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410A - 수액과 추가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혈액 튜브 세트용 다른 삽입 부재 - Google Patents

수액과 추가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혈액 튜브 세트용 다른 삽입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410A
KR20200023410A KR1020207002172A KR20207002172A KR20200023410A KR 20200023410 A KR20200023410 A KR 20200023410A KR 1020207002172 A KR1020207002172 A KR 1020207002172A KR 20207002172 A KR20207002172 A KR 20207002172A KR 20200023410 A KR20200023410 A KR 20200023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line
blood
insertion member
lin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비데 마리아 베넬리
마시모 피니
라인홀트 라이터
Original Assignee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2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61M1/1621Constructional aspe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2Adding solutions to the blood, e.g. substitution solutions
    • A61M1/3455Substitution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96Plasmapheresis; Leucopheresis; Lympho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72Means preventing coag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4Static flow deviators in tubes disturbing laminar flow in tubes, e.g. archimedes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3Modular systems comprising interconnecting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각각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1 튜브 부분(205a)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 부위(101);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2 튜브 부분(205b)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 부위(103);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3 튜브 부분(205b)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3 접속 부위(105); 상기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1 메인 라인(107a) -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은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 및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함 -; 상기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제 2 메인 라인(107b) - 상기 제 제 2 메인 라인(107b)은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 및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함 -;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 및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의 둘 모두를 서로 또는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에 연결하는 접속 부분(109)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제 2 액체, 바람직하게는 수액을 전도하기 위한 2 차 라인(111)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2 차 라인(111)은 상기 제 3 접속 부위(105)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는 제 1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는 제 2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은 제 3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액과 추가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혈액 튜브 세트용 다른 삽입 부재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삽입 부재, 청구항 11의 전제부에 따른 체외 혈액 튜브 세트, 및 청구항 15의 전제부에 따른 혈액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외 혈액 처리 중에 수액 또는 약제는 대부분 체외 혈액 회로, 즉, 사용된 혈액 튜브 시스템을 통해 주입된다. 수액의 유형에 따라, 수액과 혈액의 신속한 혼합이 유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체외 혈액 회로의 폐색의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체외 혈액 처리에서 항응고 수액이 정기적으로 주입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전신 항응고 및 국소 항응고의 주로 2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칼슘을 복합화하여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시트레이트 용액은 주로 국소 항응고에서 항응고제로서 사용된다. 환자에게 혈액을 되돌리기 전에, 너무 낮은 칼슘 농도는 신경 및 근육, 혈액 응고 및 폐, 심장 및 신장의 기능에 영향을 주므로 추가의 칼슘을 보충해야 한다. 국소 항응고에서, 시스템 혈액 중의 생리학적 칼슘 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칼슘 함유 용액이 환자에게 재주입되기 전의 혈액에 추가된다.
튜브 세트 내로의 수액 또는 약제의 주입은 통상적으로 소위 T라고 하는 T폼(T-form)을 구비한 첨가 부위를 통해 행해진다. 이 첨가 부위의 원형 단면과 매끈한 내벽으로 인해 이들 T에서는 층류 상태가 우세하다. 또한, 주입된 용액의 유량은 혈류에 비해 낮다.
혈류로 유입되는 수액 또는 약제의 우세한 층류 상태 및 저유량은 추가된 수액과 혈액의 혼합을 지연시키거나 감속시킬 수 있다. 첨가 부위에서 두 액체의 이러한 느린 혼합은 특히 혈액에 칼슘 용액을 첨가하는 경우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시간적으로 지속되는 혈액 중의 고칼슘 농도로 인해 첨가 부위에서의 혈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된 칼슘 용액과 혈액의 신속하고 균일한 혼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액체, 예를 들면, 약제를 혼합할 때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의 신속한 혼합이 마찬가지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난류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특수 첨가 부위가 설명되었다.
예를 들면, 혈액 튜브 세트를 위한 나선 구조를 갖는 T 부재 형태의 삽입 부재가 WO 2014/026771 A1에 기술되어 있다. 나선 구조는 주입 부위의 영역에서 난류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난류는 혼합될 유체의 혼합을 더 양호하게 하는 역할을 하거나 이에 기여한다.
또한, 수액 펌프의 단속적인 작동을 통해 혈액 내로 수액의 펄스 주입 흐름을 생성하는 해결책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과 추가 유체, 예를 들면, 혈액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추가의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삽입 부재, 청구항 11의 특징을 갖는 체외 혈액 튜브 세트, 및 청구항 15의 특징을 갖는 혈액 처리 장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는 혈액 튜브 세트(또는 혈액 튜브 시스템 또는 체외 혈액 회로) 내에 삽입되거나 그 일부가 되도록 각각 의도된다. 이 삽입 부재는 혈액 튜브 세트의 제 1 튜브 부분을 삽입 부재에 접속하기 위한 적어도 제 1 접속 부위를 포함한다. 이것은 혈액 튜브 세트의 제 2 튜브 부분을 삽입 부재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 부위를 포함한다. 이것은 혈액 튜브 세트의 제 3 튜브 부분을 삽입 부재에 접속하기 위한 제 3 접속 부위를 포함한다. 이것은 삽입 부재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1 메인 라인을 포함한다. 제 1 메인 라인은 적어도 제 1 접속 부위 및 제 2 접속 부위와 또는 제 1 접속 부위 및/또는 제 2 접속 부위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형성된 루멘과 유체 연통한다.
