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833A - 가스 난방기용 버너 - Google Patents

가스 난방기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833A
KR20200023833A KR1020180100252A KR20180100252A KR20200023833A KR 20200023833 A KR20200023833 A KR 20200023833A KR 1020180100252 A KR1020180100252 A KR 1020180100252A KR 20180100252 A KR20180100252 A KR 20180100252A KR 20200023833 A KR20200023833 A KR 2020002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venturi tube
gas
fuel gas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859B1 (ko
Inventor
하도용
정용기
박장희
김주수
박한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0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85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0Baffles or like flow-disturb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6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with provision for a retention fl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F23D14/64Mixing devices; Mixing tubes with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바디;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1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관로;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2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관로;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듀얼 밸브; 상기 제1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1 벤츄리 튜브; 상기 제2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2 벤츄리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를 통과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기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난방기용 버너{BURNER FOR GAS FURNACE}
본 발명은 가스 난방기용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니폴드로부터 제1 및 제2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듀얼 밸브가 개폐함으로써,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난방기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연료가스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실내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따라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조절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는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지 못하여, 목표 온도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는 가스 매니폴드에 유입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조절하였으나, 일정 수준 이하로 화력을 줄이면 화염 역화 또는 황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복수 개의 노즐 각각을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다양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 과제는,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 과제는,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노즐 단위로 조절할 수 있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는,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바디;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1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관로;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2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관로;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듀얼 밸브; 상기 제1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1 벤츄리 튜브; 상기 제2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2 벤츄리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를 통과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벤츄리 튜브는, 외주면이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노즐일 수 있다.
상기 듀얼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관로가 연결된 중공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관로 차단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로 차단 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환형의 판체부; 및 상기 판체부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바디 및 상기 듀얼 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근접하는 경우에 제1 및 제2 관로 중 어느 하나를 폐쇄함으로써,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큰 폭으로 낮춰 열적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복수 개의 듀얼 밸브 각각이 제1 및 제2 관로를 개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가스 난방기의 화력을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에서 제1 노즐 또는 제2 노즐로부터 연료가스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 난방기(1)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연료가스(R)의 연소 시 발생되는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P)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하는 기기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1)는, 연료가스(R)가 연소되어 연소가스(P)가 생성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10), 연소가스(P)가 유동되는 가스 유로가 형성된 열교환기(2), 송풍팬(3) 및 유도팬(4)을 포함한다.
가스 난방기용 버너(10)에서 연료가스(R)가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P)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가스(R)로는 천연가스를 냉각하여 액화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 또는 석유 정제 공정의 부산물로 얻은 가스를 가압하여 액화한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가스(R)는 가스 탱크(7)로부터 매니폴드(30)에 주입되어 노즐(41, 42)을 통해 벤츄리 튜브(70)를 향해 분사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도록 한다.
가스 탱크(7)와 매니폴드(30) 사이에는 연료가스(R)가 통과하는 가스관(9)이 배치될 수 있다. 가스 탱크(7)는 가스관(9)을 매개로 매니폴드(3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탱크(7)와 가스관(9)의 연결부에는 가스 밸브(8)가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밸브(8)는 가스관(9)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화염 및 연소가스(P)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 주위로 통과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열교환기(2)는 제1차 열교환기와, 제2차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는 일단이 가스 난방기용 버너(1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커플링 박스(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상기 커플링 박스를 통해 상기 제2차 열교환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은 상기 커플링 박스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는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으로 유입되어,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는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를 상기 제2차 열교환기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 다시 한번 열교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의 열에너지를 추가로 이용함으로써, 가스 난방기(1)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연소가스(P)는 상기 제2차 열교환기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전달 과정을 통해 응축되어,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소가스(P)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어 응축수로 상태 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구비한 가스 난방기(1)는, 콘덴싱(condensing) 가스 난방기로도 불리운다.
이때 생성된 응축수는 응축수 수집부(미부호)에 수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일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유도팬(인듀서, inducer)(4)이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하여 유도팬(4)이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유도팬(4)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가 결합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매개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과 유도팬(4)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을 통과한 연소가스(P)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유도팬(4)으로 빠져나간 후, 배기관(5)을 거쳐 가스 난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차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수집부를 통해 응축수 트랩(6)으로 빠져나간 후, 토출구를 거쳐 가스 난방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 트랩(6)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응축수 트랩(6)은 상기 제2차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뿐만 아니라, 유도팬(4)에 연결된 배기관(5)에서 생성된 응축수도 함께 수집하여 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에서 미처 응축되지 못한 연소가스(P)가, 배기관(5)을 통과하며 응축되는 경우에 생성되는 응축수도 응축수 트랩(6)으로 수집되어 상기 토출구를 거쳐 가스 난방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도팬(4)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매개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의 타단과 연통될 수 있다.
