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542A - 종이컵 포장기 - Google Patents

종이컵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542A
KR20200024542A KR1020180101349A KR20180101349A KR20200024542A KR 20200024542 A KR20200024542 A KR 20200024542A KR 1020180101349 A KR1020180101349 A KR 1020180101349A KR 20180101349 A KR20180101349 A KR 20180101349A KR 20200024542 A KR20200024542 A KR 20200024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up
blade
packaging
vinyl
fix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877B1 (ko
Inventor
석몽필
Original Assignee
석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몽필 filed Critical 석몽필
Priority to KR102018010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7Perforating strips of comple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6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a longitudinally-folded web, or in a web folded into a tube about th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placed upon it

Abstract

종이컵 포장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는 종이컵 이송수단, 포장비닐 공급수단 및 종이컵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이컵 포장기에 있어서, 종이컵 묶음을 감싸는 포장비닐의 전단과 후단을 열봉합 함과 동시에 절단하는 끝단절단수단의 일측에 포장비닐에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이 설치되되, 천공수단은 히팅 블록 일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블록 시트; 사각의 막대형태로 고정블록 시트에 고정장착되며, 일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칼날 장착홈이 형성되는 칼날 고정블록; 칼날 장착홈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칼날; 및 칼날이 고정되도록 칼날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조립되는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컵 포장기{Apparatus for packaging paper cups}
이 발명은 종이컵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개수의 묶음 단위로 종이컵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공기에 찬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종이컵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종이컵과 같은 제품들은 일정 개수 단위 묶음이 된 채로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이컵 제작장치로부터 성형 제작된 종이컵들은 일정한 개수 단위로 포개진 상태로 분리가 되고, 이렇게 묶음으로 된 종이컵 뭉치는 별도의 포장장치에 의해서 얇은 비닐포장지로 포장이 된 후 박스에 담긴 상태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도1은 일반적인 종이컵 포장장치에 의해서 얇은 비닐로 포장된 상태의 종이컵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작된 종이컵(10)은 5개, 10개, 15개, 20개, 30개 또는 50개 등의 단위로 포개어지고, 이와 같이 일정 단위로 포개어진 종이컵 묶음(20)은 얇은 포장용 비닐로 감싼 비닐포장(P)으로 포장이 된다. 도1에 도시된 종이컵(10)의 포장 상태는 단일의 겹으로 제공되는 포장 비닐 원단이 종이컵 묶음(20)을 감싸게 되면서 겹쳐지는 부분이 열봉합수단에 의해서 열봉합(S)이 되고, 전방과 후방의 끝단 또한 열봉합수단에 의해서 열봉합(S1, S2)이 된 경우이다.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비닐포장(P)으로 감싸진 종이컵 묶음(20)들은 박스에 포장되기 위해서 상호 포개어진다. 즉, 종이컵 묶음(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절단된 비닐포장(P)의 한쪽 끝 부분은 작업자에 의해서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이컵 묶음(20)의 한쪽 내측으로 접혀 들어간 상태가 되고, 그러한 묶음들의 앞과 뒤를 상호 끼워 넣어 하나의 박스 내에 여러 층의 종이컵 묶음들이 적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이컵 묶음(20)들을 여러 층으로 적층하기 위해서 비닐포장(P)의 한쪽 끝 부분을 접어 넣는 과정에서 비닐포장(P)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으면, 종이컵 묶음(20)의 적층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에 도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장용 비닐로 종이컵 묶음(20)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종이컵 묶음(20)을 감싸는 비닐포장(P)의 상에는 공기빼기구멍(3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컵 묶음을 감싸는 포장 비닐에 공기빼기구멍을 형성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이 회전체의 도중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된 형태로 구성이 됨에 따라서 공기빼기구멍이 필요 이상의 위치에 많이 형성이 된다거나 필요 이상으로 큰 구멍으로 형성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필요 이상의 위치에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면 이물질 등이 비닐포장의 내부로 침투하여 위생적이지 못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이컵 묶음을 포장하는 과정에서 공기빼기구멍의 형성을 위해 돌출형성된 천공수단이 얇은 포장 비닐에서 빠지지 않아 작업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8-0065849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8031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458327호 일본특허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72116호