삽입 부재는 삽입 부재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 2 메인 라인을 포함한다. 제 1 메인 라인과 마찬가지로, 제 2 메인 라인도 제 1 접속 부위 및 제 2 접속 부위와 유체 연통한다.
삽입 부재는 제 1 메인 라인, 제 2 메인 라인, 및 제 1 메인 라인과 제 2 메인 라인을 서로에 및/또는 제 2 접속 부위에 접속하는 접속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의 일 요소 내에 제 2 액체, 바람직하게는 수액을 직간접적으로 전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2 차 라인을 포함한다.
2 차 라인은 제 3 접속 부위와 또는 이것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한정된 루멘과 유체 연통한다.
제 1 접속 부위는 제 1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 또는 플로우스루 루멘(flow-through lumen)을 포함한다. 제 2 접속 부위는 제 2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 또는 플로우스루 루멘을 포함한다.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제 3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한다. 2 차 라인은 루멘 부분을 포함한다. 이 루멘 부분은 제 2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또는 출구 개구부를 포함한다.
혈액 튜브 세트, 체외 혈액 회로 또는 혈액 튜브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를 포함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는 혈액 튜브 세트의 튜브 부분들 사이에 압입 또는 개재되거나, 또는 이들과 일체로 제조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는 혈액 튜브 세트의 튜브 부분의 적어도 하나에 견고하게 접속되고, 다른 예에서는 착탈가능하게 접속된다.
혈액 처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혈액 튜브 세트에 접속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실시형태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실시형태는 당업자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특정의 조합을 찾아내지 않는 한 전술한 특징 또는 아래의 특징 중 하나 이상을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 단어가 언급될 때는 언제나 당업자는 이것을 수치의 하한의 표시로 인식 또는 이해해야 한다. 이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모순을 초래하지 않는 한 당업자는,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나"의 사양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는, 당업자에게 명확하고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 숫자 단어, 예를 들면, "하나"가 대안적으로 "정확하게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는 해석으로서 본 발명에 동등하게 포함된다. 둘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되며, 사용된 모든 수치 단어에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상부", "저부" 등과 같은 공간 정보는, 의문이 드는 경우, 첨부 도면에서 보여지는 도와 당업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문제의 장치의 위치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예를 들면, 라인)의 단면 또는 단면적이 언급되는 경우에는 언제나 이 단면 또는 단면적은 유일한 것, 단 하나의 것, 평균적인 것, 그 요소의 중간 섹션의 것, 또는 일반적인 것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부위,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접속 부분은 각각 주로 원통형 내벽이나 원통형 내벽을 갖는 섹션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혈액 튜브 세트와 일체로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접속 부위로 표시된 삽입 부재의 섹션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와 인접하거나 연속하는 튜브 부분 사이의 통로 섹션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은 수액 공급원과 유체 연통하여 접속되거나 수액 공급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수액은 칼슘 용액이거나 칼슘 용액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칼슘 함유 용액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타 약제 용액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것에는, 특히 시트레이트 용액이 포함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3 단면적은 제 1 단면적 및/또는 제 2 단면적의 최대 1/2, 또는 실질적으로 1/2이다. "실질적으로 1/2"은 35% 내지 65%의 값을 지칭하거나 이들 값을 취할 수 있다. 모든 중간 값 및 특히 각각의 정수 백분율 값(36%, 37%, 38% 등)도 포함되거나 고려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의 단면적과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적의 합은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삽입 부재에 접속된 혈액 튜브 세트의 튜브 섹션의 단면보다 작다. 이러한 설계로, 제 1 액체의 흐름은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 내에서 가속될 수 있고, 이는 난류를 생성하는 것에 기여하여 혼합 불량을 방지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의 단면적과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적의 합은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삽입 부재에 접속된 혈액 튜브 세트의 튜브 섹션의 단면과 같다. 이러한 설계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 내로 유체가 유입될 때 난류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2 차 라인의 입구 또는 개구부에서 제 2 유체가 제 1 유체 내로 유입되면, 난류가 더 하류에서 먼저 생성된다. 의도된 바와 같이 달성된 난류는 혼합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으로의 입구는 임의선택적으로 테이퍼형이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단면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수정된 단면(또는 단면적, 이들 용어는 혼용될 수 있음)은 유리하게도 제 1 액체의 흐름 및 난류 내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면 난류가 더 하류의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의 혼합의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제 2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으로부터의 출구에도 임의선택적으로 적용된다.