유도팬(4)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집부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유도팬(4)의 타단은 배기관(5)에 결합될 수 있다.
유도팬(4)은 연소가스(P)가 상기 제1차 열교환기, 상기 커플링 박스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배기관(5)으로 배출되는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점에서, 유도팬(4)은 IDM(Induced Draft Motor)으로 이해될 수 있다.
송풍팬(블로어, blower)(3)은 열교환기(2) 주위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송풍팬(3)에 의하여 열교환기(2)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는, 열교환기(2)를 매개로 고온의 연소가스(P)로부터 열에너지를 전달 받아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됨으로써, 실내가 난방될 수 있다.
송풍팬(3)은 가스 난방기(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팬(3)에 의하여 가스 난방기(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송풍팬(3)은 IBM(Indoor Blower Motor)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1)는 케이스(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가스 난방기(1)의 구성들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하부에는 송풍팬(3)과 인접한 측면에 하부측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를 통해 열교환기(2)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열교환기(2) 상측과 인접한 측면에 상부측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측 개구부를 통해 열교환기(2) 주위를 통과하며 온도가 상승한 공기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 및 상기 상부측 개구부에는, 난방 대상 공간인 실내 공간과 가스 난방기(1)를 연통시키는 덕트(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측 개구부와 이에 설치되는 상기 덕트 사이에는 공기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filter)(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배기관(5)이 관통하는 배기관용 개구부(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으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대로, 상기 제2차 열교환기는 상기 제1차 열교환기를 통과한 연소가스(P)의 열에너지를 추가로 이용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제1차 열교환기만을 적용한 가스 난방기에 비하여,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적용한 가스 난방기의 효율이 우수할 것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1)는 상기 제1차 열교환기만 적용한 가스 난방기뿐만 아니라, 상기 제1차 열교환기 및 상기 제2차 열교환기를 적용한 가스 난방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에서 제1 노즐 또는 제2 노즐로부터 연료가스가 분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은 연소 반응에 제공되는 연료가스(R)의 양에 비례하므로, 가스관(9)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도록 가스 밸브(8)를 조절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스 난방기용 버너는, 매니폴드(30)의 일측에 설치된 가스 밸브(8)를 개폐하여 매니폴드(30)에 공급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4 개의 싱글 노즐(32) 각각에서 4 개의 벤츄리 튜브(70a, 70b, 70c, 70d) 각각에 분사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한꺼번에 조절할 수만 있었다.
다만, 상기와 같이 가스 밸브(8)를 조절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조절하는 것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다. 왜냐하면, 4 개의 벤츄리 튜브(70a, 70b, 70c, 70d)각각으로 유입되는 연료가스(R)의 양이 일정 수준 이하로 줄어들면, 화염이 역화되거나 황염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가스 밸브(8)만을 적용한 가스 난방기(1)의 경우, 가스 난방기(1)의 최대 화력과 최저 화력 간의 간격, 즉 TDR(Top-Down Ratio)이 충분히 크지 못하여,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를 큰 폭으로 벗어나는 오버슈트(overshoot)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다다를 경우,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큰 폭으로 낮춰, 실내 온도를 목표 온도 부근에서 유지하여 열적 쾌적성(thermal comfort)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크게하여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다다르게 한 후에는,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낮게하여 실내 온도가 목표 온도에 비해 오버슈트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도 1, 3,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는 연료가스(R)를 공급하는 매니폴드(30)와, 제1 노즐(41)과 제2 노즐(42)을 구비하는 노즐 바디(40)와, 매니폴드(30)로부터 제1 노즐(41)로 연료가스(R)를 공급하는 제1 관로(51)와, 매니폴드(30)로부터 제2 노즐(42)로 연료가스(R)를 공급하는 제2 관로(52)와,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듀얼 밸브(60)와, 제1 노즐(41)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1 벤츄리 튜브(71)와, 제2 노즐(42)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2 벤츄리 튜브(72)와,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통과한 연료가스(R)와 공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기(84)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노즐 바디(40) 및 듀얼 밸브(60)는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는 열교환기(2)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를 내부에 수용하는 버너 박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박스와 열교환기(2)의 