이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이 된 것으로서, 일정 개수의 묶음으로 종이컵을 얇은 비닐포장지로 포장하는 과정에서 비닐포장지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위한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천공수단이 구비된 종이컵 포장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 발명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는 종이컵 이송수단, 포장비닐 공급수단 및 종이컵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이컵 포장기에 있어서, 종이컵 묶음을 감싸는 포장비닐의 전단과 후단을 열봉합 함과 동시에 절단하는 끝단절단수단의 일측에 포장비닐에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이 설치되되, 천공수단은 히팅 블록 일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블록 시트; 사각의 막대형태로 고정블록 시트에 고정장착되며, 일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칼날 장착홈이 형성되는 칼날 고정블록; 칼날 장착홈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칼날; 및 칼날이 고정되도록 칼날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조립되는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서 칼날 고정블록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칼날이 장착되며, 칼날과 칼날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서 히팅 블록과 칼날 고정블록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서 포장비닐 공급수단의 상측에는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종이컵 묶음이 포장비닐에 의해서 감싸지는 상태가 되도록 평평한 상태의 포장비닐이 'U'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가이드 포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서 종이컵 공급수단은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래칫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 의하면 종이컵 묶음을 포장하는 비닐포장의 일측에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공기빼기구멍의 천공을 위한 칼날 등의 공구가 포장비닐에 끼지 않아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 의하면 공기빼기구멍이 일자형태로 매우 작게 형성됨으로써 공기빼기구멍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 의하면 포장비닐 원단을 'U'자 형태로 변형시켜주기 위한 가이드 포머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구성도.
도4 및 도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
도8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단면 구성도.
도9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천공수단에 포함되는 칼날 시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10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 의해서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11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에 의해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구성도이며, 도4 및 도5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7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분해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8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0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를 지시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100)는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이컵 묶음(20)들을 일정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종이컵 이송수단(110), 종이컵 묶음(20)들을 포장하기 위한 비닐포장지의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포장비닐 공급수단(120), 포장비닐 공급수단(120)에서 공급되는 포장비닐(300) 원단이 'U'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가이드 포머(130), 가이드 포머(130)에 의해 'U'자 형태로 말아지는 포장비닐(300) 내측으로 종이컵 묶음(20)이 투입되도록 종이컵 묶음(20)을 일정 간격으로 공급하는 종이컵 공급수단(140), 내측에 종이컵 묶음(20)이 수납된 상태의 'U'자 형태로 말아진 포장비닐(300) 원단의 양쪽 끝단이 상호 접촉된 가운데 일정한 속도로 당겨지도록 종이컵 이송수단(11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당김 롤러(160, pulling roller), 'U'자 형태로 말아진 포장비닐(300)의 양쪽 끝단이 상호 열봉합되도록 당김 롤러(160)의 후방에 설치되는 측면봉합수단(170), 종이컵 묶음(20)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단과 후단이 열봉합되도록 설치되는 끝단봉합수단(180) 및 끝단봉합수단(180)에 의해서 전단과 후단이 열봉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전단과 후단 사이를 절단하도록 설치되는 끝단절단수단(19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100)의 종이컵 이송수단(110)은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구성되어 종이컵 묶음(20)들이 일정 간격들 두고 진행방향으로 전진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종이컵 공급수단(140)의 전방에는 일정 개수 단위의 종이컵 묶음(20)이 일정 간격을 두고 공급되도록 하는 래칫(142)이 설치된다. 래칫(142)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날개가 형성된 회전체로 구성이 됨으로써, 공급부(144)에 있는 종이컵 묶음(20)들이 종이컵 공급수단(140)의 콘베이어를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종이컵 이송수단(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포장비닐 공급수단(120)은 종이컵 묶음(20)이 이동하는 속도에 맞춰 일정 폭을 갖는 포장비닐(300) 원단이 감긴 원단 롤러(122)가 풀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포장비닐 공급수단(12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포장비닐(300)이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일정한 속도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포장비닐 공급수단(120)에서 공급되는 포장비닐(300)이 풀리는 속도는 후방 측에 설치되어 있는 당김 롤러(160)가 당기는 속도와 일치되도록 설정된다.