또한, 단면은, 예를 들면, 원형 단면으로부터의 일탈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될 필요가 없고, 또는 그 전체 외주를 따라 균일하게 변경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외주의 일부만 수정하면 이미 원하는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배플 또는 디플렉터(deflector) 요소가 접속 부분의 영역 및 그 내부에 제공된다. 이 요소는 출구 개구부 또는 2 차 라인의 개구부로부터 유출하는 제 2 액체의 반경방향의 이동 또는 출구 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배치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배플 또는 디플렉터 요소는, 예를 들면, 제 1 접속 부위, 제 2 접속 부위 또는 접속 부분의 영역에서 메인 라인의 내벽이 아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첨가 라인은 삽입 부재의 2 차 라인을 개재하여 또는 삽입 부재에 접속된 혈액 튜브 세트의 혈액 복귀 라인 및 혈액 인출 라인에 유체 연통하여 접속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혈액 튜브 세트는 국소 항응고를 실행하기에 적합하고 및/또는 국소 항응고를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혈액 튜브 세트는 혈액투석, 혈액여과 또는 혈액투석여과 또는 혈장분리교환 처리 또는 전혈 흡착 처리를 실행하기에 적합하고, 이들을 실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분은, 제 1 액체의 흐름 방향으로, 한편의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과 다른 한편의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제 3 접속 부위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것은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제 3 접속 부위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접속 부분은, 제 2 접속 부위 또는 제 2 접속 부위의 상류를 향하는 흐름 방향으로, 단면, 특히 이 흐름 방향을 따라 넓어지거나, 증가되거나, 또는 확대되는 원뿔형 단면을 포함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의 섹션과 제 2 메인 라인의 섹션 사이에 배치되거나, 이들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거나, 이들에 의해 프레임이 제공된 삽입 부재의 관통 개구부가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관통 개구부는 원형, 타원형 또는 길쭉한 구멍 형태 또는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이것은 원형, 타원형 또는 길쭉한 구멍 형태의 섹션을 포함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서로 용접된 및/또는 접착된 2 개의 또는 적어도 2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튜브는 삽입 부재에 접착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부재는 임의선택적으로 서로 접착되는, 예를 들면,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들은 클램핑 등과 같은 기타 방법에 의해 서로 상호접속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튜브는 임의선택적으로 삽입 부재에 클램핑되거나 및/또는 접착될 수 있다. 이는 구성요소를 서로 조립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용접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 또는 이들의 섹션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튜브 또는 채널이다.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은, 특히, 제 1 접속 부위 또는 제 2 접속 부위와 유체 연통하는, 그리고 임의선택적으로 이들과 일체로 제조된 튜브 취입구 또는 접속부 내에 삽입되거나 이들과 일체일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삽입 부재의 일체형 부품이거나 삽입 부재와 일체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난류를 생성하기 위한 3 차원 나선 구조를 갖지 않으며, 특히 접속 부분의 내벽에 리세스 섹션을 갖지 않는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부위, 제 2 접속 부위 및/또는 제 3 접속 부위는 각각 튜브 부분에 접착되거나 접속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혈액 튜브 세트는 드립 체임버, T 형의 추가의 삽입 부재, 또는 주입 지점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체 언급되는 경우, 이것이 제한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보다 넓은 의미의 다른 유체를 통합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고려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은 2 개의, 특히 단지 2 개의 공통 접합 부분 또는 접속 위치, 예를 들면, 제 1 접속 부위 및 제 2 접속 부위를 갖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의 루멘 및 제 2 메인 라인의 루멘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다는 것은 제 1 메인 라인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제 2 메인 라인을 통해 흐르는 유체와 혼합되지 않도록 제 1 메인 라인을 통한 흐름을 제 2 메인 라인을 통한 흐름으로부터 분리하는 벽 또는 기타 요소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이는 적어도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둘 모두의 더 큰 부분을 따라 적용되며, 즉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이 분리되지만 이들의 루멘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둘 모두의 각각의 제 1 단부 섹션 및 제 2 단부 섹션의 둘 모두에서 서로 유체 연통된다. 단부 섹션들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각각 입구 및 출구일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면,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유체 경로가 서로 병렬로 또는 인접하여 또는 병치로 배치되므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은 유체가 제 1 메인 라인을 통해 흐르거나 제 2 메인 라인을 통해 흐르도록 배치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과 제 2 메인 라인은 모두 압력 응답 밸브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삽입 부재는 삽입 부재를 통한 흐름 또는 제 1 메인 라인 또는 제 2 메인 라인을 통한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흐름 조절기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사용자에 의해 조절가능한 흐름 조절기, 더 구체적으로는 썸휠 조절기(thumb-wheel-regulator)를 갖지 않는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은 제 1 메인 라인, 제 2 메인 라인 및/또는 접속 부분의 루멘과 유체 연통한다. 따라서, 제 1 액체 및 제 2 액체는 사용 시에 혼합될 수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은 2 차 라인의 주 연장 방향에 수직인 공통 평면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부위 및 제 2 접속 부위는 모두 공통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이 공통 직선은 삽입 부재 내로 및/또는 삽입 부재 외로 유동하는 유체의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임의의 라인, 예를 들면, 제 1 메인 라인 또는 the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은 대응하는 제 1, 제 2 또는 제 3 접속 부위 내에 삽입되거나 삽입될 노즈 튜브 또는 다른 가요성 튜브의 내부 단면 또는 관류가능한 단면을 지칭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튜브 부분 및/또는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은 제 2 튜브 부분의 단면 또는 제 2 접속 부위의 단면보다 작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부위는 제 1 유체가 사용 중에 삽입 주재로 유입되는 곳에 있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2 접속 부위는 제 1 접속 부위보다 2 차 라인에 더 근접해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은 제 1 튜브 부분 또는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의 50% 이상이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의 합은 제 1 튜브 부분의 단면 또는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보다 크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의 단면과 제 2 메인 라인의 단면의 합은 제 1 튜브 부분의 단면 또는 제 1 접속 부위의 단면과 같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은 이들이 바람직하게는 제 1 메인 라인과 제 2 메인 라인을 통해 연장된 평면 내에서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제 1 접속 부위를 통해 삽입 부재로 유입되는 혈액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2 개의 흐름으로 분할된다. 이 흐름들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의 설계에 의해 서로 분리되며, 바람직하게는 2 차 라인의 출구 부근에서 재합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난류가 생성된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은 2 개의 흐름이 이 2 개의 흐름 사이의 정면 충돌에 필적하는 다소 정명 방향에서 충돌하거나 만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 및/또는 그의 제 3 접속 부위는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2 차 라인의 개구부 평면(또는 마우스)도 또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2 차 라인으로부터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 또는 그 일부에 평행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의 마우스 피스의 내부에서 2 차 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유체는 2 차 라인으로부터 나가서 제 1 유체 내로 들어가기 위해 그 이동 방향을 변경해야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 및/또는 그의 제 3 접속 부위는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이다. 그러나,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2 차 라인의 개구부 평면(또는 마우스)도 또한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평행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2 차 라인으로부터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 1 메인 라인 및 제 2 메인 라인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2 차 라인의 마우스 피스의 내부에서 2 차 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유체는 2 차 라인으로부터 나가서 제 1 유체 내로 들어가기 위해 그 이동 방향을 변경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설계의 효과를 다음의 시뮬레이션 조건 하에서 시험하였다.