일단 사이에는 지지 플레이트(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박스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매개로 열교환기(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유입구(미부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유입구를 통해, 가스 난방기용 버너(10)에서 연료가스(R)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 및 연소가스(P)가 열교환기(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박스의 일단과 상기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밀봉재로서 버너 박스 개스킷(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박스 개스킷은, 가스 난방기용 버너(10)에서 연료가스(R)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 및 연소가스(P)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박스 개스킷의 재질은 합성 고무일 수 있으나, 금속 등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30)에는 가스 탱크(7)에 저장된 연료가스(R)가 주입될 수 있다. 매니폴드(30)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매니폴드(30)는 후술하는 듀얼 밸브(60)에 연료가스(R)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30)에는 연료가스(R)를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 포트(31)가 형성될 수 있다. 매니폴드(30)의 일측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배출 포트(31)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 포트(31)는 매니폴드(30)의 일측으로부터 매니폴드(3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출 포트(31)의 단면은 원형일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 포트(31)에는 듀얼 밸브(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는 단일의 배출 포트(31)에 듀얼 밸브(6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출 포트(31)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듀얼 밸브(60)는 복수 개의 배출 포트(31)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매니폴드(30)에 주입된 연료가스(R)는 배출 포트(31)를 거쳐 듀얼 밸브(60)로 유입될 수 있다. 듀얼 밸브(60)로 유입된 연료가스(R)는 제1 및 제2 관로(51, 52)를 거쳐 노즐 바디(40)로 공급될 수 있다. 노즐 바디(40)로 공급된 연료가스(R)는 제1 및 제2 노즐(41, 42)을 통해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향해 분사될 수 있고, 보다 상세히는 후술하도록 한다.
듀얼 밸브(60)는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여, 제1 및 제2 노즐(41, 42)을 개폐하는 구성이므로, 먼저 제1 및 제2 노즐(41, 42)와, 제1 및 제2 관로(51, 52)에 대하여 설명한 후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노즐 바디(40)는 제1 및 제2 노즐(41, 42)을 구비할 수 있다. 노즐 바디(40)에는 제1 및 제2 관로(51, 52)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로(51, 52)는 각각 제1 및 제2 노즐(41, 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관로(51)는 매니폴드(30)로부터 제1 노즐(41)로 연료가스(R)를 공급하고, 제2 관로(52)는 매니폴드(30)로부터 제2 노즐(42)로 연료가스(R)를 공급할 수 있다.
노즐 바디(40)와 매니폴드(30) 사이에 듀얼 밸브(60)가 개재(介在)될 수 있다. 그러므로, 매니폴드(30)로부터 공급되는 연료가스(R)는 듀얼 밸브(60)를 거쳐 제1 및 제2 관로(51, 52)를 통해 제1 및 제2 노즐(41, 42)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관로(51, 52)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노즐(41)과 제2 노즐(42)은 노즐 바디(40)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42)은 하나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노즐(41)을 가운데에 둔 환형의 노즐일 수도 있는 등, 그 개수 및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써, 제2 노즐(42)은 제1 노즐(41)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노즐(42a, 42b)일 수 있다. 제2 노즐(42)은 제1 노즐(41)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노즐(42a, 42b)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관로(51, 52) 각각이 제1 및 제2 노즐(41, 42)로 연료가스(R)를 공급하기 위한, 노즐 바디(40) 내부 구조를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즐 바디(40)의 내부 중 제1 노즐(41)과 제2 노즐(42)이 설치되는 공간은 서로 연통되지 않고 별개로 구획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2 노즐(42a, 42b)이 설치되는 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제1 관로(51)는 노즐 바디(40)의 상측면에 연결되어, 연료가스(R)가 제1 관로(51)로부터 제1 노즐(41)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관로(52)는 노즐 바디(40)의 좌측 또는 우측면에 연결되어, 연료가스(R)가 제2 관로(52)로부터 한 쌍의 제2 노즐(42a, 42b)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관로(51, 52)가 연결되는 노즐 바디(40)의 측면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1 관로(51)가 연결되는 노즐 바디(40)의 측면에서 제1 관로(51)와 제1 노즐(41)이 서로 연통되고, 제2 관로(52)가 연결되는 노즐 바디(40)의 측면에서 제2 관로(52)와 제2 노즐(42)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노즐(41)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R)가 제1 벤츄리 튜브(71)를 통과하도록, 제1 노즐(41)과 제1 벤츄리 튜브(71)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노즐(42)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R)가 제2 벤츄리 튜브(72)를 통과하도록, 제2 노즐(42)과 제2 벤츄리 튜브(7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즐(41, 42)의 