포장비닐 공급수단(120)과 당김 롤러(160)의 작동에 의해서 포장비닐(300)은 정속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평평하게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던 포장비닐(300)은 가이드 포머(130)에 의해서 양측이 'U'자 형태로 접혀 올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U'자 형태로 접혀진 상태의 포장비닐(300)은 당김 롤러(160)에 가까워지면서 개방된 측의 양쪽 끝단은 상호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전술한 포장비닐 공급수단(120)의 원단 롤러(122)에 감긴 포장비닐(300)은 종이컵 이송수단(110) 상에 설치된 한 쌍의 당김 롤러(160)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풀리게 된다.
한편, 가이드 포머(130)에 의해서 단면이 'U'자 형태로 변형되는 포장비닐(300)의 내측에는 종이컵 공급수단(140)에 의해서 일정 간격으로 공급되는 종이컵 묶음(20)이 수납된 상태가 되고, 종이컵 이송수단(110)의 작동에 의해서 포장비닐(300)로 감싸진 상태의 종이컵 묶음(20)들은 후방으로 이송된다. 종이컵 이송수단(110)의 구동 속도는 포장비닐 공급수단(120)과 당김 롤러(160)에 의해서 포장비닐(300)이 풀리는 속도와 상응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포머(130)에는 조절수단(132)을 구비하여 포장비닐이 'U'자 형태로 접혀진 상태에서 당김 롤러(160)에 의해서 정속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양측의 끝단 부분이 상호 맞대어진 상태가 되게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당김 롤러(160)의 후방에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장비닐(300)의 개방된 한쪽 측면끼리가 열봉합이 되도록 하기 위한 측면봉합수단(170)이 설치된다. 측면봉합수단(17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롤러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측면봉합수단(17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롤러가 상호 맞물려 회전하는 과정에서 포장비닐(300)을 끌어당기는 가운데 금속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서 상호 마주하는 면이 열봉합이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측면봉합수단(170)은 일반적인 종래의 포장기에서 적용되는 기술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측면봉합수단(170)의 작동에 의해서 일정 폭을 가진 포장비닐(300)은 튜브의 형태로 변형이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면봉합수단(170)이 작동되어 포장비닐의 양쪽 끝단 부분이 열봉합이 됨으로써 튜브 형태로 변형된 포장비닐(300)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종이컵 묶음(20)들이 수납된 상태가 된다. 즉, 원단 롤러(122)에 감겨 있던 포장비닐(300)은 가이드 포머(130)에 의해서 상부가 개방된 'U'자 형태로 변형이 되고, 측면봉합수단(17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의 양쪽 측면이 상호 봉합이 되어 결과적으로는 튜브 형태로 변형이 되는데, 가이드 포머(130)에 의해서 변형이 되는 과정에서 포장비닐(300)의 내측에는 종이컵묶음(2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납이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해서 튜브 형태로 변형된 포장비닐(300)의 내부에 종이컵묶음(20)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납된 상태에서 끝단봉합수단(180) 및 끝단절단수단(190)에 의해서 일정 간격으로 전단과 후단이 열봉합이 되는 가운데 전단과 후단 사이는 절단이 된다. 즉,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이컵 이송수단(110)의 후방측에 설치된 끝단절단수단(190)에 의해서 튜브 형태로 변형된 포장비닐은 일정 길이로 절단이 된다. 또한, 끝단절단수단(190)의 양쪽에 형성된 끝단봉합수단(180)에 의해서 포장비닐(300)의 전단과 후단은 열봉합이 된다.
끝단봉합수단(180)과 끝단절단수단(190)은 도4 및 도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에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된 한 쌍의 회전체(180a, 180b)가 맞물려 1회전을 하는 과정에서 끝단봉합수단(180)의 가열면이 회전하는 원주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포장비닐이 이동되고, 포장비닐(300)의 전단과 후단은 열봉합이 됨과 동시에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회전체(180a, 180b)에는 각각 끝단봉합수단(180)의 가열면이 상호 맞대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부 회전체(180a)에는 끝단절단수단(190)의 커터가 설치되고, 끝단절단수단(190)의 커터에 대응하는 하부 회전체(180b)의 위치에는 커터 베드(192)가 형성된다.