"혈액 용액"으로서, 1063.4 kg/m3의 밀도 및 0.3536 Pas의 점도를 갖는 1,5 l의 H2O 및 0,5 l의 글리세롤이 사용되었다. "칼슘 용액"으로서, 997.561 kg/m3의 밀도 및 8.8871e-4 Pas의 점도를 갖는 H2O가 사용되었다.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Hypermesh-ANSA" 및 "Star CCM+"였다.
"혈액" 대용물의 속도 범위는 50ml/분이었고, "칼슘" 용액 대용물의 속도 범위는 10ml/시간이었다.
상이한 섹션들(출구 개구부 또는 입구까지의 거리가 다른 출구 튜브의 축선에서의 직교 평면들)에서, 트레이서(트레이서)의 흐름 분포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튜브의 섹션은 1 번째 셀에 의해 형성된 메시(mesh)로 간주된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γ: 트레이서 분포
Ai: 섹션의 단일의 i 번째 셀의 면적
A: 섹션의 총 면적
Vi: 단일의 일반 셀 i에서 계산된 칼슘 용액의 체적 분율
Vmin: 섹션 내의 Ca 용액에서 체적 분율의 최소 값
Vi가 Vmin과 유사하다면(따라서 Vi-Vmin은 0이 되는 경향이 있음), 칼슘의 체적 분율은 이 섹션의 모든 i 번째 셀 내에서 유사하고, 이는 우수한 혼합 결과를 나타낸다.
γ가 1인 경향이 있는 경우, 완전한 혼합이 가정된다.
γ가 0이 경향이 있는 경우, 트레이서(칼슘)의 혼합은 발생되지 않았다.
위의 식에 의해 계산된 표면 균일성/트레이서 분포는 다음과 같다:
"혈액" 내에 "칼슘 용액이 도입된 지점으로부터 0.5 cm 하류의 부위에서 0.71, 1 cm 하류의 부위에서 0.84, 2 cm 하류의 부위에서 0.88, 3 cm 하류의 부위에서 0.91, 4 cm 하류의 부위에서 0.93, 5 cm 하류의 부위에서 0.95, 6 cm 하류의 부위에서 0.96.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전술한 장점이나 또는 다음의 장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장점은 제 1 유체와 제 2 유체의 부적절한 혼합으로 인한 혈전이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혈전 및/또는 폐색으로 인해 처리가 중단될 필요가 없다.
다른 장점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기술된 삽입 부재의 특정 형상 또는 설계로 인해 혈액 내의 수액의 와류(swirling)를 보장하기 위한 추가의 장치 또는 방법 단계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액과 혈액의 가속되고 신뢰할 수 있는 혼합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혈액 처리 장치 또는 수액용 펌프의 제어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삽입 부재의 구조는, 예를 들면, DE 10 2013 011 010 A1에 기술된 바와 같은 맥동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제 1 유체 내에 제 2 유체가 유리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본 명세서에서만 기술된 삽입 부재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수액 펌프의 제어에 대한 보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것의 운반 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유리하게도 이미 구입한 혈액 처리 장치의 구조적인 조정이나 또는 기타 유형의 조정,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의 조정 또는 수정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현형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삽입 부재 또는 혈액 튜브 세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혈액 튜브 세트의 전환도 일회용 물품 또는 디스포저블(disposable)이므로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의 효과는 혈액 처리의 파라미터와 무관하다. 혈액 펌프의 이송 속도 및 혈액 펌프와 일치하는 수용 펌프의 이송 속도가 변화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의 효과 원리 또는 효과는 변화하지 않는 상태로 또는 방해받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의 설계는 제 1 유체 내에 도입된 제 2 유체의 철저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 유체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더욱 고농도로 사용될 수 있고, 유체들의 더 우수한 혼합으로 인해 칼슘 용액과 같은 제 2 유체가 비교적 고농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악영향이 전혀 또는 거의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의 우수한 혼합 특성으로 인해, 제 2 유체를 비교적 저속으로 도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삽입 부재는 극히 단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심지어 대칭형 설계로 인해 설득력 있고 인상적이다. 이것은 총 생산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사출 성형 공구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관하여 아래에서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다음은 부분적으로 고도로 단순화된 도면에 적용된다.