일단은, 이들 각각과 대향하는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의 일단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즐(41, 42)과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정확히는, 산소)가 연료가스(R)와 함께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노즐(41, 42)에서 분사되는 연료가스(R)가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향해 기 설정된 위치로 정확히 분사되게 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노즐(41, 42) 각각의 일단을 작게(예를 들어, 약 1mm)하고, 연료가스(R)의 분사 속도를 빠르게(예를 들어, 약 2m/s)하여, 분사되는 연료가스(R)의 직진성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에는 제1 및 제2 노즐(41, 42) 각각으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R)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대로,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와 제1 및 제2 노즐(41, 4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된 공기도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에는 연료가스(R)뿐만 아니라, 공기도 유입되므로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 각각의 유입부의 직경은 이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노즐(41, 42) 각각의 일단의 직경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 각각은 상기 유입부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이르기가지 직경이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에 이르기까지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통과하는 연료가스(R)와 공기의 압력이 하강(또한, 유속 증가)하므로, 상기 유입부와 이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노즐(41, 42)의 일단 사이에서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릴 수 있다.
제1 벤츄리 튜브(71)는, 외주면이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노즐(41)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R)는 제1 벤츄리 튜브(71)를 통과하고, 제2 노즐(42)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R)는 제1 벤츄리 튜브(71)의 외주면과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되어 제2 벤츄리 튜브(72)를 통과할 수 있다.
제1 벤츄리 튜브(71)의 외주면과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 사이에 스월러(swirler)(76)가 설치될 수 있다.
스월러(76)에 형성된 선회 날개를 통해, 제1 벤츄리 튜브(71)의 외주면과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제2 벤츄리 튜브(72)를 통과하는 연료가스(R)와 공기의 혼합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스월러(76)를 통해 연료가스(R)와 공기가 선회하며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혼합율을 증가시켜, 혼합기의 연소 반응이 더욱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대로, 제1 및 제2 노즐(41, 42)과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로 유입되나,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측으로 제1 벤츄리 튜브(71)가 수용되는 배치 구조상, 해당 공기는 제2 벤츄리 튜브(72)를 거쳐 제1 벤츄리 튜브(71)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해당 공기의 상당 부분은 제2 벤츄리 튜브(72)로 유입될 것이므로, 제1 벤츄리 튜브(71)로는 해당 공기의 소량 부분만이 유입되어 제1 벤츄리 튜브(71)에 유입되는 연료가스(R) 대비 공기가 부족하여 불완전 연소가 일어날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제1 벤츄리 튜브(71)의 외주면과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 사이에 가림막(78)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78)은 제1 벤츄리 튜브(71)의 외주면과 제2 벤츄리 튜브(72)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일부 가려주어 제1 벤츄리 튜브(71)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림막(78)은 판체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림막(78)은 해당 공기의 상당 부분이 제2 벤츄리 튜브(72)로만 유입되는 것을 막고, 제1 벤츄리 튜브(71)로도 적당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를 통과한 연료가스(R)와 공기의 혼합기는 점화기(ignitor)(84)에서 발생한 불꽃(spark)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될 수 있다.
제1 벤츄리 튜브(71)를 통과한 혼합기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은 제1 벤츄리 튜브(71)의 상측에 위치한 제1 보염기(retainer)(81)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벤츄리 튜브(72)를 통과한 혼합기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은 제2 벤츄리 튜브(72)의 상측에 위치한 제2 보염기(8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혼합기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P)는 열교환기(2)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듀얼 밸브(60)가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개폐함에 따라,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단계적으로 낮추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대로, 듀얼 밸브(60)는 매니폴드(30)와 노즐 바디(40)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가스(R)가 매니폴드(30)로부터 제1 및 제2 노즐(41, 42)로 공급되게 하거나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듀얼 밸브(60)는 바디부(61) 및 관로 차단 기구(6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는 제1 및 제2 관로(51, 52)가 연결된 중공의 형상일 수 있다.