특히,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100)에서 끝단절단수단(190)의 일측에는 종이컵 묶음(20)이 수용된 포장비닐(300)의 일측에 공기빼기구멍(310)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천공수단(200)이 설치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공수단(20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전술한 끝단절단수단(190)의 일측에 일체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끝단봉합수단(180)의 히팅 블록(182)에는 도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정블록 시트(182)가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이 고정블록 시트(184)에는 칼날 고정블록(210)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212)을 통해서 고정 장착된다. 칼날 고정블록(21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사각의 막대형태로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칼날 장착홈(214)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칼날 고정블록(210)에 형성된 칼날 장착홈(214)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칼날(220)이 고정 장착된다. 복수의 칼날(220) 간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스페이서(230)가 배열이 되고, 양쪽 끝부분에 위치되는 칼날(220)의 측면측에서는 고정 볼트(232)가 체결된다.
도면부호 240은 히팅 블록(182)의 열이 칼날 고정 블록(2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천공수단(200)에 설치되는 칼날(2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자르는 선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의 칼날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칼날(220)은 자르는 선이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어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포장비닐(300)에 공기빼기구멍(310)이 일자로 형성되도록 함에 안성맞춤이다.
도9는 전술한 끝단봉합수단(180)과 끝단절단수단(190)의 일부를 이루는 하부회전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9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공수단(200)의 칼날(2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칼날(220)이 부딪치지 않고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칼날 시트(2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10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100)의 작동 과정에서 천공수단(200)에 의해서 포장비닐(300)에 공기빼기구멍(310)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천공수단(200)에 의해서 포장비닐(300)에 형성된 공기빼기구멍(310)의 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기빼기구멍(310)이 짧은 길이를 갖는 일자로 형성됨에 따라서 겉보기로는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된 것이 표시가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기빼기구멍(310)으로 먼지 등 이물질이 투입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두께가 얇은 칼날(220)이 포장비닐(300)의 전단과 후단을 열봉합과 동시에 절단하기 위한 끝단절단수단(190)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됨에 따라서 공기빼기구멍(310)이 매우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천공수단(200)에 설치되는 칼날(220)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문구용 또는 산업용 칼날을 절단하여 사용해도 됨에 따라서 사용 과정에서 칼날이 무뎌지거나 파손되는 경우에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공기빼기구멍(310)의 형태가 일자로 형성됨에 따라서 기존의 경우에 비하여 공기빼기구멍의 형성을 위한 도구가 비닐포장에 끼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컵 포장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한정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종이컵 포장기 110 : 종이컵 이송수단
120 : 포장비닐 공급수단 124 : 원단 롤러
130 : 가이드 포머 140 : 종이컵 공급수단
142 : 래칫 160 : 당김 롤러
170 : 측면봉합수단 180 : 끝단봉합수단
182 : 히팅 블록 184 : 고정블록 시트
190 : 끝단절단수단 200 : 천공수단
210 : 칼날 고정블록 214 : 칼날 장착홈
220 : 칼날 230 : 스페이서
240 : 단열재 250 : 칼날 시트
300 : 포장비닐 310 : 공기빼기구멍

Claims (5)

  1. 종이컵 이송수단, 포장비닐 공급수단 및 종이컵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이컵 포장기에 있어서,
    종이컵 묶음을 감싸는 포장비닐의 전단과 후단을 열봉합 함과 동시에 절단하는 끝단절단수단의 일측에 상기 포장비닐에 공기빼기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공수단이 설치되되, 상기 천공수단은,
    히팅 블록 일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블록 시트;
    사각의 막대형태로 상기 고정블록 시트에 고정장착되며, 일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칼날 장착홈이 형성되는 칼날 고정블록;
    상기 칼날 장착홈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위치에 설치되는 칼날; 및
    상기 칼날이 고정되도록 상기 칼날 고정블록의 측면에서 조립되는 고정 볼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 고정블록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칼날이 장착되며, 상기 칼날과 칼날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포장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블록과 상기 칼날 고정블록 사이에는 단열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포장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비닐 공급수단의 상측에는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종이컵 묶음이 포장비닐에 의해서 감싸지는 상태가 되도록 평평한 상태의 포장비닐이 'U'자 형태로 변형되도록 하는 가이드 포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포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 공급수단은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복수의 날개가 형성된 래칫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포장기.