도 1은 삽입 부재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삽입 부재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의 삽입 부재의 제 2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삽입 부재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4와 유사한 삽입 부재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4의 삽입 부재의 하부 부품의 제 2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도 4의 삽입 부재의 상부 부품의 제 2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은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부재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부재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도 9의 삽입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튜브 세트를 도시하고;
도 12는 예시적인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부재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3a는 도 12의 삽입 부재의 후면도를 도시하고;
도 13b는 도 12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혈액 튜브 세트(200)(그러나 도 11 참조)용의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100)를 도시한다.
이 삽입 부재(100)는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1 튜브 부분(205a)(도 11 참조)을 삽입 부재(100)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제 1 접속 부위(101)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100)는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2 튜브 부분(205b)(도 11 참조)을 삽입 부재(100)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제 2 접속 부위(103)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100)는 혈액 튜브 세트(200)의 칼슘 용액용 라인(209)인 제 3 튜브 부분(도 11 참조)을 삽입 부재(100)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제 3 접속 부위(105)를 포함한다.
삽입 부재(100)는 이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1 메인 라인(107a)을 포함한다. 제 1 메인 라인(107a)은 제 1 접속 부위(101) 및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한다. 제 1 액체는 화살표(H)의 방향으로 제 1 메인 라인(107a) 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삽입 부재(100)는 이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를 전도하기 위한 적어도 제 2 메인 라인(107b)(및 경우에 따라 제 3 라인, 제 4 라인 등)도 포함한다. 제 2 메인 라인(107b)은 제 1 접속 부위(101) 및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한다. 제 1 액체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메인 라인(107b) 내로 그리고 이것을 통해 흐를 수 있다.
삽입 부재(100)는 임의선택적 접합 부분(본 명세서에서 접속 부분으로도 지칭됨)(109)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 1 메인 라인(107a), 제 2 메인 라인(107b) 및 2 차 라인(111)(도 3 참조)이 만나거나 끝난다. 접합 부분(109)은 또한 제 2 접속 부위(103) 및/또는 제 3 접속 부위(10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부재(100)는 2 차 라인(111)을 포함한다. 이것은 제 2 액체, 바람직하게는 수액을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제 2 액체는 화살표(N)의 방향으로 2 차 라인(111) 내로 흐를 수 있다.
2 차 라인(111)은 제 3 접속 부위(105)와 유체 연통하며, 이것은 도 1에서와 같이 제 3 접속 부위(105)의 일부이거나 단부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과 유체 연통한다.
제 1 접속 부위(101)는 제 1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한다.
제 2 접속 부위(103)는 제 2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한다.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은 제 3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2 차 라인(111)은 접속 부분(109)의 내부로 돌출하거나 개방되는,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 또는 출구 개구부(115)를 포함하는 루멘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액체는 출구 개구부(115)를 통해 접속 부분(109)의 루멘 또는 다른 라인의 루멘 내에 도입될 수 있다.
도 1에 더 바와 같이, 루멘 부분은 접속 부분(109)의 내부에 개방된다.
제 1 접속 부위(101), 제 2 접속 부위(103) 및/또는 제 3 접속 부위(105)는 임의선택적으로 각각 내벽 또는 외벽의 모따기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도 1에서와 같이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은 삽입 부재(100)의 임의선택적인 관통 개구부(130)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접속 부위(101)를 통해 삽입 부재(100)에 유입되는 혈액은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2 차 라인(111)의 출구 부근에서 재합류하는 2 개의 흐름으로 분할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난류가 생성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실시형태(이 특정의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제 1 메인 라인(107a)과 제 2 메인 라인(107b)은 2 개의 흐름이 대략 정면 방향에서 충돌하거나 만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삽입 부재(100)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삽입 부재(100)의 제 2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실시형태(이 특정의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2 차 라인(111) 및/또는 그것의 제 3 접속 부위(105)는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고, 이 평면은 도 3에서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이다. 그러나,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2 차 라인(111)의 개구부 평면(또는 마우스 또는 출구 개구부)도 또한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2 차 라인(111)으로부터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 또는 그 일부에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2 차 라인(111)의 마우스 피스의 내부에서 2 차 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유체는 2 차 라인으로부터 나가서 제 1 유체 내로 들어가기 위해 그 이동 방향(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을 변경해야 한다.
도 4는 삽입 부재(100)의 예시적인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제 1 메인 라인(107a)과 제 2 메인 라인(107b)은 삽입 부재(100)의 일체로 형성된 부품이며, 따라서 임의선택적으로, 예를 들면, 제 1 접속 부위(101)동일한 재료로 제조되고, 이는 삽입 부재(100)의 제조 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삽입 부재(100)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것과 유사한 삽입 부재(100)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참조 번호 101a는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입구를 나타낸다. 이 입구(101a)는 제 1 접속 부위(101)의 일부이거나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일부일 수 있다.
참조 번호 103a는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출구를 나타낸다. 이 출구(103a)는 제 2 접속 부위(103)의 일부이거나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일부일 수 있다.