바디부(61)의 일측은 매니폴드(3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6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에 매니폴드(30)의 배출 포트(31)가 삽입됨으로써, 바디부(61)가 매니폴드(3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61)의 내측면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통해 매니폴드(30), 제1 및 제2 관로(51, 52)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관로 차단 기구(62)는 바디부(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할 수 있다.
관로 차단 기구(62)는 판체부(63) 및 피니언(66)을 포함할 수 있다.
판체부(63)는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바디부(6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판체부(63)는 내주면에 기어치(64)가 형성되고,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체부(63)는 제2 관로(52)가 바디부(61)에 연결된 부분을 가로막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판체부(63)의 내주면 중 어느 일 부분에 블록부(65)가 결합될 수 있고, 블록부(65)는 제2 관로(52)를 개폐할 수 있다.
블록부(65)는 제1 관로(51)가 바디부(61)에 연결된 부분을 가로막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배치될 수 있다.
블록부(65)가 판체부(63)와 별개의 부재로 설명하였으나, 양자는 일체로 형성되어 제1 관로(51)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피니언(66)은 판체부(63)의 기어치(64)에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66)은 판체부(63) 중 기어치(64)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피니언(66)의 회전 방향에 따른 제1 및 제2 관로(51, 52)의 개폐 여부를 설명하도록 한다.
피니언(66)은 피니언(6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예컨대, 시계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부(63)가 제2 관로(52)가 바디부(61)와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지 않고, 블록부(65)가 제1 관로(51)가 바디부(61)에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지 않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관로(51, 52)가 모두 개방되어 제1 및 제2 노즐(41, 42)에 공급된 연료가스(R)가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밸브(8)로 가스관(9)을 최대로 개방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최대치로 할 수 있고, 가스 밸브(8)로 가스관(9) 일부 폐쇄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낮출 수 있으나 일정 수준 이하로 낮추면 화염의 역화 또는 황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할 경우에의 작동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 피니언(66)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5(a)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부(63)가 제2 관로(52)가 바디부(61)와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지 않고, 블록부(65)가 제1 관로(51)가 바디부(61)에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는 경우에는, 제1 관로(51)는 폐쇄되고, 제2 관로(52)만이 개방되어 제2 노즐(42)에 공급된 연료가스(R)가 제2 벤츄리 튜브(72)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밸브(8)로 가스관(9)을 최대로 개방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최대치로 할 수 있고, 가스 밸브(8)로 가스관(9) 일부 폐쇄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2 벤츄리 튜브(72)로만 연료가스(R)가 통과하므로, 화염의 역화 또는 화염의 발생될 정도의 연료가스(R)의 양이, 도 5(b)의 경우 즉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 모두로 연료가스(R)가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a)의 경우가 도 5(b)의 경우에 비해 공급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더 줄일 수 있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더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
도 5(b)의 상태에서, 피니언(66)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도 5(c)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부(63)가 제2 관로(52)가 바디부(61)와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고, 블록부(65)가 제1 관로(51)가 바디부(61)에 연결된 부분을 가로 막지 않는 경우에는, 제2 관로(52)는 폐쇄되고, 제1 관로(51)만이 개방되어 제1 노즐(41)에 공급된 연료가스(R)가 제1 벤츄리 튜브(71)로 분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벤츄리 튜브(71)로만 연료가스(R)가 통과하므로, 화염의 역화 또는 화염의 발생될 정도의 연료가스(R)의 양이, 도 5(b)의 경우 즉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 모두로 연료가스(R)가 통과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c)의 경우가 도 5(b)의 경우에 비해 공급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더 줄일 수 있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더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
도 5(a)와 도 5(c)는 모두 도 5(b)의 경우에 비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더 큰 폭으로 낮출 수 있다는 데에는 공통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즉, 도 5(c)의 경우에는 제1 벤츄리 튜브(71)로 연료가스(R)가 공급되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도 제1 벤츄리 튜브(71)로 유입되어야 하나, 상기한 대로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와 제1 및 제2 노즐(41, 42)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당 부분이 제2 벤츄리 튜브(72)로 유입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 경우 가림막(78)을 설치하여 제1 벤츄리 튜브(71)로 유입되는 공기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a)의 경우에는 제2 벤츄리 튜브(72)로 연료가스(R)가 공급되므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도 제2 벤츄리 튜브(72)에 유입되어야 하며, 이 경우 가림막(78)의 설치 없이도 제2 벤츄리 튜브(72)로 유입되는 공기를 확보할 수 있다는 데 차이가 있다.