KR1020180101349A 2018-08-28 2018-08-28 종이컵 포장기 KR10209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49A KR102096877B1 (ko) 2018-08-28 2018-08-28 종이컵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349A KR102096877B1 (ko) 2018-08-28 2018-08-28 종이컵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542A true KR20200024542A (ko) 2020-03-09
KR102096877B1 KR102096877B1 (ko) 2020-04-06

Family

ID=6980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349A KR102096877B1 (ko) 2018-08-28 2018-08-28 종이컵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932A (ja) * 1994-06-03 1995-12-19 Nippon Seiki Co Ltd エンドシールカッタ装置
KR20000072116A (ko) 2000-07-28 2000-12-05 오재학 엘리베이터용 위치표시기 박스의 결합구조
KR200288031Y1 (ko) 2002-06-21 2002-09-09 차상철 식품자동포장공정에 있어서의 공기방출공의 성형장치
JP2007297091A (ja) * 2006-04-28 2007-11-15 Tenchi Kikai Co Ltd 包装装置及び包装方法
KR20080065849A (ko) 2007-01-10 2008-07-15 김정일 종이컵 자동 포장기
KR101458327B1 (ko) 2013-11-13 2014-11-04 주식회사 풀무원 커터 핀을 활용한 필름 미세 천공 장치
CN207374805U (zh) * 2017-11-01 2018-05-18 周忠学 袋口热封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932A (ja) * 1994-06-03 1995-12-19 Nippon Seiki Co Ltd エンドシールカッタ装置
KR20000072116A (ko) 2000-07-28 2000-12-05 오재학 엘리베이터용 위치표시기 박스의 결합구조
KR200288031Y1 (ko) 2002-06-21 2002-09-09 차상철 식품자동포장공정에 있어서의 공기방출공의 성형장치
JP2007297091A (ja) * 2006-04-28 2007-11-15 Tenchi Kikai Co Ltd 包装装置及び包装方法
KR20080065849A (ko) 2007-01-10 2008-07-15 김정일 종이컵 자동 포장기
KR101458327B1 (ko) 2013-11-13 2014-11-04 주식회사 풀무원 커터 핀을 활용한 필름 미세 천공 장치
CN207374805U (zh) * 2017-11-01 2018-05-18 周忠学 袋口热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877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27984B1 (en) System and process for packaging products
EP1711337B1 (en) Application of zippers to a moving film material
US3977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aging flexible flat goods
US4181069A (en) Method for producing double streams of side-welded bags in heat-welded pad form
EP2128037A1 (en) Pleated free-standing packing bag, pleated free-standing package, master roll for pleated free-standing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pleated free-standing package
EP1839845A1 (en) A method of producing overwrap material, and a pack furnished with the material produced
EP1601574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ir filled packing cushions
ITRM990269A1 (it)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i un film per confezioni e macchina perconfezionare diversi pacchetti in modo automatico.
EP3526028B1 (en) Dunnage conversion machine and method
US8739504B2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4131918A (ja) 梱包装置及び梱包方法
GB2340474A (en) Packaging elongate products
EP1775233A1 (en) Outer package for packaged groups of rolls of products.
US703236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ducing shrink wrap packaging
WO20110436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d filling flexible containers as well as the container obtained
KR20200024542A (ko) 종이컵 포장기
WO2014091381A9 (en) Method for packaging absorbent sanitary articles.
JP6109594B2 (ja) 袋包装体の耳折り装置を備えた横型包装機
KR100654332B1 (ko) 샌드위치 포장대의 포장장치
JP3929457B2 (ja) 包装装置
US515404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packaging under vacuum of sheets or plates
JP2005538906A (ja) ウエハーの一次個別包装の生産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2002255105A (ja) 充填包装機
JP2011251734A (ja) 多列ロールタイプ自動包装機のフィルム保持機構
JP4141334B2 (ja) シート体の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