입구(101a) 및/또는 출구(103a)의 존재 및 그 설계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제 2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도 5에서 가장 잘 관찰될 수 있을 뿐이다.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부재(100)는 상부 부품(140)(제 1 방식으로 음영처리됨) 및 하부 부품(150)(상부 부품(140)과 다르게 음영처리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서로 접착되거나 임의의 다른 방식(예를 들면, 용접)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실시형태(이 특정의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2 차 라인(111) 및/또는 그것의 제 5 접속 부위(105)는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고, 이 평면은 도 3에서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이다. 그러나,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2 차 라인(111)의 개구부 평면(또는 마우스)도 또한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평행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제 1 유체와 혼합되기 위해 2 차 라인(111)으로부터 제 2 유체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에 의해 선회된 평면에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2 차 라인(111)의 마우스 피스의 내부에서 2 차 라인에 의해 제공되는 제 2 유체는 2 차 라인으로부터 나가서 제 1 유체 내로 들어가기 위해 그 이동 방향(도 5에서 점선으로 표시됨)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6은 도 4의 삽입 부재(100)의 일부의 제 2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상측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실시형태(이 특정의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에서, 제 1 메인 라인(107a)과 제 2 메인 라인(107b)은 이들이 제 1 메인 라인(107a) 및 제 2 메인 라인(107b)을 통해 연장된 평면 내에서 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삽입 부재(100)의 다른 부분의 제 2의 길이방향 단면도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특정의 실시형태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메인 라인(107a)의 단면적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단면은 제 1 접속 부위(101) 및/또는 제 2 접속 부위(103)의 단면적의 1/2 미만이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 부위(101)는 14.51 mm2의 단면적(4.3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단면적은 2.83 mm2(1.9 mm의 직경)일 수 있다. 3.14 mm2(2.0 mm의 직경)과 같은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제 2 메인 라인(107b)의 단면적의 다른 값도 물론 포함된다.
도 8은 예시적인 제 3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100)의 제 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제 4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1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의 삽입 부재(100)와 달리 관통 개구부(130)는 난형이다.
도 10은 도 9의 삽입 부재(100)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외 혈액 튜브 세트(200)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삽입 부재(100)의 임의선택적인 기본 구성의 매우 단순화된 개략도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혈액 튜브 세트(200)는 헤모필터(201)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것에 접속된다. 혈액 인출 라인(203)(또는 동맥 라인) 및 혈액 복귀 라인(205)(또는 정맥 라인)이 헤모필터(201) 또는 투석기 또는 혈액 필터에 접속되어 있다.
혈액 인출 라인(203)은 혈액 펌프(301)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거나 혈액 펌프(301)를 포함한다.
추가의 첨가 라인, 여기서는 시트레이트 용액용 라인(207)이 혈액 펌프(301)의 상류에서 혈액 인출 라인(203) 내로 개방된다.
이 라인(207)은 시트레이트 펌프(307)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거나 또는 시트레이트 펌프(307)를 포함한다.
헤모필터(201)의 하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칼슘 용액용 라인(209)이 혈액 복귀 라인(205) 내로 개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부재(100)는 칼슘 펌프(309)에 작동가능하게 접속되거나 칼슘 펌프(309)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수액 공급원, 본 명세서에서는 예시적으로 칼슘 공급원에 의해 공급을 받는다. 이 공급원은 백 또는 병일 수 있다. 수액은 임의선택적으로 온라인으로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수액이 생성되는 각각의 장치는 공급원으로 간주된다.
칼슘 펌프(309)에 대한 작동가능한 접속은 본 명세서에서 일 실시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삽입 부재(100)를 칼슘 펌프 이외의 펌프의 뒤에, 즉 예를 들면, 도 11의 시트레이트 펌프(307)와 같은 시트레이트 펌프의 하류에 배치하는 것은 본 발명에 포함된다.
헤모필터(201)는 신선한 투석 액체용 라인(311) 및 소모된 투석액 또는 여과액용 라인(315)에 접속된다. 라인(311)은 투석 액체 펌프(313)에 접속되거나 이것을 포함한다. 라인(315)은 여과액 펌프(317)에 접속되거나 이것을 포함한다.
화살표는 목적대로 혈액 튜브 세트(200)를 사용할 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혈액 튜브 세트(200)는 표준 체외 혈액 튜브 세트에 대응할 수 있고, 특히 CVVHD(continuous veno-venous hemodialysis)에 적합할 수 있다.
펌프(301, 307, 309, 313, 317)는 개략적으로 표시된 혈액 처리 장치(300)의 일부일 수 있다. 동일한 것이 라인(311, 315)에도 적용된다.
도 12는 예시적인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삽입 부재(100)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화살표는 사용 중에 목적대로 혈액 또는 칼슘 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삽입 부재(100)의 내외로의 흐름 방향을 나타낸다.
일부의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3.5x5.5 mm 튜브용으로 적합할 수 있는) 제 1 접속 부위(101)의 직경 또는 단면적은 (4.3x6.8 mm 튜브용으로 적합할 수 있는) 접속 부위(103)의 직경 또는 단면적보다 작거나 같다. 2 차 라인(111)의 접속부의 직하류의 확대된 루멘은 흐름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하게도 보다 철저한 혼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a는 도 12의 삽입 부재(100)의 출구(103a)를 바라 본 도면을 도시한다.
이 원형 출구(103a)는 도 13b에 도시된 원형 입구(101a)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b는 도 12의 삽입 부재(100)의 입구(101a)를 바라 본 도면을 도시한다.