또한, 연료가스(R)가 제1 벤츄리 튜브(71)를 통과하는 면적 내지는 공간과, 연료가스(R)가 제2 벤츄리 튜브(72)를 통과하는 면적 내지는 공간을 서로 달리 설계함으로써, 연료가스(R)가 제2 벤츄리 튜브(72)만을 통과하는 경우(도 5(a))와, 연료가스(R)가 제1 벤츄리 튜브(71)만을 통과하는 경우(도 5(c)) 각각의 연료가스 공급 최저량을 달리할 수 있다.
이로써, 복수 개의 듀얼 밸브(60) 별로 제1 및 제2 관로(51, 52)의 개폐를 달리 조절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가 일체로 형성된 벤츄리 튜브(70)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듀얼 밸브(60) 및 노즐 바디(40)가 매니폴드(30)와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는 점화기(84)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점화기(84)의 불꽃 점화로 인해 점화기(84)의 하측에 배치된 벤츄리 튜브(70)의 상측에서 혼합기의 연소가 처음 시작되며, 이때 생성된 화염은 화염 전파구(미도시)를 통해 인접하는 벤츄리 튜브(70)로 전달되어 해당 벤츄리 튜브(70)를 통과한 혼합기의 연소를 일으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에 연료가스(R)가 공급됨에도, 상기 화염 전파구에 이물질이 끼는 것등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 중 적어도 하나의 상측으로 화염이 전달되지 못하여, 연소 반응이 일어나지 못할 경우에는 열교환기(2)의 내부에 연료가스(R)가 가득차게 되어 폭발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벤츄리 튜브(70)의 상측에 화염 감지기(86)를 설치하여 연소 반응에 따라 화염이 생성되었는지를 감지하고, 벤츄리 튜브(70)로 연료가스(R)가 공급되고 있음에도 화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가스 밸브(8)로 가스관(9)을 차단하여 매니폴드(30)로 연료가스(R)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야 한다.
가스 난방기용 버너(10)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듀얼 밸브(60)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제어부(9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실내 온도와 목표 온도의 차이에 따라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내 온도 측정기로부터 측정된 실내 온도가 사용자가 입력한 목표 온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낮으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최대 또는 이에 인접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듀얼 밸브(60) 각각이 모두 제1 및 제2 관로(51, 52)를 모두 개방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에 모두 연료가스(R)가 통과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온도가 상기 목표 온도에 비하여 일정 수준 미만으로 낮으면,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줄이기 위하여, 복수 개의 듀얼 밸브(60) 각각이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도록 하여 복수 개의 벤츄리 튜브(70) 각각의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71, 72) 중 적어도 하나에 연료가스(R)가 통과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스 밸브(8)만을 조절하여 매니폴드(30)에 유입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조절하여 가스 난방기(1)의 화력을 제어하는 것은, 화염의 역화 및 황염의 문제 때문에 소정의 화력 이하로는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듀얼 밸브(60)로 제1 및 제2 관로(51, 52) 중 적어도 하나를 폐쇄하면서, 가스 밸브(8)를 조절하여 매니폴드(30)에 유입되는 연료가스(R)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상기 소정의 화력 이하로도 제어할 수 있다는 데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 가스 난방기 2: 열교환기
3: 송풍팬 4: 유도팬
5: 배기관 7: 가스 탱크
8: 가스 밸브 9: 가스관
10: 가스 난방기용 버너 30: 매니폴드
31: 배출 포트 32: 싱글 노즐
40: 노즐 바디 41: 제1 노즐
42: 제2 노즐 51: 제1 관로
52: 제2 관로 60: 듀얼 밸브
61: 바디 62: 관로 차단 기구
63: 판체부 64: 기어치
65: 블록부 66: 피니언
70: 벤츄리 튜브 76: 스월러
78: 가림막 81, 82: 보염기
82: 점화기 84: 화염 감지기
90: 제어부

Claims (10)

  1.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매니폴드;
    제1 노즐과 제2 노즐을 구비하는 노즐 바디;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1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1 관로;
    상기 매니폴드로부터 상기 제2 노즐로 연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관로;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듀얼 밸브;
    상기 제1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1 벤츄리 튜브;
    상기 제2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통과하는 제2 벤츄리 튜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를 통과한 연료가스와 공기의 혼합기를 점화시키는 점화기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츄리 튜브는,
    외주면이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주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1 노즐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노즐인 가스 난방기용 버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츄리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노즐로부터 분사된 연료가스가 선회하며 유동되도록 하는 스월러(swirler)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츄리 튜브의 외주면과 상기 제2 벤츄리 튜브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을 일부 가려주어 상기 제1 벤츄리 튜브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판체부 형상의 가림막을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밸브는,
    상기 제1 및 제2 관로가 연결된 중공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는 관로 차단 기구를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 차단 기구는,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주면에 기어치가 형성된 환형의 판체부; 및
    상기 판체부의 기어치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츄리 튜브를 통과한 혼합기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이 안착되는 제1 보염기; 및
    상기 제2 벤츄리 튜브를 통과한 혼합기의 연소 시 생성된 화염이 안착되는 제2 보염기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관로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상기 듀얼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노즐 바디 및 상기 듀얼 밸브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및 제2 벤츄리 튜브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는 가스 난방기용 버너.
