다른 블록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어블레이션 시스템(5) 전체로서도,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장치에 추가하여, 다른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제어부(33)에 있어서의 제어 동작(어블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전력 공급 제어 기능 및 액체 공급 제어 기능 등에 있어서의 제어 방법(어블레이션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방법에 한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역치 Nth(브레이크 횟수 Nb의 역치)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3회(Nth=3)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예에 한하지 않고, 1회(Nth=1), 2회(Nth=2), 4회 이상(Nth≥4)의 임의의 횟수 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회로)로 행해지도록 해도 되고,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소프트웨어로 행해지도록 한 경우, 그 소프트웨어는, 각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군으로 구성된다. 각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에 미리 내장되어 사용되어도 되고,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로 인스톨되어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제까지 설명한 각종 예를 임의의 조합으로 적용시키도록 해도 된다.

Claims (6)

  1. 체내의 환부에 대하여 경피적으로 천자되는 전극침과,
    상기 전극침과 대향 전극판의 사이에 어블레이션을 행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력의 공급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전원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블레이션 시에, 상기 전극침과 상기 대향 전극판의 사이의 임피던스값을 측정함과 함께, 상기 임피던스값이 제1 역치를 초과한 브레이크 상태의 횟수인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갖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에서는, 제1 동작 모드와 제2 동작 모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1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재개시키고,
    상기 제2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상태로 된 경우에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를 카운트함과 함께, 상기 전력의 공급을 일시적으로 저하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의 공급을 재개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침에 대하여 냉각용 액체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레이크 횟수가 상기 제2 역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어블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종료시킨 후에, 상기 액체의 공급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어블레이션 시스템.
KR1020207003535A 2017-08-29 2018-02-19 어블레이션 시스템 KR102336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64461A JP6853145B2 (ja) 2017-08-29 2017-08-29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JP-P-2017-164461 2017-08-29
PCT/JP2018/005775 WO2019043991A1 (ja) 2017-08-29 2018-02-19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924A true KR20200024924A (ko) 2020-03-09
KR102336199B1 KR102336199B1 (ko) 2021-12-07

Family

ID=65525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535A KR102336199B1 (ko) 2017-08-29 2018-02-19 어블레이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56324A4 (ko)
JP (1) JP6853145B2 (ko)
KR (1) KR102336199B1 (ko)
CN (1) CN110944590B (ko)
TW (1) TWI670041B (ko)
WO (1) WO2019043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9052B (zh) * 2020-04-16 2021-05-07 上海睿刀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预测电脉冲消融区域的系统
WO2022038728A1 (ja) * 2020-08-20 2022-02-2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22091224A1 (ja) * 2020-10-27 2022-05-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22091369A1 (ja) * 2020-10-30 2022-05-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SE2150579A1 (en) * 2021-05-06 2022-11-07 Curative Cancer Treat By Heat Cctbh Ab Tumor denaturization control in curative cancer treat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690A (ja) * 2000-08-23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電気手術装置
JP2004008581A (ja) * 2002-06-07 2004-01-15 Aloka Co Ltd 電気手術装置
JP2008514271A (ja) * 2004-09-27 2008-05-08 ビブラテ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腫瘍の治療のための機構
JP2008114042A (ja) * 2006-10-31 2008-05-2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高周波手術装置及び高周波手術方法
KR20160013946A (ko) * 2013-06-27 2016-02-05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8830A (ja) * 2013-06-27 2015-01-19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システム
US10639098B2 (en) * 2014-05-06 2020-05-05 Cosman Instruments, Llc Electrosurgical generator
RU2707037C2 (ru) * 2015-02-27 2019-11-21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даптивной абляции и терапии на основании эластографического мониторинга
US10285751B2 (en) * 2015-10-16 2019-05-14 Biosense Webster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theter power based on renal ablation response
CN105496549A (zh) * 2015-10-29 2016-04-20 绵阳立德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射频发生器及利用该射频器产生射频能量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690A (ja) * 2000-08-23 2002-03-05 Olympus Optical Co Ltd 電気手術装置
JP2004008581A (ja) * 2002-06-07 2004-01-15 Aloka Co Ltd 電気手術装置
JP2008514271A (ja) * 2004-09-27 2008-05-08 ビブラテック・アクチボラゲット 腫瘍の治療のための機構
JP2008114042A (ja) * 2006-10-31 2008-05-2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高周波手術装置及び高周波手術方法
KR20160013946A (ko) * 2013-06-27 2016-02-05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카테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56324A4 (en) 2021-04-07
CN110944590A (zh) 2020-03-31
JP6853145B2 (ja) 2021-03-31
CN110944590B (zh) 2023-01-31
TWI670041B (zh) 2019-09-01
WO2019043991A1 (ja) 2019-03-07
KR102336199B1 (ko) 2021-12-07
TW201912124A (zh) 2019-04-01
JP2019041782A (ja) 2019-03-22
EP3656324A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924A (ko) 어블레이션 시스템
US202203133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radiofrequency ablation power, and radiofrequency ablation system
US9060774B2 (en) High-frequency surgical device
JP6914842B2 (ja) エラストグラフィ監視に基づく適応的なアブレーション及び治療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124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al ablation distortion detection
EP3451964B1 (en) Systems facilitating application of an appropriate thermal dosage in microwave ablation procedures
US20120157749A1 (en) Heat therapy
US20060122579A1 (en)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stored treatment protocols, and associated method
US20210205005A1 (en) Rf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micro needles,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treatment method using same
WO2022091369A1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7455494B2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WO2022038728A1 (ja) 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20180360522A1 (en) Electrosurgical system for generating high-frequency alternating current
JP7352011B2 (ja) アブレーション制御システム
US20230205298A1 (en) Power supply device, electromedical device system, re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evice
TWI693918B (zh) 消融裝置
EP4212117A1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and high-frequency treatment method
US9977098B2 (en) MRI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imaging conditions to not exceed SAR and SAE limits
JP2023143342A (ja) 電源装置、電気医療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給電方法
EP4175574A1 (en)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