100 삽입 부재
101 제 1 접속 부위
101a 입구
103 제 2 접속 부위
103a 출구
105 제 3 접속 부위
107a 제 1 메인 라인
107b 제 2 메인 라인
109 접합 부분 또는 접속 부분
111 2 차 라인
115 출구 개구부 또는 출구
119 모따기부
130 관통 개구부
140 상부 부품
150 하부 부품
200 혈액 튜브 세트, 혈액 튜브 시스템
201 헤모필터 또는 혈액 필터 또는 투석기
203 혈액 인출 라인
205 혈액 복귀 라인
205a 제 1 튜브 부분
205b 제 2 튜브 부분
207 시트레이트 용액용 라인
209 칼슘 용액용 라인; 첨가 라인; 제 3 튜브 부분
300 혈액 처리 장치
301 혈액 펌프
307 시트레이트 펌프
309 칼슘 펌프
311 신선한 투석 액체용 라인
313 신선한 투석 액체용 펌프
315 소모된 투석액 또는 여과액용 라인
317 소모된 투석액 또는 여과액용 펌프
H 제 1 메인 라인 내로의 그리고 제 1 메인 라인을 통한 제 1 유체의 흐름 방향
B 제 2 메인 라인 내로의 그리고 제 2 메인 라인을 통한 제 1 유체의 흐름 방향
N 2 차 라인 내로의 제 2 유체의 유입 방향

Claims (15)

  1.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로서,
    적어도 각각,
    -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1 튜브 부분(205a)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 부위(101);
    -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2 튜브 부분(205b)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접속 부위(103);
    -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제 3 튜브 부분(209)을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하기 위한 제 3 접속 부위(105);
    - 상기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1 메인 라인(107a) -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은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 및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함 -;
    - 상기 삽입 부재(100)를 통해 제 1 액체, 바람직하게는 혈액을 전도하기 위한 제 2 메인 라인(107b) -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은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 및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함 -;
    -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 및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과 제 2 메인 라인(107b)의 둘 모두를 서로 또는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에 연결하는 접속 부분(109) 중 적어도 하나 내에 제 2 액체, 바람직하게는 수액을 전도하기 위한 2 차 라인(111)을 포함하고;
    여기서,
    - 상기 2 차 라인(111)은 상기 제 3 접속 부위(105)와 유체 연통하고;
    -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는 제 1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하고;
    -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는 제 2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하고;
    -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은 제 3 단면적을 갖는 관류가능한 루멘을 포함하는,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의 제 1 단면적과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의 제 2 단면적의 합은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의 제 3 단면적,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 및/또는 상기 삽입 부재(100)에 접속된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튜브 섹션의 단면적보다 작은,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차 라인(111)은 상기 수액의 공급원과 유체 연통되어 접속되거나 상기 수액의 공급원을 포함하는,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면적은 상기 제 1 단면적 및/또는 상기 제 2 단면적의 최대 1/2 또는 실질적으로 1/2인,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분(109)은 일측의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과 타측의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 및/또는 상기 제 3 접속 부위(105) 사이에 상기 제 1 액체의 흐름 방향으로 배치된,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분(109)은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를 향한 흐름 방향으로 단면, 특히 상기 흐름 방향을 따라 넓어지거나 확대되는 원뿔형 단면을 포함하는,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100)의 관통 개구부(130)는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의 섹션과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의 섹션 사이에 배치된,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100)는 서로 용접된 및/또는 접착된 2 개의 또는 적어도 2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 또는 이들의 섹션은 각각 튜브, 특히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나 또는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와 유체 연통되고 이들과 일체로 제조된 튜브 취입구 내에 삽입된 튜브인,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라인(107a) 및/또는 상기 제 2 메인 라인(107b)은 상기 삽입 부재(100)의 일체형 부품인, 혈액 튜브 세트(200)용 삽입 부재(10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삽입 부재(100)를 포함한 혈액 튜브 세트(200)로서,
    상기 삽입 부재(100)는 첨가 라인(207, 209) 및 혈액 인출 라인(203) 및/또는 혈액 복귀 라인(205)과 유체 연통되어 접속된, 혈액 튜브 세트(2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는 국소 항응고를 실행하기에 적합한 및/또는 국소 항응고를 실행하기 위해 준비된, 혈액 튜브 세트(200).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는 혈액투석, 혈액여과, 혈액투석여과, 혈장분리교환 처리 또는 전혈 흡착 처리를 실행하기에 적합한, 혈액 튜브 세트(200).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부위(101) 및 상기 제 2 접속 부위(103)는 상기 혈액 튜브 세트(200)의 혈액 복귀 라인(205)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속 부위(105)는 전해질 용액용 라인, 특히 칼슘 라인(209)에 접속된, 혈액 튜브 세트(200).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혈액 튜브 세트(200)에 접속된 혈액 처리 장치(300).