KR1020180100252A 2018-08-27 2018-08-27 가스 난방기용 버너 KR102521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52A KR102521859B1 (ko) 2018-08-27 2018-08-27 가스 난방기용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52A KR102521859B1 (ko) 2018-08-27 2018-08-27 가스 난방기용 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33A true KR20200023833A (ko) 2020-03-06
KR102521859B1 KR102521859B1 (ko) 2023-04-13

Family

ID=6980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252A KR102521859B1 (ko) 2018-08-27 2018-08-27 가스 난방기용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835A (ko) * 2018-08-27 2020-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난방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9882U (ko) * 1987-04-27 1988-11-04
KR950002889U (ko) * 1993-07-12 1995-02-16 정철 음료 또는 우유통 콘식 빨대
KR200146667Y1 (ko) * 1996-09-30 1999-06-15 전주범 부력식 세탁기의 배수밸브
KR20020004433A (ko) * 2000-07-05 2002-01-16 구자홍 가스 난방기의 버너
KR20040028119A (ko) * 2002-09-28 2004-04-03 서순철 압축기를 가진 가스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9882U (ko) * 1987-04-27 1988-11-04
KR950002889U (ko) * 1993-07-12 1995-02-16 정철 음료 또는 우유통 콘식 빨대
KR200146667Y1 (ko) * 1996-09-30 1999-06-15 전주범 부력식 세탁기의 배수밸브
KR20020004433A (ko) * 2000-07-05 2002-01-16 구자홍 가스 난방기의 버너
KR20040028119A (ko) * 2002-09-28 2004-04-03 서순철 압축기를 가진 가스 연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835A (ko) * 2018-08-27 2020-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난방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859B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1520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inimizing nox and co emissions in natural draft heaters
WO2008022722A2 (en) Method and radiant-heating device for heating an industrial furnace
US11639793B2 (en) Gas furnace
NO810136L (no) Brenner-kjelanordning
EP3745026B1 (en) Gas furnace
KR20200023833A (ko) 가스 난방기용 버너
KR20200023832A (ko) 가스 난방기용 버너
KR20200138040A (ko) 가스 퍼니스
CN109556110A (zh) 用于产生热水或蒸汽的锅炉
US11428403B2 (en) Gas furnace
US2190768A (en) Heating device
KR20200143253A (ko) 가스 퍼니스
JP2021085640A (ja) 給湯器
KR102658124B1 (ko) 가스 퍼니스
KR101733061B1 (ko) Tdr 댐퍼
CN212456846U (zh) 一种自控风气配比的节能燃烧系统
CN217154537U (zh) 气阀及包含该气阀的燃气热水设备
CN108412602B (zh) 可配置层数混合气浓度分层燃烧装置
RU2618137C1 (ru) Инжекционная горелка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JP3778776B2 (ja) 高温再生器
KR20210012718A (ko) 가스 난방기
CN110500584A (zh) 高热值燃料低氮单蓄热烧嘴
KR20210012719A (ko) 가스 난방기
SU1257096A1 (ru) Блок высокотемпературных нагревателей
CN111828970A (zh) 一种自控风气配比的节能燃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