KR1020207002172A 2017-06-28 2018-06-27 수액과 추가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혈액 튜브 세트용 다른 삽입 부재 KR20200023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8458.0 2017-06-28
EP17178458.0A EP3421061A1 (en) 2017-06-28 2017-06-28 Another insert piece for a blood tubing set to promote mixing an infusion solution with a further fluid
PCT/EP2018/067277 WO2019002382A1 (en) 2017-06-28 2018-06-27 ANOTHER INSERT FOR A BLOOD TUBE ASSEMBLY FOR FACILITATING A MIXTURE OF INFUSION SOLUTION WITH ANOTHER LIQUI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410A true KR20200023410A (ko) 2020-03-04

Family

ID=5925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172A KR20200023410A (ko) 2017-06-28 2018-06-27 수액과 추가 유체의 혼합을 촉진하기 위한 혈액 튜브 세트용 다른 삽입 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07561B2 (ko)
EP (2) EP3421061A1 (ko)
KR (1) KR20200023410A (ko)
CN (1) CN110809481B (ko)
BR (1) BR112019027903A2 (ko)
EA (1) EA202090114A1 (ko)
WO (1) WO2019002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799B (zh) * 2020-12-22 2022-09-16 义乌市宏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心外科用股动脉灌注装置
EP4088758A1 (en) * 2021-05-12 2022-11-1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Infusion site of a blood tub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1238A (en) 1967-04-14 1970-05-12 Bio Medical Systems Inc System for transferring human fluids without clotting thereof
SE458340B (sv) 1984-06-18 1989-03-20 Gambro Lundia Ab Blodfiltreringssystem samt dropp- och /eller expansionskammare avsedd foer detta system
US4802650A (en) * 1987-06-29 1989-02-07 Abiomed, Inc. Intravenous drug mixing and flow device
IT1250529B (it) 1991-12-13 1995-04-08 Hospal Dasco Spa Raccordo di campionamento e di infusione per una linea di circolazione extracorporea di sangue.
DE4240681C2 (de) 1992-12-03 1994-09-08 Fresenius Ag Vorrichtung zur Hämodialyse ohne Antikoagulation
CN1874803B (zh) 2003-10-31 2010-09-15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用于体外血液处理的回路和其中采用的流动换向装置
ITTO20040830A1 (it) * 2004-11-24 2005-02-24 Borla Ind Componente di flusso per linee medicali di infusione/trasfusione
US7615028B2 (en) 2004-12-03 2009-11-10 Chf Solutions Inc.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nd system having reversible blood pumps
WO2007002613A2 (en) * 2005-06-27 2007-01-04 Rosenblatt Peter L Bypass valve
CA2643140C (en) 2006-02-22 2014-12-09 Henry Ford Health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gional citrate anticoagulation to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20080200837A1 (en) * 2007-02-15 2008-08-21 Frazier John A Disposable, closed blood sampling system for use in medical conduit line
FR2920314B1 (fr) * 2007-09-05 2010-07-30 Gambro Lundia Ab Circuit de traitement extracorporel de sang et ligne ayant un site d'infusion pour le melange optimise de fluides
US8757590B2 (en) 2009-03-22 2014-06-24 Elcam Medical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Ltd. Closed male luer connector
EP2305204A1 (en) 2009-09-30 2011-04-0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Tubing set having an insert for the infusion of drugs
JP5804543B2 (ja) 2010-04-05 2015-11-04 株式会社根本杏林堂 ミキシングデバイス、ミキシングチューブ、薬液注入システム及び薬液の混合方法
DE102010047747B4 (de) 2010-10-08 2017-11-02 Cedic Srl-Divisione Biomedicale Einwegeventil für ein Infusionsbesteck
DE102011108784A1 (de) 2011-07-29 2013-01-3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sowie Vorrichtungen zum Überprüfen wenigstens einer Funktion einer medizinischen Funktionseinrichtung
US9724500B2 (en) * 2011-12-09 2017-08-08 Circulite, Inc. By-pass shunt to reduce flow output of circulatory assist device
DE102012016210A1 (de) 2012-08-16 2014-02-2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T-Stück rnit Turbulenzerzeugung
DE102013103986A1 (de) 2013-04-19 2014-10-23 B. Braun Avitum Ag Rezirkulationsvorrichtung eines extrakorporalen Blutbehandlungsgeräts
DE102013011010A1 (de) 2013-07-02 2015-01-22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urbulenzerzeugung durch pulsierenden Fluss
DE102015008143A1 (de) 2015-06-24 2016-12-2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Adapter
CN105214158B (zh) 2015-11-12 2018-06-29 珠海健帆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血液净化装置及血液净化系统
DE102016117974A1 (de) 2016-09-23 2018-03-2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Einsatzstück für einen Blutschlauchsatz zum Begünstigen einer Vermischung einer Infusionslösung mit einem weiteren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2090114A1 (ru) 2020-04-27
US20230398280A1 (en) 2023-12-14
CN110809481A (zh) 2020-02-18
WO2019002382A1 (en) 2019-01-03
US20210402073A1 (en) 2021-12-30
EP3421061A1 (en) 2019-01-02
BR112019027903A2 (pt) 2020-07-14
US11707561B2 (en) 2023-07-25
EP3645072B1 (en) 2022-07-27
CN110809481B (zh) 2022-11-11
EP3645072A1 (en)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8341B2 (en) Cartridges and systems for outside-in flow in membrane-based therapies
US11738132B2 (en) Infusion site for improved mixing of fluids
US20230398280A1 (en) Another Insert Piece For A Blood Tubing Set To Promote Mixing An Infusion Solution With A Further Fluid
US8915892B2 (en) T-piece for creating turbulence
CN109789261B (zh) 用于血液管组以促进输注溶液与另外的流体混合的嵌入件
EP4088758A1 (en) Infusion site of a blood tubing system
EP3789059B1 (en) Air trap chamber and extracorporeal circulation circuit
EA040060B1 (ru) Новая вставка для комплекта кровопроводящих трубок, активизирующих смешивание инфузионного раствора с другой жидкостью
WO2020084855A1 (ja) チューブコネクタ、体外循環回路、